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1400A - 해충 포획장치 - Google Patents

해충 포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1400A
KR20090001400A KR1020070065762A KR20070065762A KR20090001400A KR 20090001400 A KR20090001400 A KR 20090001400A KR 1020070065762 A KR1020070065762 A KR 1020070065762A KR 20070065762 A KR20070065762 A KR 20070065762A KR 20090001400 A KR20090001400 A KR 20090001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est
body housing
shielding
attra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5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찬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스코
Priority to KR1020070065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1400A/ko
Publication of KR20090001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4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4Attracting insects by using illumination or colou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2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 A01M1/223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by using electrocu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4Arrangements connected with buildings, doors, window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해충을 유인하기 위해 조사되는 빛을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는 해충 포획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해충 포획장치는 해충이 출입하는 유입구가 형성된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해충을 유인하기 위한 빛을 외부로 조사하는 유인유닛,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인유닛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통해 유인된 해충을 포획하는 포획유닛 및 상기 본체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유인유닛으로부터 외부로 조사되는 빛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차폐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해충 포획장치의 설치 장소 및 설치 목적에 따라 빛의 조사량 및 조사 방향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어 해충의 유인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장소에 구애됨 없이 설치가 용이하다.
Figure P1020070065762
해충, 유입구, 차폐, 전기충격

Description

해충 포획장치{Apparatus for Capturing Vermi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해충 포획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는 도 1의 제1 변형예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은 도 1의 제2 변형예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은 도 1의 제3 변형예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제4 변형예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는 도 1의 제5 변형예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도 1의 제6 변형예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는 도 9에서 유인유닛의 점멸 모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는 작동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해충 포획장치 110: 본체 하우징
112a: 전방그릴 112b: 후방그릴
116: 유입구 120: 유인유닛
122, 124: 유인램프 130: 포획유닛
131: 전기 그리드 131a: 홀
132: 전원 공급부 140: 포획유닛
141a: 결합돌기 142a: 힌지축
142b: 힌지 수용부 143a: 슬라이딩 가이드
143b: 스톱퍼 144: 차폐파트
145: 반사면 146a: 제1 고정부
146b: 제2 고정부
본 발명은 해충 포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를 개선하여 해충의 유인 및 포획을 향상시키며, 장소에 제약 없이 설치가 가능한 해충 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충은 인간 및 가축에게 해를 주는 곤충이나 동물 등을 가리킨다. 흔히 집이나 사무실 등 밀폐된 공간에서 볼 수 있는 해충의 종류로는 대표적으로 쥐, 바퀴벌레, 먼지 다듬이, 개미, 진드기, 지네, 모기 등이 있다. 이런 해충들은 음식이나 직물들을 갉아 먹어 사람들의 생활에 적잖은 피해를 주고 있다. 또한 배설물들로 인해 인체에 해로운 병원균을 옮기기도 한다. 근래에는 이러한 해충들이 환경이 점점 오염돼 감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에 있어서, 해충을 제거하는 것이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일반 가정집, 회사 혹은 지역 사회에서는 갖가지 방법을 동원하여 해충을 제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해충들 중 특히 파리, 모기, 나방 등 날아다니는 비래해충을 제거하기 위하여, 빛으로 해충을 유인하고 유인된 해충을 전기적으로 감전시키거나 끈끈이에 접착되도록 하여 해충을 포획하는 장치가 널리 사용된다. 이와 같은 해충 포획장치는 특히 “포충기” 또는 “포충등”이라는 용어로 지칭된다.
