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1963B1 - 우수한 강도와 동물기피효과를 가진 종이소재의 농업용 피복재 - Google Patents

우수한 강도와 동물기피효과를 가진 종이소재의 농업용 피복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1963B1
KR102321963B1 KR1020210053459A KR20210053459A KR102321963B1 KR 102321963 B1 KR102321963 B1 KR 102321963B1 KR 1020210053459 A KR1020210053459 A KR 1020210053459A KR 20210053459 A KR20210053459 A KR 20210053459A KR 102321963 B1 KR102321963 B1 KR 102321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paper
wax
composition
agricul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두식
Original Assignee
(주)세기에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기에어시스템 filed Critical (주)세기에어시스템
Priority to KR1020210053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9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9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odoriferous substances, e.g. aromas, pheromones or chemical ag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02Material of vegetable origin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60Wax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양 내에서 분해가능한 피복재용 종이; 상기 종이에 함유된, 건성유, 반건성유, 상온에서 고체이고 융점이 100℃ 미만인 왁스를 10:6~10:0.3~3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유지 조성물; 및 상기 종이에 함유된, 목초액, 피마자 오일, 캡사이신, 멘톨, 유칼립투스 추출물 및 님 추출물을 3~10:3~10:6~12:6~12:5~10:5~1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동물기피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우수한 강도와 동물기피효과를 가진 종이소재의 농업용 피복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농업용 피복재는 종이를 소재로 사용하고 종이의 강도를 높일 유지 조성물과 야생동물의 접근을 막기 위한 동물기피용 조성물을 종이에 함유시켜 안전성이 높고 기계 전장이 가능한 강도를 가지며 야생동물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우수한 강도와 동물기피효과를 가진 종이소재의 농업용 피복재 {Covering materials for agriculture made of paper with superior strength and animal avoidance effect}
본 발명은 우수한 강도와 동물기피효과를 가진 종이소재의 농업용 피복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지 조성물과 동물기피용 조성물을 함유하여 강도가 우수하고 동물기피효과가 있는 종이로 만든 농업용 피복재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친환경 농업을 위하여 사용되는 기술 중 농업용 피복재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농업용 피복재(멀칭지)는 농작물을 재배할 때 토양의 표면에 덮어주어 지온을 조절하고 잡초의 성장과 병충해의 발생을 억제하며 토양 내의 수분을 유지하고 토양 침식이나 비료의 유실을 방지하며 토양의 오염을 방지하는 등의 효과가 있어 작물의 생육을 돕는 역할을 한다.
농업용 피복재로는 주로 합성수지인 비닐이 사용되는데, 비닐소재의 농업용 피복재는 경제성이 우수하고 취급이나 작업이 용이하므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비닐은 수분이나 공기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토양 내 유해성 미생물이 발생할 수 있고 식물의 뿌리호흡을 저해하며 작물의 재배 후에는 폐비닐을 수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영농인구가 노령화되고 노동력이 부족하므로 폐비닐을 수거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작물의 재배 후 폐비닐을 모두 수거하지 않으면 토양이 심각하게 오염될 수 있으며, 폐비닐을 수거하여 소각할 때 발생하는 유독물질이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비닐을 대신하여 전분계, 폴리락트산계 등의 생분해 고분자를 이용한 피복재도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여름철에 회수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옥수수 재배에서는 그대로 토양 속에 묻어둘 수 있는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의 피복재가 일부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생분해 고분자 소재의 피복재는 가격이 비싸고 보존기간 중 열화가 진행되어 유통상 재고가 유지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실용화가 어렵다.
비닐을 대신하여 친환경 섬유를 기반으로 제조한 종이소재의 농업용 피복재도 사용되고 있다. 종이소재의 농업용 피복재는 유통상 창고에서 보관하여도 열화되지 않으므로 상품으로서의 가치가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의 농업용 피복재에 비해 매우 유리하고 일정시간이 지나면 토양에서 자연적으로 분해되기 때문에 사용 후 수거나 폐기할 필요가 없고 공기와 수분의 투과가 원활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이소재의 농업용 피복재는 일조에 따른 자외선, 열 등이나 비, 바람에 의한 열화가 빠르고, 토양과 접촉하는 장소에서의 붕괴가 심하며, 농작물의 생육 전에 열화·붕괴가 진행되고, 결손이 있으면 쉽게 찢어지므로 기계에 의한 전장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토양과 접촉하는 부분에 방미제 및/또는 항균제를 함유시키는 방법과 플루트 가공 또는 엠보싱 가공을 함으로써 토양과의 접촉 면적을 줄여 분해를 늦추는 방법이 개발되었으나 이들 방법은 비용이 많이 들면서도 원하는 강도가 얻어지지 않고 내수 및 발수효과가 높고, 취급이 비교적 용이한 건성유를 종이로 만든 피복재에 함유시켜 농작물 육성 중 피복재의 분해·열화를 늦추는 방법이 개발되었으나 여전히 원하는 강도가 얻어지지 않아 실용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종이에 건성유, 반건성유, 및 왁스를 포함시키는 방법도 개발되어 있다.
