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1454A - 해충 포획장치 - Google Patents

해충 포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1454A
KR20090061454A KR1020070128475A KR20070128475A KR20090061454A KR 20090061454 A KR20090061454 A KR 20090061454A KR 1020070128475 A KR1020070128475 A KR 1020070128475A KR 20070128475 A KR20070128475 A KR 20070128475A KR 20090061454 A KR20090061454 A KR 20090061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ture
unit
pest
body housing
captur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8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찬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스코
Priority to KR1020070128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1454A/ko
Publication of KR20090061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14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01M1/145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adhesiv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01M1/106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for fly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Abstract

해충의 포획률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해충 포획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해충 포획장치는 일측에 해충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본체 하우징과, 본체 하우징의 외측으로 빛을 조사하여 해충을 본체 하우징 내부로 유인하는 유인유닛 및 유인유닛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경로상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통과홀이 형성된 포획부를 구비하는 포획유닛을 포함하고, 포획유닛은 메쉬 형태의 포획부를 포함하여 유인유닛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산란시키면서 유입구로 유입된 해충을 포획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 하우징 내부에 유입하고자 하는 대부분의 해충을 포획할 수 있으며, 포획유닛이 장착용으로 구성이 가능하여 관리 및 설치가 용이하다.
해충, 포획부, 메쉬, 통과홀, 공급롤, 회수롤

Description

해충 포획장치{APPARATUS FOR CAPTURING VERMIN}
본 발명은 해충 포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충의 포획률을 향상시키고, 포획시간을 단축하며, 유인력을 유지시킬 수 있는 해충 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충은 인간 및 가축에게 해를 주는 곤충이나 동물 등을 가리킨다. 흔히 집이나 사무실 등 밀폐된 공간에서 볼 수 있는 해충의 종류로는 대표적으로 쥐, 바퀴벌레, 먼지 다듬이, 개미, 진드기, 지네, 모기 등이 있다. 이런 해충들은 음식이나 직물들을 갉아 먹어 사람들의 생활에 적잖은 피해를 주고 있다. 또한 배설물들로 인해 인체에 해로운 병원균을 옮기기도 한다. 근래에는 이러한 해충들이 환경이 점점 오염돼 감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에 있어서, 해충을 제거하는 것이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일반 가정집, 회사 혹은 지역 사회에서는 갖가지 방법을 동원하여 해충을 제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해충들 중 특히 파리, 모기, 나방 등 날아다니는 비래해충을 제거하기 위하여, 빛으로 해충을 유인하고 유인된 해충을 전기적으로 감전시키거나 끈끈이에 접착되도록 하여 해충을 포획하는 장치가 널리 사용된다. 이와 같은 해충 포 획장치는 특히 “포충기” 또는 “포충등”이라는 용어로 지칭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비래해충을 제거하기 위한 종래 일반적인 해충 포획장치의 일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 해충 포획장치(10)는, 본체 하우징(11) 내에 유인램프(13)가 구비되어 해충을 유인하며, 본체 하우징(11)의 하부에는 끈끈이(15)가 구비되어 유인램프(13)에 의해 유인된 해충이 포획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체 하우징(11)의 전면 상부에는 복수 개의 유입구(12)가 형성되어 이를 통해 해충이 본체 하우징(11)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본체 하우징(11)의 하부에는 유인램프의 작동 등 해충 포획장치(1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 패널(17)이 구비된다.
상기 해충 포획장치는 바닥에 놓여지거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벽면(W)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해충의 유인을 위한 유인램프(13)는 340~380 nm 파장범위의 자외선 파장대역을 좋아하는 비래해충의 특징을 이용하여, 내부에 사용되는 파우더 배합과 자외선이 보다 잘 투과될 수 있도록 유리 케이스를 개량하여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일반적인 형광램프와 제조 공법과 재료는 거의 동일하며, 전기적 특성 역시 유사하여 관전압과 출력이 같은 일반 조명용 안정기를 점등장치로 사용하고 있다.
