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126B1 - 다초점 레이저를 이용한 유해 조수 퇴치기 - Google Patents

다초점 레이저를 이용한 유해 조수 퇴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126B1
KR102620126B1 KR1020210099762A KR20210099762A KR102620126B1 KR 102620126 B1 KR102620126 B1 KR 102620126B1 KR 1020210099762 A KR1020210099762 A KR 1020210099762A KR 20210099762 A KR20210099762 A KR 20210099762A KR 102620126 B1 KR102620126 B1 KR 102620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aser
rail
guide rail
t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9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8062A (ko
Inventor
강성구
Original Assignee
강성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구 filed Critical 강성구
Priority to KR1020210099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126B1/ko
Publication of KR20230018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8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1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light sources, e.g. lasers or flashing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08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reflection, colours or films with specific transparency or reflectivit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birds, e.g. spik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loudspeak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초점 레이저를 이용한 유해 조수 퇴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넓은 조사 면적을 가지는 다초점 레이저를 이용해 유해 조수와의 접촉 가능성을 높임으로써 보다 넓은 면적의 감시영역을 커버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유해 조수의 퇴치 효율을 높이고, 야생 멧돼지, 고라니, 청설모, 고양이 등과 같은 야생 포유류는 물론이고, 까치, 철새, 가마우지, 비둘기 등과 같은 야생조류를 포함하는 유해 조수의 접근을 방지함으로써 특히, 논, 밭, 축사, 비닐하우스, 과수원, 특용작물재배지, 저수지, 양식장 등과 같은 지역에서 유해 조수에 의한 피해, 예컨대, 유해 조수들로 인한 각종 전염병 확산, 농, 축, 수산물 피해, 송전탑 훼손 등과 같은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조수 퇴치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초점 레이저를 이용한 유해 조수 퇴치기{Animal strike using multifocal laser}
본 발명은 다초점 레이저를 이용한 유해 조수 퇴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넓은 조사 면적을 가지는 다초점 레이저를 이용해 유해 조수와의 접촉 가능성을 높임으로써 보다 넓은 면적의 감시영역을 커버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유해 조수의 퇴치 효율을 높이고, 야생 멧돼지, 고라니, 청설모, 고양이 등과 같은 야생 포유류는 물론이고, 까치, 철새, 가마우지, 비둘기 등과 같은 야생조류를 포함하는 유해 조수의 접근을 방지함으로써 특히, 논, 밭, 축사, 비닐하우스, 과수원, 특용작물재배지, 저수지, 양식장 등과 같은 지역에서 유해 조수에 의한 피해, 예컨대, 유해 조수들로 인한 각종 전염병 확산, 농, 축, 수산물 피해, 송전탑 훼손 등과 같은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조수 퇴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둘기, 참새, 까치는 물론이고 계절별로 찾아오는 철새 등의 조류, 아울러, 야생 멧돼지, 고라니, 청설모, 고양이 등과 같은 각종 야생 조수들은 논, 밭, 과수원 등에서 자라고 있는 곡식이나 어린 새싹 등을 먹어 치우기 때문에 피해를 보는 농가도 많을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각종 야생 조수들로 인해 문화재 등까지 훼손되고 있는 심각한 실정이다.
특히, 도심에서 번식하는 조류의 경우 비행하는 시간을 제외하면 주로 높은 전신주, 신호등, 전선, 건물 옥상, 건물 난간 등의 구조물에 앉아 쉬는 경우가 일반적이어서, 조류에 의해 구조물이 훼손될 우려가 있고, 훼손에 따른 유지보수비용 등 막대한 재산상 손실이 뒤따르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전신주에 연결된 전선, 신호등과 연결된 전기장치 등이 조류에 의해 훼손될 경우, 감전사고의 위험이 높아지며, 또한, 야생 멧돼지, 고라니, 청설모, 고양이 등과 같은 지상 동물들의 경우 밭의 농작물을 훼손하기 때문에 농가에서는 매년 재산상의 피해가 이따르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각종 유해 조수를 퇴치하기 위한 조수 퇴치기가 제안된 바 있다.
통상의 조수 퇴치기는 철책, 목책, 전기철조망, 그물, 올가미, 덫, 트랩 등의 구조로서, 경우에 따라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거나, 이러한 구조물의 설치가 불가피한 곳에서는 직접 유해 조수를 사냥하거나 또는 경계지역 주변으로 독극물을 배치하여 조수의 개체를 감소시키는 재래적인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위 설명한 독극물 배치, 올가미, 덫과 같은 구조물의 경우 안전문제와 더불어 관련 법령에 저촉되는 상황이라 사용이 제한적이며, 목책, 그물망, 철책, 트랩 구조물은 환경 미관의 훼손, 생태계 교란, 안전사고 등의 문제가 있었으며, 사냥의 경우 보호종은 불가능하다는 문제로 이 역시 제한적인 사항이며, 조형물을 세우거나, 경고음만을 출력하는 경우 조수의 학습효과로 인해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10-2200384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넓은 조사 면적을 가지는 다초점 레이저를 이용해 유해 조수와의 접촉 가능성을 높임으로써 보다 넓은 면적의 감시영역을 커버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유해 조수의 퇴치 효율을 높이고, 야생 멧돼지, 고라니, 청설모, 고양이 등과 같은 야생 포유류는 물론이고, 까치, 철새, 가마우지, 비둘기 등과 같은 야생조류를 포함하는 유해 조수의 접근을 방지함으로써 특히, 논, 밭, 축사, 비닐하우스, 과수원, 특용작물재배지, 저수지, 양식장 등과 같은 지역에서 유해 조수에 의한 피해, 예컨대, 유해 조수로 인한 각종 전염병 확산, 농, 축, 수산물 피해, 송전탑 훼손 등과 같은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조수 퇴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조수 출몰 여부를 감지하는 레이더모듈, 주변으로 다초점 레이저 광원을 조사하는 레이저모듈, 조수퇴치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모듈 및 상기 레이더모듈, 레이저모듈 및 스피커모듈을 설치면으로부터 이격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조수 퇴치기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모듈은, 다초점 레이저 광원을 출력하는 레이저포인터; 및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레이저포인터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축이 형성되는 고정판; 상기 회전축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레이저포인터를 지지하는 지지대; 메인모터에 의해 상기 고정판의 상면에서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가이드레일이 함몰 형성되는 레일드럼; 상기 고정판의 상면에 설치되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상태에서 회전핀을 매개로 상기 지지대와 연결되며 일단은 상기 가이드레일에 접속되는 연동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드럼이 회전하면 상기 연동링크의 일단이 가이드레일의 경로를 따라 