일반적으로, 전기적으로 감전을 통해 해충을 포획하는 해충 포획장치는 전후방으로 빛이 반사되도록 장치의 외관을 구성하는 본체 하우징은 전후방으로 관통 형성된다. 이로써 본체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어 해충을 감전시켜 살충하는 전기 그리드에 의해 해충 포획장치의 전후방에서 유인된 해충들을 살충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해충 포획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종래의 해충 포획장치는 전 후방 모든 방향으로 빛을 조사함으로써 오히려 사람이 거주하는 지역에 해충이 더 몰리도록 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해충 포획장치의 일 방향이 사람이 거주하는 지역이고, 타 방향이 외곽지역이라고 한다면, 사람이 거주하는 지역에 서식하는 해충들은 장치로부터 조사되는 빛에 의해 유인되어 살충되지만, 또한 외곽지역에 서식하는 해충들도 빛에 유인되어 장치 근처로 날아온다. 그런데, 외곽지역에서 날아오는 해충이 모두장치의 전기 그리드에 의해 살충되면 좋지만, 빛에 의해 유인되기만 하고 장치를 그냥 지나친 후 사람이 거주하는 지역으로 비행한다면 오히려 사람의 거주지역으로 해충을 유인하는 꼴이 되고 만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충을 유인하기 위해서 외부로 조사되는 빛을 사용자가 직접 개방하거나 차폐할 수 있는 해충 포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해충을 포획하기 위한 대상 위치의 선택이 자유로운 해충 포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해충 포획장치는 본체 하우징, 유인유닛, 포획유닛 및 차단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 하우징은 장치의 외관을 구성하며, 일측에 해충이 출입하는 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입구는 적어도 하나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인유닛은 상기 본체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해충을 유인하기 위한 빛을 외부로 조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인유닛은 해충을 효과적으로 유인하기 위한 자외선 영역의 파장을 갖는 빛을 조사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상기 유인유닛으로서, 광도 및 수명이 양호한 발광 다이오드(LED)를 적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포획유닛은 상기 본체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유인유닛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에 의해 상기 본체 하우징 내부로 유인된 상기 해충을 포획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포획유닛은 상기 본체 하우징 내부로 유인된 상기 해충을 포획하기 위해 적절한 위치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본체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유인유닛으로부터 외부로 조사되는 빛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차폐유닛이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도록 하여 상기 유인유닛으로부터 빛이 외부로 조사되도록 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포획유닛은 상기 유인유닛으로부터 조사된 빛에 의해 유인된 해충을 전기 충격으로 살충할 수 있는 전격 살충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획유닛은 상기 해충을 포획하기 위한 끈끈이 모듈, 살충모듈, 흡입모듈 등 다양한 포획 수단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본체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본체 하우징 및 차폐유닛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호 간에 결합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본체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유입구를 개폐할 수 있다. 즉, 상기 차폐유닛은 힌지 모듈을 중심으로 개방될 경우에는 상기 유인유닛으로부터 나오는 빛이 외부로 조사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폐쇄될 경우에는 상기 유인유닛으로부터 외부로 조사되는 빛을 차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본체 하우징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상기 유입구를 개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 하우징에는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 왕복 이동을 하면서 상기 유입구를 개폐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차폐유닛은 서로 접철 가능한 복수 개의 차폐파트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차폐파트를 서로 포갤 경우에는 상기 유입구를 개방할 수 있고, 펼 경우에는 상기 유입구를 폐쇄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차폐유닛은 루버(louver)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루버 형태로 형성된 차폐유닛의 경사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유인유닛으로부터 조사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외부로 조사되는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유인유닛과 마주보는 면이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마주보는 면이 반사면으로 형성되어 빛을 반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유인유닛으로부터 상기 차폐유닛을 향해 진행하는 빛이 큰 조사 각도를 가지고 반사되는 대신에, 상기 차폐유닛의 대향측에 형성된 유입구를 통해 외부로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유인유닛과 마주보는 방향의 면에 접착층을 형성하여 상기 본체 하우징 내부로 유인된 상기 해충을 포획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본체 하우징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유인유닛으로부터 상기 차폐유닛이 위치한 방향으로 조사되는 빛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인유닛은 다수개의 유인램프로 구성되고, 상기 유인램프는 복수의 열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복수 개의 열 을 이루며 배치된 상기 유인램프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해충 포획장치는 상기 유인유닛의 점멸 모드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유인된 해충을 포획하기 위한 포획수단으로서 전격 살충기를 적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끈끈이 모듈, 살충제 분사모듈, 흡입모듈 등 해충을 포획할 수 있는 다양한 포획수단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해충 포획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해충 