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8277B1 - 유해 조류 퇴치 및 해충 포획용 장치 - Google Patents

유해 조류 퇴치 및 해충 포획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8277B1
KR101508277B1 KR20120136379A KR20120136379A KR101508277B1 KR 101508277 B1 KR101508277 B1 KR 101508277B1 KR 20120136379 A KR20120136379 A KR 20120136379A KR 20120136379 A KR20120136379 A KR 20120136379A KR 101508277 B1 KR101508277 B1 KR 101508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solar cell
controller
led lamp
light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36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8644A (ko
Inventor
박광배
Original Assignee
박광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배 filed Critical 박광배
Priority to KR20120136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8277B1/ko
Publication of KR20140068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8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6Conversion of thermal power into mechanical power, e.g. Rankine, Stirling or solar thermal eng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해 조류 퇴치 및 해충을 포획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솔라셀을 지니는 지주부재와, 이 지주부재 상에 설치되고, 설정된 음향을 발생하는 스피커와, 상기 지주부재 상에 설치되고, LED램프로 해충을 유인하는 포획수단과, 상기 지주부재 상에 설치되고, 설정된 조건으로 스피커와 포획수단을 구동하는 제어기로 구성된 유해 조류 퇴치 및 해충 포획용 장치에 있어서, 제어기상에는 조류가 싫어하는 음향 및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조류퇴치 콘트롤 박스가 내장 설치되며, LED램프상에는 냄새로 해충을 유인하기 위한 방향제가 구비되고, 지주상에는 낙뢰에 의한 기기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피뢰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유해 조류와 해충의 습성에 맞추어 설정된 조건으로 가동하여 퇴치능력을 향상하면서 태양전지를 기반으로 적은 에너지를 소모하여 장기간 작동 신뢰성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조류의 학습효과를 효율적으로 방해하여 퇴치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되고, 피뢰침에 의한 낙뢰에 의한 기기들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분리 조립이 용이하여 사계절에 따라 적절하게 위치 변경이 가능하게 되고, 특히 LED램프외에 방향제를 통한 해충의 포획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유해 조류 퇴치 및 해충 포획용 장치{Apparatus for repelling the injurious bird and capturing injurious insect}
본 발명은 유해 조류 퇴치 및 해충 포획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해 조류와 해충의 습성에 맞추어 설정된 조건으로 가동하여 퇴치능력을 향상하면서 태양전지를 기반으로 적은 에너지를 소모하여 장기간 작동 신뢰성을 유지하는 유해 조류 퇴치 및 해충 포획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농가에서 과수나 작물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조류와 해충에 의한 피해를 일상적으로 겪고 있는 바, 공지되거나 창작된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지만 그 효과는 일시적이다. 이와 관련되어 참조될 수 있는 선행특허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101881호의 "조류퇴치장치",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25857호의 "태양전지 구동식 해충 포획 및 살충용 장치",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078124호의 "조류 및 해충 퇴치기" 등이 알려져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101881호는 조류를 퇴치하는 장치에 있어서, 태양열을 받아 그 열을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는 태양전지와; 상기 태양전지의 에너지로 작동되고 전신주 주변에서 조류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조류감지센서와; 상기 조류감지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작동되고 하부를 향하여 설치되되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조류퇴치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조류에 의한 전신주의 파손이나 오염을 방지하면서, 조류의 접근시에만 작동함하여 전원의 소모량을 줄이는 효과를 기대한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25857호의 "태양전지 구동식 해충 포획 및 살충용 장치"는 태양전지 모듈이 프레임 내부에 장착되는 상부 기둥 몸체; 샤프트의 전방 말단에 연결된 램프를 가지며, 다수의 발광부재에 연결되는 상부 기둥 몸체의 측면에 고정되는 샤프트; 상기 하부 기둥 몸체내에 상기 상부 기둥 몸체를 고정시키는 하부 기둥 몸체; 및 내부에 파워서플라이가 장착되고, 램프와 콘트롤 스위치가 외부 표면에 배치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구성을 제안한다. 이에 따라, 별도의 전원이 없어도 방출된 빛을 보고 날아든 해충을 포획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특허에 의하면 조류 또는 해충 중의 어느 하나의 퇴치에 국한되어 효과가 한정적일 뿐더러 태양전지의 에너지 효율을 고려하지 않아 작동 정지나 오동작의 우려가 크다.
