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3236A - 야래 향 향수 - Google Patents

야래 향 향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3236A
KR20100023236A KR1020080081896A KR20080081896A KR20100023236A KR 20100023236 A KR20100023236 A KR 20100023236A KR 1020080081896 A KR1020080081896 A KR 1020080081896A KR 20080081896 A KR20080081896 A KR 20080081896A KR 20100023236 A KR20100023236 A KR 20100023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ented
fragrance
perfume
extract
mosquito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1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원동
Original Assignee
양원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원동 filed Critical 양원동
Priority to KR1020080081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3236A/ko
Publication of KR20100023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3236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2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containing insect repell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래 향 (夜來香) 나무에서 개화하는 꽃이나 잎, 줄기, 열매에서 추출되어 제조되는 향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예로부터 향기가 매우 강하고 해충 특히 모기퇴치에 효과가 매우 우수한 효능이 있는 야래 향나무의 꽃, 잎, 열매줄기를 이용한 정유(꽃, 잎, 줄기, 뿌리, 열매 등에서 얻어지는 기름) 추출물을 향수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야래 향 꽃, 열매, 잎, 모기퇴치, 모기향, 향수

Description

야래 향 향수{Night Blooming Jasmine perfume}
본원발명은 야래 향에서 추출되는 향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예로부터 향기가 매우 강하고 특히 해충 특히 모기퇴치에 효과가 매우 우수한 효능이 있는 야래 향 나무의 꽃, 잎, 열매줄기를 이용한 정유(꽃, 잎, 줄기, 뿌리, 열매 등에서 얻어지는 기름) 추출물을 만들어 향수조성물 액체와 혼합하여 향수로 사용하며
향수는 한 가지 성분이 아니라 다양한 향을 지닌 성분들의 하모니로 이루어진다. 향수의 향은 향기가 나는 순서에 따라 크게 톱 노트(Note), 미들 노트, 베이스 노트의 세 단계로 나눌 수 있고 톱 노트는 향수를 뿌렸을 때 처음에 느껴지는 향으로 향수의 첫인상을 좌우하며 톱 노트에 해당하는 향은 작고 가벼운 분자로 구성되며 또한 미들 노트는 향수의 구성 요소들이 조화롭게 배합을 이룬 향의 중간 단계이다. 마지막 베이스 노트는 가장 오래 남는 잔향으로 확산속도가 가장 느린, 무거운 분자로 구성된다.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전 세계적으로 각종 전염병이 유행할 것이라는 학자들의 경고가 이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모기가 옮기는 질병 확산이 가장 큰 걱정이다. 모기는 기온이 높아지면 알이 부화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단축되어 급속히 개체 수 를 늘릴 수 있기 때문이다.
모기와 대항하기 위한 인간의 방어 수단도 꾸준히 발달해 왔으며 초기에는 국화과 다년초인 제충국에서 추출한 ‘피레드린’ 성분이 주된 화학 무기였다. 이는 제충국 주변에서 곤충들이 맥을 못 추고 죽어가는 현상에 착안해 개발된 것이었는데, 제조국에서 생산할 수 있는 피레드린 양이 인해전술을 구사하는 모기를 막아내기에는 턱없이 부족했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피레드린의 약효를 발휘하는 ‘피레드로이드’라는 화학 물질을 인공적으로 합성해냈는데, 이 물질이 오늘날 대부분의 모기약에 사용되고 있다.
최근 코일형 모기향과 최근 보급이 늘어나고 있는 매트형, 액체형 전자 모기향에는 피레드로이드계 화합물의 하나인 ‘알레트린’이 들어 있고, 에어로졸형에는 ‘레스메트린’이라는 살충제 성분이 첨가되어 있다. 이들 화학 물질은 모기의 신경계를 손상시켜 신경 마비와 운동 장애를 유발한다. 그런데 이들은 모기만 잡는 것이 아니라 사람도 함께 잡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이어지고 있다.
2003년 미국, 중국, 말레이시아 연구진이 조사한 결과에 의하면 코일 형식의 모기향 한 개를 실내에서 다 태웠을 경우 담배 약 100개비를 피웠을 때 발생하는 것과 같은 양의 미세 분진과 50개비 담배 분량의 ‘포름알데히드’가 발생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8월 초 우리나라의 중요 일간지에서도 대서특필하여 다룬 적이 있었다.
이처럼 코일형 모기향을 태울 때 배출되는 직경 2.5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미세 분진은 천식과 같은 호흡기계 질환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고, 포름알데히드는 최 근 우리 나라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새집 증후군’의 대표적 원인 물질로서 동물 실험에서는 암을 일으키는 것으로 조사된 물질이다.
