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5145A -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 - Google Patents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5145A
KR20200065145A KR1020180150768A KR20180150768A KR20200065145A KR 20200065145 A KR20200065145 A KR 20200065145A KR 1020180150768 A KR1020180150768 A KR 1020180150768A KR 20180150768 A KR20180150768 A KR 20180150768A KR 20200065145 A KR20200065145 A KR 20200065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timer
built
light
sterilization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2850B1 (ko
Inventor
이찬용
Original Assignee
이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찬용 filed Critical 이찬용
Priority to KR1020180150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2850B1/ko
Publication of KR20200065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5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1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light sources, e.g. lasers or flashing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9Details of refra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30Pivoted housings o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6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tim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타이머를 이용해 오전과 낮 시간에 UV계열 LED가 작동하도록 하고, 오후와 밤 시간에 RED계열 LED가 작동하도록 하되, 오전과 낮 시간에는 조명부가 지면에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여 UV 계열 자외선 파장에 의해 축사 내 공기 중의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 매개체를 살균하게 되고, 오후와 밤 시간에는 조명부가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회전하여 RED 계열 해충퇴치 파장에 의해 흡혈 계열 해충을 퇴치하는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A device to fight harmful insects using a timer with ultraviolet sterilizing function}
본 발명은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타이머를 이용해 오전과 낮 시간에 UV계열 LED가 작동하도록 하고, 오후와 밤 시간에 RED계열 LED가 작동하도록 하되, 오전과 낮 시간에는 조명부가 지면에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여 UV 계열 자외선 파장에 의해 축사 내 공기 중의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 매개체를 살균하게 되고, 오후와 밤 시간에는 조명부가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회전하여 RED 계열 해충퇴치 파장에 의해 흡혈 계열 해충을 퇴치하는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에 관한 것이다.
해충은 빛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특히, 빛의 파장에 대해 호불호가 분명하다.
이러한 해충 특성을 이용하여 해충을 퇴치하는 기술이 소개되고 있다.
이런 기술을 살펴보면, 해충을 유인하는 파장의 빛을 조사하여 퇴치하는 방식과 해충이 기피하는 파장의 빛을 조사하여 퇴치하는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으나, 해충 유인 효과의 한계가 있고, 더욱이, 특정 구역 내의 해충을 퇴치하기 위해 방역하는 것이 대부분이므로, 해충 기피 파장의 빛으로 방역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런데 조명에 따른 전력 비용의 부담이 있으므로, 전력 소모량이 적은 엘이디(LED)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해충 기피 파장을 주파장으로 하여 조명하도록 엘이디를 설계 생산하더라도, 기술적 한계에 의해서 해충 기피 파장 이외의 빛도 방출되고, 그러한 엘이디를 사용하여 램프를 구성하는 경우, 엘이디 본연의 주파장과는 다르고, 빛의 세기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파장도 주파장과 다르게 나타나서, 램프에서 방출되는 빛의 광속(또는 전력, 빛의 세기)에 비해 해충 기피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였다.
한편, 여름철 축사의 경우 특히 해충이나 전염병의 매개체인 각종 바이러스 균에 취약하여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축산업 종사자 및 각 지자체 별로 많은 국가예산과 종사자 개인의 비용이 지출되고 있으며, 각 축사별 노력에도 불구하고 인근 축사에서 발생된 전염병으로 인해 애써 키운 가축을 추가적인 비용과 인력이 소되어 토지에 매장하는 일이 많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는 나아가 토지, 수질 오염 등 환경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이에 축사 사육 환경 개선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표출되고 있다.
축사는 소, 돼지, 말, 염소, 닭 등이 가축을 사육하기 위한 시설을 의미하며, 이러한 축사는 가축의 사육 환경 개선을 목적으로 환풍기, 온도/습도 조절기 등 다양한 장치를 사용하여 왔다.
최근에는 축산 농가의 대형화 또는 기업화되는 추세이고, 가축뿐만 아니라 농가 입장에서 보다 향상된 축사 사육 환경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축사 사육 환경 개선의 일환으로서, 해충이 모여들기 쉬운 환경을 갖는 축사에 대해 보다 효과적으로 해충을 방역하기 위한 노력이 있어왔다.
