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1242A - 유해 조수 퇴치 장치 - Google Patents
유해 조수 퇴치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91242A KR20200091242A KR1020190008280A KR20190008280A KR20200091242A KR 20200091242 A KR20200091242 A KR 20200091242A KR 1020190008280 A KR1020190008280 A KR 1020190008280A KR 20190008280 A KR20190008280 A KR 20190008280A KR 20200091242 A KR20200091242 A KR 2020009124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rmful
- unit
- tides
- tide
- combating
- Prior art date
Links
- 210000003746 feather Anatomy 0.000 title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title 1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29930014626 natural product Natural produ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4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5445 natural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1846 repe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44000270673 Pelargonium graveolens Species 0.000 description 12
- 235000017927 Pelargonium graveole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2
- 239000011231 conductive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VLKZOEOYAKHREP-UHFFFAOYSA-N n-Hexane Chemical compound CCCCCC VLKZOEOYAKHRE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9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UFWIBTONFRDIAS-UHFFFAOYSA-N Naphthalene Chemical compound C1=CC=CC2=CC=CC=C21 UFWIBTONFRDIA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9000002041 carbon nanotub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10021393 carbon nanotub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029 erad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41000271566 Aves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6
- XEKOWRVHYACXOJ-UHFFFAOYSA-N 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C(C)=O XEKOWRVHYACXO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YXFVVABEGXRONW-UHFFFAOYSA-N Tolu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1 YXFVVABEGXRON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KPUWHANPEXNPJT-UHFFFAOYSA-N disiloxane Chemical class [SiH3]O[SiH3] KPUWHANPEXNPJ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41001137251 Corv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40105040 geranium extract Drug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ATUOYWHBWRKTHZ-UHFFFAOYSA-N Propane Chemical compound CCC ATUOYWHBWRK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429 di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CSCPPACGZOOCGX-UHFFFAOYSA-N Acetone Chemical compound CC(C)=O CSCPPACGZOOC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YMWUJEATGCHHMB-UHFFFAOYSA-N Dichloromethane Chemical compound ClCCl YMWUJEATGCHHM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ISWSIDIOOBJBQZ-UHFFFAOYSA-N Phenol Chemical compound OC1=CC=CC=C1 ISWSIDIOOBJB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40000001987 Pyrus communi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4443 Pyrus commun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1000282898 Sus scrof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360 explo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41 protect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992 reflux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195 synerg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HEDRZPFGACZZDS-UHFFFAOYSA-N Chloroform Chemical compound ClC(Cl)Cl HEDRZPFGACZZD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GLZPCOQZEFWAFX-UHFFFAOYSA-N Geraniol Chemical compound CC(C)=CCCC(C)=CCO GLZPCOQZEFWAF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LRHPLDYGYMQRHN-UHFFFAOYSA-N N-Butanol Chemical compound CCCCO LRHPLDYGYMQRH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220317 Ros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542 behaviou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94 fractio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09 hydrophob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1165 hydrophob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420 orchar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19 plant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85 pressure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294 prop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940 repell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871 repell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2979 Alces alc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72517 Anseriform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25254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72201 Columbiform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326 Felis c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8150 Gerani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GLZPCOQZEFWAFX-YFHOEESVSA-N Geraniol Natural products CC(C)=CCC\C(C)=C/CO GLZPCOQZEFWAFX-YFHOEESV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92 Gerani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412 Hom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67823 Hydrangea macrophyl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486 Hydrangea macrophyl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18378 Magnol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673954 Magnolia siebold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8377 Magnoli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24008 Mammal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7127 Passer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6584 Pelargonium crisp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540 Pelargonium crisp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86209 Phasian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1000220324 Py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8201 Ranuncul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00159 Rat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55745 Sciur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70295 Serpent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607479 Yersinia pest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978 adap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158 alcoho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217 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PNEYBMLMFCGWSK-UHFFFAOYSA-N alumi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O-2].[O-2].[O-2].[Al+3].[Al+3] PNEYBMLMFCGWS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60 aqua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4 aquacultur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118 ar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432 carbon atom Chemical group C*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01 egg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08 freeze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13087 gerani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648 geranium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15 mod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430 oxygen atom Chemical group O*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17 pea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86 sensory perception of smel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44 soa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41 volati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09 water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1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light sources, e.g. lasers or flashing ligh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해 조수의 퇴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해 조수를 적외선 PIR 센서에 의해 감지하면, 저주파 발생, LED 조명의 발광 및 천연물 유래 향을 순간 분사하여, 유해 조수 퇴치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태양광 발전 장비를 포함함에 따라, 베터리의 주된 교체를 방지하고, 자연광에 의한 충전을 통해 사용 효율을 높이고, 태양광 발전 장비의 사용 시 주로 발생하는 불편함이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태양광 발전 장비를 포함함에 따라, 베터리의 주된 교체를 방지하고, 자연광에 의한 충전을 통해 사용 효율을 높이고, 태양광 발전 장비의 사용 시 주로 발생하는 불편함이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해 조수 퇴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저주파의 발생 및 LED 조명에 의해 유해 동물을 퇴치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1970년대를 기점으로 급속한 산업화, 도시화가 이루어졌고, 이에 따른 산림의 훼손, 강물의 오염 등을 비롯한 많은 환경파괴가 이루어졌으며, 이로 인해 야생 조수들의 서식 공간과 먹이가 없어져 그 개체수가 날로 줄어들게 되었다.
