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1614B1 - 은행잎 물 숙성물을 함유하는 살충제 또는 비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은행잎 물 숙성물을 함유하는 살충제 또는 비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1614B1
KR101441614B1 KR1020120107406A KR20120107406A KR101441614B1 KR 101441614 B1 KR101441614 B1 KR 101441614B1 KR 1020120107406 A KR1020120107406 A KR 1020120107406A KR 20120107406 A KR20120107406 A KR 20120107406A KR 101441614 B1 KR101441614 B1 KR 101441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ative example
powder
ginkgo
water
a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7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0896A (ko
Inventor
안병준
박화목
Original Assignee
박화목
안병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화목, 안병준 filed Critical 박화목
Priority to KR1020120107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1614B1/ko
Publication of KR20140040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0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6Coniferophyta [gymnosperms], e.g.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2Powders or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6Meliaceae [Chinaberry or Mahogany family], e.g. mahogany, langsat or neem

Abstract

본 발명은 은행잎 물 숙성물을 함유하는 살충제 또는 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은행잎 물 숙성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각종 해충을 방제하는데 탁월한 효능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식물 성장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어, 환경오염 및 인체 유해성, 농작물 내성, 생태계 교란 등을 수반하는 기존의 합성 살충제 조성물과는 다른 친환경적인 살충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작물 증식 증대 효과로 인해 농가의 소득 증대를 가져올 수 있다.

