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5770B1 - 해충 포획 장치 - Google Patents

해충 포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5770B1
KR101205770B1 KR1020100135254A KR20100135254A KR101205770B1 KR 101205770 B1 KR101205770 B1 KR 101205770B1 KR 1020100135254 A KR1020100135254 A KR 1020100135254A KR 20100135254 A KR20100135254 A KR 20100135254A KR 101205770 B1 KR101205770 B1 KR 101205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st
light
led
housing
scat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5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3476A (ko
Inventor
남선우
강용훈
Original Assignee
유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5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5770B1/ko
Publication of KR20120073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3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5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5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01M1/145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adhesiv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8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by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suction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Abstract

개시된 해충 포획 장치는, 해충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해충을 포획하는 포획 유닛, 해충을 유인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전방으로 광을 발하는 광원, 및 광을 산란시켜 해충을 자극하는 것으로, 상기 유입구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측이 개방되거나 상측이 투명창으로 보호되는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 내부에 수용된 액체와, 상기 액체 표면의 반사광을 산란시키는 산란 수단을 구비하는 산란 유도 유닛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해충 포획 장치{Apparatus for capturing vermin}
본 발명은 해충 포획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충을 포획하는 수단과, 해충을 그 포획하는 수단 측으로 유인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해충 포획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충은 인간에게 피해를 주는 곤충을 가리키는 용어로, 음식이나 직물을 훼손 및 오염시키거나, 병균을 옮기는 등의 피해를 주고 있다. 이러한 해충들 중에서 파리, 모기, 나방 등과 같은 날아다니는 해충을 제거하기 위하여, 빛으로 해충들을 유인하여 전기적으로 감전시키거나 끈끈이에 점착시켜 해충을 포획하는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해충 포획 장치는 포충기 또는 포충동이라고도 불린다.
그런데, 종래의 해충 포획 장치는 해충을 유인하는 수단으로 단순하게 형광 램프을 이용한 직접 발광(發光) 만을 사용하고 있어, 해충을 유인하는 동기로서 충분하지 않다. 또한, 형광 램프는 특정 파장의 광을 선택적으로 조사하지 못하고 비교적 넓은 파장 대역의 광을 발광하므로, 특정 해충의 출현 빈도가 높은 지역 또는 시기에 적절한 해충 포획 대응을 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광원을 이용한 직접 발광(發光) 뿐만 아니라 광 산란을 이용하여 해충 유인력을 향상시킨 해충 포획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광원의 파장 대역 선택성을 높여 지역 또는 시기에 따른 해충 대응이 용이한 해충 포획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해충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해충을 포획하는 포획 유닛, 해충을 유인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전방으로 광을 발하는 광원, 및 광을 산란시켜 해충을 자극하는 것으로, 상기 유입구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측이 개방되거나 상측이 투명창으로 보호되는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 내부에 수용된 액체와, 상기 액체 표면의 반사광을 산란시키는 산란 수단을 구비하는 산란 유도 유닛을 구비하는 해충 포획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광원은 상기 광의 투사 방향을 변환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원은 해충이 선호하는 파장의 광을 발하는 LED(Light Emitting Diode)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광원은 탈착 가능하게 LED를 탑재할 수 있는 복수의 LED 탑재 단자를 구비하고, 각 LED 탑재 단자는 미리 지정된 파장을 갖는 LED가 탑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원은 적어도 하나의 LED를 탑재한 LED 칩(chip)과, 탈착 가능하게 상기 LED 칩을 탑재할 수 있는 복수의 LED 칩 탑재 단자를 구비하고, 각 LED 칩 탑재 단자는 미리 지정된 종류의 LED 칩이 탑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포획 유닛은 해충이 들러붙는 점착 물질이 도포된 끈끈이 테잎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해충 포획 장치는 상기 액체 표면의 잔물결에 의해 야기된 산란 광을 상기 하우징의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미러(mirror)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해충 포획 장치는 공기 유동을 유발하여 상기 유입구 주변의 해충을 상기 포획 유닛까지 유도하는 팬(fan)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해충 포획 장치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해충이 상기 팬에 의해 유도된 공기 유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상기 팬의 앞에 상기 해충의 크기보다 작은 메시(mesh)를 갖는 해충 필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해충 포획 장치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해충이 상기 팬에 의해 유도된 공기 유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상기 팬의 앞에 상기 해충의 크기보다 작은 메시(mesh)를 갖는 해충 필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해충 포획 장치는 상기 포획 유닛이 내재된 하우징의 내측면에 도포된 TiO2 코팅층과, 상기 포획 유닛 및 TiO2 코팅층에 자외선광(UV)을 조사하는 UV 광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해충 포획 장치는 상기 포획 유닛이 내재된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에 배치된 TiO2 를 포함하는 살균 필터와, 상기 살균 필터에 자외선광(UV)을 조사하는 UV 광원을 구비하는 살균 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산란 수단은, 상기 액체 표면에 잔물결 형성을 유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산란 수단은 상기 컨테이너를 진동시킬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산란 수단은 상기 액체의 표면에서 또는 상기 액체에 침잠된 채로 진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산란 수단은 광의 산란을 유발하는, 복수의 비드(bead), 복수의 플라이아이 렌즈(fly eye lens), 및 복수의 큐브 렌즈(cube lens)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포획 장치는 광원을 이용한 직접 발광 뿐만 아니라 잔물결의 광 산란을 통하여 해충을 유인하므로 해충 유인 및 포획 성능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포획 장치는 광원의 파장 대역 선택성을 높여 지역 또는 시기에 따른 해충 대응이 용이하다.