1990년대를 지나면서 환경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산과 강이 복원되기 시작하면서 야생 조수들의 서식지, 먹이가 풍부해지고 그 개체수가 급격하게 늘어나기 시작하였으나, 이미 야생 조수들의 서식지를 빼앗아 많은 지역을 인간이 점유하고 있는 상황에서 야생 조수들이 다시 늘어나게 되면서, 농촌에서 까치들에 의한 과수의 피해, 비둘기에 의한 밭 장물의 피해, 멧돼지 등 포유류에 의한 작물의 훼손 등등, 바닷가에선 양식 어민들이 갈매기 등 바닷새에 의한 양식 어종의 감소뿐만 아니라 질병 전파로 인해 막대한 손해를 입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공항에서는 늘어난 야생 조류에 의한 비행기의 이착륙시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아지고 있으며 피해 발생 규모 역시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각종 유해 조수들의 퇴치를 위하여 다양한 퇴치수단이 동원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종래의 퇴치방법으로는 인공음 발생 방법과 동물 행동학적 접근 방법이 있다.
먼저, 인공음 발생 방법론으로는 프로판 가스 폭발이나 화약 폭발에 의한 폭음은 비행기 활주로에 주로 사용되지만 소음 때문에 주택가에서 사용할 수 없고, 깃발음 발생 방법은 근대적 기술에 근거한 인공음으로서 깃발을 휘두르는 것으로 시각 자극과 복합 자극을 구성하여 깃발의 소리만으로도 조류를 쫓아내는 방법이다.
그리고, 동물 행동학적 접근의 디스트레스콜(조난신호) 방식은 조류가 천적에 추격을 받을 때 또는 잡혔을 때 발하는 음성인 기피 반응을 일으키는 자극을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조류의 종에 따라 디스트레스콜(조난신호)이 다르기 때문에 조류 퇴치를 위해서는 대상 조류에 맞는 디스트레스콜(조난신호)을 사용하여야만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알람콜(경계음) 발생 방법은 새가 천적을 발견하여 위험할 경우에 발하는 음으로서 조류의 종을 초월하여 특이를 가진 음성이므로 효과는 높지만 알람 콜의 피치가 높고 주파수대역이 좁은 음성으로 녹음하기가 어려워 제품화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기타 방법으로는 시각 자극을 이용한 천적 풍선, 한전의 철탑 등에 까치집을 짓지 못하도록 구조적인 변형 방법, 시각 이용의 바람개비나 거울, 반짝이는 회전자, 모형 뱀 등의 이용 방법이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퇴치음을 사용하는 경우 발생음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유해 조수가 환경과 소리에 쉽게 적응하여 퇴치효과가 반감되는 단점이 있으며, 그리고 촉각, 시각을 이용하는 방법들은 일시적인 효과는 있으나 자연 환경(우천 및 햇빛, 먼지 등의 이물질)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농작물이 나 한전 철탑 등에 적용하여도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조류퇴치 효과가 감소되는 단점이 있다.
유해 조수의 퇴치를 위해 다양한 방법이 시도될 수 있으나, 상기 언급한 방법은 각기 다른 이유로 단점이 존재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서로 보완하여 유해 조수의 퇴치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해 조수의 퇴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해 조수를 적외선 PIR 센서에 의해 감지하면, 저주파 발생 및 LED 조명의 발광에 의해 유해 조수를 퇴치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해 조수의 퇴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상기 저주파 발생 및 LED 조명의 발광에 더해, 천연물 유래 향을 순간 분사하여, 유해 조수 퇴치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해 조수의 퇴치 장치에 태양광 발전 장비를 포함함에 따라, 베터리의 주된 교체를 방지하고, 자연광에 의한 충전을 통해 사용 효율을 높이고, 태양광 발전 장비의 사용 시 주로 발생하는 불편함이 제거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조수 퇴치 장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구성되고, 저주파를 출력하는 엠프부; 상기 지지대의 하부 일측에 구성되며, 일정학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태양광을 수집하여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 발전부; 및 상기 지지대의 하부 일측에 구성되며, 유해 조수를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PIR 센서부를 포함하는 몸체부를 포함한다.
상기 엠프부는 저주파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부; 및 발광하여 유해 조수를 퇴치할 수 있는 LED 조명부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는 태양광 발전부로부터 변환된 전기적 에너지를 충전할 수 있는 베터리부; 상기 적외선 PIR 센서부에 의해 유해 조수가 감지되면 엠프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적외선 PIR 센서부에 의해 유해 조수가 감지 시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발송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는 외부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베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는 사용자에 의해 유해 조수 퇴치 장치의 가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스위치부를 포함한다.
