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9891B1 - 야생 동물 및 조류 퇴치 장치 - Google Patents

야생 동물 및 조류 퇴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9891B1
KR101189891B1 KR1020120043697A KR20120043697A KR101189891B1 KR 101189891 B1 KR101189891 B1 KR 101189891B1 KR 1020120043697 A KR1020120043697 A KR 1020120043697A KR 20120043697 A KR20120043697 A KR 20120043697A KR 101189891 B1 KR101189891 B1 KR 101189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ightning
light
sound
thu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3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용주
엄태욱
Original Assignee
권용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용주 filed Critical 권용주
Priority to KR1020120043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98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9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9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1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light sources, e.g. lasers or flashing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10Device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animals, birds or other pes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01M29/2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with generation of periodically explosive repor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논, 밭, 과수원 등의 농지 및 경작지에 설치되는 야생 동물 및 조류 퇴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야생 동물 및 조류에게 공포감을 주는 천둥 소리와 번개 빛을 발생하여 야생 동물 및 조류가 본능적으로 자신의 몸을 감추거나 피신하도록 함으로써 농작물 및 경작지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야생 동물 및 조류 퇴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번개 빛 형태로 광을 발생하기 위한 번개 발생부; 천둥소리 형태로 소리를 발생하기 위한 천둥소리 발생부; 번개 빛의 패턴을 분석하여 저장하기 위한 번개 데이터베이스; 천둥소리를 녹음 저장하기 위한 천둥소리 데이터베이스; 상기 번개 데이터베이스 및 천둥소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번개 발생부 및 천둥소리 발생부가 설정된 주기로 광 및 소리를 내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야생 동물 및 조류 퇴치 장치 {Apparatus for driving out of wild animals and birds}
본 발명은 논, 밭, 과수원 등의 농지 및 경작지에 설치되는 야생 동물 및 조류 퇴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야생 동물 및 조류에게 공포감을 주는 천둥 소리와 번개 빛을 발생하여 야생 동물 및 조류가 본능적으로 자신의 몸을 감추거나 피신하도록 함으로써 농작물 및 경작지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야생 동물 및 조류 퇴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조수류 보호정책 등 여러 이유로 멧돼지, 노루, 까치 등을 비롯한 여러 종류의 조류 및 수류(즉, 짐승)들 숫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음에 따라 농작물 및 경작지 등에 많은 피해를 주고 있다. 특히 멧돼지 같은 야행동물의 경우 한밤중에 내려와 농작물을 먹을 뿐만 아니라 땅까지 파헤치고 있다.
그런데 이렇게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조수(鳥獸)는 대부분이 조수류 보호정책 상 포획이 금지되어 있어, 농작물에 접근하는 것을 막거나 농지에 들어온 조수를 쫓아내야 한다.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조수를 퇴치하는 방법으로 종래 사용되어진 방법으로는 등록실용 제0401534호 "바람 및 음향을 이용한 튜브형 허수아비"가 있다.
상기 등록실용은 튜브로 이루어진 비닐재를 여러 가지 형태의 사람형상으로 허수아비를 만들어서 공기 주입부를 통하여 공기를 내부에 주입하고 다리부 하단에 지퍼헤드에 의하여 개방되어 내부에 일정한 무게를 갖는 물질을 주입하여서 논, 밭 등의 지역에 설치하여 바람에 의하여 오뚜기처럼 흔들리게 하고, 물체감지센서에서 침입을 감지하여 스피커 등의 음향발생부재를 통하여 소리를 내서 새나 짐승을 쫓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허수아비는 낮에는 효과가 있지만 밤에는 보이지 않으므로 조수 퇴치에 효과가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야행성 동물에 의한 농작물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농지 주위에 울타리를 치고 울타리에 전기를 흘려 조수의 침입을 방지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지만, 이 방법은 전력소모가 많으며 자칫 인간이 감전될 위험이 존재한다.