또한, 광원으로 LED를 사용하는 해충 포획 장치는 형광램프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해충 포획 장치에 비해 전력 사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해충 포획 장치의 광 산란을 이용한 해충 유인 효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 장치에 구비되는, LED 탑재용 보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해충 포획 장치에 장착 가능한, 산란 유도 유닛의 변형예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해충 포획 장치에 장착 가능한, 살균 유닛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해충 포획 장치의 광 산란을 이용한 해충 유인 효과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 장치에 구비되는, LED 탑재용 보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해충 포획 장치(10)는 상부 하우징(11)과 하부 하우징(14)으로 이루어진 하우징, 하부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포획 유닛(20), 상부 하우징(11)에 부착된 광원, 및 상기 하부 하우징(14)의 상측면에 부착된 산란 유도 유닛(40)을 구비한다. 상기 하부 하우징(14)은, 상기 산란 유도 유닛(40)에 인접하여 후방에 배치되고, 해충(5)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개방된 유입구(15)를 구비하고, 전방 아래측에 배치된 벤트홀(vent hole)(17)을 구비한다.
상기 포획 유닛(20)은 해충(5)이 들러붙는 점착 물질이 도포된 끈끈이 테잎(21)을 구비한다. 상기 끈끈이 테잎(21)의 표면에는 점착 물질 외에도 해충(5)이 접촉하거나 섭취 시에 죽게 만드는 살충제, 및 해충(5)의 운동 신경을 마비시키는 계면활성제 등이 더 도포될 수 있다. 상기 끈끈이 테잎(21)은 공급 롤(22)에 미리 권취되고 선단은 제1 및 제2 풀리(24, 25)를 지나 회수 롤(23)에 연결되어 있다. 제1 및 제2 풀리(24, 25) 사이의 끈끈이 테잎(21) 상측면에 해충(5)이 들러붙도록 구성되고, 일정 기간 이후 제1 및 제2 풀리(24, 25) 사이의 끈끈이 테잎(21)의 점착력이 약화되면 회수 롤(23)을 회전시켜 이를 권취 회수함과 동시에 점착력이 강한 끈끈이 테잎(21)의 새로운 부분이 제1 및 제2 풀리(24, 25) 사이에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포획 유닛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끈끈이 테잎(21)을 구비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해충을 감전시켜 죽이는 구성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상부 하우징(11)은 상기 산란 유도 유닛(40)과 마주보는 측면이 사선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광원이 상기 상부 하우징(11)의 사선으로 기울어진 면에 구비된다. 상기 광원은 해충이 선호하는 파장의 광을 발하는 LED(Light Emitting Diode)(30)와, LED(30)가 탑재되는 탑재 보드(35)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 하우징(11)의 사선으로 기울어진 면에는 광을 반사하는 미러(mirror)(26)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LED(30)가 광을 발하면 광은 상부 및 하부 하우징(11, 14)의 전방으로 조사된다. 상기 탑재 보드(35)는 LED(30)의 광 투사 방향을 변환할 수 있게 상부 하우징(1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힌지(hinge)(37)를 더 구비한다. 상기 힌지(37)를 구비한 구성으로 인해 해충(5) 구제에 더욱 효과적인 방향으로 LED(30)의 광이 조사되도록 탑재 보드(35)의 회전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한편, 해충 포획 장치(10)는 그 전방으로 직접 광을 투사하는 보조 광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보조 광원은 상부 하우징(11)의 전면에 설치되고, 전방으로 광을 투사하는 LED(38)를 구비할 수 있다.
