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5479A - 뱀 및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배터리팩 - Google Patents

뱀 및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배터리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5479A
KR20160005479A KR1020140084452A KR20140084452A KR20160005479A KR 20160005479 A KR20160005479 A KR 20160005479A KR 1020140084452 A KR1020140084452 A KR 1020140084452A KR 20140084452 A KR20140084452 A KR 20140084452A KR 20160005479 A KR20160005479 A KR 20160005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ake
battery pack
insect repellent
function
power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4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주
구윤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Priority to KR1020140084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5479A/ko
Publication of KR20160005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54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2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2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b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에 의해 뱀을 퇴치하고 초음파를 발생하여 해충을 퇴치하기 위한 뱀 및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배터리팩에 관한 것으로서, 외면에 선택 스위치와 뱀 퇴치기 연결단자 및 해충 퇴치기 연결단자를 구비하고 내부에 충전용 배터리 및 제어보드를 내장한 배터리팩과, 상기 배터리팩의 뱀 퇴치기 연결단자에 전원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고 지면에 소정깊이로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선택 스위치 및 제어보드의 제어에 따라 일정 주기로 진동을 발생하여 뱀을 퇴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뱀 퇴치기와, 상기 배터리팩의 해충 퇴치기 연결단자에 전원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고 지면이나 나무위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선택 스위치 및 제어보드의 제어에 따라 일정 주기로 초음파를 발생하여 해충을 퇴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해충 퇴치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뱀 및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배터리팩{battery pack}
본 발명은 배터리팩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진동과 초음파 발생을 통해 뱀 및 해충을 퇴치하도록 한 뱀 및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배터리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뱀, 파리 또는 모기와 같은 해충은 인간에게 유해한 벌레로, 특히 야외 활동시 신체에 접근하거나 돗자리, 텐트 속으로 침입하여 불쾌감과 알레르기를 유발하기도 하고, 심지어는 물거나 쏘여 상처를 주거나 쇼크, 중독으로 인한 사망사고를 발생하기도 하는 등 많은 문제를 유발하고 있다.
특히, 필리핀, 베트남, 미연마와 같은 열대 지역에서는 매년 뱀에 의해 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모기 또는 파리와 같은 해충은 말라리아, 상피병, 일본뇌염, 황열병, 뎅그열 등의 질병을 유발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뱀 및 해충이 싫어하는 향을 피우거나 싫어하는 주파수대의 초음파를 발생시켜 이들의 접근을 방지하는 등의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처럼 향을 피우거나 초음파 등을 발생하는 방법은 매우 수동적인 방법일 뿐만 아니라 향을 피우기 위해서는 연소수단이 필요하고, 초음파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반드시 전기가 필요하게 되는 등 야외 활동시 휴대나 사용에 따른 여러가지 불편한 점이 상존한다.
1. 한국공개특허 : 제2013-0073677호, 공개일자 : 2013년 07월 03일, 발명의 명칭 : 해충접근방지구 2. 한국공개특허 : 제2013-0000485호, 공개일자 : 2013년 01월 03일, 발명의 명칭 : 모기 퇴치용 훈증기 기능을 갖춘 휴대용 전등 3. 한국공개특허 : 제2010-0136626호, 공개일자 : 2010년 12월 29일, 발명의 명칭 : 해충퇴치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진동에 의해 뱀을 퇴치하고 초음파를 발생하여 해충을 퇴치하기 위한 뱀 및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배터리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뱀 및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배터리팩은 외면에 선택 스위치와 뱀 퇴치기 연결단자 및 해충 퇴치기 연결단자를 구비하고 내부에 충전용 배터리 및 제어보드를 내장한 배터리팩과, 상기 배터리팩의 뱀 퇴치기 연결단자에 전원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고 지면에 소정깊이로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선택 스위치 및 제어보드의 제어에 따라 일정 주기로 진동을 발생하여 뱀을 퇴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뱀 퇴치기와, 상기 배터리팩의 해충 퇴치기 연결단자에 전원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고 지면이나 나무위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선택 스위치 및 제어보드의 제어에 따라 일정 주기로 초음파를 발생하여 해충을 퇴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해충 퇴치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뱀 및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배터리팩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배터리팩에 연결되면서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뱀 퇴치기를 이격 설치하여 배터리팩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하여 뱀을 퇴치할 수 있다.
둘째, 배터리팩에 연결되면서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해충 퇴치기를 이격 설치하여 배터리팩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모기 또는 파리와 같은 해충을 싫어하는 초음파를 발생하여 해충을 퇴치할 수 있다.