상기 태양광 발전부는 대전 방지를 위한 코팅층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의 하단 일측에 형성되며, 유해 조수 퇴치를 위한 향을 분사하기 위한 분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유해 조수 퇴치를 위한 향은 천연물 유래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해 조수의 퇴치 장치에 의하면, 유해 조수를 적외선 PIR 센서에 의해 감지하면, 저주파 발생, LED 조명의 발광 및 천연물 유래 향을 순간 분사하여, 유해 조수 퇴치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태양광 발전 장비를 포함함에 따라, 베터리의 주된 교체를 방지하고, 자연광에 의한 충전을 통해 사용 효율을 높이고, 태양광 발전 장비의 사용 시 주로 발생하는 불편함이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조수 퇴치 장치에 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조수 퇴치 장치의 분사부에 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조수 퇴치 장치의 적외선 PIR 센서부에 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조수 퇴치 장치의 기능 블록도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조수 퇴치 장치의 기능 블록도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조수 퇴치 장치의 분사부에 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조수 퇴치 장치의 적외선 PIR 센서부에 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조수 퇴치 장치의 기능 블록도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조수 퇴치 장치의 기능 블록도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펌웨어 (firmware), 소프트웨어 (software), 또는 하 드웨어 (hardware) 로 구성된, 알고리즘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알고리즘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디지털 신호 처리 디바이스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알고리즘 또는 컴퓨터 프로그 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 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조수 퇴치 장치에 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조수 퇴치 장치의 분사부에 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조수 퇴치 장치의 적외선 PIR 센서부에 관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바탕으로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유해 조수 퇴치 장치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조수 퇴치 장치에 관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대(100); 상기 지지대(100)의 하부 일측에 결합된 몸체부(200); 상기 지지대(100)의 하부 일측에 구성되며,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태양광을 수집하여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 발전부(300); 및 상기 지지대(100)의 상부에 결합되고, 저주파를 출력하는 엠프부(40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유해 조수 퇴치 장치는 몸체부(200); 태양광 발전부(300); 및 엠프부(400)를 주요 구성 장치로 포함한다.
상기 엠프부(400)는 지지대(10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유해 조수가 싫어하는 저주파를 출력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엠프부(400)는 저주파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부(420) 및 발광하여 유해 조수를 퇴치할 수 있는 LED 조명부(410)를 포함한다.
상기 유해 조수는 해로운 짐승 또는 유해 짐승으로 표현되며, 장기간에 걸쳐 무리를 지어 농작물 또는 과수에 피해를 주는 참새, 까치 및 까마귀류(큰부리까마귀 제외), 국부적으로 서식밀도가 과밀하여 농림 수산업에 피해를 주는 꿩, 멧비둘기, 고라니, 멧돼지, 다람쥐, 청서, 두더지, 쥐류 및 오리류, 비행장 주변에 출현하여 항공기 또는 특수건조물에 피해를 주거나, 군 작전에 지장을 주는 조수류, 인가주변에 출현하여 인축에 위해를 주거나 위해발생의 우려가 있는 맹수류, 야생조수 및 그 알 새끼 집에 피해를 주는 들고양이 등을 의미한다.
상기 유해 조수로 인한 농작물 등의 피해 등의 문제로 인해, 종래 다수의 유해 조수 퇴치 장치가 개발되어 이용되며, 뿐만 아니라 유해 조수의 포획을 통해 유해 조수로 인한 농작물 등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포획은 일정 기간 정부에 허가를 받은 경우에만 시행이 가능하며, 전문적인 인력에 의한 포획은 가능하나, 일반인에게 포획은 매우 어려운 해결책에 해당될 것이다.
이에, 다수의 농가 등에서는 유해 조수 퇴치 장치를 이용하여 유해 조수로 인한 농작물 등의 피해를 방지하고자 한다.
이에, 종래에는 큰 총소리 등이 발포되거나, 허수아비, 봉지 씌우기, 덫, 애드벌룬, 모빌, 그물 등과 같은 방식을 이용하였다.
이에 종래의 방식의 경우, 소음 문제로 주변에 피해가 발생하거나, 초기에는 효과가 있으나, 유해 조수가 이에 적응 시, 퇴치 효과가 미비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새로운 유해 조수 퇴치 장치로, 음파형, 레일식, 폭음기, 경광등, 전기 목책기 등이 새롭게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다만, 이러한 방식의 유해 조수 퇴치 장치의 경우에도, 초기에는 퇴치 효과가 우수하나, 장시간 사용에 따른 유해 조수 퇴치 효과가 미비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단시간 효과뿐 아니라 장시간 유해 조수 퇴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엠프부(400)는 저주파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부(420) 및 발광하여 유해 조수를 퇴치할 수 있는 LED 조명부(41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엠프부(400)는 유해 조수가 싫어하는 저주파를 출력할 수 있고, 상기 저주파의 경우에는 총 소리와 같이 큰 소음을 유발하지 않고도 유해 조수 퇴치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러한 저주파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부(420)를 포함하여, 저주파에 의해 유해 조수가 근방으로 접근하는 것을 1차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빛에 민감한 유해 조수의 퇴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엠프부(400)는 LED 조명부(410)를 포함한다.