LED(30, 38)는 특정 종류의 해충(5)이 선호하는 파장 대역의 광을 집중적으로 조사할 수 있어 비교적 넓은 영역의 파장 대역의 광을 조사하는 형광 램프에 비해 해충을 유인하는데 유리하다. 예를 들어, 자외선광(UV)은 파리, 모기를 자극하기 쉽고, 노란색 가시광선은 일 종류의 나방을 자극하기 쉬우며, 파란색 가시광선은 다른 종류의 나방을 자극하기 쉽다. 따라서, LED(30, 38)의 종류를 선택함에 따라 특정 종류의 해충(5)을 집중적으로 포획할 수 있다. 또한, LED(30, 38)는 형광 램프에 비해 전력 소모가 적고, 발광 시간이 길어 유지비가 적게 든다는 장점도 있다.
상기 상부 하우징(11)에는 LED(30, 38)의 과열을 예방하기 위한 방열팬(18)이 설치된다. 방열팬(18)이 회전하면 공기가 탑재 보드(35)의 배면을 따라 흘러 열을 흡수하고, 벤트홀(vent hole)(12)을 통해 배출된다. 방열팬(18)을 통한 방열을 촉진하기 위하여 탑재 보드(35)의 배면에는 방열핀(fin)(38)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탑재 보드(35)는 탈착 가능하게 LED(30)(도 1 참조)를 탑재할 수 있는 복수의 LED 탑재 단자(36)를 구비한다. 각 LED 탑재 단자(36)는 미리 지정된 종류의 LED가 탑재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컨대, LED 탑재 보드(35)에는 28 개의 LED 탑재 단자(36)가 4행 7열로 배열될 수 있고, 홀수 열(L1, L3, L5, L7)의 LED 탑재 단자(36)에는 자외선광(UV)을 발하는 UV LED가 탑재되고, 짝수 열(L2, L4, L6)의 LED 탑재 단자(36)에는 파란색 가시광을 발하는 BLUE LED가 탑재되게 설계될 수 있다.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홀수 열(L1, L3, L5, L7)의 LED 탑재 단자(36) 중의 일부에만 UV LED를 탑재하여 해충 포획 장치(10)를 운용함으로써 파리, 모기를 주된 타켓(target)으로 설정할 수도 있고, 짝수 열(L2, L4, L6)의 LED 탑재 단자(36) 중의 일부에만 BLUE LED를 탑재하여 해충 포획 장치(10)를 운용함으로써 나방을 주된 타켓(target)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는, 홀수 열(L1, L3, L5, L7)의 LED 탑재 단자(36) 중의 일부에는 UV LED를 탑재하고 짝수 열(L2, L4, L6)의 LED 탑재 단자(36) 중의 일부에는 BLUE LED를 탑재하여 파리, 모기 및 나방을 모두 타켓으로 설정하여 운용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달리, 탑재 보드(35)는 개별 LED를 직접 탑재하는 LED 탑재 단자(36) 대신에, 적어도 하나의 LED를 탑재한 LED 칩(chip)(미도시)을 탑재하는 복수의 LED 칩 탑재 단자(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각 LED 칩 탑재 단자는 미리 지정된 특정 종류의 LED 칩이 탑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한편, 광원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LED(30)를 구비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형광 램프를 구비한 구성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산란 유도 유닛(40)은 광원과 마주보는 하부 하우징(14)의 상측면에 부착된다. 상기 산란 유도 유닛(40)은 광을 산란시켜 해충(5)을 자극하는 것으로, 상측이 투명창(43)으로 보호되는 컨테이너(41)와, 상기 컨테이너(41) 내부에 수용된 액체(45)와, 상기 액체(45)의 표면에 잔물결(46)(도 2 참조)을 일으키기 위해 컨테이너(41)를 진동시키는 진동판(47)을 구비한다. 상기 액체(45)는 예컨대 비용이 저렴하고 안정한 물(H2O)이 사용될 수 있다. 컨테이너(41)의 상측은 투명창(43) 없이 개방될 수도 있다. 상기 진동판(47)은 컨테이너(41)를 지지하고 컨테이너(41)를 진동시키는 산란 수단의 일 예에 불과하며, 진동판(47) 대신에 모바일 폰(mobile phone)에 사용되는 진동자를 컨테이너(41)의 외측면에 부착하여 진동을 야기할 수도 있다. 또는, 컨테이너(41)가 진동되지 않은 채 액체(45)에 잔물결(46)을 형성하는 산란 수단도 가능하다. 예컨대, 스틱(stick)을 액체(45)의 표면에서 또는 액체(45)에 침잠된 채로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액체(45)의 표면에 잔물결을 야기할 수 있다. 또는, 프로펠러(propeller)를 액체(45)의 표면에서 또는 액체(45)에 침잠된 채로 빠르게 회전시킴으로써 액체(45) 표면에 잔물결을 야기할 수도 있다. 