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9123B1 - Uv-led 램프를 이용한 해충퇴치장치 - Google Patents

Uv-led 램프를 이용한 해충퇴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9123B1
KR101649123B1 KR1020140136976A KR20140136976A KR101649123B1 KR 101649123 B1 KR101649123 B1 KR 101649123B1 KR 1020140136976 A KR1020140136976 A KR 1020140136976A KR 20140136976 A KR20140136976 A KR 20140136976A KR 101649123 B1 KR101649123 B1 KR 101649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unit
collecting
led
lam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6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2705A (ko
Inventor
홍정화
Original Assignee
바이오트랩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트랩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이오트랩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6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123B1/ko
Publication of KR20160042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2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1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light sources, e.g. lasers or flashing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UV-LED 램프를 이용한 해충퇴치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UV-LED 램프를 이용한 해충퇴치장치는: 본체와, 본체에 구비되어 해충을 유인하도록 자외선을 방출하는 램프부와, 본체에 구비되고, 램프부에 의해 유인된 해충을 포집하는 포집부 및 램프부와 포집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UV-LED 램프를 이용한 해충퇴치장치{APPARATUS FOR EXPELLING HARMFUL INSECT USING UV-LED LAMP}
본 발명은 UV-LED 램프를 이용한 해충퇴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파장대를 갖는 UV-LED에 의해 해충의 퇴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UV-LED 램프를 이용한 해충퇴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기는 사람이나 동물의 피를 빨아 영양분을 섭취하는 해충으로, 사람에게 유해한 병균을 동물로부터 옮길 수 있는 등, 경우에 따라서는 매우 위험한 해충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모기는 숙주 동물의 체취, 숙주 동물로부터 발생하는 열기 및 이산화탄소 등에 유인되는 습성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모기를 퇴치하는 방법으로는, 모기향 등을 사용하는 화학적 방제법, 미꾸라지 등을 이용하는 생물학적 방제법, 유문등 및 이산화탄소 등으로 모기를 유인한 다음 고전압 등을 인가하여 모기를 퇴치시키는 물리적 방제법, 및 물웅덩이를 없애거나 모기유충이 살 수 없도록 주위환경을 개선하는 환경적 방제법 등이 있다. 가정용 또는 휴대용 모기퇴치기의 경우에는 모기향 또는 모기 살충성분을 분사하는 스프레이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37811호 (2013.04.17, 고안의 명칭 : 해충퇴치장치) 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파장대를 갖는 UV-LED가 구비된 램프부에 의해 해충의 유인효과가 증대되어 해충 퇴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UV-LED 램프를 이용한 해충퇴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균일한 특정 파장대역의 자외선 방사가 가능하고, 소비전력을 감소시키며, 램프 수명연장에 의해 제품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UV-LED 램프를 이용한 해충퇴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UV-LED 램프를 이용한 해충퇴치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해충을 유인하도록 자외선을 방출하는 램프부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램프부에 의해 유인된 해충을 포집하는 포집부 및 상기 램프부와 상기 포집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램프부에서 발광되는 자외선이 외부로 방출되고, 해충이 유입되는 유입홀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광촉매코팅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램프부는 상기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바타입의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의 양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실장되는 UV-LE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UV-LED의 자외선 조사방향은 상기 유입홀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UV-LED의 파장은 352nm ~ 395nm로 피크파장은 365n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집부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전원부의 전원 인가에 의해 회전되는 흡입팬 및 상기 흡입팬에 의해 흡입된 해충이 포집되는 포집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상기 흡입팬의 흡입력을 배가하고, 흡입되는 해충을 