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1960A - 직파용 멀칭지 - Google Patents

직파용 멀칭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1960A
KR20100111960A KR1020090030461A KR20090030461A KR20100111960A KR 20100111960 A KR20100111960 A KR 20100111960A KR 1020090030461 A KR1020090030461 A KR 1020090030461A KR 20090030461 A KR20090030461 A KR 20090030461A KR 20100111960 A KR20100111960 A KR 20100111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ching paper
seed
paper
mulching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0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0154B1 (ko
Inventor
윤용길
이걸범
Original Assignee
윤용길
이걸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용길, 이걸범 filed Critical 윤용길
Priority to KR1020090030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0154B1/ko
Publication of KR20100111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1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0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0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2Mulches, i.e. covering material not-pre-formed in mat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01C1/044Sheets, multiple sheets or m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93Anchoring means for ground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10Device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animals, birds or other pes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2013/006Protecting plants with perfor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8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specially adapted for farm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천공(4)이 형성된 멀칭지(2)와, 상기 천공(4)에 연결설치된 씨앗(8)이 구비된 씨앗봉지(6)로 구성되며, 상기 씨앗봉지(6)는 직파 후 씨앗의 발아 및 성장에 맞추어 분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파용 멀칭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씨앗봉지가 연결설치된 멀칭지를 접거나 펼칠 경우, 씨앗이 멀칭지로부터 탈리되거나 그 위치가 변경되지 않음으로써 씨앗이 용이하게 발아되어 생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멀칭지, 직파, 씨앗, 생분해성, 볍씨

Description

직파용 멀칭지{Mulching paper for direct sowing}
본 발명은 직파용 멀칭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천공이 형성된 멀칭지와 상기 천공에 연결설치된 씨앗이 구비된 씨앗봉지를 포함하는 직파용 멀칭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의 재배방법에는 곡물의 종류와 지역의 기후·풍토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재배되는바, 무논에서는 1년에 한 번 심는 1모작이 중심이지만, 기후가 따뜻한 지방에서는 논벼를 거둬들인 뒤 보리류, 유채, 야채류 등을 심는 2모작이 보급되었으며, 자연조건이 좋은 지역에서는 일 년에 두 번 벼농사를 짓는 2모작이 실시되었다.
또한, 야채 재배에서는 다모작이 일반적이며, 특히 도시 근교에서는 여러 가지 야채를 조합하여 4모작 또는 5모작도 이루어지고 있는바, 상기 다양한 형태의 곡물 재배는 필수적으로 잡초의 생성을 억제해야 양질의 곡물을 얻을 수 있다.
이에, 전술한 잡초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제초제를 살포하거나 일일이 잡초를 뽑아서 제거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잡초제거 방법 이외에 멀칭필름 등의 멀칭지를 이용하여 잡초의 생성을 억제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는 농작물이 파종된 지면의 상부에 합성수지를 이용한 불투명재를 포설한 뒤 파종된 곡물만이 햇빛을 볼 수 있도록 구멍을 뚫어주고 나머지 부분에는 빛이 투과되지 못하도록 하여 잡초의 생성을 억제한다.
특히, 상기 멀칭이란 작물이 생육하고 있는 입지의 표면을 피복하여 토양의 건조와 침식, 지온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하며, 잡초의 발생을 억제하여 제초작업이나 제초제의 사용을 억제하는 작물 재배법을 말한다.
또한, 멀칭에 의한 작물재배의 경우 제초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잡초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인력을 이용하여 제초를 하는 경우 소요되는 인건비 등의 생산비 절감 효과와 함께 생산성 향상을 가져와 농가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종래의 벼농사에 있어서, 편리한 기계식으로 영농을 하기 위해 근자에는 일정한 치수의 모판을 만들어 모판에 흙을 얹은 후 씨앗, 특정적으로 볍씨를 뿌린 뒤 일정 기간 동안 물을 주어 싹이 자라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방법은 볍씨가 모판에서 자라면서 뿌리가 모판의 바닥 구멍을 지나 땅바닥까지 번져 뿌리가 서로 뒤엉키는 상태로 자라므로 모판 아래로 뻗어있는 뿌리를 제거해주어야만 이앙기 작업이 용이하다.
