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6346B1 - 야생동물 및 유해조류 퇴치기 - Google Patents

야생동물 및 유해조류 퇴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6346B1
KR102116346B1 KR1020190176224A KR20190176224A KR102116346B1 KR 102116346 B1 KR102116346 B1 KR 102116346B1 KR 1020190176224 A KR1020190176224 A KR 1020190176224A KR 20190176224 A KR20190176224 A KR 20190176224A KR 102116346 B1 KR102116346 B1 KR 102116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coupled
speaker
drive shaft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일갑
Original Assignee
현일테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일테크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일테크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6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63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birds, e.g. spik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1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light sources, e.g. lasers or flashing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생동물 및 유해조류 퇴치기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고정하는 지주부; 상기 지주부 상단에 결합되며, 내부에 레이저모듈부를 구비하는 본체부: 상기 지주부 일측에 결합 고정되는 제어부; 및 상기 본체부 상단부에 결합하여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보호부;를 포함하되, 상기 레이저모듈부는 녹색 또는 적색 레이저 광을 발사하는 제1 및 제2 레이저발생부와, 상기 제1 및 제2 레이저모듈 각각을 상하로 슬라이드 시키는 필렛부, 및 상기 필렛부를 상하로 롤링 및 수평으로 회전시키는 제1 및 제2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야생동물 및 유해조류 퇴치기{Device of driving out of birds and wild animals}
본 발명은 야생동물 및 유해조류 퇴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리, 불빛, 레이저를 방출시켜 접근 또는 침입을 방지하는 야생동물 및 유해조류 퇴치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멧돼지, 고라니 등은 천적이 없어 이들의 개체수가 급격히 늘고 있고, 이러한 유해 야생동물들이 수확을 앞둔 과수원과 전답 분묘 등에 무리지어 다니며 농작물을 무차별 훼손하는 등 큰 피해를 주고 있다.
또한, 유해조류로 인한 피해도 수확기를 앞둔 과수원 및 농작물에 막대하여 이들의 피해를 막기 위해 지방자치단체나 농민들이 이에 대한 대책에 골몰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밭이나 묘지 등에 피해를 입히는 유해 야생동물 중, 멧돼지는 밤(夜)에 먹이를 찾아다니는 야행성 동물이고, 고라니는 밤, 낮을 가리지 않고 행동하는 동물로 싸이렌 등의 경보음에 의해 이들 유해 야생동물의 퇴치 효과가 미약하며, 밤에만 조명하는 조명장치로서도 그 퇴치 효과가 극히 미미하다.
또한, 조류 중 까치 등은 학습효과가 뛰어나 시각, 청각, 후각 등을 이용한 퇴치 방법을 반복 사용할 경우 퇴치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811915호에는 소리와 레이저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발하여 퇴치하는 조류 퇴치장치가 게시되어 있으나, 레이저가 일정 방향으로 방출되기 때문에 경사진 농지나 과수원의 사방(四方)에서 침입하는 조류를 퇴치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해 야생동물과 조류들이 쉽게 학습하지 못하도록 고출력의 음향 및 다양한 패턴의 불빛과 사방으로 레이저를 방출시켜 진입 및 침입을 방지하는 야생동물 및 유해조류 퇴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야생동물 및 유해조류 퇴치기는 지면에 고정하는 지주부; 상기 지주부 상단에 결합되며, 내부에 레이저모듈부를 구비하는 본체부: 상기 지주부 일측에 결합 고정되는 제어부; 및 상기 본체부 상단부에 결합하여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보호부;를 포함하되, 상기 레이저모듈부는 녹색 또는 적색 레이저 광을 발사하는 제1 및 제2 레이저발생부와, 상기 제1 및 제2 레이저모듈 각각을 상하로 슬라이드 시키는 필렛부, 및 상기 필렛부를 상하로 롤링 및 수평으로 회전시키는 제1 및 제2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부는 바람이나 공기가 드나드는 통풍구와, 야생동물 및 조류가 싫어하는 경보음을 방출하는 스피커와, 스피커의 경보음과 연동되어 랜덤하게 빛을 발산하는 고휘도 LED와, 레이저 광이 방출되는 홈부와, 통신케이블을 연결하는 통신잭과, 제1 