또한 농작물을 재배하는 과정에서 고라니, 멧돼지 등의 야생동물이 출몰하여 농작물을 훼손함으로써 농가에 심각한 경제적 피해를 주는 일이 많이 발생하고 유해곤충들에 의한 피해도 많이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도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53884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472990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236033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7-0132416호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종이를 소재로 사용하고 유지 조성물과 동물기피용 조성물을 함유하여 안전성이 높고 강도가 우수하여 기계 전장이 가능하며 동물기피효과가 있는 농업용 피복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토양 내에서 분해가능한 피복재용 종이; 상기 종이에 함유된, 건성유, 반건성유, 상온에서 고체이고 융점이 100℃ 미만인 왁스를 10:6~10:0.3~3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유지 조성물; 및 상기 종이에 함유된, 목초액, 피마자 오일, 캡사이신, 멘톨, 유칼립투스 추출물 및 님 추출물을 3~10:3~10:6~12:6~12:5~10:5~1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동물기피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우수한 강도와 동물기피효과를 가진 종이소재의 농업용 피복재를 제공한다.
상기 농업용 피복재에서, 상기 피복재용 종이는 크래프트지, 신문지, 코팅지, 상질지, 켄트지, 일본지 및 케나프지 중 선택된 것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농업용 피복재에서, 상기 건성유는 아마인유, 홍화유, 대두유, 동유, 포도씨유, 호두유, 달맞이꽃유, 겨자유 및 삼실유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농업용 피복재에서, 상기 반건성유는 참기름, 콩기름, 면실유, 옥수수유, 채종유, 미강유 및 아몬드유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농업용 피복재에서, 상기 왁스는 칸데릴라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라이스 왁스, 호호바 오일, 목랍, 라놀린, 비즈 왁스, 몬탄 왁스, 세레신, 파라핀왁스, 미세결정질 왁스 및 경화 피마자 오일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농업용 피복재에서, 상기 동물기피성 조성물은 다공성 돌가루에 코팅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농업용 피복재에서, 상기 다공성 돌가루는 화산재, 규조토 또는 제올라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농업용 피복재에서, 상기 유지 조성물은 종이 건조중량의 2~20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농업용 피복재에서, 상기 동물기피용 조성물은 종이 건조중량의 3~15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농업용 피복재는 종이를 소재로 사용하고 종이의 강도를 높일 유지 조성물과 야생동물의 접근을 막기 위한 동물기피용 조성물을 종이에 함유시켜 안전성이 높고 기계 전장이 가능한 강도를 가지며 야생동물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농업용 피복재는 농작물 재배 중에는 분해나 열화가 잘 발생하지 않으므로 피복재로서의 기능을 유지하고, 작물을 수확한 후에는 토양 속에 매립하면 분해되므로 회수나 폐기가 불필요하여 회수작업의 부담을 줄이며, 기계 전장이 가능한 신장성과 강도를 가지고, 비교적 저렴한 원료를 사용하므로 가격부담이 적고, 안전성이 높은 건성유, 반건성유, 왁스를 사용하므로 토양과 접촉하여 종이가 분해되는 것을 늦추고 방수성을 가져 비에 의한 피복재의 붕괴를 방지하며, 유통상 재고보관이 용이하고, 고라니, 멧돼지 등의 야생동물로부터 농작물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종이소재의 농업용 피복재는, 토양 내에서 분해가능한 피복재용 종이; 상기 종이에 함유된, 건성유, 반건성유, 상온에서 고체이고 융점이 100℃ 미만인 왁스를 10:6~10:0.3~3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유지 조성물; 및 상기 종이에 함유된, 목초액, 피마자 오일, 캡사이신, 멘톨, 유칼립투스 추출물 및 님 추출물을 3~10:3~10:6~12:6~12:5~10:5~1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동물기피용 조성물;을 포함하여, 강도가 우수하고 동물기피효과를 가진다.