즉, 포충용 유인램프(13)는 340 ~ 380 nm 파장 대역의 자외선이 보다 강하게 조사되는 형광램프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의 유인램프(13)는 오랜 기간 안정화 단계를 거쳐서 현재 많은 해충 포획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해충 포획장치로는 사용자가 원하는 수준의 포획률을 기대하기가 어렵다. 왜냐하면, 본체 하우징 내부로 들어온 해충들이 끈끈이에 안착한다면 포획할 수 있지만, 어떤 해충들은 끈끈이 근처로는 전혀 비행하지 않고, 본체 하우징의 내부에서 비행하거나 또는 앉아서 쉬다가 유입구를 통해 도로 나가버리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를 보완하는 방법으로 유입구 부근에 끈끈이를 설치하여 유입구를 통해 본체 하우징 내부로 유입하고자 하는 해충을 포획하고자 했으나, 끈끈이가 유인램프로부터 조사된 빛의 경로상에 있기 때문에 비록 끈끈이를 투명한 재질로 사용하더라도 유인 램프에서 조사되는 빛의 강도를 약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유인력을 낮추는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충이 유입되는 유입구 측에 끈끈이와 같은 포획수단을 설치하여 포획률을 향상시킨 해충 포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입구측에 끈끈이와 같은 포획수단이 설치되더라도 유인유닛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세기를 감소시키지 않아 유인력을 유지할 수 있는 해충 포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포획률을 높여 포획시간을 단축하고, 유인력을 유지할 수 있는 해충 포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해충 포획장치는 본체 하우징, 유인유닛 및 포획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 하우징은 일측에 해충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 하우징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입구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의 전면 커버와 결합하여 상기 해충 포획장치의 외관을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유인유닛은 상기 본체 하우징의 외측으로 빛을 조사하여 상기 해충을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로 유인할 수 있다. 상기 유인유닛은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측에 장착될 수 있으며, 또한 복수개의 유인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획유닛은 상기 본체 하우징의 유인구와 상기 유인유닛 사이에 위치하 며, 상기 유인유닛을 통해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로 유인된 상기 해충을 포획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포획유닛은 통과홀이 형성된 포획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유인유닛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상기 통과홀을 지나서 외측으로 조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포획부는 빛이 반사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상기 유인유닛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일부를 반사함으로써,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측 공간을 보다 밝힐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포획부는 빛을 전반사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난반사되도록 하여 산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유인유닛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산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포획부 주변을 보다 밝게 할 수 있으며, 빛의 조사 범위를 확대시켜 기존에 빛이 조사되지 않았던 방향으로도 빛이 조사되도록 하여 해충의 유인율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획부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유인유닛으로부터 나온 빛의 대부분이 외부로 조사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반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포획부를 지나는 빛을 산란시킴으로써 빛의 조사 각도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포획부는 메쉬(mesh)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획부의 표면에는 상기 해충을 포획하기 위한 포획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포획물질로는 접착제, 살충제 및 계면 활성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획유닛은 상기 포획물질을 공급하는 포획물질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포획물질 공급부는 분사 도포방식 또는 직접 도포방식 등의 방법으로 상기 포획물질을 상기 포획부의 표면에 도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포획유닛은 상기 본체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포획유닛은 상기 포획부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에 장착되는 장착 프레임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포획유닛은 상기 포획부를 공급하는 공급롤 및 상기 공급롤에서 공급되는 상기 포획부를 회수하는 회수롤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포획유닛은 상기 공급롤 및 회수롤 중 어느 하나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포획부로부터 포획된 상기 해충을 분리시키는 해충 제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획부는 빛의 적어도 일부를 투과하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빛의 적어도 일부를 반사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포획부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포획부는 상기 유인유닛에 대해 전면에 나란히 배치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유인유닛에 대해 전후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인유닛은 자외선 영역의 빛을 조사하여 해충의 유인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유인유닛은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해충이 유입될 수 있는 본체 하우징의 유입구측에 메쉬 형태로 형성되고, 그 표면에 접착제, 살충제 또는 계면 활성제가 도포된 포획부를 설치하여 포획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체 하우징의 유입구 측에 끈끈이와 같은 포획 수단이 설치되더라도 유인유닛으로부터 조사되어 외측으로 진행하는 빛의 세기가 감소되지 안아 높은 유인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해충의 포획률을 높여 포획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넷째, 발광다이오드를 유인유닛으로 사용하여 해충이 좋아하는 특정파장의 빛을 조사할 수 있고, 기타 파장대의 빛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유인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유인유닛으로 발광 다이오드를 적용함으로써 소모전력을 줄이고 수명을 연장하여 주기적으로 램프를 교환할 필요가 없어, 결과적으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들에서 사용하는 “포획”이란, 단어의 의미는 해충을 산채로 생포하는 것뿐만 아니라 살충제 또는 전기충격 등으로 인해서 죽여서 잡는 것까지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1 실시예
도 3은 제1 실시예로써, 본 발명의 해충 포획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해충 포획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포획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충 포획장치(100)는 본체 하우징(110), 유인유닛(120), 포획유닛(130) 및 제어유닛(14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 하우징(110)은 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구성요소로서, 일측에 해충이 유입할 수 있는 유입구(112)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 하우징(110)은 해충을 포획하고자 최적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바닥에 놓여지거나, 또는 벽면(W)에 장착하여 사용된다.
