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9012A -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한 유해조수 퇴치시스템 - Google Patents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한 유해조수 퇴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9012A
KR20120069012A KR1020100111949A KR20100111949A KR20120069012A KR 20120069012 A KR20120069012 A KR 20120069012A KR 1020100111949 A KR1020100111949 A KR 1020100111949A KR 20100111949 A KR20100111949 A KR 20100111949A KR 20120069012 A KR20120069012 A KR 20120069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mful
sound
controller
solar energy
so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1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남수
Original Assignee
(주)이케이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케이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이케이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00111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9012A/ko
Publication of KR20120069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90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10Device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animals, birds or other pes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birds, e.g. spik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한 유해조수 퇴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태양열 에너지를 집광하여 전기에너지로 전환하기 위한 태양열 집광판(10)과; 상기 태양열 집광판으로부터 제공되는 전기에너지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용배터리를 내장하는 충전지(20)와; 인간의 가청 주파수를 제외한 동물 가청 영역의 고주파 또는 저주파를 생성하고 이를 출력 및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30)와;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제어된 음향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음향출력부(40)와; 상기 태양열 집광판과 충전지와 컨트롤러 및 음향출력부 상호간의 신호선을 내장하여 연결하고, 부착시켜 일체화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한 유해조수 퇴치시스템{Harmful Animal Rid System Using Solar Energy}
본 발명은 유해 조수를 퇴치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야외에서 태양열 에너지를 충전 및 활용하여 유해 조수를 효과적으로 퇴치하는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한 유해조수 퇴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야생 동물이 증가하면서 농작물의 피해뿐만 아니라 농가에 침입하는 조수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멧돼지 등의 야생조수는 대형이고 파괴력이 클 뿐만아니라 농작물 또는 가축등을 파헤치거나 먹어치우는 등의 행위가 빈발하면서 주민 또는 농식물에 입히는 피해가 커져 우려가 증폭되고 있다.
일부 농가 등에서는 별도의 차단장치나 주간 및 야간에도 방범초소를 세워 감시하는 경우도 있지만, 인력낭비와 장치의 설치 비용 등이 높아 큰 부담이 되고 있다.
또, 전기차단장치를 설치하여 맹수, 유해조수 등의 침입을 방지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지만, 전기공급을 원할하게 하지 못하거나 과다한 전력비용이 부담되어 제대로 작동시키지 못하는 상황이 노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하여 자가충전에 의한 작동이 가능한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한 유해조수 퇴치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해조수를 퇴치하기 위한 장치를 일체형으로 구비하여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한 유해조수 퇴치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한 유해조수 퇴치시스템은, 태양열 에너지를 집광하여 전기에너지로 전환하기 위한 태양열 집광판(10)과; 상기 태양열 집광판으로부터 제공되는 전기에너지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용배터리를 내장하는 충전지(20)와; 인간의 가청 주파수를 제외한 동물 가청 영역의 고주파 또는 저주파를 생성하고 이를 출력 및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30)와;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제어된 음향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음향출력부(40)와; 상기 태양열 집광판과 충전지와 컨트롤러 및 음향출력부 상호간의 신호선을 내장하여 연결하고, 부착시켜 일체화 구성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30)는, 상기 스피커의 출력을 조정하여 가청거리를 변경하기 위한 가청반경 조정부(32)와, 퇴치대상인 유해조수의 퇴치에 적합한 음향을 선택하여 출력하기 위한 유해조수 퇴치음향선택부(34)와, 유해조수를 퇴치하는데 적합한 시간대를 설정하여 음향의 반복 출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유해조수 퇴치음향간격 조정부(36)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하여 자가충전에 의한 작동이 가능한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한 유해조수 퇴치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유해조수를 퇴치하기 위한 장치를 일체형으로 구비하여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한 유해조수 퇴치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한 유해조수 퇴치시스템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한 유해조수 퇴치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전체 구성도,