가이드되면서 연동링크가 일정 범위 내에서 좌우로 왕복 병진하여 지지대를 상기 회전축을 축중심으로 정역방향 회전시킴으로써 레이저포인터가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제자리 회전하면서 출력되는 다초점 레이저 광원의 조사 면적을 확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동링크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회전핀이 삽입되는 핀삽입홀이 형성되는 연동축; 및 상기 연동축의 일단에 형성되며 가이드레일 내에 구름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가이드핀의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하면과 좌우 측벽에 구름 가능하게 접촉하는 볼캐스터가 결합되며, 상기 볼캐스터는, 좌우 측면과 하면에 볼삽입홈이 형성되는 볼하우징; 상기 각각의 볼삽입홈에 구름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복수 개의 슬립볼; 및 상기 볼삽입홈 내부에서 슬립볼을 탄성 지지하는 완충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일드럼은, 외주면에 부착수단이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부착수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면에 상기 가이드레일이 함몰 형성되는 복수 개의 단위블럭;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단위블럭에 형성된 각각의 가이드레일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되, 복수 개의 단위블럭의 조합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단위블럭 각각의 가이드레일이 연속적으로 연결되면서 하나의 연결된 가이드레일을 구성하며, 상기 지지대는, 하면에 상기 회전축에 축결합되는 축결합구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조절레일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조절레일의 바닥면에는 좌우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복수 개의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후방에는 상기 회전핀이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장홀이 관통 형성되는 회전판; 및
상기 레이저포인터가 끼움 결합되는 제1 슬롯이 마련되며 하부로는 상기 조절레일에 접속되는 접속구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구에는 제1 탄성스프링에 의해 하방으로 탄성 가압되어 인접한 상기 걸림턱 사이에 접지되는 걸림편이 형성되는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지지부는, 하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힌지대가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측에는 하방을 향해 전자석을 지지하는 고정대가 결합되는 코어부재; 하단은 상기 복수 개의 힌지대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은 자유단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어부재를 향하는 면으로 상기 반사판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편; 및 원형 폐쇄링 형태의 구조로서 상기 복수 개의 지지편 외측을 동시에 감싸되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에는 상기 전자석과 선택적으로 흡착되는 영구자석이 마련되는 슬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의 영구자석이 고정대의 전자석에 흡착된 상태에서는 복수 개의 지지편들이 상기 슬리브에 감싸져 수직으로 기립되어진 상태로서 반사판이 비노출 상태가 되고, 상기 감지신호의 생성에 따라 전자석의 자력이 파괴되면 상기 슬리브는 하사점으로 자유낙하하고 이에, 복수 개의 지지편이 코어부재 주변으로 방사상으로 전개되어 반사판이 상부를 향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레이저 광원의 조사 면적을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해 유해 조수와의 접촉 가능성을 높임으로써 보다 넓은 면적의 감시영역을 커버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유해 조수의 퇴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메인 조수 퇴치기 주변으로 보조 퇴치기를 설치하여 실시간으로 위치 파악된 조수에게 1차 위협을 가하고, 도망가는 방향에 설치된 보조 퇴치기가 다시 2차적인 위협을 가함으로써 조수에게 보다 높은 공포감을 심어주며, 동시에 학습 효과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조수 퇴치기와 보조 퇴치기의 레이저 광원 및 음원의 자극에도 불구하고 조수가 설정된 반경 이내로 접근하였을 경우 조수를 향해 빛을 반사시킴으로써 조수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수 퇴치기의 설치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수 퇴치기의 일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수 퇴치기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레이저모듈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레이저모듈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레이저모듈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지지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9 내지 도 10은 레일드럼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지지대의 회전 작용에 의해 레이저 광원의 조사 면적이 확장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2는 레일드럼의 외주면을 펼쳐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단위블럭의 조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도 5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4는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조수 퇴치기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지지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지지편이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지지부의 전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지지부의 전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9는 도 16의 평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0은 지지편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2는 지지편이 전개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수 퇴치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조수 출몰 여부를 감지하는 레이더모듈(1), 주변으로 다초점 레이저 광원을 조사하는 레이저모듈(2), 조수퇴치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모듈(4) 및 상기 레이더모듈(1), 레이저모듈(2) 및 스피커모듈(4)을 설치면으로부터 이격 지지하는 지지부(3)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먼저, 레이더모듈(1)은 지지부(3)의 상단에 설치되어 별도 전력공급수단에 의해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할 수 있다. 또한, 레이더모듈(1)은 설정된 감시영역내에서 조수 출몰 여부를 감지한 후 방위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레이더모듈(1)은 이동체의 움직임을 실시간 좌표로 획득할 수 있는 선에서, 카메라, 적외선 센서, 레이다, 라이다, 음파탐지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공지된 주파수 변조 연속파 레이더(FMCW, 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 초 광대역 방식 레이더(UWB, Ultra Wideband)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감시영역 내 유해 조수의 이동추적을 가능케하는 구조를 갖춘다.