안내하는 안내덕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덕트에는 상기 포집망부에 포집된 해충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UV-LED 램프를 이용한 해충퇴치장치는 특정 파장대를 갖는 UV-LED가 구비된 램프부에 의해 해충의 유인효과가 증대되어 해충 퇴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UV-LED의 특정파장대와 더불어 광화학반응에 의해 해충의 유인효과를 증대할 수 있으며, 광화학반응에 의해 주변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또한, 기존 형광자외선 램프의 경우 사용 100시간 이후 자외선 방출량이 급격히 저하되지만, 본 발명은 UV-LED가 적용됨으로써, 사용시간에 영향없이 균일한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고,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수명이 연장되어 제품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기존 형광자외선램프와 달리 램프부의 폐기시에도 수은 등과 같은 유해물질 방출이 없으므로 친환경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내로 유입된 해충을 포집망부로 안내하고, 흡입팬의 흡입력을 배가하는 안내덕트에 의해 해충이 포집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V-LED 램프를 이용한 해충퇴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V-LED 램프를 이용한 해충퇴치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V-LED 램프를 이용한 해충퇴치장치의 램프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V-LED 램프를 이용한 해충퇴치장치의 램프부의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V-LED 램프를 이용한 해충퇴치장치의 UV-LED의 파장이 갖는 성능을 보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V-LED 램프를 이용한 해충퇴치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UV-LED 램프를 이용한 해충퇴치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V-LED 램프를 이용한 해충퇴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V-LED 램프를 이용한 해충퇴치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V-LED 램프를 이용한 해충퇴치장치의 램프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V-LED 램프를 이용한 해충퇴치장치의 램프부의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V-LED 램프를 이용한 해충퇴치장치의 UV-LED의 파장이 갖는 성능을 보인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V-LED 램프를 이용한 해충퇴치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V-LED 램프를 이용한 해충퇴치장치(100)는 본체(110), 램프부(130), 포집부(150) 및 전원부(17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본체(110)의 내부에는 램프부(130)에서 발광되는 자외선이 외부로 방출되고, 해충이 유입되는 유입홀(112)을 형성된다.
그리고, 램프부(130)는 본체(110)에 구비되어 해충을 유입하도록 자외선을 방출하여 해충을 유인한다. 램프부(130)는 본체(110)의 내측 상면에 구비되며, UV-LED(132)를 포함한다. 즉, 도 2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전원부(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바타입의 회로기판(131)을 포함하고, 회로기판(131)의 양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UV-LED(132)가 실장되어 구성된다. 이때, 램프부(130)는 UV-LED(132)를 보호하는 투명재질의 보호캡(134)이 구비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램프부(130)는 본체(110)의 내측 상부 중앙에 2열로 구성되며, 각 외측에 UV-LED(132)가 실장되어 개구홀측으로 자외선을 조사한다. 또한, 램프부(130)의 변형예로서, 도 4를 참조하면, 램프부(130)는 본체(110)의 내측 상부 중앙에 1열로 구성되며, 양측면에 UV-LED(132)가 실장되어 유입홀(112)측으로 자외선을 조사할 수도 있다.
UV-LED(132)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의 파장대역은 352nm ~ 395nm 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파장대역은 해충이 반응하는 파장대로 해충을 유입홀(112)을 통해 본체(110)의 내부로 유입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UV-LED(132)는 365nm을 피크파장으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도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365nm 파장대에서 모기의 유인성능이 극대화됨을 알 수 있다. 즉, 365nm의 파장을 갖는 UV-LED(132)에 의해 기존의 형광자외선램프에 비해 약 2.1배 ~ 2.4배 유인효과가 있는 것을 그래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10)의 상부에는 램프부(13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는 방열부(140)가 구비된다. 방열부(140)는 램프부(130)와 면접촉되고,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램프부(130)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열시킬 수 있다. 이때, 본체(110)의 상부에는 외부공기가 방열부(140)로 유입되도록 복수개의 통기공(115)이 형성된다.
본체(110)의 내부에는 광촉매코팅층(120)이 구비된다. 이러한 광촉매코팅층(120)은 본체(110)의 내면에 코팅되어 구성된다. 또한, UV-LED(132)를 보호하는 보호캡(134)에 코팅될 수도 있다.
