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0689B1 - 유해 조수 퇴치 장치 - Google Patents

유해 조수 퇴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0689B1
KR101710689B1 KR1020160026082A KR20160026082A KR101710689B1 KR 101710689 B1 KR101710689 B1 KR 101710689B1 KR 1020160026082 A KR1020160026082 A KR 1020160026082A KR 20160026082 A KR20160026082 A KR 20160026082A KR 101710689 B1 KR101710689 B1 KR 101710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ear
model
harmfu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6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규
Original Assignee
(주) 엘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앤티 filed Critical (주) 엘앤티
Priority to KR1020160026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06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1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light sources, e.g. lasers or flashing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odoriferous substances, e.g. aromas, pheromones or chemic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유해 조수 퇴치 장치는 지면에 설치되는 모형 유니트; 상기 모형 유니트에 설치되고 유해 조수를 퇴치하는 퇴치 유니트; 상기 모형 유니트에 설치되고 상기 유해 조수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퇴치 유니트를 제어하는 제어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니트는 상기 센서를 통해 상기 유해 조수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퇴치 유니트를 구동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유해 조수 퇴치 장치{APPARATUS FOR PREVENTION OF FUR AND FEATHER}
본 발명은 농작물 또는 과수를 훼손하는 유해 조수를 쫓아내는 유해 조수 퇴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논밭이나 과수원 등에는 야생의 새, 멧돼지, 원숭이, 사슴 등의 조수에 의한 농작물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인간의 형상을 흉내 낸 허수아비가 설치된다.
그러나, 야생의 조류, 멧돼지, 원숭이, 사슴 등의 조수는 허수아비를 처음 봤을 때에는 사람이라 생각하여 접근하지 않았지만, 움직이지도 않고 위협음도 내지 않는다는 것에서 사람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면서 쉽게 논밭이나 과수원 등에 침입하여 농작물을 훼손하는 경우가 있다.
즉, 일반적인 허수아비는 인간을 흉내 낸 외관 형상의 인형을 세우고 있는 것뿐으로 최초에는 효과가 있어도 점차적으로 위협 효과가 약해져 야생의 조류, 멧돼지, 원숭이, 사슴 등은 두려워하지 않고 접근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5-0057406호에는 빗물을 저장하고, 저장된 빗물을 외부로 분사해서 유해 조수를 퇴치하는 장치가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분사된 빗물 역시 야생 동물에게 익숙한 빗줄기와 유사하므로 유해 조수의 퇴치 효과가 낮은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5-0057406호
본 발명은 유해 조수를 확실하게 퇴치할 수 있는 유해 조수 퇴치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유해 조수 퇴치 장치는 지면에 설치되는 모형 유니트; 상기 모형 유니트에 설치되고 유해 조수를 퇴치하는 퇴치 유니트; 상기 모형 유니트에 설치되고 상기 유해 조수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퇴치 유니트를 제어하는 제어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니트는 상기 센서를 통해 상기 유해 조수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퇴치 유니트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센서는 적외선을 이용해서 상기 유해 조수를 감지하고, 평면상으로 모든 방위가 감지되도록 상기 모형 유니트를 중심으로 등각도로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해 조수 퇴치 장치는 센서를 통해 유해 조수의 접근이 감지되면, 유해 조수를 퇴치하는 퇴치 유니트가 구동될 수 있다.
평소 동작하지 않다가 갑작스럽게 동작되는 퇴치 유니트로 인해 유해 조수는 본 발명의 유해 조수 퇴치 장치에 적응하지 못하고 놀라서 달아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해 조수 퇴치 장치는 센서에 의해 구동되는 한편, 센서의 감지 범위 밖에 위치한 유해 조수에게 겁을 주기 위해 유해 조수의 감지와 무관하게 주기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해 조수 퇴치 장치는 유해 조수의 접근이 감지되면 모형부가 회동될 수 있다. 물리적인 행동을 취하는 모형부에 따라 유해 조수의 퇴치 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해 조수 퇴치 장치에는 복수의 퇴치 부재가 마련되고, 유해 조수가 감지되면 모든 퇴치 부재가 동시에 구동될 수 있다. 갑작스럽게 동시에 구동되는 복수의 퇴치 부재에 따르면, 유해 조수는 매우 놀라서 멀리 달아나게 될 것이다.
