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0557B1 - 야래 향 첨가 비누 - Google Patents

야래 향 첨가 비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0557B1
KR101000557B1 KR1020080080216A KR20080080216A KR101000557B1 KR 101000557 B1 KR101000557 B1 KR 101000557B1 KR 1020080080216 A KR1020080080216 A KR 1020080080216A KR 20080080216 A KR20080080216 A KR 20080080216A KR 101000557 B1 KR101000557 B1 KR 101000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ap
scented
extract
fragrance
mosquito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0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1541A (ko
Inventor
양원동
Original Assignee
양원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원동 filed Critical 양원동
Priority to KR1020080080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0557B1/ko
Publication of KR20100021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1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0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0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44Perfumes; Colouring materials; Brightening agents ; Bleaching agents
    • C11D9/442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0Mixing; Knea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4Shaping
    • C11D13/16Shaping in moul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Cosmetic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래 향 (夜來香) 나무에서 추출되는 정유를 첨가한 비누(soap)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예로부터 향기가 뛰어나고 해충 특히 모기기피와 퇴치에 효과가 매우 우수한 효능이 있는 야래 향 나무를 이용한 정유(꽃, 잎, 줄기, 열매, 뿌리 등을 추출하여 얻어지는 기름) 추출물을 비누에 첨가하여 만들어진다.
본원의 주재료인 야래 향은 밤에 향기를 내뿜는다고 해서 '야래 향 (夜來香)이라고 한 이 꽃의 학명은 'Cestrum nocturnum'인데 중국풍의 이름 때문에 중국이 자생지로 아는 이들이 많지만 원산지는 '서인도 제도(West Indies)'와 '열대 아메리카(tropical America)가 주산지이다.
야래 향, 모기퇴치, 해충, 비누, 피부, 샴푸, 향기

Description

야래 향 첨가 비누{ Cestrum nocturnum extraction addition soap}
본 발명은 상기하였듯이 야래 향 나무에서 추출되는 정유를 첨가한
비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예로부터 천하에 제일 가는 향기라고 칭해지며 잎에서도 향기가 나는 해충 특히 모기퇴치에 효과가 매우 우수한 효능이 있는 야래 향 나무를 이용한 정유(꽃, 잎, 줄기, 열매, 뿌리 등을 추출하여 얻어지는 기름) 추출물을 만들어 비누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원발명은 상기하였듯이 화학성분이 아닌 향기가 뛰어난 야래 향 나무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비누에 투입하여 향기를 발산하고 인체에 해로운 모기나 해충을 퇴치하는데 본원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하였듯이 야래 향 (夜來香) 나무에서 추출되는 정유를 첨가한 비누(soap)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예로부터 향기가 뛰어나고 해충 특히 모기기피와 퇴치에 효과가 매우 우수한 효능이 있는 야래 향 나무를 이용한 정유(꽃, 잎, 줄기, 열매, 뿌리 등을 추출하여 얻어지는 기름) 추출물을 비누에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야래 향은 모기가 가장 설치는 5월부터 꽃이 피기 시작, 9월까지 계속 피기 때문에 실내에 한 그루만 있으면 여름 내내 모기에 물릴 걱정은 안 해도 되고 실내는 물론 실외에서도 향기만 있으면 주위에 모기가 얼씬도 하지 못한다.
특히 동물을 기르는 축사에도 화분을 창가에 하나만 두면 모기 걱정은 끝이다.
꽃이 피면 모기가 득실거리는 맨홀에, 거실과 방은 물론 축사 등에도 화분을 두고 수십 차례의 실험을 한 결과 야래 향 꽃향기에 모기가 전혀 범접을 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되었다.