및 제2 모터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및 동작 시간대를 선택하는 조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렛부는 중앙에 구동축이 결합되고, 상기 구동축을 중심으로 소정 길이로 획정된 제1 및 제2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홈에 제1 및 2 레이저발생부의 일측이 제1 및 제2 핀으로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모터로 밸트를 통해 구동축을 회전시키면서 제2 모터로 롤링캠을 통해 구동축을 상하로 동작시키면, 상기 구동축 중앙에 결합된 필렛부의 제1 및 제2 홈을 따라 제1 및 제2 핀과 결합된 제1 및 2 레이저발생부가 회전하면서 상하로 로링하여 레이저 광이 360도 회전하면서 상하로 방출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스피커, 고휘도 LED, 온도센서, 조도센서를 제어하며, 회전속도를 가변 조절하는 모터와 통신케이블을 통해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도어와, 양측 측면부에 바람이나 공기가 드나드는 통풍구, 및 스피커를 통해 경보음을 온오프하는 음향스위치와, 조도센서의 동작 시간대를 주간 모드, 야간 모드 및 주야간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스위치와, 스피커의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스위치와, 제1 및 제2 모터의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스위치, 및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스위치를 구성하는 제어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유해 야생동물과 조류들이 쉽게 학습하지 못하도록 고출력의 음향 및 다양한 패턴의 불빛과 레이저를 사방으로 방출하여 과수원이나 경사진 농지에서도 효과적으로 농작물을 보호하고 시설물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및 유해조류 퇴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판의 구성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면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및 유해조류 퇴치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및 유해조류 퇴치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부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판의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및 유해조류 퇴치기는 지주부(100), 본체부(200), 제어부(400) 및 보호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주부(100)는 과수원, 농작물 재배지, 축사 등의 시설물에 설치되며, 지면에 고정하거나 기타 고정할 수 있는 도구를 통해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0)는 하단 중앙의 커넥터(210)가 지주부(100) 상단에 결합되며, 상부 육면체 외주면과 하단부에 바람이나 공기가 드나드는 통풍구(220)와, 육면체 외주면중 어느 한면에 경보음을 방출하는 스피커(230)와, 육면체 외주면 각각에 빛을 발산하는 고휘도 LED(240) 및 레이저 광이 방출되는 타원형상의 홈부(250)와, 하단부에 통신케이블을 연결하는 통신잭(260), 제1 및 제2 모터(310,320)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270) 및 주야간을 감지하는 조도센서(28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0)는 육면체 또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직육면체로 형성하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스피커(230)는 호랑이와 매 소리, 총소리, 싸일렌 소리, 맷돼지 죽는 소리 등의 야생동물이 싫어하는 경보음을 방출한다.
상기 고휘도 LED(240)는 렌즈 및 반사경을 구비하며, 스피커(250)의 경보음과 연동되어 랜덤하게 빛을 발산한다.
여기서, 상기 고휘도 LED(240)는 6개가 동시에 점등하거나 순차적으로 점등하거나 3개씩 점등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0)를 통해 점등순서 및 점등시간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점등할 수 있다.
상기 조도센서(280)는 동작 시간대를 주간 모드, 야간 모드와 주야간 모드로 선택하여 작동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 내부에는 레이저모듈부(300)를 형성하며, 홈부(250)를 통해 레이저 광(L)이 상하로 방출한다.
상기 레이저모듈부(300)는 녹색 또는 적색 레이저 광(L)을 발사하는 제1 및 제2 레이저발생부(350,351)와, 상기 제1 및 제2 레이저모듈(350,351) 각각을 상하로 슬라이드 시키는 필렛부(340)와, 상기 필렛부(340)를 상하로 롤링 및 수평으로 회전시키는 제1 및 제2 모터(310,3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레이저발생부(350,351)는 각각의 고정 브라켓(360,361)을 통해 결합 고정된다.