도 3은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한 유해조수 퇴치시스템에 있어서, 컨트롤러의 세부 구성을 도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부분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한 유해조수 퇴치시스템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한 유해조수 퇴치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전체 구성도이며, 도 3은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한 유해조수 퇴치시스템에 있어서, 컨트롤러의 세부 구성을 도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부분 블록도를 각각 도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한 유해조수 퇴치시스템의 구성은, 태양열 에너지를 집광하여 전기에너지로 전환하기 위한 태양열 집광판(10)과; 상기 태양열 집광판으로부터 제공되는 전기에너지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용배터리를 내장하는 충전지(20)와; 인간의 가청 주파수를 제외한 동물 가청 영역의 고주파 또는 저주파를 생성하고 이를 출력 및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30)와;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제어된 음향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음향출력부(40)와; 상기 태양열 집광판과 충전지와 컨트롤러 및 음향출력부 상호간의 신호선을 내장하여 연결하고, 부착시켜 일체화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한 유해조수 퇴치시스템(100)의 각 구성부의 부호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부호 10은 태양열 에너지를 집광하여 전기에너지로 전환하기 위한 태양열 집광판을 도시한다. 이것은 야외에 설치되어 태양열 에너지를 집광함으로써 이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부호 20은 상기 태양열 집광판으로부터 제공되는 전기에너지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용배터리를 내장하는 충전지로, 야간에는 주간 또는 일기가 양호한 상태에서 충전된 에너지를 방출함으로써 상시적인 유해조수 퇴치음향을 방출할 수 있는 에너지 원이 된다.
부호 30은 인간의 가청 주파수를 제외한 동물 가청 영역의 고주파 또는 저주파를 생성하고 이를 출력 및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도시하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다음과 같은 세부 구성을 갖추어 작동한다.
상기 컨트롤러(30)에서는 인간의 가청 주파수인 20㎐~20㎑를 제외한 동물들만이 들을 수 있는 고주파 또는 저주파를 생성하고, 이를 출력 및 제어한다.
먼저, 도 3에서 부호 32로 도시된 가청반경 조정부는 스피커의 출력을 조정하여 가청거리를 변경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며, 본 발명에서는 대략 50~100m 범위로 가청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부호 34로 도시한 유해조수 퇴치음향 선택부는 퇴치대상인 유해조수의 퇴치에 적합한 음향을 선택하여 출력하기 위한 기능부이다. 본 발명에서는 야생 유해조수인 멧돼지, 노루, 까치, 까마귀, 등등의 다양한 유해조수를 퇴치하기 위한 사람소리, 호랑이 울음소리 등의 다양한 음향을 선택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 부호 36으로 도시한 유해조수 퇴치음향간격 조정부는 유해조수를 퇴치하는데 적합한 시간대를 설정하여 음향을 반복적으로 송출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음향을 반복적으로 송출할 수 있는 간격을 3분 내지 50분 범위로 설정하고 이를 반복적으로 송출할 수 있는 구성을 구현하였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한 스피커(40)는 상기 컨트롤러(30)에서 생성되어 출력되는 유해조수의 퇴치에 적합한 음향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장치이다.
또, 본 발명에 구성에 의한 상기 태양열 집열판(10)과, 충전지(20)와, 컨트롤러(30), 및 스피커(40) 상호간의 신호 및 전원 공급라인을 내장하여 연결하고, 이들 구성부를 고정시켜 일체화하기 위한 받침대(5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면에 강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삼발이 형태의 하부 받침구조를 구현하였으나, 구조가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전기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산악지역의 특성에 맞게 자연발생하는 태양열을 집열하여 이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고, 충전함으로써 야간시간대에도 별도의 인력이나 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유해조수를 효과적으로 퇴치할 수 있는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한 유해조수 퇴치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태양열 집열판 20: 충전지
30: 컨트롤러 32: 가청반경 조정부
34: 유해조수 퇴치음향선택부 36: 유해조수 퇴치음향간격 조정부
40: 음향출력부 50: 받침대
100: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한 유해조수 퇴치시스템.