그러나 상기 야래 향 나무는 부피가 크므로 본원의 비누처럼 만들지않으면 야외활동시에 착용이나 지니고 다닐 수 없고 요즈음 모기는 겨울에도 기승을 부리므로 9월이 되면 꽃이 지므로 야래 향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하였듯이 야래 향 나무에서 추출되는 정유를 첨가한 비누에 관한 것으로 인체에 무해한 야래 향 정유를 비누에 투입한 것에 관한 것으로 모기나 해충 퇴치에 효과가 매우 우수한 효능이 있는 야래 향 나무를 이용한 정유 추출물을 만들어 비누에 첨가하는 것을 본원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기존 모기살충제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여러 가지 물질의 모기에 대한 살충력과 기피력을 실험하던 중 야래 향 꽃에서 추출되는 모기퇴치용 정유가 인체에 안전하고 우수한 모기 및 해충퇴치효과가 월등함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하였듯이 야래 향 (夜來香) 나무에서 개화하는 꽃이나 잎에서 추출되는 비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예로부터 해충 특히 모기퇴치에 효과가 매우 우수한 효능이 있는 야래 향 나무를 이용한 정유(꽃, 잎, 줄기, 열매, 뿌리 등을 추출하여 얻어지는 기름) 추출물을 비누베이스물질 전체 중량비에 대하여 0.01~20중량%를 투입하여 인체에 무해한 향기가 뛰어난 해충 퇴치기능을 갖는 비누를 구현하는데 본원의 특징이 있는 것이다.
최근 야외에서 여성들이 화장하는 비누에 의하여 벌 등이 독충들이 달려들어 쏘이 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야외에서 독충에 쏘였을 때 보통은 가려움증과 불쾌감을 느끼는 가벼운 증상을 겪게 되지만 심각한 경우 발열과 두통 등으로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야외에서 독충을 피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피부 노출을 막는 것이며 또 곤충을 유인할 수 있는 밝은 색 옷이나 헤어스프레이, 향수 등 비누의 사용을 피하는 것도 좋다.
흡혈하는 모기는 알을 낳으려는 암컷이며, 수컷은 식물의 액즙을 빨아 먹으며 산다. 집모기류와 얼룩날개모기류 등 대부분의 모기는 주로 밤에 활동한다.
하지만, 산에서 볼 수 있는 일부 숲 모기류는 낮에도 흡혈해 등산객을 괴롭힌다.
모기와 같은 쏘는 곤충은 몸이나 옷에 기피제를 살포하면 어느 정도 접근을 막을 수 있다. 하지만, 이것도 효과가 지속적이지 못해 수시로 뿌려줘야 한다.
뿌리는 살충제는 디클로르보스 등 몸에 해로운 성분이 들어 있어 적당량 사용해야 한다. 직접 몸에 대고 뿌리는 것도 건강에 좋지 않고 전자모기향은 일반 모기향보다는 눈이나 기관지 등 신체에 자극이 덜하지만 자주 환기통을 열어 환기를 시켜줘야 한다. 암컷 모기가 싫어하는 초음파를 발생시켜 접근을 막는 제품도 있다. 하지만, 극성스런 숲이나 바닷가의 모기에게는 그다지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이처럼 모기는 뇌염(encephalitis), 말라리아(malaria) 등과 같은 질병의 주요매개 원이다.
모기는 매년 8억 이상의 사람들에게 병을 옮기며, 특히 말라리아 모기에 의한 질병으로 인해 매년 4백만 이상의 사람들이 사망한다고 보고되어있다.
이러한, 모기의 공격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기 위해 여러 가지 해결방안이 연구되어왔으며, 그 중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기피제를 사용하는 것이었다.
모기 기피제로는 DEET(N,N-diethyl-m-toluamide 또는N,N-diethyl-3-methylbenzamide)이라는 유기화합물이 주로 사용되며, 이 DEET 성분은 1946년 미군에 의해 처음 사용됐고, 1957년 이후 전 세계적으로 보급되어 현재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성분이다.
DEET를 이용한 기피제 제형으로는 에어로졸, 펌프 스프레이, 비누, 크림, 액제 그리고 손목 밴드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기피제의 모기 기피효과는 DEET의 농도에 직접적으로 비례한다고 보고돼 있다.
또한, 제품 내 사용 농도는 다양하며, 피부, 경구 독성 등 여러 측면에서 인체 안전성이 입증되었으나, 높은 피부 침투성(skin permeability) 때문에 임산부나 어린아이 등에게는 아직 그 안전성이 입증되지 않았고, 플라스틱이나 합성섬유 등에 변색을 초래하는 문제점 등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유기화합물에 인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인간 및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
서 효과적으로 모기를 방제할 수 있는 방제방법 및 대체약제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야래 향나무에서 정유 추출물은 인체에 무해하고 친환경적인 자연계 천연향이므로 인체에 특히 유아나 노약자 등에 안전하고 특히 여름철 야외활동에 사용하게 되면 우수한 모기 및 해충퇴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하였듯이 야래 향 (夜來香) 나무에서 추출되는 정유를 첨가한 비누(soap)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예로부터 향기가 뛰어나고 해충 특히 모기기피와 퇴치에 효과가 매우 우수한 효능이 있는 야래 향 나무를 이용한
정유(꽃, 잎, 줄기, 열매, 뿌리 등을 추출하여 얻어지는 기름) 추출물을 비누에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누는 때를 씻어낼 때 쓰는 물건으로 물에 녹으면 거품이 일며 보통 고급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염을 주성분으로 하며 화학성분의 비누와 천연비누로 나누어지고
최근에 피부에 좋다는 이유로 천연 비누를 직접 만들거나 구입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고 유망 창업 직종으로 각 매체에 실리기도 했다.
