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0770B1 -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0770B1
KR102030770B1 KR1020170184221A KR20170184221A KR102030770B1 KR 102030770 B1 KR102030770 B1 KR 102030770B1 KR 1020170184221 A KR1020170184221 A KR 1020170184221A KR 20170184221 A KR20170184221 A KR 20170184221A KR 102030770 B1 KR102030770 B1 KR 102030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mful
access
wildlife
detecting means
harmful wildlif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1581A (ko
Inventor
신택균
공장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사람과세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사람과세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사람과세상
Priority to KR1020170184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0770B1/ko
Publication of KR20190081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odoriferous substances, e.g. aromas, pheromones or chemic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24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electric shocks, magnetic fields or microwav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54Details concerning communication with a camer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Zo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경작지를 둘러싸며 지면상에 일정거리를 두고 폴대 형태로 다수개 설치되어,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을 감지하는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을 왕복 이동하면서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을 감지하는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상기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과 일체 또는 별도로 구비되어,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거나 수시로 경작지 내로 유해 야생동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광원 점등, 음원 재생 및 이물질 살포를 수행하는 침입 방지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TRESPASS OF HARMFUL WILD ANIMAL}
본 발명은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경작지를 둘러싸며 지면상에 일정거리를 두고 폴대 형태로 다수개 설치되는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에 설치되되,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를 왕복 이동하는 이동식 접근 감지 수단을 이용하는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멧돼지나 고라니 등과 같은 야생동물이 밭이나 논, 과수원 등과 같은 경작지에 침범하여 파종된 씨앗을 파먹거나, 과실 등을 먹어치우는 등의 피해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야생동물로 인한 경작물의 피해를 줄이고자 경작지 주변에 울타리를 설치하거나 허수아비 등과 같은 유해동물 퇴치수단을 설치하고 있으나, 야생동물들이 울타리 아래의 땅을 파고 경작지로 들어오거나 허수아비 등의 퇴치수단을 겁내지 않게 되어 피해가 점차 확산 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울타리에 접촉한 야생동물들에게 조명을 비추거나 경보음을 발생시켜 야생동물의 퇴치를 도모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으나, 이와 같이 조명이나 경보음을 이용하는 유해동물 퇴치수단은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고 나면 빛과 소리에 야생동물들이 학습되어 제대로 퇴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조명이나 경보음을 이용하는 유해동물 퇴치수단은 야간에 발생되는 빛과 소음이 공해로 작용되어 사람이나, 식물, 가축 등에도 악영향을 미쳐 유해동물 퇴치로 인한 효과보다 안 좋은 역효과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10-0025612호는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기"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경작지를 둘러싸며 지면상에 일정거리를 두고 폴대 형태로 다수개 설치되는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에 설치되되,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를 왕복 이동하는 이동식 접근 감지 수단을 이용하여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을 감지하는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 설정된 시간에 따라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의 높이를 조절하는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거나 수시로 경작지 내로 유해 야생동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광원 점등, 음원 재생 및 이물질 살포를 수행하는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과 일체 또는 별도로 구비되어,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면 해당 유해 야생동물의 영상을 획득하고 분석하는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는 경작지를 둘러싸며 지면상에 일정거리를 두고 폴대 형태로 다수개 설치되어,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을 감지하는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을 왕복 이동하면서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을 감지하는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상기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과 일체 또는 별도로 구비되어,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거나 수시로 경작지 내로 유해 야생동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광원 점등, 음원 재생 및 이물질 살포를 수행하는 침입 방지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접근하는 유해 야생동물을 감지하는 제1 감지부; 및 기 설정된 시간에 따라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의 높이를 조절하는 연결 수단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감지부는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이 설치된 위치를 기준으로 제1 거리가 떨어진 영역에 대한 제1 범위 및 제1 거리보다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에 가까운 제2 거리가 떨어진 영역에 대한 제2 범위를 설정하고, 설정된 제1 범위 및 제2 범위에 접근하는 유해 야생동물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 수단 높이 조절부는 야간 시간대에는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의 높이를 지면에서 가장 떨어진 높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주간 시간대에는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의 높이를 지면에서 가장 가까운 높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 수단 높이 조절부는 작물의 특성에 따라 연결 수단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접근하는 유해 야생동물을 감지하는 제2 감지부; 및 유해 야생동물이 감지되면 감지된 위치에서 정지하고, 감지된 위치에서 유해 야생동물이 사라져 감지되지 않으면 이동되도록 조절하는 이동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감지부는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의 위치를 기준으로 제1 거리가 떨어진 영역에 대한 제1 범위 및 제1 거리보다 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의 위치에 가까운 제2 거리가 떨어진 영역에 대한 제2 범위를 설정하고, 설정된 제1 범위 및 제2 범위에 접근하는 유해 야생동물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침입 방지 수단은,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상기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면 광원을 점등시켜 유해 야생동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광원 점등부;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상기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면 기 저장된 음원을 재생시켜 유해 야생동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음원 재생부; 및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상기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면 내부에 마련된 공간에 기 수납된 이물질을 살포시켜 유해 야생동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이물질 살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침입 방지 수단은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상기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제1 