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5679A - 기피제 살포부를 포함하는 유해동물 및 병해충 퇴치시스템 - Google Patents

기피제 살포부를 포함하는 유해동물 및 병해충 퇴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5679A
KR20140105679A KR1020130019488A KR20130019488A KR20140105679A KR 20140105679 A KR20140105679 A KR 20140105679A KR 1020130019488 A KR1020130019488 A KR 1020130019488A KR 20130019488 A KR20130019488 A KR 20130019488A KR 20140105679 A KR20140105679 A KR 20140105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armful
repellent
repelling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9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3199B1 (ko
Inventor
김현욱
이재경
신태섭
이현주
정헌상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19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199B1/ko
Publication of KR20140105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5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01M29/18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using ultrasonic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1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light sources, e.g. lasers or flashing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24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electric shocks, magnetic fields or microwa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피제 살포부를 포함하는 유해동물 및 병해충 퇴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해동물 또는 병해충과 같은 유해원 감지부를 IR 센서, 초음파 센서 및 마이크로파 센서와 같은 복수의 복합 센서들로 구성하고, 또 기피제 살포부를 포함하여 초음파 발생부, 기피음 발생부, 광 발생부 및 감전 퇴치부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더 갖는 복합 유해원 퇴치부를 구성하여, 주작동 퇴치부 또는 주감지 센서가 불량인 경우 이를 감지ㅇ판단하여 다른 부작동 퇴치부 또는 부감지 센서가 기능하도록 하여, 오류ㅇ실패 없이 유해동물 또는 병해충과 같은 유해원의 처치를 가능하게 한 복합 유해동물 및 병해충 퇴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피제 살포부를 포함하는 유해동물 및 병해충 퇴치시스템은 유해동물 또는 병해충과 같은 유해원 감지부; 기피제 저장부, 상기 기피제 저장부와 연결된 기피제 펌핑수단, 상기 기피제 저장부 및 펌핑수단과 연결된 살포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기피제 살포부를 포함하는 유해원 퇴치부; 상기 감지부에 의하여 유해원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퇴치부를 가동하는 퇴치부 작동부; 및 퇴치부, 감지부, 작동부를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기피제 살포부를 포함하는 유해동물 및 병해충 퇴치시스템{PEST-REPELLING SYSTEM EQUIPPED WITH DISPENSER FOR REPELLENT AGENT}
본 발명은 기피제 살포부를 포함하는 유해동물 및 병해충 퇴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해동물 또는 병해충과 같은 유해원 감지부를 IR 센서, 초음파 센서 및 마이크로파 센서와 같은 복수의 복합 센서들로 구성하고, 또 기피제 살포부를 포함하여 초음파 발생부, 기피음 발생부, 광 발생부 및 감전 퇴치부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더 갖는 복합 유해원 퇴치부를 구성하여, 주작동 퇴치부 또는 주감지 센서가 불량인 경우 이를 감지ㅇ판단하여 다른 부작동 퇴치부 또는 부감지 센서가 기능하도록 하여, 오류ㅇ실패 없이 유해동물 또는 병해충과 같은 유해원의 처치를 가능하게 한 복합 유해동물 및 병해충 퇴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까치와 같은 조류, 쥐, 고라니나 멧돼지와 같은 동물, 모기 등의 해충, 기타 병해충을 퇴치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그 예로는 먼저 특허공개 제10-2000-0019690호(공개일자 2000년04월15일) [해충 및 오염물질방지용 에어분사도어]가 있는데,
상기 공개특허는 현관에 설치되어서 파리 또는 모기와 같은 해충의 침입, 또는 먼지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속의 공기를 특정방향으로 분사시킴으로써 해충의 유입과 먼지 등의 오염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해충 및 오염물질방지용 에어분사도어에 관한 것이다.
또 특허등록 제10-0990487호(등록일자 2010년10월21일) [해충퇴치 및 냉각 기능을 갖는 가로등]이 있는데,
상기 등록특허는 가로등 등기구의 내부에 가로등주의 내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등기구 내부의 기압을 높여 등기구 둘레의 틈새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등기구 틈새로 유입되는 벌레의 침입을 차단하고, 또 등기구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로 인해 가로등 등기구 내부를 냉각시켜 등기구 부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해충퇴치 및 냉각 기능을 갖는 가로등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특허공개 제10-2011-0105528호(공개일자 2011년09월27일) [해충 및 유충, 성충 제거를 위한 초음파발생 및 분무장치]가 있는데,
상기 공개특허는 본 발명은 부력을 가진 본체를 정화조 등에 뜨도록 위치시키고 리모콘을 통한 원격조정으로 본체를 동작시켜 분무통으로부터 살균제를 노즐을 통해 공중이나 측벽으로 분무함으로써 파리나 모기 등의 유충이나 성충, 번데기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나아가 실용신안등록 제20-0325311호(등록일자 2003년08월23일) [조류 퇴치장치]가 있는데,
상기 등록고안은 과수원의 열매에 피해를 주는 조류의 퇴치 및 농약을 분사할 수 있는 조류 퇴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니 이들 문헌을 비롯한 종래기술들은 모두 특정 퇴치수단이나 특정 감지수단을 이용하는 것이어서 하나의 수단이 고장 난 경우에는 해충퇴치기능이 무력화되는 치명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
특히 퇴치기능의 무력화는 대단위로 다수 설치되는 것이 필요한 농장이나 기타 넓은 범위의 논밭에서 치명적일 수 있는데, 이는 한해 단위 농작물(벼, 콩 등), 다년생 농작물(인삼, 도라지 등) 또는 묘목 등의 나무(원예용이나 약재용 등)가 파종, 성장, 수확 중 한 시기에만 위해가 가해져도 전체 농사가 망하게 되기 때문에 한 번의 유해동물 및 병해충과 같은 유해원의 침입으로도 만시지탄이 되기 쉬운 것이어서,