Description

은행잎 물 숙성물을 함유하는 살충제 또는 비료 조성물 {Insecticide or compost composition comprising the leaves of Ginkgo biloba by water aging}
본 발명은 은행잎 물 숙성물을 함유하는 살충제 또는 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100~300μm 입자크기의 은행잎 분말에 물을 가하여 25~50℃에서 숙성시켜 제조된 은행잎 물 숙성물을 함유하는 살충제 또는 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 농업에서는 거의 모두가 병충해 방제를 위하여 합성 농약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오래 전부터 화학 농약의 지나친 사용으로 토양 미생물 및 천적 감소 등 생태계 교란, 수질오염 및 토양과 농산물의 농약잔류 등의 환경문제가 크게 대두되어 커다란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어 있는 상태이며, 이에 따라 친환경 농업을 실현하기 위한 저독성 또는 무독성, 무공해성의 천연 농약 또는 생물 농약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과거 수십 년간 사용되어 오던 화학 농약들은 해충들에 내성이 생겨 시간이 지날수록 더 많은 양의 농약을 사용하거나 또는 보다 치명적인 맹독성의 농약을 사용하여야만 방제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어 환경문제를 더욱 심각하게 만들고 있을 뿐만 아니라, 농작물을 직접 섭취하는 인체에도 치명적인 위해 요인으로 작용하는 심각한 사회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에 따라 화학 농약을 대체하기 위한 천연 살충제를 이용한 생물농약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잘 알려진 식물 유래의 살충제로는 제충국의 성분인 피레스로이드계(pyrethroids) 물질과 론크카르푸스 니코우(Lonchcarpus nicou)에서 분리한 로테논(rotenone)이 있고, 멀구슬나무(Melia azedarach var. japonica MAKINO, subtripinnata, neem tree)에서 분리된 리모노이드계(limonoids) 화합물도 살충제로 호평을 받고 있다(J. Agric. Food Chem., 2003, 51, 369~374)
한편, 이러한 살충제 성분은 천연상태에서는 미량으로 존재하지만, 식물 추출물 또는 식물체를 숙성(aging)하였을 때 그 함량이 증가되는 경우가 많다. 숙성 과정은 숙성재료를 물이나 알코올에 침윤시켜 유효성분의 구조변화를 유도하든지 또는 유효성분의 추출이 원만하게 되도록 하는 방법으로서, 미생물과 배지를 필요로 하는 발효에 비하여 숙성은 주로 낮은 온도(4~50℃)의 물을 용매로 사용한다는 데에 그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백두옹이라는 식물에는 항암성분인 풀사틸라 사포틴 D(pulsatilla saponin D)가 소량으로 함유되어 있으나, 상기 백두옹을 숙성하게 되면 가수분해 효소의 작용으로 백두옹에 함유되어 있던 헤데라게닌 배당체가 풀사틸라 사포틴 D로 전환되면서, 상기 풀사틸라 사포틴 D의 함량이 2~3배씩 증가되는 것이 확인된 바 있다(미국등록특허 제7682638호).
은행잎(leaves of Ginkgo biloba)에는 20여종의 플라보노이드와 5종의 테르펜락톤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 중에서, 트리테르페네락톤류(triterpenelactones)는 벼멸구에 대하여 방제효과가 있음이 이미 알려져 있으며(ACS Symposium Series, Chapter 7, 658, 90~105), 징콜산(Ginkgolic acids)도 다양한 살충효과가 있음이 알려져 있고, 점박이응애(J. korean Soc. Appl. Biol. Chem., 2005, 48, 150~154)에 대한 살충효과 등도 연구된 바 있다. 그런데, 은행잎에 함유되어 있는 기능성 활성성분은 대부분 그 구조가 복잡하여 합성이 쉽지 않으며, 또한 그 함량이 미량이기에 이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원료 은행잎이 다량으로 필요하다. 또한, 이 성분들을 농축 또는 분리하기 위해서는 다단계의 물리화학적 처리가 필요하기에 이러한 성분을 살충제로 직접 분리하여 사용하는 것은 경제성이 없다.
한편, 은행잎 숙성과정에서 접창성을 갖는 타르상(tar-like) 물질이 생성되는데, 본 발명자들은 은행잎 분말에 25~50℃의 물을 처리할 때 상기 타르상 물질이 다량으로 생성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물이 상기 타르상 물질들의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과, 상기 은행잎 분말의 숙성물을 식물 방제제로 이용할 경우, 식물체에 대한 고착력 및 병충해에 대한 방제작용이 향상되어 해충에 대한 살충 효과가 증강됨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은행잎의 숙성물을 비료에 혼합하게 되면, 이를 살충 효과가 있는 친환경 비료 조성물로 이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은행잎 유래의 살충제에 관한 기술이 한국등록특허 제415107호 및 한국공개특허 제2004-0035218호에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선행기술에 개시된 은행잎 유래의 살충제는 고온의 물에 은행잎 분말을 중탕시켜 제조한 은행잎 추출물만을 함유하고 있기에, 본 발명과는 기술적 특징이 다르고, 한국공개특허 제2012-0001454호에도 은행잎 분말을 이용한 해충 퇴치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지만, 상기 선행문헌에는 은행잎 분말에 별도의 접착제를 추가하여 상기 조성물을 해충 퇴치용 조성물로 이용하기에 숙성과정만을 이용해 은행잎 분말의 고착력을 향상시키는 본 발명과는 역시 기술적 특징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2007-0059511호에는 은행잎에 들어 있는 성분을 산과 알칼리 용액으로 추출한 물질을 함유한 원예용 비료의 제조법이 개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이는 본 발명과는 기술적 특징이 다르며, 본 발명의 방법으로 은행잎 분말을 숙성하여 제조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비료에 관해서는 어떤 선행문헌도 확인되지 않았다.
미국등록특허 제7682638호 (Use of hederagenin 3-O-α-L-rhamnopyranosyl(1-2)-[β-D-glucopyranosyl(1-4)]-α-L-arabinopyranoside or an extract from pulsatillae radix containing the same as a therapeutic agent for solid tumors, 2010.03.23.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415107호 (은행잎 추출물과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2004.01.13. 공고) 한국공개특허 제2004-0035218호 (살충제 조성물 제공, 2004.04.29. 공개) 한국공개특허 제2012-0001454호 (해충 퇴치용 조성물, 2012.01.04. 공개) 한국공개특허 제2007-0059511호 (은행잎에 들어 있는 성분을 산과 알칼리 용액으로 추출한 물질을 함유한 원예용 비료의 제조법, 2007.06.12. 공개)
Carpinella, M.C. et al., Antifeedant and insecticide properties of a limonoid from Melia azedarach [Meliaceae] with potential use for pest management., J. Agric. Food Chem., 2003, 51, 369~374. Ahn, Y.J. et al, Phytochemicals for Pest Control. ACS Symposium Series, Chapter 7, 658, 90~105. 이인화, 설영수, 박종대, 점박이응애, 목화진딧물과 복숭아혹진딧물에 대한 은행잎 추출물의 살충 및 기피효과., J. korean Soc. Appl. Biol. Chem., 2005, 48, 150~154.
본 발명의 목적은 은행잎 물 숙성물을 함유하는 살충제 또는 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의 목적은 100~300μm 입자크기의 은행잎 분말에 물을 가하여 25~50℃에서 숙성시켜 제조된 은행잎 물 숙성물을 함유하는 살충제 또는 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은행잎 물 숙성물을 함유하는 살충제, 살진균제 또는 항바이러스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은행잎 물 숙성물은 100~300μm 입자크기의 은행잎 분말에 물을 가하여 25~50℃에서 숙성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은행잎 물 숙성물은 100~300μm 입자크기의 은행잎 분말 100 중량부에 물 100~500 중량부를 가하고, 25~50℃에서 숙성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은행잎 물 숙성물은, 은행잎 분말과 물의 혼합물을 25~50℃에서 숙성하여 제조한 반응물을, 물과 은행잎 분말이 포함된 채로 그대로 건조하여 얻은 분말 상태의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은행잎 물 숙성물은, 상기 반응물에서 분말을 제거한 후 얻은 액상 또는 이를 건조한 건조물 상태의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은행잎 물 숙성물이 함유된 조성물은 살충 효과가 있는 멀구슬 열매 분말을 추가하여 함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은행잎 물 숙성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식물영양제, 농약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추가하여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은행잎 물 숙성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진딧물, 조팝나무 진딧물, 흑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 목화진딧물, 점박이응애, 온실가루이, 총채벌레, 청벌레, 굴파리, 파밤나방, 심식나방, 민달팽이, 이화명나방, 혹명나방, 깎지벌레, 배 배명나방, 배나무이, 꼬마배나무이, 배가루깍지벌레, 벼멸구, 벼혹명나방, 벼이화명나방, 벼 혹명나방, 벼이화명나방, 벼꼬마배나무이, 벼물바구미, 벼애멸구, 배추좀나방, 배추애벌래, 담배거세미나방, 나방, 나방 유충, 땅강아지, 숯검은밤나방, 거세미나방, 고자리파리, 뿌리응애, 뿌리혹선충류, 토양해충류 및 토양선충류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해충, 또는, 푸사리움 옥시스포룸(Fusarium oxysporum , 시들음병 원인균), 실린드로카폰 데스트럭탄스(Cylindrocarpon destructans , 뿌리썩음병 원인균), 보트리티스 시네리아(Botrytis cinerea , 잿빛곰팡이병 원인균), 콜레토트리큠 글오에오스포리데스(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 탄저병 원인균), 스클레로티움 세피보룸(Sclerotium cepivorum, 흑색썩음균핵병 원인균), 스클레로티니아 스클레로티오룸(Sclerotinia sclerotiorum , 균핵병 원인균), 페니실리움 히르수툼(Penicillium hirsutum , 푸른곰팡이병 원인균), 펙토박테리움 카로토보룸(Pectobacterium carotovorum, 근부병 원인균), 리조스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 잘록병 원인균), 피시움 울티뭄(Pythium ultimum, 잘록병 원인균), 피시움 데바루아눔(Pythium debaryanum, 잘록병 원인균) 및 라이조푸스 속(Rhizopus sp., 무름병 원인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식물병 균주, 또는,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Tobacco mosaic virus),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Cucumber mosaic virus) 및 감자 바이러스 Y(Potato virus Y)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식물병 바이러스에 대한 방제제로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일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은행잎 물 숙성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포함된 비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은행잎을 100~300μm 입자크기의 분말로 제조하는 단계;
상기 은행잎 분말 100 중량부에 물 100~50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은행잎 분말과 물 혼합물을 25~50℃에서 숙성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잎 물 숙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은행잎 물 숙성물은 건조된 상태의 은행잎을 100~300μm 입자크기로 분쇄한 후 물로 숙성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은행잎 물 숙성물은 은행잎 분말과 물의 혼합물을 25~50℃에서 숙성하여 제조한 반응물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은행잎 물 숙성물은, 은행잎 분말과 물의 혼합물을 25~50℃에서 숙성하여 제조한 반응물을, 물과 은행잎 분말이 포함된 채로 그대로 건조하여 얻은 분말 상태의 조성물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은행잎 물 숙성물은, 상기 반응물에서 분말을 제거한 후 얻은 액상(여액) 또는 이를 건조한 건조물 상태의 조성물일 수 있다. 이 때 건조방법으로는, 통상적인 건조방법, 바람직하게는, 동결건조, 분무건조, 감압건조, 냉풍건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은행잎 물 숙성물은 100~300μm 입자크기의 은행잎 분말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0~200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150μm가 좋다. 상기 은행잎 분말의 크기가 300μm를 초과하게 되면 은행잎 물 숙성물의 살충성, 살진균성, 항바이러스성 또는 고착력이 떨어져 방제효과가 높지 않아 살충제, 살진균제 또는 항바이러스제 조성물로 이용하기에 적절하지 않다. 반대로 은행잎 분말 크기가 100μm 미만이 되어도 살충성, 살진균성, 항바이러스성 또는 고착력이 떨어지며, 특히 70μm 이하가 되면 상기 은행잎 물 숙성물을 분말로 제조하여 분무할 때, 먼지처럼 휘산되기 때문에, 목표 식물체에 대한 고착력이 현저하게 낮아지고 살충성, 살진균성 또는 항바이러스성도 떨어진다.
상기 은행잎 물 숙성물은 상기 100~300μm 입자크기의 은행잎 분말 100 중량부에 물 100~500 중량부를 가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의 중량이 200~300 중량부인 것이 좋다. 이 때, 물 중량이 100 중량부 미만이면 물의 양이 적어서 숙성이 충분하게 되지 않는다. 물 중량이 50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어도 역시 은행잎 분말의 숙성이 잘 되지 않아 살충 효과가 높지 않을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은행잎 물 숙성물을 분말로 제조할 경우, 건조 시간이 길어지고 건조에 따른 비용이 추가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은행잎 물 숙성물은 25~50℃에서 숙성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0~40℃가 좋다. 이 때, 숙성온도가 25℃ 미만이면 숙성이 잘 되지 않으며 50℃를 초과하면 숙성 시 반응하는 효소 반응을 포함한 생화학적 반응이 원만하지 않아 숙성 효과가 잘 나타나지 않는다.
상기 은행잎 물 숙성물은 20분~24시간 동안 숙성시켜 제조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20분~5시간, 더 바람직하게는 20~60분, 가장 바람직하게는 30~40분 동안이 좋다. 이 때, 숙성시간이 20분 미만이면 숙성이 잘 되지 않는다. 한편, 숙성시간이 5시간을 초과한다 하더라도 숙성이 더 진행되지는 않는다. 다만, 24시간까지는 숙성효과가 유지되며, 24시간을 초과하게 되면 오히려 숙성반응 시 일어나는 효소 반응이 필요이상 진행되어 숙성 효과가 더 좋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은행잎 물 숙성물은 숙성 반응 이후에는, 상기 숙성물 내의 생물학적 반응을 제거하기 위해 가열처리할 수 있다. 상기 가열처리는 70~120℃에서 5~15분간 수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90~100℃에서 5~10분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은행잎 물 숙성물은 살충 효과가 있는 천연물 분말, 식물영양제, 농약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추가하여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물 분말로는 멀구슬나무 열매, 제충국, 마늘, 대황, 쑥국화, 고삼, 애기똥풀 등의 건조 분말 또는 이들의 추출물 분말이 포함될 수 있다. 이 중, 특히 멀구슬나무의 열매는 살충 효과가 뛰어나며, 해충에 대해 신경마비 작용을 하는 테오피린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상기 멀구슬나무 열매에서 추출 및 정제된 님오일(neem oil, 해충방제 효과[해충의 식욕감퇴, 성장억제, 생식기능 저하, 기피효과, 해충발생 방지효능] 있음)이 함유될 수도 있다. 상기 멀구슬 열매의 분말의 입자크기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100~300μm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은행잎 물 숙성물에 추가될 수 있는 식물영양제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식물 영양공급용 비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료로서, 유기질비료, 복합비료, 질소비료, 인산비료, 칼슘비료, 석회비료, 유산질비료, 황산비료, 마그네슘 비료, 미량원소비료, 유기질비료, 분뇨비료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은행잎 물 숙성물과 식물영양제가 혼합된 조성물은, 상기 각종 해충에 대한 방제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식물체의 성장에 유용한 식물영양제로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은행잎 물 숙성물에 추가될 수 있는 농약으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살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살충제로는 카르바메이트, 유기 포스페이트, 유기 염소 살충제, 페닐피라졸, 피레트로이드, 네오니코티노이드, 스피노신(spinosin), 아버멕틴(avermectin), 밀베마이신, 유충 호르몬 유사체, 알킬 할라이드, 유기 주석 화합물, 네레이스톡신(nereistoxin) 유사체, 벤조일우레아, 디아실히드라진, METI 살비제(acaricide) 류의 살곤충제, 및 클로로피크린, 피메트로진, 플로니카미드, 클로펜테진, 헥시티아족스, 에톡사졸, 디아펜티우론, 프로파르지트, 테트라디폰, 클로르페나피르, DNOC, 부프로페진, 시로마진, 아미트라즈, 히드라메틸논, 아세퀴노실, 플루아크리피림, 로테논 또는 이들의 유도체와 같은 살충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은행잎 물 숙성물을 함유하는 살충제, 살진균제 또는 항바이러스제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유효성분이나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색소, 계면활성제, 방부제 등을 더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은행잎 물 숙성물을 함유하는 살충제, 살진균제 또는 항바이러스제 조성물 조성물은, 분말화하거나 펠릿화, 그래뉼화, 정제화하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포장 및 제품화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은행잎 물 숙성물을 함유하는 살충제, 살진균제 또는 항바이러스제 조성물은, 물에 녹이거나 희석하여 사용하는 방법, 분무하는 방법 등과 같이 그 형태와 적용목적, 적용분야에 따라 다양한 방법을 통해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용량은 적용목적과 적용형태, 적용부위, 적용대상 등에 따라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은행잎 물 숙성물을 함유하는 살충제, 살진균제 또는 항바이러스제 조성물은 특별히 사용량이나 적용방법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살충제, 살진균제 또는 항바이러스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엽면살포제, 관주살포제, 식물영양제, 종자코팅제, 토양개량제, 퇴비부숙제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면에서, 본 발명은 은행잎 물 숙성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포함된 비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비료 조성물은 은행잎 물 숙성물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살충, 살진균 또는 항바이러스 효과가 뛰어나, 별도의 살충제, 살진균제 또는 항바이러스제 성분을 식물에 살포하지 않아도 영양공급, 살충, 살진균, 항바이러스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비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작물을 심기 3~4일 전에 토양에 섞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비료 조성물은 100평당 0.5~2kg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제조직후의 상태 그대로 토양에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제조된 비료에 본 발명의 은행잎 물 숙성물이 함유된 조성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료로서 통상적으로 제조된 퇴비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퇴비는 1~3차에 걸쳐 발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퇴비를 제조하기 위핸 재료로서 분변토, 폐지, 하수처리 슬러지, 식품가공재료, 음식 쓰레기, 버섯 폐배지, 깻묵, 원두 찌꺼기, 녹차 찌꺼기, 버개스(bagasse), 볏짚, 왕겨, 쌀겨, 보릿집, 콩줄기, 옥수수대, 건초, 톱밥, 나무껍질, 낙엽, 동물뼈, 폐각, 게껍질, 알껍질, 축산 분뇨(소, 돼지, 닭의 분뇨)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혼합한 후, 수분함량이 50% 이상이 되도록 물을 첨가하고, 20~60℃에서 3~10일 동안 자연발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양질의 퇴비를 제조하기 위해 각종 발효 균주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유산균, 효모, 바실러스 균주, 아스퍼질러스 균주로 이루어진 미생물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균주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을 통해 제조된 퇴비는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장기 보존을 위해 수분함량을 10~20% 이하로 건조시키거나 건조 후 분말이나 펠릿 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은행잎 물 숙성물이 함유된 조성물은 총 비료 조성물에 30~70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은행잎 물 숙성물을 함유하는 살충제 또는 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은행잎 물 숙성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각종 해충을 방제하는데 탁월한 효능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식물 성장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어, 환경오염 및 인체 유해성, 농작물 내성, 생태계 교란 등을 수반하는 기존의 합성 살충제 조성물과는 다른 친환경적인 살충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작물 증식 증대 효과로 인해 농가의 소득 증대를 가져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은행잎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 실시예 1. 은행잎 분말의 제조>
실시예 1-1. 입자크기 100μm의 은행잎 분말
은행잎을 습도가 7% 이하가 되게 건조하고 이를 제트밀(Zet-Mil)로 분쇄하여 100μm의 입자크기를 가진 은행잎 분말을 얻었다.
실시예 1-2. 입자크기 150μm의 은행잎 분말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은행잎 분말을 제조하되 입자크기가 150μm인 은행잎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입자크기 300μm의 은행잎 분말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은행잎 분말을 제조하되 입자크기가 300μm인 은행잎 분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은행잎 물 숙성물 제조-I>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은행잎 분말을 물과 혼합한 후 하기 표 1의 조건으로 20분~5시간 동안 25~50℃에서 반응(숙성)시켰다. 이 후, 상기 반응물을 여과하여 얻은 여액을 은행잎 물 숙성물로 이용하였다. 또한, 상기 여액에 물을 추가하거나 이를 농축하여 각각의 시료 부피를 300㎖로 통일하였다.