셋째, 배터리팩에서 일정한 주기로 뱀 퇴치기 또는 해충 퇴치기를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줄일 수가 있다.
넷째, 뱀 퇴치기에 자체적으로 전기 생산 및 저장이 가능한 태양전지 모듈과 충전 밧데리를 탑재하여 배터리팩에서 전원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뱀 및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배터리팩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배터리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선택 스위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의 본체 케이스의 일면에 구성된 부하단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2의 제어보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뱀 및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배터리팩을 설치한 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뱀 및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배터리팩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뱀 및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배터리팩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뱀 및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배터리팩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팩(100), 뱀 퇴치기(200), 해충 퇴치기(300) 및 전원 케이블(4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팩(100)은 상기 뱀 퇴치기(200) 및 해충 퇴치기(300)와 상기 전원 케이블(400)을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일정한 간격을 갖고 이격되어 상기 뱀 퇴치기(200) 또는 해충 퇴치기(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함과 더불어 상기 뱀 퇴치기(200) 및 해충 퇴치기(30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상기 뱀 퇴치기(200)와 해충 퇴치기(300)는 각각 하나씩 도시하고 있지만, 설치하는 장소 또는 면적에 따라 그 개수를 달리할 수가 있다. 이때 상기 배터리팩(100)에 상기 뱀 퇴치기(200)와 해충 퇴치기(300)가 상기 전원 케이블(400)을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다른 뱀 퇴치기(200) 및 해충 퇴치기(300)는 이웃하는 뱀 퇴치기(200)와 해충 퇴치기(300)에 상기 전원 케이블(400)을 통해 서로 연결되게 구성된다.
상기 뱀 퇴치기(200)는 지면에 소정깊이로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되게 구성되어 상기 배터리팩(100)의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일정한 주기로 뱀이 싫어하는 진동을 발생하여 뱀의 접근을 방지함과 더불어 일정 범위내에 존재하는 뱀을 퇴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뱀 퇴치기(200)는 5~10분 간격으로 초기에는 5회, 4회, 3회 순으로 진동을 통해 지면에 지진파를 발생하여 뱀의 접근과 인접한 지역에 있는 뱀을 퇴치할 수가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뱀 퇴치기(200)는 장소 또는 면적에 따라 다수개가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다수개의 뱀 퇴치기(200) 중 하나만 상기 배터리팩(100)에 상기 전원 케이블(400)을 통해 연결되고 다른 나머지의 뱀 퇴치기(200)는 이웃하는 뱀 퇴치기(200)와 상기 전원 케이블(400)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해충 퇴치기(300)는 지면에 고정되게 구성되어 상기 배터리팩(100)의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일정한 주기로 파리 또는 모기 등의 해충이 싫어하는 초음파를 발생하여 해충의 접근을 방지함과 더불어 일정 범위내에 존재하는 해충을 퇴치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해충 퇴치기(300)는 상기 해충 퇴치기(300)는 지면이나 나무 위에 설치되고, 설치 장소 또는 면적에 따라 다수개가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다수개의 해충 퇴치기(300) 중 하나만 상기 배터리팩(100)에 상기 전원 케이블(400)을 통해 연결되고 다른 나머지의 해충 퇴치기(300)는 이웃하는 해충 퇴치기(300)와 상기 전원 케이블(400)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다수개의 뱀 해충기(200) 또는 해충 퇴치기(300)가 상기 전원 케이블(400)을 통해 서로 연결되게 구성되는데, 상기 전원 케이블(400)을 통해 상기 뱀 해충기(200) 및 해충 퇴치기(300)를 서로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전원 케이블(400)은 사람들이나 동물들의 이동에 방해되지 않도록 지면에 소정깊이로 매립되어 설치된다.
상기 해충 퇴치기(300)에서 발생하는 초음파는 120도의 방출 각도에서 연결되어 부수체와 메인 유닛의 확성기를 통해 방출되는데, 일반적으로 초음파 해충 퇴치기는 바퀴벌레와 쥐, 그리고 일반적인 각종 해충을 퇴치할 수가 있다.
도 2는 도 1의 배터리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팩(100)은 본체 케이스(110), 선택 스위치(120), 부하단자(130), 뱀 퇴치기 연결단자(140), 해충 퇴치기 연결단자(150), 충전 배터리(160), 입력단자(170) 및 제어보드(18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 케이스(110)는 직사각형 모양을 갖으면서 내부에 상기 충전 배터리(160) 및 제어보드(180)가 탑재되도록 내부공간을 가지고 있다.
