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3557B1 - 유해조수 통합 퇴치기 - Google Patents

유해조수 통합 퇴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3557B1
KR102273557B1 KR1020190082186A KR20190082186A KR102273557B1 KR 102273557 B1 KR102273557 B1 KR 102273557B1 KR 1020190082186 A KR1020190082186 A KR 1020190082186A KR 20190082186 A KR20190082186 A KR 20190082186A KR 102273557 B1 KR102273557 B1 KR 102273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unit
time
vibration
repe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2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6188A (ko
Inventor
김대희
조용준
홍형길
우성용
송수환
Original Assignee
한국로봇융합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로봇융합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로봇융합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82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557B1/ko
Publication of KR20210006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6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2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br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4Sound-produc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단 일부가 땅속에 매립고정 되는 지주대, 상기 지주대의 일측에 고정 장착되고, 학습효과를 차단하기 위하여 불규칙적인 진동 노이즈를 발생시키는 진동발생소자, 상기 진동발생소자에서 발생되는 진동 노이즈를 증폭시켜주며, 상기 지주대의 일측에 고정 장착되는 진동 챔버, 상기 진동발생소자의 동작을 제어하는 진동 제어부, 조도감지부, 접근감지부 및 소리수집부를 포함하는 감지장치, 퇴치기에서 출력하는 시간구간 내의 복수의 음향 또는 시간구간의 음향발생패턴에 대하여 유해 조류의 반응시간을 측정하고 평가하는 음향 평가부, 복수의 퇴치음과 복수의 시간 구간 및 각 시간구간별 복수의 퇴치음을 비롯하여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각 유해조류별로 해당 농경지에 침입하는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하루를 기준으로 한 복수의 시간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시간구간별 복수의 퇴치음을 이용하여 시간구간별 불규칙한 음향발생패턴을 생성하고 이를 종합하여 총 하루 동안의 음향발생패턴을 생성하는 스케줄부, 상기 스케줄부에서 생성한 음향발생패턴을 기준으로 하여 유해조류 침입시에 해당번째의 음향을 재생하는 음향재생부, 상기 음향재생부에서 재생한 음향을 외부로 출력하는 음향출력부, 그리고 전처리 모드시에 상기 스케줄부가 상기 복수의 시간구간을 설정하게 하고, 동작모드시에 상기 음향발생패턴을 생성하게 하며, 상기 감지장치를 통해 조류의 접근을 감지하면 상기 음향재생부와 음향출력부를 제어하여 퇴치음이 발생되게 하는 음향 제어부를 포함하는 유해조수 통합 퇴치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해조수 통합 퇴치기{OVERALL APPARATUS FOR ELIMINATING HARMFUL FUR AND FEATHER}
본 발명은 농작물에 피해를 입히는 두더지나 조류 등의 유해조수를 퇴치하기 위한 유해 조수 퇴치기에 관한 것이다.
유해 조수에 의한 농작물의 피해가 증가하면서 유해조수 퇴치기의 설치가 늘어나고 있다.
농작물에 심각한 피해를 끼치는 야생 동물은 대표적으로 고라니와, 멧돼지, 두더지 등의 야생동물과 직박구리, 참새, 까치, 까마귀, 박새 등의 조류 등이 있다.
야생 동물 중 두더지는 특히 고구마나 감자와 같은 섬유질의 농작물을 좋아해 밭을 쑥대밭으로 만들어 놓는 등 그 피해가 심각한 수준이며, 유해 조류 또한 과일이나 곡물을 좋아해 과수 농가나 논 농사 농가에 피해를 입히고 있다.
이러한 피해에 따라, 농가에서는 경작지에 유해조수 퇴치기를 설치하여 농작물의 피해를 줄이고 있다. 유해조수 퇴치기 중 유해조류를 퇴치하는 기능을 가진 퇴치기는 음향을 발생시켜 유해조수를 퇴치하고 있다.
