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0076B1 - 유해 야생동물 감시, 추적 및 포획 지원 서버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해 야생동물 감시, 추적 및 포획 지원 서버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0076B1
KR102210076B1 KR1020200046284A KR20200046284A KR102210076B1 KR 102210076 B1 KR102210076 B1 KR 102210076B1 KR 1020200046284 A KR1020200046284 A KR 1020200046284A KR 20200046284 A KR20200046284 A KR 20200046284A KR 102210076 B1 KR102210076 B1 KR 102210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ing
information
location
catcher
harmful wi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6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국
신진교
김광래
Original Assignee
김원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국 filed Critical 김원국
Priority to KR1020200046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0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B64C2201/12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Abstract

유해 야생동물의 감시 및 추적 지원 서버로서, 통신망을 통하여,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른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부, 및 복수의 포수- 상기 복수의 포수 각각은 각 포수 단말을 구비함 -에 의해, 소정의 지역에서, 포획을 위하여, 유해 야생동물에 대한 추적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상기 유해 야생동물의 추적을 지원하는 위치 추적 지원부를 포함하는 서버가 제공된다. 본 개시의 상기 위치 추적 지원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포수의 각 포수 단말로부터 상기 각 포수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각 포수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포수 단말 각각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유해 야생동물 감시, 추적 및 포획 지원 서버 및 시스템{SYSTEM AND SERVER FOR SUPPORTING OF MONITORING, CAPTURING AND TRACKING HARMFUL WILD ANIMALS}
본 개시는, 유해 야생동물의 감시, 추적 및 포획을 지원하고, 추적 및 포획과 관련된 안전 사고 발생 예방을 지원할 수 있는 종합적 감시, 추적 및 포획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지나 기타 주변 지역 농지 등에서, 유해 야생동물들, 예컨대 고라니, 멧돼지, 각종 조류, 설치류 등이 사람들의 안전을 위협하거나 재산상 손해를 일으키는 일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2009년 통계에 따르면, 이러한 유해 야생동물들은 전력 시설, 농작물, 양식장, 항공기, 군부대 등에 연간 약 489억원의 피해를 입힌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최근 보도에 따르면, 유해 야생동물의 서식밀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이들에 의한 피해 또한 점점 더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유해 야생동물들과 관련하여, 이들의 서식현황이나 이동 경로, 이들의 출현에 의한 신고/피해사례 및 현황 등에 관한 정보가 개개의 사건별로 개별 처리되고 있을 뿐, 관련 정보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비슷한 지역에 비슷한 형태의 피해가 지속하여 발생함에도, 유해 야생동물로 인한 피해를 미연에 방지한다거나 이전의 피해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피해에 대한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처가 이루어지지는 못하고 있다.
한편, 유해 야생동물들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서, 이들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전기 울타리, 종/폭음 퇴치벨, 기피제, 포획트랩 등의 다양한 보호 장치들이 활용되기도 하지만, 직접적으로 개체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총포에 의한 사살 방식이 가장 근본적 퇴치 방법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총포에 의한 사살 방식은, 포수들이 유해 야생동물을 추격하여 총포에 의해 사살(포획)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추격과 및 사살(포획)이 일어나는 지역이 주로 수풀이 많은 산지라는 점에서, 시야를 확보하기가 어렵고 도주하는 유해 야생동물의 도주 경로를 파악하기가 어려워서 추적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나아가 멧돼지 등 위협적 야생동물의 추적 및 포획이라는 긴장된 상황이라는 점에서, 포획에 투입된 포수들은 매우 긴장된 상태에 있을 수 있고, 조그만 소리에도 과민하게 반응할 수 있다. 따라서, 유해 야생동물 추적 중의 포수들이 실수로 서로를 향하여 발포하는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유해 야생동물들의 서식현황이나 이동 경로, 이들과 관련된 신고/피해사례 및 현황, 대응을 위한 인적/물적 자산 현황 등을 비롯한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누적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피해 발생을 미연에 예측하고 그에 대응한 적절한 예방적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실제 피해가 발생한 경우에도 그에 대응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종합적 데이터 수집/분석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실제로 피해(유해 야생동물 출현)가 발생하였을 때, 유해 야생동물의 추적 및 사살(포획)에 투입된 포수들이, 유해 야생동물의 도주 경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한편, 불의의 안전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유해 야생동물 포획 및 추적을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일 특징에 의하면, 유해 야생동물의 감시 및 추적 지원 서버로서, 통신망을 통하여,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른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부, 및 복수의 포수- 상기 복수의 포수 각각은 각 포수 단말을 구비함 -에 의해, 소정의 지역에서, 포획을 위하여, 유해 야생동물에 대한 추적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상기 유해 야생동물의 추적을 지원하는 위치 추적 지원부를 포함하는 서버가 제공된다. 