KR101229487B1 - 해충계수기능과 박멸기능을 갖춘 해충발생감시장치 - Google Patents

해충계수기능과 박멸기능을 갖춘 해충발생감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9487B1
KR101229487B1 KR1020100089572A KR20100089572A KR101229487B1 KR 101229487 B1 KR101229487 B1 KR 101229487B1 KR 1020100089572 A KR1020100089572 A KR 1020100089572A KR 20100089572 A KR20100089572 A KR 20100089572A KR 101229487 B1 KR101229487 B1 KR 101229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racket
suction fan
suction
mosquito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9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7787A (ko
Inventor
이명순
홍정화
유재승
Original Assignee
바이오트랩 주식회사
이명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트랩 주식회사, 이명순 filed Critical 바이오트랩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9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487B1/ko
Publication of KR20120027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7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8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by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suction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26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combined with devices for monitoring insect presence, e.g. termi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6Catching insects by using a suction eff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11/00Counting of objects distributed at random, e.g. on a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는 상하로 관통된 흡입로(11a)가 형성되고, 외면에는 유문등설치부(11b)가 형성된 본체(11)와; 유문등설치부(11b)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투명창(12)과; 내경이 본체(11)의 외경보다 크며 본체(10)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커버(13)와; 내경이 본체(11)의 외경보다 크고 본체(11)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면에는 토출구(14a)가 형성된 하부커버(14)로 구성된 외장케이스(10)와: 본체(11)의 유문등설치부(11b)에 설치되며 빛을 투명창(12) 밖으로 발산하여 모기를 유인하는 유문등(20)과: 본체(11)의 내부에 설치되며 유문등(20)을 통해 유인된 모기를 본체(11)의 흡입로(11a)로 강제흡입하는 흡입팬(30)과: 본체(11)의 내부에 설치되되, 흡입팬(30)의 하부에 설치되어 흡입팬(30)에 의해 흡입된 모기를 살상하는 칼날(40)과; 흡입팬(30)과 칼날(40)을 강제회전시키는 모터(50)로 구성된 모기퇴치기에 있어서, 상기 외장케이스(10)에는, 본체(11)의 흡입로(11a) 상면에 얹혀져 체결부재를 매개로 고정되는 브라켓(60)과: 브라켓(60)에 체결부재를 매개로 상호 마주보게 설치되어 유문등(20)과 흡입팬(30)을 통해 유입된 모기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센서(70)와: 감지센서(70)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연산하여 계수 값을 출력하는 제어부(80)가 보강 구비된 것으로서, 본체에 감지센서와 제어부를 마련하여 줌으로서, 해충(모기)의 개체수를 신속하게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주변환경에 얼마나 많은 해충(모기)가 서식하는가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어 해충박멸에 대한 유용한 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

Description

해충계수기능과 박멸기능을 갖춘 해충발생감시장치{Pest Counting And Eradicate Function With Monitoring Device}
본 발명은 해충계수기능과 박멸기능을 갖춘 해충발생감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외장케이스의 내부에 해충(모기)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하여 포집되는 해충(모기)의 개체수를 용이하게 파악함과 동시에 포집된 해충(모기)는 박멸시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된 장치에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충(모기)은 병균을 사람이나 가축에게 옮겨 많은 피해를 주는 전염체로서, 숙주동물의 체취와 열기 및 이산화탄소 냄새 등에 유인되는 습성이 있다.
이러한, 모기와 같은 해충으로부터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 향과 같은 화학적 방법을 이용하거나 미꾸라지 등과 같은 생물학적 방법 및 유문등과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해충(모기)를 유인한 다음 이를 고전압의 충격기를 이용해 퇴치하는 방법이 등이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해충(모기)이 살아가는 서식지를 매립시켜 이를 원천적으로 해소하는 방법도 있으나, 이 역시 크게 효과를 거두지는 못하였다.