모형 유니트는 지면에 설치되는 지지부, 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허수아비 형상으로 형성된 모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모형부는 지지부에 착탈될 수 있다.
일 예로, 지지부의 상부는 지면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모형부에는 지지부(130)의 상부에 끼워지는 중공 파이프 형상의 착탈부가 마련될 수 있다.
모형부는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유지 보수의 편의를 위해 퇴치 유니트, 센서 및 제어 유니트는 모형부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해 조수 퇴치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유해 조수 퇴치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센서의 감지 범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유해 조수 퇴치 장치가 농작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해 조수 퇴치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유해 조수 퇴치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유해 조수 퇴치 장치는 모형 유니트(100), 퇴치 유니트(200), 센서(10) 및 제어 유니트(30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형 유니트(100)는 지면에 설치되고, 퇴치 유니트(200), 센서(10) 및 제어 유니트(300)를 지지할 수 있다. 모형 유니트(100) 자체로도 유해 조수의 퇴치 기능을 수행되도록, 모형 유니트(100)는 허수아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허수아비 형상은 사람의 형상, 동물의 형상 등 다양할 수 있다.
퇴치 유니트(200)는 모형 유니트(100)에 설치되고 유해 조수를 퇴치할 수 있다. 퇴치 유니트(200)에는 유해 조수에게 겁을 주어 쫓아내는 다양한 종류의 퇴치 부재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퇴치 유니트(200)에는 회동부, 발광부, 음향 출력부, 분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퇴치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회동부는 모형 유니트(100)를 움직일 수 있다. 유해 조수는 자신을 위협하는 모형 유니트(100)의 움직임을 보고 놀라서 멀리 달아날 수 있다. 특히, 모형 유니트(100)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밝은 낮에 효과가 좋다.
발광부는 유해 조수를 퇴치하는 빛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발광부는 LED(light emitting diode), 레이저, 백열등, 형광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발광부는 모형 유니트(100)의 확인이 어려운 어두운 밤에 효과가 좋다.
음향 출력부는 유해 조수가 두려워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출력부는 개짖는 소리, 호랑이 소리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분사부는 유해 조수가 혐오하는 향기를 분사할 수 있다. 각 동물마다 혐오하는 냄새가 다르므로, 분사부에 따르면, 분사되는 향기액을 선택함으로써, 유해 동물의 종류를 선택해서 퇴치하는 효과가 있다.
퇴치 유니트(200)가 유해 조수를 퇴치하는 효과가 있다고 하더라도 항상 동작되면, 해당 환경에 적응한 유해 조수를 퇴치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퇴치 유니트(200)가 항상 동작되면 퇴치 부재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 소모가 증가할 수 있다.
유해 조수의 퇴치 효과를 유지하면서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제어 유니트(300)는 퇴치 유니트(200)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 유니트(300)는 퇴치 유니트(200)와 함께 모형 유니트(100)에 설치되고 퇴치 유니트(200)를 간헐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간헐적으로 구동되는 사이 구간, 다시 말해 퇴치 유니트(200)가 동작되지 않는 시간 구간에 유해 조수가 접근하면 농작물 등이 훼손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유니트(300)는 센서(10)를 이용해서 퇴치 유니트(200)를 간헐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센서(10)는 모형 유니트(100)에 설치되고 유해 조수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10)는 모형 유니트(100)에 마련된 링 형상의 설치부(113)의 외주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센서(10)의 감지 범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 센서(10)의 감지 범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위에서 바라봤을 때 센서(10)의 감지 범위를 나타낸 것이다.
센서(10)는 적외선을 이용해서 유해 조수의 접근을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10)의 상하 감지 각도 α는 지상의 동물과 공중의 조류를 모두 감지하기 위해 80도 ~ 100도일 수 있다.
센서(10)는 평면상으로 모든 방위가 감지되도록 모형 유니트(100)를 중심으로 등각도록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평면상으로 각 센서(10)의 감지 범위 일부는 서로 겹치는 것이 좋다.
