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3948B1 - 레이저를 이용한 거치형 야생 조류 퇴치 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를 이용한 거치형 야생 조류 퇴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3948B1
KR101353948B1 KR1020130109411A KR20130109411A KR101353948B1 KR 101353948 B1 KR101353948 B1 KR 101353948B1 KR 1020130109411 A KR1020130109411 A KR 1020130109411A KR 20130109411 A KR20130109411 A KR 20130109411A KR 101353948 B1 KR101353948 B1 KR 101353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module
laser module
wild bird
s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9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상모
김신향
송춘호
안성환
Original Assignee
한국농림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농림시스템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농림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9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39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3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3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1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light sources, e.g. lasers or flashing ligh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를 이용한 거치형 조류 퇴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한 장소에 고정 설치되는 거치형으로서,
레이저가 발생되는 레이저 모듈의 후측부에 내,외부 방열팬이 구비된 열전소자를 장착하여, 외부 기온이 낮을 때는 내부 방열팬을 가동하여 열전소자에서 방출된 열이 레이저 모듈 내부로 유입되게 하고, 열이 높을 때에는 외부 방열팬을 가동하여 열을 외부로 방출시킴으로써,
레이저 모듈의 주변 온도를 레이저가 발사되기에 가장 적합한 온도로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레이저의 발사 적정 작동 온도인 15 - 35℃를 벗어나는 가을부터 늦은 봄에 걸쳐 주로 나타나는 저온으로 인한 레이저의 작동 장애 현상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레이저 모듈을 모터로 일정한 각도에서 좌,우로 반복적으로 회전하는 거치대 상에 장착하여, 원격 조정으로 해당 지역을 광범위하게 야생 군집 조류로부터 안전하게 보호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레이저를 이용한 거치형 야생 조류 퇴치 장치{STAND TYPE WILD BIRDS DETERRENT SYSTEM BY LASER}
본 발명은 레이저를 이용한 거치형 야생 조류 퇴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거치형으로서, 레이저 광선을 퇴치시키고자 하는 야생 조류에게 발사하여,
야생 조수에게 레이저 광선에 의한 시각적 자극을 가함으로써,
야생 조류를 해당 지역에서 퇴치시키고자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거치형 야생 조류 퇴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연 보호의 일환으로, 야생 조류의 수렵을 금지시키는 각종 규제가 점차 확산됨에 따라,
야생 조류의 개체수가 급증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야생 조류의 급증에 따른 역기능으로,
야생 조류에 의한 농작물 피해를 비롯하여, 야생 조류 집단 서식지의 수질 오염과 산림 자원의 황폐, 문화재의 훼손 및 야생 조류와 항공기의 충돌로 인한 버드 스트라이크의 피해 등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피해를 예방 및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폭음이나 폭죽, 조류 기피 음향이나 모형 등을 설치하는 등의 여러 가지 대책이 다각도로 강구되고 있지만, 대부분 그 효과가 미흡하고, 그에 따른 부작용이 수반되고 있어 활발히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와 같은 현실에서 최근, 시각이 사람의 10-12배로 특히 발달한 조류의 경우, 강한 빛의 녹색 막대기로 위협하는 것처럼 느껴지게 시각을 자극하여, 야생 조류를 퇴치시키는 레이저에 의한 야생 조류의 퇴치 방식이 개발되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레이저에 의한 야생 조류의 퇴치 방식으로는 프랑스의 로드이미징사가 개발한 레이저 퇴치기(TOM 500)가 시판되고 있으나,
동 퇴치기의 경우,