상기 주파수 변조 연속파 레이더는 펄스 방식 레이더의 단점을 보완한 기술로 연속적으로 주파수가 변화하는 삼각파 혹은 톱니파 레이더 신호를 타겟을 향해 송신하고, 반사된 신호를 분석하여 타겟까지의 거리나 속도를 판단할 수 있어서 높은 정밀도가 장점이다. 또한, 펄스 방식보다 민감도가 30배 이상 높아서 높은 거리 분해 능력 및 속도 분해 능력을 가져, 자율주행 차량 레이더에도 이용되고 있는 기술이다.
상기 초 광대영 방식 레이더는 500MHz 이상의 대역폭을 기반으로 약 2ns 길이의 펄스를 이용 수 cm의 정확도로 거리를 측정할 수 있게 하는 근거리 무선 기술을 의미한다.
상기 초 광대영 방식 레이더는 넓은 주파수 대역에 걸쳐 낮은 전력으로 송수신을 하기 때문에 다른 무선통신 기술에 거의 간섭을 일으키지 않아 NFC, 블루투스, 와이파이와 같은 무선 기술과 병행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레이저모듈(2)은 상기 레이더모듈(1)과 마찬가지로 지지부(3)의 상단에 설치되어 전력공급수단에 의해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할 수 있다.
레이저모듈(2)은 상기 레이더모듈(1)에 의해 생성된 방위각 정보를 토대로, 조수를 향해 다초점 레이저 광원을 조사함으로써 조수에게 위협을 가할 수 있다.
다초점 레이저는 다채널 레이저라고도 하며, 선형의 레이저 광선을 광 변조기(spatial light modulator)에 노출시킴으로써 레이저 광원을 그물망처럼 넓게 방출할 수 있는 구성으로, 통상 선형 레이저 광원 대비 넓은 조사 면적을 가질 수 있어, 조수와의 접촉 면적을 넓힐 수 있다는데 그 특징이 있다.
특히, 레이저 광원은 빛이 강하여 유해조수의 몸이나 눈으로 직접 조사될 경우 유해조수가 쉽게 놀라 도망가는 효과가 크다. 이때, 조수의 경우 녹색레이저 광원에 보다 민감하게 반응하게 된다.
상기 레이저모듈(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다초점 레이저 광원을 출력하는 레이저포인터(10) 및 상기 지지부(3)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레이저포인터(1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이때, 레이저포인터(10)는 다초점 레이저 광원을 출력할 수 있는 선에서 공지된 구성으로부터 참조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 레이저포인터(10)를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20)에 대한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지지부재(20)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고정판(200), 지지대(300), 레일드럼(400), 거치대(500) 및 연동링크(6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먼저, 고정판(200)은 지지부(3)에 결합되며 상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축(220)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춘다.
고정판(200)은 상면으로는 지지대(300), 레일드럼(400), 거치대(500) 등의 구성을 지지할 수 있다.
고정판(200)의 상면에는 레일드럼(400)을 고정판(200)의 상면에서 상부로 이격시켜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드럼설치대(230)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지지대(300)는 레이저포인터(10)를 지지한 채로 상기 회전축(220)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후술 될 연동링크(600)의 직선 운동을 전달받아 고정판(200)의 상부에서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되는 구조를 갖춘다.
이때, 지지대(300)는 360도를 회전하게 되는 구조가 아니라 일정 각도범위 내에서 왕복 각운동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지지대(300)에 결합된 레이저포인터(10) 역시 지지대(300)와 동기 작동하게 된다. 지지대(30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시, 지지대(300)는 레이저포인터(10)를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복수의 레이저포인터(10)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또한, 경우에 따라 각각의 레이저포인터(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도 있다.
통상 하나의 레이저포인터(10)는 일방향으로 다초점 레이저를 출력하는 관계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지지대(300) 상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레이저포인터(10)를 마련하고 각각의 레이저포인터(10)를 서로 각각 반대되는 방향으로 설치하여 놓으면 양 방향으로 동시에 다초점 레이저 광원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감시공간의 면적, 감시공간 내 주변 구조물의 유무 등에 따라 레이저포인터(10)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도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대(300)는 회전판(310) 및 홀더(32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회전판(310)은 하면에 상기 회전축(220)에 축결합되는 축결합구(311)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조절레일(312)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조절레일(312)의 바닥면에는 좌우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복수 개의 걸림턱(313)이 돌출 형성되는 구조를 갖춘다.
이어서, 홀더(320)는 상기 레이저포인터(10)가 끼움 결합되는 제1 슬롯(321)이 마련되며 하부로는 상기 조절레일(312)에 접속되는 접속구(322)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구(322)에는 제1 탄성스프링(323)에 의해 하방으로 탄성 가압되어 인접한 상기 걸림턱(313) 사이에 접지되는 걸림편(324)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춘다.
이때, 레이저포인터(10)의 하부에는 상기 제1 슬롯(231)으로 끼움 결합되는 끼움판(11)이 형성될 수 있다.
조절레일(312)에는 복수 개의 홀더(320)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각각의 홀더(320)에 형성된 접속구(322)는 조절레일(312)에 헐거운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되어 조절레일(312)을 타고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되, 접속구(322)의 하면에서 하향 돌출된 걸림편(324)이 인접한 한 쌍의 걸림턱(313) 사이에 걸림 지지될 경우, 홀더(320)의 좌우 방향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접속구(322)의 하면에는 상부를 향해 일정 깊이 설치홈(325)이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설치홈(325)에 제1 탄성스프링(323)과 걸림편(324)이 설치될 수 있다. 걸림편(324)의 하단은 접속구(322)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일정 부분 돌출되는 구조가 되어 조절레일(312)의 바닥면에 형성된 걸림턱(313)과 걸림턱(313) 사이에 걸림 지지될 수 있게 된다.