이외에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078124호는 조류나 유해 동물 및 해충이 싫어하는 다수의 음향신호를 발생하는 정도이므로 퇴치에 한계성을 보이고 야외에서 안정적 전원의 확보와 효율적 활용에 대한 설계요소가 미흡하다.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10-2012-47530호를 통해 개선된 유해조류퇴치 및 해충포획장치를 제안한바 있다.
즉,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유해조류퇴치 및 해충포획장치는, 솔라셀(25)을 지니는 지주부재; 상기 지주부재 상에 설치되고, 설정된 음향을 발생하는 스피커(31); 상기 지주부재 상에 설치되고, LED램프(44)로 해충을 유인하는 포획수단(40); 및 상기 지주부재 상에 설치되고, 설정된 조건으로 스피커(31)와 포획수단(40)을 구동하는 제어기(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주부재는 고정지주(10) 상에 가동지주(20)가 고정핀(22)을 개재하여 높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스피커(31)는 회전링(35)을 개재하여 풍력에 의한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회전링(35)은 강구(38)를 개재하여 전기적 연결을 유지한다.
그리고 포획수단(40)은 상부망(41)과 하부망(42)을 수직으로 연결하여 형성되고, 하부망(42)의 저면에 LED램프(44)와 송풍팬(46)을 구비한다.
이에 더하여 제어기(50)는 강우 상태를 검출하는 습도센서(51)와, 현재 시각을 생성하는 타이머부(53)와, 연중 일몰 시간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55)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유해조류퇴치 및 해충 포획장치는, 기존것과 비교할 때 유해 조류와 해충의 습성에 맞추어 설정된 조건으로 가동하여 퇴치능력을 향상하면서 태양전지를 기반으로 적은 에너지를 소모하여 장기간 작동 신뢰성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유해조류퇴치 및 해충 포획장치는, 지능을 가진 조류의 경우 스피커로부터 발생되는 소리 및 고주파에 익숙해지고 쉽게 적응함으로써 일정기간이 지나게 되면 면역효과에 의해 퇴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따라서 빈번하게 소리칩등을 교환해주어야 함으로써 수리, 유지비용이 상승하게 되고 이에따라 퇴치장치를 방치 및 포기하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또한 솔라셀 및 스피커를 각각 따로 지주에 고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계절마다 이동 설치가 필요할 때 손쉽게 분래 조립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이외에도 낙뢰발생시 낙뢰에 의한 스피커 및 제어기의 고장이 발생될 우려가 있으며, 특히 해충을 포집하기 위한 것이 오직 LED램프만을 가지고 포집하는 것이기 때문에 해충퇴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유해조류퇴치 및 해충포획장치의 장점인 유해 조류와 해충의 습성에 맞추어 설정된 조건으로 가동하여 퇴치능력을 향상하면서 태양전지를 기반으로 적은 에너지를 소모하여 장기간 작동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는 고유의 효과외에 조류의 면역효과를 효율적으로 방해하여 퇴치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해충의 포획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해조류 퇴치 및 해충 포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해조류 퇴치 및 해충 포획장치는, 솔라셀을 지니는 지주부재와, 이 지주부재 상에 설치되고, 설정된 음향을 발생하는 스피커와, 상기 지주부재 상에 설치되고, LED램프로 해충을 유인하는 포획수단과, 상기 지주부재 상에 설치되고, 설정된 조건으로 스피커와 포획수단을 구동하는 제어기로 구성된 유해 조류 퇴치 및 해충 포획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상에는 조류가 싫어하는 음향 및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조류퇴치 콘트롤 박스가 내장 설치되며, 상기 LED램프상에는 냄새로 해충을 유인하기 위한 방향제가 구비되고, 상기 지주상에는 낙뢰에 의한 기기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피뢰침이 더 구비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지주상에는 솔라셀과 LED램프 및 피뢰침이 일체로 조립 설치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스피커와 솔라셀은 360도 회전 가능하게 지주상에 설치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어기상에는 사용자가 스피커를 통한 음향 및 고주파 발생을 직접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로터리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유해 조류와 해충의 습성에 맞추어 설정된 조건으로 가동하여 퇴치능력을 향상하면서 태양전지를 기반으로 적은 에너지를 소모하여 장기간 작동 신뢰성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조류의 학습효과를 효율적으로 방해하여 퇴치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되고, 피뢰침에 의한 낙뢰에 의한 기기들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분리 조립이 용이하여 사계절에 따라 적절하게 위치 변경이 가능하게 되고, 특히 LED램프외에 방향제를 통한 해충의 포획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유해조류 퇴치 및 해충포획장치의 구성도들 및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해 조류 퇴치 및 해충 포획장치의 개략적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해 조류 퇴치 및 해충 포획장치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것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동일 부품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은 유해 조류와 해충을 퇴치하는 장치에 관련된다. 유해 조류는 농가 작물에 피해를 주거나, 전신주에 둥지를 틀거나, 거리를 오염시키는 까마귀, 까치, 비둘기 등을 포함한다.