매트형 모기향이나 액체형 모기향은 코일형 모기향보다는 독성 물질을 적게 내뿜도록 설계되어 있어, 그 피해는 코일형보다 적을 것으로 여겨지지만 장기간 노출될 경우 노약자나 일부 사람들에게 천식, 구토, 설사, 근육 마비, 과다 흥분, 피로, 혼수 상태 같은 증세가 나타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는, 하루 8시간씩 28일 동안 매트형 모기향에 쥐를 노출한 결과 2주 후부터 체내에서 산소를 운반하는 헤모글로빈과 적혈구의 양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고, 간에 이상을 일으킨 쥐들도 있었다.
본원 발명은 상기한 종래 향수의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 본원의 향수로 사용하는 야래 향 식물은 향기가 뛰어나고 야래 향은 모기를 쫓아주는 가장 좋은 천연적인 모기향으로 거실이나 방안에 야래 향 한 그루만 있으면 모기가 사람에게 달려들지
못한다.
야래 향 은 모기가 가장 설치는 5월부터 꽃이 피기 시작 9월까지 계속 피기 때문에 실내에 한 그루만 있으면 여름 내내 모기에 물릴 걱정은 안 해도 된다. 또 실내는 물론 실외에서도 향기만 있으면 주위에 모기가 얼씬도 하지 못한다.
특히 동물을 기르는 축사에도 야래 향 화분을 창가에 하나만 두면 모기가 접근하지 못하며 모기가 득실거리는 맨홀에, 거실과 방은 물론 축사 등에도 화분을 두고 수십 차례의 실험을 한 결과 야래 향 꽃향기에 모기가 전혀 범접을 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되었다.
그러나 상기 야래 향 나무는 부피가 크므로 야외활동시에 지니고 다닐 수 없고 요즈음 모기는 겨울에도 기승을 부리므로 9월 이 되면 꽃이 지므로 야래 향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최근 지구 온난화로 인하여 기운이 상승하자 모기가 더욱 극성이라고 하며 특히 말라리아 모기가 많아 조심해야 한다고 언론들이 전한다.
한 방송에서 야래 향 나무는 특성상 모기와 상극이라고 소개되자 인기검색어 순위가 급등했고 야래 향 나무는 그 특유의 진한 향 때문에 모기의 접근을 막는다고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하였듯이 야래 향 나무의 꽃, 잎, 열매, 줄기에서 추출되는 인체에 무해한 천연 향수에 관한 것으로 모기퇴치에 효과가 매우 우수한 효능이 있는 야래 향 나무의 꽃, 잎, 열매줄기 중 선택된 어느 한 부위를 이용한 추출 물을 만들어 향수를 제조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중국 고대 문헌에는 ‘是驅蚊的最好香草 (시구문적최호향초)’이라는 나무가 전해내려오고 있는데 이는 ‘모기를 쫓는 가장 좋은 향초’라는 뜻으로 이 나무가 바로 야래 향(夜來香)으로 일명 기생초이다.
야래 향 나무(중품)학명:(Cestrum nocturnum) 가짓과로 밤에 향기를 낸다.'라는 의미의 야래 향 나무는 특이하게 밤에 꽃이 피는 식물로 꽃이 피면서 나는 그 특유의 향기성분에 모기나 벌레들이 싫어하는 성분이 있어서 모기들이 싫어하며 꽃이 지고 나면 하얀 열매가 열리며 여름 제철인 다목 식물이며 연두색의 꽃은 가늘고 긴 통꽃이며 끝이 5개로 갈라지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아래 향을 증류하여 향수를 만들게 되면 몸에서 나는 냄새를 없앨 수 있고 모기나 해충의 접근을 막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하였듯이 야래 향 (夜來香) 나무의 꽃, 잎, 열매, 줄기
중 선택된 어느 한 부위를 이용하여 추출되는 향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예로부터 향기가 매우 강하고 해충 특히 모기퇴치에 효과가 매우 우수한 효능이 있는 야래 향 나무에서 추출한 정유(꽃, 잎, 줄기, 뿌리, 열매 등에서 얻어지는 기름) 추출물을 향수 용매물질 전체 중량비에 대하여 0.1~5중량%가 투입하거나 바람직하게는 향수 용매물질 전체 중량비에 대하여 0.05~10중량%를 투입하여 향수를 제조함으로 향수사용자가 몸에 뿌리게 하여 몸에서 나는 역한 냄새를 없애고 유해곤충 특히 모기가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최근 경제성장과 자가용차의 발달로 야외에서 활동하는 일이 부쩍 늘어나고 벌 등이 독충들이 달려들어 쏘이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야외에서 독충에 쏘였을 때 보통은 가려움증과 불쾌감을 느끼는 가벼운 증상을 겪게 되지만 심각한 경우 발열과 두통 등으로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야외에서 독충을 피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피부 노출을 막는 것이며 또 곤충을 유인할 수 있는 밝은 색 옷이나 헤어스프레이, 향수 등 비누의 사용을 피하는 것도 좋다.