걸림턱(313)은 꼭지점이 상부를 향하는 이등변 또는 정삼각형 형태로 돌출 형성되며 걸림편(324)의 하단은 인접한 걸림턱(313) 사이에 상보적인 삼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걸림편(324)이 인접한 걸림턱(313) 사이에 위치할 경우 제1 탄성스프링(323)의 탄성 하중이 작용하게 되어 걸림편(324)이 인접한 걸림턱(313) 사이에 접지된 채 홀더(320)의 좌우 방향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그러나, 레이저포인터(10)를 추가하거나 인접한 레이저포인터(10)의 간격 조절을 위하여 사용자가 임의의 측방압을 홀더(320)에 가하게 되면 인접한 걸림턱(313)의 사면을 타고 걸림편(324)이 걸림턱(313) 사이를 빠져나오게 되면서 홀더(320)를 좌우 방향으로 위치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홀더(320)의 고정위치가 결정되면 걸림편(324)이 걸림턱(313) 사이에 접지됨으로써 홀더(320)가 회전판(310)에서 위치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레일드럼(400)은 메인모터(410)에 의해 상기 고정판(200)의 상면에서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가이드레일(431)이 함몰 형성되는 구조를 갖춘다. 레일드럼(400)이 제자리 회전함에 따라 레일드럼(400)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431) 또한 회전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가이드레일(431)에는 연동링크(600)가 접속될 수 있으며, 접속된 연동링크(600)를 좌우 방향으로 왕복 병진시킬 수 있게끔 원주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또는 파형 형태를 이루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레일드럼(400)은 외주면에 부착수단(421)이 형성되는 본체(420) 및 상기 부착수단(42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면에 상기 가이드레일(431)이 함몰 형성되는 복수 개의 단위블럭(430)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본체(420)는 원통 형태로 예시되며, 외주면에 형성된 부착수단(421)은 단위블럭(430)을 착탈시킬 수 있는 선에 찍찍이와 같은 구성으로 예시될 수 있으며, 단위블럭(430)의 본체(420)와 마주하는 면에도 본체(420)에 형성된 부착수단(421)에 대응하는 찍찍이와 같은 부착수단(432)이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단위블럭(430)에 형성된 가이드레일(431)은 단위블럭(430)을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사선으로 형성되되, 각각의 가이드레일(431)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단위블럭(430)은 가이드레일(431)의 방향에 따라 두 종류로 대별될 수 있으며, 이때, 각각의 단위블럭(430)의 가이드레일(431)은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마련되어질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두 가지의 단위블럭(430) 복수 개를 다양한 결합 형태로 조합하면 복수 개의 단위블럭(430) 각각의 가이드레일(431)을 연속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고, 이에 레일드럼(400)의 외주면에 하나의 연결된 가이드레일(431)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하나로 연결된 가이드레일(431)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지그재그 형태의 가이드레일(431)에 후술 될 연동링크(600)가 접속되어 좌우 방향으로 왕복 병진될 수 있다.
거치대(500)는 상기 고정판(200)의 상면에 설치되며 연동링크(600)를 고정판(200)에서 상부로 이격 지지하며, 특히 연동링크(600)의 좌우 왕복 병진 운동을 허용한다.
다음으로, 연동링크(600)는 거치대(500)에 거치된 상태에서 회전핀(P)을 매개로 상기 지지대(300)와 연결되며 일단은 상기 가이드레일(431)에 접속된다.
이에, 레일드럼(400)이 회전하면 연동링크(600)의 일단이 지그재그 형태로 구성된 가이드레일(431)의 경로를 따라 가이드되면서 연동링크(600)가 일정 범위 내에서 좌우로 왕복 병진하여 지지대(300)를 상기 회전축(220)을 축중심으로 정역방향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300)에 마련된 레이저포인터(10)가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제자리 회전하면서 출력되는 레이저 광원의 조사 면적을 확장하게 된다.
다시 말해, 연동링크(600)의 왕복 직선 운동이 지지대(300)의 회전운동으로 변화되어 레이저포인터(10)가 일정 각도범위 내에서 정역방향 왕복 회전하게 되는 구조이다.
이때, 레이저포인터(10)는 360도를 회전하게 되는 구조가 아니라 일정 각도범위 내에서 왕복 각운동을 하게되는 구조로서, 조수의 주요 출몰지역을 향해 레이저 광원을 집중시킬 수 있다.
만일, 레이저포인터(10)가 360도를 반복해서 회전하게 되면 레이저 광원의 조사범위는 넓게 형성될 수는 있으나, 특정 부분으로의 레이저 광원 밀도가 떨어지고 이에, 조수의 주요 출몰지역을 향해 레이저 광원을 집중시킬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경우에 따라, 사용자는 단위블럭(430)의 결합 형태를 변경함으로써 지그재그 형태의 가이드레일(431)의 진폭과 주기를 다양하게 변형시켜 연동링크(600)의 좌우 왕복 병진 폭 또는 병진 주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431)이 대각선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각각의 단위블럭(430)을 조합할 경우 연동링크(600)의 가이드핀(620)의 지그재그 방향 이동 폭이 커짐에 따라, 전체적으로 연동링크(600)의 좌우 왕복 병진 폭이 커지면서 동시에, 레이저포인터(10)의 회전 각도 폭이 커지게 되어 도 10에 도시된 단위블럭(430)의 조합예보다 넓은 레이저 광원의 조사 면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레일(431)을 구성하지 않는 부분에는 별도 가이드레일(431)이 형성되지 아니한 단위블럭(430')을 결합시켜 놓음으로써 후술 될 연동링크(600)의 가이드핀(620)이 가이드레일(431)을 임의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다.