천연 비누의 가장 큰 특징은 비누업체에서 대량생산하는 비누에 들어있는 공업용 방부제가 전혀 들어가지 않는다는 것이며 비누에 쓰이는 방부제가 피부 알레르기의 첫째 원인이며 비누에 들어 있는 화학약품은 인간의 면역체계와 장기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
천연 비누는 일반 비누보다 물기에 약하기 때문에 사용 후 물기를 제거하는 습관을 들여야 하며 사용자 가운데 일부는 재료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기도 한다.
비누는 물과 재료와 가성소다를 정해진 온도로 끓이면서 저으면 글리세린이 생기고 비누화 반응이 일어나며 건성 피부의 보습에는 미강유, 포도씨 오일, 아보카도, 호호바 오일 등이 좋다. 그리고 지성 피부에는 숯, 황토, 코코넛 오일 등이 좋다.
또한 아토피성 피부에 쓰는 재료로는 카모마일, 어성초, 삼백초 등이 있으며 본원발명은 상기의 다양한 비누의 재료에 야래 향 정유를 첨가하는데 본원발명의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비누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아래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복잡하게 하거나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간략하게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당업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본원의 비누의 제조방식은 통상의 바람직한 제조방법에 모두 포함될 수 있는 것이며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원은 인체에 바르거나 뿌리거나 씻어내는 등의 기능을 하는 비누에 있어서,
상기 비누에 야래 향 추출물이 비누 조성물에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래 향 첨가 비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야래 향 추출물은 비누 베이스 및 재료성분 물질 전체 중량비 또는 비누 베이스 및 재료성분 물질 전체 중량비에 대하여 0.01~20중량%를 투입하게 된다.
한편, 본원의 야래 향 꽃 나무로부터 꽃 또는 잎을 채집 건조시켜 야래 향을 준비하는 공정(제1단계);
상기 야래 향 꽃 또는 잎을 분쇄하고 물 또는 에탄올을 포함한 유기 용매를 첨가하여 야래 향 성분들을 추출하는 공정(제2단계);
상기 혼합물을 여과 또는 원심분리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제3단계);
상기 공정에서 불순물이 제거된 추출액에 함유된 용매를 증발시켜 야래 향 추출물을 제조하는 공정(제4단계); 및 상기 준비된 야래 향 추출물을 통상의 비누 재료성분 전체중량비 또는 비누 베이스 및 재료성분 물질 전체 중량비에 대하여 0.01~20중량%를 첨가하여 야래 향 추출물이 함유된 비누를 제조하는 공정(제5공정)과 상기 완성된 비누를 소정형상의 용기에 주입하여 굳히고 이를 떼어내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비누의 조성물 또는 베이스는 통상의 비누 조성물인 가성소다를 비롯하여 물, 알코올, 산, 식물성 및 동물성 오일을 비롯하여 백랍, 경랍, 바셀린, 밀랍, 파라핀, 라놀린, 레티놀, 유화제 등으로 이루어지며 중에서 선택된 1군 이상으로 바람직하게 비누 재료성분으로 선택하여 첨가할 수 있으며 상기 재료 성분은 여기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원의 야래 향과 희석이 되는 비누 재료 성분이라면 자연계 화학계 물질을 가리지않고 어떠한 것이라도 본원의 야래 향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원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야래 향 나무를 아래 사진으로 나타내보았다.
