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8063B1 - 센서와 통신망을 이용한 활주로 유해 조수 퇴치 장치 - Google Patents

센서와 통신망을 이용한 활주로 유해 조수 퇴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8063B1
KR101018063B1 KR1020100123032A KR20100123032A KR101018063B1 KR 101018063 B1 KR101018063 B1 KR 101018063B1 KR 1020100123032 A KR1020100123032 A KR 1020100123032A KR 20100123032 A KR20100123032 A KR 20100123032A KR 101018063 B1 KR101018063 B1 KR 101018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de
runway
wire
landing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3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헌일
Original Assignee
문엔지니어링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엔지니어링 (주) filed Critical 문엔지니어링 (주)
Priority to KR1020100123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80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8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8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birds, e.g. spi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36Other airport install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와 통신망을 이용한 활주로 유해 조수 퇴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구간으로 구획하여 구획된 구간별로 조수의 유무를 감지 및 퇴치하여 신속한 퇴치가 가능하고 전력의 낭비를 막으려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센서와 통신망을 이용한 활주로 유해 조수 퇴치 장치는, 비행기의 이착륙을 유도하는 활주로(R)를 상호 간에 일정거리를 두고 형성되는 콘크리트 줄눈(1,2,3,,,n)을 기준으로 하여 다수의 구간(P1,P2,P3,,,Pn)으로 구획하여 상기 구간별로 조수의 유무를 감지하는 다수의 조수감지센서(10,20,30,,,n)와; 비행기가 상기 활주로에 이착륙하는 것을 감지하는 비행기 이착륙 감지부(40)와; 상기 다수의 조수감지센서와 1:1로 대응 설치되며 상기 구간 중 선택된 구간을 따라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선택된 구간에 있는 조수를 퇴치하는 조수 퇴치수단(50,60,70,,,n)과; 상기 비행기 이착륙 감지부와 상기 다수의 조수감지센서의 센싱값을 근거로 하여 비행기가 이착륙되고 조수가 감지된 경우 상기 조수 퇴치수단 중 조수가 감지된 구간을 담당하는 조수 퇴치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00)를 포함하고, 상기 조수 퇴치수단은, 상기 활주로의 양측 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51,52), 상기 레일에 각각 왕복이동수단을 통해 설치되는 캐리어(53,54), 상기 캐리어에 각각 모터(55a,56a)를 구동원으로 하여 기복 가능하게 설치되는 와이어 홀더(55,56), 상기 활주로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며 양측 단부가 각각 상기 와이어 홀더에 고정되고 상기 캐리어를 따라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활주로에 있는 조수를 퇴치하는 퇴치 와이어(57),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캐리어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2리미트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 홀더는 상기 퇴치 와이어가 상기 콘크리트 줄눈에 삽입되도록 눕혀있다가 조수가 감지되면 기립하여 상기 퇴치 와이어가 상기 활주로 위에 배치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센서와 통신망을 이용한 활주로 유해 조수 퇴치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BIRDS BEASTS IN RUNWAY USING SENSOR AND NETWORK}
본 발명은 센서와 통신망을 이용한 활주로 유해 조수 퇴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활주로를 다수의 구간으로 구획하여 구획된 구간별로 조수의 유무를 감지 및 퇴치하여 신속한 퇴치가 가능하고 전력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센서와 통신망을 이용한 활주로 유해 조수 퇴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공항이 강 또는 평야지대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조류들이 몰려들게 되는데, 이러한 공항주변의 조류들은 비행기 사고를 유발시키는 큰 원인이 되고 있다.
비행기가 정지해 있는 경우에는 조류들이 비행기에 충돌하더라도 별문제가 되지 않지만, 조류가 이륙과 상승, 하강과 착륙중인 비행기와 부딪힐 때는 역학상 엄청난 타격을 준다.
가령 시속 370킬로미터로 상승 중인 비행기에 중량 900그램의 조류 한 마리가 충돌했다고 할 때 비행기가 받는 순간 충격은 4.8톤이나 된다. 이 정도의 충격이면 항공기 조종실 유리가 깨지거나 기체가 찌그러질 수 있다.