본 개시의 상기 위치 추적 지원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포수의 각 포수 단말로부터 상기 각 포수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각 포수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포수 단말 각각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해 야생동물의 감시 및 추적 지원 서버는 유해 야생동물 관련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는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유해 야생동물 관련 정보는, 유해 야생동물 출현 정보- 상기 유해 야생동물 출현 정보는, 출현 야생동물 종류, 출현 날짜 및 시간, 출현 당시 날씨, 출현 위치, 및 피해 농작물 종류 및 분포 현황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함 -와, 유해 야생동물 위치 추정 지원 정보- 상기 위치 추정 지원 정보는, 지역별 지도 정보 및 각 지역 내에서 발생한 로드킬 위치 정보를 포함함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해 야생동물의 감시 및 추적 지원 서버는,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유해 야생동물 출현 정보에 기초하여, 임의의 기계학습 기반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소정의 지역에서의 상기 유해 야생동물의 출현 가능성을 예측하도록 구성된 야생동물 출현 예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야생동물 출현 예측부의 예측 결과를 외부로 전송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위치 추적 지원부는, 상기 소정의 지역에서, 포획을 위하여 상기 유해 야생동물에 대한 상기 추적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추적에 연관된 하나 이상의 추적견에게 부착된 위치 추적기 각각로부터 상기 각 위치 추적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각각의 상기 위치 추적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포수 단말 각각으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추적에 연관된 하나 이상의 드론으로부터 상기 추적에 연관된 하나 이상의 열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열영상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포수 단말 각각으로 전송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유해 야생동물 감시 및 포획 지원 시스템으로서, 소정의 지역에서, 포획을 위한 유해 야생동물의 추적에 관여하는 복수의 포수 단말, 통신망, 및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포수 단말 각각과 통신하는, 상기 유해 야생동물의 추적을 지원하는 포획 지원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유해 야생동물 감시 및 포획 지원 시스템에서, 상기 포획 지원 서버는, 상기 유해 야생동물의 추적을 지원하는 위치 추적 지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추적 지원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포수 단말 각각으로부터 상기 각 포수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각 포수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포수 단말 각각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포수 단말 각각은, 상기 포획 지원 서버로부터, 상기 추적에 관여하는 상기 복수의 포수 단말 각각의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지도 정보와 함께 시각적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포획 지원 서버는, 유해 야생동물 관련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는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유해 야생동물 관련 정보는, 유해 야생동물 출현 정보- 상기 유해 야생동물 출현 정보는, 출현 야생동물 종류, 출현 날짜 및 시간, 출현 당시 날씨, 출현 위치, 피해 농작물 종류 및 분포 현황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함 -와, 유해 야생동물 위치 추정 지원 정보- 상기 위치 추정 지원 정보는, 지역별 지도 정보 및 각 지역 내에서 발생한 로드킬 위치 정보를 포함함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포획 지원 서버는,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유해 야생동물 출현 정보에 기초하여, 임의의 기계학습 기반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소정의 지역에서의 상기 유해 야생동물의 출현 가능성을 예측하도록 구성된 야생동물 출현 예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야생동물 출현 예측부의 예측 결과를 외부로 전송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유해 야생동물 감시 및 포획 지원 시스템은, 상기 소정의 지역에서, 상기 유해 야생동물의 상기 추적에 관여하는 하나 이상의 드론- 상기 드론은 열영상 카메라를 구비함 -, 및 상기 소정의 지역에서, 상기 유해 야생동물의 상기 추적에 관여하는 하나 이상의 추적견에 각각 부착된 하나 이상의 추적견 위치 추적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포획 지원 서버의 상기 위치 추적 지원부는, 상기 소정의 지역에서, 상기 포획을 위한 상기 유해 야생동물의 상기 추적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추적에 관여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추적견 위치 추적기 각각으로부터 상기 추적견 위치 추적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각각의 상기 추적견 위치 추적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복수의 포수 단말 각각으로 전송하고, 상기 추적에 