도 1은 야래 향 꽃을 촬영한 사진을 나타냄으로 개화 전 야래 향 꽃을 사진으로 나타낸 것으로 개화 전의 야래 향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반쯤 개화한 야래 향 꽃을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개화한 야래 향 꽃을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야래 향 나무의 꽃에서 정유를 추출하여 비누를 제조한 것을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작용없는 천연 추출물인 야래 향 꽃을 유효성분으로 추출되는 비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은 완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시예를 실시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특히, 여름철에 기승 하면서 인체의 피부를 통해 각종 질병을 유발하거나 혹은 전염병을 매개하는 모기나 날파리 등의 해충으로부터 안전하게 신체를 지켜주기 위한 비누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사람들이 착용하는 비누에 일명 모기 쫓는 나무로 익히 알려진 야래 향 나무에서 정류를 채취하여 이를 비누에 첨가 및 혼합하여 줌으로 이 나무가 지니고 있는 고유한 방향성질(INSECT REPELLENT PERFUME)을 통해 모기를 비롯한 각종의 해충들이 인체 가까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효과적으로 차단 및 퇴치하여 줌으로서 여름철 야외에서의 건강한 활동을 가능케 하는 인체에 무해한 천연향으로 이루어진 모기 및 해충 퇴치를 위한 비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기나 날파리등 각종 해충들에 의한 피해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종 질병의 유발 또는 피부 가려움증 등의 전염병을 매개한다는 문제점과 아울러 특히 모기는 말라리아나 뇌염 등 자칫 치명적인 질병을 수반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제반 피해를 막기 위해 여러 가지의 방안들이 제시되었고, 그 일례로 분무식의 해충 퇴치기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전술한 분무식 해충 퇴치기는 위험한 LPC의 고압 가연성 가스 형태로서 환경 공해의 한 요인으로 대두하고 있으며, 이와는 달리 장시간 사용시 눈과 목에 자극을 주게 되는 코일 형태의 고체 모기향을 마련하여 이를 태우거나 또는 호흡기관에 유익하지 않은 매트나 액체 형태의 전기를 이용한 전자 모기향을 사용하기도 하 였으나 여기에 따른 부작용과 독성이 대두하였고 환경공해 적인 요소가 다분한 것이고, 또한 어느 정도 밀폐된 한정된 실내공간에서는 그 효과를 볼 수도 있겠으나, 야외활동을 필요로 하는 등산이나 낚시, 캠핑 등의 레저활동시에나 야외 작업등에는 아무런 효용성이 없었다.
종래 여름철에 야간활동을 하는 경우 모기 등 해충이 날아들어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모기향을 피우거나 모기약을 몸에 바르거나 통상의 화학성분의 모기 기피제를 피부에 바르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일명 모기 쫓는 나무로 잘 알려진 야래 향 나무에서 추출되는 천연의 향을 사람이 세면이나 세발에 사용하는 비누류에 일정량 첨가하여 환경 공해 없이 누구나 손쉽게 야외 레저활동시에 각종 해충으로부터 인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추출된 야래 향 정유를 용액을 여과기를 통과시켜 불순물을 제거하여 정유 원액을 얻고, 얻어진 상기 원액을 비누에 첨가하여 완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원에서 사용하는 비누 등이라 함은 샴푸, 수용성 마지팩등의 비누 제품을 모두 의미한다.
이와 같은 비누에 야래 향을 첨가함에 있어서, 본원의 야래 향을 유제의 형태로 첨가하거나 고형분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피부에 장애가 없이 향기가 매우 뛰어나고 약효가 장시간 유지되고, 모기 기피제로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본 발명은 각종 질병의 유발 및 전염병을 매개하는 모기나 하루살이, 벌 등의 해충으로부터 안전하게 신체를 지켜주기 위한 비누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명 모기 쫓는 나무로 익히 알려진 야래 향나무의 천연의 향(香)을 채취하여 이를 첨가 및 혼합함으로 이 조향이 지니고 있는 고유한 방향성질(INSECT REPELLENT PERFUME)을 통해 모기를 비롯한 각종의 해충들이 인체 가까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효과적으로 차단 및 퇴치하는 기능을 부여하는 것인바,
상기 야래 향 추출물은 비누의 첨가 물질 전체 중량비 또는 비누 베이스 및 재료성분 물질 전체 중량비에 대하여 0.01~20중량%가 바람직하다.