(1) 피복재용 종이
본 발명에서 농업용 피복재의 원료로 사용되는 종이는 목재 펄프(셀룰로오스가 주성분)를 원료로 하며 토양 속에서 분해가능한 종이이다. 즉, 목재 펄프를 원료로 하고, 목재 펄프를 물에 분산시켜 탈수, 건조를 거쳐 섬유를 섞은 것을 사용한다. 크래프트지, 신문지, 코팅지, 상질지, 켄트지, 일본지, 케나프지 등이 포함된다.
(2) 유지 조성물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지 조성물은 건성유, 반건성유 및 상온에서 고체이고 융점이 100℃ 미만인 왁스를 포함한다.
건성유는 식물유지 중에서 건조성이 강한 것이며 아이오딘값이 130 이상인 것을 말한다. 건조성이란 유지가 공기 중에서 산소를 흡수하여 산화, 중합 및 축합을 일으킴으로써 차차 점성이 증가하여 마침내 고체화하는 성질을 말하는데, 건조성의 강약은 유지류의 구조식에 포함되는 이중결합의 수에 비례하며, 아이오딘값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건성유는 얇은 막으로 만들어 공기 속에 방치해 두면 비교적 단시간 내에 고체화 및 건조되므로 도료의 중요한 자재가 된다. 건성유에는 아마인유, 홍화유, 대두유, 동유, 포도씨유, 호두유, 달맞이꽃유, 겨자유, 삼실유 등이 포함되며, 이들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반건성유는 동일한 도료 분야에서 건성유만큼 용이하게 산화 중합하여 피막을 형성하지는 않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중합이 진행되는 것으로, 아이오딘값이 100~130인 것이다. 반건성유에는 참기름, 콩기름, 면실유, 옥수수유, 채종유, 미강유, 아몬드유 등이 포함되며, 이들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왁스란 왁스는 친유성이면서 주변 온도에 따라 모양이 쉽게 변할 수 있는 다양한 유기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온(20~35℃)에서 고체이고 융점이 100℃ 미만인 왁스를 사용한다. 이러한 조건의 왁스에는 칸데릴라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라이스 왁스, 호호바 오일, 목랍, 라놀린, 비즈 왁스, 몬탄 왁스, 세레신, 파라핀왁스, 미세결정질 왁스, 경화 피마자 오일 등이 포함되며, 이들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건성유로 아마인유, 반건성유로 채종유, 왁스로 파라핀 왁스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건성유, 반건성유 및 상온에서 고체이고 융점이 100℃ 미만인 왁스는 100 대 60~100 대 3~3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0 대 60~90 대 5~20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 대 70~90 대 5~15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혼합범위를 벗어나면 건조공정에서 균열이 발생하고, 기계적 전장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유지 조성물은 건성유, 반건성유 및 왁스를 모두 혼합한 형태로 토양 내 분해가능한 종이에 함유시키거나, 건성유와 반건성유를 혼합하여 토양 내 분해가능한 종이에 함유시킨 후 왁스를 다시 함유시킬 수도 있다.
상기 유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종이를 착색하기 위한 안료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3) 동물기피용 조성물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동물기피용 조성물은 목초액, 피마자 오일, 캡사이신, 멘톨, 유칼립투스 오일 및 님 오일을 포함한다.
목초액은 나무를 숯으로 만들 때 발생하는 연기가 외부 공기와 접촉하면서 액화되어 떨어지는 것을 채취한 것이다. 목초액은 농업 분야에서 농약 대신 사용하고, 축산업에서 분뇨 냄새나 악취를 제거할 때 사용하거나 가축의 사료로 사용한다.
피마자 오일(castor oil)은 피마자의 종자를 압착하여 얻는 지방유로 아주까리기름이라고도 한다. 피마자 오일은 오랫동안 설사제로 사용되었고, 식품의 첨가제로 사용되며,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캡사이신(capsaicin)은 고추에서 추출되는 무색의 휘발성 화합물로, 알칼로이드의 일종이며 매운 맛을 내는 성분인데 약용과 향료로 이용되며 고추씨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다.
멘톨(menthol)은 한 개의 고리로 이루어진 모노테르펜에 속하는 알코올이며, 박하의 잎이나 줄기를 수증기 증류하여 얻는다. 의약품, 과자, 화장품 등에 첨가제로 사용된다.
