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4331A - 아이티 페로몬트랩 및 이를 이용한 무인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아이티 페로몬트랩 및 이를 이용한 무인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4331A
KR20100054331A KR1020080113211A KR20080113211A KR20100054331A KR 20100054331 A KR20100054331 A KR 20100054331A KR 1020080113211 A KR1020080113211 A KR 1020080113211A KR 20080113211 A KR20080113211 A KR 20080113211A KR 20100054331 A KR20100054331 A KR 20100054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ct
pheromone
insects
pheromone trap
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3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태
김용균
김용
정성채
Original Assignee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그린 아그로텍
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그린 아그로텍, 김용 filed Critical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113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4331A/ko
Publication of KR20100054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43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26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combined with devices for monitoring insect presence, e.g. termi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T 페로몬트랩 및 이를 이용한 무인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IT 페로몬트랩은, 곤충을 유인하기 위한 성페로몬이 내장되며, 유인되는 곤충이 적재되는 곤충 적재함과; 외부에서 상기 곤충적재함까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인통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인통로를 통하여 유인되거나 상기 곤충적재함에 적재된 곤충의 개체수 또는 곤충의 종류를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이미지 패턴인식기법을 이용하여 센싱하는 센서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곤충 트랩에 포집된 곤충의 개체수를 실시간으로 센싱하여 특정지역의 곤충의 발생상태를 실시간으로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곤충의 발생정보, 분포정보, 그리고 방제 적기를 결정하는 데 필요한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성페로몬, 모니터링, 트랩, 복숭아순나방, 포집, 인터넷, 서버, 센서

Description

아이티 페로몬트랩 및 이를 이용한 무인 모니터링 시스템{IT pheromone trap and remote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IT 페로몬트랩 및 이를 이용한 무인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성페로몬을 이용한 BT 기술과 센서 및 통신을 이용한 IT 기술을 접목하여 개발된 IT 페로몬트랩과, 센싱 기술을 이용하여 유인된 곤충 개체수를 파악하고, IT 기술을 이용함에 의하여 어디에서나 특정 지역 또는 장소의 특정곤충의 발생상황의 정보접근이 가능한 웹서버 방식의 자료 접근이 가능하게 한 IT 페로몬트랩 및 이를 이용한 무인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에 관한 것이다.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은 연중 4-5회 성충 발생 피크를 보이며, 유충은 사과, 배 등 핵과류의 과실을 직접 가해하는 일차해충이다. 사과의 경우 과실에 직접 피해를 주는 나방류로 복숭아순나방과 더불어 복숭아심식나방(Carposina sasakii)을 포함시키지만, 복숭아순나방의 발생 밀도가 커서 사과 과실에 직접 경제적 손실을 끼치는 최대 주요 해충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피해를 주는 발육단계인 유충이 과실 내부에서 가해하고 있기 때문에 살충제의 직접 접촉이 어렵고, 이에 따른 다량의 화학농약 살포는 약제 저항성까지 발달시킬 수 있다는 보고가 있어 방제의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 또한 이 해충에 의한 과실 피해는 화학농약의 살포가 어려운 사과 수확직전기간까지 미쳐 필연코 다른 방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해충 가해 습성 및 재배 환경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복숭아순나방 방제 기술로서 성페로몬을 이용한 정확한 성충 발생 시기를 모니터링하여 산란된 알과 유충을 대상으로 방제 적기를 결정하는 것이 효율적 방제법으로 제기되고 있다.
성페로몬를 이용한 복숭아순나방 모니터링 기술이 현실화될 수 있기 위해서 여러 제반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일찍이 복숭아순나방의 성페로몬 조성이 밝혀졌고, 특별히 국내 복숭아순나방 집단에 효과적인 페로몬 조성도 밝혀졌다. 또한 복숭아순나방의 성페로몬 화합물에 대한 유기합성 기술이 최근에 개발되었다.
이에 따라 복숭아순나방의 모니터링을 위한 트랩의 개발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예로 끈끈이를 이용한 델타 트랩이 있다. 이러한 끈끈이를 이용한 델타 트랩은 특정지역에 끈끈이를 배치하고 끈끈이에 포획된 복숭아 순나방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으로 모니터링이 수행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모니터링 요원이 주기적으로 농가를 방문하여 계수하고, 끈끈이를 바꾸어주는 수작업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를 위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더러 날씨나 기타 요인에 의한 모니터링 요원의 불규칙적 야외 조사 주기는 정확하고 신속한 야외의 해충 밀도 변화를 광범위한 지역에서 실현하기에 역부족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IT 페로몬트랩 및 이를 이용한 무인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시간으로 특정곤충의 발생 상태를 알 수 있는 IT 페로몬트랩 및 이를 이용한 무인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는 IT 페로몬트랩 및 이를 이용한 무인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터넷을 통하여 전국 어디서나 특정곤충의 발생상황이나 분포상태를 실시간으로 알 수 있는 IT 페로몬트랩 및 이를 이용한 무인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IT 페로몬트랩은, 곤충을 유인하기 위한 성페로몬이 내장되며, 유인되는 곤충이 적재되는 곤충 적재함과; 외부에서 상기 곤충적재함까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인통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인통로를 통하여 유인되거나 상기 곤충적재함에 적재된 곤충의 개체수 또는 곤충의 종류를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이미 지 패턴인식기법을 이용하여 센싱하는 센서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인통로를 통하여 포획되어 상기 곤충적재함에 유입된 곤충이 외부로 탈출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탈출방지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성페로몬은, 상기 IT페로몬 트랩 외부의 곤충을 상기 유인통로로 유인하기 위하여 상기 IT페로몬 트랩의 뚜껑인접부위에 배치되고, 상기 IT페로몬 트랩근처 또는 상기 유인통로까지 도달된 곤충을 상기 곤충적재함 안으로 유인하기 위하여 상기 곤충적재함 내에도 배치될 수 있다.