이러한 광촉매코팅층(120)은 TiO₂코팅층으로 이루어지며, 광촉매코팅층(120)에 램프부(130)의 자외선이 조사되게 되면, 광촉매코팅층(120)으로부터 수산화라디칼(OH-)이 생성되는 광화학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광화학반응으로 생성된 수산화라디칼의 강력한 산화력에 의하여 본체(110)의 주변의 먼지, 기름 및 유기화합물은 산화되어 H₂O와 CO₂로 분해되게 되며, 공기중에 부유하는 병원균 역시 살균되게 되고, 수산화라디칼이 유기화합물을 산화시킬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는 모기들을 본체(110)의 내부로 유인하는 매개체로 작용한다. 또한, 자외선에 의한 광촉매의 광화학반응은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광촉매물질로서는 TiO₂ 외에도 산화지르코늄(ZrO₂), 산화아연(ZnO₂), 산화주석(SnO₂), 산화세륨(CeO₂), 산화텅스텐(WO₂), 산화철(FeO₃)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포집부(150)는 본체(110)에 구비되어 램프부(130)에 의해 유인된 해충을 포집한다. 이러한 포집부(150)는 본체(110)에 구비되고, 전원부(170)에 전원 인가에 의해 회전되는 흡입팬(152) 및 흡입팬(152)에 의해 흡입된 해충이 포집되는 포집망부(154)를 포함한다. 포집망부(154)는 본체(110)로부터 착탈 가능하다. 즉, 포집망부(154)는 본체(110)의 하부에 나사 결합되어 착탈 가능한 구조를 지녀 청소가 용이하다.
포집망부(154)의 바닥면에는 해충을 포집할 수 있는 끈끈이(155)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체(110)에는 흡입팬(152)의 흡입력을 배가하고, 흡입되는 해충을 안내하는 안내덕트(160)가 구비된다. 안내덕트(160)는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흡입팬(152)은 안내덕트(160)내에 구비된다. 이로 인해 흡입팬(152)의 구동되면, 흡입되는 공기의 유속은 안내덕트(160)의 형상에 의해 가속될 수 있다. 이때, 안내덕트(160)의 상면에는 광촉매코팅층(12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안내덕트(160)에는 포집망부(154)에 포집된 해충의 탈출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165)가 구비된다. 이탈방지부(165)는 안내덕트(160)의 하부에 구비되고, 흡입팬(152)의 구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안내덕트(160)를 개폐하는 플랙시블차단막으로 이루어진다.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부(165)는 플랙시블차단막으로 이루어져 중앙이 안내덕트(160)에 고정되고, 가장자리는 흡입팬(152)의 구동에 따라 안내덕트(160)를 개폐할 수 있다.
전원부(170)는 본체(110)에 구비되어 램프부(130)와 포집부(15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부(170)는 본체(110)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램프부(130)와 포집부(150)의 흡입팬(15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인가되는 전원을 DC로 전환하는 컨버터(SMPS)(172) 및 DC로 전환된 전원을 충전하는 충전지(17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부(170)를 컨버터(172) 및 충전지(174)로 도시하였지만 일반 건전지가 교체 투입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V-LED 램프를 이용한 해충퇴치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본체(110)에 구비되는 전원부(170)에 외부전원이 연결되면, 컨버터(SMPS)(172)에 의해 DC전원으로 변환되어 직접연결 사용이 가능하며, 충전지(174)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별도의 스위치(미도시)가 온 되면, 전원이 램프부(130)와 포집부(150)에 공급되어 작동된다.
인가된 전원에 의해 램프부(130)가 점등되면, 램프부(130)는 UV-LED(132)로 이루어져 자외선을 조사한다. UV-LED(132)에 의해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사용시간에 영향없이 균일한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고,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수명이 연장되어 제품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램프부(130)의 폐기시에도 유해물질 방출이 없으므로 친환경적이다.
UV-LED(132)의 파장대역은 365nm 으로, 도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해충의 유인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그리고, UV-LED(132)의 자외선 조사방향은 유입홀(112)측으로 향하고 있어 자외선이 외부로 직접 조사되므로 해충의 유인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본체(110)의 내부에는 광촉매코팅층(120)이 구비되어 해충의 유인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UV-LED(132)의 자외선이 광촉매코팅층(120)에 접촉되면, 광화학반응으로 생성된 수산화라디칼의 강력한 산화력에 의하여 본체(110)의 주변의 먼지, 기름 및 유기화합물은 산화되어 H₂O와 CO₂로 분해되게 되며, 공기중에 부유하는 병원균 역시 살균되게 되고, 수산화라디칼이 유기화합물을 산화시킬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는 모기들을 본체(110)의 내부로 유인하는 매개체로 작용한다. 또한, 자외선에 의한 광촉매의 광화학반응은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UV-LED(132)가 갖는 특정파장대(365nm)와 광화학반응에 의해 본체(110)의 내부로 해충을 유인할 수 있다.
