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0812B1 - 침입경보장치 - Google Patents

침입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0812B1
KR101840812B1 KR1020160126197A KR20160126197A KR101840812B1 KR 101840812 B1 KR101840812 B1 KR 101840812B1 KR 1020160126197 A KR1020160126197 A KR 1020160126197A KR 20160126197 A KR20160126197 A KR 20160126197A KR 101840812 B1 KR101840812 B1 KR 101840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mera
light
main body
tower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6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영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영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영이엔지
Priority to KR1020160126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08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0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0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06Discriminating between target movement or movement in an area of interest and other non-signicative movements, e.g. target movements induced by camera shake or movements of pets, falling leaves, rotating f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08B5/38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using flashing ligh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B64C2201/14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입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에 지지되어 상부로 연장되게 설치된 타워 본체와, 타워 본체에 장착되며 감시대상 영역으로 가시광선을 조사하는 제1광원과, 적외선 광을 조사하는 제2광원을 갖는 광조사부와, 타원 본체에 장착되어 감시영역을 촬상하는 카메라부와, 조도를 검출하는 조도센서와, 광조사부의 구동을 제어하며, 카메라부에서 촬상된 영상으로부터 움직임 정보를 검출하고, 움직임 정보가 검출되고 상기 조도센서로부터 검출된 조도가 야간모드에 해당하면 제1광원을 설정된 경고패턴에 따라 점멸이 반복되게 제어하고, 조도센서가 주간모드에 해당하면 음향 출력부를 통해 경고음이 출력되게 처리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침입경보장치에 의하면,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움직임 객체를 검출하고, 주야간에 맞게 경고조치를 수행할 수 있어 침입억제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침입경보장치{invasion alert apparatus}
본 발명은 침입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카메라를 통해 촬상된 영상으로부터 움직임 객체가 검출되는 침입경고조치를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침입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이나 과수가 생장하는 농경지와 과수원에는 멧돼지, 고라니 등과 같은 대형동물은 물론 청설모, 꿩, 참새 등과 같은 소형동물까지도 출몰하여 농작물과 과수를 훼손시키는 사례가 늘고 있다.
특히, 멧돼지의 경우 현재 별다른 천적이 없어 개체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어 산간지역을 넘어 도심지역까지 출몰하고 있으며, 농작물이나 과수를 먹이로 먹는 경우의 피해보다 그 큰 몸집으로 농작물을 뿌리째 훼손시키거나 과실수의 가지를 부러뜨리는 등의 2차 피해를 주기 때문에 훼손을 입은 농작물이나 과수는 상품으로서의 가치가 떨어져 경우에 따라서는 이러한 야생동물이 농가의 생계수단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는 실태이다.
야생동물의 농경지 침입을 억제하기 위해 농업 종사자 등이 자구책으로 허수아비를 세우거나 반짝이는 줄, 펑소리가 나는 폭약 등을 이용하여 야생동물을 퇴치하고 있으나, 이들 또한 일시적인 효과에 그치고 있으며, 고령화된 농촌에서 지속적으로 퇴치 활동을 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려운 실정이다.
야생동물의 침입을 차단하기 위해 펜스를 적용하는 방식이 국내 공개특허 제10-2014-0106093호 등 다양하게 게시되어 있으나, 구축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경제적 이유때문에 현실적으로 적용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조류와 같이 공중을 통해 진입되는 경우에도 진입을 억제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감시대상영역을 촬상한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침입 차단을 위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침입경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침입경보장치는 지면에 지지되어 상부로 연장되게 설치된 타워 본체와; 상기 타워 본체에 장착되며 감시대상 영역으로 가시광선을 조사하는 제1광원과, 적외선 광을 조사하는 제2광원을 갖는 광조사부와; 상기 타원 본체에 장착되어 감시영역을 촬상하는 카메라부와; 조도를 검출하는 조도센서와; 상기 광조사부의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상된 영상으로부터 움직임 정보를 검출하고, 움직임 정보가 검출되고 상기 조도센서로부터 검출된 조도가 야간모드에 해당하면 상기 제1광원을 설정된 경고패턴에 따라 점멸이 반복되게 제어하고, 상기 조도센서가 주간모드에 해당하면 음향 출력부를 통해 경고음이 출력되게 처리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메라부는 가시광선 영상을 촬상하는 제1카메라와; 적외선 영상을 촬상하는 제2카메라;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간모드시 상기 제1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영상으로부터 움직임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야간모드시 상기 제2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영상으로부터 움직임 정보를 검출한다.