가장 심각한 문제를 유발하는 경우는 조류가 엔진 속으로 들어갈 때이다. 엔진의 공기 흡입구로 흡입된 조류는 팬 블레이드를 망가뜨리거나 심하면 엔진을 태울 수도 있다.
따라서, 공항에서는 조류들이 이착륙하는 비행기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철저한 대비를 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활주로 주변 녹지대에 폭음기나 경보기 등을 설치해놓고 주기적으로 작동시켜 조류들을 쫓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 안전요원들이 엽총이나 공기총을 발사하여 조류들을 쫓는 방법도 이용되고 있
다.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조류들이 활주로 주변의 녹지대에 앉아 있다가 비행기 이착륙시 비행기의 소음으로 인해 날아가다가 비행기에 충돌하는 점을 감안하여 녹지대에 약제를 살포하는 방법도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폭음기나 경보기 등을 설치하여 조류를 쫓는 경우에는 폭음기나 경보기 등의 위치를 사람이 수시로 변경해주어야 하며 폭음이나 경보음 등으로 인해 공항을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소음으로 인한 피해를 줄 염려가 있고, 엽총이나 공기총을 발사하여 조류를 쫓는 경우에는 오발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으며, 녹지대에 약제를 살포하는 경우에는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할 염려가 있다. 또한, 전술한 조류 퇴치방법들은 모두 사람의 손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인력소모에 따른 비용이 추가로 발생하게 된다.
또한, 조수 퇴치 기술의 일 예로서, 활주로 주변 녹지를 따라 퇴치수단을 이동시켜 녹지에 있는 조수를 퇴치하는 것이 있으나, 이는, 녹지에 있는 조수가 활주로로 피하게 되어 이착륙 중인 비행기에 충돌하는 문제점을 발생한다.
종래 기술에 의한 조수 퇴치 장치는, 대개 활주로의 특정 구간 즉 조수가 있는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활주로 전영역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조수 퇴치를 위한 소음공해, 공기오염 등이 발생되고 불필요한 소비전력이 커지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종래 조수 퇴치 기술은 비행기의 이착륙과 상관없이 조수의 유무만을 감지하여 작동한다. 즉, 조수가 활주로에 있더라도 비행기의 이착륙이 없으면 조수를 퇴치하지 않아도 되지만 항상 조수가 감지되면 작동하기 때문에 유지비용이 커지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비행기의 이착륙시 활주로에 있는 조수를 소음공해없이 퇴치하고, 조수가 있는 특정 구간만을 대상으로 퇴치가 이루어지도록 한 센서와 통신망을 이용한 활주로 유해 조수 퇴치 장치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행기의 이착륙과 조수의 감지 2개의 정보를 병행하여 비행기의 이착륙시에만 조수를 퇴치하려는데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센서와 통신망을 이용한 활주로 유해 조수 퇴치 장치는, 비행기의 이착륙을 유도하는 활주로를 상호 간에 일정거리를 두고 형성되는 콘크리트 줄눈을 기준으로 하여 다수의 구으로 구획하여 상기 구간별로 조수의 유무를 감지하는 다수의 조수감지센서와; 비행기가 상기 활주로에 이착륙하는 것을 감지하는 비행기 이착륙 감지부와; 상기 다수의 조수감지센서와 1:1로 대응 설치되며 상기 구간 중 선택된 구간을 따라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선택된 구간에 있는 조수를 퇴치하는 조수 퇴치수단과; 상기 비행기 이착륙 감지부와 상기 다수의 조수감지센서의 센싱값을 근거로 하여 비행기가 이착륙되고 조수가 감지된 경우 상기 조수 퇴치수단 중 조수가 감지된 구간을 담당하는 조수 퇴치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조수 퇴치수단은, 상기 활주로의 양측 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 상기 레일에 각각 왕복이동수단을 통해 설치되는 캐리어, 상기 캐리어에 각각 모터를 구동원으로 하여 기복 가능하게 설치되는 와이어 홀더, 상기 활주로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며 양측 단부가 각각 상기 와이어 홀더에 고정되고 상기 캐리어를 따라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활주로에 있는 조수를 퇴치하는 퇴치 와이어,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캐리어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2리미트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 홀더는 상기 퇴치 와이어가 상기 콘크리트 줄눈에 삽입되도록 눕혀있다가 조수가 감지되면 기립하여 상기 퇴치 와이어가 상기 활주로 위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센서와 통신망을 이용한 활주로 유해 조수 퇴치 장치에 의하면, 조수 퇴치수단이 활주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활주로에 앉은 조수를 