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6608B1 - 로봇형 허수아비 - Google Patents

로봇형 허수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6608B1
KR101506608B1 KR1020130141112A KR20130141112A KR101506608B1 KR 101506608 B1 KR101506608 B1 KR 101506608B1 KR 1020130141112 A KR1020130141112 A KR 1020130141112A KR 20130141112 A KR20130141112 A KR 20130141112A KR 101506608 B1 KR101506608 B1 KR 101506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recrow
sensor
arm
proximity sensor
activ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1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근
박인식
박천일
박송용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41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66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1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light sources, e.g. lasers or flashing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01M29/2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with generation of periodically explosive repor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봇형 허수아비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로봇형 허수아비는, 농작물이 심어진 곳에 설치되어 농작물로 접근하는 동물을 퇴치하기 위하여 적어도 한 부위가 움직이는 허수아비 본체와, 낮과 밤을 판정하는 감지부와, 농작물이 심어진 곳으로 접근하는 동물의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센서와, 상기 감지부에 의해 구별된 낮과 밤의 정보 및 상기 접근센서에 의해 감지된 동물의 유무에 따라 상기 허수아비 본체의 작동패턴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낮과 밤, 동물의 접근시와 미접근시에 따라 농작물에 해를 끼치는 동물을 퇴치하기 위한 작동패턴을 달리하여 효율적으로 농작물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물의 접근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로봇형 허수아비{Robot type scarecrow}
본 발명은 로봇형 허수아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낮과 밤에 따라 농작물에 해를 끼치는 동물을 퇴치하기 위한 작동패턴이 다른 로봇형 허수아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허수아비는, 농사를 짓는 지역에서 새들로 인하여 발생되는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사람 형상을 갖는 구조물을 설치하여 새나 짐승들이 사람이 있는 것으로 오인하게 하여 농작물을 보호하도록 하는 구조물이다.
상기 허수아비는 통상적으로 나무 막대를 십자향상으로 만들어서 낡은 옷가지를 걸친 후에 머리 부분을 사람의 얼굴형상으로 꾸미고, 밀짚모자 등을 씌워서 새나 짐승이 사람으로 착각하게 하거나 방울과 깃발을 달아서 바람이 불면 펄럭이면서 방울이 부딪히면서 소리가 나도록 하여 인기척을 느끼게 하도록 제작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허수아비는, 특정지역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못하고 제자리에 그대로 있기 때문에 도망쳤던 새나 짐승들이 가짜라는 것을 눈치채는 내성이 생기게 되어 다시 돌아와 부담 없이 농작물을 먹어치움으로 인하여 농민들에게 막대한 경제적인 피해를 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13-0035812호 (발명의 명칭:독립형 허수아비 센서 노드, 공개일자:2013년 04월 09일) 공개특허 제10-2013-0025506호(발명의 명칭:스마트형 야생동물 퇴치기, 공개일자:2013년 03월 12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낮과 밤에 따라 농작물에 해를 끼치는 동물을 퇴치하기 위한 작동패턴을 달리하여 효율적으로 농작물을 보호할 수 있는 다른 로봇형 허수아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농작물이 심어진 곳에 접근하는 동물아 있음을 감지했을 때와 동물이 없다고 판단되는 평상시의 작동패턴을 달리하여 동물의 침입 예방효과 및 농작물을 습격하려는 동물이 내성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로봇형 허수아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로봇형 허수아비는, 농작물이 심어진 곳에 설치되어 농작물로 접근하는 동물을 퇴치하기 위하여 적어도 한 부위가 움직이는 허수아비 본체와, 낮과 밤을 판정하는 감지부와, 상기 허수아비 본체는 농작물이 심어진 곳으로 접근하는 동물의 접근을 감지하여 활성화되는 접근센서와, 상기 감지부에 의해 구별된 낮과 밤의 정보 및 상기 접근센서에 의해 감지된 동물의 유무에 따라 상기 허수아비 본체의 작동패턴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감지된 정보가 낮이고, 상기 접근센서의 미활성시, 기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허수아비 본체의 머리부와 팔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허수아비 본체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근센서의 활성시, 기설정된 작동패턴에 따라 상기 허수아비 본체의 팔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감지된 정보가 밤이고, 상기 접근센서의 미활성시, 기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허수아비 본체의 머리부를 좌우로 회전시키고, 상기 머리부에 구비된 발광부를 점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근센서의 활성시, 기설정된 작동패턴에 따라 상기 허수아비 본체의 팔을 작동시키고, 상기 허수아비 본체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근센서의 활성시, 상기 발광부를 상기 접근센서의 미활성시 보다 더 밝게 점멸 또는 기설정된 패턴으로 점멸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허수아비 본체의 팔에는 방울이 달린 줄이 연결되며, 상기 줄은 농작물이 심어진 곳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팔은 오른팔과 왼팔을 포함하며, 상기 오른팔 또는 왼팔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방울이 달린 줄이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깃발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허수아비 본체의 몸통부의 전면부, 배면부 및 머리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센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양광센서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허수아비 본체를 작동시키며, 잉여 전원은 충전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날짜별 일출, 일몰시간에 따라 낮과 밤을 판정하는 