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2959B1 - 유해 동물 퇴치 장치 - Google Patents

유해 동물 퇴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2959B1
KR102082959B1 KR1020180113714A KR20180113714A KR102082959B1 KR 102082959 B1 KR102082959 B1 KR 102082959B1 KR 1020180113714 A KR1020180113714 A KR 1020180113714A KR 20180113714 A KR20180113714 A KR 20180113714A KR 102082959 B1 KR102082959 B1 KR 102082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unit
image
control terminal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완
Original Assignee
이캐슬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캐슬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캐슬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3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29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06Discriminating between target movement or movement in an area of interest and other non-signicative movements, e.g. target movements induced by camera shake or movements of pets, falling leaves, rotating fa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5/00Identifying, scaring or incapacitating burglars, thieves or intruders, e.g. by explosi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Abstract

본 발명은 유해 동물 퇴치 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모션 감지 기능과 열화상 기능을 포함하는 감지수단을 통해 유해 동물 침입 상태를 감지하거나, 또는 농작물 보호를 위해 경작지 최외곽에 울타리 기능의 경계선을 설치하되 그 경계선에 가해지는 압력 변화량에 따라 모션 감지 기능과 열화상 기능을 포함하는 감지수단이 유해 동물 침입 상태를 추적 감지한 후 경보음 출력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이에 따라 유해 동물에 의하여 야기되는 농작물 피해를 예방하고, 불필요한 경보음 출력으로 인한 소음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유해 동물 퇴치 장치{Exploding apparatus of wild animals}
본 발명은 농작물 보호를 위한 유해 동물 퇴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생태계가 파괴되고 생태계의 균형이 깨지면서 천적의 수가 급격히 줄어들어 유해 동물(예; 멧돼지)의 개체수가 많이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유해 동물이 생존을 위해 농가로 내려와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사례가 계속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농작물 피해는 농촌 인구가 급격히 감소하면서 인력 수급이 어려워져 피해는 더욱더 자주 발생하고 최근 농가의 소득 증대를 위해 많은 비용을 투자하여 우량품종의 농산물을 개발하였으나 이것이 유해 동물의 표적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회전형의 영상 감지수단을 통해 유해 동물을 감지하고, 유해 동물이 감지된 경우에는 경보음 출력이 이루어지는 시스템이 개발되었지만, 경보음 출력은 유해 동물에게 반복적인 학습 효과를 가져 오면서 초기에는 효과가 있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이에 대한 반응은 적어지고 있어 큰 효과를 보지 못하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의 경보음 출력은 유해 동물의 침범 상태에 관계없이 발생되는 경우도 있어 소음 공해를 일으켜 민원 문제를 야기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즉, 종래의 유해 동물 퇴치 장치는 회전형 영상 감지수단을 통해 유해 동물이 감지되면 경보음이 출력되는 제어 흐름을 보이는 것이지만, 상기 감지수단에 의한 감지 정보는 농작물 주변의 물체를 감지하는 것으로, 상기 물체는 유해 동물일 수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외적 요인인 강한 바람 등에 의해 농작물 등이 흔들리는 요소일 수 있고 이를 유해 동물로 판단하는 오류가 발생하게 되면서, 유해 동물의 침범이 아닌 상태를 유해 동물이 침범한 것으로 오인 감지하고 이에 연동하여 불필요한 경고음 출력이 이루어지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이에 종래에는 유해 동물 퇴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의 문제들을 감안하여, 로봇 허수아비 또는 전기쇼크 울타리 설치와 같은 방법을 적용하기도 하였지만, 이는 영세한 농가를 감안하면 로봇 허수아비 또는 전기쇼크 울타리에 있어서, 전기쇼크 울타리는 인력 동원이 많고 설치 및 유지 보수에 큰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로봇 허수아비 또한 초기 구입 비용은 물론 이를 유지 관리하는 측면에서 큰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가장 실현 가능한 좋은 방법은 인력 동원을 통해 무력으로 유해 동물을 퇴치하는 것이나 농가의 인구가 급감하면서 이러한 인력 동원을 기대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60553 호(등록일 2012.05.17) 등록특허공보 제 10-1251867 호(등록일 2013.04.01) 등록특허공보 제 10-1503077 호(등록일 2015.03.1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모션 감지 기능과 열화상 기능을 포함하는 감지수단을 통해 유해 동물의 침입 상태를 오인없이 감지하도록 구성하여, 농작물 경작지 주변에서 물체의 움직임이 농작물에 의한 흔들림인지 또는 유해 동물의 침입인지를 정교하게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경보음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유해 동물 퇴치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농작물 보호를 위해 경작지 최외곽에 울타리 기능의 경계선을 설치하되 그 경계선에 가해지는 압력 변화량에 따라 모션 감지 기능과 열화상 기능을 포함하는 감지수단이 유해 동물 침입 상태를 추적 감지한 후 경보음을 출력하는 유해 동물 퇴치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인 유해 동물 퇴치 장치는, 농작물 경작지 주변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모션 감지에 따라 촬영 각도가 변경되어 움직임이 포착된 물체를 촬영하는 제 1 영상 감지부; 상기 제 1 영상 감지부와 매칭되도록 농작물 경작지 주변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제 1 영상 감지부에 의해 모션 감지시 연동하여 동일한 촬영 각도로 위치 변경이 이루어지면서 모션 감지된 상기 물체를 열화상 촬영하는 제 2 영상 감지부; 상기 제 1 및 제 2 영상 감지부로부터 촬영된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단말; 상기 저장단말에 저장되는 모션과 열화상의 영상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유해 동물 침입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작동제어신호의 송출 여부를 결정하는 통신모듈이 탑재된 제어단말; 및, 상기 제어단말로부터 작동제어신호가 송출시 유해 동물 퇴치를 위한 경보음 출력이 이루어지는 경보음 출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단말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유,무선의 통신망을 이용하여 기등록된 관리 단말 또는 클라우드 서버와 접속하되, 상기 제어단말은 상기 경보음 출력부에 작동제어신호를 송출시 상기 관리 단말 또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유해동물 침입 상태를 통보하는 알림 메세지를 전송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관리 단말은 농작물 경작지 소유주 또는 관리자의 통신 단말기로서 유,무선의 통신망 접속이 가능한 데스크탑, 노트북, 스마트폰, 스마트기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이다.