상기 유인유닛(120)은 상기 본체 하우징(110)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본체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빛을 조사함으로써, 해충을 유인할 수 있다. 상기 유인유닛(120)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해충이 선호하는 자외선 영역의 빛이 좋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포획유닛(130)은 상기 본체 하우징(110)의 유입구(112)측에 장착되어 상기 유입구(112)로 들어오고자 하는 해충을 포획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포획유닛(130)은 상기 유인유닛(120)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경로상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상기 유인유닛(120)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에 의해 해충을 보다 더 많이 유인하여 포획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포획유닛(130)은 상기 본체 하우징(110)의 전면에 형성된 유입구(112)측에 장착되는 것 외에도, 상기 본체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될 수 있고, 또는 상기 본체 하우징(110)의 상면, 후면, 또는 저면에 유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상면, 후면, 또는 저면의 유입구 측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 하우징(110)에 형성된 상기 유입구는 상기 해충 포획유닛(100)의 설치 장소 및 위치에 따라 그 형성 위치가 변화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포획유닛의 위치도 바뀔 수 있다.
상기 포획유닛(130)은 상기 본체 하우징(110)의 유입구(112)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본체 하우징(110)의 유입구(112)와 상기 유인유닛(120)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획유닛(130)의 크기는 상기 유입구(112)의 크기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유입구(112)로 유입하는 어떠한 해충들도 상기 포획유닛(130)을 우회하여 상기 본체 하우징(110) 내부로 들어가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상기 포획유닛(130)은 통과홀(133)이 형성된 포획부(132) 및 상기 포획부(132)의 외측에 결합하여 상기 본체 하우징(110)에 장착되는 장착 프레임(134)을 포함한다.
상기 포획부(132)는 메쉬(mesh)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상기 통과홀(133)은 해충의 크기보다 비슷하거나 또는 그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포획부(132)의 메쉬 크기는 포획하고자 하는 대상 해충의 크기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장착 프레임(134)은 상기 포획부(132)의 형태에 대응하여 사각 프레임 으로 형성되며, 그 내측면에 상기 포획부(132)의 외측부가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장착 프레임(134)은 상기 본체 하우징(110)에 억지 끼움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나사 또는 리벳 등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유닛(140)은 상기 유인유닛(120) 및 포획유닛(13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하우징(210)의 하부측에 여러 개의 구동 버튼(142)을 구비한다.
도 6은 제1 실시예로써, 유인유닛으로부터 조사된 빛의 진행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인유닛(120)으로부터는 해충을 유인하기 위한 빛이 조사된다. 상기 유인유닛(120)은 복수개의 유인램프(1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인램프(122)는 형광램프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발광다이오드(LED)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포획부(132)의 재질로써, 빛을 산란시키기 위해 빛이 투과되는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포획부(132)는 빛을 반사시키기 위해 흰색 계열의 재질을 사용하여 형성하거나, 코팅제를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인유닛(120)으로부터 조사된 빛은 포획유닛(130)의 포획부(132)를 지나서 외측으로 진행한다. 상기 빛은 상기 포획부(132)를 지나면서, 일부는 통과홀(133)을 통과하여 외측방향으로 진행하고(Ⅰ), 일부는 상기 통과홀(133)을 제외한 상기 포획부(132)의 나머지 부분을 지나면서 산란된다(Ⅱ).