이와 같이 축사 사육 환경 개선을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82933호 해충 기피 엘이디 램프 및 이를 이용한 축사 사육 환경 개선을 위한 모기 퇴치 방역 조명장치는 해충이 기피하는 협소 대역의 파장 빛을 조사하면서, 해충 기피 효과가 가장 큰 특정 파장의 세기를 강하게 하여, 해충 기피 효과를 향상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해충 퇴치의 기능이 있으나, 축사의 공중 살균 기능을 위하여 별도의 소독수 탱크와 소독수 분사노즐을 구축하여 살균을 하므로 축사내부의 가축의 호흡기와 소화기에 악영향을 미치고, 장비 구축을 위한 비용이 과대하게 소비되었다.
KR 10-1200912 (등록번호) 2012.11.07. KR 10-1649123 (등록번호) 2016.08.11. KR 10-1782933 (등록번호) 2017.09.22.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타이머를 이용해 오전과 낮 시간에 UV계열 LED가 작동하도록 하고, 오후와 밤 시간에 RED계열 LED가 작동하도록 하되, 오전과 낮 시간에는 조명부가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여 UV 계열 자외선 파장에 의해 축사 내 공기 중의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 매개체를 살균하게 되고, 오후와 밤 시간에는 조명부가 수직방향으로 회전하여 RED 계열 해충퇴치 파장에 의해 흡혈 계열 해충을 퇴치하는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원 연장선을 이용하여 전원이 공급되는 환경을 구성하여 집중적으로 살균이 필요한 장소에서 사용이 가능한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축사 내부에서 가축의 건강을 해치지 않고 살균과 해충 퇴치를 동시에 할 수 있는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LED 위에 광확산 렌즈를 덮은 상태에서 방수를 목적으로 하는 덮개를 구비하여 제품 부식을 막고 나아가 습한 축사환경에도 안전하게 사용가능한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축사 내의 살균 및 해충퇴치 효과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고, 기존 백열등 소켓에 연결하여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명부가 180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축사 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되, 지그재그 형태로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여 배치하여 더 넓은 공간을 조사하여 살균할 수 있는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원과 연결하기 위한 전원연결단자(110)와; 복수개의 LED 칩으로 이루어지는 발광부(121)가 삽입되는 광확산 렌즈(122)가 설치되는 조명부(120)와; 상기 전원연결단자(110)와 조명부(120) 사이에 구비되고, 타이머 장치(15)가 내장되며, 상기 조명부(120)를 회전하기 위한 회전수단(131)이 설치되는 몸체(130);를 포함하여, 상기 타이머 장치(15)에 의해 정해진 시간에 따라 LED 칩의 빛의 조사 파장이 다르고, 빛의 조사 파장의 변경에 따라 상기 회전수단(131)에 의하여 빛의 조사 방향이 다르게 설정된다.
또한, 상기 조명부(120)는 지면에 수평으로 회전하여 260~280nm 사이의 파장대역이 조사되고, 지면에 수직으로 회전하여 600~630nm 사이의 파장대역이 조사된다.
