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429A - 음원 탐지 및 IoT 기술을 적용한 유해 조수 퇴치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원 탐지 및 IoT 기술을 적용한 유해 조수 퇴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429A
KR20180001429A KR1020170024255A KR20170024255A KR20180001429A KR 20180001429 A KR20180001429 A KR 20180001429A KR 1020170024255 A KR1020170024255 A KR 1020170024255A KR 20170024255 A KR20170024255 A KR 20170024255A KR 20180001429 A KR20180001429 A KR 20180001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acoustic
unit
harmfu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4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6222B1 (ko
Inventor
길민식
최성연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길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길민식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80001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08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reflection, colours or films with specific transparency or reflectivit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1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light sources, e.g. lasers or flashing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Bird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유해 조수 퇴치 시스템은 조류, 설치류, 포유류의 유해 동물의 음원 정보를 탐지하고, 해당 지역의 유해 동물의 유형별로 최적화된 퇴치 방법을 실행하여 유해 동물을 퇴치하며, 설치 장소에 구애받지 않은 최적화된 모듈형으로 제작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해 조수 퇴치 시스템의 설치 면적을 제한하지 않으며 이동형 설치가 가능하여 야생 동물, 조류, 두더지 등 다양한 유해 동물을 퇴치할 수 있어 유해 동물 퇴치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원 탐지 및 IoT 기술을 적용한 유해 조수 퇴치 시스템{Vermin Prevention System based on IoT Technology with Sound Detection}
본 발명은 유해 조수 퇴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류, 설치류, 포유류의 유해 동물의 음원 정보 및 센서를 이용한 정보를 탐지하고, 해당 지역의 유해 동물의 유형별로 최적화된 퇴치 방법을 실행하여 유해 동물을 퇴치하며, 설치 장소에 구애받지 않은 최적화된 모듈형으로 제작된 유해 조수 퇴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알려진 많은 피해를 주는 유해 야생동물로는 조류(비둘기, 까치, 꿩, 오리 등), 설치류(쥐, 청설모 등), 포유류(멧돼지, 고라니, 들고양이 등) 등이 있다.
2009년 환경부의 통계에 따르면, 이러한 유해 동물들은 전력 시설, 농작물, 양식장, 항공기, 군부대 등에 연간 약 489억원의 피해를 입힌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러한 유해 동물을 퇴치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재래식 총포, 전기울타리, 조류 포획 트랩, 퇴치벨, 후각을 이용한 친환경 기피제의 사용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유해 동물을 퇴치하는데 사용되는 퇴치벨, 전기울타 등은 야생 동물의 침입을 막아주는데는 효과적이나 조류에 대한 대응이 불가능하고, 설치 비용과 유지관리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전기 울타리는 감시하는 사람들까지 전기 감전의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퇴치벨의 경우 시스템 불안정화로 정상적인 상황에서도 오경보를 남발하여 신뢰성에 문제가 많으며 고가의 비용을 들여 도입하고도 사용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동체감지센서, 적외선 센서, 스피커, 조명 등을 활용하여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에 구축되기도 했으나, 잦은 오류 발생, 전원 공급 미비, 옥외 환경(습도, 온도)의 변화에 기인한 신뢰성 미비 등 효과 대비 비용적인 측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멧돼지나 고라니는 최근 개체수가 급격하게 늘어나 밭이나 모지 등에 피해를 주는 주요 유해 야생동물이다.
멧돼지는 밤에 먹이를 찾아다니는 야행성이며, 고라니는 밤낮을 가리지 않고 행동하는 동물이나, 경보 사이렌 등의 경보음으로 이들의 퇴치 효과가 미약하며 밤에만 조명하는 장치로 퇴치 효과가 미비하다.
또한, 과수원, 공원, 비행장, 각 건물에서는 비둘기, 까치 등의 조류에 의해 많은 피해를 보고 있으나, 이러한 조류에 대하여 종래의 퇴치벨이나, 화학 약품(예를 들어 친환경 기피제), 철조망 등의 장치를 이용한 퇴치 방법은 소음 공해를 유발하거나 퇴치 종류가 한정적이어서 조류에 대한 퇴치 효과가 미비한 실정이다.
한편 종래에는 조류 퇴출을 위해서 농약과 같은 독극물, 허수아비, 꽹과리, 총 등의 원시적인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현재는 야생동물의 보호 및 과수원의 피해 경감을 위해 독살이나 사살보다 유해조류의 생태적 특성이나 습성을 이용한 퇴치 기술로 기술 방향이 전환되었다.
현재 조류 퇴치 기술로는 방조망 등의 물리적 격리 방법, 천적 모형 등의 시각적인 방법 외에 새가 내성을 갖지 않도록 다양한 천적 음향, 비주기적인 초음파 출력 장치 등을 이용한 청각적인 방법, 새가 먹이 탐색 시 높은 나뭇가지에 앉는 습성을 이용해 과수원의 높은 위치에 새덫을 설치하여 포획하는 방법, 자장을 이용하여 새의 방향 감각을 혼란시키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고 상품화되어 있다.