한편, 상기 포획부(132)을 코팅제로 코팅한 경우에, 상기 유인유닛(120)으로 부터 조사된 빛은 상기 포획부(132)에서 상기 통과홀(133)을 제외한 상기 포획부(132)의 나머지 부분에서 반사되어 최초 진행 경로와는 다른 방향으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상기 유인램프(122)로부터 조사된 빛은 외측으로 진행하되, 특히 상기 포획부(132)에 의해 산란됨으로써, 보다 많은 수의 해충을 본 발명의 장치 쪽으로 유인할 수 있다.
도 7은 제1 실시예로써, 포획유닛이 복수개가 설치된 해충 포획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충 포획장치(100)의 포획유닛(130)은 본체 하우징(110) 내부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상기 포획유닛(130)은 해충을 포획하는 포획부(132)에서 각각 통과홀(133)이 서로 일치되도록 위치시키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유인유닛(120)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상기 포획유닛(130)의 포획부(132)에서 상기 통과홀(133)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통과하면서 빛의 세기가 약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포획부(132)를 상기 유인유닛(120)의 전면에 나란히 배치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포획부(132)를 상기 유인유닛(120)의 전 후면에 하나씩 배치시킬 수 도 있다.
도 8은 제1 실시예의 변형예로써, 발광다이오드가 장착된 해충 포획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발광다이오드의 배열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해충 포획장치(100)는 유인유닛(120)으로 발광 다이오드(LED)를 채용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124)는 플레이트 형상 의 베이스 보드(126)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124)는 여러 형태로 배열될 수 있으며, 일례로써, 도 8에서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124)가 가로 세로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열되어 격자 방식의 구조를 이룬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124)는 격자 방식의 구조 외에도 일자형, 원형 또는 방사형 등, 기타 여러 가지 형태로 상기 베이스 보드(126)상에 배열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배열 구조는 장치의 크기, 구조 및 포획하고자 하는 해충의 종류 등에 따라 가장 최적화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124)는 특정 종류의 해충이 선호하는 파장대의 빛을 집중적으로 조사할 수 있어 하나의 램프에서 넓은 영역에 걸친 파장대 빛을 조사하는 일반 램프에 비해 해충을 유인하는 데 있어서 큰 유리한 점을 갖고 있다.
이와 함께, 상기 발광 다이오드(124)는 다른 램프에 비해 상대적으로 효율이 좋아 소모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그리고, 형광램프를 사용하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문제 즉, 형광 물질이나 수은 물질의 노출로 인해 환경오염이나, 폭발에 따른 위험 또는 열 발생에 따른 화재 위험 등의 안정상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수명이 길어 유지 보수 비용이 절감되고, 램프 교환에 다른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크기가 작아 장치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10은 제2 실시예로써, 본 발명의 해충 포획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11은 제2 실시예로써, 도 10의 포획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2 실시예에서의 해충 포획장치의 구성요소 중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와 중복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본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충 포획장치(200)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해충 포획장치와 유사하게, 본체 하우징(210), 유인유닛(220) 및 포획유닛(230)을 포함한다.
상기 포획유닛(230)은 해충을 포획하기 위해 메쉬 형태로 형성된 포획부(232)를 포함하고, 상기 포획부(232)를 공급하는 공급롤(234) 및 공급된 상기 포획부(232)를 회수하는 회수롤(236)을 포함한다. 상기 포획부(232)에는 빛이 통과되는 통과홀(233)이 복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공급롤(234) 및 회수롤(236)의 일정 간격 이격 형성되고, 이격된 간격만큼 상기 포획부(232)는 펼쳐져 해충을 포획할 수 있는 포획면을 노출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포획유닛(230)은 상기 본체 하우징(210)의 유입구(212) 측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포획부(232)의 포획면이 상기 본체 하우징(210)의 유입구(212)를 모두 커버(cover) 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포획부(232)의 포획면에는 해충을 포획하기 위한 포획물질이 도포된다. 상기 포획물질로는 먼저, 해충이 접착되어 도망가지 못하도록 잡아두는 접착제와, 해충이 접촉하거나 섭취 시 죽게 만드는 살충제 및 해충이 접촉하거나 운동 신경을 마비시켜 움직이지 못하게 만드는 계면활성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공급롤(234)에서 공급되는 상기 포획부(232)의 배면은 기 권취된 포획부(232)의 포획면과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포획물질을 접착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포획부(232)의 포획면의 접착력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포획부(232)의 배면을 코팅제로 코팅하는 것이 좋다.