활주로 밖으로 퇴치하여 소음공해를 발생하지 않으며, 활주로를 다수의 구간으로 구획하여 조수가 있는 구간만을 대상으로 조수 퇴치가 이루어지므로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조수 퇴치수단이 활주로 주변의 녹지가 아니라 활주로에 있는 조수를 활주로 밖으로 퇴치함으로써 현실적으로 조수와 비행기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조수와 비행기 모두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와 통신망을 이용한 활주로 유해 조수 퇴치 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센서와 통신망을 이용한 활주로 유해 조수 퇴치 장치에 적용된 조수 퇴치수단의 일부 절결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센서와 통신망을 이용한 활주로 유해 조수 퇴치 장치에 적용된 왕복 이동수단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센서와 통신망을 이용한 활주로 유해 조수 퇴치 장치에 적용된 퇴치 와이어의 연결 상태 예시도.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센서와 통신망을 이용한 활주로 유해 조수 퇴치 장치는, 활주로를 다수의 구간으로 구획하고 구획된 구간별로 조수를 감지 및 퇴치함을 특징으로 하고, 그리고, 활주로에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콘크리트 줄눈(홈)을 이용하여 퇴치 와이어가 평상시에는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활주로를 제1 내지 제3구간(P1,P2,P3)으로 구획하고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3조수감지센서(10,20,30)과 제1 내지 제3조수 퇴치수단(50,60,70)이 적용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활주로(R)는 진행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콘크리트 줄눈(1,2,3)(이하 "줄눈"이라 약칭함)이 시공되며, 줄눈(1,2,3)을 기준으로 하여 활주로(R)를 제1 내지 제3구간(P1,P2,P3)으로 구획한다. 왜냐하면, 하기의 퇴치 와이어를 각각의 줄눈(1,2,3)에 삽입하여 평상시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 내지 제3조수감지센서(10,20,30)는 제1 내지 제3구간(P1,P2,P3)과 각각 1 : 1로 대응된다. 즉, 제1조수감지센서(10)는 제1구간(P1) 내에 조수가 있는가를 감지하는 것이다. 제1 내지 제3조수감지센서(10,20,3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활주로(R)에 조수가 있더라도 비행기의 이착륙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1 내지 제3조수 퇴치수단(50,60,70)이 작동하지 않도록 비행기 이착륙감지부(40)가 갖추어진다. 비행기 이착륙감지부(40)는 관제실의 관제원이 입력하는 입력값을 근거로 하거나 또는 활주로(R)의 시작부분과 종료부분에 설치되는 자동감지 센서의 값을 근거로 할 수도 있다.
제1 내지 제3조수 퇴치수단(50,60,70)은 제1 내지 제3구간(P1,P2,P3)에 각각 설치되어 담당하는 구간에 있는 조수를 퇴치한다. 제1 내지 제3조수 퇴치수단(50,60,70)은 설치 위치와 컨트롤러(100)에 의한 제어에 따라 구동하는 것만 다를 뿐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제1조수 퇴치수단(50)을 예로 들어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제1조수 퇴치수단(50)은 제1구간(P1)의 양측 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51,52), 레일(51,52)에 각각 왕복이동수단을 통해 설치되는 캐리어(53,54), 캐리어(53,54)에 각각 모터(55a,56a)를 구동원으로 하여 기복 가능하게 설치되는 와이어 홀더(55,56), 제1구간(P1)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며 양측 단부가 각각 와이어 홀더(55,56)에 고정되고 캐리어(53,54)를 따라 왕복 이동하면서 제1구간(P1)에 있는 조수를 퇴치하는 퇴치 와이어(57), 레일(51,52)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캐리어(53,54)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2리미트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퇴치 와이어(57)는 조수의 퇴치시에만 제1구간(P1)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따라 왕복 이동하여 조수를 퇴치하고, 조수를 퇴치하지 않을 때에는 줄눈(1)에 삽입되도록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와이어 홀더(55,56)는 캐리어(53,54)에 모터(55a,56a)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즉, 평상시에는 제1구간(P1)을 따라 눕혀 퇴치 와이어(57)가 줄눈(1)에 삽입되도록 하고, 조수의 퇴치시에는 모터(55a,56a)에 의해 회전하여 제1구간(P1)의 바닥 상부로 돌출됨으로써 퇴치 와이어(57)가 제1구간(P1) 상부에 배치되도록 한다.