흡혈하는 모기는 알을 낳으려는 암컷이며, 수컷은 식물의 액즙을 빨아 먹으며 살며 집모기류와 얼룩날개모기류 등 대부분의 모기는 주로 밤에 활동하고 산에서 볼 수 있는 일부 숲 모기류는 낮에도 흡혈해 등산객을 괴롭힌다.
모기와 같은 쏘는 곤충은 몸이나 옷에 기피제를 살포하면 어느 정도 접근을 막을 수 있다. 하지만, 이것도 효과가 지속적이지 못해 수시로 뿌려줘야 한다.
뿌리는 살충제는 디클로르보스 등 몸에 해로운 성분이 들어 있어 적당량 사용해야 한다. 직접 몸에 대고 뿌리는 것도 건강에 좋지 않고 전자모기향은 일반 모기향
보다는 눈이나 기관지 등 신체에 자극이 덜하지만 자주 환기통을 열어 환기를 시켜줘야 한다. 암컷 모기가 싫어하는 초음파를 발생시켜 접근을 막는 제품도 있다. 하지만, 극성스런 숲이나 바닷가의 모기에게는 그다지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이처럼 모기는 뇌염(encephalitis), 말라리아(malaria) 등과 같은 질병의 주요매개 원이다.
모기는 매년 8억 이상의 사람들에게 병을 옮기며, 특히 말라리아 모기에 의한 질병으로 인해 매년 4백만 이상의 사람들이 사망한다고 보고되어있다.
이러한, 모기의 공격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기 위해 여러 가지 해결방안이 연구되어왔으며, 그 중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기피제를 사용하는 것이었다.
모기 기피제로는 DEET(N,N-diethyl-m-toluamide 또는N,N-diethyl-3-methylbenzamide)이라는 유기화합물이 주로 사용되며, 이 DEET 성분은 1946년 미군에 의해 처음 사용됐고, 1957년 이후 전 세계적으로 보급되어 현재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성분이다.
DEET를 이용한 기피제 제형으로는 에어로졸, 펌프 스프레이, 비누, 크림, 액제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기피제의 모기 기피효과는 DEET의 농도에 직접적으로 비례한다고 보고돼 있다.
또한, 제품 내 사용 농도는 다양하며, 피부, 경구 독성 등 여러 측면에서 인체 안전성이 입증되었으나, 높은 피부 침투성(skin permeability) 때문에 임산부나 어린아이 등에게는 아직 그 안전성이 입증되지 않았고, 플라스틱이나 합성섬유 등에 변색을 초래하는 문제점 등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유기화합물에 인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인간 및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
서 효과적으로 모기를 방제할 수 있는 방제방법 및 대체약제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야래 향나무에서 추출한 정유 추출물이 투입된 향수는 향기가 뛰어나고 인체에 무해하고 친환경적인 자연계 천연향이므로 인체에 특히 유아나 노약자 등에 안전하고 특히 여름철 야외활동에 사용하게 되면 우수한 방향효과와 더불어서 모기 및 해충퇴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하였듯이 야래 향 나무의 꽃이나 잎, 열매에서 추출되는 정유를 첨가한 향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예로부터 향기가 매우 뛰어나고 해충 특히 모기퇴치에 효과가 매우 우수한 효능이 있는 야래 향 나무의 꽃, 잎, 열매 줄기 중 선택된 어느 한 부위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만들어 향수를 구성하는 휘발성 액체에 투입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야래 향 추출물은 향수에 투입하는 향수를 이루는 용매물질 전체 중량비에 대하여 0.1~5중량%가 적합하며 바람직하게는 향수 용매물질 전체 중량비에 대하여 0.05~10중량%임이 바람직하다.