관여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드론으로부터 상기 추적에 연관된 하나 이상의 열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열영상 정보를 상기 복수의 포수 단말 각각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포수 단말 각각은,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포획 지원 서버로부터, 상기 추적견 위치 추적기 각각의 위치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열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각 정보를, 지도 정보와 함께 시각적으로 표시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유해 야생동물들의 서식현황이나 이동 경로, 이들과 관련된 신고/피해사례 및 현황, 대응을 위한 인적/물적 자산 현황 등을 비롯한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누적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피해 발생을 미연에 예측하고 그에 대응한 적절한 예방적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총포를 이용하여 유해 야생동물의 추적 및 사살(포획)이 이루어질 때, 그러한 추적 및 포획에 투입된 포수들이, 유해 야생동물의 도주 경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한편, 포수 서로 간의 위치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의의 안전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유해 야생동물에 대한 용이한 추적 및 포획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야생동물 감시/포획 지원 시스템(1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감시/포획 지원 서버(150)의 예시적 기능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포수 단말(130)의 예시적 기능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미 공지된 기능 및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어디까지나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한 것일 뿐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에서 사용된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단수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면 복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되는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항목에 의한 임의의 가능한 모든 조합들을 포괄하는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개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이고, 이러한 용어의 사용에 의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적 부분을 의미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또는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야생동물 감시/포획 지원 시스템(1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유해 야생동물 감시/포획 지원 시스템(100)은, 복수의 제어센터 단말(110), 복수의 농민 단말(120), 복수의 포수 단말(130), 통신망(140), 유해 야생동물 감시/포획 지원 서버(150), 하나 이상의 추적견 위치 추적기(160) 및 하나 이상의 드론(170)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해 야생동물 감시/포획 지원 시스템(100)은, 예컨대 멧돼지, 고라니 등의 위협적인 유해 야생동물의 서식 현황 및 신고 관련 정보들을 수집 및 분석하고, 그로부터 얻은 패턴에 따라, 야생동물 출현이 예측될 경우 이를 미리 통지하여 미연의 피해에 미리 대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해 야생동물 포획지원 시스템(100)은, 또한, 유해 야생동물의 출현이 신고되었을 때, 해당 지역에, 포수들을 투입하여 총포에 의하여, 신고된 유해 야생동물을 추적 및 포획(사살)하고자 하는 경우에, 포수들이 해당 유해 야생동물의 추적 및 포획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해 야생동물 감시/포획 지원 시스템(100)에서, 감시/포획 지원 서버(150)는, 통신망(140)을 통하여, 복수의 제어센터 단말(110), 복수의 농민 단말(120), 및 복수의 포수 단말(130) 각각과 통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제어센터 단말(110)은, 유해 야생동물 출현시 피해 신고를 접수 및 처리하고, 그에 대한 대응 조치(예컨대, 등록된 포수들에 대한 포획 지시 등)를 컨트롤하는, 각 거점별 제어센터(예컨대, 각 지역 관련 행정부처 공무원)의 통신 단말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농민 단말(120)은, 야생동물 출현지 인근의 거주 주민 또는 농민들이 보유한 각각의 유무선 통신 단말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포수 단말(130)은, 유해 야생동물 감시/포획 지원 시스템(100)에 등록된 각 포수가 보유한 각각의 휴대 단말, 예컨대 스마트폰 등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제어센터 단말(110) 각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유해 야생동물 출현시 피해 신고를 접수 및 처리하고, 그에 대한 대응 조치(예컨대, 등록된 포수들에 대한 포획 지시 등)를 제어하는, 각 거점별 제어센터(예컨대, 각 지역 관련 행정부처 공무원 또는 담당자)의 통신 단말, 예컨대 각 담당자의 데스크탑, 랩탑, 휴대 단말 등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해 야생동물 출현에 대한 신고가, 후술하는 각 농민 단말(120)(또는 기타 다른 통신 단말 등)로부터, 각 지역별 제어센터 단말(110)로 접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신고를 접수한 각 제어센터 단말(110)은, 접수된 신고에 대응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관련자들에게 지시를 내릴 수 있다. 