연동링크(600)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회전핀(P)이 삽입되는 핀삽입홀(611)이 형성되는 연동축(610) 및 상기 연동축(610)의 일단에 형성되며 가이드레일(431) 내에 구름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핀(620)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연동축(610)에는 복수 개의 지지대(300) 각각의 회전판(310)이 연결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회전판(310)의 후방에는 회전핀(P)이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길게 장홀(314)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즉, 회전핀(P)이 연동축(610)의 핀삽입홀(611)과 회전판(310)의 장홀(314)을 상호 관통해 지지대(300)와 연동링크(600)를 상호 연동시킬 수 있으며, 연동축(610)이 좌우 방향으로 왕복 병진하면 이에 따라, 각각의 지지대(300)의 회전판(310) 후단이 좌우 방향으로 왕복 견인되면서 결국 회전판(310)이 회전축(220)을 축기준으로 해 회전될 수 있다.
가이드핀(620)은 연동축(610)과 직교되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가이드레일(431)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레일드럼(400)이 회전함에 따라 레일드럼(400)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431)을 주행할 수 있다.
즉, 레일드럼(400)이 회전하면 가이드핀(620)은 원주방향으로 인접한 각각의 단위블럭(430)에 형성된 가이드레일(431)을 걸림 없이 연속적으로 주행할 수 있다.
이때, 회전 이동중인 가이드레일(431) 상에서 가이드핀(620)이 보다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마찰저항을 줄이고 또한, 가이드레일(431)에서 가이드핀(620)이 방향을 선회하는 과정에서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구조로, 가이드핀(620)의 하단에는 가이드레일(431)의 하면과 좌우 측벽에 구름 가능하게 접촉하는 볼캐스터(70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캐스터(700)는 좌우 측면과 하면에 볼삽입홈(711)가 형성되는 볼하우징(710), 상기 각각의 볼삽입홈(711)에 구름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복수 개의 슬립볼(720) 및 상기 볼삽입홈(711) 내부에서 슬립볼(720)을 탄성 지지하는 완충스프링(730)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이에, 가이드핀(620)이 가이드레일(431)의 측벽이나 하면에 밀착 접촉되더라도 슬립볼(720)이 가이드레일(431)의 측벽과 하면에 구름 가능하게 접촉되어 마찰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또한 연동링크(600)의 왕복 이동시 가이드핀(620)의 방향히 급격하게 선회되어 가이드레일(431)의 측벽에 충격을 가하더라도, 완충스프링(730)에 의해 충격이 충분히 완충되어질 수 있는 구조가 갖춰지게 된다.
다음으로, 스피커모듈(4)은 상기 레이저모듈(2)과 마찬가지로 지지부(3)의 상단에 설치되어 전력공급수단에 의해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할 수 있다.
스피커모듈(4)은 유해 조수를 청각적으로 자극함으로써 조수를 위협하는 수단으로, 출력되는 음원은 예컨대, 총소리, 대형 야생동물의 울음소리, 멧돼지가 죽을 때 내는 소리 등의 음원들을 랜덤으로 출력토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지지부(3)는 레이저모듈(2), 스피커모듈(4)을 상하좌우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틸트 구동부 및 레이저모듈(2)의 광 조사 방향 및 스피커모듈(4)의 음원 출력 방향이 레이더모듈(1)에 의해 감지된 조수를 향하도록 틸트 구동부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즉, 레이더모듈(1)에 의해 방위각 정보가 생성되면 제어부는 상기 방위각 정보에 근거해 레이저모듈(2)과 스피커모듈(4)을 지지한 틸트 구동부를 제어함으로써 레이저 광원과 음원이 조수를 향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컨트롤러와 무선통신할 수 있으며, 이에, 조수의 감지여부 등을 사용자가 소지한 무선컨트롤러를 향해 출력함으로써 조수 침입 여부를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레이더모듈(1)에서 생성된 방위각 정보를 토대로 틸트 구동부가 구동 제어되기 위한 구체적인 구조 및 작용의 설명은 종래기술(등록특허 10-2200384호)에 개시된 팬틸트 구동부에 의해 메인 조수 퇴치기가 제어되는 설명 또는 기타 공지사항으로부터 참조될 수 있으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감시영역 내에 본 실시예의 조수 퇴치기가 설치된 예를 살펴보면, 먼저, 설정된 감시영역의 중간 지점에 본 실시예의 조수 퇴치기(A)를 설치하고, 조수 퇴치기(A) 주변으로 일정 반경 이격되게 보조 퇴치기(B)들을 설치한다.
이때, 보조 퇴치기(B)는 본 실시예의 조수 퇴치기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공유할 수 있으며, 조수 퇴치기(A)와 보조 퇴치기(B)는 서로 무선통신이 가능하게끔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보조 퇴치기(B)의 경우 다수의 레이저 광원을 격자 형태로 조사할 수 있다.
이에, 조수의 접근이 감지되면 먼저 조수 퇴치기(A)가 유해 조수에게 레이저 광원 및 음원을 가해 1차적으로 위협을 가한다. 이에, 조수가 도망가는 방향을 파악하여 도망가는 방향의 보조 퇴치기(B)가 2차적으로 레이저 광원 및 음원을 가해 2차적인 위협을 가함으로써 공포감을 극대화시키고 조수 퇴치기의 학습효과를 원천 차단하여 조수가 쉽게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보조 퇴치기(B)의 경우 고정 폴대를 통해 지상에 고정될 수 있으며, 별도의 전원 없이도 구동될 수 있도록 태양열 충전 패키지 구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보조 퇴치기(B)의 레이저모듈(2)의 경우 격자 형태의 레이저 광원이 빠르게 점멸하는 형태로 방출하는 구조를 갖출 수 있으며, 또한, 조수가 접근하였을 경우에만 일정시간 동안 동작하도록 세팅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조수 퇴치기(A)와 보조 퇴치기(B)의 레이저 광원 및 음원의 자극에도 불구하고 조수가 설정된 반경 이내로 접근하였을 경우 주변으로 빛을 반사시킴으로써 조수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춘다.