최근에는 피해 집중 시기인 수확기의 일손 부족 및 조류의 내성 문제로 2가지 이상의 조류 자극 발생 기구 및 조류 접근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무인 방조 시스템에 관한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상품화된 조류 퇴치장치들은 조류의 내성 문제 및 지역별, 과실별 유해 조류의 다양성으로 인해 100% 퇴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류, 설치류, 포유류의 유해 동물의 음원 정보 및 센서를 이용한 정보를 탐지하고, 해당 지역의 유해 동물의 유형별로 최적화된 퇴치 방법을 실행하여 유해 동물을 퇴치하며, 설치 장소에 구애받지 않은 최적화된 모듈형으로 제작된 유해 조수 퇴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유해 조수 퇴치 시스템은,
유해 동물의 음향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음향 센서와 센서 정보; 및
상기 각각의 음향 센서로부터 수신한 음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음원 신호를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고, 주파수 영역에서의 음원 구간을 검출하여 음원 구간의 음압, 음조, 음속, 주파수를 포함한 제1 음원 특징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한 제1 음원 특징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에 기저장된 유해 동물의 제2 음원 특징 정보를 음원 구간별로 비교하고 기설정된 음원 정보 및 임계 설정 데이터와 비교를 통하여 상기 유해 동물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해 동물에 대응하는 퇴치 음원 정보와 센서 정보들과의 제어 알고리즘을 통하여 유해 조수를 판별하고, 유해 조수 판별 시 경고등, 경고음, 무선 데이터 전송 중 하나 이상의 퇴치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유해 조수 퇴치 시스템의 설치 면적을 제한하지 않으며 이동형 설치가 가능하여 야생 동물, 조류, 두더지 등 다양한 유해 동물을 퇴치할 수 있어 유해 동물 퇴치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수동적이고 한정된 센서로 감지했던 종래의 유해 동물 차단 시스템의 구조적 한계를 개선하여 조류를 포함한 각종 유해 동물의 침입에 대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소리 발생지 탐지, 시각, 후각, 진동형 겸용의 위치 추적 기반 유해 동물 탐지 장치를 이용하여 조류를 포함한 각종 유해 동물의 침입에 대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유해 조수 퇴치 시스템의 설치 비용이 비교적 저렴하고 전기 감전에 의한 안전 문제가 없으며 설치 면적이 제한받지 않고 유지 비용이 절감되며, 퇴치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야생 동물로부터 농가 피해 방지 및 농작물 생산에 전념하게 하여 농가의 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으며, 부주의한 수렵 총포로 인한 인명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취약지 및 원격 농작물 시설에 대한 초동 대처로 사고 피해의 확장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후 처리 중심의 복원 업무에서 사전 감시 체계로 관리 인력 및 피해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해 조수 퇴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제어 장치와 노드 장치 간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해 동물용 빅데이터 수집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해 조수 퇴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제어 장치와 노드 장치 간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해 조수 퇴치 시스템(100)은 주제어 장치(110)와 노드 장치(130)를 구비한 동물 퇴치 장치, 괸리 서버(200) 및 관제 센터(300)를 포함한다.
동물 퇴치 장치는 조류 퇴출 부재(140)와, 상기 조류 퇴출 부재(140)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길이 방향으로 세워져 형성된 기둥부재(141)와, 상기 기둥부재(141)를 바닥면에 고정하는 받침대(142)와, 상기 기둥부재(141)의 일측에 결합된 상기 주제어 장치(110)를 포함하며, 상기 주제어 장치(11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노드 장치(130)를 위치시킨다.
조류 퇴출 부재(140)는 대략 사각뿔 형상으로 구성된 사각뿔 몸체(143)와, 상기 사각뿔 몸체(143)의 각각의 각뿔면에 기울기가 다른 하나 이상의 일면(144a, 144b, 144c)이 각각 포함된다.
사각뿔 몸체(144)의 각각의 각뿔면은 기울기가 다른 제1 면(144a), 제2 면(144b), 제3 면(144c)으로 이루어져 서로 다른 방향으로 태양광을 반사시킨다.
사각뿔 몸체(144)의 내부에는 상기 사각뿔 몸체(144)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결합된 회전축 부재(145)와 상기 회전축 부재(145)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46)가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로 각각의 각뿔면이 서로 다른 형상으로 구성하도록 각뿔면을 형성하는 면의 기울기 배열을 서로 동일하지 않게 구성할 수 있다.
각각의 각뿔면의 하나 이상의 일면(144a, 144b, 144c)에는 기울기가 다른 반사판을 부착한다.
상기 반사판의 일부에는 조류 퇴치용 홀로그램이 포함되며, 구동모터(146)에 의해 회전축 부재(145)가 회전되면 반사판이 회전하면서 여러 방향으로 조류가 싫어하는 파장의 광을 반사시킨다.
조류 퇴치용 홀로그램(미도시)은 일례로 해당 조류의 천적인 맹금류의 사진 또는 그림이 복수개 구비되고 반사판의 회전 시 맹금류가 살아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조류에게 극도의 공포감을 느끼게 하는 홀로그램으로 구성된다.
