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4728B1 - 목초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해조수 및 해충 기피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목초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해조수 및 해충 기피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4728B1
KR101274728B1 KR1020120035984A KR20120035984A KR101274728B1 KR 101274728 B1 KR101274728 B1 KR 101274728B1 KR 1020120035984 A KR1020120035984 A KR 1020120035984A KR 20120035984 A KR20120035984 A KR 20120035984A KR 101274728 B1 KR101274728 B1 KR 101274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repellent composition
harmful
repellent
wood vineg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천휘
전한기
전옥영
김기광
정우영
Original Assignee
조천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천휘 filed Critical 조천휘
Priority to KR1020120035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47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4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4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odoriferous substances, e.g. aromas, pheromones or chemic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solids as carriers or diluents
    • A01N25/10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12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daisy, pyrethrum, artichoke, lettuce, sunflower, wormwood or tarrag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0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e.g. pea, lentil, soybean, clover, acacia, honey locust, derris or millett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6Meliaceae [Chinaberry or Mahogany family], e.g. mahogany, langsat or ne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Toxic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Bird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초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해조수 및 해충 기피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유해조수 및 후각이 발달된 모기 등과 같은 해충이 기피하도록 고안된 젤 타입의 고형물로서, 목초액, 기피성분을 함유한 식물 추출물, 및 고분자물질을 폴리머 형태로 고형화시킴으로써 오랜 기간 동안 냄새를 발산하여 기피효과를 지속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으며, 이를 포함하는 퇴치구를 유해조수 및 해충 등의 출현이 심한 곳에 정치함으로써 냄새에 의한 기피효과 및 홀로그램 시트에 의한 시각적 접근 방지효과를 부여함으로써 후각과 시각을 동시에 자극하여 기피효과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피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퇴치구는 유해조수 및 해충의 퇴치 및 방지를 위해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목초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해조수 및 해충 기피제 조성물{Compositions for repelling fur and feather, and vermin comprising pyroligneous liquor as active ingredients}
본 발명은 목초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유해조수 및 해충에 대하여 기피효과를 나타내는 기피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도시와 농촌을 불문하고 출몰하는 야생의 유해조수에 의한 피해는 매우 심각한 지경에 이르렀다. 농작물을 닥치는 대로 먹어치울 뿐만 아니라 도심으로 나오는 대담성도 지녀 때로는 사람을 공격하기도 한다. 유해조류도 전신주에 둥지를 틀어 각종 사고를 유발하고 미관을 해치는 한편, 공항에서 이착륙 시 피해를 줄 우려가 매우 크다. 또한 응애, 진딧물, 모기, 지네, 그리마(돈벌레) 등도 직접적인 피해를 주거나 혐오감을 일으킨다. 특히, 농촌이나 과수농가에서는 논농사와 밭농사을 해치며 과수의 수확시 과수의 상품가치를 상실케 하는 등 피해의 규모는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과수농가에서는 일 년 동안 정성을 들여 결실을 맺은 과수가 조류나 기타 동물들에 의해 절취당하고 낙과되며 또한 부리 등으로 쪼아 과수의 품질을 저하시켜 재산상의 피해가 매우 심각하였다.