이를 위해, 상기 레이더모듈(1)은 설정된 반경 이내로 조수의 접근시 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지지부(3)는 상기 감지신호가 생성되면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부를 향해 반사판(RP)을 전개시켜 조수를 향해 빛을 반사토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조수가 조수 퇴치기의 반경 5m 이내로 접근하게 되면 레이더모듈(1)은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게 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이 감지신호를 근거로 지지부(3)를 작동시켜 반사판(RP)을 외부로 전개시킴으로써 빛의 반사를 통해 조수에게 위협을 가할 수 있다.
즉, 지지부(3)는 조수가 설정된 반경 이내로 가깝게 접근했을 때에만 선택적으로 반사판(RP)을 외부로 노출시킴으로써 평상시에는 반사판(RP)의 외부 노출을 막아 반사판(RP)이 조수의 배설물이나 주변 환경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춘다.
만일 반사판(RP)의 외부에 노출되어 장시간 방치되면 반사판(RP)이 쉽게 오염되므로 반사 성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부(3)는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코어부재(30), 지지편(40) 및 슬리브(5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먼저, 코어부재(3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파이프 형태로서, 지지부(3)의 골격을 구성하며, 지지편(40)과 슬리브(50)를 지지한다.
코어부재(30)는 하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힌지대(31)가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측에는 하방을 향해 전자석(33)을 지지하는 고정대(32)가 결합될 수 있다.
고정대(32)에 지지된 전자석(33)은 제어부의 제어 하에 선택적으로 자화되거나 또는 자력이 파괴될 수 있다. 고정대(32)는 원반형 구조로서, 하면으로 상기 전자석(33)이 노출될 수 있다.
지지편(40)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판상형 부재로서 하단은 상기 복수 개의 힌지대(31)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은 자유단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어부재(30)를 향하는 면으로 상기 반사판(RP)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편(40)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이 힌지대(3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코어부재(30) 상에서 회동될 수 있게 된다.
이에, 지지편(40)이 도 16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된 상태가 되면 코어부재(30) 주변으로 방사상으로 전개되어 반사판(RP)이 상부를 향해 배치될 수 있고, 지지편(40)이 도 15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 될 슬리브(50)에 의해 감싸져 수직으로 기립된 상태가 되면 반사판(RP)이 기립된 지지편(40)과 코어부재(30) 사이로 개재되어 외부노출이 제한되는 구조가 갖춰진다.
각각의 지지편(40) 하단에는 코어부재(30)의 힌지대(31)와 결합하는 힌지구(41)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지지편(40)이 방사상으로 전개되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지지편(40)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빈 공간을 반사수단으로 메움으로써 빛의 반사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춘다.
이를 위해, 도 20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지지편(40) 각각의 측면에는 제2 슬롯(42)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슬롯(42)에는 지지편(40)의 전개시 인접한 지지편(40) 사이 빈 공간으로 전개되는 보조반사부재(43)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지지편(40)이 전개되면 제2 슬롯(42) 내부에 설치된 보조반사부재(43)가 인접한 지지편(40) 사이 빈 공간으로 인출되면서 지지편(40)에 부착 설치된 반사판(RP)과 함께 빛의 반사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보조반사부재(43)는, 제2 슬롯(42)에 내장되되 일단은 상기 제2 슬롯(42) 내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 형태로 이루어지며 전체가 반사재질로 이루어지는 반사막(43a) 및 상기 반사막(43a)에 결합되어 상기 반사막(43a)을 제2 슬롯(42)의 개방된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고 있다가 지지편(40)의 전개시 상기 빈 공간을 향해 반사막(43a)의 타단을 신장시키는 제2 탄성스프링(43b)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제2 탄성스프링(43b)은 반사막(43a)에 내장될 수 있으며 반사막(43a)의 타단을 항시 탄성 가압할 수 있다. 이에, 지지편(40)이 전개되어 인접한 지지편(40)의 측면이 서로 이격되면 제2 슬롯(42)의 개방된 부분을 향해 반사막(43a)을 신장시킬 수 있다.
지지편(40)이 수직으로 기립된 상태에서는 인접한 지지편(40)의 측면이 서로 지지된 상태가 되어 반사막(43a)은 제2 슬롯(42) 내부에서 주름진 상태로 압축되어 있게 되고, 지지편(40)의 전개에 따라 인접한 지지편(40)이 서로 이격되면 제2 탄성스프링(43b)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2 슬롯(42) 내부에서 압축되어 있던 반사막(43a)이 인접한 지지편(40) 사이 빈 공간을 향해 전개될 수 있게 된다.
이에, 지지편(40)의 전개에 따라 보조반사부재(43) 또한 이와 연동하여 자동으로 전개될 수 있게 되는 구조가 갖춰진다.
한편, 반사막(43a)의 표면은 빛의 난반사를 위해 요철면으로 구성되며 이에, 지지편(40)이 전개되면 민자 표면의 반사판(RP)과 요철 표면의 반사막(43a)이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교번적으로 배치되어 보다 불규칙한 방향으로 빛을 난반사시킬 수 있는 구조가 된다. 이에, 불특정한 방향에서 접근하는 조수를 향해 빛으로 위협을 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슬리브(50)는 원형 폐쇄링 형태의 구조로서, 복수 개의 지지편(40) 외측을 동시에 감싸되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에는 상기 전자석(33)과 선택적으로 흡착되는 영구자석(51)이 마련되어 고정대(32)의 직하방에 선택적으로 흡착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슬리브(50)의 영구자석(51)이 고정대(32)의 전자석(33)에 흡착된 상태에서는 슬리브(50)가 상사점에 위치한 상태로서, 복수 개의 지지편(40)들이 상기 슬리브(50)에 감싸져 수직으로 기립되어진 상태로서 반사판(RP)이 비노출 상태가 된다.