해충은 농가 작물에 피해를 비롯하여 인간생활에 직간접적인 피해를 주는 나방류 등의 해충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주부재 상에 솔라셀(25)을 지니는 구조를 택한다. 지주부재는 지면에 긴밀하게 고정되는 구조이고, 독립된 전원을 제공하는 솔라셀(25)을 상단에 구비한다. 솔라셀(25)은 계절에 대응하여 수광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이며 360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지주부재는 고정지주(10) 상에 가동지주(20)가 고정핀(22)을 개재하여 높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된다.
고정지주(10)는 중공의 관체로서 지면의 플랜지(15)를 개재하여 연결된다. 이와 같이 플랜지(15)로 연결하면 필요시 고정지주(10)의 교체가 용이하다.
가동지주(20)는 고정지주(10) 상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즉, 가동지주(20)에 상하로 다수의 구멍을 형성하고 고정지주(10)의 구멍을 통하여 고정핀(22)을 삽입하는 방식을 통해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통해서는 후술하는 스피커(31)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함이다.
또한 가동지주(20)의 상단부에는 피뢰침(1)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한 바, 이는 낙뢰발생시 낙뢰에 의한 솔라셀(25)을 포함하는 기기들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스피커(31)는 지주부재 상에 설치되는 바, 360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피커(31)는 가동지주(20)에서 솔라셀(25)의 하측에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조류가 싫어하는 다양한 음향을 설정된 주기로 출력한다.
음향에는 굉음과 같은 가청음 외에 고주파음이나 저주파음등 조류가 싫어하는 다양한 음이 포함된다.
이때 스피커(31)의 동작은 축전지(23)의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해 설정된 주기(예컨대 1분마다 5초간)로 가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스피커(31)를 통해 다양한 음향을 발생시킬때 조류의 면역효과를 방해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직접 음향의 발생주기 및 음향 자체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후술하는 제어기(50)상에는 로터리 스위치(2)를 구비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사용자가 판단 조류의 소리 면역(짧게는 5일에서 길게는 15일 이상)이 되기 전에 제어기(50)상의 로터리 스위치(2)를 직접 조절하여 마이컴 메모리에 내장된 다른 음향 및 고주파(무음)를 스피커(31)를 통하여 손쉽게 발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서는 사용자가 로터리 스위치(2)를 주기적으로 조작하여 가변적인 주기로 다른 음향 및 고주파등을 스피커(31)를 통해 발생시킬 수 있게되어 조류의 면역효과를 방해할 수 있게 되며 이에 의해서는 조류퇴치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게된다.
이때 스피커(31)는 회전링(35)을 개재하여 풍력에 의한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회전링(35)은 강구(38)를 개재하여 전기적 연결을 유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는 지주부재에 1~2개의 스피커(31)를 설치하더라도 회전 상태를 유발하여 음향에 생동감을 부여할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회전링(35)의 외주면에 2개의 스피커(31)를 배치한 다음 그 사이에 다수의 날개(33)를 설치하여 풍력을 받도록 하여도 무방하며, 회전링(35)에 고정되는 스피커(31)와 날개(33)의 수는 설치 지역의 특성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다.
세부적 구성에 있어서, 가동지주(20)와 회전링(35)은 각각의 대향하는 내면에 요홈(36)을 구비하고, 요홈(36) 상에 각각의 도선(37)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다수의 강구(38)로 접촉을 유지한다. 강구(38)는 회전링(35)이 가동지주(20) 상에서 회전 상태를 유지하는 베어링의 역할도 겸한다. 물론 회전링(35)의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저면에 별도의 롤러나 베어링을 부여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바람이 불면 회전링(35)이 강구(38)를 개재하여 회전하면서 전기적 접촉을 유지하여 스피커(31)의 경고음을 전방향으로 생동감 있게 송출한다. 스피커(31)와 날개(33)가 회전하는 것은 조류에게 시각적인 위혐을 줄 수 있으며, 이 경우 회전링(35)에 반짝이 테이프(도시 생략)를 부착하면 효과가 배가된다.
한편, LED램프(44)로 해충을 유인하는 포획수단(40)이 상기 지주부재 상에 설치된다.