따라서, 과수농가에서는 이러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과수나무에 조류들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과수원 전체에 그물을 치거나 폭죽 등을 터트려 조류의 근접을 차단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을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그 효과 역시 좋지 않았다. 그 밖에도 현재까지 야생의 유해조수를 퇴치하기 위한 기술이 다양하게 제시되기는 하였으나, 그 효과가 미비하고 실제로 농가에 적용되는 기술은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한편, 목초액은 목탄제조 등, 목재의 건류시에 발생하는 기체를 냉각시켜 얻어지는 산성 액체로서, 과거에는 초산이나 아세톤의 원료, 또는 목제나 식품의 방부제, 훈액, 사람이나 가축의 분료의 소취제 등의 용도에 사용되었다. 최근에는 유기농법의 보급이나, 저농약농법, 화학합성된 농약을 기피하는 경향 때문에 생체 안정성이 높은 목초액이 특히 주목을 받고 있으며, 토양소독, 마굿간 거름·퇴비에 첨가하는 비료제조, 잡초방제, 식물성장촉진, 및 농업용도에 대한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목초액의 안정성 때문에 유기농법 야채, 가정원예, 정원용 수목이나 잔디 등에 이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나, 그 효과가 늦으며 해충퇴치라는 점에서는 충분한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유해조수 및 해충을 방제 및 퇴치하기 위하여 효과가 미미한 기존의 문제점을 개량하기 위한 연구가 절실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목초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해조수 및 해충 기피제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목초액을 주성분으로 포함하고, 님, 고삼, 멀구슬, 데리스, 제충국, 담배, 마늘, 창포, 매리골드, 피마자, 우슬, 오동잎, 천선과잎, 차종자, 동백열매 및 치자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 및 고분자물질을 포함하는 유해조수 및 해충 기피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해조수 및 해충 기피제 조성물은 주재료 및 부재료로 이루어져 있고, 주재료는 목재를 건류하여 얻어진 목초액이며, 부재료는 다양한 식물 추출물 및 고분자물질이다.
상기 목초액은 목재를 탄화시켜 숯을 만드는 과정에서 연소가스에 포함된 탄화액을 액화시킨 것으로서, 침엽수, 활엽수, 교목, 관목, 상록수, 낙엽수, 상록침엽수, 낙엽침엽수, 상록활엽수, 낙엽활엽수, 및 초목의 잎, 줄기, 뿌리, 열매, 꽃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열분해, 중탕, 가온, 증류 및 추출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과정에서 생성된 액체, 정유 또는 증기를 포집하여 냉각, 응축, 분리, 숙성, 여과, 증발, 또는 증류의 가공 과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참나무를 연소시켜 발생되는 연기를 포집하고 응축시켜 정제하는 것이다. 상기 목초액은 대체적으로 정제되지 않아 타르의 함량이 높은 비정제 목초액이 효과적이다. 이와 같이 제조된 목초액은 80~90%의 물 이외에 초산, 프로피온산, 부틸산, 개미산 등을 함유하고, 이외에 저급 지방산류, 메탄올, 아릴알콜 등의 저급 지방족 알콜류, 초산메틸, 개미산메틸 등의 에스테르류,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등의 알데히드류, 아세톤, 디에틸케톤 등의 지방족 케톤류, 암모니아, 메틸아민 등의 염기성 화합물 및 톨루엔, 크실렌 등의 환상 탄화수소를 함유한다.
상기 식물 추출물은 해충에 대하여 살충 또는 기피 효과를 가진 식물의 추출물로서, 부작용이 없고 화학농약에 비해 저투입 개발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200여 종의 해충에 대하여 섭식저해, 불임, 생육저해 및 살충활성 등 광범위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아자디락틴(azadirachtin) 성분이 함유된 님(neem) 추출물, 마트린(matrine) 성분이 함유된 고삼 추출물, 살충 성분인 피레스린(pyrethrine)이 함유되어 있는 제충국 추출물, 그 밖에도 멀구슬, 데리스, 담배, 마늘, 창포, 매리골드, 피마자, 우슬, 오동잎, 천선과잎, 차종자, 동백열매, 치자 등의 추출물이 해충에 대하여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식물 추출물을 적용함으로써 목초액과의 상승 작용에 의해 더욱 탁월한 방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식물 추출물은 시판되는 것, 또는 상기 식물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의 수용액, 헥산,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물질은 본 발명의 기피제의 겔상을 얻기 위해 혼합될 수 있고, 고분자물질이 혼합된 기피제는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자연스럽게 고형화가 진행되므로, 고형화되기 전에 기피제 수납체에 충진할 수도 있어 휘발성 지속기간을 유지하고 제조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다. 