그러나 유해조류는 텃새와 철새가 존재하고, 농경지가 위치하는 지역의 환경에 따라 서식하는 유해조류의 종류가 다르다. 그에 따라 천적의 음향이나 고주파 또는 저주파 등의 음향을 발생시키더라도 조류의 종류에 따라 다시 농경지로 되돌아오는 시간(이하 '반응시간'이라 함)이 다르고, 랜덤하게 출력 음향을 발생시키더라도 조류의 학습 능력에 의해 장기적인 측면에서는 농작물의 피해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23304호(2017,03.29.자 등록) 2. 한국등록실얀공보 제20-0474826호(2014.10.08.자 등록)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유해조수와 유해조류를 모두 퇴치 가능한 유해조수 통합 퇴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자연적인 방식과 인위적인 방식 중 어느 한 방식은 무조건 진동 노이즈가 발생 되도록 하되, 유해 조수의 학습 효과를 감안하여 다양한 성분의 진동 노이즈가 불규칙하게 발생 되도록 함으로써 유해 조수의 접근을 사전에 차단하는 유해조수 통합 퇴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퇴치기의 설치 지역에 출몰하는 유해조류의 종류와 유해조류의 종류별 퇴치 효과가 높은 음향을 파악하여 유해조류가 학습이 되지 않는 음향발생패턴을 매일 스케줄링하여 출력하게 하는 유해조수 통합 퇴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 이외에도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를 달성하는 데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조수 통합 퇴치기는 하단 일부가 땅속에 매립고정 되는 지주대, 상기 지주대의 일측에 고정 장착되고, 학습효과를 차단하기 위하여 불규칙적인 진동 노이즈를 발생시키는 진동발생소자, 상기 진동발생소자에서 발생되는 진동 노이즈를 증폭시켜주며, 상기 지주대의 일측에 고정 장착되는 진동 챔버, 상기 진동발생소자의 동작을 제어하는 진동 제어부, 조도감지부, 접근감지부 및 소리수집부를 포함하는 감지장치, 퇴치기에서 출력하는 시간구간 내의 복수의 음향 또는 시간구간의 음향발생패턴에 대하여 유해 조류의 반응시간을 측정하고 평가하는 음향 평가부, 복수의 퇴치음과 복수의 시간 구간 및 각 시간구간별 복수의 퇴치음을 비롯하여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각 유해조류별로 해당 농경지에 침입하는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하루를 기준으로 한 복수의 시간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시간구간별 복수의 퇴치음을 이용하여 시간구간별 불규칙한 음향발생패턴을 생성하고 이를 종합하여 총 하루 동안의 음향발생패턴을 생성하는 스케줄부, 상기 스케줄부에서 생성한 음향발생패턴을 기준으로 하여 유해조류 침입시에 해당번째의 음향을 재생하는 음향재생부, 상기 음향재생부에서 재생한 음향을 외부로 출력하는 음향출력부, 그리고 전처리 모드시에 상기 스케줄부가 상기 복수의 시간구간을 설정하게 하고, 동작모드시에 상기 음향발생패턴을 생성하게 하며, 상기 감지장치를 통해 조류의 접근을 감지하면 상기 음향재생부와 음향출력부를 제어하여 퇴치음이 발생되게 하는 음향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음향 제어부는 전처리 모드시에 상기 소리수집부를 통해 설정기간동안의 소리를 수집하고, 상기 복수의 시간구간은 상기 소리수집부를 통해 수집한 소리를 이용하여 결정되며, 상기 시간구간별 복수의 퇴치음은 상기 음향 제어부가 전처리 모드로 설정된 동안에 상기 음향 평가부에서 평가한 유해조류에 대한 반응시간이 상대적으로 긴 복수의 음향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조수 통합 퇴치기는 바람의 영향을 받아 자유 회전을 하는 회전체가 결합 되는 바람개비, 상기 바람개비가 바람이 부는 방향과 정면으로 대치되는 방향이 될 수 있도록 방향을 잡아주며, 바람개비의 측면 끝단에 고정되는 방향키, 상기 바람개비를 고정시키면서 상기 지주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지주대의 내벽 면을 타격하는 타격봉, 그리고 외부전원을 인가받아 작동하며 상기 바람개비의 회전 여부를 감지하거나 상기 지주대에 타격되는 진동을 감지하여 상기 진동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유해조수의 접근을 차단하고, 유해 조수의 학습 효과를 감안하여 다양한 성분의 진동 노이즈 및 음향이 불규칙하게 발생 되도록 함으로써 유해 조수의 접근을 사전에 차단하여 농작물의 품질향상과 작황 증대를 기대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퇴치기 설치 지역에 따라 다른 출몰 유해 조류에 대응하는 퇴치 음향을 발생시켜 효과적으로 유해 조류를 퇴치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조수 통합 퇴치기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조수 통합 퇴치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지장치와 제어박스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케줄부에서 시간구간을 결정하는 방법을 보인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조수 통합 퇴치기의 유해 조류 대응 동작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처리모드시의 동작을 보인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었다. 또한, 널리 알려져 있는 공지기술의 경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조수 통합 퇴치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조수 통합 퇴치기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퇴치기(100)는 농경지에 고정 설치되는 지주대(A)에 감지장치(B), 진동발생부(C) 및 음향발생부(D)를 포함한다.