아울러, 상기 조명부(120)에는 발광부(121)가 삽입된 광확산 렌즈(122)가 삽입관통되는 관통홀(123a)이 다수개 형성되는 방수 덮개(12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조명부(120)는 1열 또는 2열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연이어 배치되는 조명부(120)가 상기 회전수단(131)에 의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ㄸH한, 상기 전원연결단자(110)가 결합설치되고, 외부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연장선(140)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광확산 렌즈(122)는 방수 덮개(123)의 관통홀(123a)에 삽입관통되되, 중간 이상은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는 타이머를 이용해 오전과 낮 시간에 UV계열 LED가 작동하도록 하고, 오후와 밤 시간에 RED계열 LED가 작동하도록 하되, 오전과 낮 시간에는 조명부가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여 UV 계열 자외선 파장에 의해 축사 내 공기 중의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 매개체를 살균하게 되고, 오후와 밤 시간에는 조명부가 수직방향으로 회전하여 RED 계열 해충퇴치 파장에 의해 흡혈 계열 해충을 퇴치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는 전원 연장선을 이용하여 전원이 공급되는 환경을 구성하여 집중적으로 살균이 필요한 장소에서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는 축사 내부에서 가축의 건강을 해치지 않고 살균과 해충 퇴치를 동시에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는 LED 위에 광확산 렌즈를 덮은 상태에서 방수를 목적으로 하는 방수 덮개에 광확산 렌즈를 삽입하여 제품 부식을 막고 나아가 습한 축사환경에도 안전하게 사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축사 내의 살균 및 해충퇴치 효과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고, 기존 백열등 소켓에 연결하여 바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는 조명부가 180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축사 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되, 지그재그 형태로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여 배치하여 더 넓은 공간을 조사하여 살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의 조명부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에 따른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가 전원연결부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가 작동되는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가 축사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가 축사에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가 축사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가 축사에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가 전원연장선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가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가 지면에 수평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100)는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사(1) 내에 설치되어 축사(1) 내 공기를 살균하거나 해충을 퇴치하기 위한 것으로,
전원에 연결하기 위한 전원연결단자(110)와,
복수개의 LED 칩으로 이루어지는 발광부(121)가 삽입되는 광확산 렌즈(122)가 설치되는 조명부(120)와,
상기 전원연결단자(110)와 조명부(120) 사이에 구비되고, 타이머 장치(15)가 내장되며, 회전수단(131)이 설치되어 조명부(120)를 회전가능하게 하는 몸체(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축사(1)의 경우 해충이나 전염병의 매개체인 각종 바이러스균에 취약하여 본 발명의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100)는 이와 같은 축사(1)에 설치하여 축사 내부 공기를 살균(공중 살균)하고 해충을 퇴치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해충개체수가 적은 시간인 오전과 낮 시간(08시~15시)에는 UV계열 자외선 파장을 이용하여 축사(1) 내 전염병의 원인인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 매개체를 살균하고, 오후와 밤 시간(15시~07시)에는 기온이 떨어지면서 모기 등 해충의 활성도가 높아지므로 RED 계열의 파장을 이용하여 전염병의 매개체인 흡혈 계열 해충을 퇴치하는 목적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에서 UV 계열의 자외선 파장은 260 ~ 280nm 이며, 해충퇴치의 파장은 600 ~ 630nm 이다.
이와 같이 UV계열 자외선 파장을 이용하여 살균할 때 축사(1) 내 가축들 방향으로 조명부(120)가 비춰질 경우, 자외선의 직접 조사에 의해 가축들의 피부 염증 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몸체(130)의 회전수단(131)에 의해 조명부(120)가 지면에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여 공기 중(축사 내부의 중간 공간)을 향하여 빛을 발산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여기에서 '수평방향'은 지면에 완전한 수평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지면에 수직인 방향에 대향되는 용어로 어느 정도 비스듬한 방향까지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100)는 상기 축사(1)의 천장에 설치되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가장자리에 두 줄로 구비되는 전원연결부(10)에 4~5m 간격으로 설치되는 소켓(11)에 결합장착되거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에 한 줄로 구비되는 전원연결부(10)에 3~4mm 간격으로 설치되는 소켓(11)에 결합장착하여 좀더 가깝게 설치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100)가 축사(1)의 양측 가장자리에 설치되었을 경우 상기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100)의 조명부(120)가 오전과 낮 시간에 지면에 수평으로 회전하되 축사(1)의 중심부를 향해 빛을 조사하게 되며,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100)가 축사(1)의 중심부에 한 줄로 구비되는 전원연결부(10)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될 경우, 상기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100)의 조명부(120)가 오전과 낮 시간에 지면에 수평으로 회전하되, 지그재그형태로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여 배치함으로써 축사(1) 내부에서 넓은 방향으로 조사하여 넓은 공간이 살균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조명부(120)가 전원연결부(10)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경우 하나의 전원연결부(10)에 네 개의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100)가 설치된다고 가정했을 때 첫번째와 세번째는 좌측, 두번째와 네번째는 우측을 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전원연결부(10)에는 3~5m 간격으로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100)의 전원연결단자(110)가 결합설치되는 소켓(11)이 구비되게 된다.
