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4514A - 은행나무 추출 유해 곤충 퇴치 조성물 - Google Patents

은행나무 추출 유해 곤충 퇴치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4514A
KR20110114514A KR1020110091324A KR20110091324A KR20110114514A KR 20110114514 A KR20110114514 A KR 20110114514A KR 1020110091324 A KR1020110091324 A KR 1020110091324A KR 20110091324 A KR20110091324 A KR 20110091324A KR 20110114514 A KR20110114514 A KR 20110114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kgo biloba
extract
leaves
ginkgo
flow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1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곤
Original Assignee
이영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곤 filed Critical 이영곤
Priority to KR1020110091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4514A/ko
Publication of KR20110114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45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01N25/06Aeros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8Vapour or smoke emitting compositions with delayed or sustained releas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6Coniferophyta [gymnosperms], e.g.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6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2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containing insect repel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11/02Solvent extraction of sol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rm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은행 잎(銀杏-)나무에서 개화하는 꽃이나 잎, 줄기, 열매에서 추출 되는 모기 및 해충 퇴치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예로부터 해충 특히 유해 곤충 퇴치에 효과가 매우 우수한 효능이 있는 은행나무의 꽃, 잎, 열매, 줄기를 이용한 정유(꽃, 잎, 줄기, 뿌리, 열매 등에서 얻어지는 휘발성의 기름) 추출물을 만들어 유해 곤충 퇴치 소재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은행나무 추출 유해 곤충 퇴치 조성물 {Ginkgo extract harmful insects}
본 발명은 상기하였듯이 은행나무의 꽃이나 나무, 열매, 줄기 등에서 정유로 추출되는 모기 및 해충 퇴치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예로부터 해충 퇴치에 효과가 매우 우수한 효능이 있는 은행나무의 꽃, 잎, 열매, 줄기를 이용한 정유(꽃, 잎, 줄기, 뿌리, 열매 등에서 얻어지는 휘발성의 기름) 추출물을 만들어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 유해 곤충 퇴치 소재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최근 지구 온난화와 최근 무더운 날씨로 모기 출현 시기가 예전보다 무척 빨라진 것은 번식 및 활동 시기가 앞당겨졌기 때문이며 아파트 단지를 비롯한 도심지의 주택가 등지에서 월동하는 모기가 늘고 있는 것도 한 원인으로 지적된다.
보건당국 관계자는 "주택가에서 겨울을 나는 모기가 늘고 있고 지구 온난화로 이들의 활동 시기가 빨라지는 것으로 보인다."라며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하고 주택가 인근의 방역을 철저히 해야 한다."라고 당부했다.
이처럼 극성인 모기나 유해 곤충을 잡기 위하여 현재 유통중인 가정용 모기 살충제로는 분무형 살충제인 에어로졸, 모기향, 전자 모기향인 매트, 액체 전자 모기향인 리퀴드, 바르는 유해 곤충 퇴치 약품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유해 곤충 퇴치 약품이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상기 유해 곤충 퇴치 약품은 다른 성분과 더불어 곤충을 죽이는데에 사용되는 이미 프로트린 이라는 성분이 있으며 100g중 살충원액 37g(이미 프로트린), 퍼매 트린 0.1g, 프탈트린 0.3g 분사 제와 액화석유가스 63g의 화합물로 이루어진다.
이 성분은 유해 곤충 퇴치 약품뿐만 아니라 바퀴벌레약이나 살충제등에도 포함되어있어 공기 중에 퍼져 냄새가 심하고 밀폐된 공간에서 사용시 상기 이미 프로트린 성분에 중독되어 환각 증세 등을 나타낼 수도 있다.
상기하였듯이 이처럼 종래의 모기향과 약품은 인체에 해가 심하고 특히 뿌리는 약품 등은 다량으로 흡입하거나 마셨을 경우 인체에 아주 치명적이므로 반드시 치료를 받아야한다.