상기 필렛부(340)는 중앙에 구동축(330)이 결합되며, 구동축(330)을 중심으로 소정 길이로 각각 획정된 타원 형상의 제1 및 제2 홈(341,34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홈(341,342)에 제1 및 2 레이저발생부(350,351)의 일측이 제1 및 제2 핀(343,344)으로 각각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 모터(310)로 밸트(311)를 통해 구동축(330)을 회전시키면서 제2 모터(320)로 롤링캠(321)을 통해 구동축(330)을 상하로 동작시키면, 구동축(330) 중앙에 결합된 필렛부(340)의 제1 및 제2 홈(341,342)을 따라 제1 및 제2 핀(343,344)과 결합된 제1 및 2 레이저발생부(141, 142)가 회전하면서 상하로 로링하게 된다. 이로 인해, 레이저 광(L)이 360도 회전하면서 상하로 방출되어 경사진 농지나 과수원 사방으로 진입 및 침입하는 야생 유해동물이나 조류를 퇴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지지부(100)에 브라켓(110)으로 결합 고정되며, 도어(410)와, 양측 측면부에 바람이나 공기가 드나드는 통풍구(420)와, 도어(410)를 개방하면 제어판(4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스피커(230), 고휘도 LED(240), 온도센서(270), 조도센서(280)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온도센서(270)로 제1 및 제2 모터(310,320) 온도를 감지하여 설정 온도 초과시 제어부(400)를 통해 제1 및 제2 모터(310,32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며, 제1 및 제2 모터(310,320) 구동이 설정시간을 초과하여 정지될 경우 레이저모듈부(300)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부(400)를 통해 차단시켜 제1 및 제2 모터(310,320)와 레이저모듈부(300)에 과열로 인한 화재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제1 및 제2 모터(310,320)의 회전속도를 가변 조절하며, 통신케이블을 통해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통신부(290)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판(430)에는 스피커(230)를 통해 경보음을 온오프하는 음향스위치(431)와, 조도센서(280)의 동작 시간대를 주간 모드, 야간 모드 및 주야간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스위치(432)와, 스피커(230)의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스위치(433)와, 제1 및 제2 모터(310,320)의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스위치(434), 및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스위치(435)로 구성된다.
상기 보호부(500)는 갓 형상으로 본체부(200) 상단부에 설치하여 본체부(100)로 유입되는 빗물, 눈 등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지주부 110: 브라켓
200: 본체부 210: 커넥터
220, 420: 통풍구 230: 스피커
240: 고휘도 LED 250: 홈부
260: 통신잭 270: 온도센서
280: 조도센서 290: 통신부
300: 레이저모듈부 310, 320: 모터
311: 구동축 340: 필렛부
343, 344: 핀 350, 351: 레이저발생부
400: 제어부 410: 도어
430: 제어판 500: 보호부

Claims (6)

  1. 지면에 고정하는 지주부;
    상기 지주부 상단에 결합되며, 내부에 레이저모듈부를 구비하는 본체부:
    상기 지주부 일측에 결합 고정되는 제어부; 및
    상기 본체부 상단부에 결합하여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보호부;를 포함하되,
    상기 레이저모듈부는,
    녹색 또는 적색 레이저 광을 발사하는 제1 및 제2 레이저발생부와,
    상기 제1 및 제2 레이저발생부 각각을 상하로 슬라이드 시키는 필렛부, 및
    상기 필렛부를 상하로 롤링 및 수평으로 회전시키는 제1 및 제2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필렛부는 중앙에 구동축이 결합되고, 상기 구동축을 중심으로 소정 길이로 획정된 제1 및 제2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홈에 제1 및 2 레이저발생부의 일측이 제1 및 제2 핀으로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1 모터로 밸트를 통해 구동축을 회전시키면서 제2 모터로 롤링캠을 통해 구동축을 상하로 동작시키면, 상기 구동축 중앙에 결합된 필렛부의 제1 및 제2 홈을 따라 제1 및 제2 핀과 결합된 제1 및 2 레이저발생부가 회전하면서 상하로 로링하여 레이저 광이 360도 회전하면서 상하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동물 및 유해조류 퇴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바람이나 공기가 드나드는 통풍구와,
