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5889B1 - 조류를 포함하는 동물 퇴치기 - Google Patents

조류를 포함하는 동물 퇴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5889B1
KR102415889B1 KR1020200044051A KR20200044051A KR102415889B1 KR 102415889 B1 KR102415889 B1 KR 102415889B1 KR 1020200044051 A KR1020200044051 A KR 1020200044051A KR 20200044051 A KR20200044051 A KR 20200044051A KR 102415889 B1 KR102415889 B1 KR 102415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box
heat dissipation
birds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4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6352A (ko
Inventor
이순철
이종국
Original Assignee
이순철
이종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철, 이종국 filed Critical 이순철
Priority to KR1020200044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5889B1/ko
Publication of KR20210126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6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1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light sources, e.g. lasers or flashing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birds, e.g. spik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2Constructional details
    • H01S3/04Arrangements for thermal management
    • H01S3/0405Conductive cooling, e.g. by heat sinks or thermo-electric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2Constructional details
    • H01S3/04Arrangements for thermal management
    • H01S3/042Arrangements for thermal management for solid state las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ir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류를 포함하는 동물 퇴치기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 내측에 설치된 레이저발사부에서 레이저를 발사하면, 레이저난반사부에 의해 레이저가 굴절을 일으켜 다양한 방향으로 발사되어 동물 또는 조류의 시각을 자극하여 퇴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레이저의 발사 시 적정온도를 유지하여 레이저의 발사가 용이하고, 전신주, 가로등 또는 지주를 이용해 밭, 과수원 등에 설치하여 레이저 광선을 야생조류에게 발사하여 시각적인 자극을 가함으로써 동물 및 조류의 퇴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류를 포함하는 동물 퇴치기{A device for extermination animal}
본 발명은 조류를 포함하는 동물 퇴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신주, 가로등 또는 지주를 이용해 밭, 과수원 등에 설치하여 레이저를 조류를 포함하는 동물에 발사하여 시각을 자극해 퇴치하는 조류를 포함하는 동물 퇴치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연 보호의 일환으로, 야생 조류의 수렵을 금지시키는 각종 규제가 점차 확산됨에 따라, 야생 조류의 개체수가 급증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야생 조류의 급증에 따른 역기능으로, 야생 조류에 의한 농작물 피해를 비롯하여, 야생 조류 집단 서식지의 수질 오염과 산림 자원의 황폐, 문화재의 훼손 및 야생 조류와 항공기의 충돌로 인한 버드 스트라이크의 피해 등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피해를 예방 및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폭음이나 폭죽, 조류 기피 음향이나 모형 등을 설치하는 등의 여러 가지 대책이 다각도로 강구되고 있지만, 대부분 그 효과가 미흡하고, 그에 따른 부작용이 수반되고 있어 적극적으로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와 같은 현실에서 최근, 시각이 사람의 10-12배로 발달한 조류의 경우, 강한 빛의 녹색 막대기로 위협하는 것처럼 느껴지게 시각을 자극하여, 야생 조류를 퇴치시키는 레이저에 의한 야생 조류의 퇴치 방식이 개발되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레이저에 의한 야생 조류의 퇴치 방식으로는 프랑스의 로드이미징사가 개발한 레이저 퇴치기(TOM 500)가 시판되고 있으나, 동 퇴치기의 경우, 레이저 빔을 광학 렌즈를 통해 확산하게 하는 원리를 취함으로 인하여, 원거리에서는 빔의 넓이각(beam divergence)이 커지게 됨으로써, 레이저빔의 밀도가 낮아져 조류의 시각적 충격이 크게 약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개발한 무인 반자율 로봇 퇴치기의 경우, 극지향성 고음 스피커와 레이저를 장착한 로봇이 조류 방향으로 돌진하면서 고음과 레이저를 동시에 발사하여 퇴치하는 방식으로 소개된 바 있으나, 레이저의 효율적인 작동의 한계와 함께, 평균 면적 4Km×2Km의 광역 지역인 공항에서 시속 30Km의 주행 속도로는 조류 출몰 지역을 완전 제어하지 못하는 결함이 있고, 특히 고가의 장비로서, 경제성이 너무 낮아 현실적으로 도입이 거의 어려운 실정에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문헌으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53948호(2014.01.22. 