상기 LED 조명부(410)는 강한 빛을 순간적으로 발생하며, 지속적으로 발광하는 형태가 아닌, 반복적으로 발광하는 형태로 빛을 발생시켜, LED 조명부(410)에 의한 유해 조수 퇴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해 조수 퇴치 장치는 태양광 발전부(300)를 포함하여, 별도의 외부 전원 공급 없이도, 유해 조수 퇴치 장치의 구동을 의해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태양광 발전부(300)는 상기 지지대의 하부 일측에 구성되며,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태양광을 수집하여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태양광 발전부(300)에서 태양광을 수집하여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되면, 상기 변환된 전기적 에너지는 몸체부(200) 내의 베터리부(미도시)로 전달되어, 상기 베터리부(미도시)가 충전된다.
상기 베터리부(미도시)는 태양광 발전부(300)와의 전기적 에너지를 얻고, 충전히가 위한 전기적 연결부(미도시)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적 연결부(미도시)는 당업자 수준에서 선택 가능한 방식은 제한 없이 이용 가능하다.
또한, 베터리부(미도시)가 태양광 발전부(300)에 의해 충분히 충전되지 않아, 유해 조수 퇴치 장치의 사용이 불가능해지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 외부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베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연결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는 태양광 발전부(300)에 의해 지속적인 유해 조수 퇴치 장치의 사용이 가능한 경우가 가장 바람직하지만, 태양광 발전부(300)는 자연 환경에 영향을 받아, 전력 생산 여부가 결정되는 점을 고려할 때, 태양광 발전부(300)에 의해 전력 생산이 불가한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유해 조수 퇴치 장치의 가동은 필요한 점을 고려하여, 외부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베터리부(미도시)를 충전하고, 이를 이용하여 유해 조수 퇴치 장치의 가동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몸체부(200)는 앞서 설명한 베터리부(미도시)를 포함하며, 유해 조수를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PIR(Passive Infrated Sensor) 센서부(210)를 포함한다.
상기 적외선 PIR 센서부(21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부(200)에 결합된 형태로, 다양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적외선 PIR 센서부(210)에 의해 유해 조수의 출몰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PIR 센서부(210)는 적외선을 통해 유해 조수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유해 조수에서는 적은 양의 적외선을 방출한다. 유해 조수에서 나온 적외선이 적외선 인체감지센서의 집광렌즈 부분인 F-Lens(Fresnel Lends)를 통과하여 적외선 센서 부분에 닿게 되고, 적외선 센서에 닿은 적외선이 전압으로 출력되어 최종적으로 센서가 유해 조수를 인식하게 된다. 즉, 유해 조수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이를 통해 센서가 유해 조수의 출몰을 인식하게 된다.
상기 몸체부(200)는 앞서 설명한 베터리부(미도시) 및 적외선 PIR 센서부(210) 이외에, 상기 적외선 PIR 센서부(210)에 의해 유해 조수가 감지되면 엠프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 및 상기 적외선 PIR 센서부(210)에 의해 유해 조수가 감지 시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발송하기 위한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유해 조수 퇴치 장치의 구동을 위한 주요 구성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해 조수가 출몰하면, 상기 유해 조수의 출몰을 적외선 PIR 센서부(210)에서 이를 감지한다.
통신부(미도시)는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발송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미도시)는 예를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speed uplink packet access), EV-DO(Evolution, Data-Only), HSPA, HSPA+, DCHSPDA(Dual-Cell HSPA), LTE(long term evolu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BTLE(Bluetooth Low Energy), Wi-Fi(Wireless Fidelity)(예를 들어, IEEE 802.11a, IEEE 802.11b, IEEE 802.11g, IEEE 802.11n, 및/또는 IEEE 802.11ac),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Wi-MAX, 전자메일용 프로토콜(예를 들어, IMAP(Internet message access protocol) 및/또는 POP(post office protocol)), 인스턴트 메시징(예를 들어, XMPP(extensible messaging and presence protocol), SIMPLE(Session Initiation Protocol for Instant Messaging and Presence Leveraging Extensions), IMPS(Instant Messaging and Presence Service)), 및/또는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본 문서의 출원일 이전까지 개발되지 않은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한 기타 임의의 적절한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이것으로 제한되지 않음)할 수 있고 복수의 통신표준, 프로토콜 및 기술 중 임의의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적외선 PIR 센서부(210)에서 유해 조수의 출몰을 감지하면, 해당 정보를 제어부(미도시)에게 전달하게 된다. 상기 정보를 전달받은 제어부(미도시)는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사용자에게 유해 조수가 출몰하였다는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게되며, 동시에 엠프부(400)를 통해, 저주파를 출력하고, 동시에 LED 조명을 발광하여 유해 조수가 근접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유해 조수 퇴치 장치는 저주파 및 LED 조명에 의한 유해 조수 퇴치 장치의 장시간 사용 시 유해 조수의 적응 문제를 방지하고자, 향 분사를 통해 장시간 유해 조수의 퇴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유해 조수는 사람에 비해 후각이 발달하는 점을 이용하여, 유해 조수가 싫어하는 향을 분사하여 유해 조수의 퇴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기 향 분사에 대해서는 이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의한 유해 조수 퇴치 장치의 작동 순서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다.