더불어서, 광센서를 통해 야간에만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하고, 태양열에 의해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구성된, 고휘도 발광다이오드로 빛을 발산하여 야행성 동물을 퇴치하는 야행동물 퇴치기가 등록실용 제20-0408878호로 공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야행동물 퇴치기는 야행동물이 공포감을 일으키는 빛을 발산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야행동물이 농작물에 피해를 주지 않고 도망가도록 하는 빛을 효과적으로 발산하지 못하고 오히려 야행동물이 발산 빛으로 말미암아 이리저리 날뛰게 하는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어 농작물에 더 큰 피해를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야생 동물 및 조류에게 공포감을 주는 천둥소리와 번개 빛을 발생하여 야행성 야생 동물 및 조류가, 농작물에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 본능적으로 자신의 몸을 감추거나 피신하도록 함으로써 농작물 및 경작지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야생 동물 및 조류 퇴치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야생 동물 및 조류 퇴치 장치는, 야생 동물 및 조류를 퇴치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번개 빛 형태로 광을 발생하기 위한 번개 발생부;천둥소리 형태로 소리를 발생하기 위한 천둥소리 발생부; 번개 빛의 패턴을 분석하여 저장하기 위한 번개 데이터베이스; 천둥소리를 녹음 저장하기 위한 천둥소리 데이터베이스; 상기 번개 데이터베이스 및 천둥소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번개 발생부 및 천둥소리 발생부가 설정된 주기로 광 및 소리를 내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필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번개 발생부에서 발생된 광을 적어도 2회 이상 설정된 각도로 굴절시켜 번개 빛 형태가 되도록 하기 위한 광 굴절부와, 상기 설정된 주기로 광 및 소리를 내도록 시계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시계신호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 굴절부를 정해진 주기로 회전시키기 위한 광 굴절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원공급부는 태양전지와, 배터리, 상기 태양전지에 의해 생성된 전력을 상기 배터리에 충전하는 충전기 및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필요한 곳에 제공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계신호 제공부에서 제공되는 시계신호를 참조하여 일몰부터 일출까지만 상기 번개 발생부 및 상기 천둥소리 발생부를 동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야생 동물 및 조류에게 공포감을 주는 천둥소리와 번개 빛을 발생하여 야생 동물 및 조류가, 농작물에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 본능적으로 자신의 몸을 감추거나 피신하도록 함으로써 농작물 및 경작지를 효과적으로 그리고 온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야생 동물 및 조류 퇴치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야생 동물 및 조류 퇴치 장치의 설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야생 동물 및 조류 퇴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야생 동물 및 조류 퇴치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야생 동물 및 조류 퇴치 장치의 창출 배경은 다음과 같다.
즉, 천둥, 번개는 야생 동물 및 조류에게 공포감을 주어 이들이 본능적으로 자신의 몸을 감추거나 다른 거처로 이동하게 한다.
그리고, 야행성 야생 동물의 눈에는 로톱신 이라는 물질이 생성되는데, 이 물질은 눈에 들어오는 빛을 증폭시켜 적은 빛으로도 잘 보이게 하는 작용을 한다. 야행성 야생 동물의 눈에 로톱신이 많이 생성되어 동공이 열려있는 상태에서 강한 빛이 들어오게 되면, 야행성 야생 동물은 순간적으로 시력을 상실하고 방향성을 잃고 그 자리에 멈춘다. 그러나 빛이 없어지면 야행성 야생 동물은 다시 시력을 회복하여 움직이기 때문에, 평범한 빛의 명암만을 반복하여서는 야행성 야생 동물을 퇴치하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그렇지만, 번개와 유사한 빛(예; 0.3초 간격으로 100회 점멸)을 발산하고, 야행성 야생 동물이 시력을 회복할 수 있도록 약 20초 동안 멈춘 후, 저장된 천둥소리를 약 20초간 발생하면, 야행성 야생 동물은 이를 천둥번개로 인지하여 들어왔던 길로 도망가게 된다.
상기에서 약 20초간 시력회복시간을 두지 않게 되면, 야생 동물은 시력을 미쳐 회복하지못하고 방향을 잃고 겁에 질려 이리저리 뛰어다녀 2차 피해를 주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야생 동물 및 조류 퇴치 장치는 번개 형태로 광을 발생하기 위한 번개 발생부(10)와, 천둥소리 형태로 소리를 발생하기 위한 천둥소리 발생부(20), 번개의 패턴을 분석하여 저장하기 위한 번개 데이터베이스(16), 천둥소리를 녹음 저장하기 위한 천둥소리 데이터베이스(26), 상기 번개 데이터베이스(16) 및 천둥소리 데이터베이스(26)에 저장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번개 발생부(10) 및 천둥소리 발생부(20)가 설정된 주기로 광 및 소리를 내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0) 및 상기 각 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번개 발생부(10)는 제어부(30)에 의해 제어되는 램프 구동부(12)와, 램프 구동부(12)에 의해 구동되는 램프(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램프(14)는 바람직하게 고휘도 LED 램프일 수 있다. 번개 발생부(10)는 설계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지지대(110)에 다수개 설치할 수 있다.