또한, 상기 저장단말은 DVR(Digital Video Recorder)로서 지능형 정전복구 처리부(IPFR; Intelligent Power Failure Recovery)를 탑재하고, 상기 지능형 정전복구 처리부에는 태양광 전원 공급부를 연결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단말에는 상기 저장단말의 영상정보 저장시간을 보정하고, 상기 저장단말의 설치 위치 정보를 상기 관리 단말 또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GPS단말이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단말은 상기 관리 단말 또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주기적으로 상태 신호를 송출하는 상태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관리 단말 또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는 상기 상태 알림부로부터 주기적으로 상태 신호 송출이 없거나 불규칙적인 주기로 상태 신호를 송출시 상기 제어단말을 동작 이상으로 판단하는 관리 앱이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영상 감지부가 바람에 의한 나무나 수풀의 움직임 또는 유해 동물의 침입에 따른 움직임을 감지하여 촬영 각도를 변경시 그 변경된 촬영 각도에 따른 좌표 정보를 상기 제어단말에 전송하는 위치 식별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단말에는 상기 위치 식별부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좌표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영상 감지부와 동일한 촬영 각도로 상기 제 2 영상 감지부의 열화상 촬영 각도를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 2 영상 감지부에 출력하는 동기화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영상 감지부는, 물체의 움직임을 포착하는 모션 감지부; 상기 모션 감지부에 의해 포착된 물체의 움직임에 따라 구동하는 제 1 구동부; 및, 상기 제 1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촬영 각도가 변경되어 모션 감지된 물체를 촬영한 후 이를 상기 저장단말로 전송하는 제 1 카메라; 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위치 식별부는 상기 제 1 구동부의 구동에 따른 움직임 벡터를 통해 상기 제 1 카메라의 촬영 각도에 대한 좌표 정보를 산출하고 이를 상기 제어단말에 전송하는 산출 프로그램을 탑재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영상 감지부는, 상기 제어단말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제 2 구동부; 및, 상기 제 2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 1 카메라와 동일한 촬영 각도로 이동하여 상기 제 1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모션 감지된 물체의 열화상을 촬영한 후 이를 상기 저장단말로 전송하는 제 2 카메라;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농작물 경작지의 최외곽에는 경계봉에 의해 지지되는 울타리 기능의 경계선을 복수라인으로 설치하되, 상기 경계봉에는 복수라인을 이루는 상기 경계선과 연결되면서 상기 경계선에 가해지는 압력 변화량에 따라 작동신호를 상기 제어단말로 전송하는 감지단말; 을 설치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감지단말에는, 제 1 부재; 상기 경계선의 일단과 연결되면서 상기 제 1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경계선에 가해지는 압력 변화량에 따라 상기 제 1 부재를 일정거리만큼 당기거나 그 당김이 제한된 거리에 도달시 상기 제 1 부재로부터 분리되는 제 2 부재; 상기 제 1 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제 1 부재의 당김거리에 따라 슬라이드 방식으로 직선 이동하는 것으로, 제 1 및 제 2 동작구간,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동작구간 사이에 위치하는 미동작구간이 형성되는 작동로드; 및, 상기 작동로드의 직선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동작구간과, 상기 제 1 및 제 2 동작구간 사이의 상기 미동작구간에 위치하게 되면서 온 또는 오프의 스위칭신호를 상기 제어단말에 송출하는 신호송출부;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부재는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1 지지부의 일면에서 돌출되는 텐션 곡면을 가지는 한 쌍의 제 1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부재는 제 2 지지부와, 상기 제 2 지지부의 일면에서 돌출되면서 텐션 곡면을 가지며 상기 제 1 결합부를 감싸면서 상기 제 1 결합부에 걸림 결합되는 제 2 결합부 및, 상기 경계선의 연결 고정을 위한 고리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작동로드의 일단에는 상기 제 1 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작동로드의 타단에는 상기 제 2 부재에 의해 상기 제 1 부재의 당김이 해제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부재로부터 상기 제 2 부재가 분리시 상기 작동로드를 원래 위치로 리턴시키기 위한 스프링을 연결한 것이다.
또한, 상기 신호송출부는, 상기 작동로드의 제 1 및 제 2 동작구간에서는 상기 작동로드에 접촉이 이루어져 제 1 방향으로 압착되고, 상기 미동작구간에서는 상기 미동작구간내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로 신장되는 판스프링; 상기 판스프링의 끝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동작구간과 상기 미동작구간을 따라 구름동작하는 롤러; 및, 상기 제어단말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판스프링이 제 1 방향으로 압착시 상기 제어단말에 온 또는 오프의 스위칭신호를 전송하는 스위치; 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모션 감지 기능과 열화상 기능을 포함하는 감지수단을 통해 유해 동물 침입 상태를 감지하거나, 또는 농작물 보호를 위해 경작지 최외곽에 울타리 기능의 경계선을 설치하되 그 경계선에 가해지는 압력 변화량에 따라 모션 감지 기능과 열화상 기능을 포함하는 감지수단이 유해 동물 침입 상태를 추적 감지한 후 경보음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유해 동물에 의하여 야기되는 농작물 피해를 예방하고, 불필요한 경보음 출력으로 인한 소음 피해를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유해 동물 퇴치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농작물 경작지에 울타리 역할을 하는 감지선을 적용한 상태인 보인 평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감지선의 설치 상태를 보인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작동단말의 설치 상태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5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감지선으로 유해 동물에 의한 압력이 가해질 때 작동단말의 동작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감지선으로 유해 동물에 의한 압력이 크게 가해질 때 작동단말로부터 감지선이 분리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유해 동물 퇴치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해 동물 퇴치 시스템은, 제 1 영상 감지부(10), 제 2 영상 감지부(20), 저장단말(30), 제어단말(40), 경보음 출력부(50), 관리 단말(60), 및/또는 클라우드 서버(600)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영상 감지부(10)는 농작물 경작지 주변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이며, 물체의 모션 감지에 따라 촬영 각도가 변경되면서 상기 물체를 촬영하게 되며, 위치 식별부(10a), 모션 감지부(11), 제 1 구동부(12), 제 1 카메라(13)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위치 식별부(10a)는 농작물 경작지의 경계 영역에서 바람에 의한 나무나 수풀의 움직임 또는 유해 동물의 침입에 따른 움직임이 상기 모션 감지부(11)에 의해 포착되면서 상기 제 1 구동부(12)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 1 카메라(13)의 촬영 각도가 변경시 그 변경된 촬영 각도에 따른 좌표 정보를 상기 제어단말(40)에 전송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위치 식별부(10a)는 상기 제 1 구동부(12)의 구동에 따른 움직임 벡터를 통해 상기 제 1 카메라(13)의 촬영 각도에 대한 좌표 정보를 산출하고 이를 상기 제어단말(40)에 전송하는 산출 프로그램을 탑재하여둔 것이다.