이처럼 유인된 해충은 포집부(150)에 의해 포집된다. 즉, 본체(110)의 내부로 유입된 해충은 흡입팬(152)의 작동에 의해 안내덕트(160)를 따라 포집망부(154)로 포집된다. 이때, 안내덕트(160)는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흡입팬(152)에 의해 흡입력을 향상되므로 해충 포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포집망부(154)에 포집된 해충은 흡입팬(152)이 작동되지 않아도 이탈방지부(165)에 의해 이탈이 방지된다. 이탈방지부(165)는 안내덕트(16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플랙시블차단막으로 이루어져 흡입팬(152)의 흡입력에 의해 가장자리가 개방되고, 흡입팬(152)이 작동을 정지하면, 자체 탄성에 의해 안내덕트(160)를 폐쇄하여 해충의 탈출을 막을 수 있다.
포집망부(154)는 본체(110)로부터 착탈 가능하므로 포집망부(154)에 많은 해충이 포집되면, 본체(110)로부터 포집망부(154)를 분리하여 내부를 청소할 수 있어 편의를 제공한다.
그리고, UV-LED(132)가 적용되므로써, 많은 열이 발생하게 되는데, 본체(110)의 상부에 알루미늄 재질의 방열부(140)가 구비되어 과열로 인한 제품이 파손을 방지하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V-LED 램프를 이용한 해충퇴치장치에 의하면, 특정 파장대를 갖는 UV-LED가 구비된 램프부에 의해 해충의 유인효과가 증대되어 해충 퇴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UV-LED가 적용됨으로써, 사용시간에 영향없이 균일한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고,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수명이 연장되어 제품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UV-LED 램프를 이용한 해충퇴치장치 110 : 본체
112 : 유입홀 115 : 통기공
120 : 광촉매코팅층 130 : 램프부
131 : 회로기판 132 : UV-LED
134 : 보호캡 140 : 방열부
150 : 포집부 152 : 흡입팬
154 : 포집망부 155 : 끈끈이
160 : 안내덕트 165 : 이탈방지부
170 : 전원부 172 : 컨버터
174 : 충전지

Claims (9)

  1.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해충을 유인하도록 자외선을 방출하는 램프부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램프부에 의해 유인된 해충을 포집하는 포집부 및 상기 램프부와 상기 포집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램프부에서 발광되는 자외선이 외부로 방출되고, 해충이 유입되는 유입홀을 형성되며;
    상기 램프부는 상기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바타입의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의 양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실장되는 UV-LED를 포함하고;
    상기 UV-LED의 파장은 365nm이며;
    상기 포집부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전원부의 전원 인가에 의해 회전되는 흡입팬; 및
    상기 팬에 의해 흡입된 해충이 포집되는 포집망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흡입팬의 흡입력을 배가하고, 흡입되는 해충을 안내하는 안내덕트가 구비되며;
    상기 안내덕트에는 상기 포집망부에 포집된 해충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플랙시블차단막으로 이루어지는 이탈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LED 램프를 이용한 해충퇴치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광촉매코팅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LED 램프를 이용한 해충퇴치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UV-LED의 자외선 조사방향은 상기 유입홀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LED 램프를 이용한 해충퇴치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40136976A 2014-10-10 2014-10-10 Uv-led 램프를 이용한 해충퇴치장치 KR101649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976A KR101649123B1 (ko) 2014-10-10 2014-10-10 Uv-led 램프를 이용한 해충퇴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976A KR101649123B1 (ko) 2014-10-10 2014-10-10 Uv-led 램프를 이용한 해충퇴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2705A KR20160042705A (ko) 2016-04-20