<실시예1>
본원 발명의 야래 향 꽃을 이용한 비누의 코팅 및 첨가 제조방법은 야래 향 꽃 나무로부터 꽃봉오리를 채집 건조시켜 야래 향 꽃을 준비하는 공정(제1단계);
용기에 상기 야래 향 꽃을 분쇄하고 물 또는 에탄올을 포함한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야래 향 꽃 성분들을 추출하는 공정(제2단계); 상기 혼합물을 여과 또는 원심분리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제3단계); 상기 공정에서 불순물이 제거된 추출액에 함유된 용매를 증발시켜 야래 향 추출물을 제조하는 공정(제4단계); 및 상기 준비된 야래 향 추출물을 통상의 비누 베이스물질 전체중량비 또는 중량%에 대해 2중량%를 첨가하여 야래 향 추출물이 함유된 비누의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제5공정) 상기 완성된 비누를 일정형태의 용기에 일정량 투입하여 비누를 경화시켜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2>
본 발명자들은 스테인리스스틸 용기에 이미 만들어져있는 비누를 2개 구입하여 가스레인지로 가열하여 녹인 다음 야래 향 정유를 넣고 여기에 기제조된 야래 향 정유를 비누베이스 전체중량에 대하여 30중량%를 투입하여 교반하고 이를 식힌 후 사각 틀에 넣어 냉각하여 본원발명의 도 4와 같이 야래 향 비누를 만들어 보았고 그윽한 야래 향 향기가 후각을 자극하였다.
그 과정으로는
1. 비누 베이스를 잘게 자른다.
2. 스테인리스 스틸 용기에 넣은 후 가열하며 끓어 넘치지 않도록 주의한다.
3. 온도계로 온도가 70℃도 넘지 않게 하고 45℃도 정도로 내려가면 야 래향과 약간의 에센셜 오일을 넣는다.
4. 소정의 비누틀에 부어 굳힌다.
5. 냉동실에 20~30분 정도 넣어 급냉하여 비누 틀에서 쉽게 빼낼 수 있게 한다.
6. 완성된 비누를 비닐 랩이나 한지 등에 싸서 보관한다. (향이 날아가지 않게)
다음으로, 야래 향 정유의 추출방법은
1, 야래 향 꽃을 따서 1~2일 정도 약한 열을 이용해서 말리어 수분을 없앴다.
2, 야래 향 꽃을 1cm내외로 잘게 잘라 큰 비커에 담는다.
3, 비커에 야래 향 꽃이 잠길 정도로 증류수를 붓는다.
4, 큰 비커 가운데에 작은 비커를 넘어지지 않도록 놓는다.
5, 잘게 부순 얼음을 둥근 바닥플라스크에 가득 넣고 큰 비커 위에 올려놓는다.
6, 알코올램프에 불을 붙여 야래 향 꽃이 담긴 비커를 30~40분간 가열한다.
상기 야래 향 꽃을 가열할 때 눌어붙거나 타지 않도록 약한 불에 서서히 가열하였다.
7, 야래 향 꽃 액이 작은 비커에 반정도 모이면 알코올램프를 끄고 본원의 야래 향 정류를 추출하였다.
<실시예3>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야래 향 나무에서 본 발명자들은 아래 단계들을 포함하는 분리공정에 의하여 전문 회사에서 또 다른 야래 향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야래 향 꽃나무의 꽃봉오리를 말린 야래 향 꽃을 준비하고 이를 분쇄하여 고운 가루로 만들었다.
미쇄한 야래 향 꽃 분말을 일정 비율로 물과 섞은 후 혼합하여 이를 교반하고 상기 교반이 끝난 후 원심분리 또는 여과방법을 이용하여 불순물이 제거된 추출액을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추가적인 정제공정을 통해 그대로 사용하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으로 더욱 활성이 있는 분획을 따로 추출하여 재료성분 제조에 이용할 수 있다.
즉, 야래 향 꽃나무로부터 미개화 꽃봉오리를 채집 건조시켜 야래 향 꽃을 준비하는 공정(제1단계); 상기 야래 향 꽃을 분쇄하고 물 또는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야래 향 꽃 성분들을 추출하는 공정(제2단계); 상기 혼합물을 여과 또는 원심분리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제3단계); 상기 공정에서 불순물이 제거된 추출액에 함유된 용매를 증발시켜 야래 향 추출물을 제조하는 공정(제4단계); 및 상기 준비된 야래 향 추출물을 통상의 비누 재료성분 베이스 조성물에 대해 5중량%를 첨가하여 야 래 향 추출물이 함유된 비누를 제조하는 공정(제5공정)을 포함한다.