주제어 장치(110)는 다채널 센싱이 용이한 하드웨어 플랫폼에 임베디드 리눅스 기반 소프트웨어들로 구성되며, 육면체 형태의 일정 크기의 주제어 본체(110a)와, 상기 주제어 본체(110a)의 내부 또는 외주면에 제어모듈(120), 구동부(111), 영상 카메라(112), 멀티센서부(113), 주제어 통신부(114), 데이터베이스부(115), 스피커(116), 조명부(117), 음향 탐지부(118) 및 배터리부(119)를 포함한다.
제어모듈(120)은 노이즈 제거부(121), 도달시간차 계산부(122), 음향방향 추정부(123), 저장부(124) 및 제어부(125)를 포함한다.
영상 카메라(112)는 영상을 센싱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 센서(예컨대, CCD, CMOS 등) 또는 CCTV 등으로 구현된다. 구동부(111)는 영상 카메라(112)를 회전 구동하도록 컨트롤한다.
멀티센서부(113)는 온도 센서, 진동 센서, 습도 센서, 조도 센서, 동체 감시 센서, 환경 센서 등을 포함하고,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기상 센서, 토양 센서 등이 추가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각종 센서들을 선택적으로 추가할 수 있는 포트가 제공된다. 멀티센서부(113)는 블록화된 모듈로 측정 센서를 탑재할 수 있다.
음향 신호의 발생 위치에 따라 영상 카메라(112)를 틸트(tilt), 패닝(panning)의 기능에 의해 상하좌우 회전으로 감시 범위를 넓힐 수 있으며, 줌인(zoom in), 줌 아웃(zoom out)의 기능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원거리에서 감지되는 소리의 경우에도 보다 크게 촬영하도록 제어하여 세밀하게 관찰할 수 있다.
주제어 통신부(114)는 유무선 통신 모듈로서 노드 장치(130)의 노드 통신부(136)에 유선 또는 무선 연동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PLC, 이더넷, 와이파이, 지그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노드 장치(130)는 육면체 형태의 일정 크기의 노드 본체(131)와 상기 노드 본체(131)의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음향 센서, 노드 제어부(133), 스피커를 포함한 음향 방출 모듈(134), 조명등을 통해 빛을 방출하는 광원 방출 모듈(135), 노드 통신부(136) 및 태양광 충전 모듈(137)을 포함한다. 태양광 충전 모듈(137)은 노드 본체(131)의 상부면에 형성하여 태양광의 입사시켜 전기 에너지를 충전하는 모듈로 노드 장치(130)의 각 구성요소의 전원을 공급한다.
본 발명의 유해 조수 퇴치 시스템(100)은 주제어 장치(110)와 노드 장치(130)를 일정 거리 떨어져 배치하는 이원화 구조로 넓은 면적을 커버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향 센서(132)를 하나로 구성할 수 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 3과 같이, 4개의 음향 센서(132a, 132b, 132c, 132d)를 노드 본체(131)의 외주면에 형성한다고 가정한다.
4개의 음향 센서(132a, 132b, 132c, 132d)는 노드 본체(131)의 외주면에 설치할 수도 있고, 노드 본체(131)의 서로 90도만큼 회전된 4개의 브라켓(138a, 138b, 138c, 138d)에 설치될 수도 있다. 마주보는 음향 센서들의 간격을 적절히 조절하여 음원 발생 위치 및 방향의 추정에 대한 계산의 복잡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4개의 음향 센서(132a, 132b, 132c, 132d)는 가청음을 전기적인 에너지 변환기나 센서로 전달하여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으로 동물의 소리 음원으로부터 발생된 음향 신호를 수신한다. 음향 센서의 개수는 4개로 한정하지 않으며 3개, 5개 등 다양한 개수로 구성할 수 있다.
노드 제어부(133)는 각각의 음향 센서로부터 수신한 음향 신호를 노드 통신부(136)를 통해 주제어 장치(110)로 전송한다. 노드 통신부(136)는 유선 통신 및 무선 통신을 위한 와이파이, 이더넷, PLC 인터페이스 중 하나의 장치를 사용한다.
노이즈 제거부(121)는 복수의 음향 센서로부터 수신된 음향 신호를 입력 받고 입력 받은 음향 신호를 필터링하여 그 필터링한 결과로 음향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한다. 이때, 노이즈 제거부(121)는 LPF(Low Pass Filte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달시간차 계산부(122)는 노이즈 제거부(121)에 의해 노이즈가 제거된 음향 신호를 입력 받고 입력 받은 음향 신호들이 음원 발생위치로부터 각 음향 센서들에 도달하는 시간차인 도달시간차(Time Delay of Arrival, TDoA)를 산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신호들 간의 도달 시간차 산출 과정은 우선적으로 음원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음원 발생 여부 판단은 예를 들어 다수의 음향 센서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음향 신호 중 가장 먼저 수신된 음향 신호의 크기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지를 확인하고, 그 확인한 결과로 임계치 이상이면 음원으로부터 음향 신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한다.