다만, 이러한 제어부(미도시)는 베터리부(미도시)에 의해 전원 공급을 통해 작동이 가능한 것으로, 도 5에 따르면, 베터리부(미도시)는 태양광 발전을 통해 충전하거나, 외부 전원 공급을 통해 충전되어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미도시)는 사용자에 의해 유해 조수 퇴치 장치의 가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스위치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스위치부(미도시)는 본 발명의 유해 조수 퇴치 장치의 작동에 대한 on/off 스위치를 포함하고 있어, 경우에 따라 유해 조수 퇴치 장치의 사용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스위치부(미도시)는 통신부(미도시)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의 생활 환경에 따라, 유해 조수 퇴치 장치를 통한 경고 메시지 수신을 원하지 않는 경우를 대비하여 제어 스위치부(미도시)를 이용하여 통신부(미도시)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조수 퇴치 장치의 분사부에 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유해 조수 퇴치 장치가 종래 유해 조수 퇴치 장치와 가장 차별되는 부분으로, 유해 조수 퇴치 장치에 대한 후각적인 퇴치 요소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
상기 분사부(500)는 상기 지지대(100)의 하단 일측에 형성되며, 유해 조수 퇴치를 위한 향을 분사할 수 있다.
상기 분사부(500)에 대한 위치는 지지대(100)의 하단 일측 또는 상단 일측에 결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의해 분사부(500)를 분리하고 지지대 내에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분사부(500)는 유해 조수 퇴치를 위한 조성물을 보관하고 있는 보관부(미도시) 및 스프레이 방식의 분사를 위한 분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보관부(미도시)는 천연물 유래 조성물을 액체 형태로 보관하며, 상기 액체 형태의 천연물 유래 조성물이 분사부를 통해 스프레이 방식으로 분사된다.
상기 천연물 유래 조성물은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유해 조수의 후각에 의해 근처로 접근하지 못하는 향으로 구성되며, 인체에는 무해한 향으로 구성되어 유해 조수 퇴치 효과는 높이면서, 인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할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천연물 유래 조성물은 레몬제라늄 추출물; 함박꽃 추출물, 병조희풀 추출물 및 나프탈렌을 포함한다.
상기 로즈제라늄(구문초, Pelargonium graveolens)은 쥐손이풀과(Geraniaceae)에 속하는 식물로 잎, 소경을 추출하여 사용된다. 프랑스를 포함하여 유럽 각지에서 생산되지만 최근에는 아프리카가 로즈제라늄 기름의 주산지가 되었다. 담황색의 액체로 장미와 비슷한 향기로운 냄새를 가지며, 정유성분은 게라니올(geraniol) 등을 함유한다. 주로 화장품, 비누 및 향료 등 생활용품에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함박꽃나무(Magnolia sieboldii K. Koch)는 목련목 목련과에 속하는 식물로서, 함박꽃은 잎이 나온 후 가지 끝에 흰색의 꽃이 밑을 향해 피는데 양성화로 꽃잎은 6 내지 9개이다. 꽃의 지름이 일반적인 목련 종류에 비해 작고 꽃이 수그린 채 피는 게 특징이다.
병조희풀은 낙엽 관목으로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한다. 그 잎은 마주나고 3개의 작은 잎 으로 구성되는 3출 겹잎이다. 작은 잎은 넓은 달걀꼴이며 3개 중 옆에 달린 2개는 작다. 잎은 위로 올라갈수록 커지는데 끝이 뾰족하고 거칠며 가장자리에 약간 붉은빛이 도는 거친 톱니가 드문드문 있으나 흔히 3개로 얕게 갈라진다.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추출 용매는 50 내지 99%(v/v) 에탄 올 수용액 또는 메탄올 수용액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9%(v/v)의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통상의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일 예로 냉침추출법, 온침추출법, 열추출법 또는 환류추출법에 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용매가 물인 경 우에는 열수추출법에 의할 수 있으며 상기 추출용매가 알콜인 경우에는 환류추출법에 의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및/또는 분획 부위는 특별한 한정은 없으나, 로즈제라늄의 식물 전체, 잎, 열매 등으로 이 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부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은 추출과정을 수행한 이후,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분획과정을 더욱 실시할 수 있으며, 상기 분획 시 용매는 1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추출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상기 추출온도는 4 내지 120 ℃,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일 수 있다.
