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7225A - 감지 센서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감지 센서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7225A
KR20210147225A KR1020200064122A KR20200064122A KR20210147225A KR 20210147225 A KR20210147225 A KR 20210147225A KR 1020200064122 A KR1020200064122 A KR 1020200064122A KR 20200064122 A KR20200064122 A KR 20200064122A KR 20210147225 A KR20210147225 A KR 20210147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sensor
pest
pests
unit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4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4530B1 (ko
Inventor
전찬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스코
Priority to KR1020200064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4530B1/ko
Publication of KR20210147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7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4Electric circ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4Attracting insects by using illumination or colou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4Electric circuits
    • G01J2001/4406Plural ranges in circuit, e.g. switchable ranges; Adjusting sensitivity selecting gain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4Electric circuits
    • G01J2001/4446Type of detector
    • G01J2001/446Photodiod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감지 센서 조절 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실시예에 따른 감지 센서 조절 장치는 해충 감지 센서에서 감지한 해충관련 정보와 환경 감지 센서에서 감지한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제어부는 해충에 관한 사항을 분석하여 해충 감지 센서의 동작을 조절함으로써, 감지 센서는 효율적으로 전력을 사용하고 보다 정밀하게 해충을 감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감지 센서 조절 장치{ADJUSTMENT DEVICE OF SENSOR}
아래의 설명은 감지 센서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계절 및 기후날씨와 같은 환경적 요인에 따라 해충은 빈번히 나타난다. 해충이란 일반적으로 인간의 생활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해를 주는 곤충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모기, 빈대, 이 및 파리와 같은 위생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는 벌레와, 독나방 등과 같이 독으로 인해 직접적으로 인체에 피해를 주는 벌레가 해충에 해당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충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해충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거나, 발생 예측에 대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 기술로 해충을 감지하고 포획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다만, 해충을 감지하고 포획하는 기술에 있어서 해충 감지에 대한 정확도를 높이고 감지 장치의 효율적인 운용은 개선해야할 과제 중에 하나였다. 감지 장치의 효율적인 운용을 위해, 감지 장치가 공급되는 전력을 상황에 따라 사용량을 조절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고려해볼 수 있다.
또한, 해충 감지에 대한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해충에 관한 정보를 파악하여 각 해충 정보에 대한 적절한 감지 방식을 선택하여 해충을 감지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충의 크기, 해충의 종류 및 해충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시간대 등과 같은 해충과 관련된 정보를 복수의 감지 장치를 통해 파악하여 가장 적절한 솔루션을 판단하고 제공하는 방식으로 해충 감지에 대한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등록특허공보 제10-0696989호는 해충퇴치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해충퇴치장치는 설치공간에 분사되는 혼합액의 정량조절 및 분사시간, 분사회수 등의 시간 조절을 통해, 지속적이고 무인관리가 가능하고 설치공간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실시예에 따른 감지 센서 조절 장치의 목적은, 본체의 출입구 내측에 형성되어 해충의 동정을 감지하는 해충 감지 센서와 본체 외측에 위치하여 주변 환경의 변화를 감지하는 환경 감지 센서를 통해 해충과 관련된 정보를 다방면으로 감지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감지 센서 조절 장치의 목적은, 복수의 감지 센서가 감지한 해충과 관련된 정보를 토대로, 분석부 및 조절부를 포함한 제어부의 감지센서에 대한 제어를 통해 즉각적으로 감지센서의 동작이 조절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감지 센서 조절 장치는 외관을 형성하고, 해충이 유입되는 출입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출입구의 내측에 형성되고, 적외선을 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한 적외선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통해 해충의 동정을 감지하는 해충 감지 센서, 상기 본체의 외측에 위치하여 주변 환경의 변화를 감지하는 환경 감지 센서 및 상기 해충 감지 센서에서 감지한 해충 정보와 상기 환경 감지 센서에서 감지한 환경정보를 토대로, 상기 해충 감지 센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충 감지 센서는 상기 출입구 내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기 출입구 내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해충 감지 센서는 해충을 감지한 신호를 시간에 따른 디지털 신호로 세분화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충 감지 센서와, 상기 환경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 정보를 수신하고 관리자로부터 상기 해충 감지 센서의 동작에 관한 기준이 되는 설정값을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받은 감지 정보 및 설정값을 기초로 해충에 관한 사항을 분석하는 분석부 및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한 사항을 토대로 상기 해충 감지 센서의 작동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상기 해충 감지 센서 및 상기 환경 감지 센서가 감지한 감지 정보를 변환한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관리자로부터 상기 해충 감지 센서의 동작 기준과 관련된 설정값을 입력 받는 관리자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석부는 해충의 크기, 해충의 종류, 해충의 유입시간, 해충 발생의 정도 및 해충 동정 예측과 같은 해충에 관한 사항을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분석부가 분석한 해충에 관한 사항을 토대로 상기 해충 감지 센서의 발광 각도, 발광 세기 및 감도를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감지 센서 조절 장치는 빛을 조사하는 방식과 열을 발생하는 방식 중에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상기 본체 내부로 해충을 유인하는 유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감지 센서 조절 장치는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된 해충을 포획하는 포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경 감지 센서는 태양광의 조사량, 주변 온도 및 주변 습도와 같은 해충 발생과 관련된 주변 환경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감지 센서 조절 장치에 따르면, 본체의 출입구 내측에 형성되어 해충의 동정을 감지하는 해충 감지 센서와 본체 외측에 위치하여 주변 환경의 변화를 감지하는 환경 감지 센서를 통해 해충 발생과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분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감지 센서 조절 장치에 따르면, 복수의 감지 센서가 감지한 해충과 관련된 정보를 토대로, 분석부 및 조절부를 포함한 제어부의 감지센서에 대한 제어를 통해, 감지센서의 감지 세기 및 감도가 조절되어 감지센서의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감지 센서 조절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감지 센서 조절 장치의 내부 측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감지 센서 조절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감지 센서 조절 장치(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감지 센서 조절 장치(1)의 내부 측면도이고,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감지 센서 조절 장치(1)의 블록도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3)의 블록도이다.