또한 피우는 모기향도 고무나무와 같은 나뭇가루에 살충제를 섞어서 고형화시킨 것으로 피레트로이드계 화합물인 ‘알레트린’이 주성분으로 쓰이며 피레트로이드계 살충성분은 햇빛에 의해 분해가 잘 안 돼 약효가 오래 지속 되지만 좁은 방이나 밀폐된 공간에서 사용하면 공기 중 농도가 높아져 일시적인 마비현상이나 두통, 비염, 천식 등의 신체 이상이 올 수 있으며 밀폐된 공간에서 사용시 당연히 인체에 유해하게 된다. 현재 모기향은 의약외품으로 구분돼 있으며 안전성 여부는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평가하고 있다.
식약청 관계자는“정식으로 허가받은 모기향의 경우 허가사항대로 밀폐상태를 피하고 환기시킨 상태에서 사용한다면 안전성에는 큰 문제가 없다.”라고 말했다.
모기향을 사용할 때 환기상태에서 사용해야 한다는 전제를 두고 있지만 이는 결국 모기향의 주성분인 알레트린이 우리 인체에 썩 좋지 않은 것만은 사실인 셈이다.
에어로졸 형태의 약품은 살충제와 살충제를 녹이는 유기용매 그리고 LPG 가스로 이루어져 있다. 살충성분으로는 피레트로이드 계인 퍼메트린, 알레트린, 페노트린, 프탈트린, 에스바이올 등의 살충성분이 주로 쓰인다.
퍼메트린은 모기뿐만 아니라 바퀴, 개미, 집파리 등 모든 벌레에 살충효과가 크고 사람이나 동물에는 흡수되지 않고 자연계에서 자연분해돼 축적되지 않아 안전하다고 하지만 환경호르몬으로 조사됐다.
가정에서 살충제를 뿌리면 살충제의 각종 성분물질이 피부나 호흡기 등의 여러 경로를 통해 결과적으로 인체에 들어오게 된다.
본원은 전술하였듯이 은행나무에서 열리는 잎, 꽃열매등을 이용한 곤충 퇴제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은행 나무에서는 플라보노이드 (flavonoid)라는 물질이 다량으로 존재하고 있다.이 플라보노이드는 식물의 그룹, 맥관식물의 다양한 곳에 존재하며 자연에서 색을 내는데도 관여한다.
플라보노이드는 또한 감염과 치료를 위해 그리고 정상적인 식물의 성장. 분화에 중요하다. 이러한 자연물은 세계의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 이후 많은 사람에게 활성성분을 제공해주고 있다. 플라보노이드의 상호작용은 면역반응. 혈관 벽의 상호작용 (blood vesselwall-interactions). 백혈구. 사람 혈소판에서 플라보노이드의 항 암 작용과 흉선 호르몬의 조절 작용이다.
플라보노이드는 클로로필과 카로티노이드 다음으로 식물계의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는 색소이며 플라보노이드의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플라보노이드는 전형적인 페놀 화합물이므로 유효한 항산화제와 금속 킬레이로 작용한다.
둘째, 플라보노이드는 방향족 화합물과 결합함으로써 파괴력이 있는 자외선에 대해
차단제로 생리적으로 활동이 있는 가시광선(350 450nm)의 저하제로써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특성뿐만 아니라 고등식물과 동물 간의 중요한 상호작용
(꽃가루와 열매를 맺음)을 위한 색 신호 작용한다.
셋째, 플라보노이드는 바이러스. 박테리아. 균체 및 동물급식. 재생산. 성장 및 발달 등에 관여한다.
넷째, 플라보노이드는 효소. 호르몬. DNA등의 생리적 중합제와 반응하거나 중금속과 킬레이트 형성 작용이 강해 전자 전달이나 유리기(free radical)의 소거작용이
있고 나아가 각종효소의 작용을 억제하여 모세혈관 투과율을 저하시킨다.
다섯째, 인삼의 진센노사이드 (ginssenoside)와 매우 유사한 방식으로 코티코
스테로이드(corticosteroid)순환을 증가시켜 주는 능력이 있다.
여섯째, 당 대사에 영향을 줌으로써, 혈당 수치를 낮춰주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면역증강 효과가 있어 항체생성. T세포 형성. 림프구 형질전환을 자극하며특히 카테킨이 작용한다.
여덟째, 항 간독성 효과가 있다. 카테킨이나 다른 플라보노이드는 간의 면역 반응 계가 파괴되어 더 이상스런 화학 물질을 파괴하지 못할 때 엔도톡신(endotoxin: 박테리아에 의해 생성된 잠재적인 간 손상 화합물)의 활성을 방지해준다.