추출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60분 내지 2000분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과정은 통상의 추출기기, 초음파분쇄 추출기 또는 분획기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된 추출물은 이후 감압 여과하거나 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농축할 수 있으며, 감압 여과 및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고 상기 감압 여과는 감압농축기를 이용한 저온 감압 농축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건조는 동결건조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체적 예로, 상기 식물 추출물은 식물을 에탄올 희석수를 가하여 환류추출한 후에, 얻어진 추출액을 거름종이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진공감압하여 농축시킨 후, 동결건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해충 퇴치 향은, 로즈제라늄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나프탈렌 100 내지 120 중량부; 함박꽃 추출물 30 내지 50 중량부 및 병조희풀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한다. 상기 중량 범위 내에서 우수한 유해 조수 퇴치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상기 태양광 발전부(300)는 대전 방지를 위한 코팅층(미도시)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발전부(300)는 야외에 노출된 형태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부(300)의 사용 상태를 고려하면, 먼지와 같은 미세 물질이 정전기로 인해 태양광 발전부(300)에 쌓이게 되고, 미세 물질이 태양광 발전부(300)를 덮게되면, 이로 인해 태양광 발전부(300)의 전력 생산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부(300)는 대전 방지 코팅층(미도시)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대전 방지 코팅층(미도시)은 대전 방지 코팅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되는 것으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전도성 필러 및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여기서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상기 전도성 필러는 실리카, 알루미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필러의 입자 직경은 70 내지 100㎛이지만,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전도성 필러는 대전방지층 내에서 열전도성을 높일 수 있고, 전기 전도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소량 포함되어, 대전방지층 내의 대전 방지 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는 고가의 전도성 필러인 점을 고려할 때, 본 발명 내의 대전방지층에는 소량 포함되어, 지속적인 대전방지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대전방지층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전도성 필러 및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여, 대전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실록산계 화합물은 친수성 부분과 소수성 부분으로 구별된다. 친수성 부분은 비공유 전자쌍을 포함하는 산소 원자에 의해, 물 분자와 수소 결합이 가능하다. 반면,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포함하는 소수성기를 추가로 포함함에 따라, 친수성 부분의 반대 부분은 소수성기가 작용한다. 따라서, 친수성 부분이 대전방지층의 표면으로 위치하게 되고, 소수성 부분이 그 반대로 위치하게 되어, 반영구적인 대전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대전방지층을 형성하기 위한, 대전방지 조성물은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전도성 필러, 탄소나노튜브 및 유기용매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헥세인, 프로페인, 톨루엔, 페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대전방지 조성물은 유기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40 내지 60 중량부, 전도성 필러 20 내지 40 중량부 및 탄소나노튜브 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구성 성분의 상호 작용에 의한 대전 방지 상승효과로 임계적 의의가 있는 정도의 상승효과가 발현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승효과가 급격히 저하되거나 거의 없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대전방지 조성물의 점도는 1500 내지 1800cP이며, 상기 점도가 1500cP 미만인 경우에는 광확산층의 일면에 코팅 시 흘러내려 대전방지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고, 1800cP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균일한 대전방지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제조예 1: 보호층의 제조]
1. 대전방지 조성물의 제조
톨루엔 및 페놀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유기 용매에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전도성 필러 및 탄소나노튜브를 혼합하여, 대전방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1]
여기서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상기 대전방지 조성물의 보다 구체적인 조성은 하기 표 1과 같다.
TX1 | TX2 | TX3 | TX4 | TX5 | |
유기용매 | 100 | 100 | 100 | 100 | 100 |
폴리실록산 | 30 | 40 | 50 | 60 | 70 |
전도성 필러 | 10 | 20 | 30 | 40 | 50 |
탄소나노튜브 | 1 | 5 | 10 | 15 | 20 |
(단위 중량부)2. 보호층의 제조
기재층의 일면에 상기 DX1 내지 DX5의 대전방지 조성물을 도포 후, 경화시켜 대전방지층을 형성하였다. 대전 방지 및 균일 코팅층의 형성을 실험하기 위해, 태양광패널 대신 폴리카보네이트를 기재층으로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예 1: 대전방지 효과 실험]
1. 점도 측정
폴리카보네이트 기재층의 일면에 대전방지층을 형성하기 전에, 대전방지 조성물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점도 측정은 레오미터 (Rheometer, Compac-100, Sun Sci. Co., Japan)를 이용하였다. 점도 측정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TX1 | TX2 | TX3 | TX4 | TX5 | |
점도(cP) | 620 | 1520 | 1600 | 1750 | 1910 |
2. 표면 전기 저항 측정
폴리카보네이트 기재의 일면에 TX1 내지 TX5의 대전방지층이 형성된 보호층에 대해, Resistance Meter SIMCO 저항기 ST-4(23℃, 상대습도 50%)를 이용하여 표면전기저항을 측정하였다.
비교예로, 대전방지층이 형성되지 않은 폴리카보네이트 기재에 대한 표면전기저항도 함께 측정하였다.
비교예 | TX1 | TX2 | TX3 | TX4 | TX5 | |
표면전기저항(Ω/cm2) | 7.4×1011 내지 1.6×1012 | 6.4×109 내지 1.4×1010 | 1.4×109 내지 1.6×1010 | 4.4×107 내지 2.1×108 | 6.5×107 내지 4.5×108 | 5.8×108 내지 7.8×108 |
상기 표 3에 따르면, 대전방지층이 형성되지 않은 비교예에 비해, TX 1 내지 TX5의 표면전기저항이 낮으므로, 전기전도도가 우수하여, 우수한 대전방지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3. 표면 외관에 대한 평가
대전방지 조성물의 점도 차이로 인해, 코팅층을 제조한 이후, 균일한 표면이 형성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관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균일한 코팅층을 형성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고, 하기와 같은 기준에 의해 평가를 진행하였다.
