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1812A - 야래 향 첨가 토시 - Google Patents

야래 향 첨가 토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1812A
KR20100031812A KR1020080090613A KR20080090613A KR20100031812A KR 20100031812 A KR20100031812 A KR 20100031812A KR 1020080090613 A KR1020080090613 A KR 1020080090613A KR 20080090613 A KR20080090613 A KR 20080090613A KR 20100031812 A KR20100031812 A KR 20100031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ented
extract
toshi
mosquitoes
flow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0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원동
Original Assignee
양원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원동 filed Critical 양원동
Priority to KR1020080090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1812A/ko
Publication of KR20100031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18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30Antimicrobial, e.g. antibac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2/00Multi-step production lines for making cloth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4/00Graft polymerisation of monomers contain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n to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4/02Graft polymerisation of monomers contain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n to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on to materials of natural origin
    • D06M14/04Graft polymerisation of monomers contain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n to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on to materials of natural origin of vegetal origin, e.g. cellulose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6Deoderising or perfu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팔에 착용하는 토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직장인들이 와이셔츠의 소매깃의 오염방지나 골프나 등산, 사이클, 인라인 시에 팔의 보호나 햇볕에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팔뚝에 착용하는 토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야래 향 (夜來香) 나무에서 추출되는 정유를 첨가한 토시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해충 특히 모기기피와 퇴치에 효과가 매우 우수한 효능이 있는 야래 향 나무를 이용한 정유(꽃, 잎, 줄기, 뿌리 등을 추출하여 얻어지는 기름) 추출물을 만들어 토시에 첨가하여 사용하여 착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야래 향, 모기퇴치, 향기, 토시, 팔뚝, 팔

Description

야래 향 첨가 토시{Cestrum nocturnum extraction wristlets}
본 발명은 상기하였듯이 야래 향 나무에서 추출되는 정유가 첨가된
토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예로부터 해충 특히 모기퇴치에 효과가 매우 우수한 효능이 있는 야래 향 나무를 이용한 정유(꽃, 잎, 줄기, 뿌리 등을 추출하여 얻어지는 기름) 추출물을 만들어 팔목에 착용하는 토시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최근 지구 온난화와 최근 무더운 날씨로 모기 출현 시기가 예전보다 무척 빨라진 것은 번식 및 활동 시기가 앞당겨졌기 때문이며 아파트 단지를 비롯한 도심지의 주택가 등지에서 월동하는 모기가 늘고 있는 것도 한 원인으로 지적된다.
보건당국 관계자는 "주택가에서 겨울을 나는 모기가 늘고 있고 지구 온난화로 이들의 활동 시기가 빨라지는 것으로 보인다."라며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하고 주택가 인근의 방역을 철저히 해야 한다."라고 당부했다.
이처럼 극성인 모기를 잡기 위하여 현재 유통중인 가정용 모기 살충제로는 분무형 살충제인 에어로졸, 모기향, 전자 모기향인 매트, 액체 전자 모기향인 리퀴드, 바 르는 모기약 등과 같은 다양한 모기약이 있다.
상기 모기약은 다른 성분과 더불어 곤충을 죽이는데에 사용되는 이미 프로트린 이라는 성분이 있으며 100중량%중 살충원액 37중량%(이미 프로트린), 퍼매 트린 0.1중량%, 프탈트린 0.3중량% 분사제와 액화석유가스 63중량%의 화합물로 이루어진다.
이 성분은 모기약뿐만 아니라 바퀴벌레약이나 살충제등에도 포함되어있어 공기 중에 퍼져 냄새가 심하고 밀폐된 공간에서 사용시 상기 이미 프로트린 성분에 중독
되어 환각 증세 등을 나타낼 수도 있다.
이처럼 모기향과 모기약은 아주 인체에 해가심하고 특히 뿌리는 모기약 등은 다량으로 흡입하거나 마셨을 경우 인체에 아주 치명적이므로 반드시 치료를 받아야한다 또 모기향도 고무나무와 같은 나뭇가루에 살충제를 섞어서 고형화시킨 것으로 피레트로이드계 화합물인 ‘알레트린’이 주성분으로 쓰이며 피레트로이드계 살충성분은 햇빛에 의해 분해가 잘 안 돼 약효가 오래 지속 되지만 좁은 방이나 밀폐된 공간에서 사용하면 공기 중 농도가 높아져 일시적인 마비현상이나 두통, 비염, 천식 등의 신체 이상이 올 수 있으며 밀폐된 공간에서 사용시 당연히 인체에 유해하게 된다.
현재 모기향은 의약외품으로 구분돼 있으며 안전성 여부는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평가하고 있다.
식약청 관계자는“정식으로 허가받은 모기향의 경우 허가사항대로 밀폐상태를 피하고 환기시킨 상태에서 사용한다면 안전성에는 큰 문제가 없다.”라고 말했다.
모기향을 사용할 때 환기상태에서 사용해야 한다는 전제를 두고 있지만 이는 결국 모기향의 주성분인 알레트린이 우리 인체에 썩 좋지 않은 것만은 사실인 셈이다.
에어로졸 형태의 모기약은 살충제와 살충제를 녹이는 유기용매 그리고 LP중량% 가스로 이루어져 있다. 살충성분으로는 피레트로이드 계인 퍼메트린, 알레트린, 페노트린, 프탈트린, 에스바이올 등의 살충성분이 주로 쓰인다.
퍼메트린은 모기뿐만 아니라 바퀴, 개미, 집파리 등 모든 벌레에 살충효과가 크고 사람이나 동물에는 흡수되지 않고 자연계에서 자연분해돼 축적되지 않아 안전하다고 하지만 환경호르몬으로 조사됐다.
가정에서 살충제를 뿌리면 살충제의 각종 성분물질이 피부나 호흡기 등의 여러 경로를 통해 결과적으로 인체에 들어오게 된다.