타이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허수아비 본체 주변의 밝기에 따라 낮과 밤을 판정하는 광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근센서는 상기 허수아비 본체 주변에 발생되는 열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근센서는 상기 허수아비 본체 주변에 접근하는 동물의 형상을 감지하는 시각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낮과 밤에 따라 농작물에 해를 끼치는 동물을 퇴치하기 위한 작동패턴을 달리하여 효율적으로 농작물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농작물이 심어진 곳에 접근하는 동물을 감지하여 동물 접근시와 미접근시의 작동패턴을 달리하여 농작물을 습격하려는 동물이 내성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봇형 허수아비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봇형 허수아비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봇형 허수아비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봇형 허수아비의 머리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봇형 허수아비의 제어부의 개념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봇형 허수아비가 설치된 모습을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봇형 허수아비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봇형 허수아비의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봇형 허수아비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봇형 허수아비의 머리부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봇형 허수아비는, 허수아비 본체(100), 감지부(200), 접근센서(300) 및 제어부(400)가 포함한다.
먼저, 허수아비 본체(1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허수아비 본체(100)는 사람의 외형과 유사하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부(110), 몸통부(120), 팔(1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허수아비 본체(100)는 논, 밭, 과수원 등 농작물이 심어진 곳에 설치되어 농작물로 접근을 시도하는 멧돼지, 늑대, 들개, 고양이 등과 같은 짐승과 참새 등의 조류를 퇴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머리부(110)의 안면부(111)에는 LED와 같은 발광수단으로 제작되어 점멸 또는 점등되는 발광부(112)가 구비되며, 이러한 발광부(112)는 사람의 눈과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어 동물에게 경계심을 불러일으키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머리부(110)의 상부에는 밀짚모자(또는 갓)와 같은 형상을 하는 모자부(113)가 형성될 수 있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모자부(113)에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할 수 있는 태양광 센서(500)가 구비된다.
상기 모자부(113)에는 태양광 센서(500)가 살빼기 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는데, 이는 머리부(110)에 많은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후술할 제어부(400)에 의해 회전되는 머리부(11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예컨대, 강풍이 부는 경우에 머리부(110)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머리부(110)에는 사람의 입과 동일한 위치에 스피커(510)가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스피커(510)는 후술할 제어부(400)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상기 몸통부(120)에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114)와 배면부(115)에 상기 모자부(113)에 구비된 태양광 센서(500)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태양광 센서(5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모자부(113), 전면부(114), 배면부(115)에 설치될 수 있는 태양광 센서(500)의 위치 및 용량은 본 발명이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예컨대, 태양열을 많이 포집할 수 있는 곳에서는 모자부(113)에 설치된 태양광 센서(500)를 생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몸통부(120)의 전면부(114)에는 스피커(51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스피커(510)는 상기 머리부(110)에 설치된 스피커(510)와 동일하게 후술할 제어부(400)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상기 팔(130)은 몸통부에 설치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팔(130)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부(120)의 좌우에 왼팔(131), 오른팔(13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왼팔(131)과 오른팔(132)은 후술할 제어부(400)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팔(132)에는 방울(521)이 달린 줄(520)이 연결되고, 왼팔(131)에는 깃발(530)이 설치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감지부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감지부(200)는 낮과 밤을 판정하는 역할의 부재로서, 이러한 감지부(200)는 예컨대, 날짜별 일출 또는 일몰시간이 입력된 타이머(미도시) 또는 가로등과 같이 주변의 밝기에 따라 낮과 밤을 판정하는 광센서(미도시) 일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감지부(200)에 의해 판정된 낮과 밤은 후술할 제어부(400)로 전송되며, 제어부(400)는 후술할 접근센서(300)와 함께 허수아비 본체(100)의 작동패턴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감지부(200)는 타이머인 경우, 몸통부(12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광센서일 경우 상술한 허수아비 본체(100)의 머리부(110)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접근센서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접근센서(300)는 농작물이 심어진 곳으로 동물의 접근을 감지하는 부재로서, 이러한 접근센서(300)는 허수아비 본체 주변에서 발생되는 열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310) 또는 렌즈(미도시)로 촬영된 이미지를 통해 허수아비 본체 주변에 접근하는 동물의 형상을 감지하는 시각센서(미도시)일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적외선 센서(310) 또는 시각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신호는 후술할 제어부(400)로 전송되며, 제어부(400)는 접근센서(300)에서 전송된 신호를 통해 허수아비 본체(100) 주변에 접근하는 동물을 감지한다.