○: 균일한 코팅층 형성
×: 불균일한 코팅층의 형성
TX1 | TX2 | TX3 | TX4 | TX5 | |
관능 평가 | × | ○ | ○ | ○ | × |
코팅층을 형성할 때, 일정 점도 미만인 경우에는 폴리카보네이트의 표면에서 흐름이 발생하여, 경화 공정 이후,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어려운 경우가 다수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생산 수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점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도, 조성물의 균일 도포가 어려워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불가하였다.
[제조예 2: 천연물 유래 향 조성물의 제조]
1. 로즈제라늄 추출물의 제조
로즈제라늄(구문초, Pelargonium graveolens)을 건조기에 넣고 70℃로 48시간 건조시켰다. 상기 건조된 로즈제라늄 시료를 동력절단기를 이용하여 1cm 크기 이하로 세절하였다. 세절된 로즈제라늄 1kg을 에탄올 2ℓ에 침적한 후, 상온에서 48시간 추출하였다. 상기 얻어진 추출물을 여과 및 감압 농축하여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2. 천연 추출물의 제조
상기 로즈제라늄 추출물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식을 이용하여 함박꽃 추출물 및 병조희풀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3. 유해조수 퇴치 조성물의 제조
상기 로즈제라늄 추출물, 나프탈렌, 함박꽃 추출물 및 병조희풀 추출물에 주정용 95% 발효알콜 및 계면활성제(트윈 20)를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함량은 하기 표 5와 같다.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 실시예 5 | |
로즈레라늄 | 100 | 100 | 100 | 100 | 100 |
함박꽃 | 20 | 30 | 40 | 50 | 60 |
수국 | 5 | 10 | 20 | 30 | 40 |
발효알콜 | 10 | 10 | 10 | 10 | 10 |
계면활성제 | 3 | 3 | 3 | 3 | 3 |
나프탈렌 | 100 | 100 | 100 | 100 | 100 |
(단위 중량부)
[실험예 2: 유해조수 퇴치 효과]
천연물 유래 향 조성물의 조류에 대한 기피 효과 시험은 배를 재배하는 과수원 중 조류 피해가 빈번히 발생하는 과수원에서 실시하였다. 시험은 배 결실기에 일주일 간 실시하였으며, 배나무를 5그루씩 군으로 설정하고, 무처리군, 실시예 1 조성물 처리군, 실시예 2 조성물 처리군, 실시예 3 조성물 처리군, 실시예 4 조성물 처리군 및 실시예 5 조성물 처리군으로 구별하여 조류에 의한 피해 여부를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5의 조성물을 담은 보관함을 한 군의 나무에 모두 설치하여 배 나무 주변에 상기 조성물에 의해 향이 느껴질수록 하였다. 또한, 군 별로 향이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무처리군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 실시예 5 | |
총 과실수 | 102 | 112 | 105 | 107 | 110 | 98 |
일주일 경과 후 피해과실 수 | 17 | 14 | 6 | 5 | 8 | 16 |
상기 표 6에 따르면, 무처리군과 비교하여 실시예 1 내지 5의 조성물을 처리한 군의 경우, 실시예 2 내지 4에서 피해과실수가 상당수 줄어듬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하는 경우, 유해조수에 대한 피해 방지 효과가 나타난다고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당 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 (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지지대
200: 몸체부
210: 적외선 PIR 센서부
300: 태양광 발전부
400: 엠프부
410: LED 조명부
420: 스피커부
500: 분사부
200: 몸체부
210: 적외선 PIR 센서부
300: 태양광 발전부
400: 엠프부
410: LED 조명부
420: 스피커부
500: 분사부
Claims (8)
-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구성되고, 저주파를 출력하는 엠프부;
상기 지지대의 하부 일측에 구성되며,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태양광을 수집하여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 발전부; 및
상기 지지대의 하부 일측에 구성되며, 유해 조수를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PIR 센서부를 포함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유해 조수 퇴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엠프부는 저주파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부; 및
발광하여 유해 조수를 퇴치할 수 있는 LED 조명부를 포함하는
유해 조수 퇴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태양광 발전부로부터 변환된 전기적 에너지를 충전할 수 있는 베터리부;
상기 적외선 PIR 센서부에 의해 유해 조수가 감지되면 엠프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적외선 PIR 센서부에 의해 유해 조수가 감지 시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발송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는
유해 조수 퇴치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외부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베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유해 조수 퇴치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사용자에 의해 유해 조수 퇴치 장치의 가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유해 조수 퇴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발전부는 대전 방지를 위한 코팅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유해 조수 퇴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하단 일측에 형성되며, 유해 조수 퇴치를 위한 향을 분사하기 위한 분사부를 포함하는
