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6306B1 - 유해동물 방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해동물 방제방법 - Google Patents

유해동물 방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해동물 방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6306B1
KR101936306B1 KR1020180141098A KR20180141098A KR101936306B1 KR 101936306 B1 KR101936306 B1 KR 101936306B1 KR 1020180141098 A KR1020180141098 A KR 1020180141098A KR 20180141098 A KR20180141098 A KR 20180141098A KR 101936306 B1 KR101936306 B1 KR 101936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animal
noxious animal
camera flash
harmfu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1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5430A (ko
Inventor
강대성
김종식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41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306B1/ko
Publication of KR20180125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5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1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light sources, e.g. lasers or flashing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odoriferous substances, e.g. aromas, pheromones or chemic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8Optical arrangements
    • G01J5/0853Optical arrangements having infrared absorbers other than the usual absorber layers deposited on infrared detectors like bolometers, wherein the heat propagation between the absorber and the detecting element occurs within a soli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23/00Electricity: power supply or regulation systems
    • Y10S323/906Solar cell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해동물 방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해동물 방제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유해동물이 발산하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PIR센서, 상기 유해동물 접근시 조명을 발하는 카메라 플래쉬, 상기 유해동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IR센서, 상기 PIR센서(20)와 상기 IR센서(40)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아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 상기 IR센서(40)에 의해 상기 유해동물이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접근했다고 감지되었을 때 상기 제어부(5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경보음을 울리는 버저(60) 및 상기 IR센서(40)에 의해 상기 유해동물이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접근했다고 감지되었을 때 상기 유해동물에게 혐오감을 줄 수 있는 액체를 분사하는 자동 분사기(70)를 가지고, 상기 PIR센서(20), 상기 카메라 플래쉬(30), 상기 IR센서(40), 상기 제어부(50), 상기 버저(60), 및 상기 자동 분사기(70)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전원(1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방제장비와 이를 이용한 유해동물 방제 방법에 관한 기술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유해동물 방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해동물 방제방법{Equipment for controlling harmful animals and method for controlling harmful animal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체 감지 센서와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유해동물의 접근을 감지하여 카메라 플래쉬와 버저 최루액을 상황에 맞게 사용하는 유해동물 방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해동물 방제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태양열 판넬 또는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하고 유해동물을 감지하였을 때에만 유해동물 방제동작을 하여 유지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제작비를 최소한으로 하여 농가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유해동물 방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해동물 방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농가에서는 멧돼지, 고라니 등 유해동물에 의한 농작물 피해가 막심하다. 이런 피해를 막기 위해 현 유해동물 방제기에서는 초음파, 진동, 레이져, 적외선 등의 다양한 방법이 기술된 바 있다. 비슷한 적외선을 이용한 그 예로는 특허공개 제10-2014-0105679호(공개일자 2014년09월02일)가 있는데, 상기 공개특허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한 복합 센서로 구성되어 있고, 하나의 수단이 고장난 경우에는 유해동물퇴치에 치명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 또한, 유해동물의 근접 거리에 따라 위협하는 센서를 달리하는 본 발명과는 차이가 있다. 종래 기술 중 가장 많은 효과를 보고 있는 전기울타리 방식은 인명피해가 크고 설치비용과 유지비가 많이 들어 실제 농가에서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멧돼지, 고라니와 같은 큰 동물과 작은 해충, 쥐 같은 유해동물의 퇴치 방법은 달라야 할 것이다. 큰 유해동물인만큼 농작물에 입히는 피해가 크기 때문에 유해동물의 접근거리에 따라 하나의 센서가 인식하지 못했을 때에도 완벽하게 퇴치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러한 방법에 야생동물을 향해 멜로디로 제압하는 특허공개 제10-2016-0087102호(공개일자 2016년07월21일)가 있는데, 경고음만으로는 유해동물을 제압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더 가까운 거리에 접근했을 때, 경고음 뿐만 아니라 치명적인 유해 액체를 분사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태양열을 이용한 전원공급에 대해 언급한 기존 특허공개 제10-2010-0033001호(2010년 03월 29일)가 있으나 본 발명은 태양열을 전원으로 이용함에 있어서 태양광 충전 모듈에 연결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여 유해동물이 비켜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장비를 개발한 것에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이 유해동물을 퇴치하는 방법은 기존에도 많이 있으나 더욱 효율적으로 유해동물을 방제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고, 현 농촌의 환경을 고려한 저렴한 비용의 유해동물 퇴치기술이 필요한 시점이다.