레이저 빔을 광학 렌즈를 통해 확산하게 하는 원리를 취함으로 인하여, 원거리에서는 빔의 넓이각(beam divergence)이 커지게 됨으로써, 레이저빔의 밀도가 낮아져 조류의 시각적 충격이 크게 약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개발한 무인 반자율 로봇 퇴치기의 경우,
극지향성 고음 스피커와 레이저를 장착한 로봇이 조류 방향으로 돌진하면서 고음과 레이저를 동시에 발사하여 퇴치하는 방식으로 소개된 바 있으나,
레이저의 효율적인 작동의 한계와 함께, 평균 면적 4Km × 2Km의 광역 지역인 공항에서 시속 30Km의 주행 속도로는 조류 출몰 지역을 완전 제어하지 못하는 결함이 있고, 특히 고가의 장비로서, 경제성이 너무 낮아 현실적으로 도입이 거의 어려운 실정에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레이저를 이용한 야생 조류 퇴치 방식이 갖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연구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한 장소에 고정 설치되는 거치형으로서,
야생 조류가 서식 또는 체류하는 일정 지역에 설치되어, 해당 지역을 보다 광범위하게 입체적으로 커버하여, 해당 지역에 야생 조류가 진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레이저 모듈의 내,외부 온도에 따라 레이저빔의 효율성이 크게 달라지는 점을 감안하여, 레이저 모듈 내부에 레이저가 작동하기에 가장 적합한 조건을 조성함으로써, 레이저 발사시, 오작동을 일으키는 일이 없이 보다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한 장소에 고정 설치되는 거치형으로서,
레이저가 발생되는 레이저 모듈의 후측부에 내,외부 방열팬이 구비된 열전소자를 장착하여, 외부 기온이 낮을 때는 내부 방열팬을 가동하여 열전소자에서 방출된 열이 레이저 모듈 내부로 유입되게 하고, 열이 높을 때에는 외부 방열팬을 가동하여 열을 외부로 방출시킴으로써,
레이저 모듈의 주변 온도를 레이저가 발사되기에 가장 적합한 온도로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레이저의 발사 적정 작동 온도인 15 - 35℃를 벗어나는 가을부터 늦은 봄에 걸쳐 주로 나타나는 저온으로 인한 레이저의 작동 장애 현상에 구애됨이 없이,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레이저 모듈을 모터로 일정한 각도에서 좌,우로 반복적으로 회전하는 거치대 상에 장착하여, 원격 조정으로 해당 지역을 광범위하게 야생 군집 조류로부터 안전하게 보호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거치형 야생 조류 퇴치 장치는,
일정한 장소에 고정 설치되는 거치형으로서,
레이저 모듈의 주변 온도를 레이저가 발사되기에 가장 적합한 온도로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레이저의 발사 적정 작동 온도인 15 - 35℃를 벗어나는 가을부터 늦은 봄에 걸쳐 주로 나타나는 저온으로 인한 레이저의 작동 장애 현상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레이저 모듈이 일정한 각도에서 좌,우로 반복적으로 회전하며 레이저를 발사할 수 있게 하여, 해당 지역을 보다 광범위하게 야생 군집 조류로부터 안전하게 보호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외형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장착된 레이저 모듈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3 은 동 커버를 분리한 상태의 레이저 모듈의 구성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장착된 레이저 모듈의 발췌 사시도,
도 5 는 동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외형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장착된 레이저 모듈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3 은 동 커버를 분리한 상태의 레이저 모듈의 구성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거치형 야생 조류 퇴치 장치는,
바닥 고정판(1)의 상측으로 기둥(3)이 설치되어, 상단부에 거치대(5)가 장착되고, 이 거치대(5)의 내부에는 레이저를 발사하는 레이저 모듈을 설치 및 구동시키기 위한 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다시 상기 거치대(5)는 정면 좌,우 양측으로 구동축(7)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축(7)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수개의 모듈 지지판(9)이 설치되어, 상부에 두개의 모듈 박스(11)(11')가 좌,우 양측으로 장착되어 있고,
중간부에는 프레임(15)이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기 거치대(5)의 내측벽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15)의 상부에는 모터 박스(17)가 설치되어 있고, 모터 박스(17) 내부에 장착된 모터가 상기 구동축(7)과 연결되어 구동축(7)을 좌,우로 반복적으로 회동시키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모듈 박스(11)(11')는 내부에 레이저가 발생되는 레이저 모듈(19)이 내장되어 있고,
후측부에는 내,외부 방열팬(21)(21')이 구비된 열전소자(23)가 장착되어 있다.