범위에서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면 광원을 점등시키거나 음원을 재생시키고,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상기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제2 범위에서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면 광원 점등, 음원 재생 및 이물질을 살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상기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과 일체 또는 별도로 구비되어,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면 해당 유해 야생동물의 영상을 획득하고 분석하는 영상 획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 획득 수단은,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상기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면, 감지된 해당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상기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의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내포된 특성을 인식하고, 패턴을 추출하여 객체를 인식하는 영상 분석부; 및 촬영된 영상과 해당 영상에 대한 분석 결과를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영상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 획득 수단을 통해 획득된 영상의 분석 결과, 인식된 객체가 기 설정된 위협동물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에 순간 고전압이 흐르도록 제어하는 고전압 통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방법은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에 의해, 경작지를 둘러싸며 지면상에 일정거리를 두고 폴대 형태로 다수개 설치되어,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을 감지하는 단계;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에 의해,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을 왕복 이동하면서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을 감지하는 단계; 및 침입 방지 수단에 의해,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상기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과 일체 또는 별도로 구비되어,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거나 수시로 경작지 내로 유해 야생동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광원 점등, 음원 재생 및 이물질 살포를 수행하는 단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경작지를 둘러싸며 지면상에 일정거리를 두고 폴대 형태로 다수개 설치되어,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을 감지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접근하는 유해 야생동물을 감지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시간에 따라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기 설정된 시간에 따라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는, 야간 시간대에는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의 높이를 지면에서 가장 떨어진 높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주간 시간대에는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의 높이를 지면에서 가장 가까운 높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상기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과 일체 또는 별도로 구비되어,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거나 수시로 경작지 내로 유해 야생동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광원 점등, 음원 재생 및 이물질 살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상기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면 광원을 점등시켜 유해 야생동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단계;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상기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면 기 저장된 음원을 재생시켜 유해 야생동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상기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면 내부에 마련된 공간에 기 수납된 이물질을 살포시켜 유해 야생동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상기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과 일체 또는 별도로 구비되어,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거나 수시로 경작지 내로 유해 야생동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광원 점등, 음원 재생 및 이물질 살포를 수행하는 단계 이후에,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상기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과 일체 또는 별도로 구비되어,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면 해당 유해 야생동물의 영상을 획득하고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상기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과 일체 또는 별도로 구비되어,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면 해당 유해 야생동물의 영상을 획득하고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상기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면, 감지된 해당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상기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의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내포된 특성을 인식하고, 패턴을 추출하여 객체를 인식하는 단계; 및 촬영된 영상과 해당 영상에 대한 분석 결과를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 및 그 방법은 경작지를 둘러싸며 지면상에 일정거리를 두고 폴대 형태로 다수개 설치되는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에 설치되되,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을 왕복 이동하는 이동식 접근 감지 수단을 이용하여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을 감지함으로써, 유해 야생동물의 감지 영역을 확대시켜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을 집중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은 기 설정된 시간에 따라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야간에는 연결 수단의 높이를 낮게 조절하여 야행성 동물 침입을 방지하고, 주간에는 높이를 높게 조절하여 조류의 침입을 방지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거나 수시로 경작지 내로 유해 야생동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광원 점등, 음원 재생 및 이물질(비료, 영양제, 일반 흙) 살포를 수행함으로써, 해 야생동물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과 일체 또는 별도로 구비되어,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면 해당 유해 야생동물의 영상을 획득하고 분석함으로써, 촬영된 영상과 해당 영상에 대한 분석 결과를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획득된 영상의 분석 결과, 인식된 객체가 기 설정된 위협동물에 해당하는 경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에 순간 고전압을 흘려 유해 야생동물이 연결 수단에 접촉하면 강한 쇼크를 일으켜 재접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에 채용되는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에 채용되는 침입 방지 수단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에 채용되는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에 채용되는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에 채용되는 침입 방지 수단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에 채용되는 영상 획득 수단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방법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가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에 채용되는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에 채용되는 침입 방지 수단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100)는 크게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110),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120), 침입 방지 수단(130), 영상 획득 수단(140) 및 고전압 통전부(150)를 포함한다.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110)는 경작지를 둘러싸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상에 일정거리를 두고 폴대 형태로 다수개 설치되어,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을 감지한다.