1.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5-0027313호(2015.02.26) 2.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5-0005291호(2015.01.13) 3.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3-0019488호(2013.02.22)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전원은 산간오지에 적합한 태양광이나 일반 건전지를 이용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퇴치 방식은 적은 소비 전력을 요구하는 PIR을 활용하여 야간에 접근하는 물체를 인지하고 카메라 후레쉬를 이용하여 순간적으로 강력한 불빛으로 접근하는 동물에 위협을 가하여 퇴치하는 방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카메라 후레쉬 기능에 위협이 되지 않는 일부 동물에 대해서는 계속 접근 시는 버저로 위협을 가하고 매운 최루액을 분사하여 퇴치하는 방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태양광 충전 모듈에 연결하여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여 유해동물을 퇴치하는 장비를 제시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기존 기술들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유지비와 설치비를 최소화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효율적으로 유해동물을 방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유해동물 방제장비는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10); 유해동물이 발산하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PIR센서(20); 상기 유해동물 접근시 조명을 발하는 카메라 플래쉬(30); 상기 유해동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IR센서(40); 상기 PIR센서(20)와 상기 IR센서(40)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아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50); 상기 IR센서(40)에 의해 상기 유해동물이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접근했다고 감지되었을 때 상기 제어부(5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경보음을 울리는 버저(60); 및 상기 IR센서(40)에 의해 상기 유해동물이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접근했다고 감지되었을 때 상기 유해동물에게 혐오감을 줄 수 있는 액체를 분사하는 자동 분사기(70)를 가지고, 상기 PIR센서(20), 상기 카메라 플래쉬(30), 상기 IR센서(40), 상기 제어부(50), 상기 버저(60), 및 상기 자동 분사기(70)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전원(1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10)은 태양광 충전 모듈 또는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미리 설정된 유해동물과의 거리에 따라 카메라 플래쉬(30)의 작동, 최루액 분사와 버저 울림이 동시에 또는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해동물 방제장비로 유해동물을 방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유해동물 방제장비가 전원(1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전원 ON 단계(S100); 상기 PIR센서(20)를 켜는 PIR 센서 켜짐 단계(S200); 상기 PIR센서(20)가 유해동물을 감지하는 대상 감지 단계(S300); 상기 유해동물을 감지하였을 때 상기 카메라 플래쉬(30)와 상기 IR센서(40) 중 하나 이상의 플래쉬와 IR센서를 동작시키는 플래쉬와 IR센서 동작 단계(S400); 상기 유해동물을 감지하였을 때 상기 IR센서(40)에 의해 상기 유해동물이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였음을 인식하는 거리 인식 단계(S500); 상기 유해동물이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였을 때 상기 자동 분사기(70)가 상기 유해동물에 대해 유해 액체를 분사하는 유해 액체 분사 단계(S600); 상기 제어부(50)로 상기 유해동물이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계속 접근하는가를 판단하는 근거리 인식 단계(S700); 및 상기 유해동물이 계속 접근하였을 때 상기 제어부(50)에 의해 버저가 경보음을 울리게 하는 버저 울림 단계(S800)를 포함하고, 상기 유해동물을 감지하지 않았을 때와 상기 유해동물이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지 않았을 때는 PIR 센서 켜짐 단계(S200)로 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방제장비에 의하면,
태양열을 이용한 전원과 적외선을 감지하는 PIR센서(20), 카메라 플래쉬(30), IR센서(40), 제어부(50), 경보음을 울리는 버저(60), 자동 분사기(70)로 구성되고, PIR센서(20)가 유해동물을 감지하기 전에는 다른 기능들이 동작하지 않고 태양광 판넬을 전원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유지비를 줄여 효율적으로 야생동물을 방제한다.
이는 농촌 생활 환경 개선 및 농산물 지출 확대가 예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현재 유해동물로 피해를 입고 있는 현 농촌이 앓고 있는 고질적 문제점이 해결되어 농민들의 시름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농산물과 동물을 동시에 보호하여 인간과 동물이 공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해동물 방제장비의 일 실시예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해동물의 5M 이내 접근시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해동물의 1M 이내 접근시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해동물 방제장비의 구성품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유해동물 상태에 따른 본 발명의 동작 개요.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현장 설치 간격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해동물 방제장비의 작동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해동물 방제방법의 단계 흐름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유해동물 방제장비는 멧돼지, 고라니 같은 농작물에 피해가 가는 유해동물에 대한 퇴치 장비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일 실시예의 도면인 도 1, 사용 상태도를 나타내는 도 2와 도 3, 구성품을 도시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해동물 방제장비는 전원(10), 유해동물이 발산하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PIR센서(20), 상기 유해동물의 적외선을 감지하여 조명을 발하는 카메라 플래쉬(30), 상기 유해동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IR센서(40), 상기 PIR센서(20)와 상기 IR센서(40)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아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50), 상기 IR센서(40)에 의해 유해동물이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접근했다고 감지되었을 때 상기 제어부(5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경보음을 울리는 버저(60), 및 상기 유해동물에게 혐오감을 줄 수 있는 액체를 분사하는 자동 분사기(70)로 구성된다.