도 1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감지 센서 조절 장치(1)는 복수의 감지 센서를 통해 해충의 동정에 관한 정보 및 해충과 관련된 주변 환경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 센서 조절 장치(1)는 감지한 해충과 관련된 정보를 분석하고 판단하여 감지 센서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 센서 조절 장치(1)는 해충과 관련된 정보를 바탕으로, 감지 센서의 감지 세기, 감지 감도 및 감지 방식과 같은 작동에 관련된 사항을 결정하고 제어신호를 보낼 수 있다. 감지 센서 조절 장치(1)는 본체(10), 해충 감지 센서(11), 환경 감지 센서(12), 제어부(13), 유인부(14) 및 포획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감지 센서 조절 장치(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10)는 실내공간 내부 벽면에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0)는 실내공간 내부에서도 지면과 일정거리 이격된 벽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부착위치에 의하면, 해충 감지 센서(11)는 해충을 보다 직접적이고 효율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본체(10)는 해충이 유입되는 출입구(1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는 본체(10)의 외면에 관통형성되는 출입구(100)를 포함할 수 있다. 출입구(100)를 통해, 본체(10)의 외부공간과 내부공간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출입구(100)를 통해 해충은 본체(10)의 외부공간에서 본체(10)의 내부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해충 감지 센서(11)는 출입구(100)의 내측에 형성되어 해충의 동정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충 감지 센서(11)는 출입구(100) 내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출입구(100) 내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해충 감지 센서(11)는 출입구(100) 내면을 따라 일정한 감지영역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해충 감지 센서(11)는 면감지센서일 수 있다. 해충 감지 센서(11)는 출입구(100)로 들어오는 해충을 일정 구역별로 감지할 수 있다.
해충 감지 센서(11)는 적외선을 발광하는 발광부 및 발광부에서 발광한 적외선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는 적외선 빛을 발생시키는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수광부는 발광부에서 발생한 적외선이 물체에 반사되어 수광되는 적외선 양을 감지할 수 있다. 해충 감지 센서(11)는 수광되는 적외선 양에 따라 물체의 움직임, 물체의 크기 및 물체의 이동시간 등을 파악할 수 있다.
해충 감지 센서(11)는 해충을 감지한 신호를 시간에 따른 디지털 신호로 세분화하여 제어부(13)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충 감지 센서(11)는 일정한 시간 간격마다 해충을 감지한 정보를 각 일정 시간 간격에 대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해충 감지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3)로 전달할 수 있다. 일정한 시간 간격은 관리자의 설정에 따라, 상황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해충 감지 센서(11)가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해충 감지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제어부(13)는 해충에 관한 정보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환경 감지 센서(12)는 본체(10)의 외측에 위치하여 주변 환경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경 감지 센서(12)는 해충 발생과 밀접한 주변 환경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환경 감지 센서(12)는 태양광의 조사량, 주변 온도 및 주변 습도를 측정 및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3)는 해충 감지 센서(11)에서 감지한 해충 정보와 환경 감지 센서(12)에서 감지한 환경정보를 토대로 해충 감지 센서(1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는 해충 감지 센서(11) 및 환경 감지 센서(12)에서 감지한 정보를 통해, 해충 감지 센서(11)가 발광하는 적외선의 세기와 해충 감지 센서(11)의 감지 감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는 해충 감지 센서(11)의 발광각도 및 수광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해충 감지 센서(11)가 감지한 해충이 미세한 크기의 해충이라고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3)는 해충 감지 센서(11)의 감지 감도를 높임으로써, 감지 센서 조절 장치(1)는 감지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제어부(13)는 입력부(130), 분석부(131) 및 조절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해충 감지 센서(11)와 환경 감지 센서(12)로부터 감지 정보를 수신하고 관리자로부터 해충 감지 센서(11)의 동작에 관한 기준이 되는 설정값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입력부(130)는 수신부(1300) 및 관리자 입력부(1301)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1300)는 해충 감지 센서(11) 및 환경 감지 센서(12)가 감지한 정보를 변환한 디지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1300)는 수신한 디지털 신호를 해충이 발생한 상황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자료로 분석부(131)에 제공할 수 있다.