상기 전원연결단자(110)는 전원을 인입하는 구성요소로서 기존의 조명등과 같은 형식으로 동작하며, 110V ~ 220V AC 전원이 연결되는 소켓 타입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연결단자(110)는 기존의 백열등이 결합되는 소켓에 결합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진다.
상기 전원연결단자(110)는 교류 전원이 공급되는 소켓(11)에 삽입 연결되는 것으로 전원연결단자(110)로 인입되는 교류 전원은 전원입력부(12)로, 상기 전원입력부(12)에서 전원처리부(13)를 거쳐 전원출력부1(14)를 통해 타이머 장치(15)로 전원을 보내며, 상기 타이머 장치(15)에 전원출력부2(16)를 통해 오전과 낮 시간대에 UV계열 LED(121a)가 작동하도록 하고, 오후와 밤 시간대에는 RED계열 LED(121b)가 작동하도록 설정되어, 오전과 낮 시간에는 UV계열 LED(121a)에 의해 살균이 이루어지고, 오후와 밤 시간에는 RED계열 LED(121b)에 의해 해충퇴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발광부(121)는 복수개의 LED칩이 나란하게 다열로 구비되며, 도 6과 같이 RED계열 LED(121b)와 UV계열 LED(121a)가 번갈아가며 배치된다. LED 칩에서 RED계열 LED(121b)와 UV계열 LED(121a)의 수는 비슷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해충이 많은 지역의 축사에서는 RED계열 LED(121b) 칩 수가 더 많고, 축사에 살균 시설이 부족한 경우에는 UV계열 LED(121a) 칩 수가 더 많게 배치한다. 도 6에는 RED계열 LED(121b) 칩의 수가 UV계열 LED(121a) 칩 수 보다 2배 많게 설계된 것으로 해충이 많은 지역의 축사로 예로 한 것이다.
타이머 장치(15)에 의해 발광부(121)를 설정된 시간 동안만 켜지게 하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꺼지도록 하여 원하는 조사 목적에 따라 LED가 발광하도록 함과 동시에 발광부(121)로 인한 전력소모 또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부(121)는 일반 램프에 비해 비교적 전력소모가 적은 LED를 사용함으로써 비용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LED는 기존의 광원에 비해 소형으로 소비 전력이 적고, 수명이 반영구적이며, 예열 시간이 없어 빠른 응답 속도를 가질 뿐만 아니라 수은 및 방전용 가스를 사용하지 않아 환경 친화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타이머 장치(15)를 이용해 사용자가 설정시간을 조작할 수 있도록 조작부(미도시)와,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100)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미도시)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발광부(121)는 얇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회로패턴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장착구비되어 전기신호를 인가받아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LED 칩을 선택적으로 발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몸체(130)에 조명부(12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타이머 장치(15)에는 시간대별로 다른 파장의 발광부(121)가 켜지도록 구비되는 것과 동시에 해당시간에 조명부(120)가 회전할 수 있도록 각도까지 조절하여 조명의 색(파장)과 연계되어 조사 방향을 다르게 하여 조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타이머 장치(15)에 설정된 것과 같이 오전과 낮 시간에 지면에 수평으로 회전하여 UV계열 LED(121a)가 작동하도록 하고, 오후와 밤 시간에 지면에 수직으로 회전하여 RED계열 LED(121b)가 작동하도록 하게 된다.
그러나, 축사 근접지점에 전염병이 발생하여 집중살균이 필요한 경우에는 선택적으로 UV계열 LED(121a)를 더 오랫동안 작동거나 UV계열 LED(121a)만 조사하도록 하여, 타이머 장치(15)의 제어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UV계열 LED(121a)의 파장은 260~280nm 사이의 파장대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RED계열 LED(121b)의 파장은 해충퇴치에 효과가 있는 600~630nm 사이의 파장대역으로 설정한다.