천둥소리 발생부(20)는 제어부(30)에 의해 제어되는 스피커 구동부(22)와, 스피커 구동부(22)에 의해 구동되는 스피커(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천둥소리 발생부(20)는 도 2의 번개 발생부(10)의 박스 내부에 포함되거나 또는 본 발명의 장치를 케이싱하는 장치 박스(10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30)는 바람직하게 마이크로컴퓨터(MCU)를 포함할 수 있다.
번개 데이터베이스(DB)(16)에는 분석 또는 조사된 다양한 형태의 번개 빛의 패턴이 저장된다.
천둥소리 데이터베이스(DB)(26)에는 녹음된 다양한 천둥소리가 저장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40)는 태양전지42)와, 배터리(46), 태양전지(42)에 의해 생성된 전력을 배터리(46)에 충전하는 충전기(44) 및 배터리(46)의 전력을 필요한 곳에 제공하기 위한 전원부(48)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야생 동물 및 조류 퇴치 장치는, 번개 발생부(10)에서 발생된 광을 적어도 2회 이상 설정된 각도로 굴절시켜 번개 빛 형태가 되도록 하기 위한 광 굴절부(81, ..., 85)와, 상기 설정된 주기로 광 및 소리를 내도록 시계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시계신호 제공부(50)와, 본 발명 장치의 동작 내용 및 조작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52) 및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키 입력 설정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52)와 설정부(54)는 장치 박스(100) 내부에 위치시키거나 또는 장치 박스(100)에 노출시킬 수도 있다.
상기한 광 굴절부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굴절 반사판 지지대(81, 83)와, 광 굴절 반사판(82, 84) 및 광 굴절 반사판 힌지(8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광 굴절 반사판(82, 84)은 힌지(85)에 의해 각도가 조정될 수 있다. 램프(14)에서 조사된 광은 먼저 광 굴절 반사판(82)에 반사되고, 광 굴절 반사판(82)에서 반사된 반사광은 광 굴절 반사판(84)에서 다시 반사되도록 광 굴절 반사판(82)(84)이 배치된다. 즉, 램프(14)에서 조사된 광은 광 굴절 반사판(82)(84)에서 2회 반사되어 실질적인 번개 형태를 취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광 굴절부를 정해진 주기로 회전시키기 위한 광 굴절 구동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광 굴절 구동부(60)는 제어부(30)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 구동부(62)와, 모터 구동부(62)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모터(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광 굴절 구동부(6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지지대(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광 굴절 반사판 지지대(81)(83)는 광 굴절 구동부(60)의 몸체에 설치되어 광 굴절 구동부(60)와 함께 회전된다. 광 굴절 반사판(82)(84)은 힌지(85)에 의해 광 굴절 반사판 지지대(81)(83)에 연결된다.
상기 모터(64)는 일방향 회전 모터 또는 양방향 회전 모터일 수 있다. 모터(64)는 모터 구동부(62)에 의해 설정된 주기로 회전 구동되어 번개 빛 형태의 광이 효과적으로 발생되게 하는데 일조할 수 있다.
즉, 광 굴절 구동부(60)의 회전에 의해 광 굴절부가 회전하면서 번개와 같은 광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시계신호 제공부(50)에서 제공되는 시계신호를 참조하여 일몰부터 일출까지만 번개 발생부(10) 및 천둥소리 발생부(2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야생 동물 및 조류 퇴치 장치의 작용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주간에도 동작이 가능하지만, 효율적인 동작은 야간, 즉 일몰 후에 이루어지므로 설명의 단순화를 위해 일몰 후에 동작하는 것을 예로 하여 그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야생 동물 및 조류 퇴치 장치는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원공급부(40)에서 필요 전원을 공급받는다.
제어부(30)는 시계신호 제공부(50)에서 입력되는 시계신호를 확인하여 일몰 시간이 지난는지를 확인한다. 일몰 시간은 사용자가 키 입력 설정부(54)를 통해 입력 조정할 수 있다. 일몰 시간은 바람직하게 대한민국 평균 월별시간에 의해 정할 수 있다.
일몰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30)는 번개 발생부(10) 및 천둥소리 발생부(20)를 제어하여 번개, 천둥과 같은 형태의 광과 소리를 설정된 주기로 발생되게 한다.
상기 설정된 주기의 예는 다음과 같을 수 있으며, 이러한 설정 주기 데이터는 번개 데이터베이스(16) 및/또는 천둥소리 데이터베이스(26)에 저장될 수 있다.