공고)의 "레이저를 이용한 거치형 야생 조류 퇴치 장치"는 바닥 고정판의 상측으로 기둥이 설치되어, 상단부에 거치대가 장착되고, 상기 거치대는 정면 좌,우 양측으로 구동축이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에 일정한 간격으로 모듈 지지판이 설치되어, 상부에 두개의 모듈 박스가 좌,우 양측으로 장착되고, 중간부에 프레임이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기 거치대의 내측벽에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모터 박스가 설치되고, 모터 박스 내부에 장착된 모터가 상기 구동축과 연결되며, 상기 모듈 박스는 내부에 레이저 모듈이 내장되고, 후측부에 내,외부 방열팬이 구비된 열전소자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선행문헌은 레이저 모듈의 레이저 헤드에서 발생한 3개의 레이저 광선에 의하여 야생 조류가 위치한 목표 지점이 정삼각형의 형태로 광범위하게 입체적으로 커버되면서 해당 지점에 있는 야생 조류에게 시각적인 자극을 강하게 가하여 야생조류를 퇴치시킬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레이저 모듈이 모듈 지지판 상에 좌,우 2열로 4단에 걸쳐 총 8개가 설치되기 때문에 제조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의 선행문헌은 모터로 일정한 각도에서 구동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반복적으로 구동하여 해당 지역을 향하여 레이저 광선의 발사와 중지를 번갈아 가며 반복적으로 실시(GO-STOP-GO-STOP)함으로써,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PCB에 실장된 소자에 영향을 주어 부품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은 물론 레이저를 연속하여 발사하는 경우 열에 의해 레이저 발사의 적정온도를 맞출 수 없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53948호(2014.01.22. 공고)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신주, 가로등 또는 지주를 이용해 밭, 과수원 등에 설치하여 레이저 광선을 동물 및 조류에게 발사하여 시각적인 자극에 의해 동물 및 조류를 퇴치하는 조류를 포함하는 동물 퇴치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이저의 발사 시 열의 방열이 잘 이루어져 레이저가 발사되는 적정온도를 유지하여 동물 및 조류의 퇴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조류를 포함하는 동물 퇴치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이저의 발사 시 다양한 방향으로 발사되도록 하여 동물 및 조류를 효과적으로 퇴치시킬 수 있도록 한 조류를 포함하는 동물 퇴치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케이스 내측에 설치된 레이저발사부에서 레이저를 발사하면, 레이저난반사부에 의해 레이저가 굴절을 일으켜 다양한 방향으로 발사되어 동물 또는 조류의 시각을 자극하여 퇴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를 포함하는 동물 퇴치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레이저발사부는, 상부와 하부에 복수의 방열핀이 형성되는 방열몸체, 레이저가 설치되는 레이저홀, 센서가 설치되는 센서홀로 이루어지는 방열부재와; 방열부재의 외주연 일측에 설치되는 히터부재와; 방열부재에 설치되는 센서와; 방열부재에 설치되는 복수의 레이저부재와; 방열부재의 상부에서 거리가 이격되게 설치되는 컨트롤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레이저난반사부는, 레이저발사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바에 의해 설치되는 고정패널과; 볼트에 의해 고정패널에 설치되는 난반사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난반사회전수단은, 복수의 레이저공이 형성되는 제1박스와 제1박스에 결합되는 제2박스로 이루어지는 회전수단박스와; 회전수단박스의 일측에 설치되는 회전모터와; 회전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레이저가 굴절되게 난반사필름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수단박스 내측에 설치되는 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어부는, 회전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수단박스 내측에 설치되는 제1기어와; 제1기어와 치합되어 회전수단박스 내측에 설치되는 제2기어와; 회전수단박스의 내측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난반사필름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2기어와 치합되는 제3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레이저난반사부는, 레이저발사부재에서 발사되는 레이저가 난반사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난반사필름을 통과하면서 굴절을 일으켜 다양한 방향으로 발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케이스는, 레이저의 발사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방향전환수단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신주, 가로등 또는 지주를 이용해 밭, 과수원 등에 설치하여 레이저 광선을 동물 또는 조류에 발사하여 시각을 자극함으로써 동물 및 조류의 퇴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이저의 발사 시 적정온도를 유지하여 레이저의 발사가 가능함으로써 동물 및 조류를 퇴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이저의 발사 시 난반사필름에 의해 레이저가 굴절을 일으켜 다양한 방향으로 발사되도록 하여 용이하게 동물 및 조류를 퇴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류를 