상기 IT페로몬트랩은, 상기 IT페로몬트랩의 하부에 외부의 습기 또는 강우에 의하여 상기 곤충적재함 내부로 주입된 습기 또는 물의 배출 및 통풍을 위한 통풍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적외선을 발생하는 광원과; 상기 유인통로에의 곤충 통과여부에 따른 이미지의 패턴 변화를 센싱하는 이미지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적외선을 발생하는 광원과; 상기 유인통로에의 곤충 통과여부에 따른 적외선 광량의 변화정도를 센싱하는 수광센서와; 상기 곤충적재함의 적재된 곤충의 이미지 패턴을 일정주기단위로 획득하여, 상기 광원과 상기 수광센서를 이용하여 수행된 곤충 모니터링한 결과를 확인 및 수정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적외선을 발생하는 광원과; 상기 곤충적재함에 포획된 곤충들의 이미지 패턴을 정해진 시간에 획득하기 위한 이미지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광원은 엘이디(LED) 또는 엘디(LD)이며, 상기 이미지센서는 CMOS 이미 지센서 또는 CCD 이미지센서일 수 있다.
상기 성페로몬은 복숭아순나방을 유인하기 위한 성페로몬이며, 상기 성페로몬은 Z8-12:Ac, E8-12:Ac, Z8-12:OH이 각각 88.5: 5.7: 1.0(%)의 비율, 또는 95: 5: 1 (v/v)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IT 페로몬 트랩은, 곤충 유입여부 또는 곤충의 적재여부에 따라 상기 센서부에서 곤충의 센싱여부에 따라 변화되는 출력신호를 신호처리하여 곤충의 개체수 또는 곤충의 종류를 측정하는 신호처리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센서부의 출력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의 출력신호의 레벨 변화를 카운팅하여 곤충의 개체수를 계산하며, 상기 센서부 및 상기 증폭부를 포함하여 상기 신호처리부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신호처리부 또는 상기 IT 페로몬트랩이 특정시간동안에만 동작되도록 컨트롤하는 동작시간 조절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IT 페로몬 트랩은, 상기 IT 페로몬트랩이 설치된 외부 주위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외부 환경 센싱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외부 환경 센싱부는, 외부 온도 센싱을 위한 온도센서와; 외부 습도 센싱을 위한 습도센서와; 외부 강우 유무를 센싱을 위한 강우센서(rain sensor)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IT 페로몬트랩은, 상기 신호처리부를 통해 측정된 특정 곤충의 개체수 정보, 곤충의 종류 정보 또는 상기 외부 환경 센싱부를 통해 수집된 외부 주위 환 경에 대한 외부환경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 전송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IT 페로몬트랩은, 상기 IT 페로몬트랩에 태양전지 또는 교체용 건전지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구체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IT 페로몬트랩을 이용한 무인 모니터링 시스템은, 단일종 내에서의 교신물질인 성페로몬을 내장하여 특정 곤충을 유인하고, 유인된 곤충의 이미지센싱을 통한 이미지 패턴인식기법을 이용하여 곤충의 개체수 또는 곤충의 종류를 센싱하여 곤충 개체수 정보 또는 곤충의 종류정보를 일정시간단위로 유선 또는 무선전송하는 IT 페로몬트랩과;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IT 페로몬 트랩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곤충 개체수 정보 또는 곤충종류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서버를 구비한다.
상기 IT 페로몬트랩과 상기 서버간의 통신은 CDMA 통신모듈을 이용한 CDMA 통신방식, TCP/IP 기반의 통신방식, 및 블루투스(Bluetooth) 통신방식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통신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IT 페로몬트랩은, 상기 IT 페로몬 트랩이 설치된 외부 주위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강우센서를 포함하는 외부 환경 센서들을 더 구비하며, 상기 외부환경센서들을 통해 수집된 외부환경정보는 상기 서버에 전송되어 분석을 통하여 상기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IT 페로몬트랩을 통하여 수집된 곤충개체수 정보를 통하여 상기 특정곤충의 변동을 시계열적으로 파악하고 예측하여 방제시기를 결정하고, 상기 특정곤충의 방제시기를 알려줄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IT 페로몬트랩을 통하여 수집된 곤충개체수 정보 및 외부환경정보를 미리 정해진 특정 웹사이트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IT 페로몬트랩에 포집된 특정곤충의 개체수를 실시간으로 센싱하여 실시간으로 발생 밀도를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특정곤충 발생정보 또는 분포정보를 얻기 위한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인터넷을 통하여 전국 어디서나 특정곤충의 발생상황이나 분포상태를 실시간으로 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곤충을 위한 IT페로몬 트랩 및 이를 이용한 무인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특정곤충에는 각종 성페로몬으로 유인가능한 모든 곤충이 해당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실시예로써 복숭아순나방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T 페로몬트랩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IT 페로몬트랩의 설치구조는 특정곤충이 발생되는 장소에 피뢰침(150)을 구비한 기둥(162)에 태양광집광판(모듈)(137)이 구비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기둥(162)의 일정부위에 IT페로몬트랩(100)이 설치되고, 상기 IT페로몬 트랩(100)의 상단부에 강우센서(126)와 상기 강우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트랩비가림막(164)이 설치된다.
상기 트랩비가림막(164)는 강우에 따른 빗물이 상기 IT페로몬트랩(100)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기둥(162)에는 상기 IT페로몬트랩(100)의 신호처리 및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컨트롤박스(160)가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박스(160)에는 일정케이스를 가지며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약광집광판(137)을 통해 유입되는 태양광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지를 포함하여, 온도센서, 각종 신호처리를 위한 모듈들이 내장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IT페르몬 트랩(100)의 개략적 구조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IT 페로몬 트랩(100)은 뚜껑(119)이 있는 케이스 내부에 곤충적재함(117), 적어도 하나의 유인통로(116), 포획된 곤충이 외부로 탈출할 수 없게 하는 탈출방지수단(118), 통풍구(111), 및 센서부(112,114)를 구비한다.
상기 IT 페로몬 트랩(100)은 복숭아순나방을 유인하기 위한 성페로몬 화학물 질(Z8-12:Ac, E8-12:Ac, Z8-12:OH이 각각 88.5: 5.7: 1.0% 또는 95: 5: 1 (v/v)의 비율)(113,115)이 내장되며, 유인되는 곤충이 적재되는 장소를 제공한다. 상기 성페로몬(113,115)은 상기 곤충을 유인하기에 가장 유리한 장소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트랩 외부의 곤충을 트랩의 유인구로 유인하기 위하여 성페로몬 화학물질(115)을 트랩 뚜껑(119)의 인접위치에 배치하고, 상기 IT페로몬트랩(100) 근처 또는 유인통로(116)까지 도달한 곤충을 효과적으로 곤충적재함(117) 안으로 유인하기 위하여 곤충적재함(117) 내에 성페로몬 화학물질(113)을 배치할 수 있다.