유칼립투스 오일(Eucalyptus Oil)은 유칼립투스 글로불루스(Eucalyptus globulus)의 잎과 잔가지에서 증기증류법(식물로부터 수증기로 오일을 추출한 후에 냉각수로 식혀 응축하는 방법)으로 추출한 에센셜 오일이다. 유칼립투스 오일은 면역계를 강화시키고 기침, 가래 등 호흡계 질환에 유용하며, 강한 살균작용이 있어 입욕제로 하면 피부를 정화하고 피부 장애에 효과가 있고, 스트레스 해소에도 효과가 있고, 뜨거운 햇볕에 그을린 피부를 냉각시키는 작용을 하며, 벼룩과 이에 대한 살충효과도 있다.
님 오일(Neem oil)은 님나무 열매에서 추출한 오일이다. 님 오일에는 고지방산이 포함되어 있어 가려움, 민감성, 아토피 또는 건성피부에 사용하면 피부를 순하게 만들고, 여드름에도 효과가 있으며, 머리카락의 부드러움, 윤기, 탄력을 유지시키고 가려운 두피, 비듬을 완화 시킬 수 있어서 최근에는 비누, 샴푸, 크림, 오일, 치약, 마사지 팩, 건강보조식품 등에 사용된다.
목초액, 피마자 오일, 캡사이신, 멘톨, 유칼립투스 추출물 및 님 추출물은 3~10:3~10:6~12:6~12:5~10:5~10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물기피성 조성물은 다공성 돌가루에 조성물을 코팅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다공성 돌가루로는 화산재, 규조토, 제올라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공성 돌가루에 동물기피성 조성물을 코팅하는 방법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들 중 선택하여 사용한다.
(4) 농업용 피복재
피복재용 종이에 유지 조성물과 동물기피성 조성물을 함유시켜 농업용 피복재를 제조한다.
종이에 함유되는 유지 조성물의 양은 종이 건조중량의 2~2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2~10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4~8중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유지 조성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에 있으면, 피복재가 농작물의 육성 중에 분해 및 열화하지 않고 피복재로서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으며, 기계 전장의 작업성도 양호하게 된다. 유지 조성물의 양이 너무 많은 경우 강도는 향상되지만, 원지 자체의 질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종이에 함유되는 동물기피용 조성물의 양은 종이 건조중량의 3~1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5~12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6~10중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범위의 동물기피용 조성물을 사용할 때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야생동물들에 대한 동물기피효과가 우수하면서 피복재의 강도를 저해하지 않는다.
유지 조성물과 동물기피용 조성물은 혼합하여 함께 종이에 함유시키거나 각각 따로 종이에 함유시킬 수 있다.
종이에 조성물을 함유시키는 방법은 함침, 도포, 분무, 인쇄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공업적으로는 인쇄 또는 함침한 후 건조시키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조한 농업용 피복재는 농작물 재배시 농작물 이외의 부분의 토양 표면을 피복하여 잡초의 성장을 억제하고, 지온을 조정하며, 토양 수분을 유지하고, 토양 침식을 방지하며, 비료의 유실을 방제하고, 병충해의 발생을 억제하여 농작물의 생육을 도우며, 고라니, 멧돼지 등 야생동물의 접근을 막아 야생동물에 의한 농작물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유지 조성물의 제조
건성유로 아마인유, 반건성유로 채종유, 왁스로 파라핀 왁스를 100:80:10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왁스의 융점 이상으로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균일해질 때까지 충분히 혼합하여 유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유지 조성물의 제조
건성유로 대두유, 반건성유로 콩기름, 왁스로 호호바 오일을 100:85:20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왁스의 융점 이상으로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균일해질 때까지 충분히 혼합하여 유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유지 조성물의 제조
건성유로 포도씨유, 반건성유로 미강유, 왁스로 비즈 왁스를 100:70:15의 중량량비로 혼합하고 왁스의 융점 이상으로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균일해질 때까지 충분히 혼합하여 유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동물기피용 조성물의 제조
목초액, 피마자 오일, 캡사이신, 멘톨, 유칼립투스 오일 및 님 오일을 7:6:9:10:7:8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동물기피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5>
동물기피용 조성물의 제조
목초액, 피마자 오일, 캡사이신, 멘톨, 유칼립투스 추출물 및 님 추출물을 9:5:8:9:6: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동물기피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6>