도 4 는 본 발명에 장착된 레이저 모듈의 발췌 사시도,
도 5 는 동 분해 사시도로서,
전,후측 케이스(33)(33')의 내부에 3개의 레이저 헤드(35)가 내장되어, 헤드 케이스(37)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내부에 안전등급 2M 이상의 20-50mW의 레이저 다이오드가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 케이스(37)의 일측에는 볼트공(41)이 형성되어, 전측 케이스(33)의 외부에서 조정 볼트(43)로 레이저 헤드(35)의 경사 각도를 미세하게 조정하여, 레이저의 발사 각도를 최적의 상태로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측 케이스(33)의 선단부에는 투명 커버(45)가 부착되어, 레이저 헤드(35)가 먼지 등으로 오염되거나, 내부로 물 또는 찬 공기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고,
후측 케이스(33')의 후단부에는 모듈 연결단자(36)가 외부로 노출되어, 커넥터(47)와 연결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거치형 야생 조류 퇴치 장치는,
야생 조류 퇴치시, 먼저 리모콘으로 스위치를 온시키면,
레이저 모듈(19)의 레이저 헤드(35)에서 발생한 3개의 레이저 광선에 의하여 야생 조류가 위치한 목표 지점이 정삼각형의 형태로 광범위하게 입체적으로 커버되면서 해당 지점에 있는 야생 조류에게 시각적인 자극을 강하게 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레이저 광선이 발사된 지역에 있는 야생 조류는 마치 강한 빛의 녹색 막대기로 자신을 위협하는 것처럼 시각적으로 강한 자극을 받게 되어 해당 지역을 스스로 이탈하게 됨으로써,
광범위한 지역의 야생 군집조류를 효과적으로 퇴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거치형 야생 조류 퇴치 장치는,
레이저 모듈(19)이 모듈 지지판(9) 상에 좌,우 2열로 4단에 걸쳐 총 8개가 설치되어 모터로 일정한 각도에서 구동축(7)을 중심으로 좌,우로 반복적으로 구동하면서, 해당 지역을 향하여 레이저 광선의 발사와 중지를 번갈아가며 반복적으로 실시(GO-STOP-GO-STOP)함으로써,
해당 지역에 레이저 광선이 입체적으로 광범위하게 발사되게 하여, 야생 조류가 접근하는 것을 억제시켜, 야생 군집 조류로부터 안전하게 보호 관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은 레이저가 발생되는 레이저 모듈(19)의 후측부에 내,외부 방열팬(21)(21')이 구비된 열전소자(23)가 장착되어, 외부 기온이 낮을 때는 내부 방열팬(21)을 가동하여 열전소자(23)에서 방출된 열이 레이저 모듈(19) 내부로 유입되게 하고,
열이 높을 때에는 외부 방열팬(21')을 가동시켜 열을 외부로 방출시킴으로써,
레이저 모듈(19)의 주변 온도를 레이저가 발사되기에 가장 적합한 온도로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레이저의 발사 적정 작동 온도인 15 - 35℃를 벗어나는 가을부터 늦은 봄에 걸쳐 주로 나타나는 저온으로 인한 레이저의 작동 장애 현상에 구애됨이 없이,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거치형 야생 조류 퇴치 장치에 의하면,
일정한 장소에 고정 설치되는 거치형으로서,
레이저 모듈(19)의 주변 온도를 레이저가 발사되기에 가장 적합한 온도로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레이저의 발사 적정 작동 온도인 15 - 35℃를 벗어나는 가을부터 늦은 봄에 걸쳐 주로 나타나는 저온으로 인한 레이저의 작동 장애 현상 없이,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레이저 모듈(19)이 일정한 각도에서 좌,우로 반복적으로 회전하면서 레이저를 발사할 수 있게 하여, 해당 지역을 보다 광범위하게 야생 군집 조류로부터 안전하게 보호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 밖에도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여러 변형예가 가능하며, 상기 실시예 만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니다.