포획장치(100)는 본체 하우징(110), 유인유닛(120), 포획유닛(130) 및 차폐유닛(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 하우징(110)은 박스 형태로 이루어져 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며, 일측에는 해충이 유인되는 공간인 유입구(116)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상기 유입구(116)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 하우징(110)의 전면에 제1 유입구(116a) 및 후면에 제2 유입구(116b)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 하우징(110)는 상기 제1 유입구(116a)측에 결합되는 전방그릴(112a)과, 상기 제2 유입구(116b)측으로 결합되는 후방그릴(112b)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본체 하우징(110)은 바닥에 놓여지거나, 건물의 벽면에 장착되는 등, 해충을 포획하고자 하는 대상 위치에 적절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유인유닛(120)은 상기 본체 하우징(110)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본체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빛을 조사하여 해충을 상기 본체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인한다. 상기 유인유닛(120)은 복수 개의 유인램프(122, 124)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상기 유인램프(122, 124)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정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인램프(122, 124)로 자외선 영역의 빛을 조사하고, 광도가 우수하며, 에너지 소비면에서 경제적인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상기 유인램프(122, 124)에 발광 다이오드를 적용할 경우에는, 장치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인유닛(120)이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형성될 경우에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장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플레이트 형상의 베이스 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획유닛(130)은 상기 본체 하우징(110) 내부에 장착되고, 제1 포획유닛(130a) 및 제2 포획유닛(130b)으로 구성되어 상기 유인유닛(120)의 전후면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포획유닛(130)은 해충에게 전기 충격을 가하는 전격 살충기 로 형성되며, 이를 위해 전류가 흐르는 전기 그리드(131) 및 상기 전기 그리드(131)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3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 공급부(132)는 상기 본체 하우징(110)에 형성된 전원부(114)와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전기 그리드(131)에는 다수개의 홀(131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인유닛(120)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이러한 상기 홀(131a)을 통해 상기 본체 하우징(110)의 외부로 조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131a)의 크기는 해충의 크기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유인된 해충이 어떠한 전기 충격도 받지 않고 상기 포획유닛(130)을 지나가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포획유닛(130)이 상기 유인유닛(120)의 전후방에 각각 하나씩 구성되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각각 복수 개로 구성되어 유인된 해충을 살충하는 확률을 더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차폐유닛(140)은 상기 본체 하우징(110)에 형성된 상기 유입구(116)를 차폐하여 상기 유인유닛(120)으로부터 외부로 조사되는 빛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차폐유닛(140)은 상기 본체 하우징(110)에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상기 유입구(116)를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차폐유닛(140)은 상기 제1 유입구(116a)를 개폐하는 제1 차폐유닛(140a) 및 상기 제2 유입구(116b)를 차폐하는 제2 차폐유닛(140b)으로 구성된다.
상기 차폐유닛(140)은 상기 본체 하우징(110)의 전후면에 형성된 상기 유 입구(116)를 차폐하여 상기 유인유닛(120)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조사 모드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해충 포획장치(100)의 전방으로는 빛이 조사되도록 하고, 후방으로는 빛이 반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2 차폐유닛(140b)만을 상기 제2 유입구(116b) 측에 설치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폐유닛(140)은 상기 본체 하우징(110)의 내부를 향하는 일면에 접착층이 형성되어 상기 포획유닛(130)과 함께 해충을 포획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차폐유닛이 본체 하우징에 결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제1 변형예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폐유닛(140)은 본체 하우징(110)에 후킹 결합할 수 있다. 먼저, 후킹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141a)는 상기 차폐유닛(140)의 상측부 테두리로부터 서로 근접하도록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 하우징(110)은 상기 결합돌기(141a)를 수용하기 위한 결합홈(141b)이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홈(141b)은 상기 본체 하우징(110)의 상측부에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141a) 및 결합홈(141b)은 결합 후에 균형 유지와 함께 강한 결합력을 얻기 위해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차폐유닛(140)을 상기 본체 하우징(110)에 결합하기 위해서, 먼저 상기 차폐유닛(140)에 형성된 상기 결합돌기(141a)를 상기 결합홈(141b)에 일부 삽입시키고, 이어 상기 차폐유닛(140)으로부터 상기 본체 하우징(110) 측으로 미는 힘을 제공함으로써 결합을 완료시킬 수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본체 하우징에 결합 홈을 형성하고, 차폐유닛에 결합돌기를 형성하였으나, 다른 변형예에서는 이와는 반대로, 본체 하우징에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차폐유닛에 결합홈을 형성하는 구조도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여, 차폐유닛이 본체 하우징에 결합하는 다른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제2 변형예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폐유닛(140)은 본체 하우징(110)에 힌지 결합한다. 