본원 발명의 야래 향을 이용한 향수의 제조방법은 야래 향 나무의 꽃이나 잎, 열매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채집 건조시켜 야래 향 꽃을 준비하는 공정(제1단계); 상기 야래 향 꽃이나 잎, 열매를 분쇄하고 물 또는 에탄올을 포함한 다양한 유, 무기용매를 첨가하여 야래 향 성분들을 추출하는 공정(제2단계); 상기 혼합물을 여과 또는 원심분리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제3단계); 상기 공정에서 불순물이 제거된 추출액에 함유된 용매를 증발시켜 야래 향 추출물을 제조하는 공정(제4단계); 상기 준비된 야래 향 추출물을 전체중량비에 대해 0.05~5%로 향수를 이루는 휘발성 베이스에 첨가하는 공정(5단계);
상기 완성된 향수를 용기에 주입하는 공정(5단계)을 포함하여 야래 향 향수가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모기는 ‘숨 쉴 때 뿜어지는 이산화탄소’ ‘젖산과 같은 피부 화학요소’ ‘사람의 체온’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동물이나 사람이 내뿜는 이산화탄소에 민감해 10m 밖에서도 냄새를 맡고 추적해와 먹이의 대상으로 삼으며 특히 땀냄새가 많이 나거나 향수 바른 사람을 좋아해 이들을 주로 공격한다. 따라서 모기에 물리지 않으려면 몸을 깨끗이 씻어 냄새를 없앤 뒤 청결을 유지하고 향수나 화장품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
인체의 대사과정에서 나오는 젖산, 지방을 태울 때 생기는 아세톤, 박테리아가 단백질을 분해할 때 생기는 염기 이황화물 등도 모기를 유인하는 원인이며 모기가 주로 다리나 얼굴을 무는 이유는 다리 부위에서 상대적으로 젖산이 많이 분비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저녁에 운동을 하고 깨끗이 씻지 않고 자면 땀과 함께 젖산이 분비 돼 모기의 밥이 되기 십상이다.
모기는 몸에서 나는 열에 민감하다. 먼 거리에서도 온도 변화 감지능력이 뛰어나 열이 많은 사람을 주로 공격한다. 잘 때 땀을 흘리거나 몸부림을 치는 사람이 모기에 잘 뜯기는 것은 이런 이유다.
이처럼 요즘 모기는 겨울에도 사라지지 않을 정도로 그 생명력이 대단해졌고 가축을 기르는 농장에서는 모기로 인한 전쟁을 치르고 있을 정도이며 시중에는 방충 및 구충의 효과도 있다는 식물을 재료로 한 제품이 다양하게 나와있는 실정이며 이를 살펴보면;
고대 로마시대 때부터 사용됐다고 전해지는 라벤더 꽃은 방충제로써 모기나 파리 등의 해충을 쫓는데 이용하면 효과적이며 라벤더 꽃을 증류하여 만든 라벤더 오일을 몸에 바르면 모기에 물리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고 하며;
파리를 쫓는데 효과적인 민트 향과 향료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상업적으로 재배된 식물인 잎에서 향을 뿜는 제라늄과 지중해 연안과 유럽이 원산지로 방충제인 타임과 산초나무 열매와 천리향, 금목서, 구몬초 등이 그 예이지만 향기가 그다지
좋지않아 향수로 사용하기는 어렵고 위에서 언급한 만큼 모기나 해충퇴치효과가 뛰어나지 못하다.
본원의 야래 향 (夜來香)은 아직 우리에겐 생소한 나무 지만 밤에만 향기를 낸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처럼 밤에 꽃을 피우는 향나무 일종으로 이처럼 "야래 향"은 밤에만 향기가 퍼지는 식물로 우리나라 토종은 아니며 향이 워낙 진하고 멀리 퍼지기 때문에 한그루면 집안이 향기로 가득하게 되며 야래 향 나무는 꽃이 필 때는 이 상하게 한낮에는 향기를 풍기지않다가 해가 지고 날이 어두워지면 어김없이 짙은 향기를 풍겨 모기나 해충을 쫓아버리게 된다.
천연 모기향, '야래 향 나무'에 관심 급증! 최근 한 방송에서 야래 향 나무가 지닌 특성이 모기와 상극이라고 소개돼 시청자들과 네티즌들이 야래 향 나무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고 방송되자 방송이 나간 후 ‘야래 향 나무’가 각 포털 사이트 인기검색어 순위에 등극해 눈길을 끌고 있다. 알려진 바에 의하면 야래 향 나무는 그 특유의 진한 향 때문에 모기의 접근을 막는다고 한다.
특히 바닷가 근처의 피서지에서 야래 향 나무가 담긴 작은 화분을 가져다 놓으면 그 효능을 바로 확인할 수 있을 만큼 모기 퇴치에 큰 역할을 한다고 한다.
얼마 전 한 방송에서 야래 향 나무의 특성상 모기와 상극이라고 소개되자 인기검색어 순위가 급등했다. 야래 향 나무는 그 특유의 진한 향 때문에 모기의 접근을 막는다고 한다.
특히 바닷가 근처의 피서지에서 바닷바람에 단련되어 크기가 크고 사나운 모기들도 야래 향 나무가 심어진 조그만 화분을 하나 가져다 놓으면 그 효능을 바로 눈으로 확인할 수 있을 만큼 모기 퇴치에 제격이라고 한다.
이처럼 야래 향은 밤에 향기를 내뿜는다고 해서 '야래 향 (夜來香, Night Blooming Jasmine)'이라고 한 이 꽃의 학명은 'Cestrum nocturnum'인데 중국풍의 이름 때문에 중국이 자생지로 아는 이들이 많지만 원산지는 '서인도 제도(West Indies)'와 '열대 아메리카(tropical America)이며 잎과 열매에서도 향기가 난다.