포함하는 동물 퇴치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류를 포함하는 동물 퇴치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류를 포함하는 동물 퇴치기의 결합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레이저발사부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PCB에 실장된 컨트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레이저난반사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레이저난반사부의 결합구성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레이저난반사부의 결합구성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조류를 포함하는 동물 퇴치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설치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조류를 포함하는 동물 퇴치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류를 포함하는 동물 퇴치기는 케이스(100) 내측에 설치된 레이저발사부(300)에서 레이저를 발사하면, 레이저난반사부(400)에 의해 레이저가 굴절을 일으켜 다양한 방향으로 발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류를 포함하는 동물 퇴치기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류를 포함하는 동물 퇴치기는 케이스(100), 레이저발사부(300) 및 레이저난반사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0)는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내측에 공간을 가지며 다단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결합홀이 형성된 복수의 케이스결합돌기(101)가 4방향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00)에는 케이스결합돌기(101)와 동일 위치에 형성되는 커버결합돌기(111)를 갖는 고정커버(110)가 구성되고, 상기 고정커버(110)는 케이스(100)의 개방된 부분에 위치되는 차폐부재(120)를 고정한다.
상기 케이스(100)에는 차폐부재(120)가 설치되고, 상기 차폐부재(120)는 제2레이저공(121-1)이 형성된 차폐패널(121)과, 차폐패널(121)의 일측에 설치되는 유리패널(122) 및 차폐패널(121)과 유리패널(122)이 밀착된 상태에서 외주연에 설치되는 패킹(12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폐부재(120)는 케이스(100)의 개방된 부분에 설치되어 그 내측에 설치된 레이저발사부(300) 및 레이저난반사부(40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내측으로 이물질 또는 급기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에는 결합패널(130)이 볼트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결합패널(130)은 패널고정공(131)과 발사부고정공(132)이 형성된다. 상기 패널고정공(131)은 결합패널(130)이 케이스(100)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가 결합되고, 상기 발사부고정공(132)은 발사부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가 결합된다.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에는 수직바(140)가 설치되며, 상기 수직바(140)에는 상하각도조절부재(141)가 형성되어 케이스(100)를 상하방향으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케이스(100)의 좌,우로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방향전환수단(200)이 구성된다. 상기 방향전환수단(200)은 케이스(100)에 형성된 수직바(140)에 방향전환케이스(210)가 설치되며, 상기 수직바(140)에는 감속기(220)가 결합되어 방향전환케이스(210)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감속기(220)에는 방향전환모터(230)가 결합되어 방향전환케이스(210)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방향전환케이스(210)에는 박스덮개(211)가 설치되어 이물질 및 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박스덮개(211)에는 지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공에는 지주가 결합된다.
상기 레이저발사부(300)는 동물 및 조류를 퇴치할 수 있도록 케이스(100)의 내측에 설치된다. 상기 레이저발사부(300)는 레이저의 발사 시 레이저부재(34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할 수 있도록 방열부재(310)가 구성되고, 야간에 온도가 낮아지는 계절에는 용이하게 발사되게 적정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방열부재(310)의 일측에 히터부재(330)가 설치되며, 상기 방열부재(31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방열부재(310)에 센서(320)가 설치되고, 동물 및 조류를 퇴치시킬 수 있도록 방열부재(310)에 복수이 레이저부재(340)가 설치되며, 레이저부재(340)에서 레이저의 발사가 용이하도록 적정온도를 유지하도록 함은 물론 레이저의 발사를 제어하는 컨트롤부재(35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방열부재(310)는 상부와 하부에 복수의 방열핀(313)이 형성되고, 레이저부재(340)가 설치되는 레이저홀(311) 및 센서(320)가 설치되는 센서홀(312)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부재(350)는 레이저발사부(300)와 레이저난반사부(400)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가 설계된 PCB로 이루어진다.