예컨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각 제어센터 단말(110)은, 접수된 신고에 대응하여, 미리 등록된 각 포수 단말(130)로 피해 신고 관련 정보(예를 들어, 출현 야생동물 종류, 출현 장소)와 함께 대응 사살/포획 지시를 내릴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각 제어센터 단말(110)은, 각각의 신고가 발생하고 그에 대응한 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 해당 신고 및 대응에 관련된 각종 정보, 예컨대 해당 신고와 관련된 유해 야생동물 종류, 출현 장소, 피해 현황(인명 피해 여부, 작물 종류, 분포 및 양 등을 비롯한 각종 재산 피해 현황 등), 신고 날짜/시간, 날씨 등의 신고 관련 정보와, 대응을 위한 현장 출동 시간, 도주 경로, 포획장소 등의 대응 관련 정보 등 각종 정보를 통신망(140)을 통해 감시/포획 지원 서버(15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유해 야생동물 감시/포획 지원 시스템(100)이 복수의 제어센터 단말(110)을 포함하고, 각 피해 발생 신고는 각 제어센터 단말(110)로 전달되며, 제어센터 단말(110)의 컨트롤 하에 그에 대한 대응이 이루어지고, 각 피해 신고 및 대응 관련 정보는 제어센터 단말(110)을 통해 감시/포획 지원 서버(150)로 전송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해 야생동물 감시/포획 지원 시스템(100)은 제어센터 단말(110)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각 신고의 접수 및 대응 조치의 컨트롤, 관련 정보의 수집이 모두 감시/포획지원 서버(150)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농민 단말(120)은, 유해 야생동물 감시/포획 지원 시스템(100)에 등록한, 야생동물 출현지 인근의 거주 주민 또는 농민들이 보유한 각각의 유무선 통신 단말(예컨대 각 농민의 데스크탑, 랩탑,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 등)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해 야생동물의 출현 또는 그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였을 때, 각 농민은, 자신이 보유한 단말(120)을 통해 피해 발생 신고를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각 농민 단말(120)로부터의 피해 발생 신고는, 통신망(140)을 통하여, 전술한 제어센터 단말(110) 및/또는 감시/포획 지원 서버(150)로 전송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포수 단말(1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유해 야생동물 감시/포획 지원 시스템(100)에 등록된 각 포수가 보유한 각각의 휴대 단말, 예컨대 스마트폰 등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포수 단말(130) 각각은, GPS 등 포수 단말(130)의 이동에 따라 변화하는 위치 정보를 계속하여 획득 및 제공하는 위치 추적 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포수 단말(130) 각각은, 감시/포획 지원 서버(150)로부터, 현재 해당 유해 야생동물의 추적 및 포획(사살)에 참여 중인 다른 포수 단말들의, 실시간 변화하는 위치 정보를 계속하여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포수 단말(130) 각각은, 또한, 포수 단말(130) 각각의 위치 정보뿐만 아니라, 추적 중인 유해 야생동물의 위치를 추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기타 각종 지원 정보를 감시/포획 지원 서버(150)로부터 계속하여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포수 단말(130) 각각은, LCD, OLED 등으로 구성된 시각 표시부를 구비하고, 해당 포수 단말과 함께, 현재 해당 유해 야생동물의 추적 및 포획(사살)에 참여 중인 다른 포수 단말들의 위치를 지도 상에 표시하는 시각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포수 단말(130) 각각은, 감시/포획 지원 서버(150)로부터 수신한 각종 위치 추정 지원 정보를 시각 표시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망(140)은, 복수의 제어센터 단말(110), 복수의 농민 단말(120), 및 복수의 포수 단말(130)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추적견 위치 추적기(160) 및 하나 이상의 드론(170)이 감시/포획 지원 서버(150)와 통신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망(140)은, 임의의 유무선 통신망, 예컨대 TCP/IP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망(140)은, 예컨대 Wi-Fi망, LAN망, WAN망, 인터넷망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망(140)은, 예컨대 이더넷, GSM,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CDMA, TDMA, OFDM, 블루투스, VoIP, Wi-MAX, Wibro 기타 임의의 다양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해 야생동물의 추적에는, 하나 이상의 추적견이 이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해 야생동물의 추적에 투입된 각 추적견에는 위치 추적기(160)가 설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추적견 위치 추적기(160)는, GPS 등 추적견의 이동에 따라 변화하는 위치 추적기(160)의 위치 정보를 계속하여 획득 및 제공하는 위치 추적 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 이상의 드론(170)은, 카메라, 열영상 카메라 등을 구비한 임의의 형태의 무인 비행체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 이상의 드론(170) 각각은, 현재 추적 중인 유해 야생동물의 도주 경로를 따라 상공에서 영상 및/또는 열영상 촬영을 수행할 수 있고, 촬영된 정보를 통신망(140)을 통해 감시/포획 지원 서버(15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드론(170)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이후 각 포수 단말(130)로 제공되어 현재 유해 야생동물을 추적 중인 각각의 포수들이 유해 야생동물의 도피 상황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얻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감시/포획 지원 서버(1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망(140)을 통하여, 복수의 제어센터 단말(110), 복수의 농민 단말(120), 복수의 포수 단말(130), 하나 이상의 추적견 위치 추적기(160), 및 하나 이상의 드론(170) 각각과 통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감시/포획 지원 서버(150)는, 각 제어센터 단말(110) 및/또는 각 농민 단말(120)로부터 피해 신고 발생 및 그에 관한 피해 관련 상황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감시/포획 지원 서버(150)는, 각 포수 단말(130), 추적견 위치 추적기(160), 및/또는 드론(170) 