본원발명은 상기하였듯이 화학성분이 아닌 야래 향 나무꽃에서 추출한 인체에 무해한 자연계추출물을 팔목에 착용하는 토시에 투입하여 인체에 해로운 모기나 해충을 퇴치하는데 본원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원 발명의 토시 (stocking)의 사전적 의미는 취음(取音)으로 투수(套袖)와
토수(吐手)에서 나온 말이며 저고리 소매 비슷하게 생겼는데 한끝은 좁고 다른 한끝은 넓은 구조로 되어있다.
토시는 겨울용과 여름용이 있으며 겨울용은 추위를 막기 위해서 털, 비단, 무명, 교직 등을 겹으로 만들어 끼었으며, 여름용은 저고리 소매 안쪽에 땀이 묻지 않고 시원한 바람이 들어가도록 한 것으로 등나무 또는 말총 등으로 만들었다.
상기의 팔 토시는 모양과 재료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① 털토시: 외출할 때 남녀가 다 끼며 색으로 남녀를 구별되며 귀족층에서는 비단에 고급 털을 대서 만들어 썼다.
② 누비토시: 겨울용으로 솜토시, 누비토시 등을 사용하고 봄과 가을에는 겹토시, 여름에는 모시, 항라 등으로 만든 홑토시를 꼈다.
③ 등 토시: 조선 후기에는 여름철에 적삼 속에 땀이 배지 않고 시원하게 하기 위하여 등나무로 만들어 끼었다.
④ 마제굽토시: 말발굽 모양으로 생겼다 하여 붙은 이름으로 이러한 토시는 갑오개혁(1894) 이후 외래 물결이 상륙하면서부터 차차 밀려나기 시작했다. 셔츠, 양말, 장갑 등이 보급되면서 퇴조하기 시작하여 1950년대 후반에는 노인들 일부에서만 사용하다가 현재는 거의 찾아볼 수 없었으나 최근 사무실 등에서 와이셔츠의 소매깃의 오염을 방지하거나 작업장 등에서 팔목 등의 상처방지를 위한 수단과 최근 골프나 등산 레저활동시에 팔이 햇볕에 그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꾸준하게 사용되고 있는 현실이다.
최근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전 세계적으로 각종 전염병이 유행할 것이라는 학자들의 경고가 이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모기가 옮기는 질병 확산이 가장 큰 걱정이다. 모기는 기온이 높아지면 알이 부화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단축되어 급속히 개체 수를 늘릴 수 있기 때문이다.
모기와 대항하기 위한 인간의 방어 수단도 꾸준히 발달해 왔다.
초기에는 국화과 다년초인 제충국에서 추출한 ‘피레드린’ 성분이 주된 화학 무기였다. 이는 제충국 주변에서 곤충들이 맥을 못 추고 죽어가는 현상에 착안해 개발 된 것이었는데, 제조국에서 생산할 수 있는 피레드린 양이 인해전술을 구사하는 모기를 막아내기에는 턱없이 부족했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피레드린의 약효를 발휘하는 ‘피레드로이드’라는 화학 물질을 인공적으로 합성해냈는데, 이 물질이 오늘날 대부분의 모기약에 사용되고 있다.
최근 코일형 모기향과 최근 보급이 늘어나고 있는 매트형, 액체형 전자 모기향에는 피레드로이드계 화합물의 하나인 ‘알레트린’이 들어 있고, 에어로졸형에는 ‘레스메트린’이라는 살충제 성분이 첨가되어 있다. 이들 화학 물질은 모기의 신경계를 손상시켜 신경 마비와 운동 장애를 유발한다. 그런데 이들은 모기만 잡는 것이 아니라 사람도 함께 잡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이어지고 있다.
2003년 미국, 중국, 말레이시아 연구진이 조사한 결과에 의하면 코일 형식의 모기향 한 개를 실내에서 다 태웠을 경우 담배 약 100개비를 피웠을 때 발생하는 것과 같은 양의 미세 분진과 50개비 담배 분량의 ‘포름알데히드’가 발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코일형 모기향을 태울 때 배출되는 직경 2.5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미세 분진은 천식과 같은 호흡기계 질환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고, 포름알데히드는 최근 우리 나라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새집 증후군’의 대표적 원인 물질로서 동물 실험에서는 암을 일으키는 것으로 조사된 물질이다.
매트형 모기향이나 액체형 모기향은 코일형 모기향보다는 독성 물질을 적게 내뿜도록 설계되어 있어, 그 피해는 코일형보다 적을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장기간 노출될 경우 일부 사람들에게 천식, 구토, 설사, 근육 마비, 과다 흥분, 피로, 혼수 상태 같은 증세가 나타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 에서는, 하루 8시간씩 28일 동안 매트형 모기향에 쥐를 노출한 결과 2주 후부터 체내에서 산소를 운반하는 헤모글로빈과 적혈구의 양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고, 간에 이상을 일으킨 쥐들도 있었다.
최근에는 인체에 해가 적음과 동시에 환경에 무해한 천연 식물오일을 이용한 모기 방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341056호(천연 모기 기피제)에는, 유카리나무잎 추출오일, 라벤더잎 추출오일, 로즈메리잎 추출오일, 또는 백리향 추출오일을 포함하거나 상기 백리향 추출오일로부터 분리된 ρ-시벤, α-테르피넨,
리나롤, 카바크롤 및 티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화합 물을 포함하는 모기 기피제에 관한 것이 공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407604호(모기 기피제)에는, 회향 열매로부터 추출한 회향유, 펜촌, 및 옥타데세노익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는 위생 해충 기피제에 관한 것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들은 분사 후 공기 중에 남아있는 모기 기피제의 지속시간이 짧아 모기 방제효과가 떨어지며, 여러 번 처리해 줘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원 발명은 상기한 종래모기약이나 모기기피제의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 본원의 모기기피 제로 사용하는 야래 향이 침지및 코팅된 토시는 야래 향의 강한 향으로 외부활동시에 모기가 사람에게 달려들지못한다.