상기 선택 스위치(120)는 상기 본체 케이스(110)의 일면에 부착되어 구성되는데,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OFF 기능, 뱀 퇴치 기능, 해충 퇴치 기능, 뱀 및 해충 퇴치 기능과 같이 총 4가지의 기능을 갖는다.
예를 들면, 관리자가 상기 선택 스위치(120)를 조작하여 뱀 퇴치 기능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보드(180)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뱀 퇴치기(20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진동을 발생하게 한다.
상기 선택 스위치(120)는 상기 OFF 기능, 뱀 퇴치 기능, 해충 퇴치 기능, 뱀 및 해충 퇴치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부하단자(130)는 USB, 시거잭, DC잭 등이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110)의 측면에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개의 USB 단자, 2개의 시거잭 단자, 2개의 DC잭 단자를 각각 구성하고 있는데, 이에 한정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상기 부하단자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상기 뱀 퇴치기(200)가 상기 뱀 퇴치기 출력단자(140)에 연결되고, 상기 해충 퇴치기(300)가 상기 해충 퇴치기 출력단자(150)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충전용 배터리(160)는 리튬 이온 전지에 한정되지 않고, 니켈-수소 전지(NiMH: nickel metal hydride battery)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충전용 배터리(118)의 과충전(over-charging)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과충전 보호회로(도시되지 않음)를 탑재할 수 있다.
상기 입력단자(170)는 일반적인 전원코드 또는 USB 케이블 단자, 시거잭과 같은 전원 입력체와 대응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고, 여러 가지 형태의 전원 입력체가 대응가능하도록 다수개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입력단자(170)는 상기 본체 케이스(110)의 내부에 탑재된 충전용 배터리(160)를 충전하기 위한 것으로, 태양광 발전으로 생산된 전기 에너지나 자동차로부터 공급된 전원, AC 어댑터를 사용하여 필요한 전원을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충전하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충전용 배터리(160)를 충전하기가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하다는 잇점이 있다.
한편, 상기 입력단자(17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입력받아 충전하는 충전용 배터리(160)는 내부를 구체적으로 개시하지 않았지만 역전류를 방지하기 위한 다이오드와 함께 DC/DC 컨버터가 내장되어 있어 상기 뱀 퇴치기 출력단자(140)와 해충 퇴치기 출력단자(150)를 통해 뱀 퇴치기(200) 또는 해충 퇴치기(30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도 3은 도 2의 선택 스위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 스위치(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110)의 일면에 부착되어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OFF 기능, 뱀 퇴치 기능, 해충 퇴치 기능, 뱀 및 해충 퇴치 기능과 같이 총 4가지의 기능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선택 스위치(120)는 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관리자가 필요에 따라 4가지의 기능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도 4는 도 2의 본체 케이스의 일면에 구성된 부하단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하단자(130)는 2개의 USB 단자(131), 2개의 시거잭 단자(132) 및 2개의 DC잭 단자(133)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개의 USB 단자(131), 2개의 시거잭 단자(132), 2개의 DC잭 단자(133)를 각각 구성하고 있는데, 이에 한정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상기 부하단자(130)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케이스(110)의 일면에는 충방전 표시등(190)이 구성되는데, 상기 충방전 표시등(190)은 충전용 배터리(160)가 충전 중일때 적색을 나타내고 있다고 충전이 완료되면 녹색으로 변환되어 충전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사용자가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가 있다.
상기 충방전 표시등(190)은 눈금형태로 구성되어 단계별로 충방전 상태를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전용 배터리(160)에 충전된 전원을 사용할 때 방전되는 량도 눈으로 확인할 수가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충전용 배터리(160)의 잔량을 확인할 수가 있다.
도 5는 도 2의 제어보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보드(180)는 수신부(181), 판단부(182), 선택부(183) 및 배터리 관리부(18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신부(181)는 상기 선택 스위치(120)로부터 선택된 기능이 어떤 기능인지가 입력되는 부분이다.
상기 판단부(182)는 현재 동작하고 있는 기능과 더불어 상기 수신부(181)에 수신된 기능을 전달받아 현재 동작을 계속할지 아니면 다른 기능으로 전환할지를 판단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선택부(183)는 상기 판단부(182)의 판단 결과에 따라 뱀 퇴치 또는 해충 퇴치를 할 것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충전용 배터리(160)에 저장된 전원을 필요한 곳에 공급하게 된다.