특히, 제어부(400)는 시각센서에서 촬영된 동물의 이미지를 통해 동물의 종류를 판단하여 예컨대, 특정 동물이 싫어하는 소리를 스피커(510)를 통해 송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제어부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술한 감지부(200)로부터 전송되는 낮과 밤에 대한 정보와, 접근센서(300)에 의해 동물이 감지되면 허수아비 본체(100)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부재이다.
상기와 같은 제어부(400)는 허수아비 본체(100)의 머리부(110), 몸통부(120)에 설치된 태양광 센서(500)에서 발전하는 전기를 이용하여 구동되며, 허수아비 본체(100) 또한 태양광 센서(500)에서 발전하는 전기로 작동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충전부(410)와 연결될 수 있는데, 태양광 센서(500)는 낮에 발전하므로 낮 동안 허수아비 본체(100)와 제어부(400)가 최소의 전원으로 구동되어 남게 되는 전원은 충전부(41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충전부(410)에 저장된 전원은 야간에 허수아비 본체(100)와 제어부(400)를 작동시키는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자가발전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어부(400)는 감지부(200)와 접근센서(300)에 의해 낮과 밤에 따라 서로 다른 작동패턴을 갖는데, 이러한 작동패턴은 농작물이 심어진 곳에 상주하는 동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감지부에 의해 낮으로 판정된 경우 제어부의 작동패턴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감지부(200)에 의해 낮으로 판정되고, 접근센서(300)의 미활성시(허수아비 본체 근처로 접근하는 동물이 없는 경우), 상기 제어부(400)는 허수아비 본체(100)의 머리부(110)와 팔(130)을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머리부(110)와 팔(130)은 기설정된 시간(예:10분)마다 머리부(110)와 팔(130)을 천천히 작동시키는데, 상기 머리부(110)는 예컨대, 정면을 주시하는 상태를 중심으로 좌우로 60~90도 천천히 회전될 수 있으며, 팔(130)은 상하로 천천히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팔(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팔(132) 왼팔(131)을 포함하며, 접근센서(300)의 미활성시 회전되는 팔(130)은 깃발(530)이 설치된 왼팔(131)이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부(400)는 허수아비 본체(100)의 주변에 상주하는 동물들이 싫어하는 소리, 즉 경고음을 스피커(510)를 통해 송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접근센서(300)의 활성시(허수아비 본체 근처로 접근하는 동물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어부(400)는 기설정된 작동패턴에 따라 허수아비 본체(100)의 팔(130)을 상하로 작동시키는데, 접근센서(300)의 활성시 작동되는 팔의 회전속도는 상술한 접근센서(300)의 미활성시 보다 빠르게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팔(130)은 도 3에 도시된 오른팔(132)이며, 오른팔(132)에는 방울(521)이 달린 줄(520)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오른팔(132)에 의해 방울(521)이 달린 줄(520)을 흔들어 동물이 허수아비 본체(100), 즉, 농작물의 근처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때, 왼팔(131)도 함께 작동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방울(521)이 달린 줄(5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오른팔(132)에 연결된 상태에서 타측은 농작물이 설치된 곳에 여러 갈래로 복수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감지부에 의해 밤으로 판정된 경우 제어부의 작동패턴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감지부(200)에 의해 밤으로 판정되고, 접근센서(300)의 미활성시, 상기 제어부(400)는 허수아비 본체(100)의 머리부(110)를 좌우로 회전시키며, 상기 머리부(110)에 구비된 발광부(112)를 약하게 점멸시켜 허수아비 본체(100)의 주변으로 접근하는 동물에게 인기척을 느끼게 한다.
또한, 접근센서(300)의 미활성시, 스피커(510)를 통해 경고음을 송출하되, 너무 크지 않은 정도로 송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접근센서(300)의 활성시, 상기 제어부(400)는 발광부(112)를 접근센서(300)의 미활성시 보다 더 밝게 점멸 또는 동물에게 위협을 줄 수 있도록 기설정된 패턴으로 점멸한다.