아홉째, 플라보노이드 특히 카테킨은 정상 상태 하에서 결체 조직의 형성과 안정을
증진시키는 능력이 있다. 카테킨은 또한 뼈를 에워싸고 있는 콜라겐이 있는 결체 조직을 안정화시킴으로써 상당한 뼈 손상으로 고생하는 골 형성부전증 환자의 외관을 개선시켜 준다.
본원발명은 상기하였듯이 화학성분이 아닌 자연계인 은행나무의 꽃, 잎, 열매, 줄기에서 추출한 인체에 무해한 플라보노이드 같은 자연계 추출물을 이용하여 인체에 해로운 모기나 해충을 퇴치하는데 본원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최근 장마전선이 간헐적으로 나타나면서 곳곳에 비가 내리고 그치자 모기가 더욱 극성이라고 한다. 특히 말라리아 모기가 많아 조심해야 한다고 언론들이 전한다.
한 방송에서 은행나무 특성상 모기와 상극이라고 소개되자 인기검색어 순위가 급등했다. 은행나무 그 특유의 진한 향 때문에 모기의 접근을 막는다고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하였듯이 은행나무의 꽃, 잎, 열매, 줄기에서 추출되는 인체에 무해한 천연 모기 및 해충 퇴치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유해 곤충 퇴치에 효과가 매우 우수한 효능이 있는 은행나무의 꽃, 잎, 열매, 줄기 중 선택된 어느 한 부분을 이용한 추출 물을 만들어 유해 곤충 퇴치 소재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의 은행나무 [銀杏─, ginkgo]는 공손수(公孫樹)·행자목(杏子木)이라 하며 잎의 모양이 오리발을 닮았다 하여 압각수(鴨脚樹)라고도 한다. 중국 원산으로 현재 저장성[浙江省]에 약간 자생하고 있으며 한국·일본의 고산·고원지대를 제외한 온대에 분포한다. 높이는 5~10m이나 50m에 달하는 것도 있다.
나무껍질은 회색으로 두껍고 코르크질이며 균열이 생긴다. 가지는 긴 가지와 짧은 가지의 2종류가 있다. 잎은 대부분의 겉씨식물[裸子植物]이 침엽인 것과는 달리 은행 나무의 잎은 부채꼴이며 중앙에서 2개로 갈라지지만 갈라지지 않는 것과 2개 이상 갈라지는 것 등이 있다. 잎맥은 2개씩 갈라진다. 긴 가지에 달리는 잎은 뭉쳐나고 짧은 가지에서는 총생한다.
은행나무는 암수의 구분이 있다. 암나무는 수나무에서 날아온 꽃가루가 있어야만 열매를 맺는다. 꽃은 4월에 잎과 함께 피고 2가 화이며 수꽃은 미상꽃차례로 달리고 연한 황록색이며 꽃잎이 없고 2~6개의 수술이 있다. 암꽃은 녹색이고 끝에 2개의 밑씨가 있으며 그 중 1개가 종자로 발육한다. 화분실(花粉室)에 들어간 꽃가루는 발육하여 가을에 열매가 성숙하기 전 정자(精子)를 생산하여 장란기(藏卵器)에 들어가서 수정한다.
열매는 핵과(核果)로 공 모양같이 생기고 10월에 황색으로 익는다. 바깥껍질에서는 냄새가 나고 피부에 닿으면 염증을 일으킨다. 중과피는 달걀 모양의 원형이며 2∼3개의 능(稜)이 있고 백색이다. 열매가 살구 비슷하게 생겼다 하여 살구 행(杏)자와 중과피가 희다 하여 은빛의 은(銀)자를 합하여 은행이라는 이름이 생겼다. 이 종자를 백자(白子)라고 하며 한국에는 불교와 유교를 따라 들어왔다.
종래 유해 곤충 퇴치용 조성물에 첨가되던 성분으로는 뿌리는 것은 ‘피레드로이드와 코일형 훈증기는 알레트린’이 들어 있고, 에어로졸형에는 레스메트린이 있으나
이 성분은 모기약 뿐만 아니라 바퀴벌레약이나 살충제등에도 포함되어있어 공기 중에 퍼져 냄새가 심하고 밀폐된 공간에서 사용시 상기 이미프로트린 성분에 중독되어 환각 증세 등을 나타낼 수도 있다.