1 : 바닥 고정판
3 : 기둥
5 : 거치대
7 : 구동축
9 : 모듈 지지판
11, 11' : 모듈 박스
15 : 프레임
17 : 모터 박스
19 : 레이저 모듈
21 : 내부 방열팬
21' : 외부 방열팬
23 : 열전소자
33 : 전측 케이스
33' : 후측 케이스
35 : 레이저 헤드
36 : 모듈 연결단자
37 : 헤드 케이스
41 : 볼트공
43 : 조정 볼트
45 : 투명 커버
47 : 커넥터

Claims (3)

  1. 바닥 고정판(1)의 상측으로 기둥(3)이 설치되어, 상단부에 거치대(5)가 장착되고,
    상기 거치대(5)는 정면 좌,우 양측으로 구동축(7)이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7)에 일정한 간격으로 모듈 지지판(9)이 설치되어, 상부에 두개의 모듈 박스(11)(11')가 좌,우 양측으로 장착되고, 중간부에 프레임(15)이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기 거치대(5)의 내측벽에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15)의 상부에 모터 박스(17)가 설치되고, 모터 박스 내부에 장착된 모터가 상기 구동축(7)과 연결되며,
    상기 모듈 박스(11)(11')는 내부에 레이저 모듈(19)이 내장되고, 후측부에 내,외부 방열팬(21)(21')이 구비된 열전소자(23)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거치형 야생 조류 퇴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모듈(19)은 전,후측 케이스(33)(33')의 내부에 3개의 레이저 헤드(35)가 내장되어, 헤드 케이스(37)의 내부에 삽입되고, 내부에 안전등급 2M 이상의 20-50mW의 레이저 다이오드가 내장되며,
    상기 헤드 케이스(37)의 일측에 볼트공(41)이 형성되어, 전측 케이스(33)의 외부에서 조정 볼트(43)로 레이저 헤드(35)의 경사 각도를 조정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거치형 야생 조류 퇴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모듈(19)은 좌,우 2열로 4단에 걸쳐 총 8개가 설치되어 모터로 일정한 각도에서 구동축(7)을 중심으로 좌,우로 반복적으로 구동하면서, 해당 지역을 향하여 레이저 광선의 발사와 중지를 번갈아가며 반복적으로 실시(GO-STOP-GO-STOP)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거치형 야생 조류 퇴치 장치.
KR1020130109411A 2013-09-11 2013-09-11 레이저를 이용한 거치형 야생 조류 퇴치 장치 KR101353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411A KR101353948B1 (ko) 2013-09-11 2013-09-11 레이저를 이용한 거치형 야생 조류 퇴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411A KR101353948B1 (ko) 2013-09-11 2013-09-11 레이저를 이용한 거치형 야생 조류 퇴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3948B1 true KR101353948B1 (ko) 2014-01-22

Family

ID=50146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9411A KR101353948B1 (ko) 2013-09-11 2013-09-11 레이저를 이용한 거치형 야생 조류 퇴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394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42557A (zh) * 2014-12-05 2015-04-29 国家电网公司 遥测型激光驱鸟装置
CN105114899A (zh) * 2015-10-01 2015-12-02 胡金雷 多功能led路灯照明装置
CN108552154A (zh) * 2018-02-24 2018-09-21 南京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航空用驱鸟设备
US10709128B2 (en) 2017-08-31 2020-07-14 Ecolab Us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ird control
KR20210126352A (ko) 2020-04-10 2021-10-20 이순철 동물 및 조류 퇴치기
US20210400951A1 (en) * 2020-06-30 2021-12-30 Yapeng Wang Bird-repelling apparatus, bird-repelling system, and bird-repelling method using bird-repelling apparatus
KR20220000141A (ko) * 2020-06-25 2022-01-03 (주)에코팜 학습효과를 방지할 수 있는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장치
CN115211417A (zh) * 2022-07-07 2022-10-21 深能南京能源控股有限公司 一种基于镭射激光阵列扫描的光伏组件用驱鸟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3644A (ja) * 1992-12-28 1994-08-23 Takashi Oda レーザー光利用の鳥獣害防除方法
JPH07255351A (ja) * 1994-03-25 1995-10-09 Hiroaki Kajiwara 各所砂場に侵入する動物、鳥類等の撃退方法及びその装置
JPH11332448A (ja) * 1998-05-26 1999-12-07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鳥害防止装置