또는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하여 잔물결을 야기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진동판(47)에 의해 야기된 진동으로 컨테이너(41)가 진동하고, 이로 인해 컨테이너(41) 내부의 액체(45) 표면에 잔물결(46)이 발생한다. LED(30) 및 주위에서 상기 액체(45) 측으로 투사된 광은 상기 잔물결(46)에 의해 불규칙적인 방향으로 산란된다. 이와 같은 산란 광(S)은 직접 또는 미러(26)에 반사된 반사 광(R)의 형태로 상부 하우징(11) 및 하부 하우징(14)의 전방으로 투사된다. 해충(5)의 눈은 헥사곤(hexagon) 형상을 가져 광의 빠른 점멸이나, 격자 또는 물결에 의한 산란 광에 의해 크게 자극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 잔물결(46)에 의해 야기되어 상부 및 하부 하우징(11, 14)의 전방으로 투사된 산란 광(S)은 LED(30) 직사 광보다 더욱 크게 해충(5)을 자극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해충 포획 성능이 크게 개선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해충 포획 장치에 장착 가능한, 산란 유도 유닛의 변형예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의 산란 유도 유닛(50)은 도 1의 산란 유도 유닛(40)을 대체하여 해충 포획 장치(10)에 장착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산란 유도 유닛(50)은 상측이 개방되고 일렬로 배치된 제1 내지 제4 컨테이너(51, 53, 55, 57)와, 각 컨테이너(51, 53, 55, 57) 내부에 수용된 액체(59)와, 상기 액체(59)의 표면에 잔물결(60) 형성을 유도하는 수단(미도시)을 구비한다. 상기 액체(45)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물(H2O)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51, 53, 55, 57)는 서로 개별적으로 진동할 수 있다. 상기 잔물결(60) 형성을 유도하는 수단은 예컨대, 각 컨테이너(51, 53, 55, 57)에 연결된 캠(cam)(미도시)과 상기 캠을 구동하는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캠의 운동에 의해서 그에 연결된 4개의 컨테이너(51, 53, 55, 57)가 각각 전후로 진동하고, 이로 인해 잔물결(60)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컨테이너(51, 53, 55, 57)를 각각 상하로 진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의 산란 유도 유닛(63)은 도 1의 산란 유도 유닛(40)을 대체하여 해충 포획 장치(10)에 장착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산란 유도 유닛(63)은 상측이 개방된 컨테이너(65)와, 컨테이너(65) 내부에 수용된 액체(66)와, 상기 컨테이너(65)를 덮는 투명창(67)을 구비한다. 상기 액체(66)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물(H2O)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투명창(67)에는 광의 산란을 유발하는, 복수의 비드(bead)(68)가 부착된다. 상기 투명창(67)을 향하는 광은 비드(68)에 반사되어 불규칙하게 산란될 수 있고, 액체(66) 표면에서 반사되어 상측으로 향하는 광도 비드(68)를 통해 불규칙하고 오묘하게 산란될 수 있다. 한편, 비드(68)를 대체하여 복수의 플라이아이 렌즈(fly eye lens) 또는 복수의 큐브 렌즈(cube lens)가 투명창(67)에 부착될 수도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하부 하우징(14)에는 공기 유동을 유발하여 유입구(15) 주변의 해충(5)을 포획 유닛(20)의 끈끈이 테잎(21)까지 유도하는 흡입 팬(19)이 설치된다. 상기 흡입 팬(19)의 회전으로 하부 하우징(14) 내부의 공기가 흡입 팬(19) 측으로 흡입되어 벤트 홀(vent hole)(17)을 통해 배출되고, 하부 하우징(14) 내부와 외부의 기압 차가 발생하여 유입구(15) 주변의 공기가 유입구(15)를 통해 하부 하우징(14) 내부로 유입된다. 따라서, LED(30) 투사 광 및 산란 유도 유닛(40)의 산란 광(S)(도 2 참조)에 유인되어 LED(30)와 산란 유도 유닛(40) 주위로 이동한 해충(5)은 공기 흐름에 휩쓸려 유입구(15)를 통해 하부 하우징(14) 내부로 유입되고, 끈끈이 테잎(21)에 부착 포획된다. 상기 흡입 팬(19)의 앞에는 상기 유입구(15)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해충(5)의 크기보다 작은 메시(mesh)를 갖는 해충 필터(191)가 구비된다. 상기 유입구(15)를 통해 하부 하우징(14) 내부로 유입된 해충(5)은 끈끈이 테잎(21)에 부착되지 않으면 흡입 팬(19)에 의해 유도된 공기 흐름을 따라 벤트 홀(17)을 통해 하부 하우징(14) 외부로 나갈 수 있으므로, 상기 해충 필터(191)가 이를 방지한다.