이처럼 모기향과 유해 곤충 퇴치 약등은 아주 인체에 해가심하고 특히 뿌리는 유모기약 등은 다량으로 흡입하거나 마셨을 경우 인체에 아주 치명적이며 특히, 눈에 대한 자극성이 크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기존 모기살충제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여러 가지 물질의 모기에 대한 살충력과 기피력을 실험하던 중 은행나무의 꽃, 잎, 열매 줄기 중 선택된 어느 한 부분을 이용하여 추출되는 유해 곤충 퇴치용 조성물이 인체에 안전하고 우수한 모기 및 해충 퇴치 효과가 월등함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하였듯이 은행잎(銀杏-) 나무에서 개화하는 꽃, 잎, 열매, 줄기
중 선택된 어느 한 부분을 이용하여 추출되는 모기 및 해충 퇴치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예로부터 해충 특히 유해 곤충 퇴치에 효과가 매우 우수한 효능이 있는 은행나무의 꽃을 이용한 정유(꽃, 잎, 줄기, 뿌리, 열매 등에서 얻어지는 휘발성의 기름) 추출물은 유해 곤충 퇴치 약품 용매물질 전체
중량(Weight point)100중량%에 대하여 10~50중량%가 적합하며 바람직하게는 유해 곤충 퇴치 약품 용매물질 전체 중량 100중량 %에 대하여 1~50중량%를 투입하여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 유해 곤충 퇴치 소재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은행 나무에서 추출한 유해 곤충 퇴치용 조성물은 플라보노이드’가 다량 함유되어있어 유해산소를 없애고 세포막을 보호하며 혈압을 내리는 작용을 한다. 또한, ‘징코플라톤’이란 성분이 있어서 혈액 순환을 좋게 하고, 혈전을 없애며 혈액의 노화를 방지한다.
또, 방충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부틸산(Butylene)’이 있어 잎을 책 속에 넣어두면 책에 좀이 먹지 않는다. 호흡기능을 왕성하게 하고 염증을 없애며 결핵균의 발육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폐결핵과 천식에 좋으며 자연계 천연향이므로 이를 모기나 해충 퇴치제로 사용시에 인체에 무해하며 특히 유아나 노약자 등에 안전하고 우수한 모기 및 해충퇴치 효과가 탁월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은행나무 추출 유해 곤충 퇴치 조성물에 일실시 예에 의한 개화 전 은행꽃을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은행나무 추출 유해 곤충 퇴치 조성물에 일실시 예에 의한 개화 후 땅에 떨어진 은행꽃을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은행나무 추출 유해 곤충 퇴치 조성물에 일실시 예에 의한 은행나무 열매를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은행나무 추출 유해 곤충 퇴치 조성물에 일실시 예에 의한 은행나무의 나뭇잎을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은행나무 추출 유해 곤충 퇴치 조성물에 일실시 예에 의한 은행나무의 나뭇잎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은행나무 추출 유해 곤충 퇴치 조성물에 일실시 예에 의한 노랗게 물든 은행나무의 나뭇잎을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은행나무 추출 유해 곤충 퇴치 조성물에 일실시 예에 의한 은행나무 추출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지금까지 여름 불청객인 모기 퇴치를 위해 널리 사용해 온 '화학살충제'는 환경오염은 물론 인체에 유해하고 약효도 오래가지 않은데다 비용이 드는 단점이 있었다. 본원은 은행잎의 성분 중 살충살균작용을 하는 '프라보노이드(Ginkgo-flavon glycosides)'와 '터페노이드(Ginkgolides and bilogalides)와 방충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부틸산(Butylene)등의 복합적인 작용에 의해 모기나 유해 유충이 사멸되는 원리인데 은행잎을 그물망에 담아 정화조 등 발생원에 넣어두어도 방충 효과를 볼 수가 있다고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하였듯이 은행나무의 꽃이나 잎, 열매에서 추출되는 모기 및 해충 퇴치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예로부터 해충 특히 유해 곤충 퇴치에 효과가 매우 우수한 효능이 있는 은행나무의 꽃, 잎, 열매 줄기 중 선택된 어느 한 부분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만들어 유해 곤충 퇴치 소재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은행나무 추출물은 용매물질 전체 중량 100중량%에 대하여 10~50중량(wt)%가 적합하며 바람직하게는 유해 곤충 퇴치 조성물 용매물질 전체 중량 100중량%에 대하여 1~50중량%임이 바람직하다.