또한, 상기 타워 본체의 상면에는 태양광을 전력으로 변환하는 태양전지패널;이 장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원격 제어되는 드론과; 상기 드론의 구동을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원격으로 제어하는 드론구동부와; 상기 타워 본체의 상면에 상기 태양전지 패널과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드론이 안착되는 안착공간을 제공하는 안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간모드시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검출된 움직임정보가 조류로 판단되면, 상기 드론구동부를 통해 상기 드론이 설정된 비행패턴으로 비행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침입경보장치에 의하면,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움직임 객체를 검출하고, 주야간에 맞게 경고조치를 수행할 수 있어 침입억제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입경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침입경보장치의 제어계통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입경보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입경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침입경보장치의 제어계통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침입경보장치(100)는 타워 본체(110), 태양전지패널(118), 광조사부(120), 카메라부(130), 조도센서(140), 음향출력부(150), 통신부(160), 드론구동부(170), 제어부(180) 및 드론(200)을 구비한다.
타워 본체(110)는 지면에 지지되어 상부로 연장된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타워 본체(110)의 높이는 감시대상 영역의 면적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적용하면 된다.
태양전지패널(118)은 타워 본체(110)의 상면에 설치되어 태양광을 전력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력을 후술되는 광조사부(120)를 포함하는 전력구동요소에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타워 본체(110)의 상면에는 태양전지 패널(118)과 이격되어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후술되는 드론(200)이 안착되는 안착공간을 제공하는 안착부(116)가 형성되어 있다.
안착부(116)에는 드론(200)이 안착상태에서는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보호공간을 폐쇄되게 형성하고, 드론(200)의 비행을 허용하고자 할 때는 보호공간을 개방하도록 반구형 돔형으로 형성되어 제어부(180)에 의해 개폐가 제어되는 돔커버(미도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조사부(120)는 타워 본체(110)에 장착되며 감시대상 영역으로 가시광선을 조사하는 제1광원(121)과, 적외선 광을 조사하는 제2광원(122)을 구비한다.
도시된 예에서 광조사부(120)는 사각 하우징(125) 내에 복수 개의 제1광원(121)과 제2광원(122)이 장착되어 있다.
사각 하우징(125)은 타워 본체(110)의 각 면마다 장착되어 있고, 광 조사방향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카메라부(130)는 타원 본체(110)에 장착되어 감시영역을 촬상하고, 촬상된 영상을 제어부(180)에 출력한다.
카메라부(130)는 가시광선 영상을 촬상하는 제1카메라(131)와, 적외선 영상을 촬상하는 제2카메라(132)를 구비한다.
조도센서(140)는 타워 본체(110)에 장착되어 외부 조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조도 정보를 제어부(180)에 출력한다.
음향 출력부(150)는 제어부(180)에 제어되어 음향을 출력한다.
음향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은 야생동물을 퇴치하기 위한 것 예를 들면 개짓는 소리, 총소리 등을 적용하면된다.
통신부(160)는 제어부(180)에 제어되어 전송대상 정보를 통신망(미도시)을 통해 관리서버(270) 또는 관리자 단말기(250)에 전송한다.
관리자 단말기(250)는 스마트이 적용될 수 있다.
드론구동부(170)는 제어부(180)의 제어신호에 따라 드론(200)의 구동을 원격으로 제어한다.
드론 구동부(170)는 드론(200)으로 원격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도록 되어 있다.
제어부(180)는 광조사부(120)의 구동을 제어하며, 카메라부(130)에서 촬상된 영상으로부터 움직임 정보 즉, 움직임 객체의 유무를 검출한다.
