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5489B1 - 해충 포획장치 - Google Patents

해충 포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5489B1
KR100895489B1 KR1020070056309A KR20070056309A KR100895489B1 KR 100895489 B1 KR100895489 B1 KR 100895489B1 KR 1020070056309 A KR1020070056309 A KR 1020070056309A KR 20070056309 A KR20070056309 A KR 20070056309A KR 100895489 B1 KR100895489 B1 KR 100895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unit
diffusion
diffusion unit
induction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6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7918A (ko
Inventor
전찬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스코
Priority to KR1020070056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5489B1/ko
Publication of KR20080107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7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5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5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01M1/145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adhesiv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4Attracting insects by using illumination or colou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01M1/106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for fly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Abstract

유인램프의 유인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해충 포획장치가 개시된다. 해충 포획장치는 해충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본체 하우징, 본체 하우징의 외측으로 빛을 조사하여 해충을 본체 하우징 내부로 유인하는 유인램프, 본체 하우징에 구비되며 유인램프에서 조사된 빛에 의해 본체 하우징 내부로 유인된 해충을 포획하는 포획유닛 및 유인램프에서 조사된 빛을 산란 및 확산시키는 거친 면(rough surface)을 갖고 유인램프에서 조사된 빛이 투과되도록 형성되며, 유인램프의 외형에 대응되어 유인램프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본체 하우징과 유인램프의 사이에 구비되어 유인램프를 외부와 차단시키는 확산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충 포획장치{APPARATUS FOR CAPTURING VERMIN}
도 1은 종래의 해충 포획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해충 포획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에 있어서 확산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확산유닛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확산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에 있어서 확산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에 있어서 확산유닛과 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에 있어서 확산유닛과 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해충 포획장치 110:본체 하우징
120:유인램프 130:포획유닛
140:확산유닛 142:거친 면
144:확산홈 160:컨트롤 패널
본 발명은 해충 포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유인램프의 유인효율을 향상시키고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해충 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충은 인간 및 가축에게 해를 주는 곤충이나 동물 등을 의미한다. 집이나 사무실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해충에는 대표적으로 쥐, 바퀴벌레, 먼지 다듬이, 개미, 진드기, 지네, 모기 등이 있다. 이러한 해충들은 음식이나 직물들을 갉아 먹어 사람들의 생활에 적잖은 피해를 주고 있다. 또한 배설물로 인해 인체에 해로운 병원균을 옮기기도 한다. 근래에는 환경이 점점 오염됨에 따라 이러한 해충들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어 해충을 제거하는 것이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일반 가정집, 회사 혹은 지역 사회에서는 여러 가지 방법을 동원하여 해충을 제거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이러한 해충들 중 파리, 모기, 나방 등과 같이 날아다니는 비래해충을 제거하기 위해, 빛 등으로 해충을 유인하고 유인된 해충을 전기적으로 감전시키거나 끈끈이에 접착되도록 하여 해충을 포획하는 장치가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해충 포획장치는 특히 포충기 또는 포충등이라는 용어로 지칭된다.