본원 발명의 은행나무를 이용한 유해 곤충 퇴치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은행잎 또는 꽃 나무로부터 꽃봉오리나 열매 잎을 채집 건조시켜 은행잎을 준비하는 공정(제1단계); 상기 은행잎 은행나무의 꽃, 잎, 열매, 줄기 중 선택된 어느 한 부분을 분쇄하고 물 또는 에탄올을 포함한 유기및 무기 용매를 첨가하여 은행잎 성분을 추출하는 공정(제2단계); 상기 혼합물을 여과 또는 원심분리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제3단계); 상기 공정에서 불순물이 제거된 추출액에 함유된 용매를 증발시켜 은행나무 추출물을 제조하는 공정(제4단계); 및 상기 준비된 은행잎 추출물을 통상의 유해 곤충 퇴치조성물 전체 중량 100중량%에 대해 1~50중량%를 첨가하여 은행나무 추출물이 함유된 모기 퇴치 약품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제5단계) 상기 완성된 모기 퇴치 약품 조성물을 용기에 투입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제조되며 상기유해 곤충 퇴치 조성물은 분무형 살충제인 에어로졸, 코일 모기향, 전자 모기향인 매트, 액체 전자 모기향인 리퀴드, 바르는 모기약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하였듯이 요즘 모기떼는 겨울에도 사라지지 않을 정도로 그 생명력이 대단해졌고 가축을 기르는 농장에서는 모기로 인한 전쟁을 치르고 있을 정도이다.
통상의 모기 추출식물은 천리향, 금목서, 구몬초 등 향기가 좋은 나무들이 많이 있지만 크게 모기나 유해 곤충을 퇴치시키는 역활을 못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아래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복잡하게 하거나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간략하게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당업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본원의 은행잎의 제조방식은 통상의 바람직한 제조방법에 모두 포함될 수 있는 것이며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원 발명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은행나무 추출 유해 곤충 퇴치 조성물에 일실시예에 의한 개화 전 은행꽃을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은행나무 추출 유해 곤충 퇴치 조성물에 일실시예에 의한 개화 후 땅에 떨어진 은행꽃을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은행나무 추출 유해 곤충 퇴치 조성물에 일실시예에 의한 은행나무 열매를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은행나무 추출 유해 곤충 퇴치 조성물에 일실시예에 의한 은행나무의 나뭇잎을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은행나무 추출 유해 곤충 퇴치 조성물에 일실시예에 의한 은행나무의 나뭇잎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은행나무 추출 유해 곤충 퇴치 조성물에 일실시예에 의한 노랗게 물든 은행나무의 나뭇잎을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은행나무 추출 유해 곤충 퇴치 조성물에 일실시 예에 의한 은행나무 추출공정을 나타낸 도면으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작용없는 천연 추출물인 은행잎 또는 꽃을 유효성분으로 추출되는 유해 곤충 퇴치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은 완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시예를 실시하였다.
(실시 예 1)
준비물:무수에탄올 400g,증류수 400g,은행잎 100g, 500mL 비커, 알코올램프, 삼발이, 철망, 500mL 둥근 바닥 플라스크, 얼음,
1, 은행잎을 따서 15일정도 그늘에서 말리어 수분을 없앤다.
2, 은행잎을 1cm내외로 잘게 잘라 먼저 큰 비커에 담는다.
3, 비커에 은행잎이 잠길 정도로 증류수를 붓는다.
4, 큰 비커 가운데에 작은 비커를 넘어지지 않도록 집어 놓는다.
5, 잘게 부순 얼음을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가득 넣고 큰 비커 위에 올려놓는다.
6, 알코올 램프에 불을 붙여 은행잎이 담긴 비커를 30~40분간 가열한다.
상기 은행잎을 가열할 때 눌어붙거나 타지 않도록 약한 불에 서서히 가열하였다.
7, 은행잎이 작은 비커에 반정도 모이면 알코올 램프를 끈다.