감지장치(B)는 진동발생부(C) 또는 음향발생부(D)의 동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하는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 구성된다. 예컨대, 감지장치(B)는 유해조수의 침입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하루 중 조류의 활동 시간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진동발생부(C)는 두더지 퇴치를 위한 불규칙적인 진동 노이즈를 발생시키고, 음향발생부(D)는 유해 조류를 퇴치하기 위한 불규칙적인 음향을 발생시킨다.
이하에서는 도 1의 개념도를 구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조수 통합 퇴치기를 도 2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조수 통합 퇴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유해 조수 퇴치기(100)는 유해조수의 천적인 매 또는 독수리 등의 맹금류 모형인 조류 모형(10)이 가장 상단에 설치되고, 조류 모형(10)의 하단에 바람의 영향을 받아 자유 회전을 하는 회전체(21)가 결합되는 바람개비(20)가 구비된다.
바람개비(20)는 타격봉(40)에 고정된 상태로 회전체(21)가 바람에 의해 자유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바람개비(20)의 블레이드가 효율적으로 회전이 될 수 있도록 바람이 부는 방향과 정면으로 블레이드의 방향이 대치되도록 바람개비(20)의 측면 끝단에는 방향키(30)가 고정된다.
바람개비(20)와 방향키(30)를 지지 고정해주는 타격봉(40)은 소정의 길이를 구비하면서 지주대(50)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 구성되며, 바람개비(20)와 방향키(30)가 바람에 의해 불규칙적으로 움직일 때 동시에 지주대(50)의 내벽 면을 타격함으로써 진동 노이즈를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타격봉(40)의 일측에는 바람개비(20) 및 방향키(30)가 바람이 부는 방향과 정면으로 대치되는 동작을 유연하게 함과 동시에 지주대(50) 내부로 완전하게 삽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링 형상의 걸림 돌기(미도시)가 형성되되, 상기 걸림 돌기는 사용자에 의해 상, 하 방향으로 임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타격봉(40)이 삽입 구성되는 지주대(50)는 타격봉(40)이 삽입된 상태에서 바람의 영향에 의해 타격봉(40)이 내벽 면을 타격할 수 있도록 타격봉(40)의 지름에 비해 적어도 2배 내지 5배 큰 내경을 구비하며, 하단 일부가 땅속에 매립고정 되어 땅속에서 생활하는 두더지에게 강한 진동 노이즈가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바람개비에 의한 타격봉의 작동은 바람이 불지 않을 상황에서는 효력을 발휘할 수 없기 때문에 바람이 불지 않는 상황에서도 진동 노이즈는 발생이 되어야 하는바, 바람개비(20)의 블레이드가 회전을 하는지를 감지하거나, 또는 지주대(50)에 타격봉(40)이 타격되는 진동을 측정하여 제어박스(70)의 진동 제어부(77)로 신호를 전달하는 센서 즉, 진동감지센서가 구비된다. 이때 진동감지센서는 감지장치(60)에 탑재되는 것이 양호하나, 감지장치(60)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바람개비(20)가 회전을 하지 않는다는 신호가 제어박스(70)의 진동 제어부(77, 도 3 참조)로 전달되면, 진동 제어부(77)에서는 진동발생소자(80)로 신호를 전달하여 진동 노이즈가 발생되도록 하는데, 진동발생소자(80)는 진동모터, 진동자, 탭틱 앤진, 솔레노이드, 회전모터 중 선택된 두 개 이상의 종류로 구성되며 구성된 진동 발생소자는 고강도 충격파와 저강도 진동파로 각각 구동됨으로써 단일 진동패턴 대비 보다 많은 경우의 수의 패턴을 발생함으로써 불규칙한 진동 노이즈를 통해 두더지의 학습효과를 차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진동발생소자(80)은 진동 챔버(90)를 타격하여 진동 노이즈가 발생 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진동 제어부(77)의 동작 제어에 따라 작동된다. 특히, 진동발생소자(80)에서 발생되는 진동 노이즈가 증폭되어 근거리는 물론, 원거리까지 전달될 수 있도록 지주대(50)의 일측에는 진동 챔버(90)가 장착 고정된다.