제어부(180)는 야간모드시 제2카메라(132)에 의해 감시대상을 촬상하도록 제2광원(122)을 가동한다.
제어부(180)는 카메라부(130)에서 출력되는 영상으로부터 움직임 정보가 검출되면 조도센서(140)로부터 검출된 조도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야간모드에 해당하는지 또는 주간모드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고, 야간모드에 해당하면 제1광원(121)을 설정된 경고패턴에 따라 점멸이 반복되게 설정된 시간 동안 또는 움직임검출이 해제될 때까지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조도센서가 주간모드에 해당하면서 카메라부(130)로부터 움직임 정보가 검출되면, 음향 출력부(150)를 통해 경고음이 출력되게 처리한다.
여기서, 제어부(180)는 주간모드시 제1카메라(131)에 의해 촬상된 영상으로부터 움직임 정보를 검출하고, 야간모드시 제2카메라(132)에 의해 촬상된 영상으로부터 움직임 정보를 검출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주간모드시 카메라부(130) 즉, 제1카메라(131)에 의해 검출된 움직임정보가 조류로 판단되면, 드론구동부(170)를 통해 드론(200)이 설정된 비행패턴으로 비행하도록 제어한다.
조류인지에 대한 판단은 감시영역에 대해 하늘에 해당하는 비교영역을 미리 기억부(미도시) 기록해놓고, 제어부(180)는 촬상된 영상으로부터 하늘에 해당하는 영역에 대해 프레임별로 비교를 통해 설정된 크기 이상의 움직임이 검출되면 조류로 판단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비행패턴은 설정된 시간 동안 설정된 감시영역을 비행하고 안착부(116)로 복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드론(200)은 복수개의 날개(202)에 대한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제어에 의해 비행할 수 있도록 된 공지된 구조를 갖는 것을 적용하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안착부(116)에는 상방으로 레이저 광을 출사하는 레이저 광원(미도시)이 설치되어 있고, 드론(200)의 몸체(204) 저면에는 원을 사분할한 형태로 배치되어 광을 각각 수광하는 4분할 구조의 4개의 광검출기로 된 수광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 드론(200)은 복귀 위치로의 복귀시 수광부에 수신되는 레이저 광을 이용하여 복귀 위치로 조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침입경보장치에 의하면, 카메라부에 의해 촬상된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움직임 객체를 검출하고, 주야간에 맞게 경고조치를 수행할 수 있어 침입억제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110: 타워 본체 116: 안착부
118: 태양전지패널 120: 광조사부
130: 카메라부 140: 조도센서
150: 음향출력부 160: 통신부
170: 드론구동부 180: 제어부
200: 드론

Claims (4)

  1. 지면에 지지되어 상부로 연장되게 설치된 타워 본체와;
    상기 타워 본체에 장착되며 감시대상 영역으로 가시광선을 조사하는 제1광원과, 적외선 광을 조사하는 제2광원을 갖는 광조사부와;
    상기 타워 본체에 장착되어 감시영역을 촬상하는 카메라부와;
    조도를 검출하는 조도센서와;
    상기 광조사부의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상된 영상으로부터 움직임 정보를 검출하고, 움직임 정보가 검출되고 상기 조도센서로부터 검출된 조도가 야간모드에 해당하면 상기 제1광원을 설정된 경고패턴에 따라 점멸이 반복되게 제어하고, 상기 조도센서가 주간모드에 해당하면 음향 출력부를 통해 경고음이 출력되게 처리하는 제어부와;
    상기 타워 본체의 상면에 마련되어 태양광을 전력으로 변환하는 태양전지패널과;
    상기 제어부에 의해 원격 제어되는 드론과;
    상기 드론의 구동을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원격으로 제어하는 드론구동부와;
    상기 타워 본체의 상면에 상기 태양전지 패널과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드론이 안착되는 안착공간을 제공하는 안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간모드시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검출된 움직임정보가 조류로 판단되면, 상기 드론구동부를 통해 상기 드론이 설정된 비행패턴으로 비행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안착부에는 상방으로 레이저 광을 출사하는 레이저 광원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드론의 몸체 저면에는 원을 사분할한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레이저 광원에서 출사하는 광을 각각 수광하는 4분할 구조의 4개의 광검출기로 된 수광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경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가시광선 영상을 촬상하는 제1카메라와;