또한, 상기 포집된 해충(모기)의 개체수 파악을 위해서는 별도의 포집기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때 포집된 해충(모기)은 방역담당자가 그 개체수 파악을 위해 일일이 계수하고, 이를 기록으로 남겨 데이터로 보관하게 된다.
하지만, 방역담당자가 수백 수천에 달하는 해충(모기)의 개체수를 정확하게 계측하기 어렵고 계측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으며, 뿐만 아니라 예기치 못하게 포집된 해충(모기)에 방역담당자가 공격당해 병원균에 감염되는 등의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는 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유인 빛과 흡입력을 이용해 포집된 해충(모기)의 개체수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집된 해충(모기)은 자동으로 박멸하여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된 해충계수기능과 박멸기능을 갖춘 해충발생감시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는 상하로 관통된 흡입로가 형성되고, 외면에는 유문등설치부가 형성된 본체와; 유문등설치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투명창과; 내경이 본체의 외경보다 크며 본체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커버와; 내경이 본체의 외경보다 크고 본체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면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하부커버로 구성된 외장케이스와: 본체의 유문등설치부에 설치되며 빛을 투명창 밖으로 발산하여 모기를 유인하는 유문등과: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유문등을 통해 유인된 모기를 본체의 흡입로로 강제흡입하는 흡입팬과: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되, 흡입팬의 하부에 설치되어 흡입팬에 의해 흡입된 모기를 살상하는 칼날과; 팬과 칼날을 강제회전시키는 모터로 구성된 모기퇴치기에 있어서,
상기 외장케이스에는, 본체의 흡입로 상면에 얹혀져 체결부재를 매개로 고정되는 브라켓과:
브라켓에 체결부재를 매개로 상호 마주보게 설치되어 유문등과 흡입팬을 통해 유입된 모기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센서와:
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연산하여 계수 값을 출력하는 제어부가 보강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브라켓은, 저면에 흡입로의 내경과 동일한 돌부가 형성되고, 상면 중앙에는 유인된 모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유입부가 형성되며, 유입부의 양측에는 감지센서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한 쌍의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감지센서는, 상향으로 연장되며 브라켓의 결합부에 끼워지는 삽입부와, 삽입부의 말단에서 외향으로 연장되며 체결부재를 매개로 브라켓의 저면에 밀착고정되는 걸림부를 갖추고서, 빛을 일 방향으로 입사하는 발광부와;
상향으로 연장되며 브라켓의 결합부에 끼워지는 삽입부와, 삽입부의 말단에서 외향으로 연장되며 체결부재를 매개로 브라켓의 저면에 밀착고정되는 걸림부를 갖추고서, 발광부와 마주보게 배치되어 발광부로부터 입사된 빛을 수신받는 수광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에 의해 동작제어되는 디스플레이가 더 보강 구비되며, 디스플레이는 제어부로부터 연산된 계수 값을 수신받아 이를 화면상에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본체에 감지센서와 제어부를 마련하여 줌으로서, 해충(모기)의 개체수를 신속하게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주변환경에 얼마나 많은 해충(모기)가 서식하는가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어 해충박멸에 대한 유용한 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에 의해 동작제어되는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줌으로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수치를 통해 현재까지의 개체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와 같이 수집된 해충(모기)을 방역담당자가 일일이 셀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접촉으로 인한 감염으로부터 방역담당자를 보호해 줄 수 있다.