일례로 음향 신호의 크기는 기 설정된 샘플링 주기 동안 수신된 음향 신호의 진폭값에 대한 절대치를 누적 합산한 값 즉, 적분값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음원 발생 여부 판단을 위한 음향 신호의 크기는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s(t)는 음향 센서에 도달하는 음향 신호, T는 샘플링 주기, S는 샘플링 주기 동안 음향 신호 크기의 적분값을 나타낸다.
전술한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되는 적분값은 동일한 샘플 주기 동안 음향 센서 각각에서 수신되는 음향 신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내는데, 이러한 이유는 음원이 발생된 후 각각의 음향 센서에 도달하는 거리가 다르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음향 신호의 크기로 [수학식 1]과 같이 기설정된 샘플링 주기 동안의 적분값을 사용하는 경우를 일 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음향 신호의 적분값의 크기는 복수의 음향 센서에 음향 신호가 도달하는 도달 시간차를 산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원으로부터 음향 신호가 음향 센서에 도달하는 경우 도달된 음향 신호의 적분값이 소정 크기 이상인 샘플링 주기의 시작점이 그 음향 센서에 음향 신호가 도달한 때라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음향 센서 각각에서 음향 신호의 적분값이 소정 크기 이상인 샘플링 주기의 시작점들에 대한 시간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경우, 복수의 음향 센서들 사이에서 음향 신호가 도달하는 도달 시간차를 산출할 수 있다.
음원방향 추정부(123)는 산출된 음향 신호들 간의 도달시간차를 이용하여 음원의 발생 방향을 추정하는데, 이러한 음원의 방향은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추정할 수 있다, 대표적인 알고리즘으로는 Talor 식을 이용한 Least Square 알고리즘, Maximum Likelihood 알고리즘, Closed-Form 알고리즘, 칼만 필터 알고리즘 등이 있다.
특히, Maximum Likelihood 알고리즘은 Likelihood ratio를 최대로 하는, 즉 측정 잔차에 대한 공분산을 최소로 하는 비용 함수를 이용하여 추정하는 방법으로서, 이에는 1994년 Chan과 Ho가 제안한 CH(Chan-Ho) 알고리즘이 가장 대표적이다.
CH 알고리즘은 선형화하지 않고 음원의 위치를 계산하는 알고리즘으로 음향 센서의 개수가 4개인 경우에 가장 잘 적용되는 알고리즘이다. 이에 따르면 TDoA 방식 즉 도달 시간에 대한 측정치의 차분 값과 음향 센서의 위치 값을 이용하여 음원의 위치를 구할 수 있다.
TDoA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도달시간차는 음원 발생 위치와 음향 센서들과의 거리의 차이에 비례하고, 음원 발생 위치와 음향 센서간의 거리 차(ri+1, ri)는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이 표현한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c는 음원의 전파 속도이고, Δti+1, i는 i번째 음향 센서와 i+1번째 음향 센서의 음원의 도달 시간차, ri+1, i는 음원 발생 위치로부터 i번째 음향 센서와 i+1번째 음향 센서까지의 거리의 차, ri+1는 음원 발생 위치로부터 i+1번째 음향 센서까지의 거리, ri는 음원 발생 위로부터 i번째 음향 센서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Ki를 다음의 [수학식 3]과 같이 놓고 r3,2r2,1r3,1을 계산하면 아래의 [수학식 4]로 표현된다. [수학식 4]는 다음의 [수학식 5]의 형태로 변경하고 [수학식 3]을 이용하면 다음의 [수학식 6]과 같이 (l1, m1, u1, v1)의 해를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동일한 방법으로 하기의 수학식 7, 8, 9와 같이 (l2, m2, u2, v2), (l3, m3, u3, v3), (l4, m4, u4, v4)를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음원방향 추정부(123)는 전술한 [수학식 5], [수학식 7], [수학식 8], [수학식 9]를 이용하면 다음의 [수학식 10]과 같이 표현되는 선형 방정식으로 만들 수 있고 이를 계산하여 음원 발생 위치인 (x,y,z) 좌표를 계산하며, 이로부터 음원 발생 방향을 추정한다.
Figure pat00010
저장부(124)는 음향 신호, 음향 신호들 간의 도달 시간차, 음원 발생 방향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제어부(125)는 음원방향 추정부(123)로부터 4개의 음향 센서(132a, 132b, 132c, 132d)의 각각에서 수신된 음향 신호들 간의 도달 시간차를 이용하여 음원 발생 위치 및 이격 거리 정보를 추정한다.
제어부(125)는 음원방향 추정부(123)로부터 수신한 음원 발생 방향을 기초로 구동부(111)를 제어하여 영상 카메라(112)를 회전시키며, 음원이 발생한 방향으로 회전된 영상 카메라(112)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25)는 복수의 음향 센서(132a, 132b, 132c, 132d)로부터 수신한 음향 신호에 대한 Noise Tracking, Noise Canceling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표준화된 데이터를 추출한다.