그러나 모판에 있는 뿌리로만은 그 길이가 너무 짧아 논바닥에 깊게 심기 곤란할 뿐만 아니라, 벼의 성장과정에 있어 바람이 불거나 장마철이 되면 쉽게 쓰러 져 농사를 망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403118호에는 천연 솜을 일정두께로 형성하고 그 상부에 아교와 전분 및 효소제를 적층하여 형성된 멀칭필름에 작물의 특성에 맞게 일정 간격으로 미세천공을 형성하고, 상기 미세천공에 종자를 천연 접착제로 부착한 종자가 부착된 직파용 멀칭재를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24881호에는 일정한 기간 햇빛에 노출되면 자연 분해되는 멀칭지를 일정폭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접고, 지그재그 형상으로 접은 멀칭지의 꼭지선 부분에는 양측으로 균일하게 원형 형상으로 다수의 칼날선을 형성하며, 칼날선이 형성된 내측 부분에는 수용성 접착제를 도포하여 다량의 볍씨를 접착시키며, 멀칭지의 지그재그 공간에는 흙을 채우고 지그재그 공간 하단부분을 일방으로 소폭으로 접어서 구성한 볍씨를 접착한 모종용 멀칭지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412955호에는 미생물에 의한 생분해가 가능한 재질에 볍씨를 붙이고 발아시켜 사전 준비가 된 논의 바닥에 치상하여 이앙 재배의 모기르기와 이앙단계가 생략 가능하도록 하는 벼 생분해 종이멀칭용 직파재배법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전술한 종래 기술은 멀칭지에 형성된 천공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직접 볍씨를 접착시키므로, 볍씨가 접착된 멀칭지를 이송하기 위해 멀칭지를 말거나 논에 직파하기 위해 멀칭지를 펼치는 경우 멀칭지로부터 볍씨가 쉽게 탈리되어 실제 직파제배에 적용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멀칭지에 구비되는 다수의 천공 또는 그 주변에 접착되어 있는 볍씨가 멀칭지를 접거나 펼칠 때 그 위치가 최초 의도된 위치로부터 변경될 경우, 직파를 위해 논에 펼쳐진 멀칭지로부터 볍씨가 발아되어 천공을 통해 생장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 종래 기술의 멀칭지를 논바닥에 펼치게 되면, 논바닥의 수면이 일정치 못하여 들떠 있는 멀칭지에 위치하는 볍씨는 발아가 이루어질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바람 및 논물의 유동에 의해 멀칭지가 움직이게 되면 멀칭지의 천공 및 그 주변에 위치하는 볍씨가 논바닥으로 탈리되고, 경우에 따라서 멀칭지가 볍씨를 덮게 되면 볍씨가 생장할 수 없게 된다.
나아가, 상기 종래 기술 중 지그재그 형상으로 접은 멀칭지의 꼭지선 부분에 볍씨 및 흙을 채운 멀칭지의 경우, 흙 자체의 무게로 인해 멀칭지가 무게를 견디지 못하여 그 본래의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멀칭지를 이송하기 위해 접거나 이를 적용하기 위해 펼칠 경우, 씨앗이 멀칭지로부터 탈리되거나 그 위치가 원하는 위치로부터 변경되지 않도록 하여 씨앗의 직파재배시 씨앗이 용이하게 발아되어 생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멀칭지를 논에 펼쳐 직파를 할 경우, 멀칭지가 바람이나 논물의 유동에 의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씨앗이 용이하게 발아되어 생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천공이 형성된 멀칭지와, 상기 천공에 연결설치된 씨앗이 구비된 씨앗봉지로 구성되며, 상기 씨앗봉지는 직파 후 씨앗의 발아 및 성장에 맞추어 분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파용 멀칭지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은 씨앗봉지가 연결설치된 멀칭지를 접거나 펼칠 경우, 씨앗이 멀칭지로부터 탈리되거나 그 위치가 변경되지 않음으로써 씨앗이 용이하게 발아되어 생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칭지를 고정줄 및/또는 고정봉 등으로 논바닥에 고정시킴으로써 바람 및/또는 논바닥의 물에 의하여 멀칭지가 날아가거나 이동하여 씨앗의 발아가 용이하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칭지를 이용하여 직파를 하게 되면, 병충해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천공이 형성된 멀칭지와, 상기 천공에 연결설치된 씨앗이 구비된 씨앗봉지로 구성되며, 상기 씨앗봉지는 직파 후 씨앗의 발아 및 성장에 맞추어 분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파용 멀칭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칭지는 씨앗을 논 및/또는 밭에 직접적으로 파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멀칭지라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씨앗을 포함하는 씨앗봉지가 직파된 후 씨앗의 발아 및 성장에 맞추어 상기 씨앗봉지가 분해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멀칭지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추천하기로는 다수의 천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천공에 