일 예로, 3개의 센서(10)가 120도 간격으로 모형 유니트(100)에 설치된 경우, 각 센서(10)의 좌우 감지 각도 β는 140도 ~ 180도인 것이 좋다. 평면상으로 각 센서(10)의 감지 범위 일부가 서로 겹치므로, 각 센서(10)의 사이로 유해 조수가 접근하더라도 360도 모든 범위에서 확실하게 유해 조수의 접근이 센서(1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유해 조수를 퇴치하는 효과가 발현되는 퇴치 유니트(200)의 유효 범위가 정의될 때, 센서(10)는 퇴치 유니트(200)의 유효 범위 내로 접근한 유해 조수만을 감지하는 것이 좋다. 일 예로, 유효 범위 밖의 유해 조수가 센서(10)에 의해 감지되고, 퇴치 유니트(200)가 구동된다면 유해 조수의 퇴치 효과가 낮아지기 쉽다. 반면, 센서(10)의 감지 범위가 퇴치 유니트(200)의 유효 범위 이내라면, 센서(10)에 의해 유해 조수가 감지된다는 것은 유해 조수가 퇴치 유니트(200)의 유효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유니트(300)는 복잡한 연산 과정없이 단순히 센서(10)에서 유해 조수가 감지되면 퇴치 유니트(200)를 구동시키는 것으로, 간소한 구성을 통해 확실하게 유해 조수를 퇴치할 수 있다.
확실하게 유해 조수를 퇴치하기 위해 센서(10)의 감지 범위는 5~12m인 것이 좋다.
한편, 센서(10)의 감지 거리보다 멀리 위치한 유해 조수를 겁줄 필요가 있다. 센싱 범위 밖의 유해 조수를 퇴치하기 위해 제어 유니트(300)는 설정 주기에 따라 퇴치 유니트(2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유해 조수의 접근이 감지되면 퇴치 유니트(200)를 추가로 구동시킬 수 있다.
제어 유니트(300)는 유해 조수의 접근이 감지되면, 퇴치 유니트(200)에 마련된 회동부, 발광부, 음향 출력부, 분사부 등의 모든 퇴치 부재를 함께 구동시키는 것이 좋다. 센서(10)에서 유해 조수의 접근이 감지되면, 유해 조수는 모든 퇴치 부재의 유효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퇴치 부재가 유해 조수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확실하게 유해 조수를 내쫓을 수 있다.
반면, 설정 주기에 따라 퇴치 유니트(200)를 구동시킬 때는 기선택된 퇴치 부재만을 구동시키는 것이 좋다.
설정 주기에 따라 구동되는 퇴치 유니트(200)는 센서(10)에서 유해 조수가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동작될 수 있다. 따라서, 퇴치 유니트(200)는 유해 조수가 전혀 없는 상태에서도 구동될 수 있다. 설사 퇴치 유니트(200)가 센서(10)의 감지 범위를 벗어난 농작지에 존재한다 하더라도, 해당 거리까지 영향을 미치는 퇴치 부재의 종류는 제한될 수 있다. 일 예로, 분사부의 경우 반경 10m 이내의 유효 범위를 가질 수 있는데, 유해 조수가 실제로 30m 거리에 있는 경우 분사부가 구동되더라도 실익이 없다.
제어 유니트(300)는 설정 주기에 따라 퇴치 부재를 구동시킬 때는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기 위해 기선택된 퇴치 부재만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어 유니트(300)는 장거리에서 효과가 높고 전력 소모가 낮은 음향 출력부 또는 발광부만을 구동시킬 수 있다. 물론, 퇴치 유니트에 마련된 모든 퇴치 부재가 선택되고 구동되어도 무방하다.
모형 유니트(100)는 지면에 설치되는 지지부(130), 지지부(130)의 상부에 설치되고 허수아비 형상으로 형성된 모형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모형부(110)는 지지부(130)에 착탈될 수 있다.
일 예로, 지지부(130)의 상부는 지면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모형부(110)에는 지지부(130)의 상부에 끼워지는 중공 파이프 형상의 착탈부(111)가 마련될 수 있다.
퇴치 유니트(200)에 모형 유니트(100)를 움직이는 회동부가 마련된 경우, 모형부(110)는 지지부(13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유지 보수의 편의를 위해 퇴치 유니트(200), 센서(10) 및 제어 유니트(300)는 모형부(110)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130)로부터 모형부(110)를 떼어내면 지면에는 오로지 지지부(130)만 남게 된다.
지지부(130)는 일단부가 지면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모형부(110)에 착탈될 수 있다.
지지부(130)의 중간에는 고정된 제1 기어(139)가 마련될 수 있다.
서로 다른 가상의 제1 축과 제2 축이 정의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2에서 제1 축은 지지부(130)일 수 있다. 제2 축은 모터(117) 축(미도시)일 수 있다.