퇴치 와이어(57)는 조수의 퇴치시에만 제1구간(P)의 상부로 돌출되어 왕복 이동하면서 제1구간(P1)에 있는 조수를 퇴치하지만, 조수가 충돌할 때 조수가 다치지 않고 비행기의 바퀴가 통과할 때 파손을 유발하지 않도록 양측 단부 중 일측 이상이 탄성부재 예컨대 코일스프링(57a)(도 4에 도시됨)을 통해 설치된다. 따라서, 퇴치 와이어(57)에 외력이 가해지면 코일스프링(57a)이 탄성변형하여 후방으로 밀리거나 하부로 내려가게 되어 조수와 비행기 바퀴와의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다.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왕복이동수단은, 레일(51,52)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일방향의 구동력을 갖는 제1,2모터(58,59), 제1,2모터(58,59)에 의해 회전하는 제1,2드럼(58a,59a), 캐리어(54)가 고정되며 제1,2드럼(58a,59a)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캐리어(54)를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와이어(58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각종 센서(제1 내지 제3조수감지센서(10,20,30), 비행기 이착륙 감지부(40), 구동부(왕복이동수단, 와이어 홀더의 모터 등)가 컨트롤러(100)와 통신망(유선, 무선)으로 연결되어 컨트롤러(100)의 제어에 의해 조수의 퇴치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센서와 통신망을 이용한 활주로 유해 조수 퇴치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제1 내지 제3조수감지센서(10,20,30)는 실시간으로 제1 내지 제3구간(P1,P2,P3)에 조수가 있는 가를 감지하고, 이와 동시에 비행기 이착륙 감지부(40)는 비행기의 이착륙 정보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제1조수감지센서(10)가 조수의 감지값을 출력하고 비행기 이착륙 감지부(40)가 비행기의 이륙 감지값을 출력하면, 컨트롤러(100)는 제1조수 퇴치수단(50)의 작동을 제어한다.
콘트롤러(100)의 제어에 의해, 모터(55a,56a)가 구동하여 와이어 홀더(55,56)가 제1구간(P1)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회전함에 따라 줄눈(1) 내부에 삽입되어 있던 퇴치 와이어(57)가 제1구간(P1)의 상부로 돌출된다.
이어서, 왕복이동수단의 제1,2모터(58,59)가 교대로 작동하여 구동와이어(58b)가 레일(51,52)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하고, 따라서, 캐리어(53,54)를 통해 퇴치 와이어(57)가 제1구간(P1)을 왕복 이동한다. 제1구간(P1)에 있는 조수는 퇴치 와이어(57)에 의해 제1구간(P1)을 벗어나게 된다.
퇴치 와이어(57)에 조수나 비행기 바퀴가 걸리는 경우 퇴치 코일스프링(57a)이 외력(조수, 비행기 바퀴)에 의해 탄성변형하면서 후방으로 밀리거나 바닥에 깔리게 되어 조수를 보호하고 와이어 홀더(55,56)의 손상을 막을 수 있다.
퇴치 와이어(57)가 왕복 이동하는 중에도 제1조수감지센서(10)는 실시간으로 조수를 감지하며 조수가 없는 것으로 감지되면 컨트롤러(100)는 제1조수 퇴치수단(5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퇴치 와이어(57)가 줄눈(1)에 삽입되도록 구동부를 초기화시킨다.