겔화가 진행되어 고분자 사슬 간의 가교 결합이 형성되면 수분과 체액에 의해 지지체가 용해되는 것이 억제되고 기계적인 강도가 증가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고분자소재는 키토산, 콜라겐, 케라틴, 젤라틴, 구아검 및 알지네이트와 같은 천연 고분자물질과 폴리아미노산, 폴리글리콘산, 폴리아크릴산 및 폴리락트산과 같은 합성 고분자물질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기피제 조성물은 겔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액상의 목초액 조성물뿐만 아니라 건조된 고형상의 목초액, 및 고형상의 목초액을 분쇄하여 얻은 분말상의 목초액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기피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목초액은 80 내지 98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94 내지 98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님, 고삼, 멀구슬, 데리스, 제충국, 담배, 마늘, 창포, 매리골드, 피마자, 우슬, 오동잎, 천선과잎, 차종자, 동백열매 및 치자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은 1 내지 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분자물질은 1 내지 1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피제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목초액 94 내지 98 중량부, 님 및 고삼 추출물 1 내지 3 중량부, 및 고분자물질인 키토산 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피제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목초액 94 내지 98 중량부, 님 추출물 1 내지 3 중량부, 및 고분자물질인 키토산 및 폴리아크릴산 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목초액의 함량이 80 중량부 보다 낮으면 기피 효과의 주요 수단인 목초향이 약해지므로 기피 효과가 없으며, 98 중량부 보다 높은 경우 함량 증가에 따른 현저한 효과의 상승이 나타나지 않으므로 경제성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물질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조성물은 겔화되지 않고 액상으로 남아있어 취급성이 떨어지며, 15 중량부를 초과하면 조성물이 탄성을 잃고 지나치게 경화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최적의 원료 조합과 함량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피제 조성물은 유해한 야생조수, 해충 및 혐오충에 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해조수 및 해충은 멧돼지, 노루, 고라니, 너구리, 청설모, 쥐, 까치, 까마귀, 비둘기, 응애, 진딧물, 모기, 바퀴벌레, 바구미, 흰개미, 지네 또는 그리마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피제 조성물의 후각적 자극에 의해 기피효과를 갖는 동물 및 해충이라면 모두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피제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유해조수 및 해충을 방제하기 위하여 각종 건물의 바닥, 벽 및 천정을 포함한 주거공간, 정원, 제품창고, 농산물창고, 전답, 시설하우스, 과수원, 자원식물 재배지역, 전신주 또는 공항 등지에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목초액, 기피작용을 갖는 다양한 식물 추출물, 및 고분자물질을 일정 함량비에 따라 혼합하여 유해조수 및 해충 기피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표 1 참조). 제조된 기피제 조성물 중 목초액 94 내지 98 중량부, 님 및 고삼 추출물 1 내지 3 중량부, 고분자물질 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가장 우수한 탄성 및 겔화 과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러한 우수한 물성을 갖는 조성물은 서방성이 부여되어 천천히 용량이 감소하면서 장기간 지속적인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 기피제 조성물의 유해조수 및 해충에 대한 기피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조류 및 야생동물에 의한 피해가 빈번히 발생하는 사과 과수원 및 매실농장에 본 발명의 기피제 조성물을 처리하고 기피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기피제 조성물의 처리로 인하여 까치 등의 조류에 피해를 입은 사과 피해율이 9% 감소된 것으로 확인되었고(표 2 및 도 1 참조), 기피제 조성물 무처리구의 20주 중 14주가 야생동물의 피해를 입었으나, 처리구 20주는 전혀 피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2 참조). 또한, 딸기묘를 이용하여 목화진딧물에 대한 본 발명의 기피제 조성물의 기피효과를 확인한 결과, 기피제 조성물 처리구는 목화진딧물이 관찰되지 않았으며(표 3 참조), 기피제 조성물의 모기에 대한 기피효과도 상당히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실내에서 상기 조성물을 평당 1~2개 놓아두는 것으로 모기의 접근을 방지하고 기피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피제 조성물은 유해조수 및 해충 기피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목초액과 님, 고삼, 멀구슬, 데리스, 제충국, 담배, 마늘, 창포, 매리골드, 피마자, 우슬, 오동잎, 천선과잎, 차종자, 동백열매 및 치자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 및 고분자물질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겔상의 고형물로서 오랜 시간 냄새를 발산함으로써 유해조수 및 해충에 대한 우수한 기피효과를 지속할 수 있으므로, 유해조수 및 해충 기피제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기피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유해조수 및 해충 퇴치구를 제공한다.