KR101649123B1 true KR101649123B1 (ko) 2016-08-18

Family

ID=55917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6976A KR101649123B1 (ko) 2014-10-10 2014-10-10 Uv-led 램프를 이용한 해충퇴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912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35744A1 (en) * 2018-08-13 2020-02-20 Starfield Enhance (S) Pte. Ltd. Mosquito eradicator
KR20200065145A (ko) 2018-11-29 2020-06-09 이찬용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
KR20210021632A (ko) 2019-08-19 2021-03-02 주식회사 그린 아그로텍 해충 포획용 유아등
KR20210081579A (ko) 2019-12-24 2021-07-02 주식회사 에이디 투-웨이 유인기작 유인등 트랩
KR102313078B1 (ko) * 2021-06-17 2021-10-18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돌발해충 예찰이 가능한 포집장치를 갖는 가로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3771A (ko) * 2016-12-02 2018-06-12 김효정 상승기류방식의 모기 트랩
KR101854414B1 (ko) * 2016-12-14 2018-05-03 주식회사 이레그린 해충 유인형 포충기
WO2018124713A1 (ko) * 2016-12-29 2018-07-05 서울바이오시스주식회사 포충기
CN110831437B (zh) * 2017-06-23 2022-03-22 首尔伟傲世有限公司 捕虫器
KR102525233B1 (ko) * 2017-06-23 2023-04-25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포충기
KR101959169B1 (ko) * 2018-08-09 2019-03-18 대양디아이 (주) 네트워크를 이용한 해충 퇴치 시스템
KR101959170B1 (ko) * 2018-08-09 2019-03-18 주식회사 티에이치서비스 해충 퇴치 장치
KR102308054B1 (ko) * 2019-02-07 2021-10-01 이재일 모기의 행동을 제어할 수 있는 조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9373A (ko) * 2007-07-20 2009-01-23 박우현 해충의 유인장치
KR101349733B1 (ko) * 2012-06-13 2014-01-24 옥윤선 해충 포획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35744A1 (en) * 2018-08-13 2020-02-20 Starfield Enhance (S) Pte. Ltd. Mosquito eradicator
KR20200065145A (ko) 2018-11-29 2020-06-09 이찬용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
KR20210021632A (ko) 2019-08-19 2021-03-02 주식회사 그린 아그로텍 해충 포획용 유아등
KR20210081579A (ko) 2019-12-24 2021-07-02 주식회사 에이디 투-웨이 유인기작 유인등 트랩
KR102313078B1 (ko) * 2021-06-17 2021-10-18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돌발해충 예찰이 가능한 포집장치를 갖는 가로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2705A (ko) 201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9123B1 (ko) Uv-led 램프를 이용한 해충퇴치장치
JP7032334B2 (ja) 捕虫器
KR102491078B1 (ko) 점착형 포충기
KR100491737B1 (ko) 공기 정화 기능의 모기 퇴치기
KR101349733B1 (ko) 해충 포획장치
EP3430899B1 (en) Insect trap
CN110831437B (zh) 捕虫器
US11154044B2 (en) Insect trap
JP2007074908A (ja) 誘虫装置および捕虫器
KR20150124695A (ko) 해충 트랩 장치
KR20020021466A (ko) 공기 정화 기능의 모기 퇴치기
CN107182968B (zh) 捕虫器
KR20150123037A (ko) 공기청정기능이 구비된 해충 트랩 장치
KR101266861B1 (ko) 해충 박멸장치
KR101844893B1 (ko)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한 해충퇴치장치
KR20030095513A (ko) 모기 퇴치기
KR20150125219A (ko) 공기정화와 포충용 선풍기
CN108244070A (zh) 捕虫器
TWI809025B (zh) 捕蟲器
CN209950183U (zh) 一种光触媒灭蚊器
KR100426496B1 (ko) 해충 퇴치기
CN207948656U (zh) 捕虫器
KR102525233B1 (ko) 포충기
KR102616208B1 (ko) 포충기
KR102666950B1 (ko) 포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