도 1,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유해동물 방제장비는 태양광 모듈에 연결되어 태양열 에너지를 전력으로 사용하며,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게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2m 간격마다 설치하여 유해동물이 방제 시설 사이를 빠져 나갈 수 없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해동물이 접근하면, 첫번째 단계로 5M 이내에 접근하면 카메라 플래쉬(30)가 작동하고, 두번째 단계로 1M 이내에 접근하면 유해 액체 분사와 경고음이 울린다. 유해 액체는 체루액과 같은 치명적인 액체가 동물에게 분사되고, 버저(60)에서 경고음이 울리는 것이다.
이처럼 일 실시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작동은 단계별로 혹은 동시에 일어날 수 있는데 이는 PIR센서(20)로 상기 유해동물의 인체 적외선을 감지하고, IR센서(40)로 상기 유해동물의 접근 거리를 측정할 수 있기에 가능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PIR센서(20)는 인체 감지 센서로 유해동물에서 나오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생명체는 일정 온도의 열을 가지고 있으므로 적외선이 나온다. 상기 적외선과 움직임이 감지되면 신호를 보내주는 방식이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서는 유해동물의 적외선 및 움직임이 감지되면 PIR센서(20)에서 이를 인식하여 카메라 플래쉬(30)를 켜게 한다. 그와 함께 IR센서(40)가 작동하여 접근한 동물의 거리를 측정하여 1m이내로 접근하였을 때에는 최루액을 분사하고 더 많이 접근하면 경고음까지 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작동 시작 및 중단은 보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분명해질 것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유해동물의 접근 거리에 따라 카메라 플래쉬(30)가 나오기도 하며, 버저 경고음과 유해 액체가 분사가 되기도 한다. 이것은 IR센서(40)에서 유해동물의 접근 정도를 거리로 측정 가능하고, 이때 본 발명은 미리 설정된 거리를 설정해 놓고 일정거리 이상 농작물에 유해동물이 접근했을 때를 감지하여 유해동물이 느끼는 위협의 강도를 달리하여 최종적으로 농작물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IR 센서(40)는 적외선 센서로 10m 이상의 감지 거리를 가질 수 있는데, 현재 나와 있는 시중 제품으로 5~20m로 열감지 기능을 하고, 야간 사용 용도로도 적합하며 멧돼지, 고라니와 같은 유해동물 방제를 위한 용도로 적합하다. 이러한 IR센서(40)의 원리를 이용하여 야간에 농작물에 접근할 수 있는 유해동물까지도 보다 효율적으로 방제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각의 단계를 지니는데, 이는 카메라 플래쉬(30)가 터짐에도 불구하고 계속적으로 농작물에 접근하는 유해동물을 방제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유해동물 방제장비는 보다 효율적으로 유해동물을 퇴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세하게 8단계로 생각해 볼 수 있다.
각 단계는 상세한 서술을 위해 동시에 일어날 수 있는 일에 대해서도 도 7과 같이 작동 흐름도를 나누어서 표현함을 명시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인식'라는 용어는 좀 더 정확하게는 센서와 제어부(50)와 같은 장치가 사물을 알아차렸다는 표현을 대표하는 것일 뿐이며, 이들 용어의 선택 사용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일 실시예에서 표현된 도 8과 같이,
상기 유해동물 방제장비로 유해동물을 방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유해동물 방제장비가 전원(1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전원 ON 단계(S100); 상기 PIR센서(20)를 켜는 PIR 센서 켜짐 단계(S200); 상기 PIR센서(20)가 유해동물을 감지하는 대상 감지 단계(S300); 상기 유해동물을 감지하였을 때 상기 카메라 플래쉬(30)와 상기 IR센서(40) 중 하나 이상의 카메라 플래쉬와 IR센서를 동작시키는 카메라 플래쉬와 IR센서 동작 단계(S400); 상기 유해동물을 감지하였을 때 상기 IR센서(40)에 의해 상기 유해동물이 5M 이내로 접근했다고 감지되었을 때 상기 카메라 플래쉬를 동작시키는 단계(S500); 상기 유해동물이 1M 이내로 접근하였을 때 상기 자동 분사기(70)가 상기 유해동물에 대해 최루액을 분사하는 최루액 분사 단계(S600); 상기 제어부(50)로 상기 유해동물이 1M 이내로 계속 접근하는가를 판단하는 근거리 인식 단계(S700); 및 상기 유해동물이 계속 접근하였을 때 상기 제어부(50)에 의해 버저가 경보음을 울리게 하는 버저 울림 단계(S800);를 포함하고, 상기 유해동물을 감지하지 않았을 때와 상기 유해동물이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지 않았을 때는 상기 PIR 센서 켜짐 단계(S200)로 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방제장비에 의하면,