설정 주기 예 1:
일몰 후 1시간 간격으로 램프(14)를 0.3초로 100회 점멸한 후, 시력회복시간으로서 20초간 램프(14)를 오프하여 어둠을 유지하고, 그 후에 20초간 스피커(24)에서 천둥소리가 20초간 출력되게 한다. 이와 같은 동작을 5회 반복한다. 일출 후에는 동작을 종료한다. 일출의 확인은 일몰 확인시와 같이 제어부(30)가 시계신호 제공부(50)에서 입력되는 시계신호를 확인하여 일출 시간의 경과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천둥소리는 천둥소리 데이터베이스(26)에 녹음 저장된 소리를 이용할 수 있다.
설정 주기 예 2:
일몰 후 1시간 간격으로 램프(14)를 0.6초로 4회, 0.5초로 8회, 0.4초로 10회, 0.3초로 20회, 0.2초로 30회, 0.1초로 50회 점멸한 후, 시력회복시간으로서 20초간 램프(14)를 오프하여 어둠을 유지하고, 그 후에 20초간 스피커(24)에서 천둥소리가 20초간 출력되게 한다. 이와 같은 동작을 5회 반복한다. 일출 후에는 동작을 종료한다.
설정 주기 예 3:
일몰 후 1시간 간격으로 램프(14)를 0.3초로 100회 점멸한 후, 시력회복시간으로서 20초간 램프(14)를 오프하여 어둠을 유지하고, 그 후에 10초간은 천둥소리, 10초간은 꽹과리 소리가 출력되게 한다. 이와 같은 동작을 5회 반복한다. 일출 후에는 동작을 종료한다. 상기 꽹과리 소리는 천둥소리 데이터베이스(26)에 녹음 저장하여 이용할 수 있다.
설정 주기 예 4:
일몰 후 1시간 간격으로 램프(14)를 0.3초로 100회 점멸한 후, 시력회복시간으로서 20초간 램프(14)를 오프하여 어둠을 유지하고, 그 후에 20초간 천둥소리가 출력되게 한다. 이와 같은 동작을 5회 반복한다. 일출 후에는 제어부(30)가 1시간 간격으로 20초간 천둥소리 발생, 5초간 멈춤, 15초간 꽹과리 소리를 발생하는 순서로 5회 반복하도록 천둥소리 발생부(20)를 제어한다.
설정 주기 예 5:
일몰 후 1시간 간격으로 램프(14)를 0.3초로 100회 점멸함과 동시에 스피커(24)를 통해 천둥소리를 30초간 출력한 후, 시력회복시간으로서 20초간 램프(14) 및 스피커(24)를 오프하여 어둠을 유지한다. 이와 같은 동작을 5회 반복한다. 일출 후에는 동작을 종료한다.
설정 주기 예 6:
일몰 후 1시간 간격으로 상기한 설정 주기 예의 1-5 동작을 반복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설정 주기로 램프(14)와 스피커(24)를 동작시킬 때, 제어부(30)는 설정된 주기로 모터(60)를 회전 구동하여 램프(14)와 스피커(24)에서 출력되는 광과 소리가 천둥번개와 같은 형태가 되도록 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번개 발생부 20: 천둥소리 발생부
30: 제어부 40: 전원공급부
50: 시계신호 제공부 52: 표시부
60: 회전 구동부 81, 83: 광 굴절 반사판 지지대
82, 84: 광 굴절 반사판 85: 광 굴절 반사판 힌지

Claims (5)

  1. 야생 동물 및 조류를 퇴치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번개 빛 형태로 광을 발생하기 위한 번개 발생부;
    천둥소리 형태로 소리를 발생하기 위한 천둥소리 발생부;
    번개 빛의 패턴을 분석하여 저장하기 위한 번개 데이터베이스;
    천둥소리를 녹음 저장하기 위한 천둥소리 데이터베이스;
    상기 번개 데이터베이스 및 천둥소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번개 발생부 및 천둥소리 발생부가 설정된 주기로 광 및 소리를 내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필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번개 발생부는 상기 설정된 주기로 상기 광을 발생시키고,
    상기 천둥소리 발생부는 상기 광이 발생되고 나서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소리를 상기 설정된 주기로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 동물 및 조류 퇴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번개 발생부에서 발생된 광을 적어도 2회 이상 설정된 각도로 굴절시켜 번개 빛 형태가 되도록 하기 위한 광 굴절부와, 상기 설정된 주기로 광 및 소리를 내도록 시계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시계신호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 동물 및 조류 퇴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 굴절부를 정해진 주기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 동물 및 조류 퇴치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태양전지와, 배터리, 상기 태양전지에 의해 생성된 전력을 상기 배터리에 충전하는 충전기 및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필요한 곳에 제공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 동물 및 조류 퇴치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계신호 제공부에서 제공되는 시계신호를 참조하여 일몰부터 일출까지만 상기 번개 발생부 및 상기 천둥소리 발생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 동물 및 조류 퇴치 장치.