전체 재배ㅇ육림 소요 기간 중에 차질ㅇ중단 없이 퇴치 기능이 유지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발명은 유해동물 또는 병해충과 같은 유해원 감지부를 IR 센서, 초음파 센서 및 마이크로파 센서와 같은 복수의 복합 센서들로 구성하고, 또 기피제 살포부를 포함하여 초음파 발생부, 기피음 발생부, 광 발생부 및 감전 퇴치부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더 갖는 복합 유해원 퇴치부를 구성하여, 주작동 퇴치부 또는 주감지 센서가 불량인 경우 이를 감지ㅇ판단하여 다른 부작동 퇴치부 또는 부감지 센서가 기능하도록 하여, 오류ㅇ실패 없이 유해동물 또는 병해충과 같은 유해원의 처치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한해 단위 농작물(벼, 콩 등), 다년생 농작물(인삼, 도라지 등) 또는 묘목 등의 나무(원예용이나 약재용 등)가 파종, 성장, 수확까지의 전체 재배ㅇ육림 소요 기간 중에 차질ㅇ중단 없이 퇴치 기능이 유지되도록 한 복합 유해동물 및 병해충 퇴치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유해원 퇴치부의 작동상태를 확인하고, 유무선 원격으로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부를 구비한 유해동물 및 병해충 퇴치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농장이나 논밭은 물론 산림 지역에도 별다른 지반공사 없이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헬기나 기타 차량을 이용한 이동에도 용이하고, 오뚝이와 같은 자립 기능을 구비한 유해동물 및 병해충 퇴치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퇴치부에 기피광 또는 집충광 투사 용도로 활용되는 광 발생부를 구성하는 경우, 그 광원을 소형, 경량, 적은 발열, 반영구성, 고속응답특성, 펄스동작 가능특성, 전류에 의한 광출력 제어 특성을 가져 각광받고 있는 LED로 구성하여 해당 장점을 취할 수 있도록 한 유해동물 및 병해충 퇴치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피제 살포부를 포함하는 유해동물 및 병해충 퇴치시스템은
유해동물 또는 병해충과 같은 유해원 감지부;
기피제 저장부, 상기 기피제 저장부와 연결된 기피제 펌핑수단, 상기 기피제 저장부 및 펌핑수단과 연결된 살포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기피제 살포부를 포함하는 유해원 퇴치부;
상기 감지부에 의하여 유해원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퇴치부를 가동하는 퇴치부 작동부; 및
퇴치부, 감지부, 작동부를 제어하는 마이컴;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기피제 살포부를 포함하는 유해동물 및 병해충 퇴치시스템에서
상기 퇴치부는 초음파 발생부, 기피음 발생부, 광 발생부 및 감전 퇴치부의 일부 또는 모두를 더 포함하고, 이들 퇴치부들 중 주작동 퇴치부가 작동불량 상태에 있는 경우 이를 센싱하는 오작동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감지부의 오작동 센싱시 다른 정상 부작동 퇴치부를 가동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유해원 감지부는 IR 센서, 초음파 센서 및 마이크로파 센서와 같은 복수의 센서들로 구성되고, 센서들 중 주감지 센서가 감지불량 상태에 있는 경우 이를 센싱하는 오류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감지부에 감지불량 센싱시 다른 정상 부감지 센서를 가동하게 되어 있고,
상기 마이컴은 유선통신부 또는 무선통신부, 또는 이들 모두로 구성된 통신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유선통신부는 중앙통제부와 연결되며, 상기 무선통신부는 리모트컨트롤러 또는 스마트폰과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기피제 살포부를 포함하는 유해동물 및 병해충 퇴치시스템은 유해동물 또는 병해충과 같은 유해원 감지부를 IR 센서, 초음파 센서 및 마이크로파 센서와 같은 복수의 복합 센서들로 구성하고, 또 기피제 살포부를 포함하여 초음파 발생부, 기피음 발생부, 광 발생부 및 감전 퇴치부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더 갖는 복합 유해원 퇴치부를 구성하여, 주작동 퇴치부 또는 주감지 센서가 불량인 경우 이를 감지ㅇ판단하여 다른 부작동 퇴치부 또는 부감지 센서가 기능하도록 하여, 오류ㅇ실패 없이 유해동물 또는 병해충과 같은 유해원의 처치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한해 단위 농작물(벼, 콩 등), 다년생 농작물(인삼, 도라지 등) 또는 묘목 등의 나무(원예용이나 약재용 등)가 파종, 성장, 수확까지의 전체 재배ㅇ육림 소요 기간 중에 차질ㅇ중단 없이 퇴치 기능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고, 또 실시간으로 유해원 퇴치부의 작동상태를 확인하고, 유무선 원격으로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나아가 농장이나 논밭은 물론 산림 지역에도 별다른 지반공사 없이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헬기나 기타 차량을 이용한 이동에도 용이하고, 오뚝이와 같은 자립 기능을 구비하여 이동 및 설치가 편리하며, 아울러 퇴치부에 기피광 또는 집충광 투사 용도로 활용되는 광 발생부를 구성하는 경우, 그 광원을 소형, 경량, 적은 발열, 반영구성, 고속응답특성, 펄스동작 가능특성, 전류에 의한 광출력 제어 특성을 가져 각광받고 있는 LED로 구성하여 해당 장점을 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해동물 및 병해충 퇴치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유해동물 및 병해충 퇴치시스템의 개략적인 정면도 및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퇴치시스템의 퇴치부 중 하나인 광 발생부의 사시도.
도 5는 광 발생부의 분해사시도.
도 6은 광 발생부의 방열수단을 나타내는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유해동물 및 병해충 퇴치시스템(P)은 까치와 같은 조류, 쥐, 고라니나 멧돼지와 같은 동물, 모기 등의 해충, 기타 병해충 등의 유해원을 퇴치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블록도인 도 1, 개략적인 정면도인 도 2, 개략적인 평면도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해동물 및 병해충 퇴치시스템(P)은 크게 유해원 감지부(310), 기피제 살포부를 포함하는 유해원 퇴치부(100), 퇴치부 작동부(300), 그리고 제어를 위한 마이컴(PC)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퇴치시스템(P)은 오뚝이와 같은 자립 기능을 구비한 구비하고 있어 농장이나 논밭은 물론 산림 지역에도 별다른 지반공사 없이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헬기나 기타 차량을 이용한 이동에도 용이한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하우징 하단부는 라운드 형태의 외저면부를 갖고, 무게추(W)를 갖는데, 필요에 따라 물을 외부에서 투입할 수 있도록 저면 일측에 물 주입 밸브(W1)를 구비하고 있어, 헬기나 차량, 크레인 등에 의하여 이동 설치 후 물을 주입하여 직립형태를 갖도록 한다. 또 퇴치시스템(P)의 사용 완료 후 다른 장소로 이동 설치하거나, 철거하는 경우 물을 배출할 수 있는 드레인 밸브(W2)가 내부에 구비되어 있다. 무게추(W)를 구성하는 소재(납 등의 금속, 물 등)나 형상, 크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 이러한 본 발명의 유해동물 및 병해충 퇴치시스템(P)에 대한 이동수단(T)은 헬기나 차량, 크레인 등의 타력 이동수단(Tb)이거나 자체 동력(내연기관 또는 전기 이용가능)에 의하여 이동하는 자력 이동수단(Ta)일 수 있고, 간이로 저면에 바퀴가 구비되어 있어 인력으로 이동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변형예로 도 3의 하부 일점 쇄선 원내 단순화 평면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신주나 가로등 등의 기둥부재(TP)에 장착하기에 적합하도록 퇴치시스템(Pm)의 우측을 함몰된 라운드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또 좌측에는 밴드를 통하여 퇴치시스템 하우징을 기둥부재에 부착하기 쉽도록 밴드 수용 리세스(미도시 됨)를 도입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 기호 '
Figure pat00001
'는 밸브, 특히 전동 밸브를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본 발명에서 유해동물 또는 병해충과 같은 유해원 감지부(310)는 퇴치부 작동부(300)의 일부를 구성하는데, 기본적으로 IR 센서(311), 초음파 센서(313) 및 마이크로파 센서(315), 기타 감지센스(각종 근접센서, 광센서, 도플러 안테나 등)로 구성된 복수의 복합 센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R 센서(311)는 10m 이상의 감지 거리를 갖는데, 시장에서 구입가능한 상품은 예를 들어, 방위각 약 100도, 감지거리 5~20m로, 열감지 기능을 수행하는데, 다만 빛이 강할 경우 오작동이 있을 수 있어, 야간에 사용되는 용도로 적합하며, 민감도에 따라 쥐, 고라니, 멧돼지 등의 유해 동물 퇴치를 위한 용도가 적합하다.