상기 퇴치구는 개폐 가능한 용기의 전면부에 다수개의 구멍이 뚫려 있고 상부에는 걸어서 설치할 수 있도록 고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의 내부에 상기 기피제 조성물이 충진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납작한 원판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과 모양, 즉, 파우치형, 판형, 블록형, 원통형 또는 이를 변형한 등 임의의 형상으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용기 내에 본 발명의 기피제 조성물이 설치될 때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유입된 공기와의 접촉면적으로 넓게 할 수 있도록 정육면체 또는 구형보다는 원판형과 같은 납작한 형태 또는 이들을 둥글게 만든 속이 빈 원통 형태 등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기피제 조성물은 일정한 조성물의 비율로 혼합한 겔상으로서 원판, 타원평 또는 구형 등 다양한 형상과 모양으로 성형한 후 이를 용기에 충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의 후면부에는 유해조수 및 해충들이 싫어하는 홀로그램 시트를 추가적으로 부착됨으로써 시각에 의한 접근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직경 55 ㎜ 및 높이 20 ㎜의 납작한 원형 형태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계된 용기에 본 발명의 기피제 조성물 30 g을 충진하였다. 전면부는 냄새가 발산될 수 있도록 구멍을 뚫었으며, 상부에는 걸어서 설치가능하도록 내경 15 ㎜의 고리 돌출부를 구성하였다. 후면부에는 착시 유도용 홀로그램 시트를 부착하였다.
상기 유해조수 및 해충은 멧돼지, 노루, 고라니, 너구리, 청설모, 쥐, 까치, 까마귀, 비둘기, 응애, 진딧물, 모기, 바퀴벌레, 바구미, 흰개미, 지네 또는 그리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퇴치구는 유해조수 및 해충이 기피하는 냄새를 발산하는 본 발명의 기피제 조성물을 탑재함으로써 상기 조성물의 냄새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각종 유해한 야생조수 및 해충을 방지하고자 하는 장소에서 간단한 거치형태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퇴치구에 홀로그램 시트를 부착함으로써 시각적 방지 효과를 추가적으로 부여하여 복합적으로 유해조수 및 해충의 접근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해조수 및 해충 퇴치구는 고형상의 상기 기피제 조성물이 삽입되어 냄새를 효과적으로 발산시키고 간편한 거치형태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각적 기피효과를 동시에 부여하였으므로, 유해조수 및 해충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퇴치구로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해조수 및 해충 기피제는 고형상의 기피 조성물로 제조함으로써 부형성과 서방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그 특성과 효과를 향상시키며 용기 후면부에 홀로그램 시트를 부착하여 시각에 의한 접근 방지효과를 부여함으로써, 후각과 시각을 동시에 자극하는 기피제로서 효과적이므로, 각종 건축물, 창고, 전답, 과수원, 산림원, 공원 등지에서 유해조수 및 해충에 대하여 2~3개월간 기피효과를 발휘하는 고형의 기피제 조성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해조수 및 해충 기피제 처리구 또는 무처리구에 대한 사과 조류 피해 과실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유해조수 및 해충 기피제 처리고 또는 무처리군에 대한 노루 및 고라니 기피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해조수 및 해충 퇴치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목초액의 제조
목초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참나무를 연소시켜 발생되는 연기를 포집하고 응축시켜 액체생성물을 분류 및 정제하였다.
< 실시예 2> 식물 추출물의 제조
님, 고삼, 멀구슬, 데리스 및 제충국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식물에 용매로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이의 수용액, 헥산,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이때, 식물의 종류와 식물 부위에 따라서 추출 용매를 달리 선택하여 사용하였다.
< 실시예 3> 유해조수 및 해충 기피제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한 목초액 및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하기 표 1과 같은 원료 조성으로 칭량하고, 1시간 동안 혼합하여 본 발명의 유해조수 및 해충 기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24시간 건조 후 물성을 확인하였다.