그리고, 유해 조류 퇴치를 위하여, 감지장치(60)에는 각종 센서가 탑재되고, 제어박스(70)에는 음향발생부(D)가 탑재된다. 이에 따라 제어박스(70)는 진동발생을 위한 제어와 더불어, 유해 조류의 천적소리, 유해 조류가 싫어하는 저주파, 고주파 또는 폭발음, 총소리 등의 음원을 불규칙하게 조합한 음향을 발생시켜 유해 조류를 퇴치시킨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 감지장치(60)는 도 1의 감지장치(B)에 해당하고, 진동 제어부(77)와 진동발생소자(80) 및 진동 챔버(90)는 도 1의 진동발생부(C)에 해당하며, 진동 제어부(77)를 제외한 제어박스(70) 내의 구성이 음향발생부(D)에 해당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 예에서 조류 모형(10), 바람개비(20), 회전체(21), 방향키(30), 타격봉(40)은 경우에 따라 생략이 가능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유해 조수 퇴치를 위한 감지장치(60)와 제어박스(70)의 내부 구성 및 동작을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지장치와 제어박스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케줄부에서 시간구간을 결정하는 방법을 보인 모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지장치(60)는 조도감지부(61), 접근감지부(62), 소리수집부(63) 및 진동감지센서(64)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 박스(70)는 음향평가부(71), 저장부(72), 스케줄부(73), 음향재생부(74), 음향출력부(75) 및 음향 제어부(76)를 포함한다.
조도감지부(61)는 퇴치기(100)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음향 제어부(76)에 제공한다. 이때 조도감지부(61)는 조도 센서 등 일 수 있다. 접근감지부(62)는 퇴치기(100) 주변에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음향 제어부(76)에 제공하는데, 특히 조류의 접근을 감지하기 위하여 퇴치기(100)의 상단측에 설치되는 것이 양호하다. 접근감지부(62)는 PIR 센서(열적외선 센서) 등 일 수 있다. 소리수집부(63)는 퇴치기(100) 주변에 발생하는 소리를 수집하고 수집한 소리를 음향 제어부(76)에 제공한다. 소리수집부(63)는 마이크 등 일 수 있다.
진동감지센서(64)는 바람개비의 회전 여부를 감지하거나 또는 지주대(50)에 타격 되는 진동을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진동 제어부(77)에 제공한다.
음향 평가부(71)는 음향출력부(75)에서 출력하는 음향에 대하여 유해 조류의 반응시간을 측정하고 평가한다. 이때 음향출력부(75)에서 출력하는 음향은 하나의 천적소리에 대한 음향, 하나의 폭발음 또는 하나의 총소리 또는 하나의 저주파 음향 등일 수 있고, 특정 시간 구간 동안에 출력되는 음향발생패턴에 따른 복수의 음향일 수 있다.
음향 평가부(71)의 평가는 전처리 모드시에 각 시간구간별 각 음향(퇴치음)에 대한 반응시간에 대한 평가일 수 있다. 즉, 제1 시간구간에서 제1 퇴치음에 대한 유해조류의 반응시간과 제2 퇴치음에 대한 유해조류의 반응시간 등의 비교이며, 동일한 시간구간에서 각 음향에 대한 퇴치 효과 정도에 대한 평가이다.
또한 음향 평가부(71)의 평가는 동작 모드시에 동일 시간 구간 동안에 출력되는 음향발생패턴에 따른 유해조류의 전체 반응시간이거나 침입 횟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음향 평가부(71)의 평가 결과는 하나의 음향 또는 해당 시간 구간의 음향발생패턴이 다른 복수의 음향 또는 다른 복수의 음향발생패턴에 비해 조류 퇴치에 효과가 높은지 또는 낮은지의 순위를 결정하는데에 이용된다.
저장부(72)는 복수의 퇴치음(예; 복수의 천적 음향, 복수의 폭발음, 복수의 총소리,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음향 등)을 저장하고 있으며, 소리수집부(63)에 의해 수집된 다양한 소리가 저장되며, 각 유해조류별로 해당 농경지에 침입하는 시간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저장부(72)는 음향 제어부(76)의 전처리 모드시에 파악된 복수의 시간 구간 및 각 시간구간별로 이용되는 복수의 퇴치음을 저장한다.
스케줄부(73)는 음향 제어부(76)의 전처리 모드시에 저장부(72)에 저장된 각 유해조류별로 해당 농경지에 침입하는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하루를 기준으로 한 복수의 시간 구간을 설정한다.