또 초음파 센서(313)는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제품의 사양이 예를 들어 방위각 약 45도, 감지거리 1m 정도로, 움직임을 감지 타입인데, 잡음으로 인한 오작동 문제가 있어 퇴치시스템 설치 장소의 환경에 따라 민감도를 조정하는 것이 좋고, 필요에 따라 IR 센서나 마이크로파 센서에 대하여 보조적인 용도로 활용할 수 있고, 감도를 조정하는 경우 모기, 나방 등의 병해충 퇴치를 위한 용도가 적합하다.
다음으로 마이크로파 센서(315)는 방위각이 약 150도로 우수하고, 거리 수십m 이상이며, 움직임 감지 타입으로, 주야간 모두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쥐, 고라니, 멧돼지는 물론, 까치, 산비둘기, 까마귀 등의 퇴치에 활용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유해동물 및 병해충 퇴치시스템(P)은 기본적으로 타이머(320)를 구비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복합 유해원 감지부(310)와 함께 또는 독자적으로 설치장소의 주된 유해동물 또는 병해충의 활동 특성에 맞게 현장 또는 원격 세팅하여 퇴치부, 특히 복합 퇴치부(100)의 작동을 시간 단위로 작동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복합 유해원 감지부(310) 중 어느 하나나 타이머(320) 만으로 복합 퇴치부(100)가 작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퇴치부 작동의 신뢰성과 확실성을 위하여 복합 감지부(310) 또는 타이머와 감지부의 센서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연계 구성한 복합 퇴치부 작동부(300)를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마이컴(PC)과 연계하여 센서로 구성된 감지부(310) 또는 타이머(320)를 포함하는 퇴치부 작동부(300) 전체와 연결된 오류 감지부(330)
(예: 해당 센서에 정상 전류가 도통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거나, 주기적으로 주감지 센서 외의 부감지 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검사하는 방식, 또 주기적으로 복합 퇴치부(100)를 구성하는 기피음발생부(130)의 녹음기(131)나 광 발생부(140)에서 테스트 소음 또는 빛을 발하여 정상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 가능)를 도입하고,
센서들 중 주감지 센서(예: 야간의 IR 센서(311))가 감지불량 상태에 있는 경우 이를 센싱하는 오류 감지부(330)를 통하여 감지 센서오류 감지시 마이컴(PC)이 다른 정상 부감지 센서(예: 마이크로파 센서(315) 또는 타이머(320))를 가동하는 방식으로 운전ㅇ제어될 수 있다.
다음으로 유해원 퇴치부(100)는 기본적으로 기피제 살포부(110)를 비롯하여, 초음파 발생부(120), 기피음 발생부(130), 광 발생부(140) 및 감전 퇴치부(150)의 일부 또는 모두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피제 살포부(110)는 구체적으로 간이 또는 긴급 사용시 활용되며 자체 탱크에 주입된 가스압에 의하여 밸브 개방시 기피제를 배출하는 스프레이 타입(단거리 살표용), 주로 조류 퇴치형으로 사용되며 별도의 가스 탱크에 구비된 캐리어 가스압에 의하여 기피제(bird-repllent)를 디스펜싱하는 디스펜서 타입(중거리 살포용), 송풍을 일으키는 대중소형 팬을 도입하고 기피제를 분사하여 원거리 및 광범위한 지역에 기피제를 살포하는 팬 타입(축사 등 시설 내부, 과수원, 농가 등)(원거리 및 광역 살포용), 그 외 연기를 이용하여 최장거리 및 최광역 살포 용도로 사용되는 연기타입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기피제 살포부(110)의 작동 시작 및 중단은 자동으로 진행하거나, 수동으로 유무선 제어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 구체적으로 기피제 살포부(110)는 기피제 저장부(110), 상기 기피제 저장부와 연결된 기피제 펌핑수단, 상기 기피제 저장부 및 펌핑수단과 연결된 살포노즐(1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펌핑'수단이라는 용어는 좀 더 정확하게는 상기 가압 가스와 풍력을 발생시키는 팬, 연기 등을 포함하는 살포수단(또는 분사수단이나 확산수단)을 대표하여 지칭하는 것일 뿐이며,
또 '기피'제는 유해원 기피 제제 또는 농약 등의 살균제 등 유해원을 ??아 버리는 구축(驅逐) 또는 제거 물질 또는 약품을 대표하여 지칭하는 것일 뿐이며,
이들 용어의 선택 사용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기피제는 예를 들어 각종 조류들이 싫어하는 냄새를 지닌 가스 및 액체일 수 있다.
상기 살포노즐(113)에는 회전수단(113a)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회전수단은 별도의 선회 수단(모터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피제의 분사 배출 압력 자체에 의하여 선회헤드가 중력방향을 제1축(또는 도 2의 퇴치시스템 하우징의 상하 축)으로 360도 회전하고, 제1축선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경사 배열된 제2축에 대하여 역시 360도 회전하는 형태가 되도록 내부에 바람개비와 같은 나선구조물을 도입하여 분출하는 기피제가 나선구조물과 충돌하여 제1 및 제2축선에 대하여 살포노즐(113)을 회전시키도록 한 형태로 회전수단(113a)을 구성하여 퇴치시스템(P) 설치 반경 내 전영역에 기피제를 살포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기피제 조정부(111)에서 기피제를 살포하는 펌핑수단은 통상의 가압 펌프(115) 또는 컴프레샤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110V 또는 220V 등 상용전원(220)이나 배터리(230), 나아가 태양광전지(210) 등의 전원부(200)를 도입하기 어렵거나 이들 전원부(200)의 전원을 펌핑수단에 적용하기 어려운 경우를 대비하여
퇴치시스템(P) 하우징 자체에 내장된 가스의 압력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펌핑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무동력 펌핑수단을 구성하는 가압가스(117)는 가스탱크(117A), 특히 원기둥형 퇴치시스템 하우징의 형상과 오뚝이 타입으로 구성된 웨이트(W)를 구비한 형태에 맞게 하중 배열이 수직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열되도록 하기 위하여 기피제 저장부(111), 특히 희석탱크(111A) 외곽에 중공 원기둥 형태의 공간을 이루며 배열된 가스탱크(117A)를 포함한다.
나아가 장시간 사용을 위하여 액체 형태로 가스탱크(117A)에 가스가 저장되는 경우, 원활한 살포 또는 펌핑 압력을 보장하기 위하여 희석탱크(111A)와 가스탱크(117A) 사이에는 별도의 기화챔버(117B)가 역시 같은 이유로 중공 원기둥 형태의 공간을 이루며 배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스탱크(117A)의 액화가스와 기화챔버(117B)의 기화가스는 각각 밸브를 구비한 별도의 연결관(L1)(L2)(하우징 상면 구비)(도 3 및 도 2 참조)을 통하여 이어져 있다.