상기 조명부(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UV계열 LED(121a)와 RED계열 LED(121b)로 이루어지는 발광부(121)가 삽입된 광확산 렌즈(122)가 삽입관통되는 관통홀(123a)이 다수개 형성되는 방수 덮개(123)가 구비되며, 상기 방수 덮개(123)는 방수를 목적으로 한 이중 방식의 덮개로서, 여름철 발생하는 각종 가스에 의한 제품 부식을 막고 안개분무 등 습한 환경에 대비하게 된다.
상기 관통홀(123a)은 발광부(121)가 삽입되는 광확산 렌즈(122)와 대응되는 형태로 구비되며 한 줄에 3개씩 3줄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9개가 구비된다.
상기 광확산 렌즈(122)는 전체로 발광부(121)의 빛을 확산하기 위한 것으로 방수 덮개(123)에 삽입관통되되, 중간 이상은 노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발광부(121)에서 광확산 렌즈(122)를 통해 빛이 넓게 확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몸체(130)는 전원연결단자(110)와 이어져 타이머 장치(15)가 내장되고, 조명부(120)를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조명부(120)를 커버할 수 있는 것으로, 회전수단(131)과 조명 커버(132)가 구비되게 된다.
상기 회전수단(131)은 타이머 장치(15)에 설정된 시간에 신호를 받아 일측에 힌지가 구비되고 타측에 모터 회전에 의한 웜기어 구동 또는 실린더 장치의 신축을 이용해 조명부(120)를 회전시켜 조명 커버(132)도 함께 회전시키게 된다. 이외에도 회전수단(131)은 기어회전, 캠회전, 링크연결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1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연결단자(110)와 결합되고 외부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연장선(140)가 구비되어 상기 전원연장선(140)에 다수의 소켓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거나, 상기 전원연장선(140)의 일측이 전원연결부(10)의 소켓(11)에 결합되고, 반대측이 전원연결단자(110)와 결합되어 상기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100)가 축사(1) 내에 구비되는 가축들의 물통, 일명 워터컵(20)에 공급되는 수조나 워터컵(20) 자체에 저장되는 물에 직접 넣을 수 있도록 연장함으로써, 모기 유충이나 각종 세균에 감염되기 쉬운 축사(1) 내의 물을 살균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100)는 집중살균을 위해 타이머 장치(15)를 끄고 UV계열 LED(121a)만 켜있는 상태로 구비될 수 있고, 물에 바로 넣어서 살균하기 위해 상기 조명부(120)가 방수 덮개(123)에 의해 방수되며, 상기 조명부(120)와 몸체(130)는 밀착되게 결합되어 몸체(130) 내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100)는 오후와 밤 시간에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부(120)가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회전하여 흡혈 계열 해충을 퇴치하고, 오전과 낮 시간에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부(120)가 지면에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여 축사(1) 내 공기 중의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 매개체를 살균하게 된다.
