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5134B1 -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 - Google Patents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5134B1
KR101565134B1 KR1020150027313A KR20150027313A KR101565134B1 KR 101565134 B1 KR101565134 B1 KR 101565134B1 KR 1020150027313 A KR1020150027313 A KR 1020150027313A KR 20150027313 A KR20150027313 A KR 20150027313A KR 101565134 B1 KR101565134 B1 KR 101565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ldlife
unit
light emitting
monitor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7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8526A (ko
Inventor
임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안스
Publication of KR20150118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5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5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1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light sources, e.g. lasers or flashing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10Device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animals, birds or other pes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생동물의 감지성능을 향상시키고 궁극적으로 야생동물의 퇴치 성능까지 향상시킬 수 있는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감시하고자 하는 구역 내에 야생동물이 침입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도록 구역 내를 감시하는 레이더(11)와 야생동물이 방출하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센서(12)가 융합된 융합센서(10)가 구비된 야생동물 감시기(20)와, 상기 야생동물 감시기(20)에서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아 야생동물인지를 판단하고, 야생동물인 경우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30) 및 상기 제어부(30)의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야생동물을 퇴치할 수 있는 고휘도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수단(40)로 구성됨으로써, 야생동물의 감지성능을 향상시켜 야생동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퇴치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WILD ANIMALS EXTERMINATION SYSTEM}
본 발명은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야생동물인지를 판별하고, 야생동물을 퇴치할 수 있는 광을 순간적으로 발광시켜 야생동물을 퇴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동물 퇴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가 또는 과수원에서 특히 농작물의 수확기에 멧돼지와 같은 야생동물의 잦은 출몰로 인하여 농작물이 종종 큰 피해를 입는다. 또한 야산에 먹이가 부족한 경우에는 인가에까지 자주 야생동물이 출몰하여 사람까지 다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야생동물 중에서 특히 멧돼지의 출몰로 인한 인적, 경제적 피해는 농가에 큰 손실을 입히고 있다.
이러한 농가의 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많은 대응방법이 사용중이다. 일예로 멧돼지의 천적관계인 호랑이의 울음소리, 사람 소리, 멧돼지가 고통스러워하는 괴성을 반복하여 발생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간헐적으로 번쩍거리는 섬광 램프를 사용하거나, 호랑이 배설물을 멧돼지가 주로 출몰하는 전답이나 과수원 주변에 뿌려두는 방법 등을 사용한다.
이러한 멧돼지의 농작물과 과수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는 종래의 기술은 단순한 동작이 반복적으로 지속되거나 정적인 물체를 활용한 야생동물 퇴치기를 사용하는 경우, 처음에는 일부 퇴치효과가 있으나, 멧돼지가 이러한 패턴에 금세 적응하게 되어 그 효과 및 실효성이 단기적으로 그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멧돼지를 감지하는 센서의 성능 한계로 인해 야생동물 퇴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10-1251867호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융합센서를 이용하여 야생동물의 감지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력이 나쁜 멧돼지의 특성을 이용하여 고휘도의 발광수단을 발광시켜 멧돼지를 효과적으로 퇴치할 수 있는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야생동물 감시기를 제어할 수 있어 제어의 편의성과 신뢰성이 향상된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융합센서와 제어부를 일체화시켜 센서에서 감지를 함과 동시에 야생동물을 판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감지성능 향상과 신속한 퇴치가 가능한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은 감시하고자 하는 구역 내에 야생동물이 침입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도록 구역 내를 감시하는 레이더와 야생동물이 방출하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센서가 융합된 융합센서가 구비된 야생동물 감시기; 상기 야생동물 감시기에서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아 야생동물인지를 판단하고, 야생동물인 경우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야생동물을 퇴치할 수 있는 고휘도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수단(40);을 포함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야생동물 감시기에는 상기 제어부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내장형 소프트웨어가 있어 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융합센서에서 발생시키는 신호를 전달받아 감지된 물체가 야생동물인지를 판단하여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판단에 따라 상기 발광수단의 발광을 제어하는 발광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광 제어부는 시간별로 상기 감지신호가 발생되는 빈도수를 측정하여 야생동물이 주로 출몰하는 시간대를 산출하고, 야생동물이 주로 출몰하는 시간대에는 발광되는 광의 휘도를 다른 시간대 보다 높게 하거나, 발광되는 횟수를 증가시킨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광수단은 고휘도 엘이디 탐조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융합센서에서 감지된 주변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및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제1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무선 