도 1은 종래의 해충 포획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해충 포획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해충 포획장치(10)는 본체 하우징(11) 내에 유인램프(13)가 구비되어 해충을 유인하며, 본체 하우징(11)의 하부에는 끈끈이(15)가 구비되어 유인램프(13)에 의해 유인된 해충이 포획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체 하우징(11)의 전면 상부에는 복수개의 유입구(12)가 형성되어 이를 통해 해충이 본체 하우징(11)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본체 하우징(11)의 하부에는 유인램프의 작동 등 해충 포획장치(1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 패널(17)이 구비된다. 상기 해충 포획장치는 바닥에 놓여지거나, 건물의 벽면(W)에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해충 포획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유인램프의 특성 또는 유인램프의 설치 위치 등에 따라 유인램프의 빛이 도달하지 않는 사각영역이 생길 수 있어 유인램프의 유인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둘째, 유인램프의 파열 시에 유인램프의 파편이 해충 포획장치 외부로 방 출될 수 있어 유인램프의 파열 시 해충 포획장치의 안정성이 담보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해충 포획장치의 전면 모든 방향으로 유인램프의 빛이 도달할 수 있도록 하여 유인램프의 유인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해충 포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인램프의 파열 시에 유인램프의 파편으로 인한 사용자 등의 부상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해충 포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해충 포획장치는 해충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본체 하우징, 본체 하우징의 외측으로 빛을 조사하여 해충을 본체 하우징 내부로 유인하는 유인램프, 본체 하우징 내에 구비되며 유인램프에서 조사된 빛에 의해 본체 하우징 내부로 유인된 해충을 포획하는 포획유닛 및 유인램프에서 조사된 빛을 산란 및 확산시키는 거친 면(rough surface)을 갖고 유인램프에서 조사된 빛이 투과되도록 형성되며, 유인램프의 외형에 대응되어 유인램프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본체 하우징과 유인램프의 사이에 구비되어 유인램프를 외부와 차단시키는 확산유닛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 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에 있어서 확산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100)는 본체 하우징(110), 유인램프(120), 포획유닛(130) 및 확산유닛(140)을 포함한다.
본체 하우징(110)은 박스 형태로 이루어져 장치의 외면을 형성하며, 일측에는 해충이 유입되는 공간인 유입구(112)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 하우징(110)은 바닥에 놓여지거나, 건물의 벽면에 장착되는 등 해충을 포획하고자 하는 대상 위치에 따라 적절히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유인램프(120)의 해충에 대한 유인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체 하우징(110)은 광투과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체 하우징(110)의 외측에는 유인램프(120)의 작동 등 해충 포획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 패널(160)이 구비될 수 있다.
유인램프(120)는 본체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빛을 조사함으로써, 해충을 본체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인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유인램프(120)는 340㎚ 내지 380㎚ 파장 대역의 자외선을 강하게 조사하는 광원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해충의 종류별로 선호하는 파장대의 빛이 다르며, 일반적으로 파리와 벼멸구는 340㎚ 또는 575㎚의 빛, 나방과 모기는 366㎚의 빛, 일반해충이 340㎚ 내지 380㎚의 빛을 선호한다고 알려져 있다. 유인램프(120)는 유인하고자 하는 해충의 종류에 따라 적합한 파장대역의 형광램프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유인램프는 상기 파장대역의 빛을 조사하는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유인램프(120)는 설계 목적이나 작동 조건 등에 따라 본체 하우징(110) 내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유인램프(120)에 대응하여 후술할 확산유닛(140)이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복수개의 유인램프(120)를 하나의 확산유닛(140)에 대응시킬 수 있으며, 유인램프(120)와 확산유닛(140) 각각의 개수는 설계 목적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포획유닛(130)은 해충을 포획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포획"은 해충을 산채로 생포하는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전기 충격이나 살충제 등으로 해충을 죽여서 포획하는 것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러한 포획유닛(130)은 점착성 물질이 도포된 포획면(136)을 사용하여 해충을 포획하는 형태일 수 있다. 이 외에도 포획유닛은 고전압을 이용하여 해충을 감전시키는 형태 또는 약재를 분사하여 해충을 포획하는 형태 등일 수 있다.