씨앗이 구비된 씨앗봉지가 연결설치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씨앗봉지가 천공에 연결설치되는 수단은 씨앗봉지를 멀칭지의 천공, 특정적으로 천공의 주변에 연결설치하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접착, 융착, 박음질 또는 별도의 체결수단을 이용하는 것 등의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씨앗봉지는 동물, 예컨대 조류 및/또는 포유류, 특정적으로 새, 쥐 등의 동물이 씨앗봉지에 포함된 씨앗을 먹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혐오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하기의 설명은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칭지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씨앗봉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칭지의 배면을 나타내는 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칭지의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도로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직파용 멀칭지는 다수의 천공(4)이 형성된 멀칭지(2)와, 상기 천공(4)에 연결설치된 씨앗(8)이 구비된 씨앗봉지(6)로 구성되며, 상기 씨앗봉지(6)는 직파 후 씨앗의 발아 및 성장에 맞추어 분해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칭지(2)는 씨앗(8)을 논 및/또는 밭에 직접적으로 파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필름, 부직포, 종이 등의 형상을 갖고, 그 내부에 다수의 천공(4)이 형성, 예를 들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멀칭지(2)에 형성된 천공(4)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약 5cm 내외의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멀칭지(2)의 재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멀칭지(2) 재질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생분해성 수지, 합성수지 또는 종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불투명성 생분해성 수지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생분해성 수지는 자연조건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분해되는 재질로 이루어진 수지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 멀칭지(2)를 논 및/또는 밭에 설치한 후 상기 멀칭지(2)에 포함된 씨앗(8)이 발아되어 충분히 생장할 때까지 멀칭지 형상을 유지한 후 서서히 생분해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생분해성 수지의 생분해 시간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수일 내지 수개월인 것이 좋다.
특히, 씨앗(8)으로서 볍씨가 사용되는 경우, 볍씨가 논바닥에서 발아되어 생장한 뒤 멀칭지(2)가 생분해되면, 상기 멀칭지(2)의 생분해 후 자라는 잡초가 볍씨의 생장으로 인해 햇빛을 용이하게 받을 수 없어 그 성장이 둔화되거나 자랄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 생분해성 수지로 이루어진 멀칭지(2)의 분해시간은 씨앗(8)이 발아되어 충분히 생장한 후 분해되는 것이 좋고, 씨앗(8)으로서 볍씨를 사용하는 경우, 벼가 충분히 생장한 뒤, 예를 들면 벼가 10 내지 60cm,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cm,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0cm 이상의 크기로 생장한 뒤 멀칭지(2)가 분해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씨앗봉지(6)는 그 내부에 직파재배를 위한 씨앗(8)이 구비되고, 상기 멀칭지(2)에 구비된 천공(4), 바람직하게는 천공(4)의 주변에 연결설치되어 멀칭지(2)를 논 및/또는 밭에 펼칠 경우 씨앗봉지(6) 내부에 구비된 씨앗(8)이 논 및/또는 밭에 접촉하여 발아됨으로써 멀칭지(2)의 천공(4)을 통해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한 씨앗봉지(6)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씨앗봉지(6)는 논 및/또는 밭에 직파 후 씨앗(8)의 발아 및 성장에 맞추어 분해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그 재질은 습기 및/또는 물 등에 의해 용이하게 분해될 수 있는 재질, 예컨대 한지 등의 종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분해는 습기 및/또는 물 등에 의해 씨앗봉지가 용해 및/또는 해체, 바람직하게는 씨앗의 발아 및 생장에 지장을 주지 않을 정도로 용해 및/또는 해체되는 것을 의미한다.
