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533A - 모기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모기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모기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모기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533A
KR20130005533A KR1020110066990A KR20110066990A KR20130005533A KR 20130005533 A KR20130005533 A KR 20130005533A KR 1020110066990 A KR1020110066990 A KR 1020110066990A KR 20110066990 A KR20110066990 A KR 20110066990A KR 20130005533 A KR20130005533 A KR 20130005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squito
composition
mosquitoes
alcohol
medicin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6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준
김봉호
Original Assignee
김재준
김봉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준, 김봉호 filed Critical 김재준
Priority to KR1020110066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5533A/ko
Publication of KR20130005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53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12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daisy, pyrethrum, artichoke, lettuce, sunflower, wormwood or tarrag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2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skullcap, selfheal, lavender, perilla, pennyroyal, peppermint or spearmi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8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clov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36Rutaceae [Rue family], e.g. lime, orange, lemon, corktree or pricklya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40Liliopsida [monocotyledons]
    • A01N65/44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lemon grass or citronella gra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7Chrysanthemum, e.g. dais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2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containing insect repell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성분을 이용하여 부작용이 없고, 모기 기피활성은 물론, 모기 물림으로 인한 가려움증의 해소가 가능한 모기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모기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감국을 채취하여 수세 및 건조하는 단계와; 건조한 감국을 분쇄하는 단계와; 주정과 분쇄한 감국을 1:0.9~1:1.1의 부피비로 혼합한 혼합액을 숙성시키는 단계와;
숙성시킨 혼합액을 여과하여 액상만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모기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모기약 조성물{Manufacturing method of mosquito repellents composition and the mosquito repellents}
본 발명은 모기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모기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성분을 이용하여 부작용이 없고, 모기 기피활성은 물론, 모기 물림으로 인한 가려움증의 해소가 가능한 모기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모기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기는 뎅기열, 황열병, 말라리아, 사상충과 같은 많은 질병들을 주로 매개하는 곤충이다. 모기에 물릴 경우 가려움증으로 인한 피부질환과 뇌염이나 전염병을 옮길 수 있다. 따라서 모기와의 접촉을 미리 차단하거나 퇴치하기 위한 방법으로, 종래에는 풀을 태워 연기를 발생시키는 모깃불이나 이러한 모깃불 원리를 응용한 모기향 제품, 액상의 화학제를 분사하는 형태의 모기약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모깃불의 경우 쑥 등과 같은 풀을 불에 태워 연기를 발생시켜 모기가 접근하는 것을 막는 것으로, 이러한 모깃불은 풀을 불에 태우는 것이므로 취급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연기로 인한 불쾌한 냄새 및 불의 사용으로 인한 위험성이 뒤따르며, 실내에서는 사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모기향의 경우에도 불을 점화시키거나 발열을 위한 전기장치가 수반됨으로 인하여 화재의 위험이 내재되어 있었으며, 모기약의 경우에는 살충을 목적으로 인체에 유해한 독성물질이 포함됨에 따라 그 사용이 극히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모기의 공격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모기 기피제가 사용되었다. 모기기피제는 DEET(N,N-diethyl-m-toluamide 또는 N,N-diethyl-3-methylbenzamide)라는 유기화합물이 주로 사용되며, 이러한 DEET를 이용한 기피제는 에어로졸, 펌프스프레이, 비누, 크림, 액제 그리고 손목밴드 등 다양한 제형으로 개발되어 취급이 용이해지는 장점을 갖고 있었다.
다만, 이러한 모기 기피제는 모기에 대한 기피력이 우수하나, 불쾌한 냄새와 고독성 및 높은 피부 침투성 때문에 임산부나 어린아이 등에게는 아직 그 안전성이 입증되지 않았으며, 각종 부작용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모기에 대한 기피제로서 식물체 유래물질의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일예로, 특허문헌 1에는 천연 기피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육계(Cinnamomum sieboldii)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모기 기피제 조성물로서 육계에 함유된 트랜스신남알데하이드, 신나밀알콜,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식물성 모기 기피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는 인간에 무해하고 모기에 대해 기피활성을 가지고 있기는 하나, 휘발성이 높고 천연 조성물임으로 인하여 지속시간이 짧으며, 계피 특유의 향으로 인하여 불쾌감이 있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8488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천연성분으로 이루어져 모기에 대한 기피능력이 우수하고, 취급이 간편하며, 지속력이 좋은 것은 물론, 모기 물림으로 인한 가려움증을 해소할 수 있는 모기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모기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알콜향이나 진한 감국향으로 인한 거부감을 해소하는데 있다.