KR1020120043697A 2012-04-26 2012-04-26 야생 동물 및 조류 퇴치 장치 KR101189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697A KR101189891B1 (ko) 2012-04-26 2012-04-26 야생 동물 및 조류 퇴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697A KR101189891B1 (ko) 2012-04-26 2012-04-26 야생 동물 및 조류 퇴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9891B1 true KR101189891B1 (ko) 2012-10-10

Family

ID=47287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3697A KR101189891B1 (ko) 2012-04-26 2012-04-26 야생 동물 및 조류 퇴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989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9707A1 (ko) * 2012-11-02 2014-05-08 (주)지이에스 레이저를 이용한 야생동물 및 유해동물 퇴치기
KR20150086015A (ko) * 2014-01-17 2015-07-27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조명을 이용한 야생동물퇴치기
KR102295743B1 (ko) 2020-11-08 2021-08-31 케이원산업 주식회사 야생동물 및 조류 퇴치용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KR102295742B1 (ko) 2020-11-08 2021-08-31 케이원산업 주식회사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한 능동형 야생동물 및 조류 퇴치 시스템
KR102549455B1 (ko) 2023-02-03 2023-06-29 케이원산업 주식회사 Led 발광로프를 이용한 멧돼지 퇴치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0549A (ja) * 1999-06-10 2000-12-19 Ricoh Microelectronics Co Ltd 有害動物撃退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0549A (ja) * 1999-06-10 2000-12-19 Ricoh Microelectronics Co Ltd 有害動物撃退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9707A1 (ko) * 2012-11-02 2014-05-08 (주)지이에스 레이저를 이용한 야생동물 및 유해동물 퇴치기
KR20150086015A (ko) * 2014-01-17 2015-07-27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조명을 이용한 야생동물퇴치기
KR101588102B1 (ko) * 2014-01-17 2016-01-27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조명을 이용한 야생동물퇴치기
KR102295743B1 (ko) 2020-11-08 2021-08-31 케이원산업 주식회사 야생동물 및 조류 퇴치용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KR102295742B1 (ko) 2020-11-08 2021-08-31 케이원산업 주식회사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한 능동형 야생동물 및 조류 퇴치 시스템
KR102549455B1 (ko) 2023-02-03 2023-06-29 케이원산업 주식회사 Led 발광로프를 이용한 멧돼지 퇴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8102B1 (ko) 조명을 이용한 야생동물퇴치기
KR101189891B1 (ko) 야생 동물 및 조류 퇴치 장치
US11805771B2 (en) System and method to drive away geese
JP3177796U (ja) 害獣威嚇装置
US20140261151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oking an avoidance behavioral response in animals
KR20100025612A (ko)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기
US7814700B2 (en) Device and system for attracting animals
US20110109236A1 (en) Periodic lighting device
US201200672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verting waterfowl settlements
JP3215346U (ja) 複合型鳥獣忌避装置
KR102295743B1 (ko) 야생동물 및 조류 퇴치용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JP3187091U (ja) 害獣撃退装置
KR101506608B1 (ko) 로봇형 허수아비
JP3153448U (ja) 害獣撃退装置
JP2003339301A (ja) 鳥獣害防止装置
KR20090109015A (ko) 무인감시시스템이 내장된 다기능 이동식 야생동물 퇴치기
KR102421330B1 (ko) 농작물의 피해 방지를 위한 추적형 야생동물 퇴치장치
KR101752609B1 (ko) 유해조수 퇴치용 스카이댄서
JP3198676U (ja) 害虫害獣忌避用光源装置
KR101343414B1 (ko) 복합 야생동물 퇴치 장치
JP2002186402A (ja) レーザービームのマルチ照射による鳥獣侵入防止方法
JP3189808U (ja) 鳥獣撃退装置
KR200408878Y1 (ko) 야행동물 퇴치기
JP2006158372A (ja) 鳥獣撃退方法及び機器
KR20160025928A (ko) 퇴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