상기 레이저난반사부(400)는 레이저발사부(300)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바(413)에 의해 설치되는 고정패널(410)과, 볼트에 의해 고정패널(410)에 결합되는 난반사회전수단(42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패널(410)은 나사 또는 볼트가 결합되는 고정공을 갖는 패널돌기(411)가 양측에 형성된다. 또한, 고정패널(410)은 제2레이저공(121-1)이 형성되어 레이저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난반사회전수단(420)은, 회전수단박스(421), 회전모터(422) 및 기어부(423)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수단박스(421)는 복수의 레이저공(421-1a)이 형성되는 제1박스(421-1)가 구성되고, 상기 제1박스(421-1)에 결합되는 제2박스(421-2)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모터(422)는 회전수단박스(421)의 일측에 설치되어 회전수단박스(421) 내측에 설치되는 기어부(423)로 구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기어부(423)는 회전모터(422)의 구동력에 의해 난반사필름(424)을 회전시켜 레이저가 굴절될 수 있도록 회전수단박스(421)의 내측에 설치된다.
상기 난반사필름(424)은 중앙을 중심으로 6등분되어 구역이 설정되고, 이러한 구역에는 레이저가 각기 다른 방향으로 발사가 이루어지도록 각도변위형상이 형성되며, 상기 각도변위형상은 각도가 서로 다르게 이루어진다.
상기 기어부(423)는 회전모터(422)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수단박스(421)의 내측에 설치되는 하나의 제1기어(423-1)와, 상기 하나의 제1기어(423-1)와 치합되어 회전수단박스(421)의 내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2기어(423-2) 및 상기 회전수단박스(421)의 내측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난반사필름(424)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제2기어(423-2)와 치합되는 복수의 제3기어(423-3)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모터(422)의 구동축에 결합된 제1기어(423-1)가 회전모터(422)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면 제1기어(423-1)와 치합된 제2기어(423-2)가 회전하면서 제3기어(423-3)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3기어(423-3)에는 일측에는 난반사필름(424)이 설치되고, 상기 난반사필름(424)은 레이저발사부(300)에서 발사되는 레이저가 굴절을 일으켜 다양한 방향으로 발사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류를 포함하는 동물 퇴치기를 활용하여 동물 또는 조류의 시각을 자극하여 퇴치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지주를 이용해 밭, 과수원 등에 설치하고, 상기 지주에 본 발명의 조류를 포함하는 동물 퇴치기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지주에 조류를 포함하는 동물 퇴치기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원함체(500)가 설치되고, 상기 전원함체(500)로부터 레이저발사부(300)에 설치된 컨트롤부재(350)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전원선이 연결된다. 이때 전원선에는 슬립링을 설치하여 방향전환수단(200)에 의해 케이스(100)의 회전 시에도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지주에 본 발명의 조류를 포함하는 동물 퇴치기와 전원함체(500)를 설치한 상태에서 전원함체(500)에 형성된 전원스위치를 조작하여 컨트롤부재(350)로 전원이 공급되고, 또한, 주야선택스위치를 조작하여 주간모드 또는 야간모드로 구동되도록 컨트롤부재(350)에 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컨트롤부재(350)는 방향전환수단(200)의 방향전환모터(230)로 전원을 공급하여 케이스(100)가 회전되도록 하고 동시에 방열부재(310)에 설치된 센서(320)에 의해 방열부재(310)의 온도를 측정하여 레이저를 발사할 수 있는 적정한 온도인지 판단한다.
상기 컨트롤부재(350)는 센서에서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레이저를 발사할 수 있는 적정 온도의 이하인 경우에는 레이저의 발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히터부재(330)로 전원을 공급하여 발생되는 열에 의해 방열부재(310)가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방열부재(310)가 적정한 온도로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컨트롤부재(350)는 센서(320)를 통해 간헐적으로 방열부재(310)의 온도가 레이저를 발사하기 위한 적정한 온도인지 판단하고, 방열부재(310)의 온도가 적정 온도(또는 설정온도)로 판단되면, 레이저부재(340)에 전원을 인가하여 레이저가 발사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레이저부재(340)에서 레이저가 발사되는 상태에서 방열부재(310)에 설치된 센서(320)를 통해 온도를 체크하고, 체크된 온도가 적정온도(또는 설정온도) 이상이면 히터부재(330)로 공급하던 전원을 차단하여 방열부재(310)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레이저부재(340)에서 레이저가 발사되면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방열부재(310)의 온도가 적정온도 이상으로 올라가는 경우, 레이저의 발사를 간헐적으로 발사되도록 하여 방열부재(310)의 온도가 적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레이저부재(340)에 의해 발사되는 레이저는 레이저난반사부(400)를 통과하면서 굴절이 발생하고, 이러한 굴절은 다양한 각도로 꺽이면서 다양한 방향으로 발사가 이루어진다.