조건
실시예
1-1의
은행잎 분말
실시예
1-2의
은행잎 분말
실시예
1-3의
은행잎 분말


숙성
온도

숙성
시간
실시예 2-1 100g - - 100g 35℃ 30분
실시예 2-2 100g - - 300g 35℃ 30분
실시예 2-3 100g - - 500g 35℃ 30분
실시예 2-4 100g - - 200g 25℃ 30분
실시예 2-5 100g - - 200g 50℃ 30분
실시예 2-6 100g - - 200g 35℃ 20분
실시예 2-7 100g - - 200g 35℃ 5시간
실시예 2-8 - 100g - 100g 35℃ 30분
실시예 2-9 - 100g - 300g 35℃ 30분
실시예 2-10 - 100g - 500g 35℃ 30분
실시예 2-11 - 100g - 200g 25℃ 30분
실시예 2-12 - 100g - 200g 50℃ 30분
실시예 2-13 - 100g - 200g 35℃ 20분
실시예 2-14 - 100g - 200g 35℃ 5시간
실시예 2-15 - - 100g 100g 35℃ 30분
실시예 2-16 - - 100g 300g 35℃ 30분
실시예 2-17 - - 100g 500g 35℃ 30분
실시예 2-18 - - 100g 200g 25℃ 30분
실시예 2-19 - - 100g 200g 50℃ 30분
실시예 2-20 - - 100g 200g 35℃ 20분
실시예 2-21 - - 100g 200g 35℃ 5시간
< 실시예 3. 은행잎 물 숙성물의 제조- II >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은행잎 분말을 물과 혼합한 후 하기 표 2의 조건으로 20분~5시간 동안 25~50℃에서 반응(숙성)시켰고, 다시 상기 반응물을 100℃의 수조에서 10분간 반응시켜 은행잎 분말 내의 생화학적 반응을 정지시켰다. 이 후, 상기 반응물을 여과하지 않고 바로 건조기에 넣고 온도 40℃ 이하, 감압하에서 교반하면서 12시간 건조하여 얻은 분말을 은행잎 물 숙성물로 이용하였다.

조건
실시예
1-1의
은행잎 분말
실시예
1-2의
은행잎 분말
실시예
1-3의
은행잎 분말


숙성
온도

숙성
시간
실시예 3-1 100g - - 100g 35℃ 30분
실시예 3-2 100g - - 300g 35℃ 30분
실시예 3-3 100g - - 500g 35℃ 30분
실시예 3-4 100g - - 200g 25℃ 30분
실시예 3-5 100g - - 200g 50℃ 30분
실시예 3-6 100g - - 200g 35℃ 20분
실시예 3-7 100g - - 200g 35℃ 5시간
실시예 3-8 - 100g - 100g 35℃ 30분
실시예 3-9 - 100g - 300g 35℃ 30분
실시예 3-10 - 100g - 500g 35℃ 30분
실시예 3-11 - 100g - 200g 25℃ 30분
실시예 3-12 - 100g - 200g 50℃ 30분
실시예 3-13 - 100g - 200g 35℃ 20분
실시예 3-14 - 100g - 200g 35℃ 5시간
실시예 3-15 - - 100g 100g 35℃ 30분
실시예 3-16 - - 100g 300g 35℃ 30분
실시예 3-17 - - 100g 500g 35℃ 30분
실시예 3-18 - - 100g 200g 25℃ 30분
실시예 3-19 - - 100g 200g 50℃ 30분
실시예 3-20 - - 100g 200g 35℃ 20분
실시예 3-21 - - 100g 200g 35℃ 5시간
< 실시예 4. 은행잎 물 숙성물과 멀구슬 열매 분말의 혼합물 제조>
실시예 4-1. 은행잎 물 숙성물과 멀구슬 열매 분말의 4:1(w:w) 혼합
상기 실시예 3-9의 은행잎 물 숙성물 80g과 입자크기 150μm의 멀구슬 열매 건조 분말 20g을 혼합하였다.
실시예 4-2. 은행잎 물 숙성물과 멀구슬 열매 분말의 1:1(w:w) 혼합
상기 실시예 3-9의 은행잎 물 숙성물 50g과 입자크기 150μm의 멀구슬 열매 건조 분말 50g을 혼합하였다.
< 비교예 1. 비교대상 은행잎 분말의 제조>
비교예 1-1. 입자크기가 70μm인 은행잎 분말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은행잎 분말을 제조하되 입자크기가 70μm인 은행잎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2. 입자크기가 400μm인 은행잎 분말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은행잎 분말을 제조하되 입자크기가 400μm인 은행잎 분말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비교대상 은행잎 물 숙성물의 제조-I>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은행잎 분말을 물과 혼합한 후 하기 표 3의 조건으로 숙성시켰고, 다시 상기 반응물을 100℃의 수조에 10분간 반응시켜은행잎 분말 내의 생화학적 반응을 정지시켰다. 이 후, 상기 반응물에서 은행잎 분말을 여과한 여액을 비교대상 은행잎 물 숙성물로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여액에 물을 추가하거나 이를 농축하여 각각의 시료 부피를 300㎖로 통일하였다.

조건
실시예
1-1의
은행잎
분말
실시예
1-2의
은행잎
분말
실시예
1-3의
은행잎
분말
비교예
1-1의
은행잎
분말
비교예
1-2의
은행잎
분말


숙성
온도

숙성
시간
비교예 2-1 100g - - - - 600g 35℃ 30분
비교예 2-2 100g - - - - 200g 20℃ 30분
비교예 2-3 100g - - - - 200g 60℃ 30분
비교예 2-4 100g - - - - 200g 35℃ 10분
비교예 2-5 100g - - - - 200g 35℃ 24시간
비교예 2-6 - 100g - - - 600g 35℃ 30분
비교예 2-7 - 100g - - - 200g 20℃ 30분
비교예 2-8 - 100g - - - 200g 60℃ 30분
비교예 2-9 - 100g - - - 200g 35℃ 10분
비교예 2-10 - 100g - - - 200g 35℃ 24시간
비교예 2-11 - - 100g - - 600g 35℃ 30분
비교예 2-12 - - 100g - - 200g 20℃ 30분
비교예 2-13 - - 100g - - 200g 60℃ 30분
비교예 2-14 - - 100g - - 200g 35℃ 10분
비교예 2-15 - - 100g - - 200g 35℃ 24시간
비교예 2-16 - - - 100g - 600g 60℃ 30분
비교예 2-17 - - - 100g - 200g 35℃ 30분
비교예 2-18 - - - 100g - 200g 35℃ 30분
비교예 2-19 - - - 100g - 200g 35℃ 10분
비교예 2-20 - - - 100g - 200g 35℃ 24시간
비교예 2-21 - - - 100g - 200g 35℃ 30분
비교예 2-22 - - - - 100g 600g 60℃ 30분
비교예 2-23 - - - - 100g 200g 35℃ 30분
비교예 2-24 - - - - 100g 200g 35℃ 30분
비교예 2-25 - - - - 100g 200g 35℃ 10분
비교예 2-26 - - - - 100g 200g 35℃ 24시간
비교예 2-27 - - - - 100g 200g 35℃ 30분
비교예 2-28 - 100g - - - 200g 100℃ 30분
< 비교예 3. 비교대상 은행잎 물 숙성물의 제조- II >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은행잎 분말을 물과 혼합한 후 하기 표 4의 조건으로 숙성시켰고, 다시 상기 반응물을 100℃의 수조에서 10분간 반응시켜 은행잎 분말 내의 생화학적 반응을 정지시켰다. 이 후, 상기 반응물을 여과하지 않고 바로 건조기에 넣고 온도 40℃ 이하, 감압하에서 교반하면서 12시간 건조하여 얻은 분말을 비교대상 은행잎 물 숙성물로 사용하였다.