한편, 퇴치시스템(P)을 구성하는 하우징은 동절기 또는 초봄이나 늦가을, 기타 봄가을의 산악 지형에서도 기화제 또는 가압가스의 원활한 소통 및 배출을 보장하기 위하여 보온재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전열 또는 화학 히터를 포함할 수 있고, 또 부동액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산악지형이나 대단위 농장 지역에서 기피제가 중단 없이 원활히 공급되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의 고농도 농축 기피제가 저장된 약액 탱크(111B)가 구비되고, 희석탱크(111A)의 저면까지 탐지할 수 있는 농도감지센서(111C)와 마이컴(PC)의 판독ㅇ제어에 의하여 약액이 희석탱크에 주입되어 기준값에 맞는 농도로 희석되며,
희석액은 수용성 기피제인 경우 빗물을 전적으로 또는 보충 용도로 이용할 수 있고, 빗물의 저작을 위하여 하우징 상부에는 깔때기(F)가 구비되어 있고, 이물질 유입 방지를 위하여 깔때기(F)에는 필터(F1)(또는 유입 배관상에 구비 가능)가 구비되며, 깔때기(F)의 유로 개폐 밸브의 개방은 퇴치시스템(P)의 휴지시 또는 우천시 이를 자동 감지하거나 유무선 통신에 의한 외부 조작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피제 살포부를 포함하는 유해동물 및 병해충 퇴치시스템(P)이 복수의 장소에 설치되거나 원격지에 설치되는 경우 퇴치시스템의 관리, 감시, 유지를 위하여 유선(410) 또는 무선(420), 또는 이들 모두로 이루어진 통신부(400)가 구축될 수 있다.
유선(또는 무선) 통신부(410)로 연결되는 중앙통제부(R1)는 예를 들어 RS232C 또는 LAN 케이블 및 해당 모뎀으로 퇴치시스템과 연결될 수 있다.
또 무선 통신부(420)는 바이너리 CDMA(Binary 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 지그비(Zigbee) ,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 (Infrared Data Association), 초광대역 무선통신(UWB: Ultra Wide Band) 및 IEEE802.11n 신호 방식 등을 포함한다.
무선통신부(420)를 통한 무선제어부(R2)는 리모트컨트롤러(Rb)나 알맞게 구축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탑재된 스마트폰(Ra)일 수 있다.
나아가 각종 부위에 장착된 전동밸브, 펌핑수단을 구성하는 가압 펌프(115)나 컴프레샤, 유해원감지부(310)의 센서, 타이머(320), 오류감지부(33), 후술하는 오작동감지부(160), 통신부(400), 이동수단(T), 퇴치부(100) 등, 퇴치시스템(P)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필요한 동력을 공급하는 전원부(200)는 태양광전지(210), 110V 또는 220V 등 상용전원(220) 및 배터리(230)의 일부 또는 전부로 구성될 수 있고, 배터리(230)는 태양광전지(210) 또는 상용전원(220)에서 충전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농장이라도 전신주와 급전케이블이 도입된 지역이 대부분이나, 그렇지 않은 오지, 신개척지, 산악지역에서는 태양광전지(210) 및 배터리(230)가 긴요하다.
또 최근 많은 다양한 기술이 개발된 태양광전지(210)는 태양의 계절별ㅇ시간별 고도 변화에 맞게 이를 태양추적센서(213)를 통하여 추적하며, 그에 맞게 태양을 추적/변위하는 모터(211)를 도입한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퇴치부(100)와 관련하여 복합 퇴치부 구성을 위하여 기피제 살포부(110) 외에 상기 퇴치부는 초음파 발생부(120), 기피음 발생부(130), 광 발생부(140) 및 감전 퇴치부(150)읠 일부 또는 모두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러한 복합 퇴치부(100)는 주작동 퇴치부(예: 기피제 살포부(110))가 작동불량 상태에 있는 경우 이를 센싱하는 오작동 감지부(160)(기피제 배출 압력, 초음파 세기, 기피음 세기, 기피광 세기, 퇴치 전력 세기 등의 감지를 통한 판단 등의 방식으로 구성됨)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컴(PC)은 상기 감지부(160)의 오작동 센싱시 다른 정상 부작동 퇴치부(예: 초음파 발생부(120))를 가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오작동 감지부(160)는 또 통보부(161)를 갖는데, 통보부는 퇴치부(100)의 오작동 감지시 개별 퇴치시스템(P) 주변에 발광이나 음성, 가독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알리는 것 외에,
유무선 통신부(410)(420)과 연계하여 특정 메시지를 포함한 데이터들을 유선통신망을 통해 원격지 중앙통제부(R1)로 전송하여 시스템 운용자에게 알리거나, 해당 상황 관련 데이타들을 무선으로 송출하여 역시 원격지의 관리자 또는 시스템 운용자가 소지한 무선 수신기(스마트폰 포함)에 송신하여 알리는 기능을 수항할 수 있다.
상기 복합 퇴치부(100)에서 초음파 발생부(120)는 병해충이나 유해 조류를 ??기 위한 초음파(주파수)를 발산하는 장치이고,
기피음 발생부(130)는 맹금류(쥐 등의 구축용)나 호랑이 등의 맹수 소리를 녹음기(131)(도 3 참조)(테이프, CD, MD, MP3 파일 등)에 녹음하였다가 틀거나 기타 경보음을 발하는 형태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기피음 발생부를 구성하는 스피커를 통하여 유무선 통제ㅇ제어부(R1)(R2)에서는 산불 대피 경고, 홍보 또는 공지 사항 알림, 실종자 수색 등의 실시간 방송이나 녹음 사항 재생 방송 및 경보 등을 수행하도록 활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감전퇴치부(150)는 통상의 모기 감전 기구와 같은 것이거나, 좀 더 고압 전류가 도통되는 감전퇴치부를 구성하여 고라니나 멧돼지까지 ??도록 구성할 수 있다. 모기 등의 해충 감전 '퇴치'(또는 살상)부(150)일 경우에는 일종의 광 발생부(140)를 구성하는 집충광(143)을 함께 사용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 발생부(140)는 집충광(143) 또는 유사 개념으로 조류 및 포유류 등을 유인하는 집유광(集誘光) 발생부이거나, 섬광 등의 강렬한 빛이나 싫어하는 파장대의 빛을 이용하는 기피광(141) 발생부로 구성될 수 있다.
그 외 퇴치부(100)는 자장, 전자파, 물리적 타격 등과 같은 다양한 기피(또는 구축) 자극 발생기구를 이용하여 추가 또는 대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피제 살포부를 포함하는 유해동물 및 병해충 퇴치시스템(P)은 추가적으로 유무선 원격 또는 퇴치시스템 설치 현장에서 현장 상황이나 계절, 일기 등에 맞게 퇴치부(100)의 주작동 퇴치부와, 2순위(또는 3, 4 순위 이상) 부작동 퇴치부를 설정하며(또는 둘 이상의 퇴치부가 주(主) 또는 부(副) 동순위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주감지 센서와, 2순위(또는 3, 4 순위 이상)의 부감지 센서를 설정하며(또는 둘 이상의 퇴치부가 주(主) 또는 부(副) 동순위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유해원 근접시 퇴치부의 동작 횟수 또는 동작시간 역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작동상태 설정부(일종의 컨트롤 패널)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오작동 감지부(160)는 주(主) 또는 부(副) 퇴치부의 오작동 여부를 감시ㅇ감지하는 것은 물론 작동상태 설정부에서 설정된 횟수나 시간만큼 퇴치부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이를 감지하고 통보부(161)를 통하여 관리자나 운영자에게 알리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피제 살포부를 포함하는 유해동물 및 병해충 퇴치시스템(P)은 농장, 논밭, 과수원, 산림구역, 해안가, 축사(소, 돼지, 가금류 등의 우리), 도심 주택가(아파트 지역 포함), 가로등, 전신주, 공원, 활주로, 기타 공공시설, 기타 건축물 등에 다양하게 설치하여
모기나 파리 등을 ??고 살충하며, 쥐, 고라니, 멧돼지 등으로 인한 피해나, 까치 등의 야생조류로 인한 피해를 막고, 그 외 조류들의 배설물 등으로 인한 정전사고 방지, 비행기의 안전사고 방지 등에 기여할 수 있다.