통신부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제2무선 통신부와, 상기 제2무선 통신부를 통해 전달받은 주변 상황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무선통신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얻은 영상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발광수단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1무선 통신부로 송신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다수 개 존재하는 경우, 상기 야생동물 감시기는 다수 개의 상기 이동 단말기로 동시에 수집된 주변 상황 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야생동물 감시기에는 태양광을 감지하여 시스템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도 센서가 더 포함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야생동물 감시기에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발생시키는 태양광 발전기와 풍력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발생시키는 풍력 발전기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전원공급부가 더 포함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광수단은 상기 야생동물 감시기와 분리되어 구성되고, 상기 야생동물 감시기에서 야생동물이 감지되면 상기 발광수단과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광수단이 발광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전달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융합센서에는 감시하고자 하는 구역이나 침입한 대상물을 촬영하는 카메라가 더 포함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에는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회전부; 및 상기 제1회전부의 회전축과 교차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1회전부에 장착되는 제2회전부로 구성된 복합힌지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2회전부에는 상기 카메라와 상기 발광수단이 장착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은 지면에 세워지는 기둥부재; 상기 기둥부재에 장착되고 풍력을 이용해 전원을 생성하는 풍력 발전기; 상기 기둥부재에 장착되고 태양광을 이용해 전원을 생성하는 태양광 발전기; 상기 기둥부재에 장착되고 감시하고자 하는 구역 내에 야생동물이 침입하는지 감시하는 융합센서; 상기 기둥부재에 장착되고 야생동물을 퇴치할 수 있는 고휘도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수단; 및 상기 융합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아 촬영된 물체가 야생동물인지를 판단하고, 야생동물인 경우 상기 발광수단을 발광시킨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LTE(Long Term Evolution)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전달받은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은 레이더와 적외선 감지센서가 융합된 융합센서를 이용하므로 감지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휘도의 빛을 발광하는 발광수단을 이용하여 야생동물을 퇴치하므로 멧돼지의 퇴치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야생동물 감시기가 촬영하는 영상을 이동 단말기로 보면서 야생동물 감시기를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원거리에서의 감시가 용이하고 제어의 편의성 및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야생동물이 출몰하는 빈도수가 잦은 시간대에는 발광수단에서 발광되는 빛을 세기를 세게 하거나 발광되는 빈도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야생동물 퇴치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야생동물 중 특히 멧돼지를 탐지할 수 있는 신뢰성 높은 지능화된 감지센서와 멧돼지를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50)로 관찰하면서 정확하게 빛을 발광할 수 있다. 그리고 태양광과 LTE 통신을 이용하여 어디든지 설치가 용이하고 위치 이동이 가능하며, 어디에서든지 이동 단말기로 야생동물의 출현을 알고 야생동물의 취약점을 공격하여 퇴치함으로써 사전에 멧돼지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인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을 도시한 상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야생동물 감시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 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인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을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인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의 카메라를 도시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1)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개략적인 것으로 다소 변경될 수 있다. 2) 도면은 관찰자의 시선으로 도시되기 때문에 도면을 설명하는 방향이나 위치는 관찰자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3) 도면 번호가 다르더라도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4)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5) 단수로 설명되는 경우 다수로도 해석될 수 있다. 6) 형상, 크기의 비교, 위치 관계 등이 '약, 실질적' 등으로 설명되지 않아도 통상의 오차 범위가 포함되도록 해석된다. 7) '~후, ~전, 이어서, 후속하여, 이때' 등의 용어가 사용되더라도 시간적 위치를 한정하는 의미로 사용되지는 않는다. 8)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단순히 구분의 편의를 위해 선택적, 교환적 또는 반복적으로 사용되며 한정적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9)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측면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가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10) 부분들이 '~또는'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경우 부분들 단독뿐만 아니라 조합도 포함되게 해석되나, '~또는, ~중 하나'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경우 부분들 단독으로만 해석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인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을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야생동물 감시기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은 지면에 세워지는 기둥부재(2)와, 기둥부재(2)에 장착되는 풍력발전기(82), 태양광 발전기(81), 융합센서(10), 발광수단(40)으로 구성된다.