조건
실시예
1-1의
은행잎
분말
실시예
1-2의
은행잎
분말
실시예
1-3의
은행잎
분말
비교예
1-1의
은행잎
분말
비교예
1-2의
은행잎
분말


숙성
온도

숙성
시간
비교예 3-1 100g - - - - 550g 35℃ 30분
비교예 3-2 100g - - - - 200g 20℃ 30분
비교예 3-3 100g - - - - 200g 55℃ 30분
비교예 3-4 100g - - - - 200g 35℃ 10분
비교예 3-5 100g - - - - 200g 35℃ 24시간
비교예 3-6 - 100g - - - 550g 35℃ 30분
비교예 3-7 - 100g - - - 200g 20℃ 30분
비교예 3-8 - 100g - - - 200g 55℃ 30분
비교예 3-9 - 100g - - - 200g 35℃ 10분
비교예 3-10 - 100g - - - 200g 35℃ 24시간
비교예 3-11 - - 100g - - 550g 35℃ 30분
비교예 3-12 - - 100g - - 200g 20℃ 30분
비교예 3-13 - - 100g - - 200g 55℃ 30분
비교예 3-14 - - 100g - - 200g 35℃ 10분
비교예 3-15 - - 100g - - 200g 35℃ 24시간
비교예 3-16 - - - 100g - 550g 55℃ 30분
비교예 3-17 - - - 100g - 200g 35℃ 30분
비교예 3-18 - - - 100g - 200g 35℃ 30분
비교예 3-19 - - - 100g - 200g 35℃ 10분
비교예 3-20 - - - 100g - 200g 35℃ 24시간
비교예 3-21 - - - 100g - 200g 35℃ 30분
비교예 3-22 - - - - 100g 550g 55℃ 30분
비교예 3-23 - - - - 100g 200g 35℃ 30분
비교예 3-24 - - - - 100g 200g 35℃ 30분
비교예 3-25 - - - - 100g 200g 35℃ 10분
비교예 3-26 - - - - 100g 200g 35℃ 24시간
비교예 3-27 - - - - 100g 200g 35℃ 30분
비교예 3-28 - 100g - - - 200g 100℃ 30분
< 비교예 4. 은행잎 비숙성물의 제조>
비교예 4-1. 입자크기 150μm인 은행잎 분말을 이용
실시예 1-2의 은행잎 분말 100g에 200g의 100℃ 물을 가하고, 10분간 반응시켰다(숙성 단계 생략 및 은행잎 분말 내의 생화학적 반응만 정지시킴). 이 후, 상기 반응물을 여과하지 않고 바로 건조기에 넣고 온도 40℃ 이하, 감압하에서 교반하면서 12시간 건조하여 얻은 분말을 은행잎 비숙성물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4-2. 입자크기 300μm인 은행잎 분말을 이용
실시예 1-3의 은행잎 분말 100g에 200g의 100℃ 물을 가하고, 10분간 반응시켰다(숙성 단계 생략 및 은행잎 분말 내의 생화학적 반응만 정지시킴). 이 후, 상기 반응물을 여과하지 않고 바로 건조기에 넣고 온도 40℃ 이하, 감압하에서 교반하면서 12시간 건조하여 얻은 분말을 은행잎 비숙성물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4-3. 입자크기 400μm인 은행잎 분말을 이용하여 제조한 은행잎 비숙성물의 제조
비교예 1-2의 은행잎 분말 100g에 200g의 100℃ 물을 가하고, 10분간 반응시켰다(숙성 단계 생략 및 은행잎 분말 내의 생화학적 반응만 정지시킴). 이 후, 상기 반응물을 여과하지 않고 바로 건조기에 넣고 온도 40℃ 이하, 감압하에서 교반하면서 12시간 건조하여 얻은 분말을 은행잎 비숙성물로 사용하였다.
< 비교예 5. 은행잎 비숙성물과 멀구슬 열매의 혼합물 제조>
상기 비교예 4-1의 은행잎 비숙성물 80g과 입자크기 150μm의 멀구슬 열매 분말 20g을 혼합하였다.
< 비교예 6. 멀구슬 열매 분말의 제조>
멀구슬 열매 분말 100g을 입자크기가 150μm가 되도록 분쇄하였다.
< 실험예 1. 액상 상태의 은행잎 물 숙성물의 콩잎 점박이응애에 대한 방제효과 확인>
본 발명의 은행잎 물 숙성물의 방제효과는 공지된 방법에 따라(이인화, 설명수, 박종대;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 150) 점박이응애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이에, 콩잎 한 장당 점박이응애 40마리씩을 접종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콩잎은 25℃의 비닐하우스에서 재배하였고, 비닐하우스 재배시 응애를 콩잎에 접종하여 자라게 하였다. 이 후, 점박이응애 서식 콩잎을 지름 105㎝의 페트리 접시에 넣은 후, 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액상 상태의 은행잎 물 숙성물이 들어있는 분무기를 스탠드에 걸어 페트리 접시 중심부와 45° 각도 및 30㎝ 거리가 되도록 고정한 후, 콩잎 표면이 골고루 젖도록 3번 분무하였다. 분무 후 2시간마다 확대경 하에서 살아있는 점박이응애의 개체수를 확인하였으며, 이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조건 은행잎 물 숙성물 살포 후 살아있는 점박이응애의 개체 수 (마리)
실시예 2-1 5
실시예 2-2 4
실시예 2-3 5
실시예 2-4 4
실시예 2-5 3
실시예 2-6 5
실시예 2-7 4
실시예 2-8 0
실시예 2-9 0
실시예 2-10 3
실시예 2-11 1
실시예 2-12 2
실시예 2-13 1
실시예 2-14 0
실시예 2-15 0
실시예 2-16 3
실시예 2-17 4
실시예 2-18 3
실시예 2-19 4
실시예 2-20 2
실시예 2-21 4
비교예 2-1 32
비교예 2-2 35
비교예 2-3 33
비교예 2-4 34
비교예 2-5 25
비교예 2-6 30
비교예 2-7 32
비교예 2-8 32
비교예 2-9 28
비교예 2-10 19
비교예 2-11 33
비교예 2-12 34
비교예 2-13 35
비교예 2-14 32
비교예 2-15 23
비교예 2-16 29
비교예 2-17 31
비교예 2-18 32
비교예 2-19 33
비교예 2-20 16
비교예 2-21 33
비교예 2-22 35
비교예 2-23 32
비교예 2-24 33
비교예 2-25 29
비교예 2-26 23
비교예 2-27 35
비교예 2-28 30
대조군
(무처리군)