본원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감국을 채취하여 수세 및 건조하는 단계와;
건조한 감국을 분쇄하는 단계와;
주정과 분쇄한 감국을 1:0.9~1:1.1의 부피비로 혼합한 혼합액을 숙성시키는 단계와;
숙성시킨 혼합액을 여과하여 액상만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감국은 1.5~2mm의 크기로 분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액 100부피%에 대하여 모기가 기피하는 향료 1~3부피%가 더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술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되어 모기물림으로 인한 가려움증이 해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기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모기약 조성물은 모기 물린 피부에 도포시 가려움증이 단시간 내에 개선될 수 있고, 감국 특유의 향으로 인하여 모기가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에 따라 모기의 공격을 받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모기에 물림으로 인한 피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꽃향기가 나기 때문에 사용시 불쾌감이 없고 적절한 휘발성을 갖고 있어 보다 장시간 효력을 발휘할 수 있으며, 천연성분으로 이루어져 피부에 대한 부작용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조피나무 열매 껍질 등과 같은 향료를 더 첨가함에 따라 모기 기피 활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고, 특유의 향으로 인하여 감국의 진한 향 및 알콜향을 완화시켜주어 향으로 인한 사용자의 거부감 발생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천연성분으로써 감국을 사용하여 취급이 용이하고 야외는 물론, 실내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고, 모기에 대한 기피활성이 좋고, 모기물림으로 인한 가려움증의 해소가 가능한 모기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먼저, 감국을 채취하여 수세 및 건조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감국(C. indicum)은 황국(黃菊)이라고도 불리며, 주로 산에서 자라는 국화과의 야생종으로, 풀 전체에 짧은 털이 나 있고 줄기의 높이는 60~90cm이며 검은색으로 가늘고 길다. 잎은 짙은 녹색이고 어긋나며 잎자루가 있고 달걀 모양인데 보통 깃꼴로 갈라지며 끝이 뾰족하다. 갈라진 조각은 긴 타원형이고 가장자리가 패어 들어간 모양의 톱니가 있다. 9~10월에 줄기 윗부분에 산방꼴로 두화(頭花)가 핀다. 꽃은 지름 2.5cm 정도이며, 설상화(舌狀花)는 노란색이다.
이러한 감국의 꽃은 말려서 술에 넣어 마시고, 어린 잎은 나물로 쓰기도 하며, 한방에서는 열감기·폐렴·기관지염·두통·위염·장염·종기 등의 치료에 처방되기도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가려움증의 해소 및 모기 기피제 역할을 위하여 감국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감국의 꽃잎을 채취한 뒤, 수세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자연상태에서 또는 건조기 등을 통해 건조하여 사용한다.
이때 꽃잎만을 채취하는 것은 꽃과 꽃 내의 분말에 소염이나 간지러움증을 해소할 수 있는 물질이 다량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음은 건조한 감국을 분쇄하는 단계로, 분쇄를 통해 감국의 부피는 감소시키고 비표면적은 증가시켜 추후 숙성시 감국 꽃의 향기성분 및 가려움증 해소 성분이 보다 잘 침출되어 나올 수 있다.
이때 감국은 1.5~2mm의 크기로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만약 감국의 분쇄크기가 2mm를 초과하면 부피가 커짐에 따라 혼합액 제조시 실제 사용되는 감국의 양이 적어 유효성분이 충분히 침출되지 않음에 따라 가려움 증상 억제 및 모기 기피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감국의 분쇄크기가 1.5mm 미만이면 부피가 지나치게 감소하여 주정 사용량에 비하여 감국의 사용량이 지나치게 증가되므로 제조되는 모기약 조성물의 양이 적다.