기둥부재(2)는 지면 위에 세워지는 기둥형상으로 구성되고, 설치 위치에 따라 그 형상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80)을 이루는 태양광 발전기(81)와 풍력 발전기(82)는 장착되는 부품의 가동에 필요한 전력을 자체적으로 생성하고,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로 인해 전기 및 통신 케이블의 연결이 불필요하고, 야생동물 퇴치시스템의 독립적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기둥(1)에 설치되는 장치로는,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은 감시하고자 하는 구역 내에 야생동물이 침입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야생동물 감시기(20)와, 제어부(30)와, 발광수단(40)과, 이동 단말기(50)와, 4G LTE망(60)과, 조도센서(70)와, 전원공급부(80)로 구성된다.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이 적용되는 동물은 농작물에 피해를 입히는 조류, 포유류 등의 모든 동물을 포함하며 본 발명에서는 멧돼지를 일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야생동물 뿐만 아니라 침입자를 감시하거나 퇴치하는데 활용할 수도 있다.
야생동물 감시기(20)는 감시하고자 하는 구역 내에 야생동물 특히 멧돼지기 침입하였는지를 판단하고 퇴치할 수 있도록 한다. 야생동물 감시기(20)는 레이더(11)와 야생동물이 방출하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센서(12)가 융합된 융합센서(10)가 장착된다. 또한 추가적으로 융합센서(10)에 대상물을 촬영하는 카메라(13)가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3)는 융합센서(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로 분리되어 장착될 수도 있다. 융합센서(10)를 이루는 레이더(11)는 모든 물체의 크기와 움직임을 탐지하는데 탁월한 성능을 발휘하므로 감지 속도와 감지 크기 등에 탁월한 반면 온도에 취약하나, 사람이나 동물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을 탐지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열적외선 센서(12)는 온도에 강하고 감지 속도에 취약하므로 두 센서를 융합한 융합센서(10)는 각각 센서의 장점만을 조합하여 감지 성능이 향상되어 무탐지나 오탐지 등이 거의 없다. 레이더(11)와 열적외선 센서(12)의 개수는 감시하고자 하는 구역의 환경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3)는 스마트 IP카메라로서, 100만에서 1000만 화소(바람직하게는 100만화소)의 영상 촬영이 가능하고, 프레임은 1~30fps가 바람직하다. 카메라(13)는 cc카메라와 같이 자체 구동장치가 내장되어 355도까지 회전이 가능하고, 녹화기능과 양방향 오디오 기능도 탑재되어 있다. 또한 스마트 IP카메라에는 모션감지를 위해 외부감지센서가 추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레이더(11) 한 개와 적외선 감지센서(12) 두 개를 조합하는 구조로 구성되고, 열악한 옥외환경의 대응을 위해 센서간 상호 인터록 되어 있어 모든 센서가 물체를 탐지시 최대한 야생동물의 동작패턴과 야생동물에게서 방출되는 열적외선으로 상호검증필터링 할 수 있는 내장형 소프트웨어와 센서간 상호 인터록으로 신뢰성을 극대화 시킨다.
야생동물 감시기(20)에는 야생동물 감시기(20)를 이루는 융합센서(10)에서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아 야생동물인지를 판단하고, 야생동물인 경우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30)가 구성된다. 제어부(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야생동물 감시기(20) 내에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후술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통제서버에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융합센서(10)의 내부에 일체로 구성되는 고성능 마이크로칩에 알고리즘과 내장형 소프트웨어에 의해 융합센서(10)에 기 입력된 멧돼지 등의 크기나 동작패턴과 감지된 정보를 비교하여 감지된 물체가 멧돼지 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30)는 융합센서(10)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열악한 옥외환경의 대응을 위해 알고리즘과 내장형 소프트웨어 기술로 상호 인터록되어 있어 모든 센서가 물체를 탐지시 최대한 멧돼지의 동작패턴과 멧돼지에게서 방출되는 열적외선으로 상호검증 필터링하고 상호 인터록으로 그 신뢰성을 극대화한 소프트웨어로 설계된 것이 최대 장점으로 자연환경의 오동작이나 물체의 움직임을 분별하여 최대한 신뢰성을 확보한다.