상기 모션 감지부(11)는 농작물 경작지의 경계영역에서 물체의 움직임을 포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물체의 움직임은 바람에 의한 나무나 수풀의 움직임(흔들림) 또는 유해 동물의 침입에 따른 움직임 등인 것이다.
상기 제 1 구동부(12)는 상기 모션 감지부(11)에 의해 물체의 움직임이 포착될 때 구동하는 것이며, 이는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 1 카메라(13)를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나의 모터와 이에 연계되는 기어들을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두거나, 또는 복수의 모터를 각각 별도 구성하여 하나의 모터는 상기 제 1 카메라(13)를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동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의 모터는 상기 제 1 카메라(13)를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동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제 1 카메라(13)는 상기 제 1 구동부(12)의 구동에 따라 촬영 각도가 변경되어 모션 감지된 물체를 촬영한 후 이를 상기 저장단말(30)로 전송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제 2 영상 감지부(20)는 상기 제 1 영상 감지부(10)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1:1로 매칭되면서 농작물 경작지 주변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영상 감지부(10)에 의해 모션 감지시 연동하여 상기 제 1 영상 감지부(10)와 동일한 촬영 각도로 위치 변경이 이루어지면서 모션 감지된 상기 물체를 열화상 촬영하는 것이며, 수신부(21), 제 2 구동부(22), 제 2 카메라(23)를 포함하여둔 것이다.
상기 수신부(21)는 상기 제 1 영상 감지부(10)와의 연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어단말(40)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것이다.
상기 제 2 구동부(22)는 상기 수신부(21)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어단말(4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2 구동부(22)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 1 구동부(12)와 동일하게 상기 제 2 카메라(23)를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나의 모터와 이에 연계되는 기어들을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두거나, 또는 복수의 모터를 각각 별도 구성하여 하나의 모터는 상기 제 2 카메라(23)를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동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의 모터는 상기 제 2 카메라(23)를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동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제 2 카메라(23)는 상기 제 2 구동부(22)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 1 카메라(13)와 동일한 촬영 각도로 이동하여 상기 제 1 카메라(13)에 의해 촬영되는 모션 감지된 물체의 열화상을 촬영한 후 이를 상기 저장단말(30)로 전송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저장단말(30)은 상기 제 1 영상 감지부(10)에 포함되는 상기 제 1 카메라(13)와 상기 제 2 영상 감지부(20)에 포함되는 제 2 카메라(23)로부터 촬영되는 영상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이때, 상기 저장단말(30)은 DVR(Digital Video Recorder)로서 지능형 정전복구 처리부(IPFR; Intelligent Power Failure Recovery)(31)가 탑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지능형 정전복구 처리부(31)에는 통상의 태양광 전원 공급부(32)가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태양광 전원 공급부(32)는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자체적인 전원공급을 위해, 태양열 집열부, 상기 태양열 집열부로부터 집열되는 태양열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에너지 변환부, 그리고 상기 에너지 변환부로부터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가 포함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어단말(40)은 통신모듈(41)이 탑재된 것으로, 상기 저장단말(30)에 저장된 영상 정보의 모션과 열화상을 비교 분석하여 유해 동물 침입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경보음 출력부(50)를 제어하기 위한 작동제어신호의 송출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단말(40)은 상기 통신모듈(41)을 통해 유무선의 통신망을 이용하여 기등록된 관리 단말(60)과 접속이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상기 경보음 출력부(50)로 작동제어신호 송출시 상기 관리 단말(60)이나 클라우드 서버(600)에 유해동물 침입 상태를 통보하는 알림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단말(40)에는 상기 저장단말(30)의 영상정보 저장시간을 보정하고 상기 저장단말(30)의 설치 위치 정보를 상기 관리 단말(60) 또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600)에 전송하는 GPS단말(42)이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관리 단말(60) 또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600)에 주기적으로 상태 신호를 송출하는 상태 알림부(43)와, 상기 위치 식별부(10a)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좌표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영상 감지부(10)와 동일한 촬영 각도로 상기 제 2 영상 감지부(20)의 열화상 촬영 각도를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 2 영상 감지부(20)에 출력하는 동기화 처리부(44)가 더 포함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경보음 출력부(50)는 독립적인 단말 또는 상기 제어단말(40)내에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어단말(40)에 의해 농작물 경작지의 경계영역에서 움직임이 포착된 물체가 유해 동물로 판별되어 상기 제어단말(40)로부터 발생하는 작동제어신호가 입력시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경보음 출력부(50)는 스피커, 사이렌, 경광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상기 경보음 출력부(50)에서 출력하는 경보음은 강약이 조절된 것이지만, 반드시 이러한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다른 종류의 경보음을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관리 단말(60)은 농작물 경작지 소유주 또는 관리자의 통신 단말기로서 유,무선의 통신망 접속이 가능한 데스크탑, 노트북, 스마트폰, 스마트기기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관리 단말(60)과 상기 제어단말(40)은 상기 클라우드 서버(60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관리 단말(60) 또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600)에는 상기 제어단말(40)의 상기 상태 알림부(43)로부터 주기적으로 상태 신호 송출이 없거나 불규칙적인 주기로 상태 신호를 송출시 상기 제어단말(40)을 동작 이상으로 판단하는 관리 앱(61, 611)이 각각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해 동물 퇴치 장치는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이, 우선 농작물 경작지 주변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 1 영상 감지부(10)는 농작물 경작지 주변의 물체 움직임을 실시간 촬영하게 된다.