야래 향은 모기가 가장 설치는 5월부터 꽃이 피기 시작, 9월까지 계속 피기 때문에 실내에 한 그루만 있으면 여름 내내 모기에 물릴 걱정은 안 해도 되며 또 실내는 물론 실외에서도 향기만 있으면 주위에 모기가 얼씬도 하지 못한다.
특히 동물을 기르는 축사에도 화분을 창가에 하나만 두면 모기 걱정은 끝이다.
꽃이 피면 모기가 득실거리는 맨홀에, 거실과 방은 물론 축사 등에도 화분을 두고 수십 차례의 실험을 한 결과 야래 향 꽃향기에 모기가 전혀 범접을 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되었다.
그러나 상기 야래 향 나무는 부피가 크므로 본원의 토시처럼 야외활동시에 착용이나 지니고 다닐 수 없고 요즈음 모기는 겨울에도 기승을 부리므로 9월 이 되면 꽃이 지므로 야래 향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종래의 팔 토시는 토시의 양쪽에 고무줄이 들어 있어 팔이 조여지는 구조로 되어있으며 사무실에서 책상을 매일 닦아도 먼지는 쌓이고, 그 지저분한 책상 위에서 팔을 이리저리 돌리다 보면 소매부분이 더러워지게 되어 그래서 하얀 옷과 고급스런 옷은 입을 수가 없어 이럴 때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팔 토시를 착용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하였듯이 야래 향 나무에서 추출되는 정유를 첨가한 토시에 관한 것으로 인체에 무해한 야래 향 정유를 토시에 투입한 것에 관한 것으로 모기퇴치에 효과가 매우 우수한 효능이 있는 야래 향 나무를 이용한 정유 추출물을 만들어 토시에 첨가하는 것을 본원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중국 고대 문헌에는 ‘是驅蚊的最好香草 (시구문적최호향초)’이라는 나무가 전해내려오고 있는데 이는 ‘모기를 쫓는 가장 좋은 향초’라는 뜻으로 이 나무가 바로 야래 향(夜來香)으로 일명 기생초이다.
야래 향 나무(중품)학명:(Cestrum nocturnum) 가짓과로 밤에 향기를 낸다.'라는 의미의 야래 향 나무는 특이하게 밤에 꽃이 피는 식물로 꽃이 피면서 나는 그 특유의 향기성분에 모기나 벌레들이 싫어하는 성분이 있어서 모기들이 싫어한다. 꽃이 지고 나면 하얀 열매가 열리며 여름 제철인 다목 식물이며 연두색의 꽃은 가늘고 긴 통꽃이며 끝이 5개로 갈라지는 특성이 있다.
종래 모기퇴치용 조성물에 첨가되던 성분으로는 뿌리는 것은 ‘피레드로이드와 코일형 훈증기는 알레트린’이 들어 있고, 에어로졸형에는 레스메트린이 있으나
이 성분은 모기약뿐만 아니라 바퀴벌레약이나 살충제등에도 포함되어있어 공기 중에 퍼져 냄새가 심하고 밀폐된 공간에서 사용시 상기 이미 프로트린 성분에 중독되어 환각 증세 등을 나타낼 수도 있다.
이처럼 모기향과 모기약은 아주 인체에 해가심하고 특히 뿌리는 모기약 등은 다량으로 흡입하거나 마셨을 경우 인체에 아주 치명적이며 특히, 눈에 대한 자극성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기존 모기살충제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여러 가지 물질의 모기에 대한 살충력과 기피력을 실험하던 중 야래 향 꽃에서 추출되는 모기퇴치용 정유가 인체에 안전하고 우수한 모기 및 해충퇴치효과가 월등함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하였듯이 야래 향 (夜來香) 나무에서 개화하는 꽃이나 잎에서 추출되는 정유를 침지나 코팅한 토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예로부터 해충 특히 모기퇴치에 효과가 매우 우수한 효능이 있는 야래 향 나무를 이용한 정유(꽃, 잎, 줄기, 뿌리 등을 추출하여 얻어지는 기름) 추출물은 침지액 물질 전체 중량비에 대하여 0.01~10중량%가 적합하며 바람직하게는 침지액 물질 전체 중량비에 대하여 0.01~10중량%를 투입하여 인체에 무해한 모기 퇴치 및 향기가 발생하는 토시를 구현하는데 본원의 특징이 있는 것이다.
발명은 상기하였듯이 모기 기피와 향기가 뛰어난 토시에 관한 것으로 전 세계적 으로 모기는 뇌염(encephalitis), 뎅그열(denue fever), 말라리아(malaria) 등과 같은 질병의 주요매개 원이다.
모기는 매년 8억 이상의 사람들에게 병을 옮기며, 특히 말라리아 모기에 의한 질병으로 인해 매년 4백만 이상의 사람들이 사망한다고 보고되어있다.
이러한, 모기의 공격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기 위해 여러 가지 해결방안이 연구되어왔으며, 그 중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기피제를 사용하는 것이었다.
모기 기피제로는 DEET(N,N-diethyl-m-toluamide 또는N,N-diethyl-3-methylbenzamide)이라는 유기화합물이 주로 사용되며, 이 DEET 성분은 1946년 미군에 의해 처음 사용됐고, 1957년 이후 전 세계적으로 보급되어 현재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성분이다.
DEET를 이용한 기피제 제형으로는 에어로졸, 펌프 스프레이, 로션, 크림, 액제 그리고 손목 밴드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기피제의 모기 기피효과는 DEET의 농도에 직접적으로 비례한다고 보고돼 있다.