8, 은행잎 추출물을 식혀서 여기에 자스민 향5g를 투입하고 상기 무수 에탄올과 2:1 정도로 섞어서 몸에 뿌려보았다.
본 발명자는 고액의 비용을 들이고 전문 실험기관에서 본 실험을 할 수가 없었고
아래의 실험은 본 발명자 가족들을 대상으로 관악산과 놀이터 등에서 모기 기피 실험을 실시하여 보았고 대조군으로 시중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 허브에이지
와 이모스제로와 인진 쑥 천연수, 구몬초 추출액을 대조군으로 실시하였고 하기와
같은 실험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관악산에서 실험-
모기기피제종류
날짜
나이
허브에이지 이모스제로 인진쑥천연수 구몬초 추출액 은행잎 추출스프레이
07월19일19시 07월20일19시 30분 07월26일19시 07월29일20시 08월02일20시
45세 남성 1(모기물림수) 1 2 2 0
42세 여성 1 2 3 2 0
17세 남학생 2 2 2 3 0
17세 여학생 2 2 3 2 0
12세 남학생 2 3 2 2 0
12세 여학생 3 3 2 2 0
4세 남아 3 3 4 3 0
4세 여아 3 4 3 2 0
-신림5동 놀이터에서 실험-
모기기피제종류
날짜
나이
허브에이지 이모스제로 인진쑥천연수 구몬초 추출액 은행잎 추출스프레이
07월20일19시 07월21일20시 07월27일20시 07월30일21시 08월03일20시
45세 남성 2(모기물림수) 2 1 1 0
42세 여성 1 1 2 3 0
17세 남학생 1 3 3 3 0
17세 여학생 2 2 2 3 0
12세 남학생 3 2 3 1 0
12세 여학생 2 2 2 1 0
4세 남아 4 3 3 3 0
4여 유아 3 3 4 3 0
상기에서 실험한 결과 본원의 은행잎은 그 향기가 그윽하였으며 유아가 사용하여도 알레르기반응을 나타내지않았으며 또한 본원의 은행잎을 몸에 뿌리고 당일 모기매트를 키지않고 문을 열고 취침을 하였으나 단 한 마리의 모기도 물리지 않았고 그 다음날에도 상기 제조된 은행잎 추출물을 뿌린 후 모기가 많이 출몰하는 음식물 쓰레기통과 공원을 1시간 동안 실험자들과 다녀보았는데 신기하게도 단 한방의 모기도 쏘이지 않았으며 본원의 은행잎을 모기 기피제로 널리 사용하여 모기나 해충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할 수 있는 확신 성을 얻을 수 있었다.
상기의 실험용 은행잎 추출법은 분리 또는 여과방법을 이용하여 불순물이 제거된 은행잎 추출액을 추출하여 스프레이로 몸에 3회에 걸쳐서 분사하였으며;
상기 추출액을 추가적인 정제공정을 통해 그대로 사용하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으로 더욱 활성이 있는 분획을 따로 추출하여 유해 곤충 퇴치조성물 제조에 이용할 수 있다.
즉, 은행잎 또는 꽃으로부터 미개화 꽃봉오리나 열매, 줄기 등을 채집 건조시켜 은행잎 또는 꽃을 준비하는 공정(제1단계); 상기 은행잎 또는 꽃을 분쇄하고 물 또는 유기및 무기 용매를 첨가하여 은행잎 또는 꽃 성분들을 추출하는 공정(제2단계); 상기 혼합물을 여과 또는 원심분리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제3단계); 상기 공정에서 불순물이 제거된 추출액에 함유된 용매를 증발시켜 은행잎 또는 꽃 추출물을 제조하는 공정(제4단계); 및 상기 준비된 은행잎 또는 꽃 추출물을 통상의 유해 곤충 퇴치 조성물에 전체중량 100중량%에 대해 1~50중량% 첨가하여 은행잎 또는 꽃 추출물이 함유된 유해 곤충 퇴치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제5단계)을 포함한다.