즉, 상기 제 1 영상 감지부(10)에 포함되는 제 1 카메라(13)는 제 1 구동부(12)의 구동에 따라 촬영 각도가 변경되면서 농작물 경작지 주변을 감시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카메라(13)의 감시 촬영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영상 감지부(10)에 포함되는 모션 감지부(11)가 농작물 경작지의 경계영역에서 물체 움직임을 포착하는 경우, 상기 제 1 카메라(13)는 움직임이 포착된 물체가 위치하는 영역을 촬영한 후 그 촬영된 영상정보를 저장단말(30)에 저장시키는 한편, 상기 제 1 영상 감지부(10)에 포함되는 위치 식별부(10a)는 상기 제 1 구동부(12)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 1 카메라(13)의 촬영 각도가 변경시 그 변경된 촬영 각도에 따른 좌표 정보를 제어단말(40)에 전송하여둔다.
그러면, 상기 제어단말(40)에 포함되는 동기화 처리부(44)는 상기 위치 식별부(10a)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좌표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영상 감지부(10)와 동일한 촬영 각도로 제 2 영상 감지부(20)의 열화상 촬영 각도를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 2 영상 감지부(20)의 수신부(21)로 전송하게 되는 바, 상기 제 2 영상 감지부(20)에 포함되는 제 2 구동부(22)는 상기 수신부(21)를 통해 수신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구동부(12)의 구동에 따른 좌표를 기준으로 구동하게 되면서 제 2 카메라(23)를 상기 제 1 카메라(13)와 동일하게 촬영 위치를 변경시키는 것이다.
이에따라, 상기 제 2 카메라(23)는 상기 제 2 구동부(22)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 1 카메라(13)와 동일한 촬영 각도로 이동하여 상기 제 1 카메라(13)에 의해 촬영되는 모션 감지된 물체를 열화상 촬영한 후 이를 상기 저장단말(30)로 저장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저장단말(30)에 제 1 및 제 2 카메라(13, 23)에 의해 촬영되는 복수의 영상 정보가 저장되면, 상기 제어단말(40)은 복수의 영상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물체의 움직임이 바람에 의한 나무나 수풀의 움직임(흔들림) 또는 유해 동물의 침입에 따른 움직임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물체의 움직임이 바람에 의한 나무나 수풀의 움직임인 경우, 상기 제 2 카메라(23)를 통해 촬영되는 열화상 영상정보에는 열화상 정보가 존재하지 않지만, 유해 동물의 침입에 따른 움직임인 경우에는 상기 제 2 카메라(23)를 통해 열화상 영상정보엔느 열화상 존재가 존재하게 되므로, 상기 제어단말(40)은 상기 복수의 영상정보 비교 분석을 통해 농작물 경작지의 경계영역으로 유해 동물 침입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고, 이에따라 작동제어신호를 경보음 발생부(50)로 송출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경보음 발생부(50)는 상기 제어단말(40)로부터 송출하는 작동제어신호에 따라 유해 동물을 농작물 경작지로부터 퇴치시키도록 강약이 조절된 경보음 또는 서로 다른 종류의 경보음을 순차적으로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단말(40)이 상기 경보음 출력부(50)로 작동제어신호를 송출하는 경우, 상기 제어단말(40)은 통신모듈(41)을 통해 유무선의 통신망을 이용하여 기등록된 관리 단말(60) 및/또는 클라우드 서버(600)에 접속하여, 상기 관리 단말(60) 및/또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600)에 유해동물 침입 상태를 통보하는 알림 메세지를 전송함은 물론, GPS단말(42)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단말(30)의 영상정보 저장시간을 보정하는 한편, 상기 저장단말(30)의 설치 위치 정보를 상기 관리 단말(60) 또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600)에 전송 처리하므로, 농작물 경작지의 소유주 또는 관리자는 언제든지 농작물 경작지로의 유해 동물 침입과 그 퇴치 상태를 실시간 통보받을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단말(40)에는 상태 알림부(43)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상기 상태 알림부(43)는 상기 통신모듈(41)을 이용하여 상기 관리 단말(60) 또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600)에 주기적으로 상태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관리 단말(60) 또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600)에는 각각 관리 앱(61, 611)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관리 앱(61, 611)은 상기 상태 알림부(43)로부터 주기적으로 상태 신호 송출이 없거나 불규칙적인 주기로 상태 신호 송출이 이루어질 때 상기 제어단말(40)을 동작 이상으로 판단한 후 그 판단 결과를 농작물 경작지 소유주 또는 관리자에게 알려줄 수 있고, 이에따라 소유주 또는 관리자는 농작물 경작지 방문을 통해 동작 이상이 발생한 제어단말(40)에 대한 유지 보수의 후속 조치를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저장단말(30)에 제 1 및 제 2 영상 감지부(10, 2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 정보가 저장될 때, 상기 저장단말(30)에는 통상의 상용전원이나 발전기의 발전에 따른 전원이 공급될 수 있지만, 만약 농작물 경작지가 전기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는 산간 지역 등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저장단말(30)에 포함되는 지능형 정전복구 처리부(IPFR)(31)에 태양광 전원 공급부(32)를 연결하여 둠으로써, 상기 저장단말(30)에 저장된 영상 정보들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이에따라 불안정한 전원 공급으로 인한 저장된 영상정보들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이는 농작물 경작지의 최외곽에 경계봉(70)에 의해 지지되는 울타리 기능의 경계선(80)을 복수라인으로 설치하는 한편, 상기 경계봉(70)에는 복수라인을 이루는 상기 경계선(80)과 연결되면서 상기 경계선(80)에 가해지는 압력 변화량에 따라 작동신호를 상기 제어단말(40)로 전송하는 감지단말(90)을 설치하여둔 것이다.