또한, 제품 내 사용 농도는 다양하며, 피부, 경구 독성 등 여러 측면에서 인체 안전성이 입증되었으나, 높은 피부 침투성(skin permeability) 때문에 임산부나 어린아이 등에게는 아직 그 안전성이 입증되지 않았고, 플라스틱이나 합성섬유 등에 변색을 초래하는 문제점 등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유기화합물에 인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인간 및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
서 효과적으로 모기를 방제할 수 있는 방제방법 및 대체약제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야래 향나무에서 추출한 모기퇴치용 정유 추출물은 인체에 무해하고 친환경적인 자연계 천연향이므로 팔목에 착용하게 되면 특히 모기가 가장 물기 쉬운 팔목 부분을 야래 향 토시가 감싸게 되므로 여름철 야외활동에 착용하게 되면 우수한 모기 및 해충퇴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야래 향은 밤에 향기를 내뿜는다고 해서 '야래 향 (夜來香, Ni중량%ht Bloomin중량% Jasmine)'이라고 한 이 꽃의 학명은 'Cestrum nocturnum'인데 중국풍의 이름 때문에 중국이 자생지로 아는 이들이 많지만 원산지는 '서인도 제도(West Indies)'와 '열대 아메리카(tropical America)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야래 향 첨가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아래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복잡하게 하거나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간략하게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당업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본원의 야래 향 제조방식은 통상의 바람직한 제조방법에 모두 포함될 수 있는 것이며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원은 주로 여성들이 사용하는 직물소재로 이루어진 토시에 있어서,
상기 토시 몸체에 야래 향 추출물이 침지 또는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래 향 첨가 토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야래 향 꽃 추출물은 토시 침지액 및 첨가제 물질 전체 중량비에 대하여 0.01~10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야래 향 꽃 추출물은 토시 침지액 및 첨가제 물질 전체 중량비에 대하여 0.01~10중량% 또는 상기 토시 전체중량비에 대하여 0.1~20중량%로 상기 야래 향을 투입하게 된다.
한편, 본원의 야래 향은 야래 향 꽃 나무로부터 꽃 또는 잎. 줄기, 뿌리 등을 채집 건조시켜 야래 향을 준비하는 공정(제1단계); 상기 야래 향 꽃 또는 잎. 줄기, 뿌리 등을 분쇄하고 물 또는 에탄올을 포함한 유기 또는 무기 용매를 첨가하여 야래 향 성분들을 추출하는 공정(제2단계);
상기 혼합물을 여과 또는 원심분리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제3단계);
상기 공정에서 불순물이 제거된 추출액에 함유된 용매를 증발시켜 야래 향 추출물을 제조하는 공정(제4단계); 및 상기 준비된 야래 향 추출물을 통상의 첨가제 또는 코팅제 전체중량비에 대해 0.1~10중량%를 첨가하여 야래 향 꽃 추출물이 함유된 토시에 침지및 코팅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제5공정)과 상기 완성된 토시에 침지및 코팅조성물을 용기에 투입하여 토시에 상기 야래 향을 코팅 또는 침 지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토시에 첨가하는 야래 향 정유 추출물과 함께 사용되는 토시의 침지및 코팅조성물은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텔(lycerine Fatty Acid Esters), 슈크로스 지방산에스텔(Sucrose Fatty Acid Ester), 솔비탄 지방산 에스텔(Sorbitan Fatty Acod Ester), 허브오일, 아로마오일, 프로필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텔(Propylenelycol Fatty Acid Ester),경화피마자유(Polyoxyethylene Castor Oil)와,에탄올, 물 중에 서 선택된 1군 또는 적어도 2군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래 향 첨가 토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의 야래 향 첨가 토시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야래 향 꽃을 촬영한 사진을 나타냄으로 개화 전 야래 향 꽃을 사진으로 나타낸 것으로 개화 전의 야래 향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반쯤 개화한 야래 향 꽃을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개화한 야래 향 꽃을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원 발명의 야래 향 첨가 토시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 도로서;
토시에 삽입되는 손 (20)과 팔목(40)과 이를 고정하는 탄성부재가 부착된
팔목 고정밴드 (60)와 팔 고정밴드(80)로 구성된 팔 토시를 그림으로 나타낸 것으로 상기 야래 향(100)이 상기 토시에 투입되게 되는 것을 사시도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작용없는 천연 추출물인 야래 향 꽃을 유효성분으로 추출되는 모기 퇴치용 토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은 완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시 예를 실시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특히, 여름철에 기승 하면서 인체의 피부를 통해 각종 질병을 유발하거나 혹은 전염병을 매개하는 모기나 날파리 등의 해충으로부터 안전하게 신체의 하체를 지켜주기 위한 토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사람들이 착용하는 토시에 일명 모기 쫓는 나무로 익히 알려진 야래 향 나무에서 정류를 채취하여 이를 토시에 첨가 및 혼합하여 줌으로 이 나무가 지니고 있는 고유한 방향 성질(INSECT REPELLENT PERFUME)을 통해 모기를 비롯한 각종의 해충들이 인체 가까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효과적으로 차단 및 퇴치하여 줌으로서 여름철 야외에서의 건강한 활동을 가능케 하는 인체에 무해한 천연향으로 이루어진 모기 및 해충 퇴치를 위한 토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기나 하루살이 등 각종 해충들에 의한 피해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종 질병의 유발 또는 피부 가려움증 등의 전염병을 매개한다는 문제점과 아울러 특히 모기는 말라리아나 뇌염 등 자칫 치명적인 질병을 수반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제반 피해를 막기 위해 여러 가지의 방안들이 제시되었고, 그 일례로 분무식의 해충 퇴치기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전술한 분무식 해충 퇴치기는 위험한 LPC의 고압 가연성 가스 형태로서 환경 공해의 한 요인으로 대두하고 있으며, 이와는 달리 장시간 사용시 눈과 목에 자극을 주게 되는 코일 형태의 고체 모기향을 마련하여 이를 태우거나 또는 호흡기관에 유익하지 않은 매트나 액체 형태의 전기를 이용한 전자 모기향을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여기에 따른 부작용과 독성이 대두하였고 환경공해 적인 요소가 다분한 것이고, 또한 어느 정도 밀폐된 한정된 실내공간에서는 그 효과를 볼 수도 있겠으나, 야외활동을 필요로 하는 등산이나 낚시, 캠핑 등의 레저활동시에나 야외 작업등에는 아무런 효용성이 없었다.