제어부(30)는 융합센서(10)의 탐지신호 및 영상을 전달받는 판단부(31)와, 발광수단(40)의 발광을 제어하는 발광 제어부(32)와, 융합센서(10)에서 감지된 주변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33)와, LTE(Long Term Evolution)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제1무선 통신부(34)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어부(30)를 판단부(31), 발광 제어부(32), 정보 수집부(33), 제1무선 통신부(34) 등으로 구성되는 것을 일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어부(30)가 융합센서(10)의 내부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의 적용도 가능하고, 융합센서(10)에서 알고리즘과 내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야생동물인지를 직접 판단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정보 수집부(33)에서는 융합센서(10)에서 촬영되는 레이더와 적외선 감지센서, 카메라 등에 의해 생성되는 영상이나 감지신호등을 통해 주변 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정보 수집부(33)에서 수집된 주변 상황 정보를 판단부(31)로 전송한다. 판단부(31)는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감지된 물체가 야생동물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판단부(31)는 기 입력된 멧돼지 등의 크기나 행동패턴과 입력된 정보를 비교하여 감지된 물체가 야생동물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발광 제어부(32)는 감지된 물체가 야생동물로 판단된 경우 발광수단(40)의 발광을 제어하여 점등시킨다. 발광수단(40)이 점등되면 고휘도의 광이 순간적으로 발광되고, 그 빛에 의해 멧돼지를 퇴치하게 되는 것이다. 멧돼지는 야행성 동물이고 시력이 나쁜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발광수단(40)에서 순간적으로 강한 휘도의 빛을 발광시키면 멧돼지는 이 빛에 놀라 구역 밖으로 도망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발광 제어부(32)는 시간별로 판단부(31)에서 야생동물이라고 판단하는 빈도수를 측정하고, 야생동물이 주로 출몰하는 시간대를 산출한다. 산출결과 야생동물이 주로 출몰하는 시간대에는 발광수단(40)에서 발광되는 광의 휘도를 다른 시간대에 발광되는 광의 휘도보다 높게 하여 야생동물의 퇴치 효과가 향상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야생동물이 주로 출몰하는 시간대에는 발광수단(40)에서 발광되는 광의 횟수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광의 회수를 증가시킨다는 것은 야생동물의 1회 감지시에 동일한 휘도의 광을 연속적으로 두 번 이상 발광함으로써, 야생동물의 퇴치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동 단말기(50)는 LTE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정보를 제1무선 통신부(34)와 송수신하는 제2무선통신부(51)와, 제2무선통신부(51)를 통해 전달받은 주변 상황 정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52)가 구비된다. 또한 이동 단말기(50)에는 디스플레이부(52)를 통해 얻은 영상정보를 보고 사용자가 발광수단(40)의 발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가 구비되고, 제어부에서 발생된 제어신호를 제2무선통신부(51)를 통해 제1무선통신부(34)로 송신한다. 제1무선통신부(34)에서 수신된 제어신호를 발광 제어부(32)로 전달되고, 그 제어신호에 따라 발광수단(4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이동 단말기(50)가 다수개 존재하는 경우, 야생동물 감시기(20)는 다수개의 이동 단말기(50)로 동시에 수집된 주변 상황 정보를 LTE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송신한다.
이동 단말기(12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또는 네비게이션 등과 같이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모든 단말기를 의미한다.
