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9014B1 