본원 발명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야래 향 꽃을 촬영한 사진을 나타냄으로 개화 전 야래 향 꽃을 사진으로 나타낸 것으로 개화 전의 야래 향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반쯤 개화한 야래 향 꽃을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개화한 야래 향 꽃을 사진 두장을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에 부작용없는 천연 추출물인 야래 향을 유효성분으로 추출되는 향기가 뛰어나고 모기 퇴치 기능이 있는 향수를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의 향수를 인체에 뿌려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본원 발명은 완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다음과 같은 여러 실시 예를 실시하였다.
<실시 예 1>
본원 발명의 야래 향을 이용한 향수의 제조방법은 야래 향 꽃 나무로부터 꽃봉오리나 열매, 잎을 채집 건조시켜 야래 향 꽃을 준비하는 공정(제1단계);
용기에 상기 야래 향 꽃을 분쇄하고 물 또는 에탄올을 포함한 다양한 유, 무기용매를 첨가하여 야래 향 꽃 성분들을 추출하는 공정(제2단계); 상기 혼합물을 여과 또는 원심분리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제3단계); 상기 공정에서 불순물이 제거된 추출액에 함유된 용매를 증발시켜 야래 향 추출물을 제조하는 공정(제4단계); 및 상기 준비된 야래 향 꽃 추출물을 통상의 향수 첨가제 전체중량비 또는 중량%에 대해 2중량%의 야래 향을 첨가하여 이를 교반하는 공정(제5공정) 상기 완성된 야래 향 향수를 용기에 주입하여 완성하게 된다.
<실시 예 2>
야래 향 꽃 알코올, 플로랄 워터, 보드카 중의 베이스 중에서 선택된
무수에탄올 400중량%, 야래 향 꽃 100중량%, 500mL 비커, 알코올램프, 삼발이, 철망, 500mL 둥근 바닥플라스크, 얼음,
1, 야래 향 꽃을 따서 1~2일 정도 약한 열을 이용해서 말리어 수분을 없앤다.
2, 야래 향 꽃을 1cm내외로 잘게 잘라 큰 비커에 담는다.
3, 비커에 야래 향 꽃이 잠길 정도로 증류수를 붓는다.
4, 큰 비커 가운데에 작은 비커를 넘어지지 않도록 놓는다.
5, 잘게 부순 얼음을 둥근 바닥플라스크에 가득 넣고 큰 비커 위에 올려놓는다.
6, 알코올램프에 불을 붙여 야래 향 꽃이 담긴 비커를 30~40분간 가열한다.
상기 야래 향 꽃을 가열할 때 눌어붙거나 타지 않도록 약한 불에 서서히 가열하였다.
7, 야래 향 꽃 액이 작은 비커에 반정도 모이면 알코올램프를 끈다.
8, 야래 향 추출물을 에탄올과 2:1 정도로 섞어서 완성하였다.
<실시 예 3>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야래 향 나무에서 본 발명자들은 아래 단계들을 포함하는 분리공정에 의하여 전문 회사에서 또 다른 야래 향 꽃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야래 향 꽃나무의 꽃봉오리를 말린 야래 향 꽃을 준비하고 이를 분쇄하여 고운 가루로 만들었다.
미쇄한 야래 향 꽃 분말을 일정 비율로 물과 섞은 후 혼합하여 이를 교반하고 상기 교반이 끝난 후 원심분리 또는 여과방법을 이용하여 불순물이 제거된 추출액을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추가적인 정제공정을 통해 그대로 사용하거나 또는 바 람직하게는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으로 더욱 활성이 있는 분획을 따로 추출하여 첨가제 제조에 이용할 수 있다.
즉, 야래 향 꽃나무로부터 미개화 꽃봉오리를 채집 건조시켜 야래 향 꽃을 준비하는 공정(제1단계); 상기 야래 향 꽃을 분쇄하고 물 또는 알코올과 같은 유, 무기용매를 첨가하여 야래 향 꽃 성분들을 추출하는 공정(제2단계); 상기 혼합물을 여과 또는 원심분리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제3단계); 상기 공정에서 불순물이 제거된 추출액에 함유된 용매를 증발시켜 야래 향 꽃 추출물을 제조하는 공정(제4단계); 및 상기 준비된 야래 향 추출물을 통상의 향수첨가제 조성물에 대해 5중량%를 첨가하여 야래 향 꽃 추출물이 함유된 향수를 제조하는 공정(제5공정)을 포함한다.