상기 IT 페로몬 트랩(100)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포집 또는 포획된 곤충이 외부로 탈출할 수 없도록 하는 탈출방지 수단(118)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탈출방지수단(118)은 곤충이 유인되는 방향에서는 유입이 쉽고 반대방향에서는 유출이 어려운 구조로서, 일반적으로 고기잡이를 위한 고기채집망(일명 통발)이나 기타 곤충 채집 등의 도구 등에서 채택하고 있는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IT페로몬 트랩(100)은 트랩 하부에 통풍구(111)를 구비하여 외부의 습기 또는 강우에 의하여 곤충적재함 내부로 주입된 습기 또는 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풍구(111)는 공기 순환을 통한 통풍의 효과를 위해서도 필요하다.
특히 복숭아순나방 페로몬을 이용하면 페로몬을 중심으로 한 야외 곤충 개체군의 집단변동을 특이적으로 유인하여 탐지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즉, 성유인물 질에 의한 복숭아순나방 수컷 집단의 변동을 시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집단의 변동을 시계열로 파악이 가능하고, 생태학적 집단변동모델과 어울려 복숭아순나방 개체군의 변동을 예찰하여 방제 적기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곤충적재함(117)은 상기 유인통로(116)를 통하여 포획된 특정곤충이 적재되는 장소를 제공한다.
상기 유인통로(116)는 외부에서 상기 곤충적재함(117)까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IT 페로몬 트랩(100)에는 하나의 유인통로(116)가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곤충의 분포가 많거나 개체수에 대한 빠른 파악을 원하는 경우, 또는 하나의 IT 페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적어도 두 가지 종류 이상의 곤충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하는 경우 등에는 상기 유인통로(116)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12,114)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인통로(116)를 통하여 유인되는 곤충의 개체수를 센싱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가능하다. 몇 가지 예로 상기 유인통로(116)를 곤충이 통과할 때의 광량변화, 자계변화, 용량변화 또는 이미지 패턴 변화를 센싱하는 것에 의해 가능할 수 있다.
이하 광량변화를 이용하는 경우, 자계변화를 이용하는 경우, 용량변화를 이용하는 경우 및 이미지 패턴 변화를 이용하는 경우를 차례로 설명한다.
우선 광량변화를 이용하는 경우에 상기 센서부(112,114)는, 광원(112) 및 수광센서(114)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광원(112)은 해충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적외선을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광원(112)은 LED(Light Emitting Diode)나 LD(Laser Diode)가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광센서(114)는 적외선 광량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이용될 수 있으나, 여기서는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광원(112)와 상기 수광센서(114)는 상기 유인통로(116)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근접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112)을 온(ON)하여 적외선이 발생되면, 상기 수광센서(114)가 적외선을 감지하여 적외선에 비례한 전압을 출력하게 된다. 이때 곤충이 유인되어 상기 유인통로(116)를 통과하면 순간적으로 적외선이 차단된다. 이때 따라 상기 수광센서(114)에서 수신되는 광량이 줄어들게 되고, 상기 수광센서(114)의 출력전압이 변화되게 된다. 이 경우 출력전압의 레벨이 일반적인 경우보다 낮아질 것이다.
이후 곤충(118)이 상기 센서부(112,114)를 완전히 통과하게 되면 상기 수광센서(114)의 출력전압은 일반적인 경우의 레벨로 회복될 것이다. 이러한 출력전압의 레벨변화는 곤충이 상기 유인통로(116)를 통과할 때마다 발생될 것이므로, 상기 수광센서(114) 출력전압의 레벨변화 회수를 카운트하면 곤충의 개체수를 측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광량변화를 이용하여 곤충의 개체수를 측정하는 방법은 광원(112) 및 수광센서(114)의 사용으로 인해 소비전력이 비교적 높을 것으로 판단되므로, 펄스형태의 전원을 이용한 광원의 구동이나 저전력 회로의 구현 등으로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광원(112)을 덮고 있는 렌즈에 해충의 접촉에 의한 불순물이 접착되는 경우 광원에서 발생되는 적외선을 흡수하여 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는 센 서부(112,114)의 감도를 낮출 수 있으므로, 이를 위해 렌즈 클리너(11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렌즈클리너(119)는 DC모터를 이용한 회전형 렌즈 크리너 일 수 있다.
상기 적외선을 발생하는 광원(112)과; 상기 유인통로(116)에의 곤충 통과 여부에 따른 적외선 광량의 변화를 센싱하는 수광센서(114)를 구비하여 곤충의 개체수를 측정하는 IT페로몬 트랩(100)에는, 곤충 적재함(17)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이미지 센서(114a)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때는 상기 광원(112)과 상기 수광센서(114)를 이용하여 모니터링한 결과를, 상기 이미지센서(114a)를 이용하여 정해진 시간에 확인하여 곤충 모니터링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이미지센서(114a)를 사용하면 소비전력이 다소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광원(112)과 상기 수광센서(114)를 이용하여 곤충의 개체수를 측정하고, 하루에 일회 정도 상기 이미지센서(114a)를 이용하여 상기 곤충적재함(117) 내의 이미지 패턴을 획득하고 분석하여 곤충의 전체 개체수 및 종류 별 개체 수를 확인하여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다.
상기 광원(112)과 상기 수광센서(114)를 이용하여 얻을 수 있는 정보는 곤충의 개체수 및 곤충이 유인된 시간이고, 상기 이미지센서(114a)를 이용하여 얻을 수 있는 정보는 곤충 종류 별 개체수 및 곤충적재함(117) 내의 상태정보이다.
다음으로 자계의 변화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는 광량의 변화를 이용하는 방법과 유사하게, 영구자석과 자계센서를 근접해서 배치한다. 이 경우는 도 1의 도면부호'112'가 영구자석이 되고, 도면부호 '114'가 자계센서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112)에서 자계가 발생되면, 상기 자계센서(114)는 자계를 감지하여 감지된 자계에 비례한 전압을 출력하게 된다. 이때 곤충(118)이 유인되어 상기 유인통로(116)를 통과하면 순간적으로 자계가 차단된다. 이때 따라 상기 자계센서(114)에서 수신되는 자계의 양이 줄어들게 되고, 상기 자계센서(114)의 출력전압이 변화되게 된다. 이 경우 출력전압의 레벨이 일반적인 경우보다 낮아질 것이다.