여기에서, 상기 포획부(232)의 포획면이 포획된 해충들로 인해 포화상태가 될 때에, 일일이 새로운 포획부로 교체시킬 필요 없이 상기 공급롤(234) 및 회수롤(236)을 구동 즉, 회전시킴으로써 새로운 포획면으로 용이하게 교체시켜 줄 수 있다.
상기 포획유닛(230)은 최초에 상기 공급롤(234)에 기 권취된 상기 포획부(232)가 롤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수롤(236)에 권취되도록 함으로써, 새로운 포획 접착면을 지속적으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롤(234)에 기 권취된 모든 포획부가 권출되어 상기 회수롤(236)에 권취되면 새로운 포획유닛으로 교체하여 해충을 지속적으로 포획할 수 있다. 또한, 롤러를 역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회수롤(236)이 공급롤로, 상기 공급롤(234)이 포획부를 권취하는 회수롤이 되도록 하여 상기 포획유닛(203)을 교체하지 않고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포획부(232)의 포획 접착면에는 해충이 포획된 상태로 접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포획유닛(230)에는 별도로 해충을 분리시키거나 포획 접착면에 끈끈이 성질의 접착물질을 도포하기 위한 구성을 추가할 수 있다.
도 12는 제2 실시예로써, 본 발명의 해충 포획장치를 통해 해충을 포획하는 장면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충 포획장치는 유인유닛(220)을 통해 해충을 본체 하우징(210)으로 내부로 유인하고, 포획유닛(230)을 통해 유인된 해충을 포획할 수 있다.
상기 포획유닛(230)은 포획면과 통과홀(233)이 형성된 포획부(232)와, 상기 포획부(232)의 양측을 권취하는 공급롤(234) 및 회수롤(236)을 포함한다. 상기 포획면은 접착제, 살충제 또는 계면 활성제가 도포될 수 있으며, 이에 접촉한 많은 해충들을 포획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획유닛(230)은 상기 공급롤(234) 또는 회수롤(236)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237)를 더 포함한다. 도 12에서는 상기 구동부(237)가 상기 회수롤(236)에 결합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공급롤(234)에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공급롤(234) 및 회수롤(236)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해충 포획장치(200)는 상기 공급롤(234) 및 회수롤(236)을 구동하는 제어유닛(240)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유닛(240)은 상기 포획면이 해충들로 포화상태가 되면 기존의 포획면을 새로운 포획면으로 교체해 줄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유닛(240)은 상기 포획면을 촬영하기 위한 촬상부(24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촬상부(242)는 상기 포획면을 촬영하고, 신호부(244)는 상기 촬상부(242)에서 촬영된 영상정보를 상기 제어유닛(240)으로 전송한다. 그래서, 상기 제어유닛(240)은 상기 구동부(237)를 작동하여 상기 회수롤(236)을 통해 기존의 포획면이 형성된 포획부를 권취하고, 새로운 포획면이 형성된 포획부를 상기 공 급롤(234)로부터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촬상부(242)로부터 해충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공급롤(234) 및 회수롤(236을 구동하도록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급롤(234) 및 회수롤(236)이 일정한 속도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롤(234) 및 회수롤(236)은 수동 손잡이를 구비하여 수동으로도 구동할 수 있다.
도 13은 제2 실시예로써, 포획부에 포획된 해충을 제거하는 장면을 도시한 작동도이고, 도 14는 제2 실시예로써, 포획부에 포획물질을 도포하는 장면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획유닛(230)은 포획부(232)의 포획면을 접착면으로 형성할 경우에 해충들이 상기 포획부(232)의 포획면에 달라붙도록 하여 포획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상기 포획부(232)의 포획면이 포획된 해충으로 포화될 경우에는 새로운 포획면으로 교체시켜야 하는데, 이때 상기 회수롤(236)로 권취된 상기 포획부(232)의 포획면에는 이미 많은 수의 포획된 해충들이 달라붙어 있을 것이다.
상기 회수롤(236)로 모두 권취된 상기 포획부(232)는 폐기 처리할 수 있으나, 다시 사용할 수도 있다.