이러한 힌지 결합을 위해 해충 포획장치(100)는 힌지축(142a)과 상기 힌지축(142a)을 수용하여 회전되는 힌지 수용부(124b)로 구성된 힌지모듈을 포함한다. 본 변형에서는 상기 본체 하우징(110)의 전후면 상측에 상기 힌지축(142a)을 형성하고, 상기 차폐유닛(140)의 상측에 상기 힌지축(142a)을 수용하는 상기 힌지 수용부(142b)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힌지축(142a)의 직경은 상기 힌지 수용부(142b)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상기 차폐유닛(140)이 상기 본체 하우징(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차폐유닛(140)이 상기 힌지축(142a)을 중심으로 회전한 후에, 회전되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별도의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상기 차폐유닛(140)과 상기 본체 하우징(110) 사이에 별도의 고정부재(142c)를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차폐유닛(140)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차폐유닛(14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유인유닛(120)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조사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해충 포 획장치(100)가 설치된 지역특성에 따라 외부로 조사되는 빛의 조사량 또는 조사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상기 해충 포획장치(100)가 사람의 왕래가 잦은 지역에 설치되면, 상기 차폐유닛(140)과 상기 본체 하우징(110) 사이의 사이각을 작게 하여 빛의 조사 각도를 작게 함으로서, 조사된 빛이 사람들의 눈에 도달하는 양을 적게 하여 눈부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차폐유닛이 본체 하우징에 결합하는 또 다른 방법을 설명한다. 여기서, 도 5는 도 1의 제3 변형예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폐유닛(140)은 본체 하우징(110)에 슬라이딩 결합한다. 즉, 상기 본체 하우징(110)에는 상기 차폐유닛(140)이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슬라이딩 가이드(143a)가 형성된다. 본 변형예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143a)가 상기 유입구(116) 측부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차폐유닛(140)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143a)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유입구(116)를 개방하거나 차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143a)의 하부측에는 상기 차폐유닛(140)이 하방으로 계속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143b)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톱퍼(143b)는 상기 유입구(116)의 하부측과 일치하는 높이에 형성되어 상기 차폐유닛(140)이 상기 유입구(116)를 완전히 차폐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차폐유닛(140)는 슬라이딩 이동 거리에 따라 상기 유입구(116) 개폐 정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차폐유닛(140)을 상기 스톱퍼(143b) 쪽 으로 근접할수록 상기 유입구(116)의 크기는 축소되고, 이에 따라 유인유닛(120)으로부터 외부로 조사되는 빛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차폐유닛이 본체 하우징에 결합하는 또 다른 방법을 설명한다. 여기서, 도 6은 도 1의 제4 변형예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폐유닛(140)은 여러 개의 차폐파트(144)으로 나누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차폐파트(144)들이 서로 포개지는 정도를 변화시킴으로써, 본체 하우징(110)에 형성된 유입구(116)의 개폐 정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차폐파트(144)들은 각각 측면이 서로 결합된 형태이며,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운동 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116)를 개방하려면, 상기 차폐유닛(140)을 일측방향으로 밀어 상기 차폐파트(144)들이 포개지도록 한다. 반대로 상기 유입구(116)를 차폐하고자 하면, 개방할 때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차폐유닛(140)을 당겨서 서로 포개진 각각의 상기 차폐파트(144)들이 펼쳐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차폐유닛을 본체 하우징에 결합하여 본체 하우징의 전후면에 각각 형성된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차폐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해충 포획장치가 설치되는 장소 및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반사면이 형성된 차폐유닛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도 7은 본 발명의 제5 변형예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폐유닛(140)은 본체 하우징(110)의 유입구(116)를 차폐하여 유인유닛(120)으로부터 빛이 외부로 조사되는 것을 차단한다. 본 변형예에서는 상기 유인유닛(120)을 마주보는 상기 차폐유닛(140)의 일면이 반사면(145)으로 형성된다.
상기 반사면(145)에서 반사된 빛은 반사된 후에는 입사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진행하게 되어 차폐된 제2 유입구(116b)의 반대편에 형성된 제1 유입구(116a)를 통해 외부로 조사된다.
이와 같이, 상기 유인유닛(120)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일부 반사함으로써, 상기 본체 하우징(110)의 내부를 보다 밝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차폐된 상기 제2 유입구(116b)의 반대편에 형성된 제1 유입구(116a)를 통해 더 많은 양의 빛이 외부로 조사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해충의 유인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반사면(145)을 곡면으로 형성하여 반사된 빛들이 상기 유입구(116)의 폭 내에 들어오도록 하여 반사된 빛이 상기 본체 하우징(110) 내부에 머무는 양보다 외부로 조사되는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해충의 유인을 위해 외부로 조사되는 빛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본체 하우징보다 크게 형성된 차폐유닛을 설명한다. 여기서, 도 8은 도 1의 제6 변형예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하우징(110)에 형성된 유입구(116)를 차폐하기 위한 차폐유닛(140)의 크기가 상기 본체 하우징(110)의 크기보다 크도록 한다.