Claims (2)

  1. 태양열 에너지를 집광하여 전기에너지로 전환하기 위한 태양열 집광판(10)과;
    상기 태양열 집광판으로부터 제공되는 전기에너지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용배터리를 내장하는 충전지(20)와;
    인간의 가청 주파수를 제외한 동물 가청 영역의 고주파 또는 저주파를 생성하고 이를 출력 및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30)와;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제어된 음향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음향출력부(40)와;
    상기 태양열 집광판과 충전지와 컨트롤러 및 음향출력부 상호간의 신호선을 내장하여 연결하고, 부착시켜 일체화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한 유해조수 퇴치시스템(10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30)는, 상기 스피커의 출력을 조정하여 가청거리를 변경하기 위한 가청반경 조정부(32)와, 퇴치대상인 유해조수의 퇴치에 적합한 음향을 선택하여 출력하기 위한 유해조수 퇴치음향선택부(34)와, 유해조수를 퇴치하는데 적합한 시간대를 설정하여 음향의 반복 출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유해조수 퇴치음향간격 조정부(36)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에
    너지를 이용한 유해조수 퇴치시스템(100).
KR1020100111949A 2010-11-11 2010-11-11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한 유해조수 퇴치시스템 KR201200690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949A KR20120069012A (ko) 2010-11-11 2010-11-11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한 유해조수 퇴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949A KR20120069012A (ko) 2010-11-11 2010-11-11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한 유해조수 퇴치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012A true KR20120069012A (ko) 2012-06-28

Family

ID=46687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1949A KR20120069012A (ko) 2010-11-11 2010-11-11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한 유해조수 퇴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901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867B1 (ko) * 2012-07-20 2013-04-10 이상욱 농작물 보호를 위한 야생동물 적응화 퇴치 장치, 그리고 야생동물 적응화 퇴치 장치를 위한 제어 단말
KR20180137266A (ko) * 2017-06-16 2018-12-27 이순철 조류와 동물 퇴치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91242A (ko) * 2019-01-22 2020-07-3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유해 조수 퇴치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867B1 (ko) * 2012-07-20 2013-04-10 이상욱 농작물 보호를 위한 야생동물 적응화 퇴치 장치, 그리고 야생동물 적응화 퇴치 장치를 위한 제어 단말
KR20180137266A (ko) * 2017-06-16 2018-12-27 이순철 조류와 동물 퇴치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91242A (ko) * 2019-01-22 2020-07-3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유해 조수 퇴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8277B1 (ko) 유해 조류 퇴치 및 해충 포획용 장치
US20070175085A1 (en) Combination lamp and insect eliminator
KR20120069001A (ko) 그린음악 공급장치 겸용 위해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기
KR200458032Y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회전식 조류퇴치기
KR102295743B1 (ko) 야생동물 및 조류 퇴치용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JP3177672U (ja) 野生害獣威嚇撃退装置
KR20120069012A (ko)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한 유해조수 퇴치시스템
CN102396447A (zh) 一种光电目标识别驱鸟器及驱鸟方法
KR101627628B1 (ko) 농작물 접근 방지를 위한 경보장치
KR20130051233A (ko) 야생해조류의 퇴치와 유인 포획 기능을 갖는 다기능 조류 퇴치기
KR101447967B1 (ko)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한 유해조수 퇴치장치
CN211983459U (zh) 一种综合驱鸟装置
JP3189808U (ja) 鳥獣撃退装置
CN210299241U (zh) 用于输电线路的防鸟害装置和人工鸟巢一体化系统
RU190268U1 (ru) Светоловушка для мониторинга насекомых
KR200408878Y1 (ko) 야행동물 퇴치기
CN201854623U (zh) 一种光电目标识别驱鸟器
CN116267879A (zh) 一种10kV配电线路的多功能复合式驱鸟器及使用方法
KR102295742B1 (ko)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한 능동형 야생동물 및 조류 퇴치 시스템
KR101289753B1 (ko) 야생동물 퇴치기
KR200494293Y1 (ko) 자동이동방식 다기능 유해 조·수 퇴치 장치
KR20160005479A (ko) 뱀 및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배터리팩
CN106912478A (zh) 智能驱鸟器
CN213908159U (zh) 一种电力驱鸟器
CN214593741U (zh) 太阳能与风力互补灭虫驱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