그리고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11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전원 및 주제어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형 접근 지 수단 사이에 설치되되,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을 왕복 이동하면서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을 감지한다. 이때, 연결 수단은 와이어 또는 폴대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침입 방지 수단(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과 일체 또는 별도로 구비되어,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거나 수시로 경작지 내로 유해 야생동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광원 점등, 음원 재생 및 이물질 살포를 수행한다.
또한, 침입 방지 수단(130)은 침입이 발견된 지점이 있을 경우에 집중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제어(예를 들어, 이동주기를 짧게 조절)할 수 있다.
영상 획득 수단(1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과 일체 또는 별도로 구비되어,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면 해당 유해 야생동물의 영상을 획득하고 분석한다.
고전압 통전부(150)는 영상 획득 수단을 통해 획득된 영상의 분석 결과, 인식된 객체가 기 설정된 위협동물에 해당하는 경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에 순간 고전압이 흐르도록 제어한다.
즉, 고전압 통전부(150)는 인식된 객체가 맷돼지 또는 고라니와 같은 위협동물에 해당되는 경우에만 해당 위협동물이 접촉한 연결 수단 또는 전체 연결 수단에 고전압 전류를 흐르게 하여 위협동물에 감전을 유발시켜 재접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전압 통전부(150)는 연결 수단에 위협동물이 접촉하면 연결 수단에 5~10kV 정도의 높은 전압을 갖는 고전압 펄스가 유기하며, 유기된 고전압 펄스에 의해 울타리의 커패시터 성분(Cf)과 저항성분(Rf)에 전류가 흐르게 하여 해당 전류가 동물을 통해 흘러 감전을 유발시킨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원격지에서 사용자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120)의 이동주기, 연결 수단의 높이, 침입 방지 수단의 작동 등을 제어할 수 있는 원격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에 채용되는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110)은 경작지를 둘러싸며 지면상에 일정거리를 두고 폴대 형태로 다수개 설치되어,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을 감지한다.
이를 위해,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110)은 제1 감지부(111) 및 연결 수단 높이 조절부(112)를 포함한다.
제1 감지부(111)는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접근하는 유해 야생동물을 감지한다.
제1 감지부(111)는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이 설치된 위치를 기준으로 제1 거리가 떨어진 영역에 대한 제1 범위 및 제1 거리보다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에 가까운 제2 거리가 떨어진 영역에 대한 제2 범위를 설정하고, 설정된 제1 범위 및 제2 범위에 접근하는 유해 야생동물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제2 범위는 제1 범위 보다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에 가까이 접근하는 유해 야생동물을 감지할 수 있다.
연결 수단 높이 조절부(112)는 기 설정된 시간에 따라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의 높이를 조절한다.
연결 수단 높이 조절부(112)는 야간 시간대에는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의 높이를 지면에서 가장 떨어진 높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주간 시간대에는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의 높이를 지면에서 가장 가까운 또는 중간 높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즉, 연결 수단 높이 조절부(112)는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의 높이 내에서 연결 수단을 상하로 이동시켜 야간에는 낮게 하여 동물 침입을 방지하고, 주간에는 높게 하여 조류의 침입을 방지 할 수 있다. 이때 시간 설정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조절되거나 별도의 광량 센서를 구비하여 측정되는 광량에 따라 주, 야간를 구분하여 연결 수단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수단 높이 조절부(112)는 작물의 특성에 따라 연결 수단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작물이 과수인 경우 연결 수단의 높이를 높게 하고, 논밭 작물인 경우 연결 수단의 높이를 낮게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에 채용되는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120)은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에 설치되되,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을 왕복 이동하면서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을 감지한다.