이후 곤충(118)이 상기 센서부(112,114)를 완전히 통과하게 되면 상기 자계센서(114)의 출력전압은 일반적인 경우의 레벨로 회복될 것이다. 이러한 출력전압의 레벨변화는 곤충(118)이 상기 유인통로(116)를 통과할 때마다 발생될 것이므로, 상기 자계센서(114) 출력전압의 레벨변화 회수를 카운트하면 곤충(118)의 개체수를 측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자계를 이용한 감지 방법은 광량을 이용하는 방법에 비해 감도가 낮을 수 있지만 전원이 필요 없는 영구자석을 이용하므로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정전용량을 이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는 상기 유인통로(116)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두 개의 금속전극을 배치하여 콘덴서를 구성한다. 이 경우는 도 1의 도면부호'112'및 '114'가 두 개의 금속전극으로 표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인 경우에는 두 개의 금속전극(112,114) 사이의 유전물이 공기이므로, 상기 콘덴서의 정전용량은 공기의 유전율에 비례하여 나타날 것이다. 그러나 곤충(118)이 유인되어 상기 유인통로(116)를 통과하면 순간적으로 두 개의 금속전극(112,114) 사이의 유전율이 변화하게 되고, 이에 따라 콘덴서의 정전용량이 변화되게 된다.
이후 곤충(118)이 상기 센서부(112,114)를 완전히 통과하게 되면 콘덴서의 정전용량은 일반적인 경우로 회복될 것이다. 이러한 정전용량의 변화는 곤충(118)이 상기 유인통로(116)를 통과할 때마다 발생될 것이므로, 상기 콘덴서의 정전용량의 변화 회수를 카운트하면 곤충(118)의 개체수를 측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정전용량을 이용한 감지 방법은 소비전력이 비교적 낮고 제작 단가가 낮은 장점이 있다. 측정감도가 문제되는 경우에는 측정감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알고리즘의 개발을 통하여 이를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이미지 팬턴 인식을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는 광량의 변화를 이용하는 방법과 유사하게, 적외선 광원(112)과 이미지센서(114)를 근접해서 배치한다. 이 경우는 도 2의 도면번호 '112'가 적외선 광원이 되고, 도면부호 '114'가 이미지센서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광원(112)은 해충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적외선을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광원(112)은 LED(Light Emitting Diode)나 LD(Laser Diode)가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센서는 CMOS 이미지센서 또는 CCD 이미지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광원(112)에서 적외선이 발생되는 상태에서, 곤충이 유인되어 상기 유인통로(116)를 통과하면 순간적으로 적외선이 차단 또는 반사된다. 이 때 상기 이미지센서(114)를 이용하여 곤충의 이미지 패턴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획득된 곤충의 이미지 패턴을 신호 처리하여 곤충의 총 개체수 뿐 아니라 곤충의 종류를 구분하여 각각의 개체수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 다른 이미지 패턴 인식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이 경우는 상기 유인통로(116)를 통하여 유인되는 곤충의 이미지 패턴을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곤충적재함(117)에 포획된 곤충들의 이미지 패턴을 인식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는 도면에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곤충적재함(117) 내에 포획된 여러 마리의 곤충의 이미지 패턴을 획득할 수 있는 위치에 이미지센서를 배치하게 된다.
상기 유인통로(116)를 통하여 곤충이 유인되어 곤충적재함(117)에 포획되면, 상기 이미지센서를 이용하여 정해진 시간에 포획된 전체 곤충의 정지된 이미지 패턴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획득된 곤충의 이미지 패턴을 신호 처리하여 곤충의 총 개체수 뿐 아니라 곤충의 종류를 구분하여 각각의 개체수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IT 페로몬트랩(100)의 신호관련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 및 동작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IT 페로몬트랩(500)은 센서부(110), 신호처리부(130), 및 통신모듈(140)을 구비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IT 페로몬 트랩(500)이 설치된 외부 주위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외부 환경 센싱 부(1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부(138)는 필수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에는 정보저장을 위한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호처리부(130), 통신모듈(140), 상기 전원부(138)은 도 1의 컨트롤박스(160)에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10)는 도 2의 센서부(112,114)와 그 구성 및 동작이 동일하다.상기 신호처리부(130)는 상기 센서부(110)의 출력신호를 신호처리하여 곤충의 개체수를 측정하게 된다. 상기 신호처리부(500)는 증폭부(134) 및 제어부(13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동작시간 조절부(13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증폭부(134)는 상기 센서부(110)의 출력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어부(132)는 상기 증폭부(134)의 출력신호의 레벨 변화를 카운팅하여 곤충의 개체수를 계산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132)는 내부에 저장된 센싱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센서부(110)의 신호를 가공하여 상기 통신모듈(140)로 전달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2)는 상기 센서부(110) 및 상기 증폭부(134)를 포함하여 상기 신호처리부(1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32)는 외부 환경 센싱부(120), 상기 통신모듈(140), 상기 전원부(138)의 동작을 컨트롤 할 수 있다.