    야생동물 및 조류가 싫어하는 경보음을 방출하는 스피커와,
    스피커의 경보음과 연동되어 랜덤하게 빛을 발산하는 고휘도 LED와,
    레이저 광이 방출되는 홈부와,
    통신케이블을 연결하는 통신잭과,
    제1 및 제2 모터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및
    동작 시간대를 선택하는 조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동물 및 유해조류 퇴치기.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스피커, 고휘도 LED, 온도센서, 조도센서를 제어하며, 회전속도를 가변 조절하는 모터와 통신케이블을 통해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동물 및 유해조류 퇴치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도어와,
    양측 측면부에 바람이나 공기가 드나드는 통풍구, 및
    스피커를 통해 경보음을 온오프하는 음향스위치와, 조도센서의 동작 시간대를 주간 모드, 야간 모드 및 주야간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스위치와, 스피커의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스위치와, 제1 및 제2 모터의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스위치, 및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스위치를 구성하는 제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동물 및 유해조류 퇴치기.
KR1020190176224A 2019-12-27 2019-12-27 야생동물 및 유해조류 퇴치기 KR102116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224A KR102116346B1 (ko) 2019-12-27 2019-12-27 야생동물 및 유해조류 퇴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224A KR102116346B1 (ko) 2019-12-27 2019-12-27 야생동물 및 유해조류 퇴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6346B1 true KR102116346B1 (ko) 2020-05-28

Family

ID=70919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224A KR102116346B1 (ko) 2019-12-27 2019-12-27 야생동물 및 유해조류 퇴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634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4577A (ko) 2020-06-12 2021-12-21 송종명 울타리 지주 진동발생형 유해동물 퇴치장치
KR20220000141A (ko) * 2020-06-25 2022-01-03 (주)에코팜 학습효과를 방지할 수 있는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장치
KR20220006765A (ko) * 2020-07-09 2022-01-18 주식회사 지앤제이스 조류퇴치장치
KR20220013175A (ko) 2020-07-24 2022-02-04 이석원 비말차단 및 바이러스 유입 억제를 위한 발수코팅 마스크
KR20220013529A (ko) 2020-07-24 2022-02-04 이석원 브레스쿨 기능성 원단으로 제조된 마스크
KR102359626B1 (ko) * 2021-06-03 2022-02-08 김종재 유해 조수 퇴치기
KR20230018062A (ko) * 2021-07-29 2023-02-07 강성구 다초점 레이저를 이용한 유해 조수 퇴치기
KR20240045425A (ko) 2022-09-29 2024-04-08 김근석 Ai 카메라를 이용한 유해동물 퇴치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0162A (ja) * 2000-06-28 2002-01-08 Tekkuderu:Kk 鳥獣追い払い機
KR101373698B1 (ko) * 2012-11-02 2014-03-13 (주)지이에스 레이저를 이용한 야생동물 및 유해조류 퇴치기
KR20150086015A (ko) * 2014-01-17 2015-07-27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조명을 이용한 야생동물퇴치기
KR20180001429A (ko) * 2016-06-24 2018-01-04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음원 탐지 및 IoT 기술을 적용한 유해 조수 퇴치 시스템