40
표 5의 결과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은행잎 물 숙성물을 처리한 콩잎에서는 점박이응애가 거의 사멸된 반면, 비교예의 은행잎 물 숙성물이 처리된 콩잎에서는 점박이응애가 대부분 살아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은행잎 분말의 숙성시간이 5시간인 것의 숙성 효과가 매우 우수한 반면, 은행잎 분말의 숙성시간이 24시간인 비교예 2-5, 2-10, 2-15, 2-20 및 2-26의 경우, 5시간 숙성을 한 것들보다는 그 효과가 약간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 실험예 2. 은행잎 물 숙성물의 식물잎에 대한 고착력 확인>
분말 상태의 은행잎 물 숙성물을 직접 식물에 분무하여 방제제로 이용할 경우, 상기 은행잎 물 숙성물이 장기간 식물에 고착되는 효과가 높을수록 방제효과가 높아진다. 즉, 은행잎 물 숙성물의 고착력이 높임으로써, 은행잎에서 추출되는 활성 성분들이 장기간 식물에 부착되게 하여 방제효과를 높이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실시예 3의 은행잎 물 숙성물, 실시예 4의 은행잎 물 숙성물과 멀구슬 열매 분말이 혼합된 분말, 비교예 3의 은행잎 물 숙성물, 비교예 4의 은행잎 비숙성물, 비교예 5의 은행잎 비숙성물과 멀구슬 열매 분말이 혼합된 분말 및 비교예 6의 멀구슬 열매 분말의 식물에 대한 고착력을 확인하였다.
먼저, 감잎을 5×5㎝ 크기로 자르고 중량을 잰 후, 상기 감잎에 물을 분무하여 감잎이 물에 젖게한 후, 감잎 한 장씩에 실시예 3의 은행잎 물 숙성물, 실시예 4의 은행잎 물 숙성물과 멀구슬 열매 분말이 혼합된 분말, 비교예 3의 은행잎 물 숙성물, 비교예 4의 은행잎 비숙성물, 비교예 5의 은행잎 비숙성물과 멀구슬 열매 분말이 혼합된 분말 및 비교예 6의 멀구슬 열매 분말을 각각 0.5g씩을 골고루 뿌렸다. 이 후, 다시 상기 감잎의 중량을 재고, 25℃의 백열등 밑에 넣고 5시간 동안 방치하였으며, 5~72시간 후 감잎을 평량지에 흔들어 감잎에 뿌렸던 분말을 털어냈다. 이 후, 감잎에 붙어 있는 분말의 중량 차이를 확인하여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이 때, 하기 표 6의 숫자는 감잎에 붙어있는 분말의 중량을 의미하며, 중량 차이가 많지 않은 것일수록 고착력이 높음을 의미한다.
조건 감잎에 붙어있는 은행잎 물 숙성물의 중량 (g)
실시예 3-1 0.50 0.38 0.37 0.35
실시예 3-2 0.50 0.36 0.35 0.32
실시예 3-3 0.50 0.37 0.36 0.33
실시예 3-4 0.50 0.36 0.35 0.34
실시예 3-5 0.50 0.36 0.35 0.33
실시예 3-6 0.50 0.37 0.36 0.33
실시예 3-7 0.50 0.37 0.36 0.32
실시예 3-8 0.50 0.40 0.38 0.35
실시예 3-9 0.50 0.39 0.39 0.34
실시예 3-10 0.50 0.37 0.38 0.37
실시예 3-11 0.50 0.38 0.38 0.36
실시예 3-12 0.50 0.39 0.39 0.34
실시예 3-13 0.50 0.38 0.39 0.33
실시예 3-14 0.50 0.34 0.38 0.34
실시예 3-15 0.50 0.33 0.38 0.32
실시예 3-16 0.50 0.35 0.33 0.32
실시예 3-17 0.50 0.34 0.32 0.31
실시예 3-18 0.50 0.35 0.33 0.31
실시예 3-19 0.50 0.35 0.33 0.30
실시예 3-20 0.50 0.35 0.32 0.30
실시예 3-21 0.50 0.34 0.33 0.30
실시예 4-1 0.50 0.35 0.39 0.33
실시예 4-2 0.50 0.36 0.38 0.33
비교예 3-1 0.50 0.15 0.08 0.01
비교예 3-2 0.50 0.15 0.09 0.02
비교예 3-3 0.50 0.14 0.09 0.01
비교예 3-4 0.50 0.15 0.10 0.02
비교예 3-5 0.50 0.15 0.09 0.03
비교예 3-6 0.50 0.13 0.07 0.03
비교예 3-7 0.50 0.14 0.06 0.02
비교예 3-8 0.50 0.12 0.07 0.03
비교예 3-9 0.50 0.15 0.08 0.02
비교예 3-10 0.50 0.16 0.06 0.02
비교예 3-11 0.50 0.13 0.03 0.01
비교예 3-12 0.50 0.13 0.03 0.01
비교예 3-13 0.50 0.14 0.03 0.01
비교예 3-14 0.50 0.14 0.02 0.01
비교예 3-15 0.50 0.15 0.03 0.01
비교예 3-16 0.50 0.01 0.00 0.00
비교예 3-17 0.50 0.01 0.00 0.00
비교예 3-18 0.50 0.01 0.00 0.00
비교예 3-19 0.50 0.01 0.00 0.00
비교예 3-20 0.50 0.01 0.00 0.00
비교예 3-21 0.50 0.01 0.00 0.00
비교예 3-22 0.50 0.12 0.04 0.01
비교예 3-23 0.50 0.11 0.05 0.01
비교예 3-24 0.50 0.12 0.03 0.01
비교예 3-25 0.50 0.12 0.04 0.01
비교예 3-26 0.50 0.11 0.03 0.01
비교예 3-27 0.50 0.12 0.04 0.01
비교예 3-28 0.50 0.10 0.02 0.01
비교예 4-1 0.50 0.14 0.07 0.01
비교예 4-2 0.50 0.18 0.06 0.01
비교예 4-3 0.50 0.15 0.07 0.02
비교예 5 0.50 0.15 0.05 0.01
비교예 6 0.50 0.01 0.00 0.00
상기 표 6의 결과를 참고하면, 실시예 3의 은행잎 물 숙성물 및 실시예 4의 은행잎 물 숙성물과 멀구슬 열매 분말이 혼합된 분말의 고착력은 비교예 3의 은행잎 물 숙성물, 비교예 4의 은행잎 비숙성물, 비교예 5의 은행잎 비숙성물과 멀구슬 열매 분말이 혼합된 분말 및 비교예 6의 멀구슬 열매 분말에 비해 현저하게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4의 은행잎 물 숙성물과 멀구슬 열매 분말이 혼합된 분말에서도 실시예 3의 은행잎 물 숙성물과 같이 고착력이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 3 및 4의 분말은 5시간 이후부터는 동일한 정도로 고착력이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었지만, 비교예 3 내지 5의 분말의 고착력은 시간이 지날수록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입자크기가 70μm인 비교예 3-19에서 비교예 3-25의 분말 및 멀구슬 열매 분말만이 포함된 비교예 6의 분말은 잎에 거의 고착되지 않고 분무 즉시 흩어져버렸다.
또한 은행잎 분말의 숙성시간이 5시간인 분말들은 고착효과가 아주 좋은 반면, 은행잎 분말의 숙성시간이 24시간인 비교예 3-5, 3-10, 3-15 및 3-26의 경우, 5시간 숙성을 한 것들보다는 그 효과가 약간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은행잎 분말의 숙성 시간을 20분~5시간으로 하는 것이 제조비용 및 제조시간 면에서 가장 바람직한 것이라고 판단되었다.
또한, 상기 실험들을 25℃ 이외에 20℃, 30℃ 및 35℃(우리나라에서 병충해가 성행하는 시기의 온도)에서도 동일하게 수행하였으나, 온도에 따른 고착력의 변화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 실험예 3. 은행잎 물 숙성물의 사과나무잎의 점박이응애에 대한 방제효과 확인>
2010년 8월 25일 사과나무의 낮은 가지의 사과잎 50개(1군)를 취하고, 잎 1개당 점박이응애 20마리씩을 잎의 밑부분에 접종하였으며(총 1000마리), 5m씩 떨어진 다른 나무가지들에 동일하게 점박이응애를 접종하였다.
10일 후, 오전 10시에 점박이응애 처리잎의 아래 부분에 물을 뿌려 잎을 골고루 적신 다음 실시예 3의 은행잎 물 숙성물, 실시예 4의 은행잎 물 숙성물과 멀구슬 열매 분말이 혼합된 분말, 비교예 3의 은행잎 물 숙성물, 비교예 4의 은행잎 비숙성물, 비교예 5의 은행잎 비숙성물과 멀구슬 열매 분말이 혼합된 분말, 비교예 6의 멀구슬 열매 분말을 가루 농약 분무기를 이용하여 각각 10g씩 분무하였다. 다음 날 10시에 같은 조건으로 상기 분말들을 각각 10g씩 분무였다. 분무 72시간 후, 각각의 잎을 따서 확대경 하에서 사과나무잎에 남아있는 점박이응애의 개체 수를 조사하여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한편, 대조군에는 어떠한 시료도 처리하지 않았다.
조건 사과나무잎에 남아있는 점박이응애의 개체 수(마리)
실시예 3-1 45
실시예 3-2 65
실시예 3-3 74
실시예 3-4 85
실시예 3-5 63
실시예 3-6 54
실시예 3-7 65
실시예 3-8 27
실시예 3-9 23
실시예 3-10 35
실시예 3-11 20
실시예 3-12 22
실시예 3-13 35
실시예 3-14 42
실시예 3-15 31
실시예 3-16 75
실시예 3-17 64
실시예 3-18 55
실시예 3-19 86
실시예 3-20 67
실시예 3-21 64
실시예 4-1 0
실시예 4-2 1
비교예 3-1 556
비교예 3-2 554
비교예 3-3 535
비교예 3-4 645
비교예 3-5 267
비교예 3-6 523
비교예 3-7 523
비교예 3-8 545
비교예 3-9 563
비교예 3-10 223
비교예 3-11 565
비교예 3-12 587
비교예 3-13 456
비교예 3-14 589
비교예 3-15 267
비교예 3-16 856
비교예 3-17 857
비교예 3-18 853
비교예 3-19 863
비교예 3-20 853
비교예 3-21 823
비교예 3-22 538
비교예 3-23 555
비교예 3-24 546
비교예 3-25 555
비교예 3-26 221
비교예 3-27 689
비교예 3-28 753
비교예 4-1 634
비교예 4-2 656
비교예 4-3 654
비교예 5 556
비교예 6 887
대조군 961
상기 표 7의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은행잎 물 숙성물이 높은 살충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은행잎 물 숙성물과 멀구슬 열매 분말을 혼합한 분말이 살충률이 가장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 실험예 4. 은행잎 물 숙성물의 겨자무에 대한 방제효과 확인>
겨자무를 노지(밭)에서 재배하면 그 병충해의 위해는 매우 크며, 실제로 살충제를 살포하지 않으면 식물이 전멸하는 것이 보통이다. 본 실험에서는 숙성 은행잎 제제가 겨자무의 병충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관찰하였다.
원예용 상토 100g이 담긴 화분에 겨자무를 심어 잎이 4쌍 정도 자란 화분 30개를 준비하였으며, 밭에는 2m 간격으로 두둑 3개를 만들고 각 그룹 당 겨자무 30포기를 30㎝ 간격으로 놓았다. 그리고, 기온이 25~27℃인 햇빛이 드는 날, 오전 10시와 11시 사이에 겨자무에 물을 분무하여 잘 적신 다음 실시예 3의 은행잎 물 숙성물, 실시예 4의 은행잎 물 숙성물과 멀구슬 열매 분말이 혼합된 분말, 비교예 3의 은행잎 물 숙성물, 비교예 4의 은행잎 비숙성물, 비교예 5의 은행잎 비숙성물과 멀구슬 열매 분말이 혼합된 분말, 비교예 6의 멀구슬 열매 분말 각각 3g씩을 가루 농약 분무기를 이용하여 분무하였다. 이 후, 2일 간격으로 2번 더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분말들을 분무하였다. 마지막 분무 7일이 지난 후 각 겨자무의 상태를 확인하여 이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조건 식용 가능한 겨자무의 수 (포기)
실시예 3-1 24
실시예 3-2 24
실시예 3-3 24
실시예 3-4 25
실시예 3-5 26
실시예 3-6 27
실시예 3-7 28
실시예 3-8 23
실시예 3-9 26
실시예 3-10 25
실시예 3-11 27
실시예 3-12 28
실시예 3-13 26
실시예 3-14 27
실시예 3-15 25
실시예 3-16 27
실시예 3-17 26
실시예 3-18 26
실시예 3-19 25
실시예 3-20 25
실시예 3-21 24
실시예 4-1 30
실시예 4-2 30
비교예 3-1 3
비교예 3-2 4
비교예 3-3 2
비교예 3-4 3
비교예 3-5 18
비교예 3-6 4
비교예 3-7 5
비교예 3-8 6
비교예 3-9 5
비교예 3-10 19
비교예 3-11 3
비교예 3-12 2
비교예 3-13 3
비교예 3-14 4
비교예 3-15 19
비교예 3-16 2
비교예 3-17 1
비교예 3-18 2
비교예 3-19 1
비교예 3-20 1
비교예 3-21 2
비교예 3-22 5
비교예 3-23 4
비교예 3-24 3
비교예 3-25 5
비교예 3-26 19
비교예 3-27 2
비교예 3-28 4
비교예 4-1 5
비교예 4-2 6
비교예 4-3 3
비교예 5 2
비교예 6 1
대조군 1
상기 표 8의 결과를 확인하면, 본 발명의 은행잎 물 숙성물의 겨자무에 대한 방제효과가 비교예나 대조군에 비해 현저하게 좋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실시예 4-1 및 4-2의 은행잎 물 숙성물과 멀구슬 열매 분말을 혼합한 분말이 방제효과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실험예 5. 은행잎 물 숙성물이 함유된 비료 조성물의 식물 성장 증진 및 살충 효과 확인>
실시예 3의 은행잎 물 숙성물, 실시예 4의 은행잎 물 숙성물과 멀구슬 열매 분말이 혼합된 분말, 비교예 3의 은행잎 물 숙성물, 비교예 4의 은행잎 비숙성물, 비교예 5의 은행잎 비숙성물과 멀구슬 열매 분말이 혼합된 분말, 비교예 6의 멀구슬 열매 분말 각각 50g씩을 규산 5g, 복합비료 5g 및 유기질 비료 30g을 혼합하여 이를 30-40oC의 건조기에 넣고 질소하에서 교반하면서 건조시켰다.
한편, 원예용 상토가 담긴 화분에 상기에서 제조한 비료를 혼합(화분의 상토 100g당 상기 비료를 10g씩 혼합)하고, 3일 후 잎이 4쌍 정도 자란 겨자무를 각각의 화분에 심었다. 이 후, 밭에 2m 간격으로 두둑 3개를 만들고 각 그룹 당 겨자무 20포기를 30㎝ 간격으로 놓았다. 그리고, 기온이 25~27℃인 햇빛이 유지되는 상태로 20일간 겨자무의 상태를 확인하였고, 이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퇴비에 포함되는 조성물 식용 가능한 겨자무의 수 (포기) 겨자무 잎의 포기당 평균 무게
실시예 3-1 13 155.6
실시예 3-2 15 158.4
실시예 3-3 13 155.5
실시예 3-4 16 156.7
실시예 3-5 14 153.8
실시예 3-6 14 158.9
실시예 3-7 16 159.6
실시예 3-8 12 166.7
실시예 3-9 17 157.8
실시예 3-10 15 159.9
실시예 3-11 14 150.6
실시예 3-12 16 156.7
실시예 3-13 15 157.8
실시예 3-14 18 158.5
실시예 3-15 15 155.4
실시예 3-16 18 154.5
실시예 3-17 18 155.6
실시예 3-18 13 156.7
실시예 3-19 17 153.8
실시예 3-20 18 152.5
실시예 3-21 18 153.6
실시예 4-1 20 184.7
실시예 4-2 20 188.8
비교예 3-1 1 118.7
비교예 3-2 3 115.5
비교예 3-3 1 114.6
비교예 3-4 2 127.8
비교예 3-5 4 122.4
비교예 3-6 9 112.5
비교예 3-7 4 126.6
비교예 3-8 4 127.7
비교예 3-9 6 118.4
비교예 3-10 8 119.5
비교예 3-11 2 115.6
비교예 3-12 1 116.7
비교예 3-13 2 127.4
비교예 3-14 3 124.7
비교예 3-15 9 125.8
비교예 3-16 1 126.4
비교예 3-17 2 128.5
비교예 3-18 3 126.6
비교예 3-19 2 118.4
비교예 3-20 1 125.5
비교예 3-21 2 124.7
비교예 3-22 3 125.4
비교예 3-23 4 115.5
비교예 3-24 2 128.6
비교예 3-25 6 129.8
비교예 3-26 9 126.5
비교예 3-27 1 117.6
비교예 3-28 3 128.7
비교예 4-1 2 125.5
비교예 4-2 4 126.6
비교예 4-3 2 114.8
비교예 5 2 115.9
비교예 6 1 126.6
대조군(퇴비만 처리) 0 115.7
무처리군 0 92.9
표 9의 결과를 확인하면, 은행잎 물 숙성물이 포함된 비료 조성물을 겨자무에 처리하였을 경우, 은행잎 물 숙성물을 직접 살충제 조성물로 분말 도포하였을 때와 유사하게 겨자무의 개체수가 보존되어 비료 조성물로 이용할 때도 살충 효과가 여전히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비료 조성물이 처리된 겨자무 잎의 포기당 무게가 다른 조건의 비료 조성물이 처리된 겨자무에 비해 현저한 중량 증가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기에, 상기 본 발명의 비료 조성물은 식물의 성장 증식 효과 또한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6. 은행잎 물 숙성물이 함유된 비료 조성물의 살충 효과 확인>
실시예 3-8의 은행잎 물 숙성물, 실시예 4-1의 은행잎 물 숙성물과 멀구슬 열매 분말이 혼합된 분말, 비교예 3-22의 은행잎 물 숙성물, 비교예 4-1의 은행잎 비숙성물, 비교예 5의 은행잎 비숙성물과 멀구슬 열매 분말이 혼합된 분말, 비교예 6의 멀구슬 열매 분말 각각 50g씩을 규산 5g, 복합비료 5g 및 유기질 비료 30g을 혼합하여 이를 30-40oC의 건조기에 넣고 질소하에서 교반하면서 건조시켰다. 다음으로 상기 비료들을 재배 2년 째의 인삼밭 100㎡에 15일 간격으로 2회 토양관주하였다(각각 1㎡당 0.3g씩 살포함). 토양 관주 2달 후, 인삼밭 토양에 머물러 있는 해충 중 땅강아지를 선별하여 개체수를 확인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10에 기재하였다. 땅강아지(Gryllotalpa orientalis)는 땅강아지과 땅강아지속의 곤충으로, 아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널리 발견되며, 작물의 뿌리를 갉아먹고, 땅 속에 굴을 파 식물의 뿌리가 들뜨게 해 말라죽게 하는 토양해충이다.