또한, 제어부에는 계수된 값을 질병관리본부의 중앙통제센터로 유무선 송출하는 송출기(미도시)가 보강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쉽고 간편하게 해충의 개체수 파악할 수 있으며, 관리자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수치를 획득하기 위해 일일이 돌아다닐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불필요한 인력이 낭비되는 문제를 해소함과 동시에 작업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충계수기능과 박멸기능을 갖춘 해충발생감시장치의 결합사시도 와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충계수기능과 박멸기능을 갖춘 해충발생감시장치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상호연관관계를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해충계수기능과 박멸기능을 갖춘 해충발생감시장치의 작동관계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충계수기능과 박멸기능을 갖춘 해충발생감시장치의 결합사시도와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충계수기능과 박멸기능을 갖춘 해충발생감시장치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상호연관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충계수기능과 박멸기능을 갖춘 해충발생감시장치는, 외장케이스(10)와: 외장케이스(10)에 설치되며 외부로 빛을 발산하여 모기를 유인하는 유문등(20)과: 외장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유문등(20)을 통해 유인된 모기를 외장케이스(10)의 내부로 강제흡입하는 흡입팬(30)과: 흡입팬(30)의 하부에 설치되어 흡입팬(30)에 의해 흡입된 모기를 살상하는 칼날(40)과: 팬(30)과 칼날(40)을 강제회전시키는 모터(50)와: 외장케이스(10)에 체결부재를 매개로 고정되는 브라켓(60)과: 브라켓(60)에 설치되어 유문등(20)과 흡입팬(30)을 통해 유입된 모기를 감지하는 감지센서(70)와: 감지센서(70)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연산하여 계수 값을 출력하는 제어부(80)로 구성되며, 이를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도시하였다.
상기 외장케이스(10)는, 내부에는 상하로 관통된 흡입로(11a)가 형성되고, 외면에는 유문등설치부(11b)가 형성된 본체(11)와; 유문등설치부(11b)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투명창(12)과; 내경이 본체(11)의 외경보다 크며 본체(10)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커버(13)와; 내경이 본체(11)의 외경보다 크고 본체(11)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면에는 토출구(14a)가 형성된 하부커버(14)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본체(11)의 외면, 더욱 명확하게는 투명창(12)의 주변에는 산화티타늄(TiO2), 산화지르코늄(ZrO2), 산화아연(ZnO), 산화주석(SnO2), 산화텅스텐(WO2), 산화철(FeO3) 등과 같은 광촉매 물질이 코팅되어 코팅층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광촉매 물질들은 유문등(20)으로부터 빛이 광촉매 코팅층에 조사되면, 광촉매 코팅층으로부터 수산화라디칼(OH-)이 생성되는 광학반응이 일어나게 되고, 광학반응을 통해 생성된 수산화라디칼(OH-)의 강력한 산화력에 의하여 주위의 먼지와 기름 및 유기화합물 등이 산화되면서 물(H2O)과 이산화탄소(CO2)로 분해되며, 특히, 상기 이산화탄소(CO2)는 해충(모기)을 유인하는 매개체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 본체(11)의 상부와 하부에는 본체(11)의 외경보다 직경이 큰 상부커버(13)와 하부커버(14)가 체결부재를 매개로 고정되며, 본체(11)의 외주면과 상부커버(13)의 내주면 사이에는 해충(모기)가 흡입되는 흡입구(a)가 형성되고, 본체(11)의 외주면과 하부커버(14)의 내주면 사이에는 흡입팬(30)에 의해 생성된 바람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배출구(b)가 형성되며, 이를 도 3과 같이 도시하였다.