상기 배터리 관리부(184)는 충전용 배터리(160)의 DOD를 사용자에 맞게 조절하여 배터리의 수명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배터리를 제작하는 회사에서 배터리를 제작하여 출고할 때 배터리의 외부 표면에 수명과 연관된 방전깊이를 표현하는 DOD(Discharge of deepS)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DOD 20% 기준 500회라면 100%충전 상태에서 20%사용 후 충전하는 방식을 500회까지 사용가능하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방전을 50%로 하면 그 수명은 더욱 줄어들고 10% 사용하고 충전하는 식으로 사용하면 500회 이상 더오래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또한, 상기 배터리 관리부(184)는 충전용 배터리(160)의 충·방전시 0~40℃의 온도에서 충·방전이 가능하도록 제어하고 그 밖의 온도에서 충·방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어한다.
상기 충전용 배터리(160)의 사용시간은 온도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되는데 온도가 영하로 떨어지거나 40℃이상이 될 때 강제적으로 충·방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배터리의 수명을 한층더 연장시킬 수가 있다.
예를 들면, 배터리는 열이 발생할 경우 내부의 전해액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저항도 상승하게 되고, 온도가 낮은 경우에 전해액의 비중이 작아짐에 따라 전력 방출이 감소되어 시동성이 저하되며, 온도가 높은 경우 전해액이 증발되어 배터리의 수명이 급격하게 줄어들게 되므로 상기 배터리 관리부(184)를 통해 온도가 40℃이상 상승하게 되면 자동으로 배터리의 충·방전을 정지시켜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뱀 및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배터리팩을 설치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배터리팩(100)에 다수의 뱀 퇴치기(200)가 일정한 간격을 갖고 전원 케이블(400)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이때 각 뱀 퇴치기(200)는 상기 전원 케이블(400)을 통해 하나만 상기 배터리팩(100)에 연결되고, 나머지 뱀 퇴치기(200)는 이웃하는 뱀 퇴치기(200)들끼리 서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뱀 퇴치기(200)는 주파수 변조형 태양광 뱀 퇴치기로서, 진동을 발생시켜 뱀을 퇴치하는 원리이다. 진동은 뱀을 자극하며 거짓 위협으로 진동이 전파되는 지역에서 뱀을 쫓아내게 되는 아주 효율적인 장치이다.
전원주택이나 펜션은 물론 과수원이나 농장, 정원, 논밭 등에 설치할 수 있고 태양광 충전으로 낮시간 동안 충전하면서 작동하며 밤에도 전력을 공급하기 때문에 24시간 365일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개, 고양이, 새 같은 동물과 사람에게는 피해가 없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뱀은 이 진동을 괴롭히는 신호로 감지하게 되고 모든 종류의 뱀이 도망간다. 뱀은 귀가 없기 때문에 소리를 듣지 못하지만 서식처에서 턱을 땅에 대고 있을 때에는 아주 작은 진동도 감지한다. 이 원리를 이용하여 뱀이 위험신호로 감지하는 지진이 일어날 때 발생되는 진동과 같은 400~1,000Hz 범위의 진동을 주기적으로 발생시켜 뱀으로 하여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게 하여 해당지역에서 뱀이 도망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뱀 퇴치기(200)의 작동방식은 처음 2일간 3~5초간 1회의 진동을 50초 정도의 간격으로 낸다. 다음 2일간은 3~5초간 2회의 진동을 50초 정도의 간격으로 낸다. 그 다음 2일간 3~5초간 5회의 진동을 50초 정도의 간격으로 발생한다. 이후 7일째부터는 이 과정을 다시 반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진동 발생 횟수 및 간격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된 장소에 따라 그 방법을 달리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태양광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지만, 수력이나 풍력, 지열과 같은 자연 에너지로부터 생산된 전기를 충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종래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배터리팩 100 : 뱀 퇴치기
300 : 해충 퇴치기 400 : 전원 케이블

Claims (6)

  1. 외면에 선택 스위치와 뱀 퇴치기 연결단자 및 해충 퇴치기 연결단자를 구비하고 내부에 충전용 배터리 및 제어보드를 내장한 배터리팩과,
    상기 배터리팩의 뱀 퇴치기 연결단자에 전원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고 지면에 소정깊이로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선택 스위치 및 제어보드의 제어에 따라 일정 주기로 진동을 발생하여 뱀을 퇴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뱀 퇴치기와,
    상기 배터리팩의 해충 퇴치기 연결단자에 전원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고 지면이나 나무위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선택 스위치 및 제어보드의 제어에 따라 일정 주기로 초음파를 발생하여 해충을 퇴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해충 퇴치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뱀 및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배터리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의 본체 케이스 일면에 구성되는 다수의 부하단자 및 충방전 표시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뱀 및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배터리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스위치는 OFF 기능, 뱀 퇴치기 선택 기능, 해충 퇴치기 선택 기능, 뱀 및 해충 퇴치기 선택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뱀 및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배터리팩.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뱀 퇴치기 및 해충 퇴치기는 이웃하는 뱀 퇴치기 또는 해충 퇴치기들과 상기 전원 케이블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뱀 및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배터리팩.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스위치는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기능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뱀 및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배터리팩.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뱀 퇴치기 및 해충 퇴치기는 일정 주기로 진동 및 초음파 발생횟수를 달리하여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뱀 및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배터리팩.