재배 작물

비료 종류
100㎡ 재배면적에서 확인되는 땅강아지의 개체수 (마리)




인삼
실시예 3-8의 은행잎 물 숙성물이 함유된 비료 1
실시예 4-1의 은행잎 물 숙성물과 멀구슬 열매 분말이 혼합된 분말이 함유된 비료 0
비교예 3-22의 은행잎 물 숙성물이 함유된 비료 10
비교예 4-1의 은행잎 비숙성물이 함유된 비료 11
비교예 5의 은행잎 비숙성물과 멀구슬 열매 분말이 혼합된 분말이 함유된 비료 12
비교예 6의 멀구슬 열매 분말이 함유된 비료 13
무처리군 15
표 10의 결과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은행잎 물 숙성물이 함유된 비료를 토양관주한 인삼의 경우, 100㎡ 재배면적에서 확인되는 땅강아지의 개체수가 확연하게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7. 은행잎 물 숙성물의 살진균 효과 확인>
본 발명의 은행잎 숙성물의 항진균성 증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육묘포장에서 딸기(매향품종)에 대한 시들음병(원인균:푸자리움 옥시스포룸)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이 때, 시들음병균이 확인되었던 재배 토양을 육묘 포장용 토양으로 사용하였다. 은행잎 숙성물을 이용한 방제는 딸기 모종을 정식하고, 한달 후에 시작하였다.
딸기 모종을 그룹당 30포기씩 정식한지 한달 후, 물을 분무하여 잘 적신 다음 실시예 3-8의 은행잎 물 숙성물, 실시예 4-1의 은행잎 물 숙성물과 멀구슬 열매 분말이 혼합된 분말, 비교예 3-22의 은행잎 물 숙성물, 비교예 4-1의 은행잎 비숙성물, 비교예 5의 은행잎 비숙성물과 멀구슬 열매 분말이 혼합된 분말, 비교예 6의 멀구슬 열매 분말 각각 3g씩을 가루 농약 분무기를 이용하여 분무하였다. 이 후, 2일 간격으로 2번 더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분말들을 분무하였다. 마지막 분무 7일이 지난 후 딸기의 상태를 확인하여 이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11에 나타내었다.
재배작물 처리 방제가(%)



딸기
실시예 3-8의 은행잎 물 숙성물 92.6
실시예 4-1의 은행잎 물 숙성물과 멀구슬 열매 분말이 혼합된 분말 89.6
비교예 3-22의 은행잎 물 숙성물 24.6
비교예 4-1의 은행잎 비숙성물 23.6
비교예 5의 은행잎 비숙성물과 멀구슬 열매 분말이 혼합된 분말 24.6
비교예 6의 멀구슬 열매 분말 38.6
무처리군 -
상기 표 11의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은행잎 숙성물이 함유된 조성물이 높은 방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실험예 8. 은행잎 물 숙성물이 함유된 비료 조성물의 살진균 효과 확인>
실험예 8-1. 시들음병 (원인균: 푸자리움 옥시스포룸 ) 방제효과
본 발명의 은행잎 숙성물이 함유된 비료 조성물의 항진균성 증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육묘포장에서 딸기(매향품종)에 대한 시들음병(원인균:푸자리움 옥시스포룸)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이 때, 시들음병균이 확인되었던 재배 토양을 육묘 포장용 토양으로 사용하였다. 은행잎 숙성물을 이용한 방제는 딸기 모종을 정식하고, 한달 후에 시작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실시예 3-8의 은행잎 물 숙성물, 실시예 4-1의 은행잎 물 숙성물과 멀구슬 열매 분말이 혼합된 분말, 비교예 3-22의 은행잎 물 숙성물, 비교예 4-1의 은행잎 비숙성물, 비교예 5의 은행잎 비숙성물과 멀구슬 열매 분말이 혼합된 분말, 비교예 6의 멀구슬 열매 분말 각각 50g씩을 규산 5g, 복합비료 5g 및 유기질 비료 30g을 혼합하여 이를 30-40oC의 건조기에 넣고 질소하에서 교반하면서 건조시켰다.
이 후, 상기 비료들을 10일 간격으로 3회 관주(1g/딸기 1주) 후 수확기에 방제가를 확인하였다. 대조약제로 쿠퍼수화제[copper hydroxide(77%)]를 사용하였으며 방제가는 표 12에 나타내었다.
재배작물 처리 방제가(%)