스케줄부(73)에서의 시간구간 결과 방법을 도 4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스케줄부(73)는 퇴치기(100)의 설치 지역에 출몰하는 조류의 종류에 따라 시간구간을 결정한다. 예컨대, 오전 8시부터 9시까지 참새만 출몰하는 경우이면 오전 8시부터 9시까지가 제1 시간구간으로 설정되고, 오전 9시부터 12시까지 직박구리, 참새, 까마귀가 출몰하면 오전 9시부터 12시까지가 제2 시간구간으로 설정되며, 12시부터 오후 2시까지 직박구리, 참새, 찌르레기, 까치, 어치가 출몰하면 12시부터 오후 2시까지가 제3 시간구간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오후 2시부터 3시까지 참새만 출몰하면, 오후 2시부터 3시까지가 제4 시간구간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각각의 시간구간은 출몰하는 유해 조류의 종류가 다른 경우에 구별되어 설정된다.
한편 스케줄부(73)는 음향 제어부(76)의 동작 모드시에 저장부(72)에 저장된 시간구간별 퇴치음을 이용하여 시간구간별 음향발생패턴을 생성하고 이를 종합하여 총 하루 동안의 음향발생패턴을 생성한다. 이때 생성하는 음향발생패턴은 유해조류가 학습을 하지 못하도록 불규칙하게 생성된다.
한편, 스케줄부(73)는 현재일의 음향발생패턴 생성시에 과거일 특히 이전날에 생성한 음향발생패턴과 적어도 하나의 시간 구간에서 다르도록 생성한다. 그리고 스케줄부(73)는 음향발생패턴 생성시에 음향평가부(71)에 의해 평가한 결과에서 효과가 가장 높은 음향 또는 음향발생패턴을 반영한다.
음향재생부(74)는 스케줄부(73)에서 생성한 음향발생패턴을 기준으로 하여 유해조류 침입시에 해당번째의 음향을 재생한다. 예컨대, 하루 중 처음으로 유해 조류가 탐지되면 음향발생패턴 중 첫번째 음향을 재생하고, 첫번째 음향을 재생한 후 다시 유해 조류가 탐지되면 음향발생패턴 중 두번째 음향을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음향출력부(75)는 음향재생부(74)에서 재생한 음향을 외부로 출력한다. 음향출력부(75)는 스피커 등으로 구성된다.
음향 제어부(76)는 조도감지부(61)로부터 수신되는 감지신호를 통해 현재가 밤인지 낮인지 또는 해가 뜨고 있는 상태인지 해가 지고 있는 상태인지 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조류가 활동을 시작하고 있는 시간인지 또는 조류가 활동을 마치는 시간인지 등을 판단한다. 일반적으로 유해 조류는 해가 뜨는 시간에 활동을 시작하여 해가 질때까지 활동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음향 제어부(76)는 접근감지부(62)로부터 수신되는 감지신호를 통해 조류의 접근을 감지하며, 조류의 접근이 감지되면 음향출력부(75)를 동작시켜 유해 조류가 싫어하는 음향이 발생되게 하고, 이와 동시에 음향 평가부(71)에 조류의 접근을 알려 음향 평가부(71)가 반응시간을 측정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음향 제어부(76)는 전처리 모드가 설정된 경우이면 소리수집부(63)로부터 수신되는 소리를 저장부(72)에 저장시키고 스케줄부(73)를 동작시켜 전처리 모드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게 한다. 그리고 음향 제어부(76)는 동작 모드가 설정된 경우이면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여 유해조류 침입시에 스케줄부(73)에 의해 생성한 불규칙한 음향발생패턴에 따라 퇴치음을 발생시켜 유해조류가 퇴치되게 한다.
진동 제어부(77)는 진동감지센서(64)의 출력 신호에 따라 진동발생소자(80)의 동작을 제어하지만, 접근감지부(62), 소리접수부(63)를 통해 유해동물이 탐지되는 경우에 진동발생소자(80)를 동작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접근감지부(62)는 유해동물이 탐지를 위해 조류 탐지를 위한 접근감지부와 더불어 추가적으로 설치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유해 조류에 대응한 유해조수 통합 퇴치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조수 통합 퇴치기의 유해 조류 대응 동작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작업자가 농경지에 유해조수 통합 퇴치기(100)를 설치하고 동작시키면, 음향 제어부(76)는 전처리 모드를 설정하고 전처리 모드에 대응하는 동작을 시작한다(S501).
전처리 모드가 설정되면, 음향 제어부(76)는 감지장치(60)의 소리수집부(63)로부터 수집된 퇴치기(100) 주변의 소리를 설정기간(예컨대, 하루, 이틀, 5일 등) 저장한다. 이때 작업자는 퇴기치(100)와 별도로 카메라를 설치하여 농경지에 침입하는 유해조류를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정보가 수집되면, 작업자 또는 전문가는 수집된 소리 또는 소리 및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해당 농경지에 침입하는 유해조류의 종류를 파악하고, 각 유해조류별로 해당 농경지에 침입하는 시간을 파악하고, 이렇게 파악한 정보를 저장부(72)에 저장한다(S502).