야래 향 꽃은 채집되는 산지, 채집시기 등에 따라 그로부터 분리된 추출물의 성분 및 활성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이는 다른 일반적인 생약초의 경우에도 예상되는 것이다. 또한, 채집된 야래 향 꽃 나무의 꽃봉오리는 그늘에서 건조하는 것이 바
람직 한데, 이는 왜냐하면 햇빛에 의해 야래 향 꽃의 유효성분들이 휘발 되거나 파괴 변성될 수 있으므로 그 효과가 줄어들기 때문이며 바람직하게는 야래 향나무줄기나 잎 뿌리, 열매에서 상기 야래 향을 추출하여 상기 향수에 첨가하여도 바람직하다.
이렇게 건조된 야래 향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해서 유, 무기용매,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부탄올 등과 같은 알코올류, 아세톤, 초산 에틸 등의 에스테르류, n~핵산, 클로로포름 등의 용매 중 선택된 하나 또는 적어도 둘 이상의 혼합 용매를 첨가제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용매를 이용한 추출방법은 당 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각종 용매를 건조된 야래 향 꽃 분말에 일정량 첨가하여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환류 냉각기가 설치된 맨틀에서 일정시간 가열한다. 야래 향의 용매 추출물에는 찌꺼기 상태의 야래 향 꽃 분쇄찌꺼기가 추출물과 액상으로 섞여있어 혼합액을 적절한 여과기로 여과시켜 야래 향 꽃 추출물 용매만으로 된 추출액을 추출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액에 대하여 용매를 바람직하게는 약 0.005~1기압에서 40~70℃ 조건으로 증발시켜 추출물을 추출한다.
이때, 증발온도를 높게 할수록 추출물에 화학변화가 야기되거나 감압시 유출되는 공기에 추출물 주요성분이 함께 빠져나갈 우려가 있기 때문에 적절한 증발조건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 예 4>
1ℓ의 스테인리스 스틸 용기에 야래 향을 추출하여 얻은 야래 향 정유 20중량%를 용매물질로 하고 상기한 첨가제 중에 바람직한 어느 한 첨가제인 호호바 오일 20중량%와 에탄올 60중량%를 투입하여 이를 희석하여 완성해보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실시 예에 의한 향수 첨가제 대비 20중량%로 처리된 본원의 향수는 장기간 향기가 지속하여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향수를 뿌린 채 사회활동이나 등산, 낚시, 캠핑, 여행, 바캉스 등과 같은 레저활동을 즐길 시에나 혹은 그외 야외작업 및 훈련, 수련회 등 기타 다른 어떤 야외활동을 필요로 할 경우 본 발명의 향수로 제조하여 뿌리게 되면 향기가 매우 뛰어나고 야래 향 추출물의 고유한 방향성질에 의하여 모기나 해충들이 인체 피부 가까이 접근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게 되어 사용자의 건강을 지켜줄 뿐만 아니라, 천연의 그윽한 꽃 냄새의 방향작용으로 일의 능률향상은 물론 쾌적한 기분을 만끽할 수 있는 등 그 효용적 가치가 매우 높다.
본 발명자들은 고액의 비용을 들이고 전문 실험기관에서 본 실험을 할 수가 없었고
아래의 실험은 실시예4에서 얻어진 야래 향 향수를 본 발명자 친지인 직장 여성들인 20대 30대 40대 여성을 대상으로 수일간에 걸쳐서 향기력 테스트와 모기 기피 실험을 하여 보았고 대조군으로는 시중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 라벤더 꽃과 민트 산초나무 열매와 천리향, 구몬초등을 정유로 추출하여 7월 21일~25일까지 야외에서 대조군으로 실시하여본 결과 상기의 대조군 향수는 향기도 라벤더와 민트향과 천리향은 좋았지만 산초는 향기가 그다지 좋지못하였고 모기기피력이 거의 없었으며 본원의 야래 향을 손목과 목과 가슴에 뿌린 여성들은 한결같이 좋은 향취를 느꼈다고 답했으며 모기퇴치효과를 느낄 수 있었다.
<실험 1>
향수종류 시험날짜 라벤더 민트 산초열매 천리향 야래 향 향수
07월21일 07월22일 07월23 07월24일 07월25일
45세 여성 1 1 2 2 0
40세 여성 1 2 3 2 0
35세 여성 2 2 2 3 0
30세 여성 2 2 3 2 0
28세 여성 2 3 2 2 0
26세 여성 3 3 2 2 0
22세 여성 3 4 3 2 0
상기에서 실험한 결과 본원의 야래 향은 그 향기가 매우 그윽하였으며 알레르기 환자가 사용하여도 알레르기반응을 전혀 나타내지않았으며 또한 또 다른 실시한 예로 본원의 야래 향 향수를 몸에 뿌리고 당일 모기매트를 켜지않고 문을 열고 취침을 하였으나 단 한 마리의 모기나 해충에도 물리지 않았고 그 다음날에도 상기 제조된 야래 향 향수를 뿌린 후 모기가 많이 출몰하는 음식물 쓰레기통과 공원을 1시간 동안 실험자들과 다녀보았는데 신기하게도 단 한방의 모기도 쏘이지않았으며 본원의 야래 향 향수를 향수 외에 모기 기피제로 널리 사용하여 모기나 해충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할 수 있는 확신 성을 얻을 수 있었다.