유해 조수 퇴치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 조수 퇴치를 위한 향은 천연물 유래 조성물을 포함하는
유해 조수 퇴치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8280A KR102294712B1 (ko) | 2019-01-22 | 2019-01-22 | 유해 조수 퇴치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8280A KR102294712B1 (ko) | 2019-01-22 | 2019-01-22 | 유해 조수 퇴치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91242A true KR20200091242A (ko) | 2020-07-30 |
KR102294712B1 KR102294712B1 (ko) | 2021-08-26 |
Family
ID=71839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08280A KR102294712B1 (ko) | 2019-01-22 | 2019-01-22 | 유해 조수 퇴치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94712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306796A (ja) * | 2005-04-28 | 2006-11-09 | Masami Takegawa | 動物忌避組成物及び動物忌避スプレー |
KR20070105428A (ko) | 2006-04-26 | 2007-10-31 | 송종명 | 유해 조수 퇴치장치 |
KR20090102136A (ko) * | 2008-03-25 | 2009-09-30 |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 식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살선충용 및 선충 살란용 조성물 |
KR20120069012A (ko) * | 2010-11-11 | 2012-06-28 | (주)이케이테크놀로지 |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한 유해조수 퇴치시스템 |
JP2016219545A (ja) * | 2015-05-18 | 2016-12-22 | 旭化成株式会社 | 太陽電池用コーティング膜 |
KR101710689B1 (ko) * | 2016-03-04 | 2017-02-28 | (주) 엘앤티 | 유해 조수 퇴치 장치 |
-
2019
- 2019-01-22 KR KR1020190008280A patent/KR10229471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306796A (ja) * | 2005-04-28 | 2006-11-09 | Masami Takegawa | 動物忌避組成物及び動物忌避スプレー |
KR20070105428A (ko) | 2006-04-26 | 2007-10-31 | 송종명 | 유해 조수 퇴치장치 |
KR20090102136A (ko) * | 2008-03-25 | 2009-09-30 |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 식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살선충용 및 선충 살란용 조성물 |
KR20120069012A (ko) * | 2010-11-11 | 2012-06-28 | (주)이케이테크놀로지 |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한 유해조수 퇴치시스템 |
JP2016219545A (ja) * | 2015-05-18 | 2016-12-22 | 旭化成株式会社 | 太陽電池用コーティング膜 |
KR101710689B1 (ko) * | 2016-03-04 | 2017-02-28 | (주) 엘앤티 | 유해 조수 퇴치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94712B1 (ko) | 2021-08-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2085618U (zh) | 一种led捕蚊器 | |
CN102907402A (zh) | 害虫诱捕器 | |
CN206442989U (zh) | 一种杀虫灯 | |
KR102217379B1 (ko) | 다층구조의 태양광 led 조명등과 끈끈이 해충유인 솔라백이 구비된 해충 포획 및 야생동물 퇴치 트랩 | |
KR20210112965A (ko) | 우수가림막과 다층구조의 태양광 엘이디조명등이 구비된 끈끈이 해충 포획 및 야생동물 퇴치 트랩 | |
CN204157509U (zh) | 一种单波长金龟子专用杀虫灯 | |
KR101181454B1 (ko) | 액상형 동물 및 조류 퇴치용 조성물 | |
CN103314962B (zh) | 一种茶尺蠖成虫引诱剂及含该引诱剂的诱芯制备方法 | |
CN202197694U (zh) | 一种杀虫装置 | |
CN203827920U (zh) | 一种金龟子专用杀虫灯 | |
KR101274728B1 (ko) | 목초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해조수 및 해충 기피제 조성물 | |
KR20200091242A (ko) | 유해 조수 퇴치 장치 | |
CN204682291U (zh) | 一种激光灭蚊蝇仪 | |
KR20130092348A (ko) | 액상형 동물 및 조류 퇴치용 조성물 | |
KR102707423B1 (ko) | 농가의 야생동물 및 해충 퇴치를 위한 복합 기능의 방제키트 | |
JP6082920B2 (ja) | 鳥類忌避剤 | |
CN105284754B (zh) | 一种环保节能型害虫诱捕装置 | |
CN202773843U (zh) | 园林灭虫灯 | |
KR20200091239A (ko) | 해충 퇴치기 | |
CN103875660A (zh) | 一种桉树枝瘿姬小蜂引诱剂 | |
Travaglia-Cardoso et al. | Boa constrictor (Reptilia, Serpentes, Boidae): opportunistic predation on Diopsittaca nobilis (Aves, Psittacidae) | |
CN103430925B (zh) | 利用频振式杀虫灯和诱集植物防治黄野螟的方法 | |
CN212678145U (zh) | 一种新型农业病虫害防治用杀虫灯装置 | |
Baksha et al. | Population dynamics of teak defoliator, Hyblaea puera Cram.(Lep., Hyblaeidae) in teak plantations of Bangladesh | |
KR102445900B1 (ko) | 농작물 피해방지를 위한 유해동물 차단용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