반면, 조수 접근에 따라 레이더모듈(1)에서 감지신호가 생성하면, 제어부는 전자석(33)을 제어하여 전자석(33)의 자력을 파괴시키고, 이에, 고정대(32)의 하방에 흡착된 슬리브(50)의 구속력이 해제되면서 슬리브(50)는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사점으로 자유낙하한다. 슬리브(50)가 하사점에 도달하면 복수 개의 지지편(40)이 더 이상 슬리브(50)에 의해 감싸지지 않은 상태가 되어 복수 개의 지지편(40)이 도 2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부재(30) 주변으로 방사상으로 전개되어 반사판(RP)이 상부를 향해 노출되고, 동시에, 도 2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반사부재(43)가 인접한 지지편(40) 사이 빈 공간으로 전개될 수 있다.
이때, 슬리브(50)의 상면은 사선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슬리브(50)의 하사점 이동시 전개된 지지편(40)을 사선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에, 각각의 지지편(40)은 일정 각도 사선으로 경사진 상태로 전개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빛을 조수 퇴치기 주변 상부로 보다 폭넓게 반사시킬 수 있는 구조가 갖춰지게 된다.
외부로 노출된 반사판(RP)과 보조반사부재(43)는 낮 시간대에 자연광을 반사시킬 수 있으며, 자연광이 미치지 않는 야간에도 빛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고정대(32)의 하면에는 지지편(40)의 전개에 따라 외부로 노출된 반사판(RP)과 보조반사부재(43)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LED모듈(34)이 설치되는 구조를 갖춘다.
이에, 조수의 접근에 따라 야간에 감지신호가 생성될 경우, 제어부는 전자석(33)을 제어함과 동시에 LED모듈(34)이 점등되도록 연계 제어함으로써 고정대(32) 하부를 향해 빛을 조사하여 반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조수가 퇴치되었을 경우 전개된 지지편(40)을 다시 회수하여 반사판(RP)을 가려주기 위하여 별도 마련된 견인부재(60)가 하사점으로 자유낙하된 슬리브(50)를 상부로 이동시켜 전자석(33)에 흡착시킬 수 있다.
이때, 견인부재(60)는 고정대(32)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드럼(62)을 회전시키는 모터(61) 및 일단은 상기 드럼(62)에 연결되고 타단은 슬리브(50) 외측에 연결되어 드럼(62)의 회전에 따라 드럼(62) 외측으로 감기면서 슬리브(50)를 상부로 견인하는 와이어(63)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이때, 슬리브(50)의 외면에는 와이어(63)의 타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고리(5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조수가 퇴치되어 감지신호가 단절되면 제어부는 모터(61)를 제어하여 드럼(62)을 제자리 회전시키고, 이에, 드럼(62)의 외주면에 와이어(63)가 감기면서 하사점으로 자유낙하한 슬리브(50)가 상부로 견인될 수 있다.
이때, 방사상으로 전개된 각각의 지지편(40)이 상부로 견인되는 슬리브(50)에 의해 감싸지면서 코어부재(30) 중앙을 향해 회동되어 수직으로 기립되어진다.
한편, 제2 슬롯(42)에서 전개된 보조반사부재(43)는 인접한 지지편(40) 측면에 가압되어 제2 슬롯(42) 내부로 압축되어 수납될 수 있다.
견인부재(60)에 의해 슬리브(50)가 상사점으로 올라오면 제어부는 전자석(33)을 자화시켜 슬리브(50)를 고정대(32) 하면에 흡착 고정한다.
고정대(32)가 상사점에 위치하게 되면 각각의 지지편(40) 상단이 고정대(32) 내주면에 밀착 지지되어 전개되는 방향으로의 회동이 제한되므로, 이에, 도 2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판(RP)이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한 최초의 상태로 지지부(3)를 복원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레이더모듈
2: 레이저모듈
3: 지지부
4: 스피커모듈

Claims (5)

  1. 조수 출몰 여부를 감지하는 레이더모듈, 주변으로 다초점 레이저 광원을 조사하는 레이저모듈, 조수퇴치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모듈 및 상기 레이더모듈, 레이저모듈 및 스피커모듈을 설치면으로부터 이격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조수 퇴치기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모듈은,
    다초점 레이저 광원을 출력하는 레이저포인터; 및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레이저포인터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축이 형성되는 고정판;
    상기 회전축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레이저포인터를 지지하는 지지대;
    메인모터에 의해 상기 고정판의 상면에서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가이드레일이 함몰 형성되는 레일드럼;
    상기 고정판의 상면에 설치되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상태에서 회전핀을 매개로 상기 지지대와 연결되며 일단은 상기 가이드레일에 접속되는 연동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드럼이 회전하면 상기 연동링크의 일단이 가이드레일의 경로를 따라 가이드되면서 연동링크가 일정 범위 내에서 좌우로 왕복 병진하여 지지대를 상기 회전축을 축중심으로 정역방향 회전시킴으로써 레이저포인터가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제자리 회전하면서 출력되는 다초점 레이저 광원의 조사 면적을 확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초점 레이저를 이용한 유해 조수 퇴치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동링크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회전핀이 삽입되는 핀삽입홀이 형성되는 연동축; 및
    상기 연동축의 일단에 형성되며 가이드레일 내에 구름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초점 레이저를 이용한 유해 조수 퇴치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핀의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하면과 좌우 측벽에 구름 가능하게 접촉하는 볼캐스터가 결합되며,
    상기 볼캐스터는,
    좌우 측면과 하면에 볼삽입홈이 형성되는 볼하우징;
    상기 각각의 볼삽입홈에 구름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복수 개의 슬립볼; 및
    상기 볼삽입홈 내부에서 슬립볼을 탄성 지지하는 완충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초점 레이저를 이용한 유해 조수 퇴치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레일드럼은,
    외주면에 부착수단이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부착수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면에 상기 가이드레일이 함몰 형성되는 복수 개의 단위블럭;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단위블럭에 형성된 각각의 가이드레일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되, 복수 개의 단위블럭의 조합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단위블럭 각각의 가이드레일이 연속적으로 연결되면서 하나의 연결된 가이드레일을 구성하며,
    상기 지지대는,