포획면(136)을 연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100)에 있어서 포획유닛(130)은 공급롤(132)과 회수롤(134)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공급롤(132)은 포획면(136)을 제공할 수 있고, 회수롤(134)은 공급된 포획면(136)을 회수할 수 있다. 또한 공급롤(132)과 회수롤(134)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공급롤(132)과 회수롤(134) 사이에는 포획면(136)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포 획면(136)에 해충이 포획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포획유닛(130)은 롤 방식에 의해 연속적으로 포획면(136)을 제공할 수 있어 포획유닛(130)이 지속적으로 포획능력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포획유닛(130)이 본체 하우징(110)의 하부에 구비된 형태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와 달리 포획유닛(130)이 유인램프(120)의 후방에 배치되는 등 본체 하우징(110) 내에서 포획유닛(130)은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확산유닛(140)은 유인램프(120)에서 조사된 빛을 산란 및 확산시켜 해충 포획장치(100) 전방의 모든 방향으로 빛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유인램프(120)에서 조사된 빛은 빛 손실 없이 확산유닛(140)을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확산유닛(140)은 투과효율이 좋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methacrylate)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확산유닛(140)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이외에도 설계 목적 등에 따라 투과효율이 좋은 다른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투과효율이 좋은 퀄츠(Qualtz)로 상기 확산유닛(140)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확산유닛(140)은 유인램프(12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인램프(120)와 본체 하우징(110) 사이에 위치하여 유인램프(120)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 때문에 과열 등으로 인한 유인램프(120)의 파열 시에도 유인램프(120)의 파편이 본체 하우징(110)의 유입구(112)를 통하여 본체 하우징(110) 외측으로 분산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인램프(120)의 파열 시에도 해충 포획장치(100)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만, 유인램프(120)에서 조사된 빛이 확산유닛(140)을 통하여 본체 하우징(110) 외측으로 충분히 확산될 수 있을 정도로 확산유닛(140)이 유인램프(120)의 외측을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빛의 확산을 위하여 확산유닛(140)의 내면 또는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거친 면(rough surface)(142)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면에 거친 면(142)이 형성된 확산유닛(140)을 예시하고 있으나, 확산유닛(140)의 외면에 거친 면(142)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거친 면(142)은 블러스트(blast) 공정 또는 표면처리 등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블러스트 공정은 작은 입자 형태의 연삭재를 고압으로 재료 표면에 분사함으로써 재료 표면을 거칠게 만드는 공정이다. 이러한 블러스트 공정은 모래 등을 연삭재로 사용하는 샌드 블러스트, 동(銅) 소재의 그릿 등을 연삭재로 사용하는 그릿 블러스트 또는 특수강을 연삭재로 사용하는 숏 블러스트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확산유닛(140)의 재질 등에 따라 적절한 블러스트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확산유닛(140)의 일면에 거친 면(142)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거친 면(142)의 형성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확산유닛(140)의 재질이나 설계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친 면(142)은 산 처리 등과 같은 표면처리를 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즉, 확산유닛(140)의 일면을 산에 침지하여 확산유닛(140)의 일면을 부식시킴으로써 거친 면(142)을 얻을 수도 있다.
이러한 거친 면(142)은 확산유닛(140)의 일면 전부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특정 영역에 국부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거친 면(142)은 복수개의 띠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한쪽으로 치우쳐 형성될 수 있다. 거친 면(142)을 전체적으로 형성할 것인지 또는 국부적으로 형성할 것인지 여부는 유인램프(120)와의 위치 관계 또는 유인램프(120)에서 조사된 빛의 확산 정도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유인램프(120)의 위치와 빛의 진행 방향 등을 고려할 때 확산유닛(140)의 일면에 국부적으로만 거친 면(142)이 형성되어도 유인램프(120)에서 조사된 빛이 해충 포획장치(100) 전방으로 충분히 확산될 수 있는 경우에는 확산유닛(140)의 일면 중 어느 특정 부분에만 거친 면(142)이 형성될 수 있다.
거친 면(142)은 형성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규칙적 형상의 단면이 반복되거나 또는 불규칙적 형상의 단면이 반복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친 면(142)은 복수개의 확산홈(144)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확산홈(144)은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확산홈(144)을 가지는 확산유닛(140)을 예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유인램프(120)에서 조사된 빛은 확산홈(144)을 통과하면서 굴절될 수 있다. 즉, 확산홈(144)으로 입사한 빛은 확산홈(144)의 오목한 형상으로 인하여 확산유닛(140)의 외측으로 확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인램프(120)에서 조사된 빛은 해충 포획장치(100) 전방의 모든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다.