제1구간(P1)을 예로 들어 작동을 설명하였으나,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활주로(R)의 조수가 있는 구간의 조수 퇴치수단이 작동하여 활주로 전영역에서 조수를 퇴치할 수 있으므로 조수와 비행기를 보호할 수 있다.
즉, 조수가 감지되어도 비행기의 이착륙 정보와 일치하지 않으면 제1 내지 제3조수 퇴치수단(50,60,70)이 작동하지 않고, 또한, 제1 내지 제3구간(P1,P2,P3) 중 조수가 감지된 구간의 조수 퇴치수단만 작동하므로 불필요한 작동을 유발하지 않는다.
R : 활주로, P1,P2,P3 : 제1 내지 제3구간
1,2,3 : 콘크리트 줄눈,
10,20,30 : 제1 내지 제3조수감지센서,
40 : 비행기 이착륙 감지부
50,60,70 : 제1 내지 제3조수 퇴치수단

Claims (3)

  1. 비행기의 이착륙을 유도하는 활주로(R)를 상호 간에 일정거리를 두고 형성되는 콘크리트 줄눈(1,2,3,,,n)을 기준으로 하여 다수의 구간(P1,P2,P3,,,Pn)으로 구획하여 상기 구간별로 조수의 유무를 감지하는 다수의 조수감지센서(10,20,30,,,n)와;
    비행기가 상기 활주로에 이착륙하는 것을 감지하는 비행기 이착륙 감지부(40)와;
    상기 다수의 조수감지센서와 1:1로 대응 설치되며 상기 구간 중 선택된 구간을 따라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선택된 구간에 있는 조수를 퇴치하는 조수 퇴치수단(50,60,70,,,n)과;
    상기 비행기 이착륙 감지부와 상기 다수의 조수감지센서의 센싱값을 근거로 하여 비행기가 이착륙되고 조수가 감지된 경우 상기 조수 퇴치수단 중 조수가 감지된 구간을 담당하는 조수 퇴치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00)를 포함하고,
    상기 조수 퇴치수단은, 상기 활주로의 양측 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51,52), 상기 레일에 각각 왕복이동수단을 통해 설치되는 캐리어(53,54), 상기 캐리어에 각각 모터(55a,56a)를 구동원으로 하여 기복 가능하게 설치되는 와이어 홀더(55,56), 상기 활주로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며 양측 단부가 각각 상기 와이어 홀더에 고정되고 상기 캐리어를 따라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활주로에 있는 조수를 퇴치하는 퇴치 와이어(57),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캐리어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2리미트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 홀더는 상기 퇴치 와이어가 상기 콘크리트 줄눈에 삽입되도록 눕혀있다가 조수가 감지되면 기립하여 상기 퇴치 와이어가 상기 활주로 위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와 통신망을 이용한 활주로 유해 조수 퇴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퇴치 와이어의 양측 단부 중 일측 이상은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와이어 홀더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와 통신망을 이용한 활주로 유해 조수 퇴치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왕복이동수단은,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일방향의 구동력을 갖는 제1,2모터, 상기 제1,2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제1,2드럼, 상기 캐리어가 고정되며 상기 제1,2드럼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상기 캐리어를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와 통신망을 이용한 활주로 유해 조수 퇴치 장치.