다음은 주정과 분쇄한 감국을 1:0.9~1:1.1의 부피비로 혼합한 혼합액을 숙성시키는 단계로, 이는 감국에 포함된 가려움 예방 및 소염작용을 갖는 유효 성분이 주정 내에 침출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주정은 순수 곡물을 이용한 발효주정으로 무색투명한 휘발성 액체이며, 본 발명에서 상기 주정은 알콜 도수가 30~35도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알콜 도수가 30도 미만이면 휘발속도가 지나치게 느려 피부에 도포시 축축함이 오래 남으므로 사용감이 나쁘다. 또한 알콜도수가 35도를 초과하면 휘발속도가 빨라 모기약 조성물이 피부에 흡수되기도 전에 휘발되어 원하는 효능이 발휘되기 어렵고, 그 지속시간도 짧아진다.
그리고 감국이 상기한 부피비 범위 미만으로 혼합되면 감국의 양이 적어 혼합액에 모기를 기피할 수 있는 향 및 가려움증을 해소할 수 있는 성분이 충분히 침출되지 않아 그 효과를 갖는 모기약 조성물이 제조되기 어렵고, 상기한 부피비 범위를 초과하여 혼합되면 감국의 양이 지나치게 많아 농도가 짙어지고, 향이 진하여 불쾌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주정의 사용량이 감소됨에 따라 제조되는 혼합액의 양이 줄어들어 비경제적이다.
이때 숙성은 상온에서 10~12개월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감국의 유효성분 및 향기성분이 충분히 주정내로 침출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숙성이 완료되면 숙성시킨 혼합액을 여과하여 액상만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혼합액에 포함된 감국 침전물을 걸러내어 액상의 모기약 조성물을 얻기 위한 것으로, 이때 50메쉬 이상의 망 등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혼합액으로부터 액상만을 여과시킬 수 있으며, 망은 상기 메쉬크기에 한정되지 않고, 분쇄한 감국이 걸러질 수 있는 것이면 모두 사용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모기약 조성물은 모기 물린 피부에 도포시 가려움증이 단시간 내에 개선될 수 있고, 감국 특유의 향으로 인하여 모기가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에 따라 모기의 공격을 받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모기에 물림으로 인한 피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꽃향기가 나기 때문에 사용시 불쾌감이 없고 적절한 휘발성을 갖고 있어 보다 장시간 효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천연성분으로 이루어져 피부에 대한 부작용이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혼합액 100부피%에 대하여 모기가 기피하는 향료 1~3부피%가 더 첨가될 수 있다.
이는 제조된 모기약 조성물의 전체적인 향을 더욱 향기롭게 하고, 모기의 기피효과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상기 향료로는 조피나무 열매 껍질이나 라벤더 오일, 페퍼민트 오일, 로즈마리 오일, 레몬그라스 오일, 제라늄 오일, 시트로넬라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혹은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조피나무(Sichuan pepper)는 운향과에 속하는 식물로 천초(川椒)라고도 불리운다. 이러한 조피나무의 열매 껍질은 익은 열매를 말려서 껍질만 분리한 뒤, 갈아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조피나무 열매 껍질이나 오일 성분은 모두 모기가 기피하는 향을 내는 것은 물론, 특유의 향으로 인하여 감국의 진한 향 및 알콜향을 완화시켜주어 향으로 인한 사용자의 거부감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모기약 조성물은 변질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과 후 소정시간 열처리를 수행하여 살균시킨 뒤, 사용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방법으로 크림화하거나 분말화하여 액상이 아닌 크림이나 분말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그 제형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감국으로부터 꽃을 채취하여 수세 및 건조시킨 뒤, 1.5~2mm의 크기로 분쇄한 다음, 알콜도수 30도인 주정과 분쇄한 감국 꽃을 1:1의 부피비로 혼합한 혼합액을 상온에서 1년간 숙성시킨 후, 망을 이용하여 액체만을 여과함으로써 액상의 모기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감국 꽃의 분쇄크기가 1~1.4mm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액상의 모기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감국 꽃의 분쇄크기가 2.1~2.3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액상의 모기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주정과 감국 꽃을 1:0.9의 부피비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액상의 모기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주정과 감국 꽃을 1: 1.1:의 부피비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액상의 모기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주정과 감국 꽃을 1:0.8의 부피비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액상의 모기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주정과 감국 꽃을 1:1.2의 부피비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액상의 모기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주정의 알콜 도수가 29도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액상의 모기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주정의 알콜 도수가 35도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액상의 모기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조피나무의 열매 껍질을 1~1.5mm의 크기로 분쇄하여 혼합액 100부피%에 대하여 2부피%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액상의 모기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에서 제조된 모기약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모기 기피활성을 평가실험을 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모기 기피활성은 60명의 임의로 선택된 실험 대상자들에 대하여 20명씩 임의로 선정된 인원으로 조를 편성하여 동일지역에서 동일시간에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9의 모기약 조성물을 노출부위에 뿌려 모기에 대한 기피활성을 평가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모기들은 야외에서 임의로 접근하는 것으로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았다.