상기 레이저가 다양한 방향으로 발사가 이루어지는 것은 레이저난반사부(400)의 회전수단박스(421) 내에 설치된 제1기어(423-1) 및 제3기어(423-3)가 회전모터(422)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3기어(423-3)는 일측에 설치된 난반사필름(424)을 회전시켜 레이저가 굴절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레이저는 난반사필름(424)에 의해 굴절이 이루어지면서 다양한 각도로 레이저의 발사가 이루어져 동물 또는 조류의 시각을 자극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방향전환수단의 방향전환모터(230)와 감소기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져 다양한 방향으로 레이저가 발사되어 동물 또는 조류의 시각을 자극해 퇴치시킨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레이저의 발사 시 적정온도를 유지하여 레이저의 발사가 용이하다. 또한, 방향전환모터(230)를 이용하여 케이스(100)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레이저난반사부(400)를 통해 난반사필름(424)을 회전시켜 레이저가 굴절됨으로써 다양한 방향으로 레이저가 발사되도록 하여 동물 또는 조류의 시각을 자극하여 퇴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해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케이스 101: 케이스결합돌기
110: 고정커버 111: 커버결합돌기
120: 차폐부재 121: 차폐패널
121-1: 제2레이저공 122: 유리패널
123: 패킹 130: 결합패널
131: 패널고정공 132: 발사부고정공
140: 수직바 141: 상하각도조절부재
200: 방향전환수단 210: 방향전환케이스
211: 박스덮개 220: 감속기
230: 방향전환모터 300: 레이저발사부
310: 방열부재 311: 레이저홀
312: 센서홀 313: 방열핀
320: 센서 330: 히터부재
340: 레이저부재 350: 컨트롤부재
400: 레이저난반사부 410: 고정패널
411: 패널돌기 412: 제2레이저공
413: 고정바 420: 난반사회전수단
421: 회전수단박스 421-1: 제1박스
421-1a: 레이저공 421-2: 제2박스
422: 회전모터 423: 기어부
423-1: 제1기어 423-2: 제2기어
423-3: 제3기어 424: 난반사필름
500: 전원함체

Claims (7)

  1. 케이스(100) 내측에 설치된 레이저발사부(300)에서 레이저를 발사하면, 레이저난반사부(400)에 의해 레이저가 굴절을 일으켜 다양한 방향으로 발사되어 동물 또는 조류의 시각을 자극하여 퇴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를 포함하는 동물 퇴치기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난반사부(400)는,
    레이저발사부(300)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바에 의해 설치되는 고정패널과;
    볼트에 의해 고정패널(410)에 설치되는 난반사회전수단(420);을 포함하고,
    상기 난반사회전수단(420)은,
    복수의 레이저공(421-1a)이 형성되는 제1박스(421-1)와 제1박스(421-1)에 결합되는 제2박스(421-2)로 이루어지는 회전수단박스(421)와;
    회전수단박스(421)의 일측에 설치되는 회전모터(422)와;
    회전모터(422)의 구동력에 의해 레이저가 굴절되게 난반사필름(424)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수단박스(421)의 내측에 설치되는 기어부(42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를 포함하는 동물 퇴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발사부(300)는,
    상부와 하부에 복수의 방열핀(313)과 레이저부재(340)가 설치되는 레이저홀(311) 및 센서(320)가 설치되는 센서홀(312)로 이루어지는 방열부재(310)와;
    방열부재(310)의 외주연 일측에 설치되는 히터부재(330)와;
    방열부재(310)에 설치되는 센서(320)와;
    방열부재(310)에 설치되는 복수의 레이저부재(340)와;
    방열부재(310)의 상부에서 거리가 이격되게 설치되는 컨트롤부재(3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를 포함하는 동물 퇴치기.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423)는,
    회전모터(422)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수단박스(421) 내측에 설치되는 하나의 제1기어(423-1)와;
    제1기어(423-1)와 치합되어 회전수단박스(421) 내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2기어(423-2)와;
    회전수단박스(421)의 내측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난반사필름(424)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2기어(423-2)와 치합되는 복수의 제3기어(423-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를 포함하는 동물 퇴치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난반사부(400)는,
    레이저발사부(300)에서 발사되는 레이저가 난반사회전수단(420)에 의해 회전되는 난반사필름(424)을 통과하면서 굴절을 일으켜 다양한 방향으로 발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를 포함하는 동물 퇴치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는,
    레이저의 발사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방향전환수단(200)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를 포함하는 동물 퇴치기.