해당 농경지로 침입하는 각 유해조류별로 해당 농경지에 침입하는 시간 정보가 저장되면, 음향 제어부(78)는 스케줄부(73)를 동작시켜 하루를 기준으로 하는 시간구간이 결정되도록 한다(S503).
시간구간이 설정되면, 음향 제어부(78)는 조도감지부(61)의 감지신호에 따라 현재 상황이 밤인지 낮인지 특히, 일출시간인지를 파악하여 일출시간이 되면 유해조류 퇴치 동작을 시작하고, 그에 따라 접근감지부(72)로부터 조류가 탐지되거나 소리수집부(63)를 통해 수신되는 소리의 크기 즉 dB(데시벨)이 설정 데시벨 이상인 경우마다 서로 다른 퇴치음을 출력한다.
그리고 음향 제어부(78)는 퇴치음을 출력할 때마다 음향평가부(71)를 제어하여 해당 퇴치음 출력 후 유해조류의 반응시간(다시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도록 하고 평가하게 한다. 이에 음향평가부(71)는 각 시간구간마다 각각의 퇴치음별 반응시간을 측정하고 각 시간구간마다 가장 퇴치 효과가 높은 퇴치음부터 낮은 퇴치음까지의 순위 즉 평가 결과를 산출하고, 이렇게 산출된 결과를 저장부(72)에 저장한다(S504).
각 시간구간별 평가 순위가 저장되면, 음향 제어부(76)는 전처리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전환하고,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동작을 시작한다(S505).
먼저 음향 제어부(76)는 스케줄부(73)를 동작시켜 시간구간별 음향발생패턴을 생성시켜 하루 동안의 음향발생패턴이 생성되게 한다(S506). 이때 하나의 시간구간에 대해 생성하는 음향발생패턴은 전처리 모드시에 파악한 해당 시간구간에서 가장 퇴치 효과가 높은 복수개의 퇴치음으로 생성된다.
이후, 음향 제어부(76)는 접근감지부(62) 또는/및 소리수집부(63)를 통해 조류의 접근을 탐지하면(S507), 시간구간을 파악하고 해당 시간구간에 대응하여 생성된 음향발생패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퇴치음향을 발생시켜 침입한 조류를 퇴치시킨다(S508).
이때 음향 제어부(76)는 음향평가부(71)를 통해 하나의 시간구간에 대해서 전체 반응시간 또는 조류 침입 횟수를 측정하여 해당 시간구간에 사용된 음향발생패턴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고, 평가 결과를 이전에 평가한 다른 음향발생패턴과 비교하여 퇴치 효과 정도의 차이를 파악하게 하며, 이러한 퇴치 효과 정도의 차이에 따라 스케줄부(73)가 음향발생패턴 생성시에 퇴치 효과가 높은 음향발생패턴을 자주 이용하게 반영한다(S509).
음향 제어부(76)는 동작 모드에 따라 조류 퇴치 동작을 일몰이 될때까지 수행한다(S510).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로 하여 전처리 모드일 때의 음향 제어부(76)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처리 모드시의 동작을 보인 순서도이다.
음향 제어부(76)는 소리수집부(63)로부터 수집된 퇴치기(100) 주변의 소리를 설정기간 동안 저장한다(S601). 이렇게 정보가 수집되면, 작업자 또는 전문가는 수집된 소리 또는 소리 및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해당 농경지에 침입하는 유해조류의 종류를 파악하고, 각 유해조류별로 해당 농경지에 침입하는 시간을 파악한 후 퇴치기(100)에 입력하고, 이에 음향 제어부(76)는 입력되는 각 유해조류별로 해당 농경지에 침입하는 시간 정보를 저장부(72)에 저장한다(S602).
그리고 음향 제어부(76)는 스케줄부(73)를 동작시켜 하루를 기준으로 하는 시간구간이 결정되도록 한다(S603).
시간구간이 설정되면, 음향 제어부(78)는 조류가 침입하는지를 판단하고(S604), 조류가 침입하면 복수의 퇴치음 중 하나를 재생하여 출력한다(S605). 이와 동시에 음향 제어부(76)는 음향평가부(71)를 동작시켜 출력한 퇴치음에 대한 반응시간을 측정하게 한다(S606).