구분 30분경과 1시간경과 2시간경과 3시간경과 4시간경과 5시간경과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 ×
실시예 4 ×
실시예 5
실시예 6 × × ×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
실시예 10
◎: 20명 전원이 전혀 모기에 흡혈되지 않음.
○: 20명중 1명이 모기에 흡혈됨.
△: 20명중 2~5명이 모기에 흡혈됨.
×: 20명중 6명 이상이 모기에 흡혈됨.
상기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범위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9의 모기약 조성물의 경우 전체적으로 모기 기피활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그 지속력이 긴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감국꽃의 분쇄크기가 작은 실시예 2나 상대적으로 감국꽃의 사용량이 많은 실시예 7이나 알콜도수가 낮은 실시예 8의 경우에는 그 지속력이 긴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만, 감국 꽃의 분쇄크기가 본 발명에서 제시한 범위보다 큰 실시예 3의 경우 그 지속시간이 짧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대적으로 주정의 사용량이 많은 실시예 6의 경우 휘발속도가 빠름에 따라 모기 기피활성 효과의 지속효과가 저하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에서 제조된 모기약 조성물에 대한 사용자들의 거부감 및 가려움증 해소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모기에 물린 60명의 임의로 선택된 실험 대상자들에 대하여 20명씩 임의로 선정된 인원으로 조를 편성하고 모기 물린부위에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9의 모기약 조성물을 바르고 10분 경과시, 30분 경과시 가려움증의 완화정도와, 모기약 조성물의 후각상의 거부감을 평가하였다.
구분 후각관능검사 피부 가려움 완화
10분 경과 30분 경과
실시예 1
실시예 2 ×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 ×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 20명 전원이 거부감을 느끼지 못하거나 가려움증이 완전히 해소됨.
○: 20명중 1이 거부감을 느끼거나 가려움증이 해소되지 않음.
△: 20명중 2~5명이 거부감을 느끼거나 가려움증이 해소되지 않음.
×: 20명중 6명 이상이 거부감을 느끼거나 가려움증이 해소되지 않음.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시한 범위의 부피비 및 분쇄크기, 알콜도수를 따른 실시예 1 및 실시예 4, 5, 9는 향으로 인한 거부감이 거의 없는 동시에 피부 가려움 완화효과도 빠른 시간 내에 나타났다.
반면, 실시예 2의 경우에는 감국꽃의 분쇄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감국 꽃의 향이 진해져 일부 실험대상자가 거부감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실시예 3의 경우에는 실시예 2에 비하여 거부감은 낮으나, 실시예 1이나 실시예 2에 비하여 가려움증 완화효과가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주정 사용량이 많은 실시예 6의 경우 알콜향이 강하여 후각상의 거부감이 나타남은 물론, 가려움증 완화효과도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상대적으로 감국 꽃의 사용량이 많은 실시예 7이나, 알콜도수가 낮은 실시예 8의 경우 일부 실험대상자가 거부감을 나타냈다.
아울러 향료로써 조피나무 껍질을 첨가한 실시예 10의 경우 감국 꽃향과 알콜 향을 적절히 완화시켜 다른 모기약 조성물에 비하여 후각적 거부감이 없으며, 가려움증 완화효과도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감국의 분쇄크기, 주정의 알콜도수, 주정 및 감국의 사용량을 준수하는 것이 모기 기피활성도를 지속시간을 증가시키면서 효과적으로 모기 물림으로 인한 가려움증이 해소되고, 후각상 거부감이 없음을 알 수 있으며, 식용 가능한 주정이나 감국으로 구성되므로 부작용 발생률이 적어 천연 모기약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가능 함을 예측할 수 있다.