등으로부터 유해 야생동물의 추적에 관한 정보, 예컨대 추적 시간, 추적 및 도주 경로, 포획 장소 등의 다양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감시/포획 지원 서버(150)는, 유해 야생동물에 대한 추적 및 포획 작전이 실행되는 동안에, 통신망(140)을 통하여, 복수의 포수 단말(130) 및 하나 이상의 추적견 위치 추적기(160) 각각으로부터 각 포수 단말(130)의 변화하는 위치와 각 추적견 위치 추적기(160)의 변화하는 위치를 계속하여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감시/포획 지원 서버(150)는, 통신망(140)을 통하여, 하나 이상의 드론(170) 각각으로부터 촬영된 영상/열영상 정보를 계속하여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감시/포획 지원 서버(150)는, 통신망(140)을 통하여, 복수의 포수 단말(130) 각각으로, 앞서 수집된 각 포수 단말(130) 및 각 추적견 위치 추적기 (160)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계속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감시/포획 지원 서버(150)는, 통신망(140)을 통하여, 복수의 포수 단말(130) 각각으로, 앞서 각 드론(170)으로부터 획득된 영상 정보를 계속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감시/포획 지원 서버(150)는 또한 유해 야생동물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수집 및 저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해 야생동물에 관한 피해 신고가 이루어질 때마다, 감시/포획 지원 서버(150)는, 각 제어센터 단말(110) 및/또는 각 농민 단말(120)로부터 해당 피해 신고 정보, 예컨대 신고된 동물 유형, 장소, 피해의 발생 날짜 및 시간, 날씨, 피해의 유형(인명 또는 재산 피해, 피해 농작물의 종류 및 분포 현황 등) 등 각종 관련 정보를 수집 및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감시/포획 지원 서버(150)는 또한, 각 신고 발생시, 임의의 방식에 의해(예컨대, 별도의 관련 서버를 통하여), 그 피해 신고가 발생한 지역 별로, 해당 지역의 지도(도로) 정보, 그 지역 내에서 발생한 로드킬 위치 정보(각 지역의 도로 상에서 발생한 로드킬 정보는 해당 지역 내에서 야생동물들의 주 이동 경로를 추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이는 현재 추적 중인 야생동물의 도주 경로를 추정하는데에도 이용될 수 있음) 등을 수집 및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유해 야생동물에 관한 피해 신고에 대응한 추적이 이루어질 때마다, 감시/포획 지원 서버(150)는, 그 유해 야생동물의 추적에 관한 정보, 예컨대 추적 시간, 추적 및 도주 경로, 포획 장소 등의 다양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감시/포획 지원 서버(150)는, 수집된 각 정보를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각 지역별로, 유해 야생동물의 출현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고, 유해 야생동물의 출현 가능성이 소정 기준을 넘는 경우, 해당 지역의 관련 제어센터 단말(110) 및/또는 농민 단말(120)로 이를 통지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감시/포획 지원 서버(150)의 예시적 기능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감시/포획 지원 서버(150)는, 통신부(152), 정보 데이터베이스(154), 야생동물 출현 예측부(156), 및 위치 추적 지원부(158)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부(152)는, 감시/포획 지원 서버(150)가 통신망(140)을 통하여 임의의 프로토콜에 따라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해 야생동물에 관한 피해 신고가 이루어질 때마다, 그 피해 신고 정보, 예컨대 신고된 야생동물 종류, 장소, 피해의 발생 날짜 및 시간, 날씨, 피해의 유형(인명 또는 재산 피해, 피해 농작물의 종류 등) 등 각종 관련 정보가 통신망(140) 및 통신부(152)를 통하여 수신되고, 정보 데이터베이스(154)가 수신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해 야생동물에 관한 피해 신고에 대응한 추적이 이루어질 때마다, 그 유해 야생동물의 추적에 관한 정보, 예컨대 추적 시간, 추적 및 도주 경로, 포획 장소 등의 다양한 정보가 통신망(140) 및 통신부(152)를 통하여 수신되고, 정보 데이터베이스(154)가 수신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또한 기타 각종 유해 야생동물 관련 정보, 예컨대 특정 지역에서 유해 야생동물에 관한 신고가 들어와서 해당 야생동물에 대한 추적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도주 중인 해당 야생동물의 도주 경로 및 위치를 추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각종 정보가 통신부(152)를 통하여 미리 수집되어 정보 데이터베이스(154)에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각 지역 별로, 해당 지역의 지도(도로) 정보, 그 지역 내에서 발생한 로드킬 위치 정보(각 지역의 도로 상에서 발생한 로드킬 정보는 해당 지역 내에서 야생동물들의 주 이동 경로를 추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이는 현재 추적 중인 야생동물의 도주 경로를 추정하는데에도 이용될 수 있음) 등이 별도의 관련 서버들(예컨대, 도로교통관리공사 정보 제공 서버 등)로부터 수집 및 저장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야생동물 출현 예측부(156)는, 정보 데이터베이스(154) 상에 수집 및 저장된 각 정보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각 지역별로, 유해 야생동물의 출현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 예컨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야생동물 출현 예측부(156)는, 전술한 각종 누적 정보들, 예컨대 각 신고와 관련하여 수집된 각 지역별 유해 야생동물의 출현 시기, 날씨, 관련된 농작물 현황, 주변 지역 정보 등을 분석하고 이들을 패턴화하여, 해당 지역의 해당 야생동물 출현 시기를 예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야생동물 출현 예측부(156)는, 신경망 방식 및 기타 다양한 기계학습 알고리즘에 따라, 수집된 정보들에 기초하여 각 지역별 유해 야생동물 출현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야생동물 출현 예측부(156)에 의한 예측 결과가 소정 기준을 넘는 경우, 감지/포획 지원 서버(150)는, 통신부(152)를 통하여, 관련 지역의 농민 단말(120) 및/또는 제어센터 단말(110)로 그러한 예측 결과를 