    하면에 상기 회전축에 축결합되는 축결합구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조절레일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조절레일의 바닥면에는 좌우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복수 개의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후방에는 상기 회전핀이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장홀이 관통 형성되는 회전판; 및
    상기 레이저포인터가 끼움 결합되는 제1 슬롯이 마련되며 하부로는 상기 조절레일에 접속되는 접속구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구에는 제1 탄성스프링에 의해 하방으로 탄성 가압되어 인접한 상기 걸림턱 사이에 접지되는 걸림편이 형성되는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초점 레이저를 이용한 유해 조수 퇴치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하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힌지대가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측에는 하방을 향해 전자석을 지지하는 고정대가 결합되는 코어부재;
    하단은 상기 복수 개의 힌지대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은 자유단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어부재를 향하는 면으로 반사판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편; 및
    원형 폐쇄링 형태의 구조로서 상기 복수 개의 지지편 외측을 동시에 감싸되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에는 상기 전자석과 선택적으로 흡착되는 영구자석이 마련되는 슬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의 영구자석이 고정대의 전자석에 흡착된 상태에서는 복수 개의 지지편들이 상기 슬리브에 감싸져 수직으로 기립되어진 상태로서 반사판이 비노출 상태가 되고, 감지신호의 생성에 따라 전자석의 자력이 파괴되면 상기 슬리브는 하사점으로 자유낙하하고 이에, 복수 개의 지지편이 코어부재 주변으로 방사상으로 전개되어 반사판이 상부를 향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초점 레이저를 이용한 유해 조수 퇴치기.
KR1020210099762A 2021-07-29 2021-07-29 다초점 레이저를 이용한 유해 조수 퇴치기 KR102620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762A KR102620126B1 (ko) 2021-07-29 2021-07-29 다초점 레이저를 이용한 유해 조수 퇴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762A KR102620126B1 (ko) 2021-07-29 2021-07-29 다초점 레이저를 이용한 유해 조수 퇴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062A KR20230018062A (ko) 2023-02-07
KR102620126B1 true KR102620126B1 (ko) 2023-12-29

Family

ID=85221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9762A KR102620126B1 (ko) 2021-07-29 2021-07-29 다초점 레이저를 이용한 유해 조수 퇴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1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698B1 (ko) 2012-11-02 2014-03-13 (주)지이에스 레이저를 이용한 야생동물 및 유해조류 퇴치기
KR101399076B1 (ko) 2013-10-24 2014-05-27 오영미 유해동물 퇴치장치
KR102116346B1 (ko) 2019-12-27 2020-05-28 현일테크주식회사 야생동물 및 유해조류 퇴치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8305A (ko) * 2010-07-16 2012-01-30 (주)서일 유해 조수 퇴치장치
KR101312240B1 (ko) * 2011-08-29 2013-09-2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프링쿨러 겸용 야생동물 퇴치기
KR101588102B1 (ko) * 2014-01-17 2016-01-27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조명을 이용한 야생동물퇴치기
KR102003610B1 (ko) * 2017-11-17 2019-07-24 길민식 가변 음파 및 광 발생 구조의 이동 객체 퇴치 장치
KR102200384B1 (ko) 2020-06-02 2021-01-08 박영민 유해 조류 퇴치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698B1 (ko) 2012-11-02 2014-03-13 (주)지이에스 레이저를 이용한 야생동물 및 유해조류 퇴치기
KR101399076B1 (ko) 2013-10-24 2014-05-27 오영미 유해동물 퇴치장치
KR102116346B1 (ko) 2019-12-27 2020-05-28 현일테크주식회사 야생동물 및 유해조류 퇴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062A (ko) 202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05771B2 (en) System and method to drive away geese
US10045525B2 (en) Active non-lethal avian denial infrasound systems and methods of avian denial
CA2137931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ser pest control
US6519901B1 (en) Apparatus for enhancing the survivability of exposed structures
EP1367887B1 (en) Pest deterrent system
US93749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ser mosquito control
US20090120374A1 (en) Method for preventing injury on wildlife
US20100201525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nd deterring animal intruders
US20130257641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nimals in three dimensional space and for inducing an avoidance response in an animal
JP3177796U (ja) 害獣威嚇装置
US20210084886A1 (en) Wild animal repulsing apparatus
WO2011112114A2 (en) Integrated system for birds repelling
KR102620126B1 (ko) 다초점 레이저를 이용한 유해 조수 퇴치기
KR20130051233A (ko) 야생해조류의 퇴치와 유인 포획 기능을 갖는 다기능 조류 퇴치기
WO2002049427A1 (en) A method for expelling harmful wild birds and beasts by multiple laser beams irradiation
KR20120008305A (ko) 유해 조수 퇴치장치
JP2002101806A (ja) レーザ式鳥獣威嚇装置
KR20230035932A (ko) 레이더를 이용한 유해 조수 퇴치기
KR101811915B1 (ko) 조류 퇴치장치
KR102569963B1 (ko) 유해 조류 퇴치 시스템
JP3198676U (ja) 害虫害獣忌避用光源装置
JP2002000162A (ja) 鳥獣追い払い機
KR20160025928A (ko) 퇴치 장치
KR102421330B1 (ko) 농작물의 피해 방지를 위한 추적형 야생동물 퇴치장치
KR200494293Y1 (ko) 자동이동방식 다기능 유해 조·수 퇴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