유인램프(120)의 특성이나 유인램프(120)의 장착 위치 등에 따라 해충 포 획장치(100)의 외부에서는 유인램프(120)의 빛이 보이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100)는 유인램프(120)에서 조사된 빛이 확산유닛(140)에 의하여 굴절됨으로써 유인램프(120)의 빛이 외부로 확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100)는 종래의 사각영역까지도 유인램프(120)의 빛이 도달할 수 있어 해충에 대한 유인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직진성이 강한 빛을 조사하는 유인램프(120),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등에 있어서 현저하게 나타날 수 있다.
도 6은 확산유닛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확산유닛(190)의 거친 면(192)은 복수개의 확산홈(194)을 가질 수 있으며, 확산홈(194)은 일정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확산홈은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삼각형의 단면이 반복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단면의 형상은 제조 방법에 따라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거친 면(192)의 가공 형상은 유인램프(120)에서 조사된 빛을 어느 범위까지 확산시킬 것인가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확산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200)에 있어서 확산유닛(240)은 유인램프(120)의 외형에 대응된 형상으로 형성 되어 유인램프(120)를 외부와 차단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확산유닛(240)은 유인램프(120)의 외형에 대응하여 유인램프(120)의 외면 전체를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확산유닛(240)이 설치된 후에는 유인램프(120)가 외부와 차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위하여 확산유닛(240)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튜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의 형상으로 형성된 확산유닛(240)이 예시되고 있으나, 유인램프(120)를 외부와 차단시킬 수 있는 확산유닛(24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확산유닛(240)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직육면체 형상의 확산유닛(240) 내부에 유인램프(120)가 삽입됨으로써 유인램프(120)가 외부와 분리될 수 있다.
확산유닛(240)의 일면에는 유인램프(120)에서 조사된 빛을 확산시킬 수 있는 거친 면(242)이 형성된다. 상기의 거친 면(242)은 확산유닛(240)의 내면 또는 외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유인램프(120)와의 위치 관계 또는 유인램프(120)에서 조사된 빛의 확산 정도 등에 따라 거친 면(242)은 확산유닛(240)의 일부에 국부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면에 국부적으로 거친 면(242)이 형성된 확산유닛(240)을 예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확산유닛(240)은 유인램프(120)를 외부와 차단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해충 포획장치(200)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유인램프(120)의 과열 등으로 인한 파열 시에도 유인램프(120)의 파면이 외부로 분산되지 않을 수 있다. 유인램프(120)가 파열되어도 그 파편이 모두 확산유닛(240)의 내부에 모여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200)는 유인램프(120)의 파손 시에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확산유닛(240)에 구비된 거친 면(242)을 통하여 유인램프(120)의 유인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에 있어서 확산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에 있어서 확산유닛(340)은 시트 형태로 형성되어 유인램프(120)의 외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확산유닛(340)은 유연한 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인램프(120)에서 조사된 빛을 확산시킬 수 있도록 내면 또는 외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는 거친 면(342)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확산유닛(340)을 유인램프(120)에 부착하기 위하여 확산유닛(340)의 일면에는 접착성 물질이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확산홈(344)을 가지는 거친 면(342)이 내면에 형성되고, 거친 면(342)이 형성된 내면에 접착성 물질이 도포된 확산유닛(340)을 예시하고 있다. 도 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면에 거친 면(342)이 형성된 확산유닛(340)을 유인램프(120)의 외면에 부착함으로써 확산유닛(340)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확산유닛(340)은 시트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확산유닛(340)을 손쉽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충 포획장치 내부에서 확산유닛(340)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아울러, 확산유닛(340)에 구비된 거친 면(342)을 통하여 유인램프(120)의 유인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에 있어서 확산유닛과 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에 있어서 확산유닛과 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는 결합부(470) 및 스위칭부(480)를 더 포함한다.