제어부(125)는 노이즈가 제거된 음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음원 신호를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고, 주파수 영역에서의 음원 구간을 검출하여 음원 구간의 음압, 음조, 음속, 주파수를 포함한 제1 음원 특징 정보를 분석한다.
제어부(125)는 분석한 제1 음원 특징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115)에 기저장된 유해 동물의 제2 음원 특징 정보를 음원 구간별로 비교하고 기설정된 음원 정보 및 임계 설정 데이터와 비교를 통하여 상기 유해 동물을 판단한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부(115)는 조류, 고라니, 맷돼지, 쥐 등의 유해 동물로 판정된 동물의 구간별 음압, 음속, 주파수의 제2 음원 특징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제어부(125)는 분석한 제1 음원 특징 정보가 기저장된 유해 동물의 제2 음원 특징 정보와 구간별로 기설정된 음원 정보 및 임계 설정 데이터와 비교를 통하여 해당 유해 동물의 음원으로 판단하고, 판단된 유해 동물에 대응하는 퇴치 음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115)에서 추출한다.
데이터베이스부(115)는 유해 동물을 퇴치할 수 있는 다양한 퇴치 음원 정보를 유해 동물별로 저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멧돼지 같은 야생 동물의 경우 농작물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 호랑이 울음 소리를 멧돼지에 대응하는 퇴치 음원으로 설정하거나 해당 유해 동물이 싫어하는 초음파 소리를 퇴치 음원 정보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야간에는 야생 동물이 무서워하는 호랑이 울음소리, 늑대소리, 개소리, 총소리 등이 퇴치 음원 정보로 재생될 수 있고, 주간에는 유해 조류들이 무서워하는 독수리 소리, 새가 스트레스 받으면서 죽어가는 소리, 총소리, 사람소리 등이 재생될 수 있다.
제어부(125)는 퇴치 음원의 선택 및 시간 설정에 따라 유해 동물이 학습이 불가능한 수로 무작위로 방출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115)는 빅데이터의 분석을 기초로 유해 동물의 종류별(조류, 조류 이외의 유해 동물)로 적절한 퇴치 방법을 저장하고 있다.
제어부(125)는 조류의 경우, 구동모터(146)를 구동하여 회전축 부재(145)에 의해 조류 퇴치 부재(반사판, 조류 퇴치용 홀로그램)를 회전시켜 조류가 싫어하는 색 파장을 방출하고, 퇴치 음원을 출력하여 유해 조류를 퇴치한다.
제어부(125)는 두더지와 같이 땅 속에 사는 동물의 진동음을 감지하는 진동 센서를 통해 진동음을 수신하는 경우, 진동파 발생장치(미도시)를 구동시켜 진동파를 발생하여 퇴치할 수도 있다.
제어부(125)는 퇴치 음원의 출력과 함께 주제어 장치(110)에 구성된 조명등으로 빛을 발산하고, 노드 장치(130)의 조명등을 제어하여 빛을 각각 또는 동시에 발산할 수도 있다.
제어부(125)는 데이터베이스부(115)에서 검색한 퇴치 음원 정보를 스피커(116)를 통해 출력하여 유해 동물을 퇴치하게 된다.
제어부(125)는 검색된 퇴치 음원 정보를 주제어 장치(110) 뿐만 아니라 주제어 통신부(114)를 통해 노드 장치(130)로 전송하고 음향 방출 모듈(134)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25)는 해당 유해 동물의 퇴치 방법이 퇴치 음원과 빛인 경우, 검색된 퇴치 음원 정보와 조명 제어 신호를 주제어 장치(110) 뿐만 아니라 주제어 통신부(114)를 통해 노드 장치(130)로 전송하여 음향 방출 모듈(134)과 광원 방출 모듈(135)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조명부(117)는 야간 촬영을 위한 적외선 조명과 침입자를 퇴치를 위한 고휘도 조명일 수 있다.
적외선 조명은 야간에 야생동물을 놀라게 하지 않으며 영상 카메라(112)가 외부 영상 획득에 필요한 광원을 제공한다. 고휘도 조명은 외부 영상 획득에 필요한 광원을 제공하면서 야생동물이나 침입자를 퇴치할 수 있으며 점멸 기능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음향 탐지부(118)는 노드 장치(130)의 음향 센서(132)와 동일한 기능을 하며,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배터리부(119)는 주제어 장치(110)에 구성되는 구동모터(146), 구동부(111), 영상 카메라(112), 조명부(117) 등의 구성장치의 전원을 공급한다.
전술한 유해 동물의 퇴치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125)는 노드 장치(130)의 4개의 음향 센서(132a, 132b, 132c, 132d)로부터 유해 동물의 음원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부(115)에 저장하고, 4개의 음향 센서(132a, 132b, 132c, 132d)의 각각에서 수신된 음향 신호들 간의 도달 시간차를 이용하여 음원 발생 방향, 음원 발생 위치 및 이격 거리 정보를 추정한다.