통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위치 추적 지원부(158)는, 특정 지역에서, 포획을 위하여 유해 야생동물에 대한 추적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통신부(152)를 통하여, 그 추적에 관여하고 있는 복수의 포수 단말(130) 각각으로부터 각 포수 단말(13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각 포수 단말의 위치 정보를, 복수의 단말(130)들 모두에게 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위치 추적 지원부(158)는 또한, 특정 지역에서, 포획을 위하여 유해 야생동물에 대한 추적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통신부(152)를 통하여, 그 추적에 관여하고 있는 각 추적견의 위치 추적기(160) 각각로부터 각각의 위치 추적기(16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각각의 위치 추적기(160)의 위치 정보를, 복수의 포수 단말(130)들 모두에게 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위치 추적 지원부(158)는 또한, 특정 지역에서, 포획을 위하여 유해 야생동물에 대한 추적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통신부(152)를 통하여, 그 추적에 관여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드론(170) 각각으로부터 촬영된 하나 이상의 열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열영상 정보를 복수의 포수 단말(130)들 모두에게 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위치 추적 지원부(158)는 또한, 특정 지역에서, 포획을 위하여 유해 야생동물에 대한 추적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통신부(152)를 통하여, 정보 데이터베이스(154)에 저장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의 관련 정보를 복수의 포수 단말(130)들 모두에게 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포수 단말(130)의 예시적 기능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포수 단말(130)은, 통신부(131), 위치 정보 획득/제공부(132), 도주 경로 추정 지원 정보 획득부(133), 지도 정보 저장부(134), 및 정보 표시부(135)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부(131)는, 포수 단말(130)이, 통신망(140)을 통하여 임의의 프로토콜에 따라 감시/포획 지원 서버(150)와 통신하여,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위치 정보 획득/제공부(132)는, 계속하여 이동하는 해당 포수 단말(130)의 위치를 추적하고 현재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위치 정보 획득/제공부(132)는, 지속적으로 해당 포수 단말(13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통신부(131)를 통하여 외부의 감시/포획 지원 서버(15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위치 정보 획득/제공부(132)는 또한, 통신부(131)를 통하여 외부의 감시/포획 지원 서버(150)로부터 수신된 다른 포수 단말들(130)의 위치 정보를 계속하여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주 경로 추정 지원 정보 획득부(133)는, 통신부(131)를 통하여 외부의 감시/포획 지원 서버(150)로부터, 현재 추적 중인 야생동물의 도주 경로(위치)를 추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즉, 포수가 도주 경로 추정에 이용할 수 있는 각종 정보들), 예컨대 드론(170)이 상공에서 촬영한 도주 지역 일대의 영상 정보(열영상 정보 등), 감시/포획 지원 서버(150)가 미리 수집하여 저장하고 있는 해당 지역 내 관련 정보, 예컨대 세부 도로 정보, 각 도로 상의 로드킬 정보, 이전의 각 피해 발생 장소 및 피해 관련 각종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지도 정보 저장부(134)는, 각 지역의 지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지도 정보 저장부(134)는, 직접 지도 정보를 저장하는 대신에, 다른 외부의 지도 정보 제공 서버(도시되지 않음)로부터 통신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지도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보 표시부(135)는, LCD, OLED 등을 비롯한 각종 유형의 임의의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보 표시부(135)는, 위치 정보 획득/제공부(134) 및 도주 경로 추정 지원 정보 획득부(133)가 획득한 각종 정보들, 예컨대 각 포수들의 위치 정보, 각 추적견 위치 추적기의 위치 정보, 기타 도주 경로 추정을 지원할 수 있는 정보들을, 지도 정보상에 또는 지도 정보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보 표시부(135)에 표시된 각 정보들은, 각 포수들에게 시각적으로 인지되어, 각 포수가 야생동물을 추적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유해 야생동물로 인한 피해 신고가 발생한 경우, 그 발생 신고에 관련된 정보, 예컨대 피해가 발생한 지역, 시간, 날씨, 피해 농작물 등 각종 정보들이 수집 및 저장됨으로써, 감시/포획 지원 서버(150)를 통하여, 유해 야생동물 관련 데이터베이스 및 추적/포획 지원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유해 야생동물 감시/포획 지원 시스템(100)의 추적/포획 지원 서버(150)에, 유해 야생동물의 추적에 나선 포수들의 각 휴대 단말을 미리 등록하도록 하고, 실제 추적이 발생하는 동안 각 포수의 휴대 단말로 유해 야생동물 추적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각 포수의 휴대 단말(130)로, 해당 포수의 위치(지도상 위치 등), 해당 유해 야생동물 추적에 나선 다른 포수들의 위치 정보 등을 제공하여, 포수들이 서로의 위치를 인식하도록 하고, 포수들 간의 잘못된 오인 발포가 일어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추적/포획 지원 서버(150)는, 추적 대상이 되는 유해 야생동물의 추적에 이용되는 드론(170)과 연계할 수 있고, 드론(170)에 설치된 열영상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열영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그 수신된 열영상 정보를 촬영 위치 정보와 함께 각 포수의 휴대 단말(13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유해 야생동물의 추적 및 포획에는, 추적견이 투입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추적견에게 위치 추적기(160)(예컨대, GPS 목걸이)를 설치할 수 있고, 추적/포획 지원 서버(150)는, 각 위치 추적기(160)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추적견의 이동 경로를 모니터링하고, 그 이동 정보(위치 정보)를 각 포수의 휴대 단말(130)로 제공할 수 있다. 