이동 단말기용 무선 통신은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4G LTE 망(60)을 통해 무선으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2)는 이동 단말기(50)에서 처리된 정보를 표시(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52)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상기 제어부는 키패드, 마우스,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은 사용자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야생동물 감시기(20)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원격 제어 신호를 이동 단말기용 제2무선통신부(51)를 통해 야생동물 감시기(20)의 제1무선통신부(34)로 전송한다. 원격 제어 신호는 야생동물 감시기(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이다. 예를 들면, 원격 제어 신호는 야생동물 감시기(20)의 이동, 전원, 정보 전송 등을 제어하는 신호일 수 있다.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야생동물 감지기는 무선화를 통해 유선 설치에 따른 대규모의 기반 공사가 불필요하며, 유선의 노후화에 따른 사후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야생동물 감지기는 모바일화를 통해 이동하면서 실시간으로 정보를 파악하고, 즉각적으로 야생동물 감지기(20)를 원격 제어함으로써 퇴치에 필요한 반응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발광수단(40)은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야생동물을 퇴치할 수 있는 고휘도의 광을 발광한다. 발광수단(40)으로는 고휘도의 엘이디 탐조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수단(40)은 약 55W 정도로 이루어지지만, 빛의 조사각도가 6도 이하로 빛이 집중되어 300m 이상 집중해서 조명하고 사용자가 이를 이동 단말기(50)로 관찰하면서 멧돼지 눈을 정확히 비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발광수단(40)은 야생동물 감시기(20)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발광수단(40)이 야생동물 감시기(20)와 분리되어 설치되는 경우, 케이블로 연결되어 작동신호를 전달받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발광수단(40)이 야생동물 감시기(20)와 별도로 구성되면서 제어신호를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야생동물 감시기(20)가 발광수단(40)에 정보를 전달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야생동물 감시기(20)의 융합센서(10)에서 야생동물을 감지하면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30)에서 감지된 신호가 야생동물로 판명되는 경우 발광 제어부(32)에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신호는 제1무선통신부(34)에서 제어신호를 송신하면 발광수단(40)에서는 그 제어신호를 무선통신으로 전달받아 발광수단(40)이 빛을 발광하는 것이다. 이때 발광수단(40)에는 무선통신부가 추가적으로 설치되어 제1무선통신부(34)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는다.
야생동물 감시기(20)에는 태양광을 감지하여 시스템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도센서(70)와, 태양광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발생시키고 저장하는 태양광 발전기(81)가 설치된다. 태양광 발전기(81)는 태양열을 집열하여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열전지판(solar panel)과 태양열전지판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를 배터리에 충전하는 충전부로 이루어진다. 태양광 발전기(81)의 충전부에 충전된 전력은 시스템을 이루는 각 구성품이 작동되는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은 야생동물 감시기(20)에서 감지된 신호가 야생동물로 판명되는 경우에만 시스템이 작동되어 발광수단(50)이 작동되므로 전력소모가 적기 때문에 태양광 발전기(81)로도 충분한 전원 공급이 가능하다.
또한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기(81) 및 풍력 발전기(82) 이외에 발전기를 장착하거나, 별도의 배터리를 내부에 연결하거나, 외부 전력선을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인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1)의 작동 과정은 다음과 같다.
감시하고자 하는 구역 내에 야생동물 특히 멧돼지가 나타나면, 레이더(11)와 적외선 센서(12) 및 카메라(13)로 이루어진 융합센서(10)에서 이를 감지한다.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30)로 전달된다. 제어부(30)에 전달된 신호는 정보 수집부(30)에 저장된다. 정보 수집부(30)에 저장되는 신호는 판단부(31)에 전달되어 전송된 정보가 야생동물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판단부(31)에서 촬영된 신호가 야생동물로 판단되면, 그 신호를 제1무선 통신부(34)에서 4G LTE망(60)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50)의 제2무선통신부(51)로 송신한다. 이때, 이동 단말기(50)는 감지경보가 울리고 메시지가 전송되며 이동 단말기(50)는 제2무선통신부(51)를 통해 전달받은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52)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52)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확인하고, 자동 또는 수동으로 발광수단(40)을 작동시킬 수 있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발생된 제어신호는 제2무선통신부(51)를 통해 제1무선통신부(34)로 송신되고, 제1무선통신부(34)로 전달된 제어신호는 발광제어부(32)로 전달되어 발광수단(40)이 빛을 발광할 수 있도록 작동시킨다.
경우에 따라서는 판단부(31)에서 촬영된 영상이 야생동물로 판단되는 경우, 즉각 적으로 발광 제어부(32)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발광수단(40)에서 빛이 발광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융합센서(10)에서 영상이 촬영되고 발광수단(40)이 발광되는 동안까지의 과정을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50)의 디스플레이부(52)를 통해 관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50)에서 수동으로도 발광수단(40)의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무선통신을 통해 발광수단(40)을 발광시킬 수도 있다.
발광수단(40)은 야생동물 특히 멧돼지가 싫어하는 고휘도의 광을 순간적으로 발생시켜 멧돼지를 해당 지역에서 퇴치하는 것이다.