동물기피용 조성물의 제조
목초액, 피마자 오일, 캡사이신, 멘톨, 유칼립투스 추출물 및 님 추출물을 5:7:10:8:8:6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동물기피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7>
동물기피용 조성물의 제조
목초액, 피마자 오일, 캡사이신, 멘톨, 유칼립투스 오일 및 님 오일을 7:6:9:10:7:8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혼합물을 규조토에 코팅시켜 규조토에 코팅된 형태의 동물기피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농업용 피복재의 제조
제조예 1의 유지 조성물과 제조예 4의 동물기피용 조성물을 12:7의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크래프트지의 양면에 함침시킨 후 건조시켜 농업용 피복재를 제조하였다. 이때 유지 조성물과 동물기피용 조성물의 혼합물은 크래프트지 중량의 19중량%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2>
농업용 피복재의 제조
제조예 2의 유지 조성물과 제조예 5의 동물기피용 조성물을 15:8의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크래프트지의 양면에 도포한 후 건조시켜 농업용 피복재를 제조하였다. 이때 유지 조성물과 동물기피용 조성물의 혼합물은 크래프트지 중량의 23중량%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3>
농업용 피복재의 제조
제조예 3의 유지 조성물과 제조예 6의 동물기피용 조성물을 8:10의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코팅지의 양면에 함침시킨 후 건조시켜 농업용 피복재를 제조하였다. 이때 유지 조성물과 동물기피용 조성물의 혼합물은 코팅지 중량의 18중량%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4>
농업용 피복재의 제조
제조예 1의 유지 조성물과 제조예 7의 동물기피용 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농업용 피복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농업용 피복재의 제조
크래프트지 중량의 12중량%의 제조예 1의 유지 조성물을 크래프트지의 양면에 함침시키고 건조시켰다. 건조된 크래프트지에 크래프트지 중량의 7중량%의 제조예 4의 동물기피용 조성물을 함침시키고 건조시켜 농업용 피복재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현장 시험
야생동물에 의한 피해가 발생했던 지역의 배추밭에서 실시예 1 내지 5의 농업용 피복재를 사용하고, 전장시험, 파종부터 수확까지의 재배시험 및 토양 속에서의 분해시험을 실시하였다.
배추밭에서 실시예 1 내지 5의 피복재의 전장을 실시하였을 때 100m 전장시 찢어지지 않고 전장이 가능하였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5의 피복재를 사용하고 파종부터 수확까지 80일 동안 배추를 재배했을 때 수확시까지 문제없이 잡초의 성장을 억제하고, 피복재가 파손되지 않았으며 야생동물에 의한 피해도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배추를 수확한 후 피복재를 토양 속에 매립하였을 때 피복재는 분해되어 봄에는 깨끗히 없어졌다.

Claims (9)

  1. 크래프트지, 신문지, 코팅지, 상질지, 켄트지, 일본지 및 케나프지 중 선택된, 토양 내에서 분해가능한 피복재용 종이;
    상기 종이에 함유된, 건성유, 반건성유, 상온에서 고체이고 융점이 100℃ 미만인 왁스를 10:6~10:0.3~3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유지 조성물; 및
    상기 종이에 함유된, 목초액, 피마자 오일, 캡사이신, 멘톨, 유칼립투스 추출물 및 님 추출물을 3~10:3~10:6~12:6~12:5~10:5~10의 중량비로 포함하고, 화산재, 규조토 및 제올라이트 중 선택된 다공성 돌가루에 코팅시킨 동물기피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우수한 강도와 동물기피효과를 가진 종이소재의 농업용 피복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성유는 아마인유, 홍화유, 대두유, 동유, 포도씨유, 호두유, 달맞이꽃유, 겨자유 및 삼실유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피복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건성유는 참기름, 콩기름, 면실유, 옥수수유, 채종유, 미강유 및 아몬드유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피복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칸데릴라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라이스 왁스, 호호바 오일, 목랍, 라놀린, 비즈 왁스, 몬탄 왁스, 세레신, 파라핀왁스, 미세결정질 왁스 및 경화 피마자 오일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피복재.
  6. 삭제
  7. 삭제
  8.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조성물은 종이 건조중량의 2~20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피복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기피용 조성물은 종이 건조중량의 3~15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피복재.