JP2002186402A (ja) 2000-12-19 2002-07-02 Kanai Educational Institution レーザービームのマルチ照射による鳥獣侵入防止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3644A (ja) * 1992-12-28 1994-08-23 Takashi Oda レーザー光利用の鳥獣害防除方法
JPH07255351A (ja) * 1994-03-25 1995-10-09 Hiroaki Kajiwara 各所砂場に侵入する動物、鳥類等の撃退方法及びその装置
JPH11332448A (ja) * 1998-05-26 1999-12-07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鳥害防止装置
JP2002186402A (ja) 2000-12-19 2002-07-02 Kanai Educational Institution レーザービームのマルチ照射による鳥獣侵入防止方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42557A (zh) * 2014-12-05 2015-04-29 国家电网公司 遥测型激光驱鸟装置
CN105114899A (zh) * 2015-10-01 2015-12-02 胡金雷 多功能led路灯照明装置
CN105114899B (zh) * 2015-10-01 2016-08-17 国网山东省电力公司滨州供电公司 多功能led路灯照明装置
US10709128B2 (en) 2017-08-31 2020-07-14 Ecolab Us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ird control
CN108552154A (zh) * 2018-02-24 2018-09-21 南京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航空用驱鸟设备
CN108552154B (zh) * 2018-02-24 2023-07-25 南京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航空用驱鸟设备
KR20210126352A (ko) 2020-04-10 2021-10-20 이순철 동물 및 조류 퇴치기
KR102415889B1 (ko) * 2020-04-10 2022-07-01 이순철 조류를 포함하는 동물 퇴치기
KR102531862B1 (ko) 2020-06-25 2023-05-12 재단법인 한국미래농업연구원 학습효과를 방지할 수 있는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장치
KR20220000141A (ko) * 2020-06-25 2022-01-03 (주)에코팜 학습효과를 방지할 수 있는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장치
US20210400951A1 (en) * 2020-06-30 2021-12-30 Yapeng Wang Bird-repelling apparatus, bird-repelling system, and bird-repelling method using bird-repelling apparatus
CN115211417A (zh) * 2022-07-07 2022-10-21 深能南京能源控股有限公司 一种基于镭射激光阵列扫描的光伏组件用驱鸟装置
CN115211417B (zh) * 2022-07-07 2023-10-24 深能南京能源控股有限公司 一种基于镭射激光阵列扫描的光伏组件用驱鸟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3948B1 (ko) 레이저를 이용한 거치형 야생 조류 퇴치 장치
US1104490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ring birds by laser
US7501979B1 (en) Airborne biota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KR101373698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야생동물 및 유해조류 퇴치기
US8810411B2 (en) Optical barrier to pests
US8111164B2 (en) Employing millimeter-wave electromagnetic energy in collision avoidance
JP6210523B2 (ja) 発煙器、実体化したゲームキャラクターのステータス情報を提示する方法及び装置、及びリモート戦車
CN112566495B (zh) 用于对植物作物进行损坏和/或破坏的系统及相关方法
KR102200384B1 (ko) 유해 조류 퇴치 시스템
DE10230399A1 (de) Vorrichtung zum Fernhalten der Vögel
US20210084886A1 (en) Wild animal repulsing apparatus
KR100825091B1 (ko) 형상 인식형 조수 퇴치시스템
KR102415889B1 (ko) 조류를 포함하는 동물 퇴치기
US2021029081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terilizing spaces or surfaces from stand-off distances
EP4243592A1 (en) Light concentration weeding system
JP2002101806A (ja) レーザ式鳥獣威嚇装置
CN210203085U (zh) 一种激光驱鸟器
KR101344355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야생 조류 퇴치 장치
KR102421330B1 (ko) 농작물의 피해 방지를 위한 추적형 야생동물 퇴치장치
JP2002186402A (ja) レーザービームのマルチ照射による鳥獣侵入防止方法
JP2015135028A (ja) 遮光スクリーン装置
RU2347720C1 (ru) Система защиты летательных аппаратов от управляемого оружия с инфракрасными головками самонаведения
KR102569963B1 (ko) 유해 조류 퇴치 시스템
TW201336410A (zh) 具有驅鳥裝置的飛行載具
JP3198676U (ja) 害虫害獣忌避用光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