상기 동작시간 조절부(136)는 상기 신호처리부(130) 또는 상기 IT 페로몬 트랩(500) 전체가 특정시간동안에만 동작되도록 컨트롤 한다. 이를 웨이크업 시스템(wake up system)이라 부르기도 한다. 상기 동작시간 조절부(136)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실현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시간대(예를 들 면, 주간)에는 상기 신호처리부(130) 또는 상기 IT 페로몬트랩(500) 전체의 동작을 정지(OFF)시키고, 측정이 이루어지는 시간대(예를 들면, 야간)에는 동작이 시작(ON)되도록 동작한다. 상기 동작시간 조절부(136)는 전원소모가 적은 타이머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고, 광도전형 광센서인 CDS 셀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외부환경센싱부(120)는 외부 온도 센싱을 위한 온도센서(122), 외부 습도 센싱을 위한 습도센서(124) 및 외부 강우 유무를 센싱을 위한 강우센서(rain sensor)(126)를 적어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외부환경센싱부(120)는 상기 IT 페로몬트랩(500)이 동작되는 시간대에서 트랩 외부 주위환경을 감시하여 얻어진 외부환경정보를 해충분포 분석자료로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외부환경과 곤충분포(해충분포)와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또한, IT 페로몬트랩(500)의 주위환경을 파악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 예를 들어, 비가 오면 전원을 오프(OFF)한다든지, 주위의 온도가 너무 높아지면 트랩(500) 내부의 펜을 구동하여 내부의 온도를 낮추는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122)는 일반적인 반도체 온도센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습도센서(124)는 야외환경에 적합한 습도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강우센서(126)는 전극을 이용한 강우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외부환경 센싱부(120)는 상기 온도센서(122), 상기 습도센서(124) 및 강우센서(rain sensor)(126) 이외에도 획득하고자 하는 외부환경의 종류에 따라 다 양한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랩(500) 주위의 대기오염정도, 특정 중금속의 분포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140)은 상기 신호처리부(130)를 통해 측정된 특정 곤충의 개체수 정보, 또는 상기 외부 환경 센싱부(120)를 통해 수집된 외부 주위 환경에 대한 외부환경정보를 동축케이블 등과 같은 유선으로 전송하거나 안테나를 통해 무선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상기 통신모듈(140)은 CDMA 기반의 무선전송을 위해 CDMA 칩을 구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통신모듈(140)은 블루투스(bluetooth)통신을 위해 블루투스 무선통신이 가능한 칩이나, TCP/IP 기반의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구현하기 위해 TCP/IP칩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전원부(138)는 기본적으로는 전지(battery)를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교체용 건전지나 밧데리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전원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전지는 태양전지(139)가 이용될 수 있다. 즉 태양전지 시스템을 상기 IT페르몬 트랩에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곤충 개체수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시간대(예를 들면, 오전 및 오후)에는 전기에너지를 전지에 충전하고, 야간에는 전지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전지교환의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어 시스템 관리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의 IT 페로몬트랩(100,500)을 이용한 IT 페로몬트랩을 이용한 곤충 모니터링 시스템의 일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곤충 모니터링 시스템은 지역별 또는 시기별 해충의 발생상황을 인터넷 접속으로 전국 어디에서나 정보접근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다양한 지역별 해충발생정보의 상시 수집 등을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곤충 모니터링 시스템은, 센서시스템(210), 주처리장치(300), 서버와 주처리 장치 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40), 및 서버(400)을 구비한다. 여기서 센서시스템(210) 및 상기 주처리 장치(300)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된 IT 페로몬 트랩(100,500)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센서시스템(210)은 도 2의 센서부(110) 및 외부환경센싱부(120)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처리 장치(300)는 도 2의 신호처리부(130) 및 통신모듈(140)에 대응될 수 있다.
IT 페로몬 트랩만을 구성하는 경우와, 인터넷과 연계된 정보화 기술이 접목된 IT 페로몬트랩을 이용한 곤충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성하는 경우는 그 구성요소 면에서 동일한 구성이 있을 수 있으나 추가되거나 변경되어 서로 다른 구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그 명칭 및 도면부호를 달리 표현하였다.
그러나 구성요소의 명칭이나 도면부호가 도 1 내지 도 3과 다르다고 할지라도 동작이나 역할이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된 구성요소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상기 센서시스템(210)은 도 3의 센서부(110) 및 외부환경센싱부(120)에 대응되는 구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주처리장치(300)는 센서인터페이스(sensor interface)(350)로 AD 컨버 터(352)를 구비한다. 그리고 중앙처리장치(370)로써 CPU(372), 저장소자, 즉 메모리(376), 전원컨트롤러(378)를 구비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위성수신장치(GPS)(374)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주처리 장치(30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80)로써 CDMA 칩 또는 모듈(142)을 구비할 수 있다.
서버와 주처리 장치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40)는 CDMA 칩 또는 모듈(14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서버(400)는 인터넷과 연결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진 서버로써의 역할이나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센서시스템(210)과 상기 주처리 장치(300) 간의 통신은 유선통신으로써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주처리 장치(300)와 상기 서버시스템(400)과의 통신은 클라이언트/서버방식(client/server)과 서버중심방식이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서버방식은 상기 주처리 장치(300)가 일정시간 단위로 서버시스템(400)에 결과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즉 상기 주처리 장치(300)에서 곤충개체수 정보나 주위환경정보를 상기 서버(400)로 일정시간단위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상기 서버(400)에서는 사전에 미리 확립된 프로토콜을 바탕으로 하여 상기 주처리장치(3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항상 인터넷에 연결된 서버(400)에 접속함으로써 정보를 조회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서버(400)는 상기 IT 페로몬트랩(100,500)을 통하여 수집된 곤충개체수 정보를 통하여 상기 특정곤충의 변동을 시계열적으로 파악하고 예측하여 방제시기를 결정하고, 상기 특정곤충의 방제시기를 알려주도록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숭아순나방 페로몬을 이용하면 페로몬을 중심으로 한 야외 곤충 개체군의 집단변동을 특이적으로 유인하여 탐지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서버(400)는 성유인물질에 의한 복숭아순나방 수컷 집단의 변동을 시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집단의 변동을 시계열로 파악이 가능하고, 생태학적 집단변동모델과 어울려 복숭아순나방 개체군의 변동을 예찰하여 방제 적기를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서버(400)는 상기 IT 페로몬트랩(100,500)을 통하여 수집된 곤충개체수 정보 및 외부환경정보를 미리 정해진 특정 웹사이트에 제공하여 언제 어디서나 이러한 정보를 열람 및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서버방식은 상기 주처리장치(300)의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특정일시에 대량의 해충이 발생하는 등이 응급상황이 발생되었들 경우 등에 대한 대비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 서버중심방식은 사용자가 인터넷으로 연결된 서버(400)에 접속하여 주처리 장치에 저장된 자료를 직접 조회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상기 서버(400)는 단지 통신 매개체로서의 역할과 백업 매개체로서의 역할만 수행할 수 있다. 