종래 여름철에 야간활동을 하는 경우 모기 등 해충이 날아들어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모기향을 피우거나 모기약을 몸에 바르거나 통상의 화학성분의 모기 기피제를 피부에 바르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피부가 약한 사람에게는 피부 질환이나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어서 사용에 제한이 있고 또 땀 등에 의해 눈에 들어가는 경우일시 눈을 뜰 수 없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일명 모기 쫓는 나무로 잘 알려진 야래 향 나무에서 추출되는 천연의 향을 사람이 팔목에 착용하는 토시에 일정량 첨가하여 환경 공해 없이 누구나 손쉽게 야외 레저활동시에 모기를 비롯한 각종 해충으로부터 인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추출된 야래 향 정유를 용액을 여과기를 통과시켜 불순물을 제거하여 정유 원액을 얻고, 얻어진 상기 원액을 토시에 분무하거나 또는 상기 원액에 토시를
침지함으로서 토시를 구성하는 섬유에 침투시켜 건조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야래 향 나무 정유추출물을 이용하여 토시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피부에 장애가 없이 약효가 장시간 유지되고, 수회의 세탁에도 장시간 유효
하여 모기 기피제로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토시에 첨가하는 야래 향 정유 추출물과 함께 사용되는 바람직한 첨가제란 식품 첨가제로 국제적인 공인을 받고 있는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텔(lycerine Fatty Acid Esters), 슈크로스 지방산에스텔(Sucrose Fatty Acid Ester), 솔비탄 지방산 에스텔(Sorbitan Fatty Acod Ester), 허브오일, 아로마오일, 프로필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텔(Propylenelycol Fatty Acid Ester),경화피마자유(Polyoxyethylene Castor Oil)와 에탄올, 물 등을 바람직하게 첨가제로 선 택하여 첨가할 수 있으며 상기첨가제는 여기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원의 야래 향과 희석이 되는 첨가제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본원의 야래 향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원에서 사용하는 토시 등이라 함은 팔목에 착용하는 어떠한 형태의 토시라도 종류나 형태에 가리지않고 모두 의미한다.
이와 같은 토시에 상기 야래 향을 처리함에 있어서, 본원의 야래 향을 유제의 형태로 침 지하거나 분무처리할 수 있으며, 본원의 야래 향이 건조되면서 섬유에 고착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토시에 얼룩 등을 남기지 아니하며, 완전히 고착되면, 냄새도 좋기 때문에 땀냄새 등을 막아주는 방향제구실도 할 수 있으며 사용상 어려움이 없고, 일단 고착된 성분들은 햇빛이나 열, 물(수분) 등의 요인에 의한 분해 성이 매우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출된 야래 향 용액을 여과기를 통과시켜 불순물을 제거하여 원액을 얻고, 상기에 전술한 선택된 첨가제를 얻어진 상기 원액을 필요에 따라 토시에 분무하거나 상기 원액에 토시를 침지함으로서 토시를 구성하는 섬유나 조직에 침투시켜 건조기에서 건조하거나 자연건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처리함으로써 피부에 장애가 없이 약효가 장시간 유지되고, 수회의 세탁에도 장시간 유효하여 모기 기피제로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본 발명은 각종 질병의 유발 및 전염병을 매개하는 모기나 하루살이 등의
해충으로부터 안전하게 신체를 지켜주기 위한 토시를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명 모기 쫓는 나무로 익히 알려진 야래 향나무의 천연의 향(香)을 채취하여 이를 첨가 및 혼합함으로 이 조향이 지니고 있는 고유한 방향성질(INSECT REPELLENT PERFUME)을 통해 모기를 비롯한 각종의 해충들이 인체 가까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효과적으로 차단 및 퇴치하는 기능을 부여하는 것인바, 야래 향 나무에서 추출되는 정유 추출물을 첨가한 토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야래 향 꽃 추출물은 토시의 침지 물질 전체 중량비에 대하여 0.01~10중량%가 적합하며 바람직하게는 침지액물질 전체 중량비에 대하여 0.01~10중량%임이 바람직하다.
<실시 예 1>
본원 발명의 야래 향 꽃을 이용한 토시의 코팅 및 침지 제조방법은 야래 향 꽃 나무로부터 꽃봉오리를 채집 건조시켜 야래 향 꽃을 준비하는 공정(제1단계);
용기에 상기 야래 향 꽃을 분쇄하고 물 또는 에탄올을 포함한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야래 향 꽃 성분들을 추출하는 공정(제2단계); 상기 혼합물을 여과 또는 원심분리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제3단계); 상기 공정에서 불순물이 제거된 추출액에 함유된 용매를 증발시켜 야래 향 꽃 추출물을 제조하는 공정(제4단계); 및 상기 준비된 야래 향 꽃 추출물을 통상의 토시 코팅 및 침지 첨가제 전체중량비 또는 중량%에 대해 2중량%를 첨가하여 야래 향 꽃 추출물이 함유된 토시의 침지및 코팅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제5공정) 상기 완성된 토시의 침지및 코팅조성물을 용기에 일정량 투입하여 토시를 침지및 코팅하고 이를 건조하여 완성하게 된다.
<실시 예 2>
야래 향 꽃 알코올, 플로랄 워터, 보드카 중의 베이스 중에서 선택된
무수에탄올 400중량%, 야래 향 꽃 100중량%, 500mL 비커, 알코올램프, 삼발이, 철 망, 500mL 둥근 바닥플라스크, 얼음,
1, 야래 향 꽃을 따서 1~2일 정도 약한 열을 이용해서 말리어 수분을 없앤다.
2, 야래 향 꽃을 1cm내외로 잘게 잘라 큰 비커에 담는다.
3, 비커에 야래 향 꽃이 잠길 정도로 증류수를 붓는다.
4, 큰 비커 가운데에 작은 비커를 넘어지지 않도록 놓는다.
5, 잘게 부순 얼음을 둥근 바닥플라스크에 가득 넣고 큰 비커 위에 올려놓는다.