실험군 1 실험군 2 실험군 3 실험군 4 실험군 5 실험군 6 실험군 7
목초액 85 90 90 96 96 96 96
식물추출물 님 추출물 1 1 1
고삼 추출물 2 1
멀구슬 추출물 1 1
데리스 추출물 2
제충국 추출물 1 1
고분자소재 키토산 4 2 2
콜라겐 1
케라틴 1
젤라틴 10 5 2
구아검 3
알지네이트 2 1
폴리아미노산 1
폴리글리콘산 1
폴리아크릴산 1
폴리락트산 3
100% 100% 100% 100% 100% 100% 100%
그 결과, 실험군 1은 기피 효과의 주수단인 냄새가 타 실험군에 비하여 약하였고, 실험군 2는 조성물이 지나치게 경화되어 탄성이 좋지 않았다. 실험군 3은 비교적 양호하였으나, 건조과정에서의 상태가 좋지 못하였고, 실험군 4는 겔화에 매우 오랜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겔화 상태 자체가 불량하였다. 실험군 5는 고점도의 반고체상태가 되었으나, 겔화되지는 않았다. 7종의 실험군 중 24시간 내에 건조되고 적절한 탄성을 나타내는 겔화 고형물은 실험군 6과 7인 것으로 최종 확인되었다. 그러나 실험군 6은 실험군 7과 비교하여 겔화 시간이 길고 서방성은 짧은 단점이 있는 반면, 실험군 7은 단시간에 겔화되고 서방성과 용량 감소기간이 길어지는 장점은 있으나 목초향이 다소 약해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와 같이, 적절한 탄성을 가진 겔화 고형물은 서방성이 부여되어 천천히 용량이 감소하면서 1~2개월간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실시예 4> 유해조수 및 해충 퇴치구의 제조 방법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기피 조성물을 기피제 용기에 수납하여 제품화하였으며, 이 기피제 용기에 충진될 수 있는 기피 조성물의 양은 약 30 g 정도였다. 기피제 용기는 직경 55 ㎜, 높이 20 ㎜의 납작한 원형 형태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전면부는 냄새가 발산될 수 있도록 구멍이 뚫려 개방되어 있으나, 조성물 충진 후에 스티커 등을 부착함으로써 밀폐시켰다. 사용 시에 전면부로 빗물이 과도하게 입수되지 않도록 하는 빗물받이가 있으며, 상부에는 걸어서 설치할 수 있도록 내경 15 ㎜의 고리를 부착하였다.
< 실험예 1> 기피제 조성물의 조류 기피효과 확인
기피 조성물의 까치 등 조류에 대한 기피 효과 시험은 사과를 재배하는 과수원 중 조류 피해가 빈번히 발생하는 과수원에서 실시하였다. 시험은 사과 결실기에 10일간 실시하였으며, 사과나무 20주의 총 과실수는 무처리구가 506개, 처리구가 518개로 조사되었다. 시험 전 조류에 피해를 입은 과실은 무처리구가 25개, 처리구가 19개로, 시험에 이용된 과실수는 무처리구 491개, 처리구 509개였다. 여기에 한 개당 30 g의 기피 조성물이 포함된 기피제를 사과나무 한 주에 3개씩 총 20주에 설치하여 시험을 개시하였다.
그 결과, 시험 10일 후 까치 등의 조류에 피해를 입은 과실은 무처리구가 61개, 처리구가 16개로 조사되었으며, 피해율은 무처리구 12%, 처리구 3%이었다. 기피제 설치로 피해율이 9% 감소된 것으로 확인되었다(표 2 및 도 1).
무처리 처리
총 과실수 516 528
시험 전 피해과실 25 19
시험 전 총 과실수 491 509
시험 후 피해과실 61 16
피해율 12% 3%
< 실험예 2> 기피제 조성물의 유해조수 기피효과 확인
본 발명의 기피제의 노루, 고라니 등 야생동물에 대한 기피효과 시험은 피해가 빈번히 발생하는 매실농장에서 실시하였다. 이미 1차 피해가 발생한 농장에서 매실묘목 40주를 재식하여 무처리구와 처리구로 각 20주씩 구획을 나누었다. 처리구에는 매실묘목 한 주에 기피제 1개씩 총 20주에 설치하여 시험을 개시하고 3일간 관찰하였다.