제어부(125)는 노드 장치(130)로부터 수신한 음향 신호를 분석하여 유해 동물의 제1 음원 특징 정보와 데이터베이스부(115)에 기저장된 동물의 제2 음원 특징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25)는 상기 제1 음원 특징 정보가 상기 제2 음원 특징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유해 동물의 음원으로 판단하고, 구동부(111)를 제어하여 영상 카메라(112)를 음원 발생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영상 카메라(112)에 의해 촬영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25)는 유해 동물에 대응하는 퇴치 음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115)에서 검색하여 스피커(116)를 통해 출력하게 되는데, 퇴치 음원 정보 뿐만 아니라 해당 유해 동물의 적절한 퇴치 방법에 따라 빛, 소리, 홀로그램 등 한 개 또는 한 개 이상의 다양한 퇴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25)는 유해 동물이 출현할 때마다 1차적으로 노드 장치(130)로부터 유해 동물의 음원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부(115)에 저장하고, 유해 동물로 판단된 음원 정보와 영상 카메라(112)로 촬영된 영상 정보 및 퇴치 방법을 함께 주제어 통신부(114)를 통해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서버(200)는 농경지, 과수원 등 옥외 환경에 대한 대량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처리 과정을 거쳐 데이터의 특성, 패턴, 규칙 등을 추출하고 장소별, 유형별로 최적화된 퇴치 효과를 볼 수 있는 기준안을 구성한다.
관리 서버(200)는 주제어 장치(110)로부터 유해 동물로 판단된 음원 정보와 영상 카메라(112)로 촬영된 영상 정보, 상기 유해 동물의 퇴치 방법(퇴치 음원 정보, 반사광, 진동파 등)을 수신하고, 해당 지역의 출현하는 유해 동물의 횟수, 출현한 유해 동물의 퇴치율 등을 빅데이터로 분석하여 유해 동물의 출현 대비 퇴치율 등을 통계로 산출한다.
관리 서버(200)는 해당 지역의 계절, 온도, 유해 동물의 출현 횟수, 음원 발생 방향, 음원 발생 위치 및 이격 거리 정보, 해당 유해 동물에게 적용된 퇴치 방법, 출현한 유해 동물의 퇴치율을 빅데이터로 수집하여 처리하고, 이러한 빅데이터를 기초로 지역별, 유해 동물의 종류별 최적화된 퇴치 방법을 산출하여 주제어 장치(110)에 제공한다.
이러한 분석 과정을 통해 지역별로 출현하는 유해 동물과 출현 횟수, 최적화된 퇴치 효과를 위해 조명부(117)의 빛의 방출 횟수, 퇴치 음원의 출력 횟수, 퇴치 음원의 종류 등을 데이터베이스화 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지역별로 출현한 유해 동물의 퇴치율을 빅데이터로 수집하고, 특정 지역에 최초 출현한 유해 동물의 퇴치 방법을 수집한 빅데이터에서 추출하여 특정 지역에 설치된 주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관제 센터(300)는 주제어 장치(110)로부터 유해 동물로 판단된 음원 정보와 영상 카메라(112)로 촬영된 영상 정보, 유해 동물의 퇴치 방법을 수신하고, 현장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고, 유해 동물의 종류별(조류, 야생동물) 상황에 따라 퇴치되는 과정을 모니터링하여 관리 서버(200)로 출현한 유해 동물의 퇴치율을 전송한다.
본 발명의 유해 조수 퇴치 시스템(100)은 설치 비용이 비교적 저렴하고 전기 감전에 의한 안전 문제가 없고 설치 면적이 제한받지 않으며 야생 동물, 조류, 두더지 등 다양한 유해 동물을 퇴치할 수 있어 유해 동물 퇴치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유해 조수 퇴치 시스템 110: 주제어 장치
110a: 주제어 본체 111: 구동부
112: 영상 카메라 113: 멀티센서부
114: 주제어 통신부 115: 데이터베이스부
116: 스피커 117: 조명부
118: 음향 탐지부 119: 배터리부
120: 제어모듈 121: 노이즈 제거부
122: 도달시간차 계산부 123: 음원방향 추정부
124: 저장부 125: 제어부
130: 노드 장치 131: 노드 본체
132: 음향센서 132a, 132b, 132c, 132d: 음향 센서
133: 노드 제어부 134: 음향 방출 모듈
135: 광원 방출 모듈 136: 노드 통신부
137: 태양광 충전 모듈 138a, 138b, 138c, 138d: 브라켓
140: 조류 퇴출 부재 141: 기둥부재
142: 받침대 143: 사각뿔 몸체
145: 회전축 부재 146: 구동모터
200: 관리 서버 300: 관제 센터

Claims (4)

  1. 유해 동물의 음향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음향 센서와 센서 정보; 및
    상기 각각의 음향 센서로부터 수신한 음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음원 신호를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고, 주파수 영역에서의 음원 구간을 검출하여 음원 구간의 음압, 음조, 음속, 주파수를 포함한 제1 음원 특징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한 제1 음원 특징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에 기저장된 유해 동물의 제2 음원 특징 정보를 음원 구간별로 비교하고 기설정된 음원 정보 및 임계 설정 데이터와 비교를 통하여 상기 유해 동물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해 동물에 대응하는 퇴치 음원 정보와 센서 정보들과의 제어 알고리즘을 통하여 유해 조수를 판별하고, 유해 조수 판별 시 경고등, 경고음, 무선 데이터 전송 중 하나 이상의 퇴치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조수 차단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음향 센서로부터 수신한 음향 신호들 간의 도달 시간차를 이용하여 음원 발생 방향을 추정하는 음향 추정부 및 상기 제어부를 구비한 제어모듈과, 상기 음원방향 추정부로부터 수신한 음원 발생 방향으로 회전시켜 촬영하는 영상 카메라와, 진동 센서와 온도 센서를 구비한 멀티 센서부와, 유선 통신 및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주제어 통신부와, 야간 촬영을 위한 적외선 조명과 침입자 퇴치를 위한 고휘도 조명으로 이루어진 조명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한 주제어 장치; 및