6, 알코올램프에 불을 붙여 야래 향 꽃이 담긴 비커를 30~40분간 가열한다.
상기 야래 향 꽃을 가열할 때 눌어붙거나 타지 않도록 약한 불에 서서히 가열하였다.
7, 야래 향 꽃 액이 작은 비커에 반정도 모이면 알코올램프를 끈다.
8, 가로 30cm, 세로 30cm 손수건에 야래 향 꽃 액을 에탄올과 2:1 정도로 섞어서 침 지하여 보았다.
<실시 예 3>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야래 향 나무에서 본 발명자들은 아래 단계들을 포함하는 분리공정에 의하여 전문 회사에서 또 다른 야래 향 꽃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야래 향 꽃나무의 꽃봉오리를 말린 야래 향 꽃을 준비하고 이를 분쇄하여 고운 가루로 만들었다.
미쇄한 야래 향 꽃 분말을 일정 비율로 물과 섞은 후 혼합하여 이를 교반하고
상기 교반이 끝난 후 원심분리 또는 여과방법을 이용하여 불순물이 제거된 추출액을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추가적인 정제공정을 통해 그대로 사용하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으로 더욱 활성이 있는 분획을 따로 추출하여 첨가제 제조에 이용할 수 있다.
즉, 야래 향 꽃나무로부터 미개화 꽃봉오리를 채집 건조시켜 야래 향 꽃을 준비하는 공정(제1단계); 상기 야래 향 꽃을 분쇄하고 물 또는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야래 향 꽃 성분들을 추출하는 공정(제2단계); 상기 혼합물을 여과 또는 원심분리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제3단계); 상기 공정에서 불순물이 제거된 추출액에 함유된 용매를 증발시켜 야래 향 꽃 추출물을 제조하는 공정(제4단계); 및 상기 준비된 야래 향 꽃 추출물을 통상의 토시에 대해 5중량%를 첨가하여 야래 향 꽃 추출물이 함유된 모기 퇴치 토시를제조하는 공정(제5공정)을 포함한다.
야래 향 꽃은 채집되는 산지, 채집시기 등에 따라 그로부터 분리된 추출물의 성분 및 활성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이는 다른 일반적인 생약초의 경우에도 예상되는 것이다. 또한, 채집된 야래 향 꽃 나무의 꽃봉오리는 그늘에서 건조하는 것이 바
람직 한데, 이는 왜냐하면 햇빛에 의해 야래 향 꽃의 유효성분들이 휘발 되거나 파괴 변성될 수 있으므로 그 효과가 줄어들기 때문이며 바람직하게는 야래 향나무줄기나 잎 뿌리에서 상기 야래 향을 추출하여 상기 토시에 침지나 코팅하여도 바람직하다.
이렇게 건조된 야래 향 꽃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해서 물 또는 유 무기용매,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부탄올 등과 같은 알코올류, 아세톤, 초산 에틸 등의 에스테르류, n~핵산, 클로로포름 등의 용매 중 선택된 하나 또는 적어도 둘 이상의 혼합 용매를 첨가제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용매를 이용한 추출방법은 당 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각종 용매를 건조된 야래 향 꽃 분말에 일정량 첨가하여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환류 냉각기가 설치된 맨틀에서 일정시간 가열한다. 야래 향 꽃의 용매 추출물에는 찌꺼기 상태의 야래 향 꽃 분쇄찌꺼기가 추출물과 액상으로 섞여있어 혼합액을 적절한 여과기로 여과시켜 야래 향 꽃 추출물 용매만으로 된 추출액을 추출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액에 대하여 용매를 바람직하게는 약 0.005~1기압에서 40~70℃ 조건으로 증발시켜 추출물을 추출한다.
이때, 증발온도를 높게 할수록 추출물에 화학변화가 야기되거나 감압시 유출되는 공기에 추출물 주요성분이 함께 빠져나갈 우려가 있기 때문에 적절한 증발조건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 예 4>
60ℓ의 플라스틱 용기에 야래 향을 추출하여 얻은 야래 향 정유 20중량%를 용매물질로 하고 상기한 첨가제 중에 바람직한 어느 한 첨가제인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폴리옥시 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20중량%를 첨가제로 투입하여 교반기에 투입한 후 원료가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충분히 교반하고 이와 같이 잘 혼합된 혼합액을 여과기에 통과시켜 불순물을 제거하고 원액을 얻었다.
상기와 같이하여 얻어진 원액에 에탄올 60중량%를 투입하여 이를 희석하여 공기가 잘 통하는 장소를 선정하여 토시를 고르게 펼쳐놓고서 분무기를 이용하여 분무했다.
<실시 예 5>
상기 60ℓ의 플라스틱 용기에 실시 예 1에서 얻어진 야래 향 추출 원액 정유 20중량%를 용매물질로 하고 상기한 첨가제 중에 바람직한 어느 한 첨가제인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폴리옥시 에틸렌이나 또는 경화 피마자유 20중량%를 투입하여 교반기에 투입한 후 물 60중량%를 투입하여 이를 희석하고 여기에 토시를 넣어 충분히 상기 약제가 흡착되었을 때 꺼내서 가볍게 탈수 후 다시 한 번 상기 과정을 반복하였으며 이와 같이 된 상기 토시를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서 완전히 마를 때까지 건조하게 한다.
<실시 예 6>
정제수 75중량%에 에탄올 15% 야래 향 추출물 5중%, 첨가제로 케톤 C.2.5중량% 케톤 P 2.5중량 %를 혼합하여 얻어진 수용액을 부직포 원단에 분무도포하여 건조하여 보았다.
<실시 예 7>
실시 예 1~6에 의해 야래 향 처리된 토시를 동일 방법으로 8회까지 약알칼리성 계면활성 세제를 이용하여 세탁실험을 했다.