Claims (4)

  1. 감국을 채취하여 수세 및 건조하는 단계와;
    건조한 감국을 분쇄하는 단계와;
    주정과 분쇄한 감국을 1:0.9~1:1.1의 부피비로 혼합한 혼합액을 숙성시키는 단계와;
    숙성시킨 혼합액을 여과하여 액상만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국은 1.5~2mm의 크기로 분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혼합액 100부피%에 대하여 모기가 기피하는 향료 1~3부피%가 더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어 모기물림으로 인한 가려움증이 해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약 조성물.
KR1020110066990A 2011-07-06 2011-07-06 모기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모기약 조성물 KR201300055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990A KR20130005533A (ko) 2011-07-06 2011-07-06 모기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모기약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990A KR20130005533A (ko) 2011-07-06 2011-07-06 모기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모기약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533A true KR20130005533A (ko) 2013-01-16

Family

ID=47836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6990A KR20130005533A (ko) 2011-07-06 2011-07-06 모기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모기약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553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27079A (zh) * 2015-10-23 2016-02-17 华润三九医药股份有限公司 一种对蚊虫叮咬具有修复作用的组合物及其用途
KR20160034498A (ko) * 2014-09-19 2016-03-30 하성섭 발포형 모기 퇴치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6369341A (zh) * 2023-03-01 2023-07-04 安徽农业大学 一种异囊地蛛驱避剂及其应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4498A (ko) * 2014-09-19 2016-03-30 하성섭 발포형 모기 퇴치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5327079A (zh) * 2015-10-23 2016-02-17 华润三九医药股份有限公司 一种对蚊虫叮咬具有修复作用的组合物及其用途
CN105327079B (zh) * 2015-10-23 2018-05-04 华润三九医药股份有限公司 一种对蚊虫叮咬具有修复作用的组合物及其用途
CN116369341A (zh) * 2023-03-01 2023-07-04 安徽农业大学 一种异囊地蛛驱避剂及其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39998B (zh) 一种驱蚊药液及其制备方法
KR101075779B1 (ko) 천연 살균 탈취제
KR101276241B1 (ko) 해충퇴치제 제조방법
CN104186565A (zh) 一种含沉香天然植物芳香的电热液体蚊香及制备方法
JPH10298096A (ja) 相乗的草本抽出物
JP2008534675A (ja) 天然抽出物、ナノシルバー、および天然エッセンシャルオイルを含有する抗菌剤組成物
KR20180069278A (ko) 방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66247B1 (ko) 물티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970788B (zh) 一种高效电热蚊香液及其制备方法
CN105594766A (zh) 一种天然竹炭蚊香及其制作方法
CN105284941A (zh) 一种新型杀虫剂、制备方法及其应用
CN111135209A (zh) 一种具有防疟驱蚊止痒修复的青蒿喷剂及其制备方法
CN106214571B (zh) 一种苦楝驱蚊虫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50029881A (ko) 모기 기피 조성물
CN107484782B (zh) 一种天然驱蚊香薰组合物及其应用和制备方法
KR20180016846A (ko) 비파잎을 이용한 화장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화장수
CN104206450A (zh) 一种中药与表面活性剂复配的电热蚊香液及制备方法
KR20130005533A (ko) 모기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모기약 조성물
KR102164689B1 (ko) 저온찜통, 6단 냉각장치 및 저온진공압력탱크를 이용한 에센셜워터 및 에센셜오일 추출방법, 이를 이용한 에멀젼워터의 제조방법
KR102571344B1 (ko) 섬백리향 및 방향성 식물 정유를 포함하는 향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63976B1 (ko) 팅크처 방식으로 추출한 탱자추출물을 활용한 악취저감 반려동물 샴푸 제조방법
CN104758322A (zh) 一种具有驱虫杀菌灭毒和舒缓神经作用的组合物及其应用
KR101898060B1 (ko) 가습기 살균제용 천연 아로마 에센셜 오일의 수용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2326592A (zh) 中药电热液体蚊香及其制备方法
KR20110045440A (ko) 모기 기피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