은행잎 또는 꽃은 채집되는 산지, 채집시기 등에 따라 그로부터 분리된 추출물의 성분 및 활성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이는 다른 일반적인 생약 초의 경우에도 예상되는 것이다. 또한, 채집된 은행잎 또는 꽃은 그늘에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 한데, 이는 왜냐하면 햇빛에 의해 은행잎 또는 꽃의 유효성분들이 휘발 되거나 파괴 변성될 수 있으므로 그 효과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건조된 은행잎 또는 꽃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용매물질로는 물 또는 유기및 무기 용매,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코올,호호바, 부탄올 등과 같은 저급 알코올류, 아세톤, 초산 에틸 등의 에스테르류, n~핵산, 클로로포름 등의 용매 중 선택된 하나 또는 적어도 둘 이상의 혼합 용매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용매를 이용한 추출방법은 당 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각종 용매를 건조된 은행잎 또는 꽃 분말에 일정량 첨가하여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환류 냉각기가 설치된 맨틀에서 일정시간 가열한다. 은행잎 또는 꽃의 용매 추출물에는 찌꺼기 상태의 은행잎 또는 꽃 분쇄 찌꺼기가 추출물과 액상으로 섞여있어 혼합액을 적절한 여과기로 여과시켜 은행잎 또는 꽃 추출물 용매만으로 된 추출액을 추출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액에 대하여 용매를 바람직하게는 약 0.005~1기압에서 40~70℃ 조건으로 증발시켜 추출물을 추출한다.
이때, 증발온도를 높게 할수록 추출물에 화학 변화가 야기되거나 감압시 유출되는 공기에 추출물 주요성분이 함께 빠져나갈 우려가 있기 때문에 적절한 증발조건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정에 의해 추출된 은행나무 추출물을 유해 곤충 퇴치조성물에 첨가하여
유해 곤충 퇴치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유해 곤충 퇴치를 목적으로 은행잎 또는 꽃 추출물을 사용할 때 유해 곤충 퇴치조성물 전체 중량 100중량%로 10~50중량%가 효과적이며, 본원의 권리범위를 넓게하기위해서는 바람직하게는 1~50중량 %가 더욱 바람직하며 당업자는 이를 인지하여야한다.
상기 실시 예에서 사용한 수증기 증류법을 이용해 소량의 은행잎 또는 꽃 정유(꽃, 잎, 줄기, 뿌리 등에서 얻어지는 기름)를 얻었으며 이를 스프레이로 사용하여보았고 모기가 기피하는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상기의 실시예의 추출방법은 널리 알려진 통상적인 기술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본원의 은행잎의 개략적인 추출방법을 기술하였다.
또한, 본원 발명은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원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20: 은행나무 40: 은행잎
60: 은행나무 열매 80: 은행나무꽃
100: 은행나무가지

Claims (6)

  1. 통상의 유해 곤충 퇴치 조성물에 있어서,
    은행나무의 꽃이나 잎, 열매, 가지, 뿌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채집 건조시켜
    은행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추출하여 첨가하되 상기 은행나무 추출물은 유해 곤충 퇴치 약품 조성물 또는 용매물질 전체 중량 100중량(wt)%에 대하여 1~50중량%가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나무 추출 유해 곤충 퇴치 조성물.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은행나무 추출물은 은행나무의 꽃, 잎, 가지, 열매, 뿌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추출하며 상기 약품 용매물질 전체 중량 100중량%에 대하여 상기 선택된 은행 나무 추출물이 1~50중량%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나무 추출 유해 곤충 퇴치 조성물.
  3.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은행나무의 꽃이나 잎, 열매,가지,뿌리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채집 건조시켜 추출을 준비하는 공정(제1단계); 상기 은행잎 또는 꽃이나 잎, 열매를 분쇄하고 물 또는 에탄올을 포함한 유기및 무기 용매를 첨가하여 은행나무 성분들을 추출하는 공정(제2단계); 상기 혼합물을 여과 또는 원심분리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제3단계); 상기 공정에서 불순물이 제거된 추출액에 함유된 용매를 가열 또는 증발시켜 은행나무 성분을 추출하는 제조하는 공정(제4단계); 및 상기 준비된 은행나무 추출물을 유해 곤충 퇴치 조성물 전체 중량 100중량%에 대해 1~50중량% 상기 은행나무 추출물을 첨가 혼합하여 은행나무 추출물이 함유된 모기 퇴치 약품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제5단계) 상기 완성된 모기 퇴치 약품 조성물을 용기에 투입하는 혼합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나무 추출 유해 곤충 퇴치 조성물.