상기 하부 하우징(14)의 내측 벽에는 끈끈이 테잎(21) 및 하부 하우징(14)의 내측면에 자외선광(UV)을 조사하는 UV 광원의 일 예로서, UV LED(28)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 하우징(14) 내부는 해충(5)이 들어와 죽는 장소이므로 죽은 해충(5)으로 인해 오염되고 병균이 증식할 수 있으나, UV LED(28)에서 투사되는 자외선광(UV)에 의해 하부 하우징(14) 내부가 살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14)의 내측면에는 TiO2 코팅층(16)이 도포된다. TiO2 코팅층(16)에 UV LED(28)로부터 자외선광(UV)이 조사되면 공기 정화력과 살균력이 더욱 증대되므로, 많은 해충이 포집되어 하부 하우징(14) 내부에서 죽는다 하더라도 그로 인한 오염이 억제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TiO2 코팅층(16)을 대체하여 TiO2 성분이 도포된 필름 또는 박판을 탈착 가능하게 하부 하우징(14)의 내측면에 부착할 수도 있다. 양면 테이프 또는 벨크로 테이프(Velcro tape)를 이용하면 이러한 구성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해충 포획 장치에 장착 가능한, 살균 유닛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해충 포획 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TiO2 코팅층(16) 및 UV LED(28)를 대체하거나, 이들과 함께 도 5의 살균 유닛(7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살균 유닛(70)은 하부 하우징(14) 내부 공간에 배치된 실린더 형태의 살균 필터(74)와, 상기 살균 필터(74)의 내부에 삽입된 UV 램프(72)를 구비한다. 상기 살균 필터(74)는 TiO2 성분을 포함하며, 광 투과 가능한 다수의 미세 구멍을 포함한다. 상기 UV 램프(72)는 자외선광(UV)을 조사하는 UV 광원의 일 예이다. UV 램프(72)의 자외선광(UV)은 살균 필터(74)의 미세 구멍을 통하여 살균 필터(74) 외부로 투사되어 하부 하우징(14) 내부가 살균되며, 살균 필터(74)의 TiO2 성분으로 인해 공기 정화력과 살균력이 더욱 향상된다. 한편, 도시되진 않았으나, 살균 유닛은 두 장의 평행한 살균 필터와 그 내부에 개재된 UV 램프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5: 해충 10: 해충 포획 장치
20: 포획 유닛 21: 끈끈이 테잎
26: 미러 30: LED
35: LED 탑재 보드 40: 산란 유도 유닛
41: 컨테이너 45: 액체
46: 잔물결 47: 진동판

Claims (15)

  1. 해충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해충을 포획하는 포획 유닛;
    해충을 유인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전방으로 광을 발하는 광원; 및,
    광을 산란시켜 해충을 자극하는 것으로, 상기 유입구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측이 개방되거나 상측이 투명창으로 보호되는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 내부에 수용된 액체와, 상기 액체 표면의 반사광을 산란시키는 산란 수단을 구비하는 산란 유도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광의 투사 방향을 변환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해충이 선호하는 파장의 광을 발하는 LED(Light Emitting Diode)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탈착 가능하게 LED를 탑재할 수 있는 복수의 LED 탑재 단자를 구비하고, 각 LED 탑재 단자는 미리 지정된 종류의 LED가 탑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적어도 하나의 LED를 탑재한 LED 칩(chip)과, 탈착 가능하게 상기 LED 칩을 탑재할 수 있는 복수의 LED 칩 탑재 단자를 구비하고, 각 LED 칩 탑재 단자는 미리 지정된 종류의 LED 칩이 탑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 유닛은 해충이 들러붙는 점착 물질이 도포된 끈끈이 테잎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표면의 잔물결에 의해 야기된 산란 광을 상기 하우징의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미러(mirror)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공기 유동을 유발하여 상기 유입구 주변의 해충을 상기 포획 유닛까지 유도하는 팬(fan)을 더 구비하는 해충 포획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해충이 상기 팬에 의해 유도된 공기 유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상기 팬의 앞에 상기 해충의 크기보다 작은 메시(mesh)를 갖는 해충 필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 유닛이 내재된 하우징의 내측면에 도포된 TiO2 코팅층과, 상기 포획 유닛 및 TiO2 코팅층에 자외선광(UV)을 조사하는 UV 광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 유닛이 내재된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에 배치된 TiO2 를 포함하는 살균 필터와, 상기 살균 필터에 자외선광(UV)을 조사하는 UV 광원을 구비하는 살균 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 수단은,
    상기 액체 표면에 잔물결 형성을 유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 수단은 상기 컨테이너를 진동시킬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 장치.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 수단은 상기 액체의 표면에서 또는 상기 액체에 침잠된 채로 진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 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 수단은 광의 산란을 유발하는, 복수의 비드(bead), 복수의 플라이아이 렌즈(fly eye lens), 및 복수의 큐브 렌즈(cube lens)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 장치.