1회 세탁 후 8회 세탁 후 까지 계속해서 90% 이상의 야래 향 향기가 발산 발휘되며, 따라서 본 발명에 실시 예에 의한 첨가제 대비 20중량%로 처리된 토시는수주 간 야래 향 약효가 지속하여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토시를 착용한 채 사무실등에서 일을 하거나 골프,등산, 낚시, 캠핑, 여행, 바캉스 인라인,사이클등과 같은 레저활동을 즐길 시에나 혹은 그외 야외작업 및 훈련, 수련회 등 기타 다른 어떤 야외활동을 필요로 할 경우 모기가 가장 잘 무는 부위인 팔이 야래 향 추출물의 고유한 방향성질에 의하여 모기나 해충들이 인체 피부 가까이 접근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게 되어 안전하게 사용자의 건강을 지켜줄 뿐만 아니라, 천연의 그윽한 꽃 냄새의 방향작용으로 일의 능률향상은 물론 쾌적한 기분을 만끽할 수 있는 등 그 효용 적 가치가 매우 높다.
<실시 예 8>
본 발명자들은 고액의 비용을 들이고 전문 실험기관에서 본 실험을 할 수가 없었고
아래의 실험은 상기 실시 예에서 얻어진 야래 향 토시를본 발명자 친지인 직장 여성들인 20대 30대 40대 여성을 대상으로 수일간에 걸쳐서 착용하게 하여 향 기력 테스트와 모기 기피 실험을 하여 보았고 대조군으로는 시중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 라벤더 꽃과 민트 산초나무 열매와 천리향, 구몬초등을 정유로 추출하여 08월 03일~08월 31일까지의 일요일에 한달간 야외에서 토시에 분무하여 대조군으로 실시하여본 결과 상기의 대조군의 향기도 라벤더와 민트향과 천리향은 좋았지만 산초는 향기가 그다지 좋지 못하였고 모기기피력이 거의 없었으며 본원의 야래 향 토시를착용한 여성들은 한결같이 좋은 향취를 느꼈다고 답했으며 모기퇴치효과를 느낄 수 있었다. 상기 대조군으로 사용된 토시는 자외선차단 아이스 쿨 토시를 실험 재료로 하였다.
<실험 1>
토시종류 시험날짜 라벤더 침지 토시 민트침지 토시 산초 열매침지 토시 천리향침지 토시 야래 향 침지토시
08월03일 08월10일 08월17일 08월24일 08월31일
45세 여성 1 1 2 2 0
40세 여성 1 2 3 2 0
35세 여성 2 2 2 3 0
30세 여성 2 2 3 2 0
28세 여성 2 3 2 2 0
26세 여성 3 3 2 2 0
22세 여성 3 4 3 2 0
상기에서 실험한 결과 본원의 야래 향을 침지한 토시는 그 향기가 매우 그윽하였으며 피부에 알레르기반응을 전혀 나타내지않았으며 또한 또 다른 실시한 예로 본원의 야래 향을 몸에 뿌리고 당일 모기매트를 키지않고 문을 열고 취침을 하였으나 단 한 마리의 모기나 해충에도 물리지 않았고 그 다음날에도 상기 제조된 야래 향을 뿌린 후 모기가 많이 출몰하는 음식물 쓰레기통과 공원을 1시간 동안 실험자들과 다녀보았는데 신기하게도 단 한방의 모기도 쏘이지않았으며 본원의 야래 향을 모기 기피제로 널리 사용하여 모기나 해충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할 수 있는 확신 성을 얻을 수 있었으며 본원의 토시에 침지나 코팅하여 사용할수 있는 확신 성을 얻을 수 있었다.
본원의 야래 향 나무는 꽃뿐만이 아니라 잎과 열매에서도 향기가 나며 채집되는 산지, 채집시기 등에 따라 그로부터 분리된 추출물의 성분 및 활성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이는 다른 일반적인 생약초의 경우에도 예상되는 것이다.
또한, 채집된 야래 향 꽃 나무의 꽃봉오리는 그늘에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 한데, 이는 왜냐하면 햇빛에 의해 야래 향 꽃의 유효성분들이 휘발 되거나 파괴 변성될 수 있으므로 그 효과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건조된 야래 향 꽃이나 열매, 잎으로부터 정유를 추출하기 위해서 물 또는 유,무기용매,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부탄올 등과 같은 알코올류, 아세톤, 초산 에틸 등의 에스테르류, n~핵산, 클로로포름 등의 용매 중 선택된 하나 또는 적어도 둘 이상의 혼합 용매를 본원의 야래 향과 혼합하여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용매를 이용한 추출방법은 당 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각종 용매를 건조된 야래 향 분말에 일정량 첨가하여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환류 냉각기가 설치된 맨틀에서 일정시간 가열하며 야래 향 꽃의 용매 추출물에는 찌꺼기 상태의 야래 향 꽃 분쇄찌꺼기가 추출물과 액상으로 섞여있어 혼합액을 적절한 여과기로 여과시켜 야래 향 꽃 추출물 용매만으로 된 추출액을 추출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액에 대하여 용매를 바람직하게는 약 0.005~1기압에서 40~70℃ 조건으로 증발시켜 증류식으로 추출물을 추출한다.
이때, 증발온도를 높게 할수록 추출물에 화학변화가 야기되거나 감압시 유출되는 공기에 추출물 주요성분이 함께 빠져나갈 우려가 있기 때문에 적절한 증발조건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정에 의해 추출된 야래 향 추출물을 통상의 토시에 첨가하여 향기가 뛰어나고 모기퇴치기능을 갖는 토시를제조할 수 있으며 토시 본연의 기능과 모기퇴치를 목적으로 야래 향 꽃 추출물을 사용할 때 모기퇴치 토시에 투입된 첨가액 물질 전체 중량비로 0.05~10중량%가 효과적이며, 바람직하게는 0.1~5중량 %이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여러 일실시예와 공정에 의해 추출된 야래 향 꽃 추출물을 통상의
토시의 코팅 및 침지 조성물에 첨가하여 향기가 뛰어난 모기퇴치 토시를제조할 수 있으며 모기퇴치를 목적으로 야래 향 꽃 추출물을 사용할 때 첨가제
전체 중량비로 0.01~10중량%가 효과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20중량%가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 예에서 사용한 증류법을 이용해 소량의 야래 향 꽃 정유(꽃, 잎, 줄기, 뿌리 등을 추출하여 얻어지는 기름)를 얻었으며 이를 토시에 사용하여보았고 모기가 기피하는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상기의 실시예의 추출방법은 널리 알려진 통상적인 기술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본원의 야래 향 꽃의 개략적인 추출방법을 기술하였다.