즉, 상기 경계선(80)은 울타리 기능을 하는 상기 경계봉(70)들을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 경계봉(70)과 경계봉(70)을 복수 라인으로 연결하게 되며, 상기 경계선(80)의 양끝단에 대한 고정을 위해 상기 경계봉(70)에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고리가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감지단말(90)은 상기 경계봉(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경계선(80)에 연결될 수 있은 것이며, 상기 경계선(80)을 넘기 위해 유해 동물이 가하게 되는 압력 변화량, 즉 유해 동물에 의해 상기 경계선(80)의 늘어짐이 발생시 작동신호를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상기 제어단말(40)에 출력하는 것으로, 제 1 부재(91), 제 2 부재(92), 작동로드(93), 신호 송출부(94)가 포함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1 부재(91)는 상기 작동로드(93)에 일체로 결합 구성하여둔 것으로서, 여기서의 일체화란 나사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부재(91)를 상기 작동로드(93)에 결합 고정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 부재(91)는 제 1 지지부(91a)와, 상기 제 1 지지부(91a)의 일면에서 돌출되는 텐션 곡면을 가지는 한 쌍의 제 1 결합부(91b)가 포함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2 부재(92)는 상기 경계선(80)의 일단과 연결되면서 상기 제 1 부재(91)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경계선(80)에 가해지는 압력 변화량 즉, 경계선(80)을 넘기 위한 유해 동물의 접촉력에 따라 상기 제 1 부재(91)를 일정거리만큼 당기거나 그 당김이 제한된 거리에 도달시 상기 제 1 부재(91)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2 부재(92)는 제 2 지지부(92a)와, 상기 제 1 지지부(91a)의 일면에서 돌출되면서 텐션 곡면을 가지며 상기 제 1 결합부(91b)를 감싸면서 상기 제 1 결합부(91b)에 걸림 결합되는 제 2 결합부(92b), 그리고 상기 경계선(80)의 연결 고정을 위한 고리부(92c)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첨부된 도 6에서와 같이, 텐션 곡면을 가지는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부(91b, 92b)가 결합된 상태에서, 유해동물에 의해 상기 경계선(80)의 처짐이 발생시,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부(91b, 92b)의 결속력으로부터 상기 작동로드(93)는 직선 이동을 하지만, 상기 경계선(80)의 처짐이 심해지는 상태 즉, 유해 동물이 경계선(80)을 넘을 수 있을 정도로 상기 경계선(80)의 처짐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경계선(80)이 고리부(92c)에 연결되는 상기 제 2 결합부(92b)가 상기 제 1 결합부(91b)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작동로드(93)는 상기 제 1 부재(31)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부재(91)의 당김 거리에 따라 슬라이드 방식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작동로드(93)는 신호 송출부(94)를 동작시키는 제 1 및 제 2 동작구간(B1, B2)과, 상기 제 1 및 제 2 동작구간(B1, B2) 사이에 위치하는 미동작구간(B3)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작동로드(93)의 일단은 상기 제 1 부재(91)가 결합되고, 상기 작동로드(93)의 타단은 상기 제 2 부재(92)에 의해 상기 제 1 부재(91)의 당김이 해제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부재(91)로부터 상기 제 2 부재(92)가 분리시 상기 작동로드(93)를 원래 위치로 리턴시키기 위한 스프링(95)이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스프링(95)은 상기 작동로드(93)가 제 1 및 제 2 부재(91, 92)의 결속력으로부터 직선이동시에는 신장되지만, 상기 제 2 부재(92)가 상기 제 1 부재(91)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상기 작동로드(93)를 원래 위치로 리턴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신호 송출부(94)는 상기 작동로드(93)의 직선 이동에 따라 상기 제어단말(40)에 작동신호를 순차적으로 송출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이때, 상기 신호 송출부(94)는 상기 작동로드(93)의 제 1 및 제 2 동작구간(B1, B2)에서는 상기 작동로드(93)에 접촉이 이루어져 제 1 방향(상단)으로 압착이 이루어지고, 미동작구간(B3)에서는 상기 미동작구간(B3)내에 삽입되어 제 2 방향(하단)으로 신장되는 판스프링(94a)과, 상기 판스프링(94a) 끝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동작구간(B1, B2)과 상기 미동작구간(B3)을 따라 구름동작하는 롤러(94b), 그리고 상기 판스프링(94a)이 제 1 방향으로 압착되었을 때 상기 제어단말(40)에 온 스위칭신호를 송출하도록 상기 제어단말(40)과 전기적 연결라인으로 연결되는 스위치(94c)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단말(40)은 상기 경계봉(70)에 설치되는 상기 감지단말(90)로부터 송출하는 온 또는 오프의 스위칭신호에 따라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경보음 출력부(50)에 작동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이에따라 상기 경보음 출력부(50)는 유해 동물 퇴치를 위한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농작물 경작지의 경계 영역에 일정간격을 두고 경계봉(70)을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경계봉(70)들을 울타리 기능을 하는 복수라인의 경계선(80)으로 연결하여 둔다.
그리고, 상기 경계봉(70)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감지단말(90)을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감지단말(90)에 포함되는 제 2 부재(92)의 고리부(92c)에 상기 경계선(80)의 일단을 연결하여둔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부재(92)를 작동로드(93)에 결합되어 일체화를 이루는 제 1 부재(91)에 끼움 결합시킨다.