특정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씨앗봉지(6)는 동물, 예컨대 조류 및/또는 포유류, 특정적으로 새 및/또는 쥐 등의 동물이 씨앗봉지(6)에 포함된 씨앗(8)을 먹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혐오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혐오물질은 씨앗봉지(6)에 도포되거나, 씨앗봉지(6)의 내부에 씨앗(8)과 함께 구비되거나, 씨앗(8)에 도포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방법 모두를 활용하여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혐오물질은 조류 및/또는 포유류, 특정적으로 새 및/또는 쥐 등 의 동물이 싫어하는 물질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동물이 싫어하는 냄새를 방출하는 물질이 좋고, 추천하기로는 식초, 목초산, 나무 타르, 마늘기름, 코레오소오트, 알리신, 메틸 안트라닐레이트, 엔도설판, 티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씨앗봉지(6)가 천공(4)에 연결설치되는 수단은 씨앗봉지(6)를 멀칭지(2)의 천공(4)에 연결설치하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접착, 융착 또는 박음질 등의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멀칭지(2)와 씨앗봉지(6)의 접착을 위해 사용되는 접착제는 생분해성 재질인 것이 좋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씨앗봉지(6)가 천공(4)에 연결설치되는 수단은 필요에 따라, 별도의 체결수단(미도시)에 의해 연결설치될 수 있는바, 상기 체결수단으로서 멀칭지의 천공(4) 주변에 고리 모양의 체결수단을 형성시킨 후 상기 고리 모양에 대응되는 고리 모양의 체결수단을 씨앗봉지(6)에 형성시켜, 상기 씨앗봉지(6) 및 천공(4)에 각각 형성된 고리 모양의 체결수단을 서로 체결시켜 연결설치할 수도 있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씨앗봉지(6)는 베이스지(12); 상기 베이스지(12)의 상단에 놓이는 씨앗(8); 및 상기 베이스지(12)와 결합되어 봉지를 형성하는 덮개지(1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씨앗봉지(6)에 구비되는 씨앗(8)의 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0개인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씨앗(8)은 직파재배에 사용되는 씨앗(8)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씨앗(8)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직파재배용 씨앗(8)의 예로는 볍씨, 배추씨, 무씨, 보리씨 등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멀칭지(2), 특정적으로 직파용 멀칭지(2)는 멀칭지(2)를 논 및/또는 밭에 설치할 경우 멀칭지(2)가 논물이나 바람 등에 의해 이동하거나 날리지 않도록 멀칭지(2)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줄(16)이 부착 또는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줄(16)이 멀칭지(2)에 부착된 경우 멀칭지(2)의 직파시 멀칭지(2)를 고정하기 위해 별도로 고정줄(16)을 멀칭지(2)에 연결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노동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고정줄(16)이 멀칭지(2)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고정줄(16)이 멀칭지(2)의 모서리 일측 변을 따라 부착되거나 일정 간격으로 멀칭지(2)의 종단을 가로지르도록 다수 개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줄(16)은 필요에 따라, 논 및/또는 밭에 삽입하여 고정되는 고정봉(14)에 연결설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직파용 멀칭지의 사용양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때, 본 발명의 직파용 멀칭지의 보다 용이한 설명을 위하여 씨앗(8)으로서 볍씨를 사용한 직파용 멀칭지의 사용양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씨앗(8), 특정적으로 볍씨를 구비한 씨앗봉지(6)가 연결설치된 직파용 멀칭지(2)를 논바닥에 펼쳐놓는다.
그 다음, 멀칭지(2)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장자리 상단에 고정줄(16)을 놓은 후 상기 고정줄(16)의 양쪽 종단에 고정봉(14)을 연결설치한 뒤 상기 고정봉(14)을 논바닥에 삽입시켜 멀칭지(2)가 바람이나 물에 의해 날리거나 움직이지 못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줄(16)은 최초 멀칭지(2)에 부착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그 다음, 상기 멀칭지(2)에 구비된 씨앗봉지(6)가 물에 의해 분해되면 씨앗봉지(6)에 구비된 볍씨가 논바닥에 놓여진다.
그 다음, 논바닥에 놓인 볍씨는 발아되어 멀칭지(2)의 천공(4)을 통해 생장한다.
여기서, 상기 멀칭지(2)가 생분해성 수지로 이루어진 경우, 수일 내지 수개월 동안 서서히 생분해된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칭지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씨앗봉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칭지의 배면을 나타내는 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칭지의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멀칭지 4 : 천공
6 : 씨앗봉지 8 : 씨앗
10 : 덮개지 12 : 베이스지
14 : 고정봉 16 : 고정줄

Claims (8)

  1. 다수의 천공이 형성된 멀칭지와,
    상기 천공에 연결설치된 씨앗이 구비된 씨앗봉지로 구성되며,
    상기 씨앗봉지는 직파 후 씨앗의 발아 및 성장에 맞추어 분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파용 멀칭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씨앗봉지는 종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파용 멀칭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씨앗봉지는 동물이 씨앗봉지에 포함된 씨앗을 먹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혐오물질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파용 멀칭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혐오물질은 코레오소오트, 알리신, 메틸 안트라닐레이트, 엔도설판, 티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파용 멀칭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칭지는 생분해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파용 멀칭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설치 수단은 접착, 융착 또는 박음질의 방법 중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파용 멀칭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칭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줄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파용 멀칭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줄이 멀칭지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파용 멀칭지.