이경우에는 상기 주처리 장치(300)에 정보저장을 위한 별도의 메모리(376)를 구비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상기 주처리장치(300)와 상기 서버시스템(400)간의 통신방식은 CDMA기반의 무선통신방식과 TCP/IP 기반의 유선 또는 무선통신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잘 알려진 통신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CDMA기반의 무선통신방식은 도 3과 같이, 주처리 장치(300)와 서버(400) 각각에 CDMA 칩(모듈)을 장착하여 단문문자서비스(SMS)기반으로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상기 CDMA기반의 무선통신방식은 상기 주처리장치(300) 즉 IT 페로몬 트랩의 위치(이동성)에 대한 제약이 없으며, 주처리 장치의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TCP/IP 기반의 유선 또는 무선통신방식은 전화선 또는 다른 형태의 유선(동축케이블 등)으로 주처리장치(300)를 인터넷에 연결하여 주처리 장치(300)와 서버(400)를 서로 연결하거나,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기반으로 주처리 장치(300)와 서버(400)를 연결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TCP/IP 칩 또는 블루투스 칩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TCP/IP 기반의 유선 또는 무선통신방식은 이미 검증된 기술이므로 안정성이 높고 구현에 있어 기술적이 장벽이 낮으며, 통신의 신뢰성이 높아 자료에 대한 신뢰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주처리 장치(300)와 서버(400)간의 거리제약 및 구현비용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주처리장치(300)와 상기 서버시스템(400)간의 통신방식은 구현방식에 따라 서로 장단점이 존재하므로, 필요에 따라 그 통신방식을 다양하게 정할 수 있 다. 예를 들어 상기 주처리장치(300)의 이동성이 중요시되는 경우에는 상기 CDMA기반의 무선통신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통신의 신뢰성이 중요하고 거리제약이 문제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TCP/IP 기반의 유선 또는 무선통신방식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곤충 모니터링 시스템의 특성상 거리 제약이 문제될 것이므로, 상기 CDMA기반의 무선통신방식이 기본적으로 많이 이용될 것이라 판단된다.
도 5는 상기 IT페로몬 트랩의 전송신호와 실제 IT페로몬 트랩에 포획된 밀도의 일치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야외 사과 과수원에서 트랩에 포획된 밀도와 IT 트랩의 신호 사이에 일치성을 살펴보면, 복숭아순나방 실제 포획밀도와 IT 페로몬트랩에서 전송된 신호는 93% 이상의 일치도를 보였다.
도 6은 하루를 기준으로 시간에 따른 복숭아순나방의 포획밀도를 나타낸 그래프로, 복숭아순나방의 교미행동은 일일리듬성을 보여 저녁 무렵인 오후 4시에서 다음날 오전 1시까지의 포획리듬을 보임을 알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3은 실제 IT페로몬 트랩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구축된 데이터 베이스 자료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날짜별 포획수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해당 포획날짜의 포획 실시간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9 내지 도 11은 지역별, 및 날짜별 IT페로몬 트랩 신호에 따른 해충 발생현황을 나타낸 것이고, 도 12는 도 9 내지 도 11의 지역별 해충발생현황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3은 특정지역의 월별 해충발생현황을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적국 지역별 해충발생 정보의 상시수집이 가능하면서도, 인적자원고용이나 출장에 따른 비용이나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역/시기별 해충의 발생상황을 인터넷 접속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전국어디에서나 알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IT 페로몬트랩의 설치구조도이고,
도 2는 도 1의 IT페로몬 트랩의 개략적 구조도이고,
도 3는 도 1의 IT 페로몬트랩의 신호 관련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 및 동작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2 및 도 3의 IT 페로몬트랩을 이용한 IT 페로몬트랩을 이용한 곤충모니터링 시스템의 일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2 및 도 3의 IT페로몬 트랩의 전송신호와 실제 IT페로몬 트랩에 포획된 밀도의 일치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6은 하루를 기준으로 시간에 따른 복숭아순나방의 포획밀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 내지 도 13은 실제 IT페로몬 트랩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구축된 데이터 베이스 자료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센서부 120 : 외부환경센싱부
130 : 신호처리부 140 : 통신모듈

Claims (20)

  1. IT 페로몬트랩에 있어서:
    곤충을 유인하기 위한 성페로몬이 내장되며, 유인되는 곤충이 적재되는 곤충 적재함과;
    외부에서 상기 곤충적재함까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인통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인통로를 통하여 유인되거나 상기 곤충적재함에 적재된 곤충의 개체수 또는 곤충의 종류를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이미지 패턴인식기법을 이용하여 센싱하는 센서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인통로를 통하여 포획되어 상기 곤충적재함에 유입된 곤충이 외부로 탈출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탈출방지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IT페로몬트랩.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성페로몬은, 상기 IT페로몬 트랩 외부의 곤충을 상기 유인통로로 유인하기 위하여 상기 IT페로몬 트랩의 뚜껑인접부위에 배치되고, 상기 IT페로몬 트랩근처 또는 상기 유인통로까지 도달된 곤충을 상기 곤충적재함 안으로 유인하기 위하여 상기 곤충적재함 내에도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IT페로몬트랩.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IT페로몬트랩은, 상기 IT페로몬트랩의 하부에 외부의 습기 또는 강우에 의하여 상기 곤충적재함 내부로 주입된 습기 또는 물의 배출 및 통풍을 위한 통풍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IT페로몬트랩.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적외선을 발생하는 광원과;
    상기 유인통로에의 곤충 통과여부에 따른 이미지의 패턴 변화를 센싱하는 이미지센서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IT페로몬트랩.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적외선을 발생하는 광원과;
    상기 유인통로에의 곤충 통과여부에 따른 적외선 광량의 변화정도를 센싱하는 수광센서와;
    상기 곤충적재함의 적재된 곤충의 이미지 패턴을 일정주기단위로 획득하여, 상기 광원과 상기 수광센서를 이용하여 수행된 곤충 모니터링한 결과를 확인 및 수정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IT 페로몬트랩.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적외선을 발생하는 광원과;
    상기 곤충적재함에 포획된 곤충들의 이미지 패턴을 정해진 시간에 획득하기 위한 이미지센서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IT페로몬트랩.