모형부(110)에는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2 기어(119), 제2 기어(119)를 회전시키는 모터(117)가 마련될 수 있다.
모형부(110)가 지지부(130)에 장착되면, 제2 기어(119)는 제1 기어(139)에 맞물릴 수 있다. 제1 기어(139)에 맞물린 상태에서 제2 기어(119)가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 제2 기어(119) 및 모터(117)는 제1 기어(139)를 타고 제1 축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기어(119) 및 모터(117)는 지구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위성처럼 제1 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제2 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제2 기어(119) 및 모터(117)에 의해 지지부(130)에 장착된 모형부(110)는 제1 축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기어(119) 및 모터(117)는 모형부(110)를 움직이는 회동부를 형성할 수 있다.
모형부(110)에는 몸체부의 본체 또는 착탈부(111)에 제2 기어(119) 및 모터(117)를 연결하는 연결부(115)가 마련될 수 있다.
모형 유니트(100)는 외부 전원의 연결이 어려운 지역 또는 지형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퇴치 유니트(200), 센서(10) 및 제어 유니트(300)의 구동 전력은 자체적으로 공급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유해 조수 퇴치 장치는 퇴치 유니트(200), 센서(10) 및 제어 유니트(300)에 구동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해 조수 퇴치 장치는 태양광을 이용해서 배터리(400)를 충전시키는 솔라 패널(5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400) 및 솔라 패널(500)은 모형 유니트(100), 구체적으로 모형부(110)에 설치될 수 있다.
모형부(110)에는 박스(90)가 설치될 수 있으며, 박스(90) 내에는 제어 유니트(300), 배터리(400), 솔라 패널(500)의 전기를 배터리(400)에 저장할 수 있는 전력으로 변환하는 충전 모듈(510) 등이 실장될 수 있다. 제어 유니트(300)에는 음향 출력부를 위한 음향 재생 모듈(330), 설정 시간마다 퇴치 유니트(200)를 구동시키기 위해 시간을 재는 타이머(310)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유해 조수 퇴치 장치는 외부 전원에 연결되지 않더라도 정상적으로 구동되므로, 다양한 장소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퇴치 유니트(200), 센서(10), 제어 유니트(300)에 의해 유해 조수를 확실하게 퇴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유해 조수 퇴치 장치가 농작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농작지가 넓은 경우 모형 유니트(100)가 서로 이격된 위치에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로 마련된 모형 유니트(100)를 이용해서 농작물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일 예로, 특정 모형 유니트에 유해 조수가 접근한 경우 특정 모형 유니트의 퇴치 유니트가 구동될 수 있다. 퇴치 유니트(200)의 구동에 의해 유해 조수는 달아나게 되는데, 이때 달아나는 방향이 문제될 수 있다.
특정 모형 유니트에 의해 쫓겨난 유해 짐승은 다른 모형 유니트를 향해 달아날 수 있다. 다른 모형 유니트의 퇴치 유니트에 의해 해당 유해 짐승은 또다른 모형 유니트를 향하는 방향으로 도망칠 수 있다. 이렇게 각 퇴치 유니트(200)가 구동되면 결국 유해 짐승은 농작지를 벗어나서 달아나게 된다. 그러나, 유해 조수의 탈주 경로가 되는 각 모형 유니트(100)의 사이 구간에 심어진 농작물이 훼손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유해 조수가 복수의 모형 유니트(100) 사이에서 왔다갔다하는 핑퐁 현상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유해 조수의 핑퐁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특정 모형 유니트에 마련된 특정 제어 유니트는 센서(10)를 통해 유해 조수의 접근이 감지되면 감지 정보를 다른 모형 유니트의 제어 유니트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제어 유니트는 다른 모형 유니트의 제어 유니트로부터 유해 조수의 감지 정보가 수신되면 퇴치 유니트(2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다른 제어 유니트와 유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해 제어 유니트(300)에는 통신 모듈이 마련될 수 있다.