상기 흡입팬(30)에 의해 생성된 바람은 공기배출구(b)를 통해 수직하게 배출되며, 수직하게 배출되는 바람에 의해 유문등(20)에 의해 이끌린 해충(모기)은 자연스럽게 흡입구(a)의 내측으로 유도되게 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하부커버(14)의 외주면에 칼날(40)에 의해 살상된 해충(모기)의 잔존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토출구(14a)가 형성되며, 배출되는 해충(모기)의 잔존물을 용이하게 수거하기 위하여 토출구(14a) 주변에 수거망(미도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외장케이스(10)의 유문등설치부(11b)에는 유문등(20)을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체결구(미도시)가 설치되고, 체결구(미도시)를 매개로 유문등(20)이 설치되는데, 상기 유문등(20)은 해충(모기)이 좋아하는 300 ∼ 400nm의 파장을 가진 빛을 방출하여 해충(모기)을 유인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외장케이스(10)의 내부, 더욱 명확하게는 본체(11)의 흡입로(11a) 하부에는 유문등(20)을 통해 유인된 모기를 외장케이스(10)의 내부로 강제흡입하는 흡입팬(30)과: 흡입팬(30)의 하부에 설치되어 흡입팬(30)에 의해 흡입된 모기를 살상하는 칼날(40) 및 흡입팬(30)과 칼날(40)을 강제회전시키는 모터(50)가 설치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모터(50)의 회전에 의해 흡입팬(30)이 강제로 회전되면서 흡입로(11a) 내부에는 강력한 흡입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유문등(20)을 통해 모여든 해충(모기) 및 주변공기는 흡입팬(30)의 강력한 흡입력에 의해 강제 유입되어 흡입로(11a)를 따라 이동되며, 흡입팬(30)을 통과한 해충(모기)은 흡입팬(30)을 하부에 배치된 칼날(40)에 의해 퇴치되어 하부커버(14)의 토출구(14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본체(11)의 상부에는 체결부재를 매개로 고정되는 브라켓(60)과; 브라켓(60)에 체결부재를 매개로 상호 마주보게 설치되어 유문등(20)과 흡입팬(30)을 통해 유입된 모기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센서(70)와: 감지센서(70)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연산하여 계수 값을 출력하는 제어부(80)가 보강 구비된다.
상기 브라켓(60)은, 저면에 흡입로(11a)의 내경과 동일한 돌부(61)가 형성되고, 상면 중앙에는 유인된 모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유입부(62)가 형성되며, 유입부(62)의 양측에는 감지센서(7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한 쌍의 결합부(63)가 형성되며, 이를 도 2와 같이 도시하였다.
상기 감지센서(70)는, 상향으로 연장되며 브라켓(60)의 결합부(63)에 끼워지는 삽입부(71a)와, 삽입부(71a)의 말단에서 외향으로 연장되며 체결부재를 매개로 브라켓(60)의 저면에 밀착고정되는 걸림부(71b)를 갖추고서, 빛을 일 방향으로 입사하는 발광부(71)와; 상향으로 연장되며 브라켓(60)의 결합부(63)에 끼워지는 삽입부(72a)와, 삽입부(72a)의 말단에서 외향으로 연장되며 체결부재를 매개로 브라켓(60)의 저면에 밀착고정되는 걸림부(72b)를 갖추고서, 발광부(71)와 마주보게 배치되어 발광부(71)로부터 입사된 빛을 수신받는 수광부(72)로 구성되며, 이를 도 2 내지 도 3과 같이 도시하였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흡입팬(30)에 의해 흡입된 해충(모기)은 흡입구(a)를 통해 흡입로(11a)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브라켓(60)의 저면에 설치된 발광부(71)와 수광부(72) 사이를 해충(모기)이 통과하게 되면, 이를 감지센서(70)가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80)로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센서(7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받은 제어부(80)는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연산하여 계수 값을 출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80)에는 연산된 계수 값을 수신받아 이를 화면상에 표현할 수 있도록 된 디스플레이(90)가 더 보강 구비되며, 이를 도 4와 같이 도시하였다.