KR1020200044051A 2020-04-10 2020-04-10 조류를 포함하는 동물 퇴치기 KR102415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051A KR102415889B1 (ko) 2020-04-10 2020-04-10 조류를 포함하는 동물 퇴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051A KR102415889B1 (ko) 2020-04-10 2020-04-10 조류를 포함하는 동물 퇴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6352A KR20210126352A (ko) 2021-10-20
KR102415889B1 true KR102415889B1 (ko) 2022-07-01

Family

ID=78268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4051A KR102415889B1 (ko) 2020-04-10 2020-04-10 조류를 포함하는 동물 퇴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58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81026B (zh) * 2021-11-20 2024-02-27 贵州乌江水电开发有限责任公司 一种水电站高压输电线路驱鸟保护装置
KR102505336B1 (ko) * 2022-11-03 2023-03-06 주식회사 세준전력기술 조류퇴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5151A (ja) 2004-08-11 2006-03-23 Hideo Uno 小動物撃退装置
CN102870761A (zh) * 2012-09-13 2013-01-16 西南科技大学 一种自动瞄准的多点激光驱鸟装置及控制方法
KR101353948B1 (ko) * 2013-09-11 2014-01-22 한국농림시스템주식회사 레이저를 이용한 거치형 야생 조류 퇴치 장치
KR101367826B1 (ko) 2013-08-26 2014-03-12 황재성 레이저광을 이용한 실사 이미지 표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3644A (ja) * 1992-12-28 1994-08-23 Takashi Oda レーザー光利用の鳥獣害防除方法
KR20180117074A (ko) * 2018-10-08 2018-10-26 윤정노 유해조수 퇴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5151A (ja) 2004-08-11 2006-03-23 Hideo Uno 小動物撃退装置
CN102870761A (zh) * 2012-09-13 2013-01-16 西南科技大学 一种自动瞄准的多点激光驱鸟装置及控制方法
KR101367826B1 (ko) 2013-08-26 2014-03-12 황재성 레이저광을 이용한 실사 이미지 표현 장치
KR101353948B1 (ko) * 2013-09-11 2014-01-22 한국농림시스템주식회사 레이저를 이용한 거치형 야생 조류 퇴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6352A (ko) 2021-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3698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야생동물 및 유해조류 퇴치기
CA2137931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ser pest control
KR102415889B1 (ko) 조류를 포함하는 동물 퇴치기
US9538739B2 (en) Method for laser mosquito control
US7073287B2 (en) Mosquitoes eradicating system
KR101353948B1 (ko) 레이저를 이용한 거치형 야생 조류 퇴치 장치
JP3177796U (ja) 害獣威嚇装置
US20060021274A1 (en) Insect killer
KR102172850B1 (ko)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타이머 내장형 축사용 led 해충퇴치기
ES2603260B1 (es) Dispositivo para la detección de insectos.
KR20180028490A (ko) 해충을 퇴치 또는 박멸하기 위한 장치
KR101189891B1 (ko) 야생 동물 및 조류 퇴치 장치
JP2002101806A (ja) レーザ式鳥獣威嚇装置
JP2002186402A (ja) レーザービームのマルチ照射による鳥獣侵入防止方法
JP3198676U (ja) 害虫害獣忌避用光源装置
KR20210129493A (ko) 농작물의 피해 방지를 위한 추적형 야생동물 퇴치장치
JP2002000162A (ja) 鳥獣追い払い機
KR20090001400A (ko) 해충 포획장치
KR20220061443A (ko) 야생동물 퇴치기
KR20160051018A (ko) 조류 퇴치장치
KR20160025928A (ko) 퇴치 장치
JP6381558B2 (ja) 防虫灯
KR20190036653A (ko) 해충 퇴치기
JPH06233644A (ja) レーザー光利用の鳥獣害防除方法
KR102536909B1 (ko) Uv led가 적용된 포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