즉, 상기 제 1 부재(91)의 제 1 지지부(91a)에는 텐션 곡면을 가지는 한 쌍의 제 1 결합부(91b)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2 부재(92)의 제 2 지지부(92a)에는 텐션 곡면을 가지는 한 쌍의 제 2 결합부(92b)가 돌출 형성됨은 물론, 상기 제 2 결합부(92b)가 상기 제 1 결합부(91b)보다 그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2 결합부(92b)가 상기 제 1 결합부(91b)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작동로드(93)는 스프링(9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부(31b, 32b)의 방향과는 반대되는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상기 작동로드(93)에 형성되는 제 1 동작구간(B1)에 신호 송출부(94)의 판스프링(94a)이 접촉되어, 상기 판스프링(94a)은 제 1 방향(도면 기준으로 상단)으로 압착되고, 이에따라 상기 판스프링(94a)이 제어단말(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94c)를 누르게 되면서, 상기 스위치(94c)는 온의 스위칭신호를 제어단말(40)로 송출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설치 구조를 이룬 상태에서 유해 동물이 경계선(80)에 접근하여, 상기 경계선(80)을 지면 방향으로 늘어뜨리거나 또는 밀게 되면, 상기 경계선(80)의 늘어짐 또는 밀림현상으로부터, 상기 경계선(80)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감지단말(90)의 제 2 부재(92)는 제 1 및 제 2 결합부(91b, 92b)의 결합력으로부터 제 1 부재(91)를 첨부된 도 5a에서와 같이 1차 당기게 되고, 상기 제 1 부재(91)의 1차 당김으로부터 작동로드(93)가 당김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신호 송출부(94)에 포함되는 압착상태인 판스프링(94a)은 구름롤러(94b)의 구름동작으로부터 첨부된 도 5b에서와 같이 작동로드(93)의 제 1 동작구간(B1)에서 미동작구간(B3)에 위치하면서 스위치(94c)의 누름은 해제되므로, 상기 제어단말(40)에는 오프의 스위칭신호가 전달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유해 동물에 의한 상기 경계선(80)의 늘어짐이나 밀림현상이 커지면, 상기 경계선(20)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감지단말(90)의 제 2 부재(92)는 첨부된 도 5c에서와 같이 제 1 및 제 2 결합부(91b, 92b)의 결합력으로부터 제 1 부재(91)를 2차 당기게 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결합부(91b)로부터 상기 제 2 결합부(92b)가 분리되면, 상기 제 1 부재(91)의 2차 당김 또는 상기 제 2 부재(92)의 분리로부터 작동로드(93)의 직선 이동거리는 더욱 커지게 된다.
그러면, 상기 작동로드(93)의 미동작구간(B3)에 위치하던 판스프링(94a)은 구름롤러(94b)의 구름동작으로부터 작동로드(93)의 제 2 동작구간(B2)에서 2차적인 압착이 이루어져 상기 스위치(94c)를 누르게 되며, 상기 스위치(94c)는 상기 판스프링(94a)의 누름으로부터 온의 스위칭신호를 제어단말(40)에 송출하고, 이에따라 상기 제어단말(40)은 작동제어신호를 경보음 출력부(50)에 출력하게 되면서, 상기 경보음 출력부(50)는 단수 또는 서로 다른 레벨을 가지는 복수의 경보음을 출력하여, 경계선(80)을 넘고자 하는 유해동물이 놀라 도망가도록 하고, 이를 통해 유해 동물에 의한 농작물 피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유해 동물에 의해 상기 경계선(80)에 가해지는 늘어짐 또는 밀림 압력이 크게 작용하여, 첨부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경계선(80)이 지면에 접촉되는 상태까지 진행하면서, 상기 감지단말(90)에 포함되는 제 1 부재(91)에 형성되는 제 1 결합부(91b)로부터 제 2 부재(92)에 형성되는 제 2 결합부(92b)의 분리가 이루어지면, 상기 제 1 부재(91)는 물론 이에 결합되는 작동로드(93)는 스프링(95)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리턴되고, 상기 작동로드(93)가 원래 위치로 리턴시 상기 판스프링(94a)이 스위치(94c)를 누르게 된다.