    상기 주제어 장치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한 노드 본체와, 상기 노드 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각각의 음향 센서와, 상기 각각의 음향 센서로부터 수신한 음향 신호들을 노드 통신부를 통해 상기 주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노드 제어부와, 상기 주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유해 동물에 대응하는 퇴치 음원을 수신하여 방출하는 음향 방출 모듈을 포함한 노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조수 퇴치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사각뿔 형상으로 구성된 사각뿔 몸체와, 상기 사각뿔 몸체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길이 방향으로 세워져 형성된 기둥부재와, 상기 기둥부재를 바닥면에 고정하는 받침대와, 상기 기둥부재의 일측에 결합된 상기 주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사각뿔 몸체의 각각의 각뿔면에 기울기가 다른 하나 이상의 일면이 각각 포함되고, 상기 사각뿔 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사각뿔 몸체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결합된 회전축 부재와 상기 회전축 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가 구성하고, 상기 각각의 각뿔면의 하나 이상의 일면에는 기울기가 다른 반사판이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반사판의 일부에는 조류 퇴치용 홀로그램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조수 퇴치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유해 동물로 판단된 상기 제1 음원 특징 정보, 상기 영상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 정보, 상기 유해 동물에 대응하는 퇴치 음원 정보, 반사광, 진동파 중 하나 이상의 퇴치 방법을 수신하고, 해당 지역의 출현하는 유해 동물의 횟수, 출현한 유해 동물의 퇴치율을 빅데이터로 분석하여 상기 유해 동물의 출현 대비 퇴치율을 통계로 산출하며, 상기 빅데이터를 기초로 지역별, 상기 유해 동물의 종류별 퇴치 방법을 산출하여 상기 주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조수 퇴치 시스템.
KR1020170024255A 2016-06-24 2017-02-23 음원 탐지 및 IoT 기술을 적용한 유해 조수 퇴치 시스템 KR1019862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79309 2016-06-24
KR1020160079309 2016-06-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429A true KR20180001429A (ko) 2018-01-04
KR101986222B1 KR101986222B1 (ko) 2019-06-07

Family

ID=60997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255A KR101986222B1 (ko) 2016-06-24 2017-02-23 음원 탐지 및 IoT 기술을 적용한 유해 조수 퇴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6222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477B1 (ko) * 2018-12-26 2019-05-09 주식회사 광진기업 IoT 딥러닝 카메라와 드론을 활용한 IoT 지능형 유해동물과 조류 방제장치를 이용한 퇴치 방법
KR101995401B1 (ko) * 2018-12-28 2019-07-03 (주)천일 방재기능이 구비된 멀티미디어 정보융합 기반 디밍제어 스마트 조명 시스템
KR102092061B1 (ko) * 2019-08-30 2020-03-23 황승희 유해동물 관리시스템
KR102116346B1 (ko) * 2019-12-27 2020-05-28 현일테크주식회사 야생동물 및 유해조류 퇴치기
KR20200084948A (ko) * 2018-12-27 2020-07-14 주식회사 디파인 야생동물 탐지를 위한 지능형 cctv 시스템
KR20210006188A (ko) * 2019-07-08 2021-01-18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유해조수 통합 퇴치기
KR102259637B1 (ko) * 2020-10-13 2021-06-02 (주)와이즈콘 무인 방송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방송 송출 시스템
KR20210070876A (ko) * 2019-12-05 2021-06-15 국립생태원 금개구리 대체서식지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95743B1 (ko) * 2020-11-08 2021-08-31 케이원산업 주식회사 야생동물 및 조류 퇴치용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KR20220142603A (ko) * 2021-04-14 2022-10-24 에스아이오티 주식회사 연동 단말장치들로 구성된 대응시스템
KR20230012212A (ko) * 2021-07-15 2023-01-26 가온팜테크(주) 유해 동물 및 해충 퇴치 장치
CN117941673A (zh) * 2024-03-26 2024-04-30 中国科学院水生生物研究所 基于多源发声器的声驱网智能监测驱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75599A (zh) * 2019-10-18 2020-01-10 吉林师范大学 一种地理环境防护用警示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571Y1 (ko) * 2001-02-22 2001-09-28 박동대 야생조류 접근억제용 입체회전 광반사장치
KR20140089261A (ko) * 2013-01-04 2014-07-14 김정근 음향 센서 어레이를 포함하는 실시간 자동 영상 감시 시스템
KR20140105679A (ko) * 2013-02-22 2014-09-02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기피제 살포부를 포함하는 유해동물 및 병해충 퇴치시스템