만약 발광수단(40)이 야생동물 감시기(20)와 별도의 구성부품으로 설치되는 경우 발광제어부(32)에서 발생된 제어신호는 무선통신을 통해 발광수단(40)에 전달되고, 발광수단(40)은 그 신호를 전달받아 빛을 발광하는 과정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무선통신을 통해 발광수단(40)과 제어부(30)가 제어신호를 주고받는 과정은 제어부(30)와 이동 단말기(50)기가 4G LTE망을 통해 무선신호를 주고받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멧돼지는 습성상 주 활동시간이 5시, 18~19시, 23시경에 주로 활동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멧돼지가 주로 출몰하는 이 시간대에 멧돼지 퇴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발광 제어부(32)는 시간별로 감지신호가 발생되는 빈도수를 측정하여 야생동물이 주로 출몰하는 시간대를 산출하고, 야생동물이 주로 출몰하는 시간대로 확인된 시간에는 발광수단(40)에서 발광되는 광의 휘도를 다른 시간대 보다 높게 하거나, 발광되는 횟수를 증가시키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인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가 별도의 통제서버로서 구축되고, 야생동물 감지기(10)와는 케이블로 연결되어 감지되는 영상, 감지신호 및 제어신호를 케이블을 통해 주고받는 구조로 구성된다. 발광수단(40)과도 별도의 케이블로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30)가 야생동물 감시기(20)와 별도의 통제서버로 구축되고 서로 케이블로 연결되는 구조 이외의 구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하고, 그 작동과정도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인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이 작동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감시하고자 하는 구역 내에 야생동물이 나타나면, 레이더(11)와 적외선 센서(12)로 이루어진 융합센서(10)에서 이를 감지한다. 감지된 영상신호는 케이블을 통해 제어부(30)로 전달된다.
제어부(30)에 전달된 신호를 정보 수집부(30)에 저장된다. 정보 수집부(30)에 저장되는 신호는 판단부(31)에 전달되고 전송된 주변상황 정보를 토대로 감지된 것이 야생동물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판단부(31)에서 감지된 신호가 야생동물로 판단되면, 그 신호를 제1무선 통신부(34)에서 4G LTE망(60)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50)의 제2무선통신부(51)로 송신한다. 이동 단말기(50)는 제2무선통신부(51)를 통해 전달받은 감지신호를 디스플레이부(52)에 디스플레이 시킨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52)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확인하고, 발광수단(40)을 작동시킬 수 있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발생된 제어신호는 제2무선통신부(51)를 통해 제1무선통신부(34)로 송신되고, 제1무선통신부(34)로 전달된 제어신호는 발광제어부(32)로 전달되어 발광수단(40)이 빛을 발광할 수 있도록 작동시킨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경우에 따라서는 판단부(31)에서 촬영된 영상이 야생동물로 판단되는 경우, 즉각적으로 발광 제어부(32)에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발광수단(40)이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융합센서(10)에서 영상이 촬영되고 발광수단(40)이 발광되는 동안까지의 과정을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50)의 디스플레이부(52)를 통해 관찰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90)에서 수동으로도 발광수단(40)의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무선통신으로 발광수단(40)을 발광 시킬 수도 있다.
발광수단(40)은 야생동물 특히 멧돼지가 싫어하는 고휘도의 광을 순간적으로 발생시켜 멧돼지를 해당 지역에서 퇴치하는 것이다.
만약 발광수단(40)이 야생동물 퇴치기(20)와 별도의 구성부품으로 설치되는 경우 발광제어부(32)에서 발생된 제어신호는 케이블이나 무선통신을 통해 발광수단(40)에 전달되고, 발광수단(40)은 그 신호를 전달받아 빛을 발광하는 과정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무선통신을 통해 발광수단(40)과 제어부(30)가 제어신호를 주고받는 과정은 제어부(30)와 이동 단말기(50)기가 4G LTE망을 통해 무선신호를 주고받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인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의 카메라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예인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의 일정부위에 수평회전 및 수직회전이 가능한 복합힌지(90)가 장착되고, 복합힌지(90)에 카메라(13)와 발광수단(40)이 장착된다.
복합힌지(90)는 본체(2)의 일정부위에 장착되는 고정부(91)와, 고정부(9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회전부(92)와, 제1회전부(92)의 회전축과 교차(90도가 바람직)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1회전부(92)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회전부(93)로 구성된다. 제1회전부(92)와 제2회전부(93)에는 제어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제1회전부(92)와 제2회전부(93)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미도시)가 장착된다.