이와 동시에, 스피커(510)를 통해 경고음을 송출하되, 상기 접근센서(300)의 미활성시 보다 더 큰 소리를 송출하여 동물들이 공포를 느낄 수 있게 한다.
상기 스피커(510)를 통해 송출되는 경고음은, 예컨대, 개가 짖는 소리, 사람 말소리, 독수리 소리 등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오른팔(132)을 강하게 흔들어 방울(521)이 달린 줄(520)을 통해 방울 소리를 내어 허수아비 본체(100)의 근처로 접근하는 동물을 효율적으로 퇴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동물의 접근이 감지되지 않는 낮의 경우, 일정시간을 두고 머리부(110)와 깃발(530)이 설치된 왼팔(131)을 천천히 작동시키고, 스피커(510)를 통해 경고음을 송출하며, 동물의 접근이 감지되면 오른팔(132)과 왼팔(131)을 다양하게 흔들어 양팔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방울(521)과 깃발(530)을 강하게 흔들어 허수아비 본체(100)로 접근하려는 동물을 퇴치한다.
또한, 동물의 접근이 감지되지 않는 밤의 경우, 스피커(510)를 통해 작은 소리의 경고음을 방출하고, 발광부(112)로 약한 불빛을 점멸시키며, 동물의 접근이 감지되면 방울(521)이 연결된 오른팔(132)을 강하게 흔들고, 스피커(510)를 통해 큰 소리로 경고음을 발생시키며, 발광부(112)로 강한 불빛을 점멸시켜 허수아비 본체(100)로 접근하려는 동물을 퇴치한다.
즉, 본 발명은 낮과 밤의 작동패턴이 서로 상이하며, 이와 동시에 동물이 접근되면 이를 감지하여 작동패턴을 달리하여 동물이 내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패턴으로 동물을 위협할 수 있어 농작물을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허수아비 본체 110-머리부
111-안면부 112-발광부
113-모자부 120-몸통부
121-전면부 122-배면부
130-팔 131-왼팔
132-오른팔
200-감지부
300-접근센서 310-적외선센서
400-제어부 410-충전부
500-태양광 센서 510-스피커
520-줄 521-방울
530-깃발

Claims (15)

  1. 농작물이 심어진 곳에 설치되어 농작물로 접근하는 동물을 퇴치하기 위하여 적어도 한 부위가 움직이며, 팔에는 방울이 달린 줄이 연결되고, 상기 줄은 농작물이 심어진 곳에 설치되며, 상기 팔은 오른팔과 왼팔을 포함하며, 상기 오른팔 또는 왼팔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방울이 달린 줄이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깃발이 설치되는 허수아비 본체와,
    낮과 밤을 판정하는 감지부와,
    농작물이 심어진 곳으로 접근하는 동물의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센서와,
    상기 감지부에 의해 구별된 낮과 밤의 정보 및 상기 접근센서에 의해 감지된 동물의 유무에 따라 상기 허수아비 본체의 작동패턴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감지된 정보가 낮이고, 상기 접근센서의 미활성시, 기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허수아비 본체의 머리부와 팔을 작동시키며, 기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허수아비 본체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송출하고, 상기 접근센서의 활성시, 상기 접근센서의 미활성시 보다 상기 허수아비 본체의 팔을 더 빠르게 작동시키며,
    상기 감지부에 감지된 정보가 밤이고, 상기 접근센서의 미활성시, 기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허수아비 본체의 머리부를 좌우로 회전시키며, 상기 머리부에 구비된 발광부를 점멸시키고, 기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허수아비 본체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송출하며, 상기 접근센서의 활성시, 상기 접근센서의 미활성시 보다 더 빠르게 상기 허수아비 본체의 팔을 작동시키고, 상기 허수아비 본체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상기 접근센서의 미활성시 보다 더 큰 경고음을 송출하며, 상기 발광부를 상기 접근센서의 미활성시 보다 더 밝게 점멸 또는 기설정된 패턴으로 점멸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형 허수아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허수아비 본체의 몸통부의 전면부, 배면부 및 머리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센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형 허수아비.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양광센서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허수아비 본체를 작동시키며, 잉여 전원은 충전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형 허수아비.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날짜별 일출, 일몰시간에 따라 낮과 밤을 판정하는 타이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형 허수아비.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허수아비 본체 주변의 밝기에 따라 낮과 밤을 판정하는 광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형 허수아비.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근센서는 상기 허수아비 본체 주변에 발생되는 열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형 허수아비.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근센서는 상기 허수아비 본체 주변에 접근하는 동물의 형상을 감지하는 시각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형 허수아비.