상기 차폐유닛(140)을 통해 상기 본체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된 유인유 닛(120)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차단하는 경우에, 상기 본체 하우징(110)의 후방으로 조사되는 빛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는 본 변형예와 같이 상기 차폐유닛(140)이 상기 유입구(116)보다 크게 형성됨은 물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 하우징(110)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본체 하우징(110)의 전면에 형성된 유입구(116)를 통해서도 조사되는 빛이 산란에 의해 후방으로도 일부 진행하게 되는데, 본 변형예의 상기 차폐유닛(140)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본체 하우징(110)의 후면에 형성된 유입구를 통해 조사되는 빛을 차단함과 아울러, 상기 산란에 의해 후방으로 조사되는 빛까지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폐유닛(140)을 상기 본체 하우징(110)에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차폐유닛(140)에는 하방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 제1 고정부(146a)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 하우징(110)에는 상기 제1 고정부(146a)가 삽입하여 체결되는 제2 고정부(146b)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차폐유닛(140)은 벽에 고정된 채 지면과 일정 거리 이격 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해충 포획장치(100)를 지면에 설치하는 대신에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 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차폐유닛(140)에 결합시킴으로써 소정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도 9에서 유인유닛의 점멸 모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여기서,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상술한 제1 실시예의 내용 중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200)는 본체 하우징(210), 유인유닛(220), 포획유닛(230) 및 차폐유닛(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인유닛(220)은 상기 본체 하우징(210) 내부에 위치하며, 다수 개의 유인램프들(222, 224)이 상하로 정렬된 제1 유인유닛(220a)과, 상기 제1 유인유닛(220a)과 나란히 배치되어 다수개의 유인램프들(226, 228)이 상하로 정렬된 제2 유인유닛(220b)을 포함한다. 도 9 및 도 10에서는 상기 유인유닛(220)이 2열 구조로 배치도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해충의 유인율 향상을 위해 3 열 이상의 구조로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차폐유닛(240)은 상기 제1 유인유닛(220a)과 제2 유인유닛(220b)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해충 포획장치(200)를 통해 전방으로만 빛을 조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유인유닛(220)만을 구동하면 되며, 반대로 후방으로만 빛을 조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2 유인유닛(220)만을 구동한다. 또한, 상기 해충 포획장치(200)를 통해 모든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여 해충을 유인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유인유닛(220) 및 제2 유인유닛(220) 모두 구동한다.
이와 같이, 상기 유인유닛(220)의 점멸모드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해충 포획장치(200)는 제어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유닛을 통해 상기 제1 유인유닛(220) 및 제2 유인유닛(220)의 점멸 모드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1 유인유닛(220) 및 제2 유인유닛(220)을 교대로 구동시킬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시각에 상기 유인유닛(220)이 점멸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유인유닛(220)을 구동하면서 전격 살충기로 이루어진 포획유닛(230)으로 전력을 공급하여 해충을 포획 또는 살충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유인유닛(220)으로 하여금 다양한 점멸모드가 나타나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가져다 주며, 이와 함께 상기 유인유닛(220)의 구동상태에 따라 상기 포획유닛(230)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시켜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 가 있다.
첫째, 본체 하우징의 전후면에 각각 형성된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어 해충 포획장치의 설치 장소 및 설치 목적에 따라 조사된 빛의 조사방향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례로, 본체 하우징의 전방은 해충의 발생 및 서식 장소이고, 본체 하우징의 후방은 사람이 거주하는 장소라면, 본체 하우징의 전면에 형성된 유입구는 차폐시켜 해충 발생 장소로부터 해충이 유인되는 것으로 차단하며, 본체 하우징의 후면에 형성된 유입구는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여 해충을 유인하기 위한 빛이 외부로 조사되도록 하면 사람이 거주하는 장소의 해충을 유인하여 해충으로 인한 피해 발생으로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둘째, 본체 하우징에 형성된 유입구를 차폐하기 위해 사용되는 차폐유닛을 후킹 결합, 슬라이딩 결합 또는 힌지 결합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본체 하우징에 결합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유입구의 개폐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차폐유닛이 본체 하우징와 일체로 결합되어 분실 또는 파손 위험이 적고 평소 관리가 용이하다.