위 구성에 따르면, 특정 모형 유니트(100)에서 유해 조수가 감지되면 복수의 모형 유니트(100)에 마련된 복수의 퇴치 유니트(200)가 모두 동작될 수 있다. 따라서, 유해 조수는 각 모형 유니트(100)를 연결하는 가상의 폐곡선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고, 외부로 달아나게 된다. 따라서, 각 모형 유니를 연결하는 가상의 폐곡선 내부의 농작물을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센서 90...박스
100...모형 유니트 110...모형부
111...착탈부 113...설치부
115...연결부 117...모터
119...제2 기어 130...지지부
139...제1 기어 200...퇴치 유니트
300...제어 유니트 310...타이머
330...음향 재생 모듈 400...배터리
500...솔라 패널 510...충전 모듈

Claims (9)

  1. 일단부가 지면에 고정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타단부에 착탈되고 허수아비 형상으로 형성된 모형부;
    상기 모형부에 설치되는 퇴치 유니트, 센서, 제어 유니트, 배터리 및 솔라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퇴치 유니트에는 유해 조수를 퇴치하는 발광부, 음향 출력부, 분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퇴치 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센서는 상기 유해 조수의 접근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 유니트는 상기 센서를 통해 상기 유해 조수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퇴치 유니트를 구동시키며,
    상기 배터리는 상기 퇴치 유니트, 상기 센서 및 상기 제어 유니트에 구동 전력을 제공하고,
    상기 솔라 패널은 태양광을 이용해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며,
    상기 지지부의 중간에는 고정된 제1 기어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와 동축인 가상의 제1 축과 상기 제1 축과 다른 가상의 제2 축이 정의될 때,
    상기 모형부에는 상기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2 기어, 상기 제2 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가 마련되며,
    상기 모형부가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면, 상기 제2 기어는 상기 제1 기어에 맞물리고,
    상기 제1 기어에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제2 기어가 상기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2 기어 및 상기 모터는 상기 제1 기어를 타고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상기 제2 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상기 제2 기어 및 상기 모터에 의해 상기 지지부에 장착된 상기 모형부는 상기 제1 축에 해당하는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회동되고,
    상기 제1 기어로부터 돌출된 상기 지지부의 상부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모형부에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끼워지는 중공 파이프 형상의 착탈부, 상기 착탈부에 상기 제2 기어 및 상기 모터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상기 착탈부가 끼워지면, 상기 모형부가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면서 상기 제2 기어가 상기 제1 기어에 맞물리며,
    일단부가 상기 지면에 고정된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모형부를 떼어내면 상기 지면에는 상기 제1 기어가 구비된 상기 지지부만 남는 유해 조수 퇴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적외선을 이용해서 상기 퇴치 유니트의 유효 범위 내로 접근한 상기 유해 조수를 감지하고, 평면상으로 모든 방위가 감지되도록 상기 모형부를 중심으로 등각도로 복수개가 마련되는 유해 조수 퇴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니트는 설정 주기에 따라 상기 퇴치 유니트를 구동시키고, 상기 유해 조수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퇴치 유니트를 추가로 구동시키는 유해 조수 퇴치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모형부가 포함된 모형 유니트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 복수로 마련되고,
    특정 모형 유니트에 설치된 특정 제어 유니트는 상기 센서를 통해 상기 유해 조수의 접근이 감지되면 감지 정보를 다른 모형 유니트로 전송하며,
    상기 특정 제어 유니트는 상기 다른 모형 유니트로부터 상기 유해 조수의 감지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퇴치 유니트를 구동시키는 유해 조수 퇴치 장치.