이를 위해,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120)은 제2 감지부(121) 및 이동 조절부(122)를 포함한다.
제2 감지부(121)는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접근하는 유해 야생동물을 감지한다.
제2 감지부(121)는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의 위치를 기준으로 제1 거리가 떨어진 영역에 대한 제1 범위 및 제1 거리보다 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의 위치에 가까운 제2 거리가 떨어진 영역에 대한 제2 범위를 설정하고, 설정된 제1 범위 및 제2 범위에 접근하는 유해 야생동물을 감지한다. 즉, 제2 범위는 제1 범위 보다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에 가까이 접근하는 유해 야생동물을 감지할 수 있다.
이동 조절부(122)는 유해 야생동물이 감지되면 감지된 위치에서 정지하고, 감지된 위치에서 유해 야생동물이 사라져 감지되지 않으면 이동되도록 조절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에 채용되는 침입 방지 수단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침입 방지 수단(130)은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과 일체 또는 별도로 구비되어,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거나 수시로 경작지 내로 유해 야생동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광원 점등, 음원 재생 및 이물질 살포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침입 방지 수단(130)은 광원 점등부(131), 음원 재생부(132) 및 이물질 살포부(133)를 포함한다.
광원 점등부(131)는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면 광원을 점등시키거나 광원의 점등 및 소등을 반복하여 유해 야생동물의 침입을 방지한다.
음원 재생부(132)는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면 기 저장된 음원을 재생시켜 유해 야생동물의 침입을 방지한다.
이물질 살포부(133)는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면 내부에 마련된 공간에 기 수납된 이물질을 살포시켜 유해 야생동물의 침입을 방지한다.
이물질 살포부(133)는 내부에 마련된 공간에 농지나 농작물에 해롭지 않은 비료, 영양제 및 일반 흙과 같은 이물질을 수납하고 살포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침입 방지 수단(130)은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제1 범위에서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면 광원을 점등시키거나 음원을 재생시키고,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제2 범위에서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면 광원 점등, 음원 재생 및 이물질을 모두 살포하거나 이물질만을 살포시킬 수 있다. 즉, 침입 방지 수단(130)은 기 설정된 감지 범위에 따라 유해 야생동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기능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에 채용되는 영상 획득 수단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획득 수단(140)은 영상 촬영부(141), 영상 분석부(142) 및 영상 전송부(143)를 포함한다.
영상 촬영부(141)는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면, 감지된 해당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의 주변의 영상을 촬영한다.
영상 분석부(142)는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내포된 특성을 인식하고, 패턴을 추출하여 객체를 인식한다. 즉, 영상 분석부(142)는 촬영된 영상에서 추출된 특성 및 패턴을 기 저장된 사람, 조류, 동물, 위협동물에 대한 특성 및 패턴과 매칭시켜 영상 내 객체를 인식하고 파악한다. 이때, 획득된 영상의 분석 결과, 인식된 객체가 기 설정된 위협동물에 해당하는 경우, 앞서 설명한 고전압 통전부를 통해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에 순간 고전압이 흐르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영상 전송부(143)는 촬영된 영상과 해당 영상에 대한 분석 결과를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에 전송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방법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방법은 앞서 설명한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경작지를 둘러싸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상에 일정거리를 두고 폴대 형태로 다수개 설치되어,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을 감지한다(S100).
S100 단계는 기 설정된 제1 범위, 제1 범위보다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이 설치된 위치에 더 가까운 제2 범위 내에 접근하는 유해 야생동물을 감지하되, 기 설정된 시간에 따라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의 높이를 조절하여 주,야간에 감지할 수 있는 동물을 구분할 수 있다.
다음,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에 설치되되,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을 왕복 이동하면서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을 감지한다(S110).
S110 단계는 기 설정된 제1 범위, 제1 범위보다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 즉,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의 위치에 더 가까운 제2 범위 내에 접근하는 유해 야생동물을 감지한다.
다음,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과 일체 또는 별도로 구비되어,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거나 수시로 경작지 내로 유해 야생동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광원 점등, 음원 재생 및 이물질 살포를 수행한다(S120).