태양열을 이용한 전원과 적외선을 감지하는 PIR센서(20), 카메라 플래쉬(30), IR센서(40), 제어부(50), 경보음을 울리는 버저(60), 혐오 액체가 나가는 자동 분사기(70)로 구성되고, PIR센서(20)가 유해동물을 감지하기 전에는 다른 기능들이 동작하지 않고 태양광 판넬을 전원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유지비를 줄여 효율적으로 유해동물을 방제한다. 이는 농촌 생활 환경 개선 및 농산물 지출 확대가 예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현재 유해동물로 피해를 입고 있는 현 농촌이 앓고 있는 고질적 문제점이 해결되어 농민들의 시름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농산물과 동물을 동시에 보호하여 인간과 동물이 공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유해동물의 접근거리에 따라 하나의 센서가 인식하지 못했을 때에도 완벽하게 퇴치할 수 있는 방법의 필요성에 의해 본 발명은 고안되었고,
유해동물을 감지하였을 때에만 유해동물 방제 동작을 하여 유지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제작비를 최소한으로 하여 농가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유해동물 방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리하여, 접근하는 동물이 발산하는 적외선을 PIR센서(20)로 감지하면 경고등을 비춰 위협을 가함과 동시에 IR센서(40)로 동물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일정거리 이상 접근하면 경고음을 울리고 최루액을 분사하여 유해동물의 접근을 막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유해동물 방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해동물 방제를 위한 방법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전원 20 : PIR센서
30 : 카메라 플래쉬 40 : IR센서
50 : 제어부 60 : 버저
70 : 자동 분사기
S100 : 전원 ON 단계 S200 : PIR 센서 켜짐 단계
S300 : 대상 감지 단계 S400 : 플래쉬와 IR센서 동작 단계
S500 : 거리 인식 단계 S600 : 유해 액체 분사 단계
S700 : 근거리 인식 단계 S800 : 버저 울림 단계

Claims (1)

  1.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10);
    유해동물이 발산하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PIR센서(20);
    상기 유해동물 접근시 조명을 발하는 카메라 플래쉬(30);
    상기 유해동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IR센서(40);
    상기 PIR센서(20)와 상기 IR센서(40)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아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50);
    상기 IR센서(40)에 의해 상기 유해동물이 5M 이내에 접근했다고 감지되었을 때 상기 카메라 플래쉬(30)가 작동하고,
    상기 IR센서(40)에 의해 상기 유해동물이 1M 이내에 접근했다고 감지되었을 때 상기 제어부(5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경보음을 울리는 버저(60); 및 상기 유해동물에게 혐오감을 줄 수 있는 최루액을 분사하는 자동 분사기(70)를 포함하되,
    상기 PIR센서(20), 상기 카메라 플래쉬(30), 상기 IR센서(40), 상기 제어부(50), 상기 버저(60), 및 상기 자동 분사기(70)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전원(1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전원(10)은 태양광 충전 모듈 또는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방제장비를 이용한 유해동물 방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해동물 방제장비가 상기 전원(1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전원 ON 단계(S100);
    상기 PIR센서(20)를 켜는 상기 PIR센서(20) 켜짐 단계(S200);
    상기 PIR센서(20)가 유해동물을 감지하는 대상 감지 단계(S300);
    상기 유해동물을 감지하였을 때 상기 카메라 플래쉬(30)와 상기 IR센서(40) 중 하나 이상의 카메라 플래쉬와 IR센서를 동작시키는 카메라 플래쉬와 IR센서 동작 단계(S400);
    상기 유해동물을 감지하였을 때 상기 IR센서(40)에 의해 상기 유해동물이 5M 이내로 접근했다고 감지되었을 때 상기 카메라 플래쉬를 동작시키는 단계(S500);
    상기 유해동물이 1M 이내로 접근하였을 때 상기 자동 분사기(70)가 상기 유해동물에 대해 최루액을 분사하는 최루액 분사 단계(S600);
    상기 제어부(50)로 상기 유해동물이 1M 이내로 계속 접근하는가를 판단하는 근거리 인식 단계(S700); 및
    상기 유해동물이 계속 접근하였을 때 상기 제어부(50)에 의해 버저가 경보음을 울리게 하는 버저 울림 단계(S800);를 포함하고,
    태양열을 이용한 전원과 적외선을 감지하는 PIR센서(20), 카메라 플래쉬(30), IR센서(40), 제어부(50), 경보음을 울리는 버저(60), 혐오 액체가 나가는 자동 분사기(70)로 구성되고, PIR센서(20)가 유해동물을 감지하기 전에는 다른 기능들이 동작하지 않고 태양광 판넬을 전원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유지비를 줄여 효율적으로 유해동물을 방제하는 단계;
    상기 유해동물을 감지하지 않았을 때와 상기 유해동물이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지 않았을 때는 상기 PIR 센서 켜짐 단계(S200);로 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방제 방법.