지주부재의 고정지주(10)에서 상측으로 설치되는 포획수단(40)은 430~450nm 파장 범위의 청색을 발생하는 LED램프(44)를 사용함이 저전력을 소모하고 조도가 높으므로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LED램프(44)의 일측 내면에는 해충이 좋아하는 냄새를 풍기는 방향제(3)를 더 마련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해충의 경우 빛 뿐만 아니라 냄새에 큰 영향을 갖기 때문이며, 이를 통해서는 좀더 많은 해충을 포획할 수 있게된다.
이때, 포획수단(40)은 상부망(41)과 하부망(42)을 수직으로 연결하여 형성되고, 하부망(42)의 저면에 LED램프(44)와 송풍팬(46)을 구비한다. 상부망(41)과 하부망(42)은 이로운 곤충을 포획하지 않도록 가로세로 5㎜의 망목을 지닌 그물을 이용하여 원뿔형 구조로 형성된다.
상부망(41)은 저면의 일부가 개방되고, 하부망(42)은 저면의 일부와 상단 일부가 개방된다. 상부망(41)의 저면으로 하부망(42)을 유입시켜 고정한 구조를 택한다.
하부망(42)의 저면 개구에는 LED램프(44)와 함께 송풍팬(46)을 설치한다. 송풍팬(46)은 일단 하부망(42)으로 유입된 해충이 다시 하측으로 탈출하지 않고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부망(41)에 들어가도록 유도한다. 축전지(23)의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해 송풍팬(46)은 설정된 주기(예컨대 3분마다 20초간)로 가동하는 것이 좋다.
이때 LED램프(44)가 우천시 고장이 발생되는 것을 차단하기위한 것으로서, 삿갓 형태의 비가리개(58)을 마련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포획수단(40)의 상부망(41)과 하부망(42)은 강도 보강을 위해 금속재나 수지재를 일부 포함하는 망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부망(41)에는 포집된 해충을 인출하기 위한 개폐수단을 구비한다. 도 1에 예시한 것과 달리, 포획수단(40)은 고정지주(10) 상에 복수로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하부망(42) 하부에 하부 포획 보조망(56)을 설치함이 바람직하며, 이 하부 포획 보조망(56)상에는 배출구(57)가 마련된다.
다음으로면 설정된 조건으로 스피커(31)와 포획수단(40)을 구동하는 제어기(50)가 상기 지주부재 상에 설치된다.
제어기(50)는 지주부재의 고정지주(10)에 설치되고, 솔라셀(25)에서 생성된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지(23)를 구비하며, 상술한 스피커(31), LED램프(44), 송풍팬(46)의 전력도 축전지(23)를 통하여 공급한다.
제어기(50)는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단열구조로 형성되고, 설정된 전압 이하임을 표시하는 램프(도시 생략)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제어기(50)는 강우 상태를 검출하는 습도센서(51)와, 현재 시각을 생성하는 타이머부(53)와, 연중 일몰 시간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55)를 구비한다. 습도센서(51)는 제어기(50)의 상면에 설치되고 강우 여부에 따른 신호를 발생한다. 습도센서(51) 대신에 강우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타이머부(53)는 제어기(50)의 회로기판(도시 생략)에 구성되고 현재 시각의 정보를 생성한다. 타이머부(53)는 통신수단(도시 생략)을 통하여 위성으로부터 시각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메모리부(55)는 제어기(50)의 회로기판에 구성되고 제어 알고리즘 외에 연중 일몰 시간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어기(50)의 마이콤(57)은 이와 같은 습도센서(51), 타이머부(53), 메모리부(55)를 액세스하여 설정된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작동에 있어서, 타이머부(53)의 정보를 이용하여 주간으로 판단되면 조류의 활동시간에 맞추어 스피커(31)로 설정된 음향을 설정된 주기로 출력하고, 메모리부(55)의 정보를 이용하여 일몰후 야간으로 판단되면 LED램프(44)를 점등하고 송풍팬(46)을 주기적으로 작동한다.
만일 습도센서(51)에 의하여 우천인 상태로 판단하면 조류와 해충의 먹이활동이 정지되므로 축전지(23)의 전기소모를 줄이기 위해 전술한 모든 작동을 정지한다.
물론 메모리부(55)에 저장되는 정보를 변경하면 원하는 조건으로 스피커(31), LED램프(44), 송풍팬(46)을 작동할 수 있다.