KR20180117074A (ko) * 2018-10-08 2018-10-26 윤정노 유해조수 퇴치기
KR20180130429A (ko) * 2017-05-29 2018-12-07 주식회사 더원 유해조수 퇴치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0162A (ja) * 2000-06-28 2002-01-08 Tekkuderu:Kk 鳥獣追い払い機
KR101373698B1 (ko) * 2012-11-02 2014-03-13 (주)지이에스 레이저를 이용한 야생동물 및 유해조류 퇴치기
KR20150086015A (ko) * 2014-01-17 2015-07-27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조명을 이용한 야생동물퇴치기
KR20180001429A (ko) * 2016-06-24 2018-01-04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음원 탐지 및 IoT 기술을 적용한 유해 조수 퇴치 시스템
KR20180130429A (ko) * 2017-05-29 2018-12-07 주식회사 더원 유해조수 퇴치장치
KR20180117074A (ko) * 2018-10-08 2018-10-26 윤정노 유해조수 퇴치기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4577A (ko) 2020-06-12 2021-12-21 송종명 울타리 지주 진동발생형 유해동물 퇴치장치
KR20220000141A (ko) * 2020-06-25 2022-01-03 (주)에코팜 학습효과를 방지할 수 있는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장치
KR102531862B1 (ko) * 2020-06-25 2023-05-12 재단법인 한국미래농업연구원 학습효과를 방지할 수 있는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장치
KR20220006765A (ko) * 2020-07-09 2022-01-18 주식회사 지앤제이스 조류퇴치장치
KR102450058B1 (ko) * 2020-07-09 2022-10-05 주식회사 지앤제이스 조류퇴치장치
KR20220013175A (ko) 2020-07-24 2022-02-04 이석원 비말차단 및 바이러스 유입 억제를 위한 발수코팅 마스크
KR20220013529A (ko) 2020-07-24 2022-02-04 이석원 브레스쿨 기능성 원단으로 제조된 마스크
KR102359626B1 (ko) * 2021-06-03 2022-02-08 김종재 유해 조수 퇴치기
KR20230018062A (ko) * 2021-07-29 2023-02-07 강성구 다초점 레이저를 이용한 유해 조수 퇴치기
KR102620126B1 (ko) 2021-07-29 2023-12-29 강성구 다초점 레이저를 이용한 유해 조수 퇴치기
KR20240045425A (ko) 2022-09-29 2024-04-08 김근석 Ai 카메라를 이용한 유해동물 퇴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6346B1 (ko) 야생동물 및 유해조류 퇴치기
KR101762511B1 (ko) 드론을 이용한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퇴치 방법.
US20240065257A1 (en) System and Method to Drive Away Geese
KR101373698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야생동물 및 유해조류 퇴치기
JP3177796U (ja) 害獣威嚇装置
US20210084886A1 (en) Wild animal repulsing apparatus
ES2758874T3 (es) Sistemas y métodos para disuadir a los animales
KR20110138511A (ko) 유해생물 퇴치 시스템
KR101710689B1 (ko) 유해 조수 퇴치 장치
KR101339060B1 (ko) 조류 퇴치장치
US9072288B1 (en) Solar powered owl systems
KR102421330B1 (ko) 농작물의 피해 방지를 위한 추적형 야생동물 퇴치장치
KR20210058088A (ko) 유해 동물 인공지능 퇴치기
KR102415889B1 (ko) 조류를 포함하는 동물 퇴치기
JP2002186402A (ja) レーザービームのマルチ照射による鳥獣侵入防止方法
CN117545352A (zh) 有害动物管理系统
KR20170008489A (ko) 유해조수 퇴치 로봇 시스템 및 이의 작동 방법
JPH08126460A (ja) 鳥獣害防止具
JP2002101806A (ja) レーザ式鳥獣威嚇装置
KR20000030459A (ko) 적외선 센스를 이용한 전자 조류 퇴치기
JP4836124B2 (ja) 鳥類忌避装置
US650820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rsing pigeons
JP3215345U (ja) 害獣駆逐装置
KR101838434B1 (ko) 조류퇴치수단
KR102531862B1 (ko) 학습효과를 방지할 수 있는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