KR1020160026082A 2016-03-04 2016-03-04 유해 조수 퇴치 장치 KR101710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082A KR101710689B1 (ko) 2016-03-04 2016-03-04 유해 조수 퇴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082A KR101710689B1 (ko) 2016-03-04 2016-03-04 유해 조수 퇴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0689B1 true KR101710689B1 (ko) 2017-02-28

Family

ID=58543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6082A KR101710689B1 (ko) 2016-03-04 2016-03-04 유해 조수 퇴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068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564B1 (ko) * 2018-01-22 2018-07-04 주식회사 광진기업 IoT 딥러닝 카메라와 인식기술을 사용한 IoT 융복합을 통한 지능형 유해동물과 조류 방제장치를 이용한 방제방법
KR20180117074A (ko) 2018-10-08 2018-10-26 윤정노 유해조수 퇴치기
KR101936306B1 (ko) 2018-11-15 2019-01-0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유해동물 방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해동물 방제방법
KR101975477B1 (ko) * 2018-12-26 2019-05-09 주식회사 광진기업 IoT 딥러닝 카메라와 드론을 활용한 IoT 지능형 유해동물과 조류 방제장치를 이용한 퇴치 방법
KR101969265B1 (ko) * 2018-09-19 2019-08-13 추철교 유해동물 퇴치장치
KR101980810B1 (ko) * 2018-10-24 2019-08-30 태영산건주식회사 조류 퇴치기
KR102111987B1 (ko) 2018-12-27 2020-05-18 최진호 유해조수 포획장치
KR20200091242A (ko) * 2019-01-22 2020-07-3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유해 조수 퇴치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265Y1 (ko) * 2006-04-26 2006-07-10 송종명 유해 조수 퇴치장치
JP3177796U (ja) * 2012-06-06 2012-08-16 一雄 鈴木 害獣威嚇装置
KR101506608B1 (ko) * 2013-11-20 2015-03-27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로봇형 허수아비
KR20150057406A (ko) 2013-11-19 2015-05-28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유해 조수 퇴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265Y1 (ko) * 2006-04-26 2006-07-10 송종명 유해 조수 퇴치장치
JP3177796U (ja) * 2012-06-06 2012-08-16 一雄 鈴木 害獣威嚇装置
KR20150057406A (ko) 2013-11-19 2015-05-28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유해 조수 퇴치장치
KR101506608B1 (ko) * 2013-11-20 2015-03-27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로봇형 허수아비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564B1 (ko) * 2018-01-22 2018-07-04 주식회사 광진기업 IoT 딥러닝 카메라와 인식기술을 사용한 IoT 융복합을 통한 지능형 유해동물과 조류 방제장치를 이용한 방제방법
KR101969265B1 (ko) * 2018-09-19 2019-08-13 추철교 유해동물 퇴치장치
KR20180117074A (ko) 2018-10-08 2018-10-26 윤정노 유해조수 퇴치기
KR101980810B1 (ko) * 2018-10-24 2019-08-30 태영산건주식회사 조류 퇴치기
KR101936306B1 (ko) 2018-11-15 2019-01-0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유해동물 방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해동물 방제방법
KR101975477B1 (ko) * 2018-12-26 2019-05-09 주식회사 광진기업 IoT 딥러닝 카메라와 드론을 활용한 IoT 지능형 유해동물과 조류 방제장치를 이용한 퇴치 방법
KR102111987B1 (ko) 2018-12-27 2020-05-18 최진호 유해조수 포획장치
KR20200091242A (ko) * 2019-01-22 2020-07-3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유해 조수 퇴치 장치
KR102294712B1 (ko) * 2019-01-22 2021-08-2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유해 조수 퇴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0689B1 (ko) 유해 조수 퇴치 장치
KR101654754B1 (ko) 조수 퇴치 장치
US20210084813A1 (en) System for depredator and predator control using a robot and sensory controlling apparatus
US11805771B2 (en) System and method to drive away geese
US20180077918A1 (en) Multi Function Photo Electro Acoustic Ions Drone
US5966075A (en) Motion-sensitive bird repelling device
US7462364B2 (en) Repellant/deterrence system for animals and method of use
KR101911312B1 (ko) 감지된 소리의 방향으로 회전되는 초지향성 스피커를 구비한 유해동물 퇴치기 및 방법
US20210084886A1 (en) Wild animal repulsing apparatus
WO2018182944A1 (en) Multi-function photo electro acoustic ions drone
KR101373698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야생동물 및 유해조류 퇴치기
KR101374685B1 (ko) 유해동물 퇴치장치
US20060096519A1 (en) Animal deterrent device
KR102234765B1 (ko) 멧돼지 퇴치기
Ampatzidis et al. Autonomous system for pest bird control in specialty crops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s
KR20170008489A (ko) 유해조수 퇴치 로봇 시스템 및 이의 작동 방법
RO126518A1 (ro) Sistem integrat pentru îndepărtarea păsărilor
KR101443046B1 (ko) 두더지 및 설치류 퇴치 장치
US7782711B2 (en) Pest deterrent
JP2002186402A (ja) レーザービームのマルチ照射による鳥獣侵入防止方法
KR101767395B1 (ko) 스카이댄스 유니트가 마련된 유해 조수 퇴치 장치
KR20130051233A (ko) 야생해조류의 퇴치와 유인 포획 기능을 갖는 다기능 조류 퇴치기
JP3189808U (ja) 鳥獣撃退装置
KR20000030459A (ko) 적외선 센스를 이용한 전자 조류 퇴치기
JP5460782B2 (ja) 鳥獣威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