이때, 제어기(50)는 유해 조류나 해충의 종류에 따라 주파수세기조절부와 주파수대역폭조절부의 제어를 통해 적절한 주파수 세기와 주파수 대역폭을 지닌 경고음을 스피커(31)로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축전지(23)를 기반으로 하는 전기적 작동에 더하여 날개(33)로 풍력을 받아 회전되는 회전링(35)을 이용하여 시각적인 퇴치 효과를 부가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술한 솔라셀(25)과 LED램프(44) 및 피뢰침(1)은 지주상에 하나의 조립체로 일체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계절에 따라 장치의 설치 변경이 요구될 경우 손쉽게 분리시켜 위치 이동시킨다음 바로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피뢰침 2: 로터리 스위치
3: 방향제 10: 고정지주
15: 지주 고정판 20: 가동지주
22: 고정핀 23: 축전지
25: 솔라셀 31: 스피커
33: 날개 35: 회전링
36: 요홈 37: 도선
38: 강구 40: 포획수단
41: 상부망 42: 하부망
44: LED램프 46: 송풍팬
50: 제어기 51: 습도센서
53: 타이머부 55: 메모리부
56: 하부 포획 보조망 57: 배출구
58: 비 가리개

Claims (4)

  1. 솔라셀을 지니는 지주부재와, 이 지주부재 상에 설치되고, 설정된 음향을 발생하는 스피커와, 상기 지주부재 상에 설치되고, LED램프로 해충을 유인하는 포획수단과, 상기 지주부재 상에 설치되고, 설정된 조건으로 스피커와 포획수단을 구동하는 제어기로 구성된 유해 조류 퇴치 및 해충 포획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상에는 조류가 싫어하는 음향 및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조류퇴치 콘트롤 박스가 내장 설치되며,
    상기 LED램프상에는 냄새로 해충을 유인하기 위한 방향제가 구비되고,
    상기 지주상에는 낙뢰에 의한 기기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피뢰침이 더 구비되고,
    상기 스피커와 솔라셀은 360도 회전과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지주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기상에는 사용자가 스피커를 통한 음향 및 고주파 발생을 직접 조절할 수 있도록 로터리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조류 퇴치 및 해충 포획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상에는 솔라셀과 LED램프 및 피뢰침이 일체로 조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조류 퇴치 및 해충 포획용 장치.
  3. 삭제
  4. 삭제
KR20120136379A 2012-11-28 2012-11-28 유해 조류 퇴치 및 해충 포획용 장치 KR101508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36379A KR101508277B1 (ko) 2012-11-28 2012-11-28 유해 조류 퇴치 및 해충 포획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36379A KR101508277B1 (ko) 2012-11-28 2012-11-28 유해 조류 퇴치 및 해충 포획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8644A KR20140068644A (ko) 2014-06-09
KR101508277B1 true KR101508277B1 (ko) 2015-04-07

Family

ID=51124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36379A KR101508277B1 (ko) 2012-11-28 2012-11-28 유해 조류 퇴치 및 해충 포획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82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104576U (zh) * 2014-09-11 2015-01-21 深圳市拓日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太阳能灭虫器
CN105028363A (zh) * 2015-05-16 2015-11-11 泉州劲鑫电子有限公司 一种基于太阳能的驱鸟灭虫装置
CN105211046A (zh) * 2015-10-27 2016-01-06 无锡太湖阳山水蜜桃科技有限公司 一种可照明式超声波驱鸟器
WO2018053817A1 (zh) * 2016-09-24 2018-03-29 崔翠翠 太阳能诱捕装置
CN106561598A (zh) * 2016-10-28 2017-04-19 成都格瑞思文化传播有限公司 太阳能户外驱蚊杀虫灯
CN107751150A (zh) * 2017-11-23 2018-03-06 恭城福茂生油茶文化产业发展有限公司 一种多功能农田用太阳能蚊虫灯
CN107889805A (zh) * 2017-11-23 2018-04-10 恭城福茂生油茶文化产业发展有限公司 一种农田用太阳能蚊虫灯
CN107711819A (zh) * 2017-11-27 2018-02-23 安化盛鼎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农业用驱鸟捕虫装置