딸기
실시예 3-8의 은행잎 물 숙성물이 함유된 비료 92.6
실시예 4-1의 은행잎 물 숙성물과 멀구슬 열매 분말이 혼합된 분말이 함유된 비료 89.6
비교예 3-22의 은행잎 물 숙성물이 함유된 비료 24.6
비교예 4-1의 은행잎 비숙성물이 함유된 비료 23.6
비교예 5의 은행잎 비숙성물과 멀구슬 열매 분말이 혼합된 분말이 함유된 비료 24.6
비교예 6의 멀구슬 열매 분말이 함유된 비료 38.6
쿠퍼수화제 65.2
무처리군 -
상기 표 12의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은행잎 숙성물이 함유된 비료 조성물은 대조약제인 쿠퍼수화제보다 좋은 방제가를 나타내어 딸기 시들음병에 공시된 화학농약을 대체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실험예 8-2. 뿌리썩음병 (원인균: 실린드로카폰 데스트럭탄스 ) 방제효과
본 발명의 은행잎 숙성물이 함유된 비료 조성물의 항진균성 증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인삼 경작지에서 인삼 뿌리썩음병 저해활성을 조사하였다.
실시예 3-8의 은행잎 물 숙성물, 실시예 4-1의 은행잎 물 숙성물과 멀구슬 열매 분말이 혼합된 분말, 비교예 3-22의 은행잎 물 숙성물, 비교예 4-1의 은행잎 비숙성물, 비교예 5의 은행잎 비숙성물과 멀구슬 열매 분말이 혼합된 분말, 비교예 6의 멀구슬 열매 분말 각각 50g씩을 규산 5g, 복합비료 5g 및 유기질 비료 30g을 혼합하여 이를 30-40oC의 건조기에 넣고 질소하에서 교반하면서 건조시켰다.
휴경중인 인삼경작지에서 뿌리썩음병균의 존재를 확인하고, 경작지 5000칸 중 1칸에 2년근 인삼을 이식하였다(주: 한 칸의 규격은 1.8×0.9m이며 시험에 사용된 인삼 수는 500여 뿌리). 이 후, 상기 비료를 뿌리썩음병균이 존재하는 재배 토양에 고루 뿌린 후(각각 1㎡당 0.3g씩 살포함), 2년생 인삼을 옮겨심었다. 3개월 후 인삼을 캐내어 각 배양물 처리구에 대한 인삼의 뿌리썩음병 개선도를 조사하여 표 13에 나타내었다.
재배 작물 처리 뿌리썩음 억제율(%)




인삼
실시예 3-8의 은행잎 물 숙성물이 함유된 비료 96.6
실시예 4-1의 은행잎 물 숙성물과 멀구슬 열매 분말이 혼합된 분말이 함유된 비료 96.5
비교예 3-22의 은행잎 물 숙성물이 함유된 비료 24.4
비교예 4-1의 은행잎 비숙성물이 함유된 비료 35.5
비교예 5의 은행잎 비숙성물과 멀구슬 열매 분말이 혼합된 분말이 함유된 비료 26.2
비교예 6의 멀구슬 열매 분말이 함유된 비료 4.3
무처리군 -
표 13의 결과를 참고하면, 무처리군의 뿌리는 그대로 썩어있었으며, 본 발명의 은행잎 숙성물이 함유된 비료를 살포한 흙의 인삼 뿌리는 뿌리썩음병이 개선되어 생육상태가 아주 양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9. 은행잎 물 숙성물의 항바이러스 효과 확인>
토마토 '유니콘' 모종을 모자이크 바이러스의 피해를 입었던 밭에 각각 100㎡씩 정식하여 재배하였다. 한달 후, 물을 분무하여 잘 적신 다음 실시예 3-8의 은행잎 물 숙성물, 실시예 4-1의 은행잎 물 숙성물과 멀구슬 열매 분말이 혼합된 분말, 비교예 3-22의 은행잎 물 숙성물, 비교예 4-1의 은행잎 비숙성물, 비교예 5의 은행잎 비숙성물과 멀구슬 열매 분말이 혼합된 분말, 비교예 6의 멀구슬 열매 분말 각각 3g씩을 가루 농약 분무기를 이용하여 분무하였다. 이 후, 2일 간격으로 2번 더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분말들을 분무하였다. 마지막 분무 7일이 지난 후 토마토의 상태를 확인하여 이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14에 나타내었다.

재배 작물

비료 종류
모자이크 바이러스에 손상되지 않은 개체 비율 (%)



토마토
실시예 3-8의 은행잎 물 숙성물 89.6
실시예 4-1의 은행잎 물 숙성물 79.2
비교예 3-22의 은행잎 물 숙성물 33.6
비교예 4-1의 은행잎 비숙성물 29.3
비교예 5의 은행잎 비숙성물과 멀구슬 열매 분말이 혼합된 분말 26.4
비교예 6의 멀구슬 열매 분말이 함유된 비료 35.2
무처리군 24.7
< 실험예 10. 은행잎 물 숙성물이 함유된 비료 조성물의 항바이러스 효과 확인>
실시예 3-8의 은행잎 물 숙성물, 실시예 4-1의 은행잎 물 숙성물과 멀구슬 열매 분말이 혼합된 분말, 비교예 3-22의 은행잎 물 숙성물, 비교예 4-1의 은행잎 비숙성물, 비교예 5의 은행잎 비숙성물과 멀구슬 열매 분말이 혼합된 분말, 비교예 6의 멀구슬 열매 분말 각각 50g씩에 규산 5g, 복합비료 5g 및 유기질 비료 30g을 혼합하여 이를 30-40oC의 건조기에 넣고 질소하에서 교반하면서 건조시켰다. 다음으로 상기 비료들이 각 식물의 모자이크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토마토, 오이, 상추의 모종을 모자이크 바이러스의 피해를 입었던 밭에 각각 100㎡씩 정식하여 재배하였다. 정식은 각 농작물에 있어 통상적으로 알려진 가장 적절한 정식 시기에 하였으며, 각각의 작물 품종으로는 토마토 '유니콘', 오이 '취청' 및 상추 '꽃상추'를 이용하였다. 정식 이후, 상기 비료들을 상기 토마토, 오이 및 상추에, 정식 이후 15일이 지나 처음으로 살포하고, 그 이후에는 15일 간격으로 토양관주하여 살포하였다(각각 1㎡당 0.3g씩 살포함).
한편, 정식 시기, 수확시기 및 희석된 비료의 살포 회수는 하기와 같다.
토마토 : 2011년 4월 1일 정식, 2011년 6월1일 수확, 4회 살포.
상추 2011년 9월 1일 정식, 2011년 10월 1일 수확, 2회 살포.
오이 2011년 7월 1일 정식, 2011년 8월 1일 수확, 2회 살포.
이 후, 2달 후, 모자이크 바이러스에 대한 각 작물의 상태를 하기 표 15에 기재하였다.

재배 작물

비료 종류
모자이크 바이러스에 손상되지 않은 개체 비율 (%)




토마토
실시예 3-8의 은행잎 물 숙성물이 함유된 비료 92.8
실시예 4-1의 은행잎 물 숙성물과 멀구슬 열매 분말이 혼합된 분말이 함유된 비료 85.4
비교예 3-22의 은행잎 물 숙성물이 함유된 비료 37.6
비교예 4-1의 은행잎 비숙성물이 함유된 비료 39.3
비교예 5의 은행잎 비숙성물과 멀구슬 열매 분말이 혼합된 분말이 함유된 비료 31.4
비교예 6의 멀구슬 열매 분말이 함유된 비료 35.7
무처리군 27.2




오이
실시예 3-8의 은행잎 물 숙성물이 함유된 비료 92.4
실시예 4-1의 은행잎 물 숙성물과 멀구슬 열매 분말이 혼합된 분말이 함유된 비료 82.7
비교예 3-22의 은행잎 물 숙성물이 함유된 비료 36.3
비교예 4-1의 은행잎 비숙성물이 함유된 비료 40.4
비교예 5의 은행잎 비숙성물과 멀구슬 열매 분말이 혼합된 분말이 함유된 비료 31.7
비교예 6의 멀구슬 열매 분말이 함유된 비료 25.4
무처리군 45.3




상추
실시예 3-8의 은행잎 물 숙성물이 함유된 비료 90.5
실시예 4-1의 은행잎 물 숙성물과 멀구슬 열매 분말이 혼합된 분말이 함유된 비료 81.7
비교예 3-22의 은행잎 물 숙성물이 함유된 비료 36.3
비교예 4-1의 은행잎 비숙성물이 함유된 비료 30.4
비교예 5의 은행잎 비숙성물과 멀구슬 열매 분말이 혼합된 분말이 함유된 비료 35.5
비교예 6의 멀구슬 열매 분말이 함유된 비료 32.6
무처리군 21.3
표 15의 결과를 참고하면, 마지막 토양관주 2개월 후 각 작물의 상태를 확인한 바, 본 발명의 은행잎 숙성물이 함유된 비료 조성물을 토양관주 한 토마토, 오이 및 상추에서 모자이크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9)