  4.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은행잎 또는 꽃이 투입된 유해 곤충 퇴치 조성물은 에어로졸, 스프레이, 코일 모기향, 전자매트, 밴드, 패치, 액체 리퀴드, 바르는 모기약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나무 추출 유해 곤충 퇴치 조성물.
  5.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건조된 은행잎 또는 꽃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해서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코올,호호바, 부탄올, 아세톤, 초산 에틸,에스테르류, n~핵산, 클로로포름을 포함한 물 또는 유기및 무기 용매 물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매가 상기 은행나무 추출 용매물질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나무 추출 유해 곤충 퇴치 조성물.
  6. 은행나무의 꽃이나 잎, 열매, 가지, 뿌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채집 건조와 가열시켜 은행나무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한 정유를 추출하고 이를 용매물질과 일정량 혼합하여 유해 곤충 퇴치재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나무 추출 유해 곤충 퇴치 조성물.
KR1020110091324A 2011-09-08 2011-09-08 은행나무 추출 유해 곤충 퇴치 조성물 KR201101145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324A KR20110114514A (ko) 2011-09-08 2011-09-08 은행나무 추출 유해 곤충 퇴치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324A KR20110114514A (ko) 2011-09-08 2011-09-08 은행나무 추출 유해 곤충 퇴치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4514A true KR20110114514A (ko) 2011-10-19

Family

ID=45029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1324A KR20110114514A (ko) 2011-09-08 2011-09-08 은행나무 추출 유해 곤충 퇴치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451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614B1 (ko) * 2012-09-26 2014-09-17 박화목 은행잎 물 숙성물을 함유하는 살충제 또는 비료 조성물
KR20150045640A (ko) * 2013-10-21 2015-04-29 한국식품연구원 건조 처리를 이용한 은행 외과피의 혐오취 저감 방법
WO2022045477A1 (ko) * 2020-08-26 2022-03-03 주식회사 자연애 은행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용 해충 또는 동물 기피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614B1 (ko) * 2012-09-26 2014-09-17 박화목 은행잎 물 숙성물을 함유하는 살충제 또는 비료 조성물
KR20150045640A (ko) * 2013-10-21 2015-04-29 한국식품연구원 건조 처리를 이용한 은행 외과피의 혐오취 저감 방법
WO2022045477A1 (ko) * 2020-08-26 2022-03-03 주식회사 자연애 은행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용 해충 또는 동물 기피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26839A (ko) * 2020-08-26 2022-03-07 주식회사 자연애 은행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용 해충 또는 동물 기피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31686B (zh) 一种植物源农药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075779B1 (ko) 천연 살균 탈취제
KR101276241B1 (ko) 해충퇴치제 제조방법
CN109479904B (zh) 中山杉精油在农业害虫防治中的应用
KR20200072777A (ko) 천연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가지는 닭진드기 살비제 조성물
KR20150029881A (ko) 모기 기피 조성물
KR20110114514A (ko) 은행나무 추출 유해 곤충 퇴치 조성물
KR101604109B1 (ko) 야외활동용 천연화장료조성물
KR101029486B1 (ko) 야래향모기 퇴치밴드
KR101029485B1 (ko) 야래향 모기 퇴치패드
CN101574095A (zh) 烟鸦环保农药及其光色味诱杀剂
KR102206192B1 (ko) 원예용 친환경 해충 퇴치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원예용 친환경 해충 퇴치제
KR102119631B1 (ko) 제충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친환경 파리 살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02009U (ko) 야래향 모기약
KR101043182B1 (ko) 향수
KR20100031812A (ko) 야래 향 첨가 토시
KR101099994B1 (ko) 스타킹
KR101273925B1 (ko) 친환경 기능성 살충 조성물
KR20100023236A (ko) 야래 향 향수
KR102540101B1 (ko) 수면처리와 토양처리가 가능한 작물해충에 대한 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89418B1 (ko) 야래 향 첨가 화장품
KR102107457B1 (ko) 인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진딧물 퇴치용 조성물
KR20100015144A (ko) 야래 향 나무 추출 조성물
KR20100021547A (ko) 야래향추출모기약
KR102006309B1 (ko) 기피제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