야래 향 꽃은 채집되는 산지, 채집시기 등에 따라 그로부터 분리된 추출물의 성분 및 활성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이는 다른 일반적인 생약초의 경우에도 예상되는 것이다. 또한, 채집된 야래 향 꽃 나무의 꽃봉오리는 그늘에서 건조하는 것이 바
람직 한데, 이는 왜냐하면 햇빛에 의해 야래 향 꽃의 유효성분들이 휘발 되거나 파괴 변성될 수 있으므로 그 효과가 줄어들기 때문이며 바람직하게는 야래 향나무줄기나 잎 뿌리에서 상기 야래 향을 추출하여 상기 비누에 첨가하여도 바람직하다.
이렇게 건조된 야래 향 꽃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해서 물 또는 유기용매,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부탄올 등과 같은 알코올류, 아세톤, 초산 에틸 등의 에스테르류, n~핵산, 클로로포름 등의 용매 중 선택된 하나 또는 적어도 둘 이상의 혼합 용매를 재료성분으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용매를 이용한 추출방법은 당 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예컨대, 각종 용매를 건조된 야래 향 꽃 분말에 일정량 첨가하여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환류 냉각기가 설치된 맨틀에서 일정시간 가열한다.
야래 향 꽃의 용매 추출물에는 찌꺼기 상태의 야래 향 꽃 분쇄찌꺼기가 추출물과 액상으로 섞여있어 혼합액을 적절한 여과기로 여과시켜 야래 향 추출물 용매만으로 된 추출액을 추출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액에 대하여 용매를 바람직하게는 약 0.005~1기압에서 40~70℃ 조건으로 증발시켜 추출물을 추출한다.
이때, 증발온도를 높게 할수록 추출물에 화학변화가 야기되거나 감압시 유출되는 공기에 추출물 주요성분이 함께 빠져나갈 우려가 있기 때문에 적절한 증발조건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4>
저온법 비누(Cold Process) 제조법
저온에서 비누화를 시켜 첨가물을 자유롭게 구성하여 맞춤 비누를 만들며 다양한 오일의 효능을 볼 수 있는 방법.
1. 야래 향 정유(20중량%), 가성소다 용액 (70중량%), 증류수(10중량%)를 따로 계량하여 용기에 담는다.
2. 야래 향 정유를 45~55℃도 사이로 맞춘 뒤 가성소다 용액을 붓는다.
3. 주걱과 핸드 블랜더를 병행하여 저어주면서 트레이스 상태를 만든다.
4. 주걱으로 좀더 저어 선명하게 트레이스가 나면 제조된 비누액을 소정의 틀에 붓는다.
5. 비닐에 덮은 뒤 타올로 감싸 보온시키며 비누화를 진행한다.
6. 24시간을 숙성시킨 후 일정형상의 비누틀에서 비누를 꺼내 원하는 크기로 잘라 서늘하고 환기가 잘되는 곳에서 건조하여 완성해보았고 야래 향 향기가 그윽한 비누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비누를 바른 채 등산, 낚시, 캠핑, 여행, 바캉스 등과 같은 레저활동을 즐길 시에나 혹은 그외 야외작업 및 훈련, 수련회 등 기타 다른 어떤 야외활동을 필요로 할 경우 본 발명의 비누를 바르게 되면 감미로운 향기와 함께 야래 향 추출물의 고유한 방향성질에 의하여 모기나 해충들이 인체 피부 가까 이 접근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게 되어 안전하게 사용자의 건강을 지켜줄 뿐만 아니라, 천연의 그윽한 꽃 냄새의 방향작용으로 일의 능률향상은 물론 쾌적한 기분을 만끽할 수 있는 등 그 효용 적 가치가 매우 높다.
상기 여러 일실시예와 공정에 의해 추출된 야래 향 추출물을 통상의
비누의 첨가 조성물에 희석 첨가하여 향기가 뛰어난 모기퇴치 비누를 제조할 수 있으며 모기퇴치를 목적으로 야래 향 추출물을 사용할 때 비누 재료성분
전체 중량비 또는 비누 베이스 및 재료성분 물질 전체 중량비에 대하여 0.01~20중량% 가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 예에서 사용한 증류법을 이용해 소량의 야래 향 꽃 정유(꽃, 잎, 줄기, 열매, 뿌리 등을 추출하여 얻어지는 기름)를 얻었으며 이를 비누에 첨가하여 제조 하여 보았고 향기가 매우 뛰어나고 모기가 기피하는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상기의 실시예의 추출방법이나 비누 제조방법은 널리 알려진 통상적인 기술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본원의 야래 향의 개략적인 추출방법을 기술하였다.