추적견의 이동은 통상 추적 대상이 되는 유해 야생 동물이 있는 위치(도주로)를 향하여 이루어지게 되므로, 휴대 단말을 통하여 추적견의 이동 경로를 수신한 포수들은 유해야생동물의 대략적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유해야생동물의 추적이 주로 이루어지는 산지 지역 등에 도로가 있을 경우 로드킬 발생 확률이 높을 수 있다. 따라서, 유해 야생동물의 추적/포획 지원 서버(150)는, 각 도로의 로드킬 정보 등을 미리 수집 및 저장하고 이를 포수 단말(130)로 제공하여, 각 포수가 이를 기초로 유해 야생동물의 분포를 추정 및 예측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이 본 개시에 기술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개시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재구성 및 대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기술들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유해 야생동물 감시 및 포획 지원 시스템으로서,
    소정의 지역에 연관된 복수의 농민 단말;
    상기 소정의 지역을 관할하는 지역 제어센터 단말;
    상기 지역 제어센터 단말과 연관되어 미리 등록된 복수의 포수 단말;
    통신망; 및
    포획 지원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지역 제어센터 단말은,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농민 단말중 임의의 농민 단말로부터, 상기 소정의 지역 내 유해 야생동물의 출현에 관한 신고를 수신하고,
    상기 신고를 수신한데 응답하여, 상기 포획 지원 서버로 상기 신고를 전송하고, 또한 상기 미리 등록된 복수의 포수 단말 각각으로 대응지시- 상기 대응지시는, 출현한 상기 유해 야생동물의 종류와 출현 장소, 및 사살 또는 포획지시를 포함함 -를 전송하며,
    상기 신고에 대한 대응이 이루어진 후에, 상기 포획 지원 서버로, 상기 유해 야생동물의 출현 관련 정보- 상기 출현 관련 정보는, 상기 신고에 관련된, 상기 유해 야생동물 종류 및 출현 장소, 출현 날짜 및 시간, 날씨, 및 피해 현황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함 -와, 상기 유해 야생동물의 추적 관련 정보- 상기 추적 관련 정보는, 상기 유해 야생동물에 대한 추적 시간, 추적 및 도주 경로, 및 사살 또는 포획 장소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함 -를 전송하고,
    상기 포획 지원 서버는,
    상기 신고에 대한 대응을 위하여 상기 유해 야생동물의 추적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포수 단말 각각으로부터 실시간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포수 단말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실시간 위치 정보들을 상기 복수의 포수 단말 각각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위치 추적 지원부;
    상기 지역 제어센터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유해 야생동물 출현 관련 정보와 상기 유해 야생동물의 추적 관련 정보, 지역별 지도 정보, 및 지역별 로드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유해 야생동물 출현 관련 정보와 상기 유해 야생동물의 추적 관련 정보, 상기 지역별 지도 정보, 및 상기 지역별 로드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임의의 기계학습 기반 알고리즘에 따라, 지역별 유해 야생동물의 출현 가능성을 예측하도록 구성된 야생동물 출현 예측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획 지원 서버는 또한 상기 야생동물 출현 예측부의 예측 결과에 따른, 상기 소정의 지역에서의 유해 야생동물의 출현 가능성이 소정 기준 이상일 때 상기 지역 제어센터 단말로 통지하도록 더 구성된, 유해 야생동물 감시 및 포획 지원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신고에 대한 대응을 위하여 상기 유해 야생동물의 추적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복수의 포수 단말 각각은, 상기 포획 지원 서버로부터, 상기 복수의 포수 단말 각각의 상기 실시간 위치 정보들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들에 기초하여 해당 포수 단말의 위치와 다른 포수 단말들의 위치를, 지도 정보와 함께 시각적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유해 야생동물 감시 및 포획 지원 시스템.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 야생동물 감시 및 포획 지원 시스템은,
    상기 소정의 지역에서, 상기 유해 야생동물의 상기 추적에 관여하는 하나 이상의 드론- 상기 드론은 열영상 카메라를 구비함 -, 및
    상기 소정의 지역에서, 상기 유해 야생동물의 상기 추적에 관여하는 하나 이상의 추적견에 각각 부착된 하나 이상의 추적견 위치 추적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포획 지원 서버의 상기 위치 추적 지원부는, 상기 소정의 지역에서, 상기 포획을 위한 상기 유해 야생동물의 상기 추적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추적에 관여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추적견 위치 추적기 각각으로부터 상기 추적견 위치 추적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각각의 상기 추적견 위치 추적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복수의 포수 단말 각각으로 전송하고, 상기 추적에 관여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드론으로부터 상기 추적에 연관된 하나 이상의 열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열영상 정보를 상기 복수의 포수 단말 각각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유해 야생동물 감시 및 포획 지원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포수 단말 각각은,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포획 지원 서버로부터, 상기 추적견 위치 추적기 각각의 위치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열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각 정보를, 지도 정보와 함께 시각적으로 표시하도록 더 구성된, 유해 야생동물 감시 및 포획 지원 시스템.