셋째, 차폐유닛의 일면을 반사면으로 형성하여 유인유닛으로부터 외부로 조사되는 빛을 차단함과 아울러, 빛을 최초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하여 차폐되지 않은 유입구를 통해 외부로 조사되는 빛의 양을 증가시켜 해충의 유인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제어유닛을 통해 유인유닛의 점멸모드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어 해충 포획장치의 설치 장소 및 설치 목적에 따라 용이하게 빛의 조사방향을 바꿔줄 수 있으며, 유인유닛의 점멸 모드에 따라 전격 살충기로 이루어진 포획유닛으로의 전력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할 수 있어 전력을 절약함과 동시에 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해충이 출입하는 유입구가 형성된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해충을 유인하기 위한 빛을 외부로 조사하는 유인유닛;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인유닛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통해 유인된 해충을 포획하는 포획유닛; 및
    상기 본체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유인유닛으로부터 외부로 조사되는 빛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차폐유닛;
    을 포함하는 해충 포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유닛은 상기 유인유닛으로부터 조사된 빛에 의해 유인된 해충에 전기 충격을 주어 살충하는 전격 살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본체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 및 차폐유닛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본체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본체 하우징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유닛은 서로 접철 가능한 복수 개의 차폐파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유닛은 루버(louver)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유닛은 반사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유인유닛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유인유닛과 마주보는 면이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유닛을 마주보는 방향에 형성된 상기 차폐유닛 일면에는 접착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본체 하우징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유인유닛으로부터 상기 차폐유닛이 위치한 방향으로 조사되는 빛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해충 포획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유닛은 다수 개의 유인램프로 구성되고, 상기 유인램프는 복수 개의 열을 이루며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복수 개의 열로 배치된 상기 유인램프들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유닛의 점멸 모드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램프는 LED(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장치.
KR1020070065762A 2007-06-29 2007-06-29 해충 포획장치 KR200900014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5762A KR20090001400A (ko) 2007-06-29 2007-06-29 해충 포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5762A KR20090001400A (ko) 2007-06-29 2007-06-29 해충 포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400A true KR20090001400A (ko) 2009-01-08

Family

ID=40484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5762A KR20090001400A (ko) 2007-06-29 2007-06-29 해충 포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140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656Y1 (ko) * 2008-05-30 2012-02-14 주식회사 프리엠 환경 포충기
KR20160028318A (ko) 2014-09-03 2016-03-11 박성영 자외선 발광다이오드가 장착된 전기 포충기
WO2017034146A1 (ko) * 2015-08-26 2017-03-02 이응도 전격 살충기
CN106472461A (zh) * 2015-08-26 2017-03-08 李应道 电击杀虫器
CN107646809A (zh) * 2017-10-11 2018-02-02 深圳市安思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户外环境的安全可靠的智能型太阳能灭蚊灯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656Y1 (ko) * 2008-05-30 2012-02-14 주식회사 프리엠 환경 포충기
KR20160028318A (ko) 2014-09-03 2016-03-11 박성영 자외선 발광다이오드가 장착된 전기 포충기
WO2017034146A1 (ko) * 2015-08-26 2017-03-02 이응도 전격 살충기
CN106472461A (zh) * 2015-08-26 2017-03-08 李应道 电击杀虫器
US10271536B2 (en) 2015-08-26 2019-04-30 Eung-Do LEE Electric shock insecticidal device
CN107646809A (zh) * 2017-10-11 2018-02-02 深圳市安思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户外环境的安全可靠的智能型太阳能灭蚊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5948A (en) Insect attractant device
CN113243348B (zh) 用于吸引和诱捕飞虫的装置和方法
KR102491078B1 (ko) 점착형 포충기
CA3137276A1 (en) An insect trap
KR100922329B1 (ko) 실내용 해충 포집 살충장치
KR20090085394A (ko) 해충 포집기
KR20090001400A (ko) 해충 포획장치
JP4506503B2 (ja) 捕獲殺虫装置
KR100871777B1 (ko) 해충 포획장치
KR101205770B1 (ko) 해충 포획 장치
KR20160027835A (ko) 해충 포획 장치
JP2000060403A (ja) フェロモントラップによる鱗支目その他飛翔性害虫の自動計数装置。
KR20080107920A (ko) 해충 포획장치
KR20100007493A (ko) 해충 포획장치
KR101041708B1 (ko) 해충포획장치
KR102211482B1 (ko) 포충기
KR100895489B1 (ko) 해충 포획장치
JP6699962B2 (ja) 捕虫器
KR101608345B1 (ko) 해충 포획 장치
KR101076259B1 (ko) 해충 포획장치
JP4483186B2 (ja) 侵入害虫防除方法、及び侵入害虫防除装置
EP2319302A2 (en) Insect trap
KR20090061454A (ko) 해충 포획장치
KR101681694B1 (ko) 해충 포획 장치
JP3759299B2 (ja) 昆虫誘引忌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413

Effective date: 2009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