100~300μm 입자크기의 은행잎 분말 100 중량부에 물 100~500 중량부를 가하고, 25~50℃에서 반응시켜 제조한 반응물을, 물과 은행잎 분말이 포함된 채로 그대로 건조하여 얻은 분말 상태의 은행잎 물 숙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제, 살진균제 또는 항바이러스제 조성물.
삭제
삭제
삭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멀구슬 열매 분말을 추가하여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제, 살진균제 또는 항바이러스제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물영양제, 농약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추가하여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제, 살진균제 또는 항바이러스제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진딧물, 조팝나무 진딧물, 흑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 목화진딧물, 점박이응애, 온실가루이, 총채벌레, 청벌레, 굴파리, 파밤나방, 심식나방, 민달팽이, 이화명나방, 혹명나방, 깎지벌레, 배 배명나방, 배나무이, 꼬마배나무이, 배가루깍지벌레, 벼멸구, 벼혹명나방, 벼이화명나방, 벼 혹명나방, 벼이화명나방, 벼꼬마배나무이, 벼물바구미, 벼애멸구, 배추좀나방, 배추애벌래, 담배거세미나방, 나방, 나방 유충, 땅강아지, 숯검은밤나방, 거세미나방, 고자리파리, 뿌리응애, 뿌리혹선충류, 토양해충류 및 토양선충류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해충, 또는, 푸사리움 옥시스포룸(Fusarium oxysporum, 시들음병 원인균), 실린드로카폰 데스트럭탄스(Cylindrocarpon destructans, 뿌리썩음병 원인균), 보트리티스 시네리아(Botrytis cinerea, 잿빛곰팡이병 원인균), 콜레토트리큠 글오에오스포리데스(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탄저병 원인균), 스클레로티움 세피보룸(Sclerotium cepivorum, 흑색썩음균핵병 원인균), 스클레로티니아 스클레로티오룸(Sclerotinia sclerotiorum, 균핵병 원인균), 페니실리움 히르수툼(Penicillium hirsutum, 푸른곰팡이병 원인균), 펙토박테리움 카로토보룸(Pectobacterium carotovorum, 근부병 원인균), 리조스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 잘록병 원인균), 피시움 울티뭄(Pythium ultimum, 잘록병 원인균), 피시움 데바루아눔(Pythium debaryanum, 잘록병 원인균) 및 라이조푸스 속(Rhizopus sp., 무름병 원인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식물병 균주, 또는,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Tobacco mosaic virus),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Cucumber mosaic virus) 및 감자 바이러스 Y(Potato virus Y)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식물병 바이러스에 대한 방제제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제, 살진균제 또는 항바이러스제 조성물.
제1항,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조성물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 조성물.
은행잎을 100~300μm 입자크기의 분말로 제조하는 단계;
상기 은행잎 분말 100 중량부에 물 100~50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은행잎 분말과 물 혼합물을 25~50℃에서 반응시켜 은행잎 물 반응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반응물을, 물과 은행잎 분말이 포함된 채로 그대로 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잎 물 숙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20107406A 2012-09-26 2012-09-26 은행잎 물 숙성물을 함유하는 살충제 또는 비료 조성물 KR101441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406A KR101441614B1 (ko) 2012-09-26 2012-09-26 은행잎 물 숙성물을 함유하는 살충제 또는 비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406A KR101441614B1 (ko) 2012-09-26 2012-09-26 은행잎 물 숙성물을 함유하는 살충제 또는 비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896A KR20140040896A (ko) 2014-04-04
KR101441614B1 true KR101441614B1 (ko) 2014-09-17

Family

ID=50650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7406A KR101441614B1 (ko) 2012-09-26 2012-09-26 은행잎 물 숙성물을 함유하는 살충제 또는 비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16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35686A (zh) * 2020-11-12 2021-02-09 江苏省农业科学院 一种各地区不同推荐级别利用斜纹夜蛾核型多角体病毒防控草地贪夜蛾的方法
KR20220022888A (ko) * 2019-07-09 2022-02-28 이주한 표고버섯 참나무톱밥배지에 발생하는 푸른곰팡이 방제방법
KR20230103049A (ko) * 2021-12-31 2023-07-07 농업회사법인 창성미곡처리장 주식회사 쌀벌레 방제 및 신선도 유지를 위한 쌀 포장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70814B (zh) * 2014-07-24 2017-07-07 青岛农业大学 一种韭菜迟眼蕈蚊的监测诱杀方法
CN104304346B (zh) * 2014-09-20 2016-08-24 山东松冈化学有限公司 一种防治菜青虫的生物农药
MX2018001618A (es) 2015-08-07 2018-05-22 Basf Se Control de plagas en el maiz mediante ginkgolidos y bilobalido.
BR112018002036A2 (pt) * 2015-08-25 2018-09-11 Basf Se método para o controle das pragas de um vegetal de algodão e utilização de um ou mais componentes da árvore de ginkgo
CN105410058B (zh) * 2015-12-23 2017-12-08 云南省农业科学院园艺作物研究所 一种菜青虫杀虫剂及其制备方法
CN105394098B (zh) * 2015-12-23 2017-11-03 云南省农业科学院园艺作物研究所 一种防治菜青虫的方法
KR101939626B1 (ko) * 2016-09-27 2019-01-18 (주)도시와 나무 유기성 폐기물의 재활용 생산시스템으로 생산된 은행잎 성분을 함유하는 녹생토 및 이를 이용한 경사면 녹화 시공방법
KR102202303B1 (ko) * 2020-07-29 2021-01-13 이준홍 은행잎을 이용한 살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10290B1 (ko) * 2020-08-26 2022-06-20 주식회사 자연애 은행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용 해충 또는 동물 기피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33711B1 (ko) * 2020-11-12 2021-03-30 김영찬 가공된 부엽토와 산야초효소를 이용한 복합미량원소 토양개량미생물비료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복합미량원소 토양개량미생물비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0598A (ko) * 2001-03-02 2002-09-10 이인화 은행잎 추출물과 그 제조방법 및 용도
KR20040035218A (ko) * 2002-10-18 2004-04-29 학교법인조선대학교 은행잎 추출물 및 그의 용도
JP2008162920A (ja) * 2006-12-27 2008-07-17 Yanagi Tomotama 植物病害虫防除組成物
KR20110114514A (ko) * 2011-09-08 2011-10-19 이영곤 은행나무 추출 유해 곤충 퇴치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0598A (ko) * 2001-03-02 2002-09-10 이인화 은행잎 추출물과 그 제조방법 및 용도
KR20040035218A (ko) * 2002-10-18 2004-04-29 학교법인조선대학교 은행잎 추출물 및 그의 용도
JP2008162920A (ja) * 2006-12-27 2008-07-17 Yanagi Tomotama 植物病害虫防除組成物
KR20110114514A (ko) * 2011-09-08 2011-10-19 이영곤 은행나무 추출 유해 곤충 퇴치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2888A (ko) * 2019-07-09 2022-02-28 이주한 표고버섯 참나무톱밥배지에 발생하는 푸른곰팡이 방제방법
KR102498902B1 (ko) 2019-07-09 2023-02-09 이주한 표고버섯 참나무톱밥배지에 발생하는 푸른곰팡이 방제방법
CN112335686A (zh) * 2020-11-12 2021-02-09 江苏省农业科学院 一种各地区不同推荐级别利用斜纹夜蛾核型多角体病毒防控草地贪夜蛾的方法
KR20230103049A (ko) * 2021-12-31 2023-07-07 농업회사법인 창성미곡처리장 주식회사 쌀벌레 방제 및 신선도 유지를 위한 쌀 포장방법
KR102578597B1 (ko) * 2021-12-31 2023-09-14 농업회사법인 창성미곡처리장 주식회사 쌀벌레 방제 및 신선도 유지를 위한 쌀 포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896A (ko) 201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1614B1 (ko) 은행잎 물 숙성물을 함유하는 살충제 또는 비료 조성물
US20110229589A1 (en) Insect and plant disease contro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H05505591A (ja) 殺線虫菌剤
CN103931456A (zh) 一种苹果树的种植方法
KR101132712B1 (ko) 토양 병해충 방제용 친환경 유기농자재
EP2136641B1 (en) Pesticidal plant extract containing loline derivatives
WO2019015659A1 (zh) 花生专用包膜控释杀虫剂及其制备方法
KR101225103B1 (ko) 자귀나무 추출물을 포함한 조성물의 살충용도
CN108203353A (zh) 一种杀虫生物有机肥料及其制备方法
Vijayan et al. Cultivation of mulberry: an important genetic and economic source
Garibaldi et al. Effect of green Brassica manure and Brassica defatted seed meals in combination with grafting and soil solarization against Verticillium wilt of eggplant and Fusarium wilt of lettuce and basil
Guerena Cole crops and other Brassicas: Organic production
CN103719115B (zh) 一种杀虫组合物
WO2011151766A2 (en) Insect and plant disease contro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1782842B1 (ko) 병충해에 강한 허브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천연허브복합비료 및 그 이용방법
CN111543434A (zh) 一种防治芋艿烂芋皮病的方法
AU2015213375B2 (en) Pesticidal plant extract containing loline derivatives
Appiagyei Effects of two neem kernel extracts in the control of whitefly (Bemisia tabaci) on tomato
KR102539309B1 (ko) 천연물질 유래 황칠나무 추출물이 혼합되어 병해충으로부터 식물을 보호하며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수확량을 늘릴 수 있는 친환경 비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KR102386076B1 (ko) 할미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진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방법
CN102863298B (zh) 有机肥及其制备方法和一种防治土传病虫害的方法
KR102630801B1 (ko) 들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친환경적인 농작물 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농작물을 재배하는 방법
KR100773148B1 (ko) 님 분말과 토양 미생물을 이용한 토양선충 방제재
Soler et al. Organic production
Siguna Cultural and botanical methods for the management of thrips on french beans Phaseolus Vulgar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