KR1020100123032A 2010-12-03 2010-12-03 센서와 통신망을 이용한 활주로 유해 조수 퇴치 장치 KR101018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032A KR101018063B1 (ko) 2010-12-03 2010-12-03 센서와 통신망을 이용한 활주로 유해 조수 퇴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032A KR101018063B1 (ko) 2010-12-03 2010-12-03 센서와 통신망을 이용한 활주로 유해 조수 퇴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8063B1 true KR101018063B1 (ko) 2011-03-02

Family

ID=43938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3032A KR101018063B1 (ko) 2010-12-03 2010-12-03 센서와 통신망을 이용한 활주로 유해 조수 퇴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806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513B1 (ko) 2011-04-29 2011-08-03 주식회사 탑이엔씨 배전용 전신주의 전선연결 완금
CN105739335A (zh) * 2015-12-29 2016-07-06 中国民航科学技术研究院 一种机场鸟类探测预警与驱赶联动系统
KR20190081581A (ko) *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사람과세상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2116468B1 (ko) 2019-11-28 2020-05-28 주식회사 세영 센서와 통신망을 이용한 활주로 유해 조수 퇴치장치
CN111700059A (zh) * 2020-06-28 2020-09-25 湖南红太阳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光伏电站自动驱鸟系统及其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9504A (ja) * 1993-08-20 1995-03-07 Kobe Mechatronics Kk 空港の野鳥追い払い装置
JPH0870752A (ja) * 1994-09-02 1996-03-19 Mutsuo Hamaguchi 音声による鳥の撃退方法及び撃退装置
KR20010089043A (ko) * 2000-03-20 2001-09-29 허상록 조류 퇴치장치
KR100556687B1 (ko) 2004-04-19 2006-03-03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활주로 조류 퇴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9504A (ja) * 1993-08-20 1995-03-07 Kobe Mechatronics Kk 空港の野鳥追い払い装置
JPH0870752A (ja) * 1994-09-02 1996-03-19 Mutsuo Hamaguchi 音声による鳥の撃退方法及び撃退装置
KR20010089043A (ko) * 2000-03-20 2001-09-29 허상록 조류 퇴치장치
KR100556687B1 (ko) 2004-04-19 2006-03-03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활주로 조류 퇴치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513B1 (ko) 2011-04-29 2011-08-03 주식회사 탑이엔씨 배전용 전신주의 전선연결 완금
CN105739335A (zh) * 2015-12-29 2016-07-06 中国民航科学技术研究院 一种机场鸟类探测预警与驱赶联动系统
KR20190081581A (ko) *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사람과세상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2030770B1 (ko) * 2017-12-29 2019-10-10 주식회사 사람과세상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2116468B1 (ko) 2019-11-28 2020-05-28 주식회사 세영 센서와 통신망을 이용한 활주로 유해 조수 퇴치장치
CN111700059A (zh) * 2020-06-28 2020-09-25 湖南红太阳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光伏电站自动驱鸟系统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8063B1 (ko) 센서와 통신망을 이용한 활주로 유해 조수 퇴치 장치
US20200277052A1 (en) Drone with four wings maneuverable by flapping action
KR101142737B1 (ko) 조류 대응 시스템
CN108434628B (zh) 无人机械车库移动式消防系统及方法
WO201714718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KR101585650B1 (ko) 무인 비행체 보호 장치와 그의 장애물 감지 및 회피 방법
CN202476328U (zh) 基于图像识别的机场激光驱鸟系统
KR101451092B1 (ko) 무인 비행 조류 퇴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류 퇴치 방법
KR100617532B1 (ko) 조류 퇴치 장치 및 그 방법
WO2020235834A1 (ko) 로봇 드론을 이용한 비행장 조류 스트라이크 시스템
WO2019040838A1 (en) FIRE CONTAINMENT SYSTEM AND METHODS OF USE
CN107088274A (zh) 一种高层建筑消防与救援飞行器及其工作方式
KR20180127766A (ko) 황사 또는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KR20210098064A (ko) 비정형 공간 감시용 로봇 시스템
WO2009147663A2 (en) Fast response mobile systems and apparatus
KR102269014B1 (ko) 공항 활주로의 조류 충돌 방지 장치
CN106976557A (zh) 一种多旋翼无人机
KR102116468B1 (ko) 센서와 통신망을 이용한 활주로 유해 조수 퇴치장치
KR100556687B1 (ko) 활주로 조류 퇴치장치
CN108785885A (zh) 一种救援系统及救援方式
KR20130063321A (ko) 조류 퇴치기
CN207456297U (zh) 捕捉小型空中物品的装置
KR101178917B1 (ko) 모형물을 이용한 유해동물 퇴치장치
CN210955593U (zh) 一种模拟航母舰载机起降演示模型
CN205721384U (zh) 基于无人飞行器的输电线路异物自动识别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