더불어, 유해 동물에 의해 눌려지거나 밀림된 상기 경계선(80)은 상기 제 1 및 제 2 부재(91, 92)의 분리상태로부터 그 파손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며, 이에 상기 제 1 및 제 2 부재(91, 92)의 재연결작업으로부터 다시 사용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경계선(80)을 유해 동물이 파손시키더라도, 상기 제 1 및 제 2 부재(91, 92)의 분리작업을 통해 끊어짐과 같은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이를 재연결작업을 통해 재사용이 가능한 것이며, 이에따라 유해 동물에 의한 파손된 울타리의 재료를 재구입하여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해 동물 퇴치 장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제 1 및 제 2 영상 감지부(10, 20)의 감지 동작에 따라 물체의 움직임을 포착하고 그 포착된 물체가 유해 동물인지를 판단할 때, 그 판단에 대한 정확성을 높이도록 물리적인 감지수단으로서 울타리 기능의 경계선(80)을 더 적용하여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제어단말(40)은 상기 제 1 및 제 2 영상 감지부(10, 20)에 의해 감지되는 영상 정보, 그리고 상기 경계선(80)과 연결되는 상기 감지단말(90)의 감지 정보를 취합하게 되고, 상기와 같이 취합된 정보를 통해 농작물 경작지로의 유해 동물 침입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음은 물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침입한 유해 동물의 퇴치를 위한 강력한 경보음 출력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첨부된 도 1에서와 동일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 표시하여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야생동물 퇴치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제 1 영상 감지부 10a; 위치 식별부
11; 모션 감지부 12; 제 1 구동부
13; 제 1 카메라 20; 제 2 영상 감지부
21; 수신부 22; 제 2 구동부
23; 제 2 카메라 30; 저장단말
31; 지능형 정전복구 처리부 32; 태양광 전원 공급부
40; 제어단말 41; 통신모듈
42; GPS단말 43; 상태 알림부
44; 동기화 처리부 50; 경보음 출력부
60; 관리 단말 70; 경계봉
80; 경계선 90; 감지단말
91; 제 1 부재 91a; 제 1 지지부
91b; 제 1 결합부 92; 제 2 부재
92a; 제 2 지지부 92b; 제 2 결합부
92c; 고리부 93; 작동로드
94; 신호 송출부 94a; 판스프링
94b; 롤러 94c; 스위치
95; 스프링 600; 클라우드 서버
61, 611; 관리 앱

Claims (13)

  1. 농작물 경작지 주변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모션 감지에 따라 촬영 각도가 변경되어 움직임이 포착된 물체를 촬영하는 제 1 영상 감지부; 상기 제 1 영상 감지부와 매칭되도록 농작물 경작지 주변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제 1 영상 감지부에 의해 모션 감지시 연동하여 동일한 촬영 각도로 위치 변경이 이루어지면서 모션 감지된 상기 물체를 열화상 촬영하는 제 2 영상 감지부; 상기 제 1 및 제 2 영상 감지부로부터 촬영된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단말; 상기 저장단말에 저장되는 모션과 열화상의 영상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유해 동물 침입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작동제어신호의 송출 여부를 결정하는 통신모듈이 탑재된 제어단말; 및, 상기 제어단말로부터 작동제어신호가 송출시 유해 동물 퇴치를 위한 경보음 출력이 이루어지는 경보음 출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단말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유,무선의 통신망을 이용하여 기등록된 관리 단말 또는 클라우드 서버와 접속하되, 상기 제어단말은 상기 경보음 출력부에 작동제어신호를 송출시 상기 관리 단말 또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유해동물 침입 상태를 통보하는 알림 메세지를 전송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농작물 경작지의 최외곽에는 경계봉에 의해 지지되는 울타리 기능의 경계선을 복수라인으로 설치하되, 상기 경계봉에는 복수라인을 이루는 상기 경계선과 연결되면서 상기 경계선에 가해지는 압력 변화량에 따라 작동신호를 상기 제어단말로 전송하는 감지단말; 을 설치하고,
    상기 감지단말에는, 제 1 부재; 상기 경계선의 일단과 연결되면서 상기 제 1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경계선에 가해지는 압력 변화량에 따라 상기 제 1 부재를 일정거리만큼 당기거나 그 당김이 제한된 거리에 도달시 상기 제 1 부재로부터 분리되는 제 2 부재; 상기 제 1 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제 1 부재의 당김거리에 따라 슬라이드 방식으로 직선 이동하는 것으로, 제 1 및 제 2 동작구간,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동작구간 사이에 위치하는 미동작구간이 형성되는 작동로드; 및, 상기 작동로드의 직선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동작구간과, 상기 제 1 및 제 2 동작구간 사이의 상기 미동작구간에 위치하게 되면서 온 또는 오프의 스위칭신호를 상기 제어단말에 송출하는 신호송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로드의 일단에는 상기 제 1 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작동로드의 타단에는 상기 제 2 부재에 의해 상기 제 1 부재의 당김이 해제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부재로부터 상기 제 2 부재가 분리시 상기 작동로드를 원래 위치로 리턴시키기 위한 스프링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동물 퇴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단말은 DVR로서 지능형 정전복구 처리부(IPFR)를 탑재하고, 상기 지능형 정전복구 처리부에는 태양광 전원 공급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동물 퇴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말에는 상기 저장단말의 영상정보 저장시간을 보정하고, 상기 저장단말의 설치 위치 정보를 상기 관리 단말 또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GPS단말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동물 퇴치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말은 상기 관리 단말 또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주기적으로 상태 신호를 송출하는 상태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동물 퇴치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단말 또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는 상기 상태 알림부로부터 주기적으로 상태 신호 송출이 없거나 불규칙적인 주기로 상태 신호를 송출시 상기 제어단말을 동작 이상으로 판단하는 관리 앱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동물 퇴치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상 감지부가 바람에 의한 나무나 수풀의 움직임 또는 유해 동물의 침입에 따른 움직임을 감지하여 촬영 각도를 변경시 그 변경된 촬영 각도에 따른 좌표 정보를 상기 제어단말에 전송하는 위치 식별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단말에는 상기 위치 식별부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좌표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영상 감지부와 동일한 촬영 각도로 상기 제 2 영상 감지부의 열화상 촬영 각도를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 2 영상 감지부에 출력하는 동기화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동물 퇴치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상 감지부는, 물체의 움직임을 포착하는 모션 감지부; 상기 모션 감지부에 의해 포착된 물체의 움직임에 따라 구동하는 제 1 구동부; 및, 상기 제 1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촬영 각도가 변경되어 모션 감지된 물체를 촬영한 후 이를 상기 저장단말로 전송하는 제 1 카메라;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위치 식별부는 상기 제 1 구동부의 구동에 따른 움직임 벡터를 통해 상기 제 1 카메라의 촬영 각도에 대한 좌표 정보를 산출하고 이를 상기 제어단말에 전송하는 산출 프로그램을 탑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동물 퇴치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상 감지부는,
    상기 제어단말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제 2 구동부; 및, 상기 제 2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 1 카메라와 동일한 촬영 각도로 이동하여 상기 제 1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모션 감지된 물체의 열화상을 촬영한 후 이를 상기 저장단말로 전송하는 제 2 카메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동물 퇴치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는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1 지지부의 일면에서 돌출되는 텐션 곡면을 가지는 한 쌍의 제 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부재는 제 2 지지부와, 상기 제 2 지지부의 일면에서 돌출되면서 텐션 곡면을 가지며 상기 제 1 결합부를 감싸면서 상기 제 1 결합부에 걸림 결합되는 제 2 결합부 및, 상기 경계선의 연결 고정을 위한 고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동물 퇴치 장치.