본 실시 예의 경우 발광부(71)와 수광부(72)로 구성된 감지센서(70)를 적용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상기 감지센서(7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어떠한 센서도 적용가능하므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지만, 상기 발광부(71)와 수광부(72) 사이를 통과하는 해충(모기)의 중복감지를 방지 및 미연에 차단하기 위하여 브라켓(60)의 유입부(61)에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가 한 쌍을 이루도록 개별로 구획하는 칸막이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지만, 상기 제어부(80)에는 계수된 값을 질병관리본부의 중앙통제센터로 유무선 송출하는 송출기가 보강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정확한 해충의 개체수 파악 및 작업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모기퇴치기의 설치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해충(모기)이 출몰하기 쉬운 지역의 가로등에 고정밴드를 매개로 설치하고, 유문등(20)과 모터(50)가 동작될 수 있도록 전원을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한 상태에서 유문등(20)과 모터(50)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유문등(20)은 점등되어 빛을 투명창(12) 밖으로 방출하게 되고, 모터(50) 역시 동작되어 흡입팬(30)과 칼날(40)을 회전시키게 되며, 이때 흡입팬(30)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 외부공기가 본체(11)의 흡입로(11a)로 강하게 흡입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문등(20)에 의해 유인된 해충(모기)은 흡입팬(30)의 흡입력과 공기배출구(b)을 빠져나와 흡입구(a)를 향해 배출되는 바람에 의해 흡입구(a)를 경유하여 본체(11)의 흡입로(11a)로 유입되고, 유입된 해충(모기)은 본체(11)의 상면에 브라켓(60)을 매개로 고정된 감지센서(70)를 통과하게 되며, 이때 감지센서(70)를 구성하는 발광부(71)와 수광부(72)는 이를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80)로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감지센서(70)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은 제어부(80)는 이를 연산하여 계수 값을 디스플레이(90)로 출력하고, 디스플레이(90)는 연산된 계수 값을 수신받아 이를 화면상에 표시하여 방역담당자가 현재까지의 해충(모기)의 개체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감지센서(70)를 경유한 해충(모기)는 흡입팬(30)을 지나 칼날(40)에 의해 신속하게 퇴치되고, 퇴치된 해충(모기)는 하방으로 부는 바람에 의해 토출구(14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지만, 상기 토출구(14a)에는 퇴치된 해충(모기)를 용이한 수거 및 주변위생을 위하여 별도의 수거망(미도시)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어부(80)에는 계수된 값을 질병관리본부의 중앙통제센터로 유무선 송출하는 송출기(미도시)가 보강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쉽고 간편하게 해충의 개체수 파악할 수 있으며, 관리자가 디스플레이(90)에 표시된 수치를 획득하기 위해 일일이 돌아다닐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불필요한 인력이 낭비되는 문제를 해소함과 동시에 작업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체(11)에 감지센서(70)와 제어부(80)를 마련하여 줌으로서, 해충(모기)의 개체수를 신속하게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주변환경에 얼마나 많은 해충(모기)가 서식하는가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어 해충방역에 대한 유용한 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80)에 의해 동작제어되는 디스플레이(90)를 설치하여 줌으로서, 디스플레이(90)에 표시된 수치를 통해 현재까지의 개체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와 같이 수집된 해충(모기)을 방역담당자가 일일이 셀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접촉으로 인한 감염으로부터 방역담당자를 보호해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외장케이스 11: 본체 11a: 흡입로
11b: 유문등설치부 12: 투명창 13: 상부커버
14: 하부커버 14a: 토출구 20: 유문등
30: 흡입팬 40: 칼날 50: 모터
60: 브라켓 70: 감지센서 80: 제어부
90: 디스플레이

Claims (4)