KR1020180141098A 2018-11-15 2018-11-15 유해동물 방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해동물 방제방법 KR101936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098A KR101936306B1 (ko) 2018-11-15 2018-11-15 유해동물 방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해동물 방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098A KR101936306B1 (ko) 2018-11-15 2018-11-15 유해동물 방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해동물 방제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1422A Division KR20180104534A (ko) 2017-03-13 2017-03-13 유해동물 방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해동물 방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5430A KR20180125430A (ko) 2018-11-23
KR101936306B1 true KR101936306B1 (ko) 2019-01-08

Family

ID=64565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1098A KR101936306B1 (ko) 2018-11-15 2018-11-15 유해동물 방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해동물 방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63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308B1 (ko) * 2019-01-09 2020-11-09 이원경 독립형 야생동물 퇴치기
CN110672162B (zh) * 2019-12-04 2020-04-10 中科星图(深圳)数字技术产业研发中心有限公司 一种自然保护地的动物环境监控方法
WO2021250875A1 (ja) * 2020-06-12 2021-12-1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野生動物監視システムとその監視制御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3367119B (zh) * 2021-04-30 2022-04-19 广州林猫自然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防范野猪入侵的智能仿真野猪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867B1 (ko) 2012-07-20 2013-04-10 이상욱 농작물 보호를 위한 야생동물 적응화 퇴치 장치, 그리고 야생동물 적응화 퇴치 장치를 위한 제어 단말
KR101710689B1 (ko) 2016-03-04 2017-02-28 (주) 엘앤티 유해 조수 퇴치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867B1 (ko) 2012-07-20 2013-04-10 이상욱 농작물 보호를 위한 야생동물 적응화 퇴치 장치, 그리고 야생동물 적응화 퇴치 장치를 위한 제어 단말
KR101710689B1 (ko) 2016-03-04 2017-02-28 (주) 엘앤티 유해 조수 퇴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5430A (ko) 2018-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6306B1 (ko) 유해동물 방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해동물 방제방법
KR101874564B1 (ko) IoT 딥러닝 카메라와 인식기술을 사용한 IoT 융복합을 통한 지능형 유해동물과 조류 방제장치를 이용한 방제방법
KR101975477B1 (ko) IoT 딥러닝 카메라와 드론을 활용한 IoT 지능형 유해동물과 조류 방제장치를 이용한 퇴치 방법
KR101762511B1 (ko) 드론을 이용한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퇴치 방법.
CN101557837B (zh) 喷洒型运动传感空气清新器
CN110062873A (zh) 用于经由无人交通工具防卫农作物免受农作物破坏性有害生物的系统和方法
CA2049073A1 (en) Animal deterrent apparatus
US20060174533A1 (en) Animal repellent system
KR101710689B1 (ko) 유해 조수 퇴치 장치
KR101374685B1 (ko) 유해동물 퇴치장치
US20210084886A1 (en) Wild animal repulsing apparatus
KR200412937Y1 (ko) 차량용 방역 방제 장치
CN204860716U (zh) 移动式灭蚊装置
KR20180104534A (ko) 유해동물 방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해동물 방제방법
KR20100111595A (ko) 무인 방제용 차량
KR200421265Y1 (ko) 유해 조수 퇴치장치
KR20170137664A (ko) 드론에 장착된 스피커 및 분사통을 이용한 조류퇴치 방법
KR20170070404A (ko) 야생동물 퇴치 장치
KR101778695B1 (ko) 맨홀 및 하수 관로 해충 방제 장치 및 방법
JP3880905B2 (ja) 鳥獣撃退装置
KR20200091524A (ko) 농작물 관리 장치
KR200478646Y1 (ko) 약액 분사 장치
KR200203307Y1 (ko) 조류 퇴치장치
JP2015035979A (ja) 野生動物追い込みシステム
KR20210064979A (ko) 유해 조류 및 야생 동물 퇴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