나아가 퇴치시스템(P)에는 추가적으로 감시카메라를 설치하여 주변상황을 상시, 주기적, 촬영 조작시 촬영하고, 저장하며,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퇴치부(100) 중 기피광(141) 또는 집충광(143) 등의 용도로 활용되는 광 발생부(140)에 사용될 수 있는 고휘도, 절전형 LED 조명장치를 살펴본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유해동물 및 병해충 퇴치시스템(P)용 광 발생부(SL)는
엘이디(11)가 실장된 피씨비(13)로 구성되는 광원(10)과 외부체(20A)와, 상기 광원(10)을 감싸고, 상기 외부체(20A)와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내부반사판(20B)을 포함하는 반사갓(20) 및 상기 광원(10)이 연결되는 방열체(30)와, 상기 방열체(30)와 접촉되는 히트파이프(40)와, 상기 방열체(30)와 상기 히트파이프(40)의 접촉부위 내측에 형성되는 공기소통로(S)로 구성되는 방열수단(HS)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원(10)은
엘이디(11)와, 이 엘이디(11)가 실장된 피씨비(13)로 구성되고, 방열수단(HS)의 방열체(30) 외측에 연결된다.
상기 광원(10)은 상기 피씨비(13)에 상기 엘이디(11)를 실장하여 구성되고, 기본적으로 기둥형으로 구성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종래와 같이 고(高)와트 구동 엘이디 및 렌즈를 활용하여 원하는 조도를 확보하는 대신에,
2단 절곡형 반사판을 사용하여 저(低)와트 구동 엘이디(11)와 2단 절곡형 반사만으로도 동일하거나, 또는 우수한 고조도 조명, 예컨대 투광용 LED 조명장치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광원(10)의 평판이고, 스트립타입으로 구성된 다수의 피씨비(13)를 방열수단(HS)의 방열체(30) 외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접착되어 전체적으로 기둥 형태를 가지나,
상기 엘이디(11) 및 피씨비(13)의 구조, 형태, 크기, 수 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사갓(20)은
상기 광원(10)을 감싸도록 구성되어 상기 광원(10)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굴절 및 반사를 통하여 외부로 빛을 조사하게 된다.
상기 반사갓(20)은 상호 이격공간을 갖는 외부체(20A)와, 내부반사판(20B)으로 구성되어 상기 광원(10)이 상기 내부반사판(20B)에 의하여 감싸여지고,
이때 상기 내부반사판(20B)은 상기한 바와 같이 2단(또 다단) 절곡형 반사판으로 이루어져 있어 저(低)와트 구동 엘이디(11)를 사용하여도 고(高)와트 구동 엘이디(11) 및 렌즈를 활용하는 경우와 동일하거나, 또는 우수한 고조도 조명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외부체(20A)는 외면이 매끄러운 곡면을 구성하는데,
필요에 따라 방열특성 향상을 위하여 내부 또는 외부, 또는 이들 모두에 방열핀(38)을 형성할 수 있고, 또 소재를 방열성과 경량화를 위하여 다양한 소재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일례로 알루미늄 소재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사갓(20)을 덮는 커버(6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윈도우(61)가 구비되고, 상기 윈도우(61)를 밴드(63) 및 클립과 같은 결착수단을 이용하여 외부체(20A)의 테두리에 고정시키게 되며,
상기 커버(60)의 윈도우(61) 중심부에는 통공(61a)이 형성되어 방열수단(HS)의 공기소통로(S)를 윈도우(61)가 덮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통공(61a) 주변의 윈도우(61) 하면에는 방열수단(HS)의 방열체(30) 상면이 배열되므로 상기 윈도우(61)와 방열체(30)를 고정시키기 위해 결속링(65)이 구비되는데,
방열수단(HS)의 방열체(30)에는 상부에는 홈 형태의 결합부(36)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결속링(65)에는 내측에는 방열체(30)의 결합부(36)에 대응하는 결합공(65a)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결속링(65)의 결합공(65a)과, 방열체(30)의 결합부(36)와 중첩시킨 후,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결속링(65)에 의하여 윈도우(61)와 방열체(30)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결속링(65)의 하면과 윈도우(61)의 상면 사이, 또는 상기 윈도우(61)의 하면과, 방열체(30)의 상면 사이에는 패킹부재(미도시)가 구비되어
물이나, 습기,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조명 내부, 즉 상기 내부반사판의 내측면과 방열수단(HS)의 방열체(30) 외측면 사이의 공간으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광원(10)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본 발명에 따른 유해동물 및 병해충 퇴치시스템(P)용 광 발생부(SL)는 방열수단(HS)을 포함하는데, 상기 방열수단(HS)은 방열체(30), 히트파이프(40) 및 공기소통로(S)로 구성되어 엘이디(11) 광원(10)으로부터 방출 열을 방출시키고, 공기의 순환 대류현상을 유도하여 방열 및 냉각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핵심 기술 중 하나의 방열수단(HS)은 상기 광원(10)이 연결되는 방열체(30)와, 상기 방열체(30)와 접촉되는 히트파이프(40)와, 상기 방열체(30)와 상기 히트파이프(40)의 접촉 부위 내측에 형성되는 공기소통로(S)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5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열수단(HS)의 방열체(30)는 중공(30a)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열체(30)의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돌기(31)가 형성되며, 상기 각 돌기(31) 사이에는 접착면(32)이 형성되어 상기 광원(10)의 피씨비(13)가 부착되고,
이때 사용되는 접착제는 솔더링이나, 써멀 그리스 등과 같은 내열성을 가져 열변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방열체(30)의 접촉면에 광원(10)의 피씨비(13)를 접착제에 의하여 부착시킨후, 안정적인 고정을 위하여 기둥 형태를 이루는 피씨비(13)의 하단부에 링체(15)를 장착시켜 안정적인 지지구조 구현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피씨비(13)와 링체(15)를 납땜하여 지지구조를 보다 견고히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링체(15)에는 전원선이 연결되고, 상기 링체(15)와의 접촉 부위인 피씨비(13)의 하단부에는 단자부가 구비되어 링체(15)와 광원(1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방열체(30)의 내측에는 방사상으로 다수의 삽입부(33)가 형성되어 히트파이프(40)가 끼워지고,
상기 삽입부(33)에 내측면 즉, 방열체(30)의 내면은 평면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히트파이프(40)의 일면(반지름 방향을 기준으로 히트파이프(40)의 외측면)과 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방열체(30)의 외측면과 내면은 상기 접착면(32)과 상기 삽입부(33)의 내측면에 의하여 대략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상기 삽입부(33)는 내측으로 오픈된 개구부(34)가 구비되어 삽입부(33)와 공기소통로(S)를 연통시킴으로써 삽입부(33)에 끼워진 히트파이프(40)의 타면(반지름 방향을 기준으로 히트파이프(40)의 내측면)을 공기소통로(S)에 노출시켜 냉각공기와 접하도록 하여 냉각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33)와 히트파이프(40)의 접촉면에는 상기 슬릿(35)이 형성되어 있어 이 슬릿(35)에 접착제를 투여하여 방열체(30)에 히트파이프(40)를 부착시키거나,
또는 히트파이프(40)가 삽입부(33)에 억지 끼워지는 형태로 삽입되는 경우에는 굳이 접착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슬릿(35)은 통기를 위한 슬릿(35)으로 작용하여 방열체(30)의 내면과 히트파이프(40)의 외측면 사이에 공기를 소통시켜 냉각기능을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각 삽입부(33) 사이에는 결합부(36)가 형성되어 상부 결합부(36)는 상기한 바와 같이 결속링(65)에 의하여 방열체(30) 상면에 윈도우(61)를 결합시키게 되고,
하부 결합부(36)는 방열체(30) 하면에 방열판(50)을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각 결합부(36) 양측에는 방열돌기(37)가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각 방열돌기(37)에는 양측방향으로 방열핀(38)이 구비되어 있어 공기소통로(S)를 통하여 순환하는 냉각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넓혀 방열 및 냉각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방열핀(38)은 각 방열돌기(37)에 다수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연속되거나, 또는 분절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열수단(HS)의 히트파이프(40)는 평판이고, 스트립타입으로 이루어져 상기 방열체(30)의 각 삽입부(33)에 끼워지는 접촉부(41)와, 상기 접촉부(41)의 하부 부분을 외측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접촉날개부(43)로 구성된다.