그 결과, 시험 3일 후 무처리구의 20주 중 14주가 피해를 입었으며, 처리구의 20주는 전혀 피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본 발명의 기피제는 노루 및 고라니에 대하여 기피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2).
< 실험예 3> 기피제 조성물의 해충 기피효과 확인
본 발명의 기피제의 해충, 특히 진딧물에 대한 기피효과 시험은 목화진딧물이 발생하기 시작한 딸기농장에서 딸기묘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정식 전의 딸기묘를 1주씩 넣은 소형 박스 15개를 준비하고, 5개씩을 한 처리구로 하여 무처리구, 실험군 6의 시료를 넣은 처리구, 실험군 7의 시료를 넣은 처리구 등, 총 세 처리구를 두었다. 시료를 넣은 처리구는 박스 당 30 g의 기피제 조성물을 투입하였으며, 모든 처리구의 박스 윗부분은 개방하였다. 그리고 시험 일주일 뒤 목화진딧물 관찰 여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무처리구에서는 딸기묘 5주 모두 목화진딧물이 관찰되었으나, 실험군 6과 7의 처리구는 목화진딧물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표 3). 따라서, 본 발명의 기피제는 해충 기피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무처리구 실험군 6 처리구 실험군 7 처리구
딸기묘 1 × ×
딸기묘 2 × ×
딸기묘 3 × ×
딸기묘 4 × ×
딸기묘 5 × ×
목화진딧물 관찰 : ○
목화진딧물 관찰되지 않음 : ×

Claims (14)

  1. 94 내지 98 중량부의 목초액;
    1 내지 3 중량부의 식물 추출물; 및
    1 내지 3 중량부의 고분자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식물 추출물은 님 및 고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의 추출물이고,
    상기 고분자물질은 키토산 및 폴리아크릴산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며,
    겔상으로 고형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조수 및 해충 기피제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목초액은 침엽수, 활엽수, 교목, 관목, 상록수, 낙엽수, 상록침엽수, 낙엽침엽수, 상록활엽수, 낙엽활엽수, 및 초목의 잎, 줄기, 뿌리, 열매, 꽃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조수 및 해충 기피제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목초액은 참나무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조수 및 해충 기피제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목초액은 참나무를 연소시켜 발생되는 연기를 포집하고 응축시켜 제조한 액체생성물을 분류 및 정제한 목초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조수 및 해충 기피제 조성물.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해조수 및 해충은 멧돼지, 노루, 고라니, 너구리, 청설모, 쥐, 까치, 까마귀, 비둘기, 응애, 진딧물, 모기, 바퀴벌레, 바구미, 흰개미, 지네 및 그리마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조수 및 해충 기피제 조성물.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의 수용액, 헥산,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조수 및 해충 기피제 조성물.
  11. 청구항 1의 기피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유해조수 및 해충 퇴치구.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퇴치구는 개폐 가능한 용기의 전면부에 다수개의 구멍이 뚫려 있고 상부에 고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의 내부에 청구항 1의 기피제 조성물이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치구.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용기 후면부에 시각에 의한 접근 방지용 홀로그램 시트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치구.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유해조수 및 해충은 멧돼지, 노루, 고라니, 너구리, 청설모, 쥐, 까치, 까마귀, 비둘기, 응애, 진딧물, 모기, 바퀴벌레, 바구미, 흰개미, 지네 및 그리마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치구.