여름철일 경우 오전과 낮 시간대에 온도가 가장 높고 각종 질병균이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는 시간대이므로 해당 시간대에 자외선을 통한 공기 살균을 통해 각종 질병을 예방하고, 나아가 자외선의 경우 공기 중 분자 파괴를 통해 축사(1)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100)는 타이머 장치(15)를 이용해 오전과 낮 시간에 UV계열 LED(121a)가 작동하도록 하고, 오후와 밤 시간에 RED계열 LED(121b)가 작동하도록 하되, 오전과 낮 시간에는 조명부(120)가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여 UV 계열 자외선 파장에 의해 축사 내 공기 중의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 매개체를 살균하게 되고, 오후와 밤 시간에는 조명부(120)가 수직방향으로 회전하여 RED 계열 해충퇴치 파장에 의해 흡혈 계열 해충을 퇴치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100)는 전원연장선(140)을 이용하여 전원이 공급되는 환경을 구성하여 집중적으로 살균이 필요한 장소에서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100)는 축사 내부의 안전한 살균과 해충 퇴치를 동시에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100)는 발광부(121) 위에 광확산 렌즈(122)를 덮은 상태에서 방수를 목적으로 하는 방수 덮개(123)를 구비하여 부식을 막고 나아가 습한 축사환경에도 안전하게 사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100)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축사 내의 살균 및 해충퇴치 효과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고, 기존 백열등 소켓(11)에 연결하여 바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100)는 조명부(120)가 180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축사(1) 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되, 지그재그 형태로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여 배치하여 더 넓은 공간을 살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 : 축사
10 : 전원연결부 11 : 소켓
12 : 전원입력부 13 : 전원처리부
14 : 전원출력부1 15 : 타이머 장치
16 : 전원출력부2 20 : 워터컵
100 :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
110 : 전원연결단자 120 : 조명부
121 : 발광부 121a : UV계열 LED
121b : RED계열 LED 122 : 광확산 렌즈
123 : 방수 덮개 123a : 관통홀
130 : 몸체 131 : 회전수단
132 : 조명 커버 140 : 전원연장선

Claims (6)

  1. 전원과 연결하기 위한 전원연결단자(110)와;
    복수개의 LED 칩으로 이루어지는 발광부(121)가 삽입되는 광확산 렌즈(122)가 설치되는 조명부(120)와;
    상기 전원연결단자(110)와 조명부(120) 사이에 구비되고, 타이머 장치(15)가 내장되며, 상기 조명부(120)를 회전하기 위한 회전수단(131)이 설치되는 몸체(130);를 포함하여,
    상기 타이머 장치(15)에 의해 정해진 시간에 따라 LED 칩의 빛의 조사 파장이 다르고,
    빛의 조사 파장의 변경에 따라 상기 회전수단(131)에 의하여 빛의 조사 방향이 다르게 설정되는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 퇴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120)는 지면에 수평으로 회전하여 260~280nm 사이의 파장대역이 조사되고, 지면에 수직으로 회전하여 600~630nm 사이의 파장대역이 조사되는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 퇴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120)에는 발광부(121)가 삽입된 광확산 렌즈(122)가 삽입관통되는 관통홀(123a)이 다수개 형성되는 방수 덮개(123)가 구비되는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 퇴치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120)는 1열 또는 2열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연이어 배치되는 조명부(120)가 상기 회전수단(131)에 의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 퇴치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단자(110)가 결합설치되고, 외부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연장선(140)가 더 구비되는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 렌즈(122)는 방수 덮개(123)의 관통홀(123a)에 삽입관통되되, 중간 이상은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 퇴치기.

KR1020180150768A 2018-11-29 2018-11-29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 KR102172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768A KR102172850B1 (ko) 2018-11-29 2018-11-29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768A KR102172850B1 (ko) 2018-11-29 2018-11-29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145A true KR20200065145A (ko) 2020-06-09
KR102172850B1 KR102172850B1 (ko) 2020-11-03