또한, 본원 발명은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원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개화 전 야래 향 꽃을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반쯤 개화한 야래 향 꽃을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개화한 야래 향 꽃을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야래 향 나무의 꽃에서 정유를 추출하여 비누를 제조한 것을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Claims (4)

  1. 피부나 두피를 씻을 때 사용하는 비누에 있어서,
    상기 비누에 야래 향 추출물이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래 향 첨가 비누.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야래 향 추출물은 비누 재료성분 물질 전체 중량비에 대하여 상기 야래 향 추출 0.01~20중량%가 투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래 향 첨가 비누.
  3. 삭제
  4. 야래 향 꽃 나무로부터 꽃 또는 잎을 채집 건조시켜 야래 향을 준비하는
    공정(제1단계);
    상기 야래 향 꽃 또는 잎을 분쇄하고 물 또는 에탄올을 포함한 유기 용매를 첨가하여 야래 향 성분들을 추출하는 공정(제2단계);
    상기 혼합물을 여과 또는 원심분리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제3단계);
    상기 공정에서 불순물이 제거된 추출액에 함유된 용매를 증발시켜 야래 향 추출물을 제조하는 공정(제4단계); 및 상기 준비된 야래 향 추출물을 통상의 비누 재료성분 전체 중량비에 대하여 0.01~20중량%를 첨가하여 야래 향 추출물이 함유된 비누를 제조하는 공정(제5공정)과 상기 완성된 비누를 소정 형상의 용기에 주입하여 굳히고 이를 떼어내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래 향 첨가 비누의 제조방법.
KR1020080080216A 2008-08-16 2008-08-16 야래 향 첨가 비누 KR101000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216A KR101000557B1 (ko) 2008-08-16 2008-08-16 야래 향 첨가 비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216A KR101000557B1 (ko) 2008-08-16 2008-08-16 야래 향 첨가 비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541A KR20100021541A (ko) 2010-02-25
KR101000557B1 true KR101000557B1 (ko) 2010-12-14

Family

ID=42091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0216A KR101000557B1 (ko) 2008-08-16 2008-08-16 야래 향 첨가 비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055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7021B1 (ko) 1996-10-17 2005-06-23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세정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7021B1 (ko) 1996-10-17 2005-06-23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세정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541A (ko) 201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1009621A5 (fr) Compositions d&#39;insecticides et d&#39;insectifuges.
US9198435B2 (en) Natural pesticide composition and method of producing
KR102291985B1 (ko) 인체에 안전한 모기 기피제 조성물
KR20190080011A (ko) 천연 추출 성분을 함유하는 모기 기피제 조성물
KR20150029881A (ko) 모기 기피 조성물
KR20200123209A (ko) 해충 기피제, 및 해충 기피 제품
KR101174042B1 (ko) 해충의 살충 및 기피 작용을 갖는 혼합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
KR102163976B1 (ko) 팅크처 방식으로 추출한 탱자추출물을 활용한 악취저감 반려동물 샴푸 제조방법
KR101089418B1 (ko) 야래 향 첨가 화장품
KR101000557B1 (ko) 야래 향 첨가 비누
KR101029486B1 (ko) 야래향모기 퇴치밴드
KR101029485B1 (ko) 야래향 모기 퇴치패드
KR20110045440A (ko) 모기 기피 조성물
KR20110114514A (ko) 은행나무 추출 유해 곤충 퇴치 조성물
KR20100031812A (ko) 야래 향 첨가 토시
KR101099994B1 (ko) 스타킹
KR20100023236A (ko) 야래 향 향수
KR101043182B1 (ko) 향수
KR20130005533A (ko) 모기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모기약 조성물
KR101738367B1 (ko) 모기 및 벌레 기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99577B1 (ko) 모기기피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모기기피 직물
KR20080006158A (ko) 모기퇴치 기능을 구비한 비누 제조방법
KR20100020132A (ko) 야래 향 첨가 피복
EP3876719A1 (en) Insect repellent composition
KR101089474B1 (ko) 야래 향 첨가 스타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