KR1020120035984A 2012-04-06 2012-04-06 목초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해조수 및 해충 기피제 조성물 KR101274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984A KR101274728B1 (ko) 2012-04-06 2012-04-06 목초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해조수 및 해충 기피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984A KR101274728B1 (ko) 2012-04-06 2012-04-06 목초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해조수 및 해충 기피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4728B1 true KR101274728B1 (ko) 2013-06-17

Family

ID=48866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984A KR101274728B1 (ko) 2012-04-06 2012-04-06 목초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해조수 및 해충 기피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472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7622A (ko) 2015-08-07 2017-02-15 송화섭 목초액에서 초산 등의 유기산 비율을 기존대비 150~400%상승 농축, 혼합한 탄저병 등 식물 질병 예방 조성물
KR102221700B1 (ko) 2020-10-07 2021-03-02 이준 천연 해충 퇴치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천연 해충 퇴치제
KR102321963B1 (ko) * 2021-04-26 2021-11-04 (주)세기에어시스템 우수한 강도와 동물기피효과를 가진 종이소재의 농업용 피복재
KR20220042263A (ko) * 2020-09-26 2022-04-05 김연한 목초액을 주성분으로 하는 벌레 살충 및 기피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5923A (ko) * 2007-11-29 2009-06-03 대은엠비코(주) 천연 물질을 이용한 무독성 살충제 제조 방법
KR20120021466A (ko) * 2010-08-02 2012-03-09 양승희 목초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해충 기피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5923A (ko) * 2007-11-29 2009-06-03 대은엠비코(주) 천연 물질을 이용한 무독성 살충제 제조 방법
KR20120021466A (ko) * 2010-08-02 2012-03-09 양승희 목초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해충 기피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7622A (ko) 2015-08-07 2017-02-15 송화섭 목초액에서 초산 등의 유기산 비율을 기존대비 150~400%상승 농축, 혼합한 탄저병 등 식물 질병 예방 조성물
KR20220042263A (ko) * 2020-09-26 2022-04-05 김연한 목초액을 주성분으로 하는 벌레 살충 및 기피제
KR102433133B1 (ko) 2020-09-26 2022-08-19 김연한 목초액을 주성분으로 하는 벌레 살충 및 기피제
KR102221700B1 (ko) 2020-10-07 2021-03-02 이준 천연 해충 퇴치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천연 해충 퇴치제
KR102321963B1 (ko) * 2021-04-26 2021-11-04 (주)세기에어시스템 우수한 강도와 동물기피효과를 가진 종이소재의 농업용 피복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40940B (zh) 一种粘虫胶及其制备方法
KR101274728B1 (ko) 목초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해조수 및 해충 기피제 조성물
KR101181454B1 (ko) 액상형 동물 및 조류 퇴치용 조성물
CN109526977B (zh) 一种具有强内吸传导特性和触杀作用的防治天牛的高效膏剂及其使用方法
Kamatenesi-Mugisha et al. Oral acute toxicity study of selected botanical pesticide plants used by subsistence farmers around the Lake Victoria Basin
JP2005306742A (ja) チップ状植物害虫忌避具
KR20200072777A (ko) 천연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가지는 닭진드기 살비제 조성물
CN103039520A (zh) 一种防治树木蛀虫药膏
KR101954909B1 (ko)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 해충 방제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06400A (ko) 족도리풀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살충활성 조성물
KR101468450B1 (ko) 해충 방제용 부직포형 페로몬 방출기 및 이의 용도
KR20130092348A (ko) 액상형 동물 및 조류 퇴치용 조성물
JPH05213711A (ja) 生理活性抑制剤
CN109874809B (zh) 一种园林绿化树干驱虫用药包
CN110447663B (zh) 一种具有驱避兔害作用的树木防护剂及其制备方法
CN109258683B (zh) 一种具有内吸传导作用的防治天牛的药膏及其使用方法
KR20110114514A (ko) 은행나무 추출 유해 곤충 퇴치 조성물
CN106258663A (zh) 一种适于东北地区冬季温室韭菜根蛆的防治方法
Nene Fumigation of plants in Vrikshayurveda
JP2002220306A (ja) 防虫用ロープ、防虫用ロープ装置及び防虫用ネット並びに簡易防虫装置
CN112544312B (zh) 一种茶园高效诱杀绿盲蝽的方法
KR100583634B1 (ko) 해충 퇴치용 조성물
KR102006309B1 (ko) 기피제 및 이의 제조 방법
JP3716092B2 (ja) 虫忌避剤
KR20230065827A (ko) 농가의 야생동물 및 해충 퇴치를 위한 복합 기능의 방제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