Family

ID=71082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768A KR102172850B1 (ko) 2018-11-29 2018-11-29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28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651B1 (ko) * 2020-06-23 2021-06-09 성풍솔레드(주) 가축사용 벌레 퇴치 led살균 조명등
KR102435029B1 (ko) * 2021-05-10 2022-09-01 주식회사 파란별티이씨 엘이디 광촉매 조합 살균 조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9610B1 (ko) 2021-02-18 2023-08-29 윤성민 자외선과 광촉매를 이용한 축사용 살균 악취 제거기 및 이를 이용한 IoT 스마트 축사용 살균 악취 제거 시스템
KR102569611B1 (ko) 2021-02-18 2023-08-29 윤성민 자외선과 헤파필터를 이용한 살균 악취 제거기와 이를 이용한 IoT 스마트 살균 악취 제거 시스템
KR102558395B1 (ko) 2021-02-18 2023-07-24 윤성민 해충 퇴치 기능을 갖는 살균 악취 저감기와 이를 이용한 IoT 스마트 살균 악취 저감 시스템
KR102334288B1 (ko) 2021-08-03 2021-12-03 정홍준 포충 기능과 살균 기능이 구비된 축사 및 돈사용 led 조명등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854Y1 (ko) * 2010-01-16 2011-11-23 (주)링크옵틱스 해충 방제용 엘이디 조명 장치
KR20120052832A (ko) * 2010-11-16 2012-05-24 최종운 해충 접근 방지 및 살균 장치
KR101200912B1 (ko) 2010-05-31 2012-11-1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충퇴치용 램프
US20160000046A1 (en) * 2014-01-14 2016-01-07 Hangzhou Langtuo Biotechnology Co., Ltd. Hybrid led lighting method and system for chicken coops
KR101649123B1 (ko) 2014-10-10 2016-08-18 바이오트랩 주식회사 Uv-led 램프를 이용한 해충퇴치장치
KR20160150436A (ko) * 2015-06-22 2016-12-30 한국광기술원 회전형 입체조명기구
KR101782933B1 (ko) 2017-07-12 2017-09-28 주식회사 해밀라이트 해충 기피 엘이디 램프 및 이를 이용한 축사 사육 환경 개선을 위한 모기 퇴치 방역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854Y1 (ko) * 2010-01-16 2011-11-23 (주)링크옵틱스 해충 방제용 엘이디 조명 장치
KR101200912B1 (ko) 2010-05-31 2012-11-1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충퇴치용 램프
KR20120052832A (ko) * 2010-11-16 2012-05-24 최종운 해충 접근 방지 및 살균 장치
US20160000046A1 (en) * 2014-01-14 2016-01-07 Hangzhou Langtuo Biotechnology Co., Ltd. Hybrid led lighting method and system for chicken coops
KR101649123B1 (ko) 2014-10-10 2016-08-18 바이오트랩 주식회사 Uv-led 램프를 이용한 해충퇴치장치
KR20160150436A (ko) * 2015-06-22 2016-12-30 한국광기술원 회전형 입체조명기구
KR101782933B1 (ko) 2017-07-12 2017-09-28 주식회사 해밀라이트 해충 기피 엘이디 램프 및 이를 이용한 축사 사육 환경 개선을 위한 모기 퇴치 방역 조명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651B1 (ko) * 2020-06-23 2021-06-09 성풍솔레드(주) 가축사용 벌레 퇴치 led살균 조명등
KR102435029B1 (ko) * 2021-05-10 2022-09-01 주식회사 파란별티이씨 엘이디 광촉매 조합 살균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2850B1 (ko) 2020-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2850B1 (ko)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
TWI676421B (zh) 捕蟲器
CN113243348B (zh) 用于吸引和诱捕飞虫的装置和方法
ES2654946T3 (es) Una trampa para insectos
CN110831437B (zh) 捕虫器
US11154044B2 (en) Insect trap
JP2008104444A (ja) 害虫除去装置
US20220280668A1 (en) Biosecurity system using monitoring and sanitization for an agricultural dwelling
KR100922329B1 (ko) 실내용 해충 포집 살충장치
CN201045491Y (zh) 一种光触媒电子灯
KR20190032921A (ko) 살균 효과를 제공하는 uv led 장치
CN216135062U (zh) 飞虫捕捉装置
KR200347665Y1 (ko) 모기 유인 퇴치기
KR20190036653A (ko) 해충 퇴치기
CN211301345U (zh) 一种用于鸡猪等人工养殖场和宠物环境的健康空气设备
KR102281877B1 (ko) 돈사 소독 및 살균을 위한 ict led 살균 및 질병 관리시스템
KR100831364B1 (ko) 바퀴벌레 트랩
KR101965568B1 (ko) 포충기
JP2017121207A (ja) 防虫灯
RU211166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ничтожения насекомых
CN205922598U (zh) Led捕虫杀菌设备
KR20110134058A (ko) 해충퇴치 기능을 가지는 전등
KR102525233B1 (ko) 포충기
KR102479648B1 (ko) 바이오램프를 활용한 해충방제장치
CN210352824U (zh) 托盘及具有该托盘的除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