침입자의 위치에 따라 제1회전부(92)와 제2회전부(93)을 회전시킴으로서, 침입자가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카메라(13)와 발광수단(40)이 침입자를 향할 수 있도록 작동된다. 이러한 작동은 제어부(30)에서 감지된 정보를 바탕으로 침입자의 위치를 향해 작동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복합힌지(90)가 동작하거나, 이동단말기(50)에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복합힌지(90)가 동작할 수 있다. 복합힌지(90)에 카메라(13)와 발광수단(40)이 장착되는 구조 이외의 구조와 작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또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 : 기둥부재 10 : 융합센서
11 : 레이더 12 : 적외선 감지센서
13 : 카메라 20 : 야생동물 감시기
30 : 제어부 31 : 판단부
32 : 발광 제어부 33 : 정보 수집부
34 : 제1무선통신부 40 : 발광수단
50 : 이동 단말기 51 : 제2무선통신부
52 : 디스플레이부 60 : 4G LTE 망
70 : 조도센서 80 : 전원공급부
90 : 복합힌지 91 : 고정부
92 : 제1회전부 93 : 제2회전부

Claims (16)

  1. 감시하고자 하는 구역 내에 야생동물이 침입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도록 구역 내를 감시하는 레이더(11)와 야생동물이 방출하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센서(12)가 융합된 융합센서(10)가 구비된 야생동물 감시기(20);
    상기 야생동물 감시기(20)에서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아 야생동물인지를 판단하고, 야생동물인 경우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30); 및
    상기 제어부(30)의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야생동물을 퇴치할 수 있는 고휘도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수단(40);을 포함하고,
    본체(2)의 고정부(9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회전부(92)와, 상기 제1회전부(92)의 회전축과 교차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1회전부(92)에 장착되는 제2회전부(93)로 구성된 복합힌지(90)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2회전부(93)에는 감시하고자 하는 구역이나 침입한 대상물을 촬영하는 카메라(13)와 상기 발광수단(40)이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30)는 시간별로 상기 감지신호가 발생되는 빈도수를 측정하여 야생동물이 주로 출몰하는 시간대를 산출하고, 야생동물이 주로 출몰하는 시간대에는 발광되는 광의 휘도를 다른 시간대 보다 높게 하거나, 발광되는 횟수를 증가시키는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야생동물 감시기(20)에는 상기 제어부(30)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30)는 내장형 소프트웨어가 있어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융합센서(10)에서 발생시키는 신호를 전달받아 감지된 물체가 야생동물인지를 판단하여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판단부(31); 및
    상기 판단부(31)의 판단에 따라 상기 발광수단(40)의 발광을 제어하는 발광제어부(32);를 포함하는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수단(40)은 고휘도 엘이디 탐조등으로 이루어지는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융합센서(10)에서 감지된 주변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33); 및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제1무선 통신부(34);를 더 포함하는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무선 통신부(34)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제2무선 통신부(51)와, 상기 제2무선 통신부(51)를 통해 전달받은 주변 상황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52)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50)를 더 포함하는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무선통신부(51)는 상기 디스플레이부(52)를 통해 얻은 영상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발광수단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1무선 통신부(34)로 송신하는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50)가 다수 개 존재하는 경우, 상기 야생동물 감시기(20)는 다수 개의 상기 이동 단말기(50)로 동시에 수집된 주변 상황 정보를 송신하는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야생동물 감시기(20)에는 태양광을 감지하여 시스템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도 센서(70)가 더 포함되는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야생동물 감시기(20)에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발생시키는 태양광 발전기(81)와 풍력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발생시키는 풍력 발전기(82)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전원공급부(80)가 더 포함되는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수단(40)은 상기 야생동물 감시기(20)와 분리되어 구성되고, 상기 야생동물 감시기(20)에서 야생동물이 감지되면 상기 발광수단(40)과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광수단(40)이 발광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50027313A 2014-04-14 2015-02-26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 KR1015651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4477 2014-04-14