KR20140125917A (ko) * 2013-04-18 2014-10-30 박근덕 무선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12329A (ko) * 2013-07-24 2015-02-04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유해동물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26046A (ko) * 2013-08-30 2015-03-1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무인자동로봇을 이용한 농작물 유해요소 방제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571Y1 (ko) * 2001-02-22 2001-09-28 박동대 야생조류 접근억제용 입체회전 광반사장치
KR20140089261A (ko) * 2013-01-04 2014-07-14 김정근 음향 센서 어레이를 포함하는 실시간 자동 영상 감시 시스템
KR20140105679A (ko) * 2013-02-22 2014-09-02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기피제 살포부를 포함하는 유해동물 및 병해충 퇴치시스템
KR20140125917A (ko) * 2013-04-18 2014-10-30 박근덕 무선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12329A (ko) * 2013-07-24 2015-02-04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유해동물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26046A (ko) * 2013-08-30 2015-03-1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무인자동로봇을 이용한 농작물 유해요소 방제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477B1 (ko) * 2018-12-26 2019-05-09 주식회사 광진기업 IoT 딥러닝 카메라와 드론을 활용한 IoT 지능형 유해동물과 조류 방제장치를 이용한 퇴치 방법
KR20200084948A (ko) * 2018-12-27 2020-07-14 주식회사 디파인 야생동물 탐지를 위한 지능형 cctv 시스템
KR101995401B1 (ko) * 2018-12-28 2019-07-03 (주)천일 방재기능이 구비된 멀티미디어 정보융합 기반 디밍제어 스마트 조명 시스템
KR20210006188A (ko) * 2019-07-08 2021-01-18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유해조수 통합 퇴치기
KR102092061B1 (ko) * 2019-08-30 2020-03-23 황승희 유해동물 관리시스템
KR20210070876A (ko) * 2019-12-05 2021-06-15 국립생태원 금개구리 대체서식지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16346B1 (ko) * 2019-12-27 2020-05-28 현일테크주식회사 야생동물 및 유해조류 퇴치기
KR102259637B1 (ko) * 2020-10-13 2021-06-02 (주)와이즈콘 무인 방송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방송 송출 시스템
KR102295743B1 (ko) * 2020-11-08 2021-08-31 케이원산업 주식회사 야생동물 및 조류 퇴치용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KR20220142603A (ko) * 2021-04-14 2022-10-24 에스아이오티 주식회사 연동 단말장치들로 구성된 대응시스템
KR20230012212A (ko) * 2021-07-15 2023-01-26 가온팜테크(주) 유해 동물 및 해충 퇴치 장치
CN117941673A (zh) * 2024-03-26 2024-04-30 中国科学院水生生物研究所 基于多源发声器的声驱网智能监测驱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6222B1 (ko) 2019-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6222B1 (ko) 음원 탐지 및 IoT 기술을 적용한 유해 조수 퇴치 시스템
US20180125058A1 (en) Multifunctional animal repeller
US6653971B1 (en) Airborne biota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US11793190B1 (en) Automatic animal detection and deterrent system
KR101740714B1 (ko) 농작물도난방지 및 동물침입방지장치 및 그 방법
EP200396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injury on wildlife
KR101717045B1 (ko) 야생동물 퇴치기
KR20170054808A (ko) 드론을 이용한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퇴치 방법.
EP3791718A1 (en) Wild animal repelling device
KR101840812B1 (ko) 침입경보장치
Nakandala et al. Detecting wild elephants via WSN for early warning system
AU2021101929A4 (en) Pest Management System
KR20130122468A (ko) 협응형 운동체 퇴치 시스템 및 경계 정보 처리 방법
KR20160080448A (ko) 야생동물로부터 농작물을 지키기 위한 시스템
JP6421390B2 (ja) 動物の処分方法及び動物の処分装置
WO2002049427A1 (en) A method for expelling harmful wild birds and beasts by multiple laser beams irradiation
JP6183734B1 (ja) ムクドリやスズメ等集団飛翔する害鳥の飛来防止方法及びその構造
JP2019097472A (ja) 振動発生装置、及び振動発生システム
KR101966898B1 (ko) 자율 방범 시스템
KR102273557B1 (ko) 유해조수 통합 퇴치기
JP2017209057A (ja) 動物の処分装置
US10881096B1 (en) Motion sensing nuisance fauna deterrent
Harshini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Scarecrow Prevention from Crop Destruction
KR20230169695A (ko) 유해동물 퇴치 시스템 및 퇴치 방법
Rani et al. AI based Scarecrow Preventing from Crop Vandal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