즉, 해충을 포획한 상기 포획부(232)가 상기 회수롤(236)에 권취되기 전에 상기 포획부(232)의 포획면으로부터 해충들을 제거시키고, 해충이 제거된 상기 포획부(232)에 포획물질을 재 도포함으로써 상기 포획부(232)는 다시 사용이 가능하 다.
구체적으로는, 해충 제거부(238)를 이용하여 상기 포획부(232)의 포획면에 포획된 해충들을 분리시키고, 해충이 제거된 상기 포획부(232)의 포획면이 모두 상기 회수롤(236)에 회수되면, 상기 포획부(232)를 최초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처음에는 상기 포획부(232)는 상기 공급롤(234)로부터 공급되고, 상기 회수롤(236)로 회수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상기 포획부(232)는 상기 회수롤(236)로부터 공급되고, 상기 공급롤(234)에 회수된다.
한편, 상기 공급롤(234)에 회수되는 상기 포획부(232)의 포획면은 이미 해충에 의해서 접착제의 접착력 또는 살충제의 살충력이 약해진 상태이므로 포획물질 공급부(239)를 통해서 접착제, 살충제 또는 계면 활성제 등을 공급해 줄 수 있다.
도 15 는 제2 실시예에서의 포획유닛의 변형예로써, 벨트 구조의 포획유닛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획유닛(250)은 포획부(252), 제1 롤러(254), 제2 롤러(256), 해충 제거부(258) 및 포획물질 공급부(257)를 포함한다. 상기 포획부(252)는 폐구조를 갖는 벨트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롤러(254) 및 제2 롤러(256)에 결합된다.
상기 포획부(252)는 롤러의 회전과 함께 지속적으로 새로운 포획 접착면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획 접착면으로부터 포획된 해충을 분리해 내기 위하여 상기 포획부(252)의 전방 하측에는 상기 해충 제거부(258)가 마련된다. 그리고, 해충이 분리된 상기 포획 접착면에 새로운 포획 접착물질을 공급하기 위한 상기 포획물질 공급부(257)는 상기 포획부(252)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해충 제거부(258)에 의해 상기 포획부(252)로부터 분리된 해충들은 상기 해충 제거부(258)의 상면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된다.
본 실시예서는 상기 해충 제거부는 도 15에서와 같이 포획부의 전방 하측에 위치하지만, 상기 포획부의 롤러의 회전 방향에 따라 그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해충 제거부(258)에 의해 상기 포획 접착면으로부터 분리된 해충을 수거하기 위해 상기 포획부(252)의 하방에는 별도의 해충 수거함(259)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해충 수거함(259)은 해충 포획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에 의해 수거된 해충을 처리시 용이하게 분리 및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상기 포획부(252)의 포획 접착면에 해충이 모두 포획되어 포화상태가 되더라도, 계속적으로 해충을 포획하기 위해 새로운 포획부로 교체할 필요가 없다. 즉, 포획된 해충을 분리시키고, 포획 접착물질을 도포하며, 새로운 포획 접착면을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들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장치를 설치한 후에 한번 작동시키면 이후 추가적인 조작 없이도 지속적으로 포획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 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해충 포획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해충 포획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로써, 본 발명의 해충 포획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로써, 도 3의 해충 포획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다.
도 5는 제1 실시예로써, 도 3의 포획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로써, 유인유닛으로부터 조사된 빛의 진행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측단면도다.
도 7은 제1 실시예로써, 포획유닛이 복수개가 설치된 해충 포획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다.