상기 히트파이프(40)의 접촉부(41)는 상기 삽입부(33), 즉 방열체(30) 내면에 접촉되어 상기 방열체(30)의 외측면에 연결된 광원(10)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게 하여 방열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히트파이프(40)의 접촉부(41)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방열체(30)의 개구부(34)에 의하여 내측면이 공기소통로(S)에 노출되어 있어 공기소통로(S)를 순환하는 냉각공기에 의하여 냉각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방열수단(HS)에는 방열판(50)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방열판(50)은 이중체, 즉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방열판(50A)과, 하부에 위치하는 제2 방열판(50B)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 방열판(50)에는 공기소통로(S)를 형성하기 위해 통기공(51)이 중심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방열판(50)의 통기공(51) 주변에는 상기 방열체(30)의 결합부(36)에 대응하는 제1 체결공(52)이 형성되고, 상기 각 방열판(50)의 제1 체결공(52) 외측에는 제2 체결공(53)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각 방열판(50)의 제1 체결공(52)에 볼트를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관통 삽입하여 상기 방열체(30)의 결합부(36)에 체결하여 방열판(50)과 방열체(30)를 결합하게 되고,
이 경우 상기 제1 방열판(50A)의 제1 체결공(52)은 내측방향으로 돌설된 돌출부(54)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방열판(50B)의 제1 체결공(52)은 상기 통기공(51) 주변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방열체(30)와 각 방열판(50)의 체결 시, 상기 제2 방열판(50B)의 상면에 상기 제1 방열판(50A)의 돌출부(54)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열체(30)와 상기 각 방열판(50)의 결합 시, 각 방열판(50) 사이에 상기 히트파이프(40)의 접촉날개부(43)를 중첩 배열되도록 함으로써 히트파이프(40)와 각 방열판(50)간의 접촉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히트파이프(40)의 접촉날개부(43)는 평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각 방열판(50)에서 상기 접촉날개부(43)와의 접촉면 역시 평면 형태로 이루어진 밀착부(55)가 구비되어 히트파이프(40)와 각 방열판(50)간의 접촉 면적을 넓혀줌으로써 방열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 방열판(50)의 밀착부(55) 사이에는 다수의 통기구멍(56)이 형성되어 있어 공기의 순환을 원활히 할뿐만 아니라, 상기 통기구멍(56)은 살빼기 역할을 부수적으로 부여하여 재료의 절감과 장치의 경량화에 일조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해동물 및 병해충 퇴치시스템(P)용 광 발생부(SL)는 상기 방열수단(HS)을 구성하는 방열체(30), 히트파이프(40) 및 방열판(50)이 상호 접촉되어 엘이디(11) 광원(10)에서 발생하는 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출시키게 되고,
특히 상기 방열수단(HS)은 방열체(30), 히트파이프(40) 및 방열판(50) 상호간의 접촉 뷔위 내측에 공기소통로(S)가 형성되어 있어 방열 및 냉각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즉 상기 공기소통로(S)는 방열체(30)의 중공(30a)과, 상기 각 방열판(50)의 통기공(51)에 의하여 형성되어 상호 접촉되어 있는 방열체(30), 히트파이프(40) 및 각 방열판(50)의 중심에 형성됨으로써 냉각공기의 순환 대류현상을 유도하여 조명 내부를 냉각시키고, 고온 열을 배출시켜 방열특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방열판(50)에는 상기 반사갓(20)이 연결되는데,
상기 반사갓(20)의 하면과 상기 제1 방열판(50A)의 상면을 맞닿게 한 후, 상기 각 방열판(50)의 제2 체결공(53)에 볼트를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체결하여 방열판(50)에 반사갓(20)을 연결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반사갓(20)의 상면에는 고정링(28)이 구비되고, 이 고정링(28)에는 관통공(28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한 바와 같이 볼트에 의하여 체결됨으로써 방열판(50)과 반사갓(20)을 결합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반사갓(20)의 내측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공기소통로(S)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방열체(30)의 하부 부분이 관통되어 상기 방열판(50)과 방열체(30)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를 벽이나, 구조물에 설치하기 위해 고정브래킷(70)이 더 구비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제2 방열판(50B)의 가장자리에는 하방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돌출연결부(57)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브래킷(70)이 결합된다.