상기의 실험용 야래 향 추출법은 증류와 여과방법을 이용하여 불순물이 제거된 야래 향 추출액을 추출하여 알코올과 희석한 야래 향 향수를 사용하였으며 이 액체를 스프레이로 몸에 분사하였으며;
상기 추출액을 추가적인 정제공정을 통해 그대로 사용하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으로 더욱 활성이 있는 분획을 따로 증류나 추출하여 기능성을 가진 향수로 제조하여 이용할 수 있다.
즉, 야래 향 꽃나무로부터 미개화 꽃봉오리나 열매, 줄기 등을 채집 건조시켜 야 래 향 꽃을 준비하는 공정(제1단계); 상기 야래 향 꽃을 분쇄하고 물 또는 알코올과 같은 유, 무기용매를 첨가하여 야래 향 꽃 성분들을 추출하는 공정(제2단계); 상기 혼합물을 여과 또는 원심분리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제3단계); 상기 공정에서 불순물이 제거된 추출액에 함유된 용매를 증발시켜 야래 향 꽃 추출물을 제조하는 공정(제4단계); 및 상기 준비된 야래 향 꽃 추출물을 향수를 구성하는 베이스에 대해 0.05~5% 첨가하여 야래 향 꽃 추출물이 함유된 기능성 향수를 제조하는 공정(제5공정)을 포함한다.
본원의 야래 향 나무는 꽃뿐만이 아니라 잎과 열매에서도 향기가 나며 채집되는 산지, 채집시기 등에 따라 그로부터 분리된 추출물의 성분 및 활성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이는 다른 일반적인 생약초의 경우에도 예상되는 것이다.
또한, 채집된 야래 향 꽃 나무의 꽃봉오리는 그늘에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 한데, 이는 왜냐하면 햇빛에 의해 야래 향 꽃의 유효성분들이 휘발 되거나 파괴 변성될 수 있으므로 그 효과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건조된 야래 향 꽃이나 열매, 잎으로부터 정유를 추출하기 위해서 물 또는 유기용매,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부탄올 등과 같은 알코올류, 아세톤, 초산 에틸 등의 에스테르류, n~핵산, 클로로포름 등의 용매 중 선택된 하나 또는 적어도 둘 이상의 혼합 용매를 본원의 야래 향과 혼합하여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용매를 이용한 추출방법은 당 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각종 용매를 건조된 야래 향 분말에 일정량 첨가하여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환류 냉각기가 설 치된 맨틀에서 일정시간 가열하며 야래 향 꽃의 용매 추출물에는 찌꺼기 상태의 야래 향 꽃 분쇄찌꺼기가 추출물과 액상으로 섞여있어 혼합액을 적절한 여과기로 여과시켜 야래 향 꽃 추출물 용매만으로 된 추출액을 추출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액에 대하여 용매를 바람직하게는 약 0.005~1기압에서 40~70℃ 조건으로 증발시켜 증류식으로 추출물을 추출한다.
이때, 증발온도를 높게 할수록 추출물에 화학변화가 야기되거나 감압시 유출되는 공기에 추출물 주요성분이 함께 빠져나갈 우려가 있기 때문에 적절한 증발조건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정에 의해 추출된 야래 향 추출물을 통상의 향수 조성물에 첨가하여 향기가 뛰어나고 모기퇴치기능을 갖는 향수를 제조할 수 있으며 향수 본연의 기능과 모기퇴치를 목적으로 야래 향 꽃 추출물을 사용할 때 모기퇴치 향수에 투입된 첨가액 물질 전체 중량비로 0.05~10중량%가 효과적이며, 바람직하게는 0.1~5중량 %이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원의 야래 재료에서 향을 내는 에센스오일을 얻는 방법에는 담그기, 적출법, 증류, 압착, 냉침법중에서 바람직한 어느 한 추출법을 통하여 야래 향 향수소재인 정유를 추출하게 되고 바람직한 추출법은 추출과 증류이며 에탄올 같은 유, 무기
용매를 이용해 향을 내는 물질을 원재료로부터 추출해 내거나 원재료를 가열하여 나온 증기를 다시 응축시켜 오일을 얻는 것이다.