  7.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엘이디(LED) 또는 엘디(LD)이며, 상기 이미지센서는 CMOS 이미지센서 또는 CCD 이미지센서임을 특징으로 하는 IT페로몬트랩.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성페로몬은 복숭아순나방을 유인하기 위한 성페로몬이며, 상기 성페로몬은 Z8-12:Ac, E8-12:Ac, Z8-12:OH이 각각 88.5: 5.7: 1.0(%)의 비율, 또는 95: 5: 1 (v/v)의 비율로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IT페로몬트랩.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IT 페로몬 트랩은, 곤충 유입여부 또는 곤충의 적재여부에 따라 상기 센서부에서 곤충의 센싱여부에 따라 변화되는 출력신호를 신호처리하여 곤충의 개체수 또는 곤충의 종류를 측정하는 신호처리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IT 페로몬트랩.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센서부의 출력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의 출력신호의 레벨 변화를 카운팅하여 곤충의 개체수를 계산하 며, 상기 센서부 및 상기 증폭부를 포함하여 상기 신호처리부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IT 페로몬트랩.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신호처리부 또는 상기 IT 페로몬트랩이 특정시간동안에만 동작되도록 컨트롤하는 동작시간 조절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IT 페로몬트랩.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IT 페로몬 트랩은,
    상기 IT 페로몬트랩이 설치된 외부 주위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외부 환경 센싱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IT 페로몬트랩.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외부 환경 센싱부는,
    외부 온도 센싱을 위한 온도센서와;
    외부 습도 센싱을 위한 습도센서와;
    외부 강우 유무를 센싱을 위한 강우센서(rain sensor)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IT 페로몬트랩.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IT 페로몬트랩은,
    상기 신호처리부를 통해 측정된 특정 곤충의 개체수 정보, 곤충의 종류 정보 또는 상기 외부 환경 센싱부를 통해 수집된 외부 주위 환경에 대한 외부환경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 전송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IT 페로몬트랩.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IT 페로몬트랩은,
    상기 IT 페로몬트랩에 태양전지 또는 교체용 건전지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IT 페로몬 트랩
  16. IT 페로몬트랩을 이용한 곤충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단일종 내에서의 교신물질인 성페로몬을 내장하여 특정 곤충을 유인하고, 유인된 곤충의 이미지센싱을 통한 이미지 패턴인식기법을 이용하여 곤충의 개체수 또는 곤충의 종류를 센싱하여 곤충 개체수 정보 또는 곤충의 종류정보를 일정시간단위로 유선 또는 무선전송하는 IT 페로몬트랩과;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IT 페로몬 트랩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곤충 개체수 정보 또는 곤충종류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서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모니터링 시스템.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IT 페로몬트랩과 상기 서버간의 통신은 CDMA 통신모듈을 이용한 CDMA 통신방식, TCP/IP 기반의 통신방식, 및 블루투스(Bluetooth) 통신방식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통신방식이 이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모니터링 시스템.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IT 페로몬트랩은, 상기 IT 페로몬 트랩이 설치된 외부 주위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강우센서를 포함하는 외부 환경 센서들을 더 구비하며, 상기 외부환경센서들을 통해 수집된 외부환경정보는 상기 서버에 전송되어 분석을 통하여 상기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모니터링 시스템.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IT 페로몬트랩을 통하여 수집된 곤충개체수 정보를 통하여 상기 특정곤충의 변동을 시계열적으로 파악하고 예측하여 방제시기를 결정하고, 상기 특정곤충의 방제시기를 알려줌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모니터링 시스템.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IT 페로몬트랩을 통하여 수집된 곤충개체수 정보 및 외부환경정보를 미리 정해진 특정 웹사이트에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모니터링 시스템.
KR1020080113211A 2008-11-14 2008-11-14 아이티 페로몬트랩 및 이를 이용한 무인 모니터링 시스템 KR201000543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211A KR20100054331A (ko) 2008-11-14 2008-11-14 아이티 페로몬트랩 및 이를 이용한 무인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211A KR20100054331A (ko) 2008-11-14 2008-11-14 아이티 페로몬트랩 및 이를 이용한 무인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4331A true KR20100054331A (ko) 2010-05-25

Family

ID=42279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3211A KR20100054331A (ko) 2008-11-14 2008-11-14 아이티 페로몬트랩 및 이를 이용한 무인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4331A (ko)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870Y1 (ko) * 2011-08-03 2012-01-06 정동석 엘이디등을 이용한 해충유인 트랩장치
KR101229487B1 (ko) * 2010-09-13 2013-02-04 바이오트랩 주식회사 해충계수기능과 박멸기능을 갖춘 해충발생감시장치
CN103734113A (zh) * 2012-09-14 2014-04-23 伍德斯特里姆公司 支持Wi-Fi的昆虫诱捕装置
CN103798205A (zh) * 2013-12-13 2014-05-21 山西春光太阳能采暖有限公司 一种3g实时监测捕杀农作物病虫害的灯塔
CN104365569A (zh) * 2014-11-12 2015-02-25 山东大学 一种基于反射式光纤传感器的自动灭蝇装置
US20170273291A1 (en) * 2014-12-12 2017-09-28 E-Tnd Co., Ltd. Insect capturing device having imaging function for harmful insect information management
WO2018101697A1 (ko) * 2016-12-02 2018-06-07 서울바이오시스주식회사 포충기
CN108925524A (zh) * 2018-07-03 2018-12-04 华南农业大学 一种基于压电传感器的害虫自动计数装置
KR20190096118A (ko) * 2018-02-08 2019-08-19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해충 탐지 장치
CN110235873A (zh) * 2019-06-26 2019-09-17 北京农业智能装备技术研究中心 一种农林有害昆虫虫情自动监测预报系统
CN111543393A (zh) * 2020-04-27 2020-08-18 江门海关技术中心 一种昆虫鉴定系统及方法
GR20190100171A (el) * 2019-04-18 2020-11-16 Παναγιωτης Ηλια Παπαδοπουλος Μεθοδος συγκροτησης εντομο-καταγραφικων συστηματων για την ανιχνευση των πληθυσμιακων χαρακτηριστικων των εντομων και μεθοδος μεταφορας πληροφοριων απο εντομο-καταγραφικα