본 발명에 대한 다른 변형 및 변경은 특히 청구의 범위에 설명된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당업자에 의해 예의실시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실시 예의 측면들은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변형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하며 당업자는 상기 설명이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없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원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개화 전 야래 향 꽃을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반쯤 개화한 야래 향 꽃을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개화한 야래 향 꽃을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원 발명의 야래 향 첨가 토시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 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손 40: 팔목
60: 팔목 고정밴드 80: 팔 고정밴드
100: 야래 향

Claims (5)

  1. 팔목에 착용하는 토시에 있어서,
    상기 토시에 야래 향(100) 추출물이 침지 또는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래 향 첨가 토시.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야래 향(100) 추출물은 토시 침지액 및 코팅액 물질 전체 중량비에 대하여 0.01~10중량%가 투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래 향 첨가 토시.
  3. 상기 야래 향(100) 추출물은 토시 전체 중량비에 대하여 0.1~20중량%가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래 향 첨가 토시.
  4. 청구항 제1항 또는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야래 향 나무로부터 꽃 또는 잎, 뿌리·줄기를 채집 건조시켜 야래 향을 준비하는
    공정(제1단계);
    상기 야래 향 꽃 또는 잎, 뿌리·줄기를 분쇄하고 물 또는 에탄올을 포함한 유기 및 무기 용매를 첨가하여 야래 향 성분들을 추출하는 공정(제2단계);
    상기 혼합물을 여과 또는 원심분리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제3단계);
    상기 공정에서 불순물이 제거된 추출액에 함유된 용매를 증발시켜 야래 향 추출물 을 제조하는 공정(제4단계); 및 상기 준비된 야래 향 추출물을 통상의 첨가제 또는 코팅제 전체중량비에 대해 0.01~10중량% 또는 0.1~20중량%를 첨가하여 야래 향 추출물이 함유된 토시의 침지 및 코팅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제5공정) 상기 완성된 토시의 침지 및 코팅조성물을 용기에 투입하여 토시에 상기 야래 향을 코팅 또는 침지 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래 향 첨가 토시의 제조방법.
  5.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토시에 첨가하는 야래 향 정유 추출물과 함께 사용되는 토시의 침지 및 코팅조성물은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텔(lycerine Fatty Acid Esters), 슈크로스 지방산,
    스텔(Sucrose Fatty Acid Ester), 솔비탄 지방산 에스텔(Sorbitan Fatty Acod Ester), 허브오일, 아로마오일, 프로필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텔(Propylenelycol Fatty Acid Ester),경화피마자유(Polyoxyethylene Castor Oil),에탄올, 물을 포함한 유,무기물 중에서 선택된 1군 또는 적어도 2군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래 향 첨가 토시의 제조방법.
KR1020080090613A 2008-09-16 2008-09-16 야래 향 첨가 토시 KR201000318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613A KR20100031812A (ko) 2008-09-16 2008-09-16 야래 향 첨가 토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613A KR20100031812A (ko) 2008-09-16 2008-09-16 야래 향 첨가 토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812A true KR20100031812A (ko) 2010-03-25

Family

ID=42181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0613A KR20100031812A (ko) 2008-09-16 2008-09-16 야래 향 첨가 토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181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35914A (zh) * 2013-11-14 2014-01-29 吴江市金晟工艺制品有限责任公司 一种儿童袖套
KR101357168B1 (ko) * 2013-01-14 2014-02-12 양주시 부추추출물을 이용한 항균 토시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168B1 (ko) * 2013-01-14 2014-02-12 양주시 부추추출물을 이용한 항균 토시 및 그 제조방법
CN103535914A (zh) * 2013-11-14 2014-01-29 吴江市金晟工艺制品有限责任公司 一种儿童袖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8435B2 (en) Natural pesticide composition and method of producing
KR102291985B1 (ko) 인체에 안전한 모기 기피제 조성물
WO2020261084A1 (en) A natural mosquito repellent composition and process of preparing the same
JP2004501945A (ja) フォエニキュラム・ブルガレ(Foeniculumvulgare)果実から分離した昆虫忌避剤
KR20150134947A (ko) 해충퇴치제 제조방법
Moore et al. Plant-based insect repellents
KR20150029881A (ko) 모기 기피 조성물
KR101301144B1 (ko) 목초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해충 기피제
CN101878787B (zh) 一种天然驱蚊香粉及其使用方法
KR101029486B1 (ko) 야래향모기 퇴치밴드
KR101029485B1 (ko) 야래향 모기 퇴치패드
KR20100031812A (ko) 야래 향 첨가 토시
US20040131627A1 (en) Insect repellent
KR20110114514A (ko) 은행나무 추출 유해 곤충 퇴치 조성물
KR101099994B1 (ko) 스타킹
KR101043182B1 (ko) 향수
KR101692667B1 (ko) 모기 기피 효과를 갖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조성물, 그리고 그것을 이용한 수성 도료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수성 도료
ES2393776T3 (es) Repelente contra artrópodos que comprende extractos y/o partes de la planta Vitex agnus-castus
CN107467083A (zh) 一种八桂生物除虫剂
KR101089418B1 (ko) 야래 향 첨가 화장품
KR101089474B1 (ko) 야래 향 첨가 스타킹
KR20100020132A (ko) 야래 향 첨가 피복
KR20100023236A (ko) 야래 향 향수
KR20100002009U (ko) 야래향 모기약
KR100999577B1 (ko) 모기기피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모기기피 직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