KR102045545B1 (ko) * 2018-01-03 2019-11-15 남태균 융합형 조류 퇴치 장치
CN108812635B (zh) * 2018-06-19 2021-03-23 三峡大学 用于农田驱鸟的风能发声装置
CN109497013B (zh) * 2018-12-07 2021-09-10 淄博职业学院 一种市政园林病虫害防治用诱虫灯固定装置
KR102182073B1 (ko) * 2018-12-07 2020-11-24 재단법인 전라남도정보문화산업진흥원 선박형 해상 드론을 포함하는 드론 스테이션 시스템
KR102322004B1 (ko) * 2018-12-27 2021-11-04 전주비전대학교산학협력단 지오펜싱 기반 관광 플랫폼
CN109673599B (zh) * 2019-03-04 2021-06-04 上海应用技术大学 一种诱杀稻飞虱led灯
CN111602634A (zh) * 2020-05-29 2020-09-01 肖楠 一种农业害虫诱捕器
CN111969458B (zh) * 2020-07-07 2022-06-17 华翔翔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一二次融合环网柜
KR102331393B1 (ko) * 2021-03-02 2021-12-01 이승대 조류퇴치 기능을 갖는 배전선로 보호용 피뢰구조
KR102346922B1 (ko) * 2021-03-26 2022-01-05 이삼종 산악지역에 설치된 배전선로의 보호를 위한 조류퇴치장치
KR102594534B1 (ko) * 2021-04-14 2023-10-30 에스아이오티 주식회사 연동 단말장치들로 구성된 대응시스템
CN113193815A (zh) * 2021-04-16 2021-07-30 常州工学院 一种便于户外使用的采集箱
KR102589343B1 (ko) * 2021-05-27 2023-10-16 임미영 야생동물 접근 방지를 위한 초음파신호 발생장치
KR102638882B1 (ko) 2021-07-15 2024-02-27 가온팜테크(주) 유해 동물 및 해충 퇴치 장치
KR102569667B1 (ko) * 2023-01-13 2023-08-24 주식회사 케이에스에프 유인액 제어가 가능한 말벌 포획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720Y1 (ko) 2005-07-04 2005-09-27 송종명 조수퇴치 및 해충 포집장치
KR20100043369A (ko) * 2008-10-20 2010-04-29 이준길 친환경 야외조명 및 해충유인 포획 기구
KR20120069001A (ko) * 2010-11-01 2012-06-28 (주)지이에스 그린음악 공급장치 겸용 위해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기
KR20120097077A (ko) * 2011-02-24 2012-09-03 김성재 엘이디(led)조명과 페로몬을 이용한 해충 방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720Y1 (ko) 2005-07-04 2005-09-27 송종명 조수퇴치 및 해충 포집장치
KR20100043369A (ko) * 2008-10-20 2010-04-29 이준길 친환경 야외조명 및 해충유인 포획 기구
KR20120069001A (ko) * 2010-11-01 2012-06-28 (주)지이에스 그린음악 공급장치 겸용 위해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기
KR20120097077A (ko) * 2011-02-24 2012-09-03 김성재 엘이디(led)조명과 페로몬을 이용한 해충 방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8644A (ko) 2014-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8277B1 (ko) 유해 조류 퇴치 및 해충 포획용 장치
KR20110079567A (ko) 조류퇴치기
KR20120069001A (ko) 그린음악 공급장치 겸용 위해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기
CN108013009B (zh) 基于太阳能的具有虫尸处理结构的农田环保灭虫装置
CN107691400A (zh) 一种太阳能杀虫装置
KR20130107432A (ko) 유해동물 퇴치장치
KR101391090B1 (ko) 유해 조류 및 곤충 퇴치장치
CN112205374A (zh) 一种智能害虫诱捕器
CN112790172B (zh) 一种基于物联网感知控制的田间生态植保方法及系统
CN202135603U (zh) 一种多功能程控旋转式电子诱杀蚊蝇蟑螂装置
CN211482574U (zh) 一种节能捕虫器
CN205385822U (zh) 一种驱虫装置
CN107926886A (zh) 分时段控制诱虫波段杀虫系统及其控制方法
CN107853259A (zh) 一种基于LoRa技术的智能互联灭虫云平台
CN207897764U (zh) 一种物理诱杀害虫的装置
CN204599084U (zh) 一种杀虫灯
CN201430859Y (zh) 太阳能全自动捕蚊蝇器
KR101447967B1 (ko)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한 유해조수 퇴치장치
CN107484733B (zh) 一种农园高效防虫防兽电网结构
CN207054574U (zh) 杀虫灯组件
CN105052862A (zh) 一种太阳能风能双能源灭虫灯
CN205682253U (zh) 一种大棚周围的防虫驱虫装置
CN201951920U (zh) 智能灭蚊杀菌垃圾桶
CN213463558U (zh) 一种智能害虫诱捕器
RU85799U1 (ru) Световая ловушка для насекомы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