KR20210066492A (ko) * 2019-11-28 2021-06-07 이동하 복숭아유리나방 포획 장치
KR20210100487A (ko) * 2020-02-06 2021-08-1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계사 내 진드기 포획장치 저전력 제어시스템
US20210259230A1 (en) * 2018-11-08 2021-08-26 Joelcio COSME CARVALHO ERVILHA Adapter for automation of detection devices, remote, automatic and uninterrupted counting of target pests and lepidopteran perimeter controller
KR20210147225A (ko) * 2020-05-28 2021-12-07 주식회사 세스코 감지 센서 조절 장치
US20210400943A1 (en) * 2020-06-25 2021-12-30 Satish Cherukumalli Mosquito Identification Classification Trap and Method to Use
US11304414B2 (en) * 2019-11-27 2022-04-19 Quanta Computer Inc. Insect-trapping device and its counting method
CN115005172A (zh) * 2022-05-31 2022-09-06 新乡市天意新能源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智慧农业植保防控系统

Cited B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487B1 (ko) * 2010-09-13 2013-02-04 바이오트랩 주식회사 해충계수기능과 박멸기능을 갖춘 해충발생감시장치
KR200457870Y1 (ko) * 2011-08-03 2012-01-06 정동석 엘이디등을 이용한 해충유인 트랩장치
CN103734113A (zh) * 2012-09-14 2014-04-23 伍德斯特里姆公司 支持Wi-Fi的昆虫诱捕装置
CN103798205A (zh) * 2013-12-13 2014-05-21 山西春光太阳能采暖有限公司 一种3g实时监测捕杀农作物病虫害的灯塔
CN103798205B (zh) * 2013-12-13 2016-01-13 山西春光太阳能采暖有限公司 一种3g实时监测捕杀农作物病虫害的灯塔
CN104365569A (zh) * 2014-11-12 2015-02-25 山东大学 一种基于反射式光纤传感器的自动灭蝇装置
US20170273291A1 (en) * 2014-12-12 2017-09-28 E-Tnd Co., Ltd. Insect capturing device having imaging function for harmful insect information management
WO2018101697A1 (ko) * 2016-12-02 2018-06-07 서울바이오시스주식회사 포충기
KR20190096118A (ko) * 2018-02-08 2019-08-19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해충 탐지 장치
CN108925524A (zh) * 2018-07-03 2018-12-04 华南农业大学 一种基于压电传感器的害虫自动计数装置
US20210259230A1 (en) * 2018-11-08 2021-08-26 Joelcio COSME CARVALHO ERVILHA Adapter for automation of detection devices, remote, automatic and uninterrupted counting of target pests and lepidopteran perimeter controller
GR20190100171A (el) * 2019-04-18 2020-11-16 Παναγιωτης Ηλια Παπαδοπουλος Μεθοδος συγκροτησης εντομο-καταγραφικων συστηματων για την ανιχνευση των πληθυσμιακων χαρακτηριστικων των εντομων και μεθοδος μεταφορας πληροφοριων απο εντομο-καταγραφικα
GR1009999B (el) * 2019-04-18 2021-05-12 Παναγιωτης Ηλια Παπαδοπουλος Μεθοδος συγκροτησης εντομο-καταγραφικων συστηματων για την ανιχνευση των πληθυσμιακων χαρακτηριστικων των εντομων και μεθοδος μεταφορας πληροφοριων απο εντομο-καταγραφικα
CN110235873A (zh) * 2019-06-26 2019-09-17 北京农业智能装备技术研究中心 一种农林有害昆虫虫情自动监测预报系统
CN110235873B (zh) * 2019-06-26 2021-11-26 北京农业智能装备技术研究中心 一种农林有害昆虫虫情自动监测预报系统
US11304414B2 (en) * 2019-11-27 2022-04-19 Quanta Computer Inc. Insect-trapping device and its counting method
KR20210066492A (ko) * 2019-11-28 2021-06-07 이동하 복숭아유리나방 포획 장치
KR20210100487A (ko) * 2020-02-06 2021-08-1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계사 내 진드기 포획장치 저전력 제어시스템
CN111543393A (zh) * 2020-04-27 2020-08-18 江门海关技术中心 一种昆虫鉴定系统及方法
CN111543393B (zh) * 2020-04-27 2021-12-10 江门海关技术中心 一种昆虫鉴定系统及方法
KR20210147225A (ko) * 2020-05-28 2021-12-07 주식회사 세스코 감지 센서 조절 장치
US20210400943A1 (en) * 2020-06-25 2021-12-30 Satish Cherukumalli Mosquito Identification Classification Trap and Method to Use
US11490609B2 (en) * 2020-06-25 2022-11-08 Satish K. CHerukumalli Mosquito identification classification trap and method to use
CN115005172A (zh) * 2022-05-31 2022-09-06 新乡市天意新能源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智慧农业植保防控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54331A (ko) 아이티 페로몬트랩 및 이를 이용한 무인 모니터링 시스템
US69371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pacitively sensing pests
JP4862117B2 (ja) フィールドサーバを利用した電撃パルス計測システム
CN103281896B (zh) 虫口的自动监测
US11160263B2 (en) Detecting the presence of pests using networked systems
US20140283435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d eliminating pests
CN109919796B (zh) 虫情测报系统
KR20090043788A (ko) 아이티 페로몬트랩 및 이를 이용한 곤충 모니터링 시스템
KR20080098276A (ko) 포충등의 인터렉티브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AU2013203436B2 (en) Automatic monitoring of insect populations
KR100982563B1 (ko) 페로몬트랩 기반의 복숭아순나방 발생변화 무인 모니터링 시스템
KR100877552B1 (ko) 자동 감김 장치의 인터렉티브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WO2020082175A1 (en) Self-powere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remote detection of biological infestation
JP2001061396A (ja) 害虫検知装置
JP2022127613A (ja) 害虫モニタリング装置
RO132959A0 (ro) Dispozitiv iot () multifuncţional pentru supravegherea culturilor, utilizând inteligenţa adaptivă
KR20240036746A (ko) 곤충 페로몬을 이용한 스마트뷰 예찰시스템
Hirafuji et al. Real-time insect monitoring system by using Field Server
WO2023129030A2 (en) Precision agriculture kit
TWM373116U (en) Trapping and counting system for prsts
CN112741057A (zh) 昆虫的诱捕系统、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Hardwick et al. Can pest management and biosecurity benefit from the surveillance and security indust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