S120 단계는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상기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면 해당 유해 야생동물을 향해 광원을 점등시키거나 광원의 점등 및 소등을 반복하거나 기 저장된 음원을 재생시키거나,내부에 마련된 공간에 수납된 농지나 농작물에 해롭지 않은 비료, 영양제 및 일반 흙과 같은 이물질을 살포시킬 수 있다.
다음,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과 일체 또는 별도로 구비되어,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면 해당 유해 야생동물의 영상을 획득하고 분석한다(S140).
S140 단계는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면, 감지된 해당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의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추출된 특성 및 패턴을 기 저장된 사람, 조류, 동물, 위협동물에 대한 특성 및 패턴과 매칭시켜 영상 내 객체를 인식하고 파악하고, 촬영된 영상과 해당 영상에 대한 분석 결과를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에 전송한다.
한편, S140 단계에서 획득된 영상의 분석 결과, 인식된 객체가 기 설정된 위협동물에 해당하는 경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에 순간 고전압이 흐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인식된 객체가 맷돼지 또는 고라니와 같은 위협동물에 해당되는 경우에만 해당 위협동물이 접촉한 연결 수단 또는 전체 연결 수단에 고전압 전류를 흐르게 하여 위협동물에 감전을 유발시켜 재접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 및 그 방법은 경작지를 둘러싸며 지면상에 일정거리를 두고 폴대 형태로 다수개 설치되는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에 설치되되,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을 왕복 이동하는 이동식 접근 감지 수단을 이용하여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을 감지함으로써, 유해 야생동물의 감지 영역을 확대시켜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을 집중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은 기 설정된 시간에 따라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야간에는 연결 수단의 높이를 낮게 조절하여 야행성 동물 침입을 방지하고, 주간에는 높이를 높게 조절하여 조류의 침입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거나 수시로 경작지 내로 유해 야생동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광원 점등, 음원 재생 및 이물질(비료, 영양제, 일반 흙) 살포를 수행함으로써, 해 야생동물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과 일체 또는 별도로 구비되어,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면 해당 유해 야생동물의 영상을 획득하고 분석함으로써, 촬영된 영상과 해당 영상에 대한 분석 결과를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획득된 영상의 분석 결과, 인식된 객체가 기 설정된 위협동물에 해당하는 경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에 순간 고전압을 흘려 유해 야생동물이 연결 수단에 접촉하면 강한 쇼크를 일으켜 재접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기능적 동작과 본 주제에 관한 실시형태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구조들 및 그들의 구조적인 등가물을 포함하여 디지털 전자 회로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에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이 조합에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주제의 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혹은 그 동작을 운용하기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상에 인코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이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는 전파형 신호이거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전파형 신호는 컴퓨터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적절한 수신기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예컨대 기계가 생성한 전기적, 광학적 혹은 전자기 신호와 같은 인공적으로 생성된 신호이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합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이 조합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장치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이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정보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이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특허문헌에서 기술하는 논리 흐름과 구조적인 블록도는 개시된 구조적인 수단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기능과 단계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행위 및/또는 특정한 방법을 기술하는 것으로,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구조와 알고리즘과 그 등가물을 구축하는 데에도 사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프로세스와 논리 흐름은 입력 정보 상에서 동작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이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이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에 적합한 프로세서는, 예컨대 범용 및 특수 목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양자 및 어떤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어떠한 하나 이상이 프로세서라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읽기 전용 메모리나 랜덤 액세스 메모리 혹은 양자로부터 명령어와 정보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핵심적인 요소는 명령어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이 메모리 장치 및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이다. 또한,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예컨대 자기, 자기광학 디스크나 광학 디스크와 같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이 대량 저장 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그것으로 정보를 전송하거나 혹은 그러한 동작 둘 다를 수행하기 위하여 동작가능 하도록 결합되거나 이를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는 그러한 장치를 가질 필요가 없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음에 주의한다.