  1. 내부에는 상하로 관통된 흡입로(11a)가 형성되고, 외면에는 유문등설치부(11b)가 형성된 본체(11)와; 유문등설치부(11b)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투명창(12)과; 내경이 본체(11)의 외경보다 크며 본체(10)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커버(13)와; 내경이 본체(11)의 외경보다 크고 본체(11)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면에는 토출구(14a)가 형성된 하부커버(14)로 구성된 외장케이스(10)와: 본체(11)의 유문등설치부(11b)에 설치되며 빛을 투명창(12) 밖으로 발산하여 모기를 유인하는 유문등(20)과: 본체(11)의 내부에 설치되며 유문등(20)을 통해 유인된 모기를 본체(11)의 흡입로(11a)로 강제흡입하는 흡입팬(30)과: 본체(11)의 내부에 설치되되, 흡입팬(30)의 하부에 설치되어 흡입팬(30)에 의해 흡입된 모기를 살상하는 칼날(40)과; 흡입팬(30)과 칼날(40)을 강제회전시키는 모터(50)로 구성된 모기퇴치기에 있어서,
    상기 외장케이스(10)에는, 본체(11)의 흡입로(11a) 상면에 얹혀져 체결부재를 매개로 고정되는 브라켓(60)과:
    브라켓(60)에 체결부재를 매개로 상호 마주보게 설치되어 유문등(20)과 흡입팬(30)을 통해 유입된 모기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센서(70)와:
    감지센서(70)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연산하여 계수 값을 출력하는 제어부(80)가 보강 구비되는 한편,
    상기 브라켓(60)은, 저면에 흡입로(11a)의 내경과 동일한 돌부(61)가 형성되고, 상면 중앙에는 유인된 모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유입부(62)가 형성되며, 유입부(62)의 양측에는 감지센서(7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한 쌍의 결합부(63)가 형성되고;
    상기 감지센서(70)는, 상향으로 연장되며 브라켓(60)의 결합부(63)에 끼워지는 삽입부(71a)와, 삽입부(71a)의 말단에서 외향으로 연장되며 체결부재를 매개로 브라켓(60)의 저면에 밀착고정되는 걸림부(71b)를 갖추고서, 빛을 일 방향으로 입사하는 발광부(71)와, 상향으로 연장되며 브라켓(60)의 결합부(63)에 끼워지는 삽입부(72a)와, 삽입부(72a)의 말단에서 외향으로 연장되며 체결부재를 매개로 브라켓(60)의 저면에 밀착고정되는 걸림부(72b)를 갖추고서, 발광부(71)와 마주보게 배치되어 발광부(71)로부터 입사된 빛을 수신받는 수광부(7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계수기능과 박멸기능을 갖춘 해충발생감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80)에 의해 동작제어되는 디스플레이(90)가 더 보강 구비되며, 디스플레이(90)는 제어부(80)로부터 연산된 계수 값을 수신받아 이를 화면상에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계수기능과 박멸기능을 갖춘 해충발생감시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100089572A 2010-09-13 2010-09-13 해충계수기능과 박멸기능을 갖춘 해충발생감시장치 KR101229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572A KR101229487B1 (ko) 2010-09-13 2010-09-13 해충계수기능과 박멸기능을 갖춘 해충발생감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572A KR101229487B1 (ko) 2010-09-13 2010-09-13 해충계수기능과 박멸기능을 갖춘 해충발생감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787A KR20120027787A (ko) 2012-03-22
KR101229487B1 true KR101229487B1 (ko) 2013-02-04

Family

ID=46132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9572A KR101229487B1 (ko) 2010-09-13 2010-09-13 해충계수기능과 박멸기능을 갖춘 해충발생감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94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84165A (zh) * 2019-12-30 2020-05-01 山西农业大学 一种陷阱式性信息素自动害虫测报仪
US20210400943A1 (en) * 2020-06-25 2021-12-30 Satish Cherukumalli Mosquito Identification Classification Trap and Method to Use
KR20230088128A (ko) 2021-12-10 2023-06-1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자동 포집모듈을 포함하는 해충 유인 트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78101B (zh) * 2013-09-26 2015-04-22 浙江大学 一种昆虫监测装置