    적외선 영상을 촬상하는 제2카메라;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간모드시 상기 제1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영상으로부터 움직임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야간모드시 상기 제2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영상으로부터 움직임 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경보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160126197A 2016-09-30 2016-09-30 침입경보장치 KR101840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197A KR101840812B1 (ko) 2016-09-30 2016-09-30 침입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197A KR101840812B1 (ko) 2016-09-30 2016-09-30 침입경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0812B1 true KR101840812B1 (ko) 2018-03-22

Family

ID=61901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6197A KR101840812B1 (ko) 2016-09-30 2016-09-30 침입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081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2580A (ko) * 2019-09-16 2021-03-25 김상옥 스마트 펜스 시스템
KR102265254B1 (ko) * 2020-10-30 2021-06-16 (주)윈티앤에스 능동 감시 시스템
KR102428477B1 (ko) 2022-03-14 2022-08-01 엄용철 이동객체 검출을 위한 이동식 cctv 카메라 시스템.
CN115376260A (zh) * 2022-08-22 2022-11-22 镇江润辰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新型智能化入侵检测主动防御警报系统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2580A (ko) * 2019-09-16 2021-03-25 김상옥 스마트 펜스 시스템
KR102377783B1 (ko) * 2019-09-16 2022-03-23 김상옥 스마트 펜스 시스템
KR102265254B1 (ko) * 2020-10-30 2021-06-16 (주)윈티앤에스 능동 감시 시스템
KR102428477B1 (ko) 2022-03-14 2022-08-01 엄용철 이동객체 검출을 위한 이동식 cctv 카메라 시스템.
CN115376260A (zh) * 2022-08-22 2022-11-22 镇江润辰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新型智能化入侵检测主动防御警报系统
CN115376260B (zh) * 2022-08-22 2024-03-26 镇江润辰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新型智能化入侵检测主动防御警报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0812B1 (ko) 침입경보장치
US20160277688A1 (en) Low-light trail camera
KR101378071B1 (ko) 양식장 및 인공어초 도난 방지 감시 시스템 및 방법
US20190246616A1 (en) Machine for capturing, counting and monitoring insects
KR101588102B1 (ko) 조명을 이용한 야생동물퇴치기
KR101740714B1 (ko) 농작물도난방지 및 동물침입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96747A (ko) 유해 야생 동물 퇴치기
WO2009010961A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nd deterring animal intruders
KR20160067351A (ko) 무인비행장치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KR101339060B1 (ko) 조류 퇴치장치
US20210084886A1 (en) Wild animal repulsing apparatus
CA2679672A1 (en) Method for preventing injury on wildlife
KR200481239Y1 (ko) 유해 조수 퇴치 장치
KR102421330B1 (ko) 농작물의 피해 방지를 위한 추적형 야생동물 퇴치장치
KR20200091524A (ko) 농작물 관리 장치
JP3205752U (ja) 害獣・害鳥類忌避装置
JP2015035979A (ja) 野生動物追い込みシステム
CN117545352A (zh) 有害动物管理系统
KR20130051233A (ko) 야생해조류의 퇴치와 유인 포획 기능을 갖는 다기능 조류 퇴치기
KR20210064979A (ko) 유해 조류 및 야생 동물 퇴치장치
KR20150080070A (ko) 태양광 에너지 발생장치가 부착된 절전형 야생동물 자동 퇴치용 시스템
JP2002186402A (ja) レーザービームのマルチ照射による鳥獣侵入防止方法
JP6421390B2 (ja) 動物の処分方法及び動物の処分装置
CN201854623U (zh) 一种光电目标识别驱鸟器
JP2022104060A (ja) 飛行型ロボット、飛行型ロボット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飛行型ロボット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