상기 고정브래킷(70)은 대략의 형상이 'U'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브래킷(70)의 양단에는 삽입공(71)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연결부(57)에는 상기 삽입공(71)에 상응하는 대응삽입공(57a)이 형성되어 볼트와 너트(B)를 삽입공(71)과 대응삽입공(57a)에 체결하여 상기 제2 방열판(50B)과 고정브래킷(70)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브래킷(70)에는 복수의 장착공(73)이 형성되는데, 상기 장착공(73)은 원형 형태와 장공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조명이 설치되는 장소의 구조나 형태에 따라 조명의 설치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에서 기피제의 종류, 태양광의 추적방식, 배터리의 구체 사양, 기타 퇴치부의 구체 작동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을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해동물 및 병해충 퇴치시스템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P : 병해충퇴치 시스템 W : 무게추 PC : 마이컴
T : 이동수단 Ta : 자력이동수단 Tb : 타력이동수단
100 : 퇴치부 110 : 기피제 살포부 111 : 기피제 저장부 111A : 희석탱크 111B : 약액탱크 111C : 농도감지센서
113 : 살포노즐 113a : 회전수단 115 : 가압펌프
117 : 가압가스 117A : 가스탱크 117B : 기화챔버
120 : 초음파발생부 130 : 기피음발생부 140 : 광발생부
141 : 기피광 143 : 집충광 150 : 감전 퇴치부
160 : 오작동감지부 161 : 통보부 200 : 전원부 210 : 태양광전지 211 : 추적변위모터 213 : 태양추적센서
220 : 상용전원 230 : 베터리 300 : 퇴치부 작동부 310 : 유해원감지부 311 : IR센서 313 : 초음파센서
315 : 마이크로파센서 320 : 타이머 330 : 오류감지부
400 : 통신부 410 : 유선통신부 420 : 무선통신부
R1 : 중앙통제부 R2 : 무선제어부 Ra : 스마트폰 Rb : 리모트콘트롤러 F : 깔때기 F1 : 필터
W1 : 물 주입벨브 W2 : 드레인벨브 Pm : 퇴치시스템
TP : 기둥부재
S : 공기소통로 B : 볼트(또는 볼트 및 너트) HS : 방열수단
10 : 광원 11 : 엘이디 13 : 피씨비
15 : 링체 20 : 반사갓 20A : 외부체
20B : 내부반사판 28 : 고정링 28a : 관통공
30 : 방열체 30a : 중공 31 : 돌기
32 : 접착면 33 : 삽입부 34 : 개구부
35 : 슬릿 36 : 결합부 37 : 방열돌기
38 : 방열판 40 : 히트파이프 41 : 접촉부
43 : 접촉날개부 50 : 방열판 50A : 제1방열판
50B : 제2방열판 51 : 통기공 52 : 제1체결공
53 : 제2체결공 54 : 돌출부 55 : 밀착부
56 : 통기구멍 57 : 돌출연결부 57a : 대응삽입공
60 : 커버 61 : 윈도우 61a : 통공
63 : 밴드 65 : 결속링 65a : 결합공
70 : 고정브라켓 71 : 삽입공 73 : 장착공

Claims (9)

  1. 유해동물 또는 병해충과 같은 유해원 감지부;
    기피제 저장부, 상기 기피제 저장부와 연결된 기피제 펌핑수단, 상기 기피제 저장부 및 펌핑수단과 연결된 살포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기피제 살포부를 포함하는 유해원 퇴치부;
    상기 감지부에 의하여 유해원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퇴치부를 가동하는 퇴치부 작동부; 및
    퇴치부, 감지부, 작동부를 제어하는 마이컴;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해동물 및 병해충 퇴치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퇴치부는 초음파 발생부, 기피음 발생부, 광 발생부 및 감전 퇴치부의 일부 또는 모두를 더 포함하고,
    이들 퇴치부들 중 주작동 퇴치부가 작동불량 상태에 있는 경우 이를 센싱하는 오작동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감지부의 오작동 센싱시 다른 정상 부작동 퇴치부를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및 병해충 퇴치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원 감지부는 IR 센서, 초음파 센서 및 마이크로파 센서와 같은 복수의 센서들로 구성되고,
    센서들 중 주감지 센서가 감지불량 상태에 있는 경우 이를 센싱하는 오류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감지부에 감지불량 센싱시 다른 정상 부감지 센서를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및 병해충 퇴치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유선통신부 또는 무선통신부, 또는 이들 모두로 구성된 통신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유선통신부는 중앙통제부와 연결되며, 상기 무선통신부는 리모트컨트롤러 또는 스마트폰과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및 병해충 퇴치시스템.
  5. 유해동물 또는 병해충과 같은 유해원 감지부;
    기피제 살포부를 포함하는 유해원 퇴치부;
    상기 감지부에 의하여 유해원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퇴치부를 가동하는 퇴치부 작동부;
    퇴치부, 감지부, 작동부를 제어하는 마이컴; 및
    퇴치부, 감지부, 작동부, 마이컴이 설치되고, 하단부가 라운드 형태의 외저면부를 갖고, 무게추를 구비한 오뚜기형 하우징;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해동물 및 병해충 퇴치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저면 일측에 물 주입 밸브 및 드레인 밸브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및 병해충 퇴치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원 퇴치부의 기피제 살포부는
    스프레이 타입(단거리 살표용), 가스압에 의하여 기피제(bird-repllent)를 디스펜싱하는 디스펜서 타입(중거리 살포용), 송풍을 일으키는 대중소형 팬을 도입하고 기피제를 분사하여 원거리 및 광범위한 지역에 기피제를 살포하는 팬 타입(원거리 및 광역 살포용), 연기를 이용하여 최장거리 및 최광역 살포 용도로 사용되는 연기타입 중 일부 또는 모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및 병해충 퇴치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원 퇴치부의 기피제 살포부의 살포노즐은
    기피제의 분사 배출 압력 자체에 의하여 선회헤드가 중력방향을 제1축으로 360도 회전하고, 제1축선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경사 배열된 제2축에 대하여 역시 360도 회전하는 형태가 되도록 내부에 바람개비와 같은 나선구조물을 도입하여 분출하는 기피제가 나선구조물과 충돌하여 제1 및 제2축선에 대하여 살포노즐을 회전시키도록 한 형태로 회전수단을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및 병해충 퇴치시스템.
  9.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퇴치부는 광 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이 광 발생부는 유해원에 대한 기피광 또는 집충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및 병해충 퇴치시스템.