관리자 입력부(1301)는 관리자로부터 해충 감지 센서(11)의 동작 기준과 관련된 설정값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 입력부(1301)는 발광 세기, 감지 감도, 발광 각도, 발광 범위 및 감지 시간대 등과 같은 해충 감지 센서(11)의 동작과 관련된 설정값을 입력 받을 수 있다. 관리자 입력부(1301)가 입력 받은 설정값을 기준으로, 분석부(131)는 해충 발생 상황을 설정값과 비교하여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상황을 분석할 수 있다.
관리자 입력부(1301)는 관리자가 직접 입력하는 버튼을 구비한 컨트롤 패널(16)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 패널(16)은 본체(10) 외면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컨트롤패널(16)의 위치는 도면과 같이 본체(10) 외면의 특정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컨트롤 패널(16)은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은 설정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분석부(131)는 입력부(130)에서 입력받은 감지 정보 및 설정값을 기초로 해충에 관한 사항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부(131)는 해충의 크기, 해충의 종류, 해충의 유입시간, 해충 발생의 정도 및 해충 동정 예측과 같은 해충에 관한 사항을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석부(131)는 해충 감지 센서(11)의 구간별 및 시간별 해충 감지 정보에 따라 해충의 크기 및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분석부(131)는 시간대 및 주변환경정보에 따른 해충 감지 정보에 따라 해충이 주로 발생하는 시기 및 환경을 판단할 수 있다. 분석부(131)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해충 감지 센서(11)가 감지한 해충 정보를 축적 및 저장할 수 있다.
조절부(132)는 분석부(131)에서 분석한 사항을 토대로 해충 감지 센서(11)의 작동을 조절하는 조절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부(132)는 분석부(131)가 분석한 해충에 관한 사항을 토대로 해충 감지 센서(11)의 발광 각도, 발광 세기 및 감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부(131)에서 감지된 해충이 보다 미세한 크기의 해충이라고 판단한 경우, 조절부(132)는 해충을 보다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해충 감지 센서(11)의 감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분석부(131)가 환경 감지 센서(12)에 의한 주변환경 정보를 토대로 주변 환경이 태양광이 적고 흐린 날씨라고 판단한 경우, 조절부(132)는 해충 감지 센서(11)의 발광세기를 낮출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해충 정보와 주변 환경 정보를 토대로 감지 센서 조절 장치(1)는 해충 감지 센서(11)가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조절하여, 전력 낭비를 방지하고 보다 정밀한 해충 감지를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유인부(14)는 본체(10) 내부로 해충을 유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인부(14)는 본체(10)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유인부(14)는 해충이 선호하는 파장대의 빛을 발광하는 형광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인부(14)는 열을 발생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유인부(14)에 의해 해충은 출입구(100)를 거쳐 본체(10) 내부로 유인될 수 있다.