KR1020140084452A 2014-07-07 2014-07-07 뱀 및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배터리팩 KR201600054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452A KR20160005479A (ko) 2014-07-07 2014-07-07 뱀 및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배터리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452A KR20160005479A (ko) 2014-07-07 2014-07-07 뱀 및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배터리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479A true KR20160005479A (ko) 2016-01-15

Family

ID=55173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4452A KR20160005479A (ko) 2014-07-07 2014-07-07 뱀 및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배터리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547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900017456A1 (it) * 2019-09-27 2021-03-27 Mario Mazzacani Metodo di funzionamento di dispositivo per la dissuasione murina e dispositivo di controllo e comando impiegato
KR102504684B1 (ko) * 2022-03-07 2023-03-02 주식회사 유니어 실내와 실외 겸용 해충퇴치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6626A (ko) 2009-06-19 2010-12-29 전자부품연구원 해충퇴치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
KR20130000485A (ko) 2011-06-23 2013-01-03 (주) 세화 슐라인 버그 모기 퇴치용 훈증기 기능을 갖춘 휴대용 전등
KR20130073677A (ko) 2011-12-23 2013-07-03 강초원 해충접근방지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6626A (ko) 2009-06-19 2010-12-29 전자부품연구원 해충퇴치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
KR20130000485A (ko) 2011-06-23 2013-01-03 (주) 세화 슐라인 버그 모기 퇴치용 훈증기 기능을 갖춘 휴대용 전등
KR20130073677A (ko) 2011-12-23 2013-07-03 강초원 해충접근방지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900017456A1 (it) * 2019-09-27 2021-03-27 Mario Mazzacani Metodo di funzionamento di dispositivo per la dissuasione murina e dispositivo di controllo e comando impiegato
KR102504684B1 (ko) * 2022-03-07 2023-03-02 주식회사 유니어 실내와 실외 겸용 해충퇴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5743B1 (ko) 야생동물 및 조류 퇴치용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CN105052866A (zh) 一种杀虫灯装置及杀虫监控网络系统
CA3015261A1 (en) Multi-functional pest management device
US20140268679A1 (en) Insect-trapping device
CN107251882A (zh) 基于太阳能的多功能杀虫装置
JP2011139688A (ja) 鳥類退治装置
CN204180749U (zh) 太阳能供电全智能杀虫灯
KR20160005479A (ko) 뱀 및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배터리팩
JP2015073499A (ja) 圧電スピーカの駆動方法、放音装置、防獣装置、防獣プログラム、防獣方法および防獣システム
KR100876334B1 (ko) 배전선로 까치 퇴치기용 복합기
KR101343414B1 (ko) 복합 야생동물 퇴치 장치
JP3189808U (ja) 鳥獣撃退装置
CN105052862A (zh) 一种太阳能风能双能源灭虫灯
CN204762954U (zh) 太阳能杀虫灯
KR200408878Y1 (ko) 야행동물 퇴치기
KR200266908Y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조류퇴치기의 전원공급장치
CN202979958U (zh) 一种低日照地区太阳能频振式杀虫灯
CN105104328A (zh) 一种新型智能太阳能杀虫灯
KR102295742B1 (ko)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한 능동형 야생동물 및 조류 퇴치 시스템
KR20160093378A (ko) 뱀 퇴치 기능을 구비한 배터리팩
CN210432692U (zh) 一种多功能杀虫驱鸟设备
JP3212888U (ja) 害鳥獣防除具
CN201069963Y (zh) 太阳能驱鼠器
CN201032798Y (zh) 多功能便携式太阳能灭虫器
CN208462798U (zh) 一种用于高压电网的智能驱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