100 :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
110 :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120 :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
130 : 침입 방지 수단
140 : 영상 획득 수단
150 : 고전압 통전부

Claims (18)

  1. 경작지를 둘러싸며 지면상에 일정거리를 두고 폴대 형태로 다수개 설치되어,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을 감지하는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을 왕복 이동하면서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을 감지하는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상기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과 일체 또는 별도로 구비되어,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거나 수시로 경작지 내로 유해 야생동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광원 점등, 음원 재생 및 이물질 살포를 수행하는 침입 방지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접근하는 유해 야생동물을 감지하는 제1 감지부; 및
    기 설정된 시간에 따라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의 높이를 조절하는 연결 수단 높이 조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부는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이 설치된 위치를 기준으로 제1 거리가 떨어진 영역에 대한 제1 범위 및 제1 거리보다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에 가까운 제2 거리가 떨어진 영역에 대한 제2 범위를 설정하고, 설정된 제1 범위 및 제2 범위에 접근하는 유해 야생동물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 높이 조절부는 야간 시간대에는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의 높이를 지면에서 가장 떨어진 높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주간 시간대에는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의 높이를 지면에서 가장 가까운 높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 높이 조절부는 작물의 특성에 따라 연결 수단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접근하는 유해 야생동물을 감지하는 제2 감지부; 및
    유해 야생동물이 감지되면 감지된 위치에서 정지하고, 감지된 위치에서 유해 야생동물이 사라져 감지되지 않으면 이동되도록 조절하는 이동 조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지부는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의 위치를 기준으로 제1 거리가 떨어진 영역에 대한 제1 범위 및 제1 거리보다 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의 위치에 가까운 제2 거리가 떨어진 영역에 대한 제2 범위를 설정하고, 설정된 제1 범위 및 제2 범위에 접근하는 유해 야생동물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입 방지 수단은,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상기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면 광원을 점등시켜 유해 야생동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광원 점등부;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상기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면 기 저장된 음원을 재생시켜 유해 야생동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음원 재생부; 및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상기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면 내부에 마련된 공간에 기 수납된 이물질을 살포시켜 유해 야생동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이물질 살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입 방지 수단은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상기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제1 범위에서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면 광원을 점등시키거나 음원을 재생시키고,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상기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제2 범위에서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면 광원 점등, 음원 재생 및 이물질을 살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상기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과 일체 또는 별도로 구비되어,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면 해당 유해 야생동물의 영상을 획득하고 분석하는 영상 획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획득 수단은,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상기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면, 감지된 해당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상기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의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내포된 특성을 인식하고, 패턴을 추출하여 객체를 인식하는 영상 분석부; 및
    촬영된 영상과 해당 영상에 대한 분석 결과를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영상 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획득 수단을 통해 획득된 영상의 분석 결과, 인식된 객체가 기 설정된 위협동물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에 순간 고전압이 흐르도록 제어하는 고전압 통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
  13.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에 의해, 경작지를 둘러싸며 지면상에 일정거리를 두고 폴대 형태로 다수개 설치되어,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을 감지하는 단계;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에 의해,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을 왕복 이동하면서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을 감지하는 단계; 및
    침입 방지 수단에 의해,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상기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과 일체 또는 별도로 구비되어,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거나 수시로 경작지 내로 유해 야생동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광원 점등, 음원 재생 및 이물질 살포를 수행하는 단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경작지를 둘러싸며 지면상에 일정거리를 두고 폴대 형태로 다수개 설치되어,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을 감지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접근하는 유해 야생동물을 감지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시간에 따라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시간에 따라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는,
    야간 시간대에는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의 높이를 지면에서 가장 떨어진 높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주간 시간대에는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의 높이를 지면에서 가장 가까운 높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상기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과 일체 또는 별도로 구비되어,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거나 수시로 경작지 내로 유해 야생동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광원 점등, 음원 재생 및 이물질 살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상기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면 광원을 점등시켜 유해 야생동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단계;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상기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면 기 저장된 음원을 재생시켜 유해 야생동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상기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면 내부에 마련된 공간에 기 수납된 이물질을 살포시켜 유해 야생동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상기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과 일체 또는 별도로 구비되어,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거나 수시로 경작지 내로 유해 야생동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광원 점등, 음원 재생 및 이물질 살포를 수행하는 단계 이후에,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상기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과 일체 또는 별도로 구비되어,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면 해당 유해 야생동물의 영상을 획득하고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상기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과 일체 또는 별도로 구비되어,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면 해당 유해 야생동물의 영상을 획득하고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상기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면, 감지된 해당 상기 고정형 접근 감지 수단 및 상기 이동형 접근 감지 수단의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내포된 특성을 인식하고, 패턴을 추출하여 객체를 인식하는 단계; 및
    촬영된 영상과 해당 영상에 대한 분석 결과를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방법.