  12. 삭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송출부는,
    상기 작동로드의 제 1 및 제 2 동작구간에서는 상기 작동로드에 접촉이 이루어져 제 1 방향으로 압착되고, 상기 미동작구간에서는 상기 미동작구간내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로 신장되는 판스프링; 상기 판스프링의 끝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동작구간과 상기 미동작구간을 따라 구름동작하는 롤러; 및, 상기 제어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판스프링이 제 1 방향으로 압착시 상기 제어단말에 온 또는 오프의 스위칭신호를 전송하는 스위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동물 퇴치 장치.
KR1020180113714A 2018-09-21 2018-09-21 유해 동물 퇴치 장치 KR102082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714A KR102082959B1 (ko) 2018-09-21 2018-09-21 유해 동물 퇴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714A KR102082959B1 (ko) 2018-09-21 2018-09-21 유해 동물 퇴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2959B1 true KR102082959B1 (ko) 2020-02-28

Family

ID=69638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714A KR102082959B1 (ko) 2018-09-21 2018-09-21 유해 동물 퇴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29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3839B1 (ko) * 2021-08-03 2022-09-19 김민원 야생동물 및 침입자 퇴치를 위한 트랩장치
KR20220155146A (ko) * 2021-05-14 2022-11-22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육상 동물 포획 방법 및 장치
KR20230169695A (ko) 2022-06-09 2023-12-18 김병필 유해동물 퇴치 시스템 및 퇴치 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770B1 (ko) * 2006-12-28 2008-04-18 주식회사 에스원 침입 감지 센서
KR200460553Y1 (ko) 2009-04-24 2012-07-20 대한민국 야생동물 퇴치장치
KR101251867B1 (ko) 2012-07-20 2013-04-10 이상욱 농작물 보호를 위한 야생동물 적응화 퇴치 장치, 그리고 야생동물 적응화 퇴치 장치를 위한 제어 단말
KR20150012329A (ko) * 2013-07-24 2015-02-04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유해동물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503077B1 (ko) 2009-06-26 2015-03-18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농업용 유해동물의 퇴치장치
KR20150092633A (ko) * 2014-02-05 2015-08-13 하규호 화재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소화 시스템
KR101740714B1 (ko) * 2015-12-07 2017-06-09 설순길 농작물도난방지 및 동물침입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101874564B1 (ko) * 2018-01-22 2018-07-04 주식회사 광진기업 IoT 딥러닝 카메라와 인식기술을 사용한 IoT 융복합을 통한 지능형 유해동물과 조류 방제장치를 이용한 방제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770B1 (ko) * 2006-12-28 2008-04-18 주식회사 에스원 침입 감지 센서
KR200460553Y1 (ko) 2009-04-24 2012-07-20 대한민국 야생동물 퇴치장치
KR101503077B1 (ko) 2009-06-26 2015-03-18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농업용 유해동물의 퇴치장치
KR101251867B1 (ko) 2012-07-20 2013-04-10 이상욱 농작물 보호를 위한 야생동물 적응화 퇴치 장치, 그리고 야생동물 적응화 퇴치 장치를 위한 제어 단말
KR20150012329A (ko) * 2013-07-24 2015-02-04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유해동물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92633A (ko) * 2014-02-05 2015-08-13 하규호 화재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소화 시스템
KR101740714B1 (ko) * 2015-12-07 2017-06-09 설순길 농작물도난방지 및 동물침입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101874564B1 (ko) * 2018-01-22 2018-07-04 주식회사 광진기업 IoT 딥러닝 카메라와 인식기술을 사용한 IoT 융복합을 통한 지능형 유해동물과 조류 방제장치를 이용한 방제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5146A (ko) * 2021-05-14 2022-11-22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육상 동물 포획 방법 및 장치
KR102587129B1 (ko) 2021-05-14 2023-10-06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육상 동물 포획 방법 및 장치
KR102443839B1 (ko) * 2021-08-03 2022-09-19 김민원 야생동물 및 침입자 퇴치를 위한 트랩장치
KR20230169695A (ko) 2022-06-09 2023-12-18 김병필 유해동물 퇴치 시스템 및 퇴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2959B1 (ko) 유해 동물 퇴치 장치
KR101565134B1 (ko)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
US11576367B2 (en) System and methods for automated wildlife detection, monitoring and control
EP3682737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unting agricultural pests inside a trap
KR101740714B1 (ko) 농작물도난방지 및 동물침입방지장치 및 그 방법
US967945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of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130048033A (ko) 무선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원격 과수농작물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JP2017205033A (ja) 鳥獣害対策システム
US20070163516A1 (en) Intelligent scarecrow system for utilization in agricultural and industrial applications
KR20210011098A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스마트 팜 원격 경보 시스템
KR20200091524A (ko) 농작물 관리 장치
KR101096155B1 (ko) 실외 적응형 감시 시스템
KR20010112180A (ko) 움직임 추적 감시 및 격퇴 시스템
JP2015035979A (ja) 野生動物追い込みシステム
KR102210076B1 (ko) 유해 야생동물 감시, 추적 및 포획 지원 서버 및 시스템
KR20150080070A (ko) 태양광 에너지 발생장치가 부착된 절전형 야생동물 자동 퇴치용 시스템
KR100688243B1 (ko) 야생동물 원격 포획시스템
KR102030770B1 (ko)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2092061B1 (ko) 유해동물 관리시스템
KR200266128Y1 (ko) 움직임 추적 감시 및 격퇴 시스템
CN114038154A (zh) 用于森林草原火灾预警的人工智能明火探测系统和方法
TWM509392U (zh) 農作監控防盜系統
CN217359877U (zh) 基于物联网森林病害虫监测预警系统
TWI832139B (zh) 用以監測天線陣列的方法及系統
KR20230169695A (ko) 유해동물 퇴치 시스템 및 퇴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