KR1020140044477 2014-04-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526A KR20150118526A (ko) 2015-10-22
KR101565134B1 true KR101565134B1 (ko) 2015-11-13

Family

ID=54426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7313A KR101565134B1 (ko) 2014-04-14 2015-02-26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51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865B1 (ko) * 2016-04-21 2016-11-04 노영화 절전형 유해 동물 퇴치 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회로
KR101975477B1 (ko) 2018-12-26 2019-05-09 주식회사 광진기업 IoT 딥러닝 카메라와 드론을 활용한 IoT 지능형 유해동물과 조류 방제장치를 이용한 퇴치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849B1 (ko) * 2015-01-28 2016-12-22 송무상 접근 방지를 위한 촬영 및 경보시스템
KR101879185B1 (ko) * 2016-11-28 2018-07-18 (주)썸잇 퍼스널 레이더 및 이를 이용한 퍼스널 레이더 시스템, 동물 구축 장치 및 동물 구축 시스템
KR200488143Y1 (ko) * 2017-03-09 2018-12-20 이운재 새떼 쫓는 맹금류 형상의 모형 장치
KR101944982B1 (ko) * 2018-06-25 2019-02-01 주식회사 포어스 야생동물의 침입방지장치
KR102075252B1 (ko) * 2018-07-11 2020-03-1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기반 능동형 조류퇴치장치
KR102116883B1 (ko) * 2019-11-06 2020-05-29 주식회사 위츠 야생동물 퇴치장치
KR102116468B1 (ko) * 2019-11-28 2020-05-28 주식회사 세영 센서와 통신망을 이용한 활주로 유해 조수 퇴치장치
KR102380351B1 (ko) * 2020-01-28 2022-03-30 주식회사 와이에이치테크 충방전 태양광 회전 장치
CN111528216A (zh) * 2020-06-22 2020-08-14 鄂尔多斯应用技术学院 一种飞机场滑移式综合驱鸟装置
KR102519695B1 (ko) * 2020-07-20 2023-04-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상호연계형 조수퇴치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295743B1 (ko) * 2020-11-08 2021-08-31 케이원산업 주식회사 야생동물 및 조류 퇴치용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KR102295742B1 (ko) * 2020-11-08 2021-08-31 케이원산업 주식회사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한 능동형 야생동물 및 조류 퇴치 시스템
CN116366930B (zh) * 2023-02-28 2024-06-04 生态环境部南京环境科学研究所 一种基于红外相机的野生动物动态监测反馈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14310A (ja) * 2012-07-09 2014-01-30 Ise:Kk 有害動物捕獲用の遠隔操作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14310A (ja) * 2012-07-09 2014-01-30 Ise:Kk 有害動物捕獲用の遠隔操作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865B1 (ko) * 2016-04-21 2016-11-04 노영화 절전형 유해 동물 퇴치 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회로
KR101975477B1 (ko) 2018-12-26 2019-05-09 주식회사 광진기업 IoT 딥러닝 카메라와 드론을 활용한 IoT 지능형 유해동물과 조류 방제장치를 이용한 퇴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526A (ko) 2015-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5134B1 (ko)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
KR101550036B1 (ko) 정보통신기술 기반 무인 경계 시스템
US20130057693A1 (en) Intruder imaging and identification system
KR101740714B1 (ko) 농작물도난방지 및 동물침입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101162813B1 (ko) 카메라와 적외선 센서를 내장한 야생 조수 퇴치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251867B1 (ko) 농작물 보호를 위한 야생동물 적응화 퇴치 장치, 그리고 야생동물 적응화 퇴치 장치를 위한 제어 단말
US20160277688A1 (en) Low-light trail camera
US8248473B2 (en) Robotic sentry with low dispersion acoustic projector
KR101346136B1 (ko) 농작물 관리장치
TW201805906A (zh) 具無人飛行器之保全驅逐系統
JP2011250745A (ja) 害獣威嚇方法と害獣威嚇システム
JP3207715U (ja) 鳥獣侵入防止装置
JP3187091U (ja) 害獣撃退装置
JP2013109440A (ja) 防犯カメラ装置
KR101438731B1 (ko) 방수성능과 충격 흡수성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KR101407549B1 (ko) 씨씨티브이
KR101096155B1 (ko) 실외 적응형 감시 시스템
KR101733530B1 (ko) 감시 관제 장치의 플러그 앤드 플레이 기능을 지원하는 보안 플랫폼 시스템
JP2017152909A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
KR102356544B1 (ko) 유해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
JP3204442U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
KR101305990B1 (ko) 씨씨티브이
KR100688243B1 (ko) 야생동물 원격 포획시스템
KR20130138481A (ko) 움직임 감지센서
EP3073455A1 (en) Theft detection and alarm apparatus coordinated with other similar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