KR1020130141112A 2013-11-20 2013-11-20 로봇형 허수아비 KR101506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112A KR101506608B1 (ko) 2013-11-20 2013-11-20 로봇형 허수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112A KR101506608B1 (ko) 2013-11-20 2013-11-20 로봇형 허수아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6608B1 true KR101506608B1 (ko) 2015-03-27

Family

ID=53028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1112A KR101506608B1 (ko) 2013-11-20 2013-11-20 로봇형 허수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660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689B1 (ko) * 2016-03-04 2017-02-28 (주) 엘앤티 유해 조수 퇴치 장치
KR101767395B1 (ko) * 2016-04-08 2017-08-14 (주) 엘앤티 스카이댄스 유니트가 마련된 유해 조수 퇴치 장치
CN107160406A (zh) * 2017-05-27 2017-09-15 芜湖星途机器人科技有限公司 扬声器360°调节的机器人躯干
CN111642499A (zh) * 2020-05-22 2020-09-11 金华市秸和环保技术咨询有限公司 一种自适应安装型电力设备驱鸟装置
US11284613B1 (en) * 2019-12-11 2022-03-29 Michael Middleton Water animal deterrent
KR20230056955A (ko) 2021-10-21 2023-04-2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유해 동물 퇴치 로봇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184B1 (ko) 2008-09-19 2011-07-14 주식회사다승아이앤에스 야생동물 퇴치기
KR20110093038A (ko) * 2010-02-11 2011-08-18 조대근 유해 조수류 퇴치장치
KR20130023526A (ko) * 2011-08-29 2013-03-0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로등 겸용 조류 퇴치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184B1 (ko) 2008-09-19 2011-07-14 주식회사다승아이앤에스 야생동물 퇴치기
KR20110093038A (ko) * 2010-02-11 2011-08-18 조대근 유해 조수류 퇴치장치
KR20130023526A (ko) * 2011-08-29 2013-03-0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로등 겸용 조류 퇴치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689B1 (ko) * 2016-03-04 2017-02-28 (주) 엘앤티 유해 조수 퇴치 장치
KR101767395B1 (ko) * 2016-04-08 2017-08-14 (주) 엘앤티 스카이댄스 유니트가 마련된 유해 조수 퇴치 장치
CN107160406A (zh) * 2017-05-27 2017-09-15 芜湖星途机器人科技有限公司 扬声器360°调节的机器人躯干
US11284613B1 (en) * 2019-12-11 2022-03-29 Michael Middleton Water animal deterrent
CN111642499A (zh) * 2020-05-22 2020-09-11 金华市秸和环保技术咨询有限公司 一种自适应安装型电力设备驱鸟装置
KR20230056955A (ko) 2021-10-21 2023-04-2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유해 동물 퇴치 로봇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6608B1 (ko) 로봇형 허수아비
JP3177796U (ja) 害獣威嚇装置
KR101588102B1 (ko) 조명을 이용한 야생동물퇴치기
EP200396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injury on wildlife
US20210084886A1 (en) Wild animal repulsing apparatus
US9380776B2 (en) Game alert system
KR20170054808A (ko) 드론을 이용한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퇴치 방법.
JP7261467B2 (ja) 動物捕獲装置
AU2016302398B2 (en) Device for proximal targeting of animals
JP3187091U (ja) 害獣撃退装置
JP3205752U (ja) 害獣・害鳥類忌避装置
KR101189891B1 (ko) 야생 동물 및 조류 퇴치 장치
KR102421330B1 (ko) 농작물의 피해 방지를 위한 추적형 야생동물 퇴치장치
JP2002186402A (ja) レーザービームのマルチ照射による鳥獣侵入防止方法
KR20170008489A (ko) 유해조수 퇴치 로봇 시스템 및 이의 작동 방법
JPH08126460A (ja) 鳥獣害防止具
JP3189808U (ja) 鳥獣撃退装置
US20130113624A1 (en) Multi-Tiered Predator Protection Device
JP2006158372A (ja) 鳥獣撃退方法及び機器
US20160150772A1 (en) Wildlife deterrent and alerter
JP3124132U (ja) 鳥獣害防止用案山子
JP3211108U (ja) 害獣忌避装置
JP2013233139A (ja) 鳥獣威嚇装置
JP3213836U (ja) 有害鳥獣追い払い装置
JP6039141B2 (ja) 鳥獣忌避装置付外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