KR1020090030461A 2009-04-08 2009-04-08 직파용 멀칭지 KR101090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461A KR101090154B1 (ko) 2009-04-08 2009-04-08 직파용 멀칭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461A KR101090154B1 (ko) 2009-04-08 2009-04-08 직파용 멀칭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960A true KR20100111960A (ko) 2010-10-18
KR101090154B1 KR101090154B1 (ko) 2011-12-06

Family

ID=43132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0461A KR101090154B1 (ko) 2009-04-08 2009-04-08 직파용 멀칭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015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3811A (ko) 2017-11-10 2019-05-20 손철수 이중배색 멀칭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멀칭 농사방법
KR20200042553A (ko) * 2018-10-15 2020-04-24 송태형 다기능 멀칭 필름
KR102321963B1 (ko) * 2021-04-26 2021-11-04 (주)세기에어시스템 우수한 강도와 동물기피효과를 가진 종이소재의 농업용 피복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8556A (ko) 2014-12-05 2016-06-15 문형태 작물재배용 멀칭지
KR102254036B1 (ko) * 2020-11-19 2021-05-20 주식회사 비에스이엔지 친환경 멀칭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2176A (ja) 1996-08-08 1998-02-24 Norin Suisansyo Chugoku Nogyo Shikenjo 再生紙マルチ直播シート及びその使用法
KR200224881Y1 (ko) 2000-08-10 2001-05-15 강영수 벼 씨를 접착한 모종용 멀칭지
KR200403118Y1 (ko) 2005-07-26 2005-12-08 김윤수 종자가 부착된 직파용 멀칭재
JP2007289061A (ja) 2006-04-25 2007-11-08 Fukuo Kurozumi 生分解性不織布による直播用パック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3811A (ko) 2017-11-10 2019-05-20 손철수 이중배색 멀칭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멀칭 농사방법
KR20200042553A (ko) * 2018-10-15 2020-04-24 송태형 다기능 멀칭 필름
KR102321963B1 (ko) * 2021-04-26 2021-11-04 (주)세기에어시스템 우수한 강도와 동물기피효과를 가진 종이소재의 농업용 피복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0154B1 (ko) 2011-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96246A (zh) 一种有机水稻的栽培方法
KR101090154B1 (ko) 직파용 멀칭지
US20190289795A1 (en) Soil-covering film, the use of a soil-covering film to protect crops against weeds, and a method for the protection of crops against weeds
KR200403118Y1 (ko) 종자가 부착된 직파용 멀칭재
JP2004057001A5 (ko)
JP2004057001A (ja) 育草育作栽培方法
JP2007289061A (ja) 生分解性不織布による直播用パック
CN109089774A (zh) 一种南瓜高产栽培方法
JP5763357B2 (ja) 混合して種子を植えるシート
KR20100015267A (ko) 사전적응형 식생매트를 이용한 친환경 경사면 시공방법
Das et al. Sustainable practices for pest and disease management of horticultural crops
US20140373439A1 (en) Manually installed agricultural mulch, drip irrigation and row cover assembly
CN109744078A (zh) 一种苎麻种子直播栽培方法
KR200224881Y1 (ko) 벼 씨를 접착한 모종용 멀칭지
RU226190U1 (ru) Посевная пленка
Kumar et al. Study the growth & flowering of gerbera genotypes under protected cultivation in Tumkur district of Karnataka-India
TW201261B (ko)
CN108260461A (zh) 一种大五星枇杷高产高效方法
JPH08266108A (ja) 稲播育材とそれを使用する稲作農法
Chaurasia et al. Quality transplants –a healthy way of raising vegetable nursery
RU223739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овощей на органической среде
TW450785B (en) Method for sowing seeds and material used thereby
ES2245670T3 (es) Procedimiento de siembra de semillas de plantas y materiales de siembra utilizados en el mismo.
KR20230091591A (ko) 친환경 작물재배 키트지 및 그 제조 방법
JPH0819337A (ja) 草花の保護育成マットおよびその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