KR1020100135254A 2010-12-27 2010-12-27 해충 포획 장치 KR101205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254A KR101205770B1 (ko) 2010-12-27 2010-12-27 해충 포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254A KR101205770B1 (ko) 2010-12-27 2010-12-27 해충 포획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476A KR20120073476A (ko) 2012-07-05
KR101205770B1 true KR101205770B1 (ko) 2012-11-28

Family

ID=46707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5254A KR101205770B1 (ko) 2010-12-27 2010-12-27 해충 포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57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930U (ko) 2017-05-19 2017-11-21 주식회사 세라 모기 유도용 램프장치
WO2018236147A1 (ko) * 2017-06-21 2018-12-27 서울바이오시스주식회사 Uv led를 사용한 슬림형 포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3787A1 (ja) * 2015-06-18 2016-12-22 シャープ株式会社 送風装置
CN110430753B (zh) * 2017-01-10 2022-02-08 首尔伟傲世有限公司 黏着型捕虫器
KR102482762B1 (ko) 2017-01-10 2022-12-29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포충기
CN114586751B (zh) * 2022-03-29 2023-10-20 北京病媒疾病预防控制中心 林业有害生物防治资质评估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9553B1 (ko) 2003-05-19 2005-08-22 송재욱 해충 유인살충 겸용 퇴치기
JP2010115172A (ja) 2008-11-14 2010-05-27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捕虫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9553B1 (ko) 2003-05-19 2005-08-22 송재욱 해충 유인살충 겸용 퇴치기
JP2010115172A (ja) 2008-11-14 2010-05-27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捕虫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930U (ko) 2017-05-19 2017-11-21 주식회사 세라 모기 유도용 램프장치
WO2018236147A1 (ko) * 2017-06-21 2018-12-27 서울바이오시스주식회사 Uv led를 사용한 슬림형 포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476A (ko) 201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5770B1 (ko) 해충 포획 장치
KR102526536B1 (ko) 점착형 포충기
JP7032334B2 (ja) 捕虫器
US20070056208A1 (en) Mosquito trap mediated by filtrated visible light emitting diode and mosquito bait
KR20150112755A (ko) Uv led 램프를 사용한 포충기
CN107182967B (zh) 捕虫器
US11154044B2 (en) Insect trap
US20130326933A1 (en) Fly exterminating apparatus
WO2004071188A3 (en) Light emitting insect trap
KR20170106884A (ko) 포충기
KR20150125220A (ko) 포충 장치
KR100895502B1 (ko) 해충 포획장치
JP2000253793A (ja) 蚊・蝿の誘殺器
JP2008118865A (ja) 虫類捕獲装置
JP2001269105A (ja) 害虫防除方法及び害虫防除装置
KR20080100718A (ko) 해충 포획장치
KR102545507B1 (ko) Uv led가 적용된 포충기
KR20090001400A (ko) 해충 포획장치
KR20090009595A (ko) 해충 포획장치
US20040068917A1 (en) Portable insect capturing apparatus
KR20080107920A (ko) 해충 포획장치
WO2011004782A1 (ja) 捕虫用照明器具
KR20100007493A (ko) 해충 포획장치
KR102574929B1 (ko) 포충기
KR20090061454A (ko) 해충 포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