KR1020130019488A 2013-02-22 2013-02-22 기피제 살포부를 포함하는 유해동물 및 병해충 퇴치시스템 KR101443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488A KR101443199B1 (ko) 2013-02-22 2013-02-22 기피제 살포부를 포함하는 유해동물 및 병해충 퇴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488A KR101443199B1 (ko) 2013-02-22 2013-02-22 기피제 살포부를 포함하는 유해동물 및 병해충 퇴치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679A true KR20140105679A (ko) 2014-09-02
KR101443199B1 KR101443199B1 (ko) 2014-09-23

Family

ID=51754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9488A KR101443199B1 (ko) 2013-02-22 2013-02-22 기피제 살포부를 포함하는 유해동물 및 병해충 퇴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3199B1 (ko)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45374A (zh) * 2015-08-03 2015-12-16 贵州省凤冈县朝阳茶业有限公司 一种用于生态茶园的牛舍
CN105794765A (zh) * 2016-03-21 2016-07-27 杭州儒燕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适用于电力输送的输电铁塔及其绝缘子驱鸟方法
KR20180001429A (ko) * 2016-06-24 2018-01-04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음원 탐지 및 IoT 기술을 적용한 유해 조수 퇴치 시스템
CN107960391A (zh) * 2018-01-25 2018-04-27 华东交通大学 一种烟草地昆虫诱杀装置
CN108770831A (zh) * 2018-05-02 2018-11-09 朱德仲 一种用于林业的新型驱虫灯
WO2018224105A1 (en) * 2017-06-08 2018-12-13 Anticimex Innovation Center A/S A device for pests
KR101959169B1 (ko) * 2018-08-09 2019-03-18 대양디아이 (주) 네트워크를 이용한 해충 퇴치 시스템
CN110122466A (zh) * 2019-06-13 2019-08-16 瑞安市浙工大创新创业研究院 一种田地驱虫用机械假人
CN111034702A (zh) * 2019-11-15 2020-04-21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嘉兴供电公司 一种智能电网运行避障系统及方法
KR20200086502A (ko) * 2019-01-09 2020-07-17 이원경 독립형 야생동물 퇴치기
KR102192002B1 (ko) * 2020-08-04 2020-12-16 주식회사 굿링크 해충 접근을 방지할 수 있는 감시 카메라 장치
KR102211636B1 (ko) * 2019-08-07 2021-02-03 대한민국 재난대피소용 해충방지시스템
KR20210017285A (ko) * 2019-08-07 2021-02-17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감염병 재난 대비를 위한 수직이동형 해충퇴치장치
KR20210028537A (ko) * 2019-09-04 2021-03-1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가 충전식 모기 기피 장치
KR102234765B1 (ko) * 2020-12-15 2021-04-02 주식회사 광진기업 멧돼지 퇴치기
CN112970736A (zh) * 2021-02-26 2021-06-18 邢浩 一种便于安装的果树类种植用驱鸟装置
EP3836782A4 (en) * 2018-08-01 2022-06-29 Romanova, Anastasiia Romanivna An eco-friendly mosquito control system
KR20220126585A (ko) * 2021-03-09 2022-09-16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객체 감시장치
CN117441700A (zh) * 2023-12-21 2024-01-26 北京市农林科学院智能装备技术研究中心 自主导航的玻璃温室绿色防控机器人及其喷洒消杀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770B1 (ko) * 2017-12-29 2019-10-10 주식회사 사람과세상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1975477B1 (ko) 2018-12-26 2019-05-09 주식회사 광진기업 IoT 딥러닝 카메라와 드론을 활용한 IoT 지능형 유해동물과 조류 방제장치를 이용한 퇴치 방법
US11241006B2 (en) 2019-05-16 2022-02-08 Bird Control Group Bv Modular device and system for deterring birds
KR102079247B1 (ko) 2019-06-19 2020-02-19 주식회사 서우 해충기피제 분사장치
KR102531690B1 (ko) 2020-11-25 2023-05-12 유한회사 평화스테인레스 Oled 및 빅데이터와 파장을 기반으로 하는 겹눈해충 퇴치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3307Y1 (ko) * 2000-03-20 2000-11-15 허상록 조류 퇴치장치
KR100414438B1 (ko) * 2001-12-05 2004-01-13 (주)미츠 조수 방제 자동화 시스템
KR100696989B1 (ko) 2005-06-21 2007-03-22 구건모 해충퇴치장치
KR100863107B1 (ko) 2007-05-04 2008-10-13 주식회사 세스코 자동 분사 장치의 인터렉티브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45374A (zh) * 2015-08-03 2015-12-16 贵州省凤冈县朝阳茶业有限公司 一种用于生态茶园的牛舍
CN105794765A (zh) * 2016-03-21 2016-07-27 杭州儒燕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适用于电力输送的输电铁塔及其绝缘子驱鸟方法
KR20180001429A (ko) * 2016-06-24 2018-01-04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음원 탐지 및 IoT 기술을 적용한 유해 조수 퇴치 시스템
WO2018224105A1 (en) * 2017-06-08 2018-12-13 Anticimex Innovation Center A/S A device for pests
CN107960391A (zh) * 2018-01-25 2018-04-27 华东交通大学 一种烟草地昆虫诱杀装置
CN108770831A (zh) * 2018-05-02 2018-11-09 朱德仲 一种用于林业的新型驱虫灯
EP3836782A4 (en) * 2018-08-01 2022-06-29 Romanova, Anastasiia Romanivna An eco-friendly mosquito control system
KR101959169B1 (ko) * 2018-08-09 2019-03-18 대양디아이 (주) 네트워크를 이용한 해충 퇴치 시스템
KR20200086502A (ko) * 2019-01-09 2020-07-17 이원경 독립형 야생동물 퇴치기
CN110122466A (zh) * 2019-06-13 2019-08-16 瑞安市浙工大创新创业研究院 一种田地驱虫用机械假人
KR20210017285A (ko) * 2019-08-07 2021-02-17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감염병 재난 대비를 위한 수직이동형 해충퇴치장치
KR102211636B1 (ko) * 2019-08-07 2021-02-03 대한민국 재난대피소용 해충방지시스템
KR20210028537A (ko) * 2019-09-04 2021-03-1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가 충전식 모기 기피 장치
CN111034702A (zh) * 2019-11-15 2020-04-21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嘉兴供电公司 一种智能电网运行避障系统及方法
KR102192002B1 (ko) * 2020-08-04 2020-12-16 주식회사 굿링크 해충 접근을 방지할 수 있는 감시 카메라 장치
KR102234765B1 (ko) * 2020-12-15 2021-04-02 주식회사 광진기업 멧돼지 퇴치기
CN112970736A (zh) * 2021-02-26 2021-06-18 邢浩 一种便于安装的果树类种植用驱鸟装置
KR20220126585A (ko) * 2021-03-09 2022-09-16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객체 감시장치
CN117441700A (zh) * 2023-12-21 2024-01-26 北京市农林科学院智能装备技术研究中心 自主导航的玻璃温室绿色防控机器人及其喷洒消杀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3199B1 (ko) 2014-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3199B1 (ko) 기피제 살포부를 포함하는 유해동물 및 병해충 퇴치시스템
US20180325097A1 (en) Repellant system and method
CN1762607B (zh) 光敏喷雾器系统
CN101657091B (zh) 飞行昆虫捕捉装置和飞行昆虫捕捉系统
US8430337B2 (en) Light-activated portable aerosol mist sprayer device
US20070175085A1 (en) Combination lamp and insect eliminator
US20150144713A1 (en) Repellant system and method
US20200404897A1 (en) Device for trapping damaging flying insects and method for counting insects trapped
KR101374685B1 (ko) 유해동물 퇴치장치
KR101943259B1 (ko) 다층구조의 태양광 led 조명등과 복수의 페르몬향 분출구가 구비된 끈끈이 해충 포획 트랩
KR20060027798A (ko) 개선된 유동 레귤레이터를 갖는 트랩
CA3015261A1 (en) Multi-functional pest management device
KR20210112965A (ko) 우수가림막과 다층구조의 태양광 엘이디조명등이 구비된 끈끈이 해충 포획 및 야생동물 퇴치 트랩
KR200431848Y1 (ko) 친환경 해충 포획기
WO2016037484A1 (zh) 太阳能灭虫器
CN202456166U (zh) 一种能定位追踪的太阳能诱虫器
KR101811915B1 (ko) 조류 퇴치장치
EP3772279A1 (en) Device and process for massive capture of olive flies - adhesive model
JP3872064B2 (ja) 誘蛾灯装置
CN205402428U (zh) 一种具有净化空气功能的多功能声控灯
CN207411310U (zh) 一种多功能杀虫灯
CN105815295A (zh) 一种多功能太阳能频振式杀虫灯
CN201054830Y (zh) 光触媒灭虫照明装置
CN207678702U (zh) 一种智能种植防护装置
JPH013741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