KR1020170184221A 2017-12-29 2017-12-29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2030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221A KR102030770B1 (ko) 2017-12-29 2017-12-29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221A KR102030770B1 (ko) 2017-12-29 2017-12-29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581A KR20190081581A (ko) 2019-07-09
KR102030770B1 true KR102030770B1 (ko) 2019-10-10

Family

ID=67261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221A KR102030770B1 (ko) 2017-12-29 2017-12-29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07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6544B1 (ko) * 2019-12-30 2022-01-28 (주)투비시스템 유해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063B1 (ko) * 2010-12-03 2011-03-02 문엔지니어링 (주) 센서와 통신망을 이용한 활주로 유해 조수 퇴치 장치
KR101251867B1 (ko) * 2012-07-20 2013-04-10 이상욱 농작물 보호를 위한 야생동물 적응화 퇴치 장치, 그리고 야생동물 적응화 퇴치 장치를 위한 제어 단말
KR101354823B1 (ko) * 2012-03-14 2014-01-27 유지현 유해동물 퇴치장치
KR101443199B1 (ko) * 2013-02-22 2014-09-23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기피제 살포부를 포함하는 유해동물 및 병해충 퇴치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5428A (ko) * 2006-04-26 2007-10-31 송종명 유해 조수 퇴치장치
KR101142737B1 (ko) * 2009-12-10 2012-05-04 한국원자력연구원 조류 대응 시스템
KR20160115637A (ko) * 2015-03-27 2016-10-06 권상용 멀티형 야생 동물 탐지 및 퇴치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063B1 (ko) * 2010-12-03 2011-03-02 문엔지니어링 (주) 센서와 통신망을 이용한 활주로 유해 조수 퇴치 장치
KR101354823B1 (ko) * 2012-03-14 2014-01-27 유지현 유해동물 퇴치장치
KR101251867B1 (ko) * 2012-07-20 2013-04-10 이상욱 농작물 보호를 위한 야생동물 적응화 퇴치 장치, 그리고 야생동물 적응화 퇴치 장치를 위한 제어 단말
KR101443199B1 (ko) * 2013-02-22 2014-09-23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기피제 살포부를 포함하는 유해동물 및 병해충 퇴치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581A (ko) 201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25058A1 (en) Multifunctional animal repeller
US11109586B2 (en) System and methods for automated wildlife detection, monitoring and control
KR101986222B1 (ko) 음원 탐지 및 IoT 기술을 적용한 유해 조수 퇴치 시스템
KR101740714B1 (ko) 농작물도난방지 및 동물침입방지장치 및 그 방법
CN110235890B (zh) 一种有害生物检测及驱赶方法、装置、设备和系统
AU2019324953B2 (en) A detection system
US11636745B2 (en) Detection of animal intrusions and control of a repellent mechanism for detected animal intrusions
Van Evert et al. Real‐time vision‐based detection of Rumex obtusifolius in grassland
KR102030770B1 (ko)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Lim et al. ScareDuino: smart-farming with IoT
ES2929076T3 (es) Rociador de control de plagas basado en cámara
KR102082959B1 (ko) 유해 동물 퇴치 장치
Schiano et al. Autonomous detection and deterrence of pigeons on buildings by drones
Bandari et al. Wild Animal Detection using a Machine Learning Approach and Alerting using LoRa Communication
KR20160080448A (ko) 야생동물로부터 농작물을 지키기 위한 시스템
Bhusal et al. Bird deterrence in a vineyard using an unmanned aerial system (uas)
Maheswaran et al. A real time image processing based system to scaring the birds from the agricultural field
KR102092061B1 (ko) 유해동물 관리시스템
KR20210101382A (ko)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00329694A1 (en) Sprinkler controller capable of repelling animal
KR20230169695A (ko) 유해동물 퇴치 시스템 및 퇴치 방법
Raghunandan et al. AI Based Rebarbative System for Farm Field Invading Animals Using UAV
KR20190106710A (ko) 유해조수 퇴치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Yazhini et al. A semi automatic crop monitoring system for empowerment of India
Kakad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advanced security system for farm protection from wild anim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