결합부(470)는 본체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본체 하우징과 확산유닛(440)을 결합하는 구성요소이다. 결합부(470)는 확산유닛(440)을 결합하는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산유닛의 하측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결합부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확산유닛을 해충 포획장치에 결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내홈이 형성된 결합부(470)를 예시하고 있다. 즉, 확산유닛(440)의 하측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안내날개(442)가 구비되고, 이에 대응하여 결합부(470)에는 안내날개(442)가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는 안내홈이 형성된다. 안내홈의 일단은 안내날개(442)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고 타단은 삽입된 안내날개(442)가 이탈되지 않도록 폐쇄된다. 이러한 안내날개(442) 및 안내홈은 적어도 하나씩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씩 형성된 안내날개(442) 및 안내홈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안내홈의 끝단에는 안내날개(442)를 체결할 수 있는 체결부(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삽입된 안내날개(442)가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구조를 통하여 해충 포획장치의 관리자 등은 안내날개(442)의 일단을 안내홈의 개방된 일단에 삽입한 후 확산유닛(440)을 회전시킴으로써 손쉽게 확산유닛(440)을 본체 하우징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는 스위칭부(4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부(480)는 결합부(470)에 대한 확산유닛(440)의 결합 여부에 따라 해충 포획장치에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 스위칭부(480)는 리드 스위치(482)와 영구 자석(484)을 포함한다. 그러나 스위칭부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설계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리드 스위치(482)는 안내홈의 폐쇄된 한쪽 끝에 형성되며, 영구 자석(484)은 안내날개(442) 하면에 형성되고 확산유닛(440)이 결합부(470)에 완전히 결합하였을 경우 리드 스위치(482)에 대응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리드 스위치(482)는 해충 포획장치의 전원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또는 유인램프(420)에 공급되는 전원을 인가하는 제어부 등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는 확산유닛(440)이 결합부(470)에 완전히 결합하였을 경우에만 유인램프(42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충 포획장치의 안정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즉, 과열 등으로 인한 유인램프(420)의 파열 시에는 확산유닛(440)에 의하여 유인램프(420)의 파편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으며, 확산유닛(440)이 완전히 결합되기 전에는 유인램프(420)의 전원을 오프시킴으로써 확산유닛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유인램프(42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는 유인램프에서 조사된 빛이 확산유닛에 의하여 산란 및 확산되어 종래의 사각영역까지도 유인램프의 빛이 도달할 수 있어 해충에 대한 유인효율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는 과열 등으로 인한 유인램프의 파열 시에도 유인램프의 파편이 외부로 방출되지 아니하므로 유인램프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는 시트 형태의 확산유닛을 사용할 수 있어 확산유닛을 손쉽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확산유닛이 해충 포획장치 내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는 확산유닛이 결합부에 완전히 결합하였을 때에만 유인램프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해충 포획장치의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3)

  1. 해충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외측으로 빛을 조사하여 상기 해충을 상기 본체 하우징 내부로 유인하는 유인램프;
    상기 본체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유인램프에서 조사된 빛에 의해 상기 본체 하우징 내부로 유인된 해충을 포획하는 포획유닛; 및
    상기 유인램프에서 조사된 빛을 산란 및 확산시키는 거친 면(rough surface)을 갖고 상기 유인램프에서 조사된 빛이 투과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유인램프의 외형에 대응되어 상기 유인램프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본체 하우징과 상기 유인램프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유인램프를 외부와 차단시키는 확산유닛;