상기 실시 예에서 사용한 수증기 증류법을 이용해 소량의 야래 향 꽃 정유(꽃, 잎, 줄기, 뿌리, 열매 등에서 얻어지는 기름)를 얻었으며 향수를 제조하여 보았으며 매우 향기가 뛰어나고 모기가 기피하는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상기의 실시 예의 추출방법은 널리 알려진 통상적인 기술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본원의 야래 향의 개략적인 추출방법을 기술하였다.
본 발명에 대한 다른 변형 및 변경은 특히 청구의 범위에 설명된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당업자에 의해 예의실시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실시 예의 측면들은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변형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하며 당업자는 상기 설명이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없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해석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본원 발명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짐이 바람직하고;
발명의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더불어 본원 발명은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원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판단되어야만
하며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개화 전 야래 향 꽃을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반쯤 개화한 야래 향 꽃을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개화한 야래 향 꽃을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Claims (4)

  1. 향수에 있어서,
    물, 플로랄 워터, 보드카, 호호바 오일, 알코올, 부탄올, 에스테르류를 포함한 유, 무기 용매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용매로 이루어진 향수에 대하여 야래 향 추출물이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래 향 향수.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야래 향 추출물은 향수 용매물질 전체 중량비에 대하여 0.1~5중량%가 투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야래 향 향수.
  3. 야래 향 추출물은 향수 조성물 전체 중량비에 대하여 0.05~10중량%가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야래 향 향수.
  4. 야래 향 나무의 꽃, 잎, 열매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채집 건조시켜 야래 향 꽃을 준비하는 공정(제1단계); 상기 야래 향나무 꽃, 잎, 열매를 분쇄하고 물, 알코올을 포함한 유, 무기용매를 첨가하여 야래 향 성분들을 추출하는 공정(제2단계); 상기 혼합물을 여과 또는 원심분리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제3단계); 상기 공정에서 불순물이 제거된 야래 향 추출액에 함유된 상기 용매를 증발시켜 야래 향 추출물을 제조하는 공정(제4단계); 상기 준비된 야래 향 추출물을 향수 조성물 전체중 량비에 대해 0.05~5%로 첨가하는 공정(5단계);
    상기 완성된 향수를 용기에 주입하는 공정(5단계)을 포함하여 야래 향 향수가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야래 향 향수.
KR1020080081896A 2008-08-21 2008-08-21 야래 향 향수 Abandoned KR201000232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896A KR20100023236A (ko) 2008-08-21 2008-08-21 야래 향 향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896A KR20100023236A (ko) 2008-08-21 2008-08-21 야래 향 향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236A true KR20100023236A (ko) 2010-03-04

Family

ID=42175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1896A Abandoned KR20100023236A (ko) 2008-08-21 2008-08-21 야래 향 향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323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514B1 (ko) * 2012-09-06 2015-05-26 이제균 석창포 향료의 사용방법
CN105310920A (zh) * 2014-08-04 2016-02-10 南京集美新型材料研发有限公司 一种驱蚊、防蚊浴液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514B1 (ko) * 2012-09-06 2015-05-26 이제균 석창포 향료의 사용방법
CN105310920A (zh) * 2014-08-04 2016-02-10 南京集美新型材料研发有限公司 一种驱蚊、防蚊浴液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1985B1 (ko) 인체에 안전한 모기 기피제 조성물
CN105230685A (zh) 具有驱蚊效果的草本植物精油组合物
US9198435B2 (en) Natural pesticide composition and method of producing
EP2405760B1 (fr) Extrait d&#39;euodia suaveolens scheff, compositions repulsives et leur utilisation
CN110179697A (zh) 一种植物精油微乳驱避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50029881A (ko) 모기 기피 조성물
KR101043182B1 (ko) 향수
CN106726871A (zh) 青蒿驱蚊止痒花露水及其制备方法
KR20200072777A (ko) 천연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가지는 닭진드기 살비제 조성물
KR20100023236A (ko) 야래 향 향수
KR101029486B1 (ko) 야래향모기 퇴치밴드
KR101029485B1 (ko) 야래향 모기 퇴치패드
KR20110114514A (ko) 은행나무 추출 유해 곤충 퇴치 조성물
CN110477057A (zh) 一种茉莉花专用防啃食驱虫复合保护剂
KR20110045440A (ko) 모기 기피 조성물
KR20100002009U (ko) 야래향 모기약
Salahudin et al. Lavender
CN111264570B (zh) 植物驱蚊熏香及其制备方法
KR101089418B1 (ko) 야래 향 첨가 화장품
KR20100031812A (ko) 야래 향 첨가 토시
KR101099994B1 (ko) 스타킹
KR20130030981A (ko) 모기 기피제
KR101000557B1 (ko) 야래 향 첨가 비누
KR101089474B1 (ko) 야래 향 첨가 스타킹
KR20100020132A (ko) 야래 향 첨가 피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8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9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C1902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decision of registration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