포획부(15)는 본체(10) 내부에 위치하여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해충을 포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획부(15)는 끈끈이 및 흡입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포획부(15)가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해충을 포획함으로써, 출입구(100)로 한번 들어온 해충은 다시 본체(10) 외부로 나갈 수 없어, 해충 감지 센서(11)가 보다 정확하게 해충의 이동과 양을 감지하여, 분석부(131)는 보다 정확하게 해충에 관한 사항을 분석할 수 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포획부(15)에서 포획한 해충량이 늘어나면서 포획부(15)는 주기적으로 교체가 필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 감지 센서 조절 장치
10: 본체
11: 해충 감지 센서
12: 환경 감지 센서
13: 제어부
14: 유인부
15: 포획부
16: 컨트롤패널
100: 출입구
130: 입력부
131: 분석부
132: 조절부
1300: 수신부
1301: 관리자 입력부

Claims (10)

  1. 외관을 형성하고, 해충이 유입되는 출입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출입구의 내측에 형성되고, 적외선을 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한 적외선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통해 해충의 동정을 감지하는 해충 감지 센서;
    상기 본체의 외측에 위치하여 주변 환경의 변화를 감지하는 환경 감지 센서; 및
    상기 해충 감지 센서에서 감지한 해충 정보와 상기 환경 감지 센서에서 감지한 환경정보를 토대로, 상기 해충 감지 센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감지 센서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 감지 센서는,
    상기 출입구 내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기 출입구 내면을 따라 형성되는, 감지 센서 조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 감지 센서는,
    해충을 감지한 신호를 시간에 따른 디지털 신호로 세분화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감지 센서 조절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충 감지 센서와, 상기 환경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 정보를 수신하고 관리자로부터 상기 해충 감지 센서의 동작에 관한 기준이 되는 설정값을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받은 감지 정보 및 설정값을 기초로 해충에 관한 사항을 분석하는 분석부; 및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한 사항을 토대로 상기 해충 감지 센서의 작동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감지 센서 조절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해충 감지 센서 및 상기 환경 감지 센서가 감지한 감지 정보를 변환한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관리자로부터 상기 해충 감지 센서의 동작 기준과 관련된 설정값을 입력 받는 관리자 입력부를 포함하는, 감지 센서 조절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해충의 크기, 해충의 종류, 해충의 유입시간, 해충 발생의 정도 및 해충 동정 예측과 같은 해충에 관한 사항을 분석하는, 감지 센서 조절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분석부가 분석한 해충에 관한 사항을 토대로 상기 해충 감지 센서의 발광 각도, 발광 세기 및 감도를 조절하는, 감지 센서 조절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빛을 조사하는 방식과 열을 발생하는 방식 중에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상기 본체 내부로 해충을 유인하는 유인부를 더 포함하는, 감지 센서 조절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된 해충을 포획하는 포획부를 더 포함하는, 감지 센서 조절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감지 센서는,
    태양광의 조사량, 주변 온도 및 주변 습도와 같은 해충 발생과 관련된 주변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 조절 장치.

KR1020200064122A 2020-05-28 2020-05-28 감지 센서 조절 장치 KR102354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122A KR102354530B1 (ko) 2020-05-28 2020-05-28 감지 센서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122A KR102354530B1 (ko) 2020-05-28 2020-05-28 감지 센서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7225A true KR20210147225A (ko) 2021-12-07
KR102354530B1 KR102354530B1 (ko) 2022-01-25

Family

ID=78868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4122A KR102354530B1 (ko) 2020-05-28 2020-05-28 감지 센서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453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9046A (ko) * 2007-07-19 2009-01-22 주식회사 세스코 감지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해충 포획장치
JP2009014339A (ja) * 2008-09-25 2009-01-22 Mitsubishi Electric Corp 浴室用暖房機
KR20100054331A (ko) * 2008-11-14 2010-05-25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아이티 페로몬트랩 및 이를 이용한 무인 모니터링 시스템
KR20100137759A (ko) * 2009-06-23 2010-12-31 주식회사 세스코 면감지 센서 및 해충 포획장치
KR20180051886A (ko) * 2016-11-09 2018-05-1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해충 모니터링을 위한 트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9046A (ko) * 2007-07-19 2009-01-22 주식회사 세스코 감지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해충 포획장치
JP2009014339A (ja) * 2008-09-25 2009-01-22 Mitsubishi Electric Corp 浴室用暖房機
KR20100054331A (ko) * 2008-11-14 2010-05-25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아이티 페로몬트랩 및 이를 이용한 무인 모니터링 시스템
KR20100137759A (ko) * 2009-06-23 2010-12-31 주식회사 세스코 면감지 센서 및 해충 포획장치
KR20180051886A (ko) * 2016-11-09 2018-05-1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해충 모니터링을 위한 트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4530B1 (ko) 202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726986B (zh) 系统与方法
US11039607B2 (en) Machine for capturing, counting and monitoring insects
EP3579694B1 (en) Remote monitoring of live catch rodent traps
US7071829B2 (en) Light extinction based non-destructive flying insect detector
US7020996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ly detecting trapped insects
US7656300B2 (en) Pest control system
US11417197B2 (en) Pest control system having event monitoring
MX2007011648A (es) Sistema y metodo para deteccion de pestes.
CA3113311A1 (en) Detection of arthropods
CA24769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pest trap report generation and for recording additional trap parameter data
KR101099946B1 (ko) 면감지 센서 및 해충 포획장치
KR102354530B1 (ko) 감지 센서 조절 장치
KR100895485B1 (ko) 감지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해충 포획장치
KR20210064979A (ko) 유해 조류 및 야생 동물 퇴치장치
KR20160028296A (ko) 해충 포획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220206180A1 (en) A device for determining bedbug activity and a method for detection of bedbugs
KR101957445B1 (ko) 해충 포획장치
KR102414803B1 (ko) 해충 감지 시스템
US20240090490A1 (en) Smart insect collection device
KR20210147230A (ko) 해충 포획 장치
KR102531690B1 (ko) Oled 및 빅데이터와 파장을 기반으로 하는 겹눈해충 퇴치시스템
WO202322259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ins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