CN103598171B (zh) * 2013-10-11 2015-09-09 北京农业信息技术研究中心 果园飞行害虫诱捕分类计数装置
CN105794751A (zh) * 2016-03-28 2016-07-27 南京农业大学 一种实时计数的杀虫灯
KR101957445B1 (ko) * 2017-07-25 2019-03-12 주식회사 엑사토 해충 포획장치
KR101937597B1 (ko) * 2017-10-25 2019-04-10 김동원 유해동물 퇴치용 드론 및 그 비행 방법
CN108293959A (zh) * 2018-01-15 2018-07-20 宁波高新区鹏博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测量益害昆虫比例的装置
CN108600880A (zh) * 2018-07-25 2018-09-28 郑州小蝌蚪文化传播有限公司 一种具有防虫功能的户外音箱
CN112167206A (zh) * 2020-09-19 2021-01-05 湖南金桂建设有限公司 一种利用野外灯光诱杀有害成虫的方法
CN112119991A (zh) * 2020-09-19 2020-12-25 湖南金桂建设有限公司 一种野外灯光引诱杀灭有害成虫的系统
CN113475477B (zh) * 2021-06-17 2023-01-31 浙江科技学院 一种节能风吸式杀虫灯诱捕装置及诱捕方法
CN115191412A (zh) * 2022-08-17 2022-10-18 广西壮族自治区农业科学院 一种橘小实蝇预测预报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9998A (ja) 1999-01-21 2000-08-02 Fumakilla Ltd 飛翔昆虫検知装置
KR200394218Y1 (ko) 2005-06-07 2005-09-01 박상영 해충 박멸기
KR20100054331A (ko) * 2008-11-14 2010-05-25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아이티 페로몬트랩 및 이를 이용한 무인 모니터링 시스템
KR20100067827A (ko) * 2008-12-12 2010-06-22 주식회사 이다시티엔디 계수기능을 갖춘 포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9998A (ja) 1999-01-21 2000-08-02 Fumakilla Ltd 飛翔昆虫検知装置
KR200394218Y1 (ko) 2005-06-07 2005-09-01 박상영 해충 박멸기
KR20100054331A (ko) * 2008-11-14 2010-05-25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아이티 페로몬트랩 및 이를 이용한 무인 모니터링 시스템
KR20100067827A (ko) * 2008-12-12 2010-06-22 주식회사 이다시티엔디 계수기능을 갖춘 포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84165A (zh) * 2019-12-30 2020-05-01 山西农业大学 一种陷阱式性信息素自动害虫测报仪
US20210400943A1 (en) * 2020-06-25 2021-12-30 Satish Cherukumalli Mosquito Identification Classification Trap and Method to Use
US11490609B2 (en) * 2020-06-25 2022-11-08 Satish K. CHerukumalli Mosquito identification classification trap and method to use
KR20230088128A (ko) 2021-12-10 2023-06-1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자동 포집모듈을 포함하는 해충 유인 트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787A (ko) 201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9487B1 (ko) 해충계수기능과 박멸기능을 갖춘 해충발생감시장치
KR101349733B1 (ko) 해충 포획장치
KR20130053672A (ko) 해충퇴치기
JP5100605B2 (ja) 捕虫器
JP5193959B2 (ja) 捕虫装置
US11172668B2 (en) Window fly trap
JP3136423U (ja) 害虫捕獲器
KR20110028728A (ko) 진공팩킹 쥐트랩 및 이를 이용한 쥐 포획 방법
KR101224706B1 (ko) 진공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
KR20180009193A (ko) 해충 트랩장치가 설치된 가로등
KR20130041411A (ko) 해충퇴치기
KR101959169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해충 퇴치 시스템
WO2016034933A1 (en) Insect traps and methods of trapping insects
KR20090005532U (ko) 해충 포획기
KR20190092546A (ko) 와류형 곤충 트랩
JP3212987U (ja) 吸引式捕虫器
CN212921679U (zh) 一种多场合用快速捕蚊虫移动推车
KR20150073547A (ko) 해충 퇴치용 랜턴
JP5268378B2 (ja) エレベータかご
JP2006333852A (ja) 害虫吸い込み装置
KR100426496B1 (ko) 해충 퇴치기
JP2005100809A (ja) 照明器具
KR20210007230A (ko) It기능이 구비된 포충장치
KR101041708B1 (ko) 해충포획장치
KR101917178B1 (ko) 가정용 자동 벌레 퇴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