음향 제어부(76)는 다음 조류 침입이 발생하면, 음향평가부(71)가 측정중인 현재 퇴치음에 대한 반응시간 측정을 중지하게 하고, 측정한 현재 퇴치음에 대한 반응시간을 저장하게 하며, 다른 퇴치음이 출력되도록 한 후 다른 퇴치음에 대하여 음향평가부(71)가 반응시간을 측정하게 한다(S607).
음향 제어부(76)는 하나의 시간구간에 대하여 S507 과정 마지막 음향 즉, 퇴치음이 출력될 때까지 수행한다(S608). 여기서 음향 제어부(76)는 처음부터 마지막 퇴치음이 출력될 때까지의 시간이 하나의 시간구간의 시간보다 크면 즉, 하나의 시간구간에서 처음부터 마지막 퇴치음이 출력이 되지 않으면, 이러한 순차적인 퇴치음 출력 동작을 다음일 또는 설정일까지 수행하게 한다.
음향 제어부(76)는 하나의 시간구간에 대해 각 음향의 시간반응을 모두 측정하면 측정한 반응시간을 이용하여 퇴치효과가 가장 높은 음향부터 퇴치 효과가 낮은 음향의 순서로 순위를 설정한다(S609).
이러한 S604 내지 S609 과정은 전체 시간구간에 반복하여 수행한다(S610).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에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로 변형 및 개량한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 유해조수 통합 퇴치기 10: 조류 모형
20 : 바람개비 30 : 방향키
40 : 타격봉 21 : 회전체
50 : 지주대 60 : 감지장치
70 : 제어박스 80 : 진동발생소자
90 : 챔버 61 : 조도감지부
62 : 접근감지부 63 : 소리수집부
71 : 음향평가부 72 : 저장부
73 : 스케줄부 74 : 음향재생부
75 : 음향출력부 76 : 음향 제어부
77 : 진동 제어부

Claims (3)

  1. 하단 일부가 땅속에 매립고정 되는 지주대,
    상기 지주대의 일측에 고정 장착되고, 학습효과를 차단하기 위하여 불규칙적인 진동 노이즈를 발생시키는 진동발생소자,
    상기 진동발생소자에서 발생되는 진동 노이즈를 증폭시켜주며, 상기 지주대의 일측에 고정 장착되는 진동 챔버,
    상기 진동발생소자의 동작을 제어하는 진동 제어부,
    조도감지부, 접근감지부 및 소리수집부를 포함하는 감지장치,
    퇴치기에서 출력하는 시간구간 내의 복수의 음향 또는 시간구간의 음향발생패턴에 대하여 유해 조류의 반응시간을 측정하고 평가하는 음향 평가부,
    복수의 퇴치음과 복수의 시간 구간 및 각 시간구간별 복수의 퇴치음을 비롯하여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각 유해조류별로 해당 농경지에 침입하는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하루를 기준으로 한 복수의 시간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시간구간별 복수의 퇴치음을 이용하여 시간구간별 불규칙한 음향발생패턴을 생성하고 이를 종합하여 총 하루 동안의 음향발생패턴을 생성하되, 현재일의 음향발생패턴 생성시에 이전날에 생성한 음향발생패턴과 적어도 하나의 시간 구간에서 다르도록 생성하며, 상기 음향평가부에 의해 평가한 결과를 반영하여 음향 또는 음향발생패턴을 생성하는 스케줄부,
    상기 스케줄부에서 생성한 음향발생패턴을 기준으로 하여 유해조류 침입시에 해당번째의 음향을 재생하는 음향재생부,
    상기 음향재생부에서 재생한 음향을 외부로 출력하는 음향출력부, 그리고
    전처리 모드시에 상기 스케줄부가 상기 복수의 시간구간을 설정하게 하고, 동작모드시에 상기 음향발생패턴을 생성하게 하며, 상기 감지장치를 통해 조류의 접근을 감지하면 상기 음향재생부와 음향출력부를 제어하여 퇴치음이 발생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퇴치음에 대한 조류의 반응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음향평가부를 제어하는 음향 제어부를 포함하는 유해조수 통합 퇴치기.