도 8은 제1 실시예의 변형예로써, 발광다이오드가 장착된 해충 포획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예의 변형예로써, 도 8의 발광다이오드의 배열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예로써, 본 발명의 해충 포획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예로써, 도 10의 포획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예로써, 본 발명의 해충 포획장치를 통해 해충을 포획하는 장면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3은 제2 실시예로써, 포획부에 포획된 해충을 제거하는 장면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4는 제2 실시예로써, 포획부에 포획물질을 도포하는 장면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5는 제 2 실시예의 변형예로써, 벨트 구조를 갖는 포획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해충 포획장치 110: 본체 하우징
112: 유입구 120: 유인유닛
122: 유인램프 130: 포획유닛
132: 포획부 133: 통과홀
134: 장착 프레임 140: 제어유닛
142: 구동 버튼 200: 해충 포획장치
210: 본체 하우징 212: 유입구
220: 유인유닛 230: 포획유닛
232: 포획부 234: 공급롤
236: 회수롤 237: 구동부
238: 해충 제거부 239: 포획물질 공급부
240: 제어유닛 242: 촬상부
244: 신호부 250: 포획유닛
252: 포획부 254: 제1 롤러
256: 제2 롤러 257: 포획물질 공급부
258: 해충 제거부 259: 해충 수거함

Claims (21)

  1. 일측에 해충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외측으로 빛을 조사하여 상기 해충을 상기 본체 하우징 내부로 유인하는 유인유닛; 및
    상기 유인유닛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경로상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통과홀이 형성된 포획부를 구비하는 포획유닛;
    을 포함하는 해충 포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부는 상기 유인유닛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일부를 반사하는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유닛은 상기 본체 하우징의 유입구와 상기 유인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유닛은 상기 유입구와 같거나 상기 유입구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부는 메쉬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부의 표면에는 상기 해충을 포획하기 위한 포획물질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물질은 접착제, 살충제 및 계면 활성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유닛은 상기 포획물질을 공급하는 포획물질 공급부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유닛은 상기 본체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유닛은 상기 포획부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에 장착되는 장착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유닛은
    상기 포획부를 공급하는 공급롤; 및
    상기 공급롤에서 공급된 상기 포획부를 회수하며, 상기 공급롤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회수롤;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유닛은 상기 공급롤 및 회수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부의 표면에 포획된 해충을 감지하여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포획부의 표면을 촬상하여 해충을 감지하는 촬상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유닛은 상기 포획부에 포획된 상기 해충을 분리시키는 해충 제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부는 빛의 적어도 일부를 투과하는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부는 빛의 적어도 일부를 반사하는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부의 표면은 상기 유인유닛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산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부는 복수 개로 구성되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유닛은 자외선 영역의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유닛은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장치.
KR1020070128475A 2007-12-11 2007-12-11 해충 포획장치 KR200900614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475A KR20090061454A (ko) 2007-12-11 2007-12-11 해충 포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475A KR20090061454A (ko) 2007-12-11 2007-12-11 해충 포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454A true KR20090061454A (ko) 2009-06-16

Family

ID=40990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8475A KR20090061454A (ko) 2007-12-11 2007-12-11 해충 포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145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6062A1 (ko) * 2017-06-09 2018-12-13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포충기
US20200146273A1 (en) * 2017-01-10 2020-05-14 Seoul Viosys Co., Ltd. Adhesive-type insect trap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146273A1 (en) * 2017-01-10 2020-05-14 Seoul Viosys Co., Ltd. Adhesive-type insect trap
US11864547B2 (en) * 2017-01-10 2024-01-09 Seoul Viosys Co., Ltd. Adhesive-type insect trap having a cover with a light refracting portion formed thereon
WO2018226062A1 (ko) * 2017-06-09 2018-12-13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포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243348B (zh) 用于吸引和诱捕飞虫的装置和方法
KR102526536B1 (ko) 점착형 포충기
WO2009099278A2 (ko) 해충 포집기
AU2020264075A1 (en) An insect trap
JP6712031B2 (ja) 虫捕集装置及び虫捕集方法
KR100895502B1 (ko) 해충 포획장치
KR100871777B1 (ko) 해충 포획장치
KR100538043B1 (ko) 전자 포충기
KR20080087486A (ko) 해충 포획장치
KR100863110B1 (ko) 해충 포획장치
KR20080107920A (ko) 해충 포획장치
KR20090009046A (ko) 감지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해충 포획장치
JP2008118865A (ja) 虫類捕獲装置
KR20160002012A (ko) 해충 포획기
KR20090001400A (ko) 해충 포획장치
KR20090009595A (ko) 해충 포획장치
KR20090061454A (ko) 해충 포획장치
KR101076259B1 (ko) 해충 포획장치
KR100895489B1 (ko) 해충 포획장치
KR20090009594A (ko) 해충 포획장치
KR20100007493A (ko) 해충 포획장치
KR20080087485A (ko) 해충 포획장치
KR20100086690A (ko) 가로등용 해충퇴치기 및 그를 채용한 가로등
JP4640332B2 (ja) 捕虫器
KR102211482B1 (ko) 포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814

Effective date: 2016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