KR1020200046284A 2020-04-16 2020-04-16 유해 야생동물 감시, 추적 및 포획 지원 서버 및 시스템 KR102210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284A KR102210076B1 (ko) 2020-04-16 2020-04-16 유해 야생동물 감시, 추적 및 포획 지원 서버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284A KR102210076B1 (ko) 2020-04-16 2020-04-16 유해 야생동물 감시, 추적 및 포획 지원 서버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0076B1 true KR102210076B1 (ko) 2021-02-02

Family

ID=74559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284A KR102210076B1 (ko) 2020-04-16 2020-04-16 유해 야생동물 감시, 추적 및 포획 지원 서버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00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4458A (ko) 2021-03-03 2022-09-1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주파 신호를 이용한 자동 탐지 추적 시스템
KR102604360B1 (ko) * 2022-10-19 2023-11-20 최진호 열화상 드론을 이용한 유해동물 포획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9994A (ko) * 2010-12-21 2012-06-29 박경호 증강현실 및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동물위치추적시스템
WO2012172183A1 (en) * 2011-06-16 2012-12-20 Tracker Oy Warning method and arrangement for a moving target
US20160223278A1 (en) * 2013-10-24 2016-08-04 Alfa Yuta, Prompting, Development And Advanced Technology Ltd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the prevention of friendly fire incidents
KR20170054808A (ko) * 2015-11-10 2017-05-1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을 이용한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퇴치 방법.
KR20190033892A (ko) * 2017-09-22 2019-04-01 국립생태원 야생동물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9994A (ko) * 2010-12-21 2012-06-29 박경호 증강현실 및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동물위치추적시스템
WO2012172183A1 (en) * 2011-06-16 2012-12-20 Tracker Oy Warning method and arrangement for a moving target
US20160223278A1 (en) * 2013-10-24 2016-08-04 Alfa Yuta, Prompting, Development And Advanced Technology Ltd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the prevention of friendly fire incidents
KR20170054808A (ko) * 2015-11-10 2017-05-1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을 이용한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퇴치 방법.
KR20190033892A (ko) * 2017-09-22 2019-04-01 국립생태원 야생동물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방상원, 차량-야생동물 충돌사고 제어와 방지를 위한 적정 야생동물의 이동통로 확보방안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정책보고서, 2018.12.31. 1부.* *
송원경 외 1명, 고라니 서식지 분석을 위한 기계학습식 종분포모형 비교,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28, No. 1, 2012. 1부.*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4458A (ko) 2021-03-03 2022-09-1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주파 신호를 이용한 자동 탐지 추적 시스템
KR102604360B1 (ko) * 2022-10-19 2023-11-20 최진호 열화상 드론을 이용한 유해동물 포획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0076B1 (ko) 유해 야생동물 감시, 추적 및 포획 지원 서버 및 시스템
US10026165B1 (en) Object image recognition and instant active response
KR101762511B1 (ko) 드론을 이용한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퇴치 방법.
EP2775447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d eliminating pests
US20060176169A1 (en) System for sensing environmental conditions
US20180293444A1 (en) Automatic pest monitoring by cognitive image recognition with two cameras on autonomous vehicles
KR20180001429A (ko) 음원 탐지 및 IoT 기술을 적용한 유해 조수 퇴치 시스템
US20190019066A1 (en) Induction detector systems
KR101113757B1 (ko) 무인 로봇을 이용하여 조류를 퇴치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7545352A (zh) 有害动物管理系统
JP6421390B2 (ja) 動物の処分方法及び動物の処分装置
Egan Evaluating the potential utility of drones to deter birds from areas of human-wildlife conflict
JP2017209057A (ja) 動物の処分装置
JP3555893B2 (ja) 有害生物を集中捕獲するための捕獲用トラップ、捕獲用トラップを備えた有害生物監視装置及び有害生物監視システム
Cox et al. Thermal-assisted aerial culling (TAAC) for the improved control of vertebrate pest animal populations
Peters et al. Goodnature automatic traps for vertebrate pest control: field trials using new kill traps targeting animal pests in New Zealand
KR101966898B1 (ko) 자율 방범 시스템
Fernández A minimally invasive capture system for the safe and compassionate live-trapping of jaguar and puma
DeFusco et al. Airport Wildlife Population Management
Keiter et al. Use of cellular‐linked cameras to monitor live‐trapping of wildlife
Gau et al. Aerial Monitoring for Wild Pigs in the Northwest Territories
Davis Influence of Vegetative Characteristics on Predation and Predator Assemblage of Bird Nests
Clarke et al. Eyes on the forest: CCTV and ecotourism in Indian tiger reserves
EP4082337A1 (en) Bird deterring system with uav
JP7228852B6 (ja) 害鳥獣威嚇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