KR1020210053459A 2021-04-26 2021-04-26 우수한 강도와 동물기피효과를 가진 종이소재의 농업용 피복재 KR102321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459A KR102321963B1 (ko) 2021-04-26 2021-04-26 우수한 강도와 동물기피효과를 가진 종이소재의 농업용 피복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459A KR102321963B1 (ko) 2021-04-26 2021-04-26 우수한 강도와 동물기피효과를 가진 종이소재의 농업용 피복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1963B1 true KR102321963B1 (ko) 2021-11-04

Family

ID=78521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459A KR102321963B1 (ko) 2021-04-26 2021-04-26 우수한 강도와 동물기피효과를 가진 종이소재의 농업용 피복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196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3083A (ja) * 2004-09-15 2006-03-30 Sankyo Shodoku Shoji Kk 小動物忌避剤
KR20100111960A (ko) * 2009-04-08 2010-10-18 윤용길 직파용 멀칭지
KR101274728B1 (ko) * 2012-04-06 2013-06-17 조천휘 목초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해조수 및 해충 기피제 조성물
KR101353884B1 (ko) 2006-09-15 2014-01-20 닛신 오일리오그룹 가부시키가이샤 종이로 만든 농업용 피복재
KR101472990B1 (ko) 2014-09-19 2014-12-24 김종구 농업용 친환경 자연분해 멀칭지
KR20170132416A (ko) 2016-05-24 2017-12-0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청원 농업용 피복 입제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피복 입제
KR102236033B1 (ko) 2020-09-24 2021-04-05 임용환 친환경 자연분해 멀칭지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3083A (ja) * 2004-09-15 2006-03-30 Sankyo Shodoku Shoji Kk 小動物忌避剤
KR101353884B1 (ko) 2006-09-15 2014-01-20 닛신 오일리오그룹 가부시키가이샤 종이로 만든 농업용 피복재
KR20100111960A (ko) * 2009-04-08 2010-10-18 윤용길 직파용 멀칭지
KR101274728B1 (ko) * 2012-04-06 2013-06-17 조천휘 목초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해조수 및 해충 기피제 조성물
KR101472990B1 (ko) 2014-09-19 2014-12-24 김종구 농업용 친환경 자연분해 멀칭지
KR20170132416A (ko) 2016-05-24 2017-12-0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청원 농업용 피복 입제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피복 입제
KR102236033B1 (ko) 2020-09-24 2021-04-05 임용환 친환경 자연분해 멀칭지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5600A (en) Natural insect repellent formula and method of making same
Booth et al. Non-timber uses of selected arid zone trees and shrubs in Africa
US20050214337A1 (en) Pesticidal compositions
DE202008005495U1 (de) Mittel und Langzeitdünger mit Abschreckwirkung gegen Schnecken
US9198435B2 (en) Natural pesticide composition and method of producing
ZA200005594B (en) Improvements in herbicides.
CN110023278A (zh) 用于生产百里香醌的方法
Shin‐Foon et al. Experiments on the application of botanical insecticides for the control of diamondback moth in South China
Kamatenesi-Mugisha et al. Oral acute toxicity study of selected botanical pesticide plants used by subsistence farmers around the Lake Victoria Basin
KR102321963B1 (ko) 우수한 강도와 동물기피효과를 가진 종이소재의 농업용 피복재
Parrotta et al. Azadirachta indica A. Juss
JPH0362682B2 (ko)
KR101353884B1 (ko) 종이로 만든 농업용 피복재
JP4619472B2 (ja) 木材保存剤
US20040131627A1 (en) Insect repellent
JP3567231B2 (ja) 動物忌避剤
US20070053947A1 (en) Non-toxic molluscicidal, bryophoticidal and algicidal composition
KR101782842B1 (ko) 병충해에 강한 허브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천연허브복합비료 및 그 이용방법
KR101299213B1 (ko) 방부제로서 두충, 현초 및 백굴채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0460424B1 (ko) 원예작물 병 방제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
Abobatta et al. Chemical studies on grown jojoba oils under Egyptian conditions.
US2333061A (en) Insecticide
KR102578619B1 (ko) 허브추출물을 이용한 병충해 방제용 조성물
Remezok et al. Influence of aromatic substances on locomotor activity of Deroceras agreste slugs
Verma et al. Flower Yield Potential of Pyrethrum (Chrysanthemum cinerariaefolium L.) under Various NPK Levels in the Lower Hills of Uttarakhand, Ind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