  2. 제1항에서,
    상기 음향 제어부는 전처리 모드시에 상기 소리수집부를 통해 설정기간동안의 소리를 수집하고,
    상기 복수의 시간구간은 상기 소리수집부를 통해 수집한 소리를 이용하여 결정되며,
    상기 시간구간별 복수의 퇴치음은 상기 음향 제어부가 전처리 모드로 설정된 동안에 상기 음향 평가부에서 평가한 유해조류에 대한 반응시간이 상대적으로 긴 복수의 음향인 유해조수 통합 퇴치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바람의 영향을 받아 자유 회전을 하는 회전체가 결합 되는 바람개비,
    상기 바람개비가 바람이 부는 방향과 정면으로 대치되는 방향이 될 수 있도록 방향을 잡아주며, 바람개비의 측면 끝단에 고정되는 방향키,
    상기 바람개비를 고정시키면서 상기 지주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지주대의 내벽 면을 타격하는 타격봉, 그리고
    외부전원을 인가받아 작동하며 상기 바람개비의 회전 여부를 감지하거나 상기 지주대에 타격되는 진동을 감지하여 상기 진동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유해조수 통합 퇴치기.
KR1020190082186A 2019-07-08 2019-07-08 유해조수 통합 퇴치기 KR102273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186A KR102273557B1 (ko) 2019-07-08 2019-07-08 유해조수 통합 퇴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186A KR102273557B1 (ko) 2019-07-08 2019-07-08 유해조수 통합 퇴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188A KR20210006188A (ko) 2021-01-18
KR102273557B1 true KR102273557B1 (ko) 2021-07-05

Family

ID=74236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2186A KR102273557B1 (ko) 2019-07-08 2019-07-08 유해조수 통합 퇴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35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71259B (zh) * 2021-12-24 2022-11-04 中国人民解放军93114部队 一种机场驱鸟设备声音信号制作方法以及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9790A (ja) * 2004-10-18 2006-04-27 Hosomi Seisakusho:Kk モグラ忌避装置
JP2012110269A (ja) 2010-11-25 2012-06-14 Kenzo Hirai 鳥獣類侵入防止装置
JP2015084769A (ja) 2013-12-04 2015-05-07 株式会社鎌田スプリング モグラ忌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826Y1 (ko) * 2013-03-20 2014-10-15 장금배 지능형 유해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 장치
KR101723304B1 (ko) * 2015-10-01 2017-04-07 (주)에코팜 조류 또는 두더지 퇴치기
KR101986222B1 (ko) * 2016-06-24 2019-06-07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음원 탐지 및 IoT 기술을 적용한 유해 조수 퇴치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9790A (ja) * 2004-10-18 2006-04-27 Hosomi Seisakusho:Kk モグラ忌避装置
JP2012110269A (ja) 2010-11-25 2012-06-14 Kenzo Hirai 鳥獣類侵入防止装置
JP2015084769A (ja) 2013-12-04 2015-05-07 株式会社鎌田スプリング モグラ忌避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게시물, "사과 과수원의 까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적응이 어려운 인공지능형 유해조류 퇴치 시스템 개발" (2017.11.30.) (Url : www.sciencechallenge.or.kr/result/paper.hsc?searchMasterCode=170905102003801TP0QH&searchCatego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188A (ko) 2021-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6402B1 (en) Method for detecting, recording and deterring the tapping and excavating activities of woodpeckers
KR101986222B1 (ko) 음원 탐지 및 IoT 기술을 적용한 유해 조수 퇴치 시스템
KR101717045B1 (ko) 야생동물 퇴치기
AU2010293497B2 (en) Method for controlling insect pest by vibration
EP200396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injury on wildlife
US20120286956A1 (en) Bird repelling device
CA1334999C (en) Underwater acoustic animal guidance system
JPS6316B2 (ko)
JP6849186B2 (ja) 振動を用いた害虫の行動制御により植物を保護する方法
JP2009527229A (ja) シロアリ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Hager et al. Acacia ants respond to plant-borne vibrations caused by mammalian browsers
KR102273557B1 (ko) 유해조수 통합 퇴치기
Eklöf et al. Northern bats, Eptesicus nilssonii, use vision but not flutter‐detection when searching for prey in clutter
Corcoran et al. Predator counteradaptations: stealth echolocation overcomes insect sonar-jamming and evasive-manoeuvring defences
JP3187091U (ja) 害獣撃退装置
KR20090109015A (ko) 무인감시시스템이 내장된 다기능 이동식 야생동물 퇴치기
Baral et al. Bird repeller–a review
Kirchner et al. Acoustical signals in the dance language of the giant honeybee, Apis dorsata
CN117545352A (zh) 有害动物管理系统
JP7268957B2 (ja) 振動発生装置、及び振動発生システム
JP2013051925A (ja) 害虫防除装置
JP2012110269A (ja) 鳥獣類侵入防止装置
KR102249642B1 (ko) 유해조수 퇴치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KR102347926B1 (ko) 유해 조수 퇴치기
KR200474826Y1 (ko) 지능형 유해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