    을 포함하는 해충 포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친 면은 상기 유인램프에서 조사된 빛을 확산시키는 복수개의 확산홈을 가지며, 상기 확산홈은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친 면은 상기 유인램프에서 조사된 빛을 확산시키는 복수개의 확산홈을 가지며, 상기 확산홈은 일정 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장치.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친 면은 상기 확산유닛의 표면에 국부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친 면은 블러스트(blast) 공정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유닛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튜브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유닛은 시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유인램프의 외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유닛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또는 퀄츠(Qualtz) 중 어느 하나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과 상기 확산유닛을 결합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와 상기 확산유닛의 결합 여부에 따라 상기 해충 포획장치에 인가되는 전원을 온시키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결합부와 상기 확산유닛의 결합 전에는 전원을 오프시키고 상기 결합부와 상기 확산유닛이 결합되었을 때 전원을 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유닛의 하측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된 안내날개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안내날개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장치.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KR1020070056309A 2007-06-08 2007-06-08 해충 포획장치 KR100895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309A KR100895489B1 (ko) 2007-06-08 2007-06-08 해충 포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309A KR100895489B1 (ko) 2007-06-08 2007-06-08 해충 포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7918A KR20080107918A (ko) 2008-12-11
KR100895489B1 true KR100895489B1 (ko) 2009-05-06

Family

ID=40368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6309A KR100895489B1 (ko) 2007-06-08 2007-06-08 해충 포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54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1851A1 (ko) * 2017-01-10 2018-07-19 서울바이오시스주식회사 점착형 포충기
US11406095B2 (en) 2017-01-10 2022-08-09 Seoul Viosys Co., Ltd. Adhesive-type insect trap having a light source seat and a light source mou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729B1 (ko) * 2009-01-23 2009-04-17 이진욱 가로등용 해충퇴치기 및 그를 채용한 가로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7978A (ko) * 2004-02-28 2005-09-01 주식회사 세스코 비래해충 포획 및 모니터링 시스템
WO2006036032A1 (ja) * 2004-09-30 2006-04-06 Sony Corporation 光学シート、バックライ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7978A (ko) * 2004-02-28 2005-09-01 주식회사 세스코 비래해충 포획 및 모니터링 시스템
WO2006036032A1 (ja) * 2004-09-30 2006-04-06 Sony Corporation 光学シート、バックライ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1851A1 (ko) * 2017-01-10 2018-07-19 서울바이오시스주식회사 점착형 포충기
US11406095B2 (en) 2017-01-10 2022-08-09 Seoul Viosys Co., Ltd. Adhesive-type insect trap having a light source seat and a light source mount
US11751554B2 (en) 2017-01-10 2023-09-12 Seoul Viosys Co., Ltd. Adhesive-type insect trap having a main body for guiding and stopping movement of an adhesive sheet
US11864547B2 (en) 2017-01-10 2024-01-09 Seoul Viosys Co., Ltd. Adhesive-type insect trap having a cover with a light refracting portion formed there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7918A (ko) 2008-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31437B (zh) 捕虫器
KR100922329B1 (ko) 실내용 해충 포집 살충장치
KR20090085394A (ko) 해충 포집기
KR100895502B1 (ko) 해충 포획장치
KR100895489B1 (ko) 해충 포획장치
KR101681748B1 (ko) 해충 포획 장치
JP2019162051A (ja) 虫捕集装置及び虫捕集方法
KR101270820B1 (ko) 해충 자동흡입 및 배출 포충기
KR20080087486A (ko) 해충 포획장치
JP2000253793A (ja) 蚊・蝿の誘殺器
WO2000003588A1 (en) Combination mosquito killing system and insect attractor
KR200402319Y1 (ko) 흡입식 포충기
KR20090009595A (ko) 해충 포획장치
KR100863110B1 (ko) 해충 포획장치
KR20160002012A (ko) 해충 포획기
JP2008118865A (ja) 虫類捕獲装置
KR20080107920A (ko) 해충 포획장치
KR101076259B1 (ko) 해충 포획장치
KR20100033336A (ko) 해충 포집기
KR20150025689A (ko) Uv led를 이용한 해충 트랩 장치
KR20090009594A (ko) 해충 포획장치
JP2000501605A (ja) 電子虫捕り機
JP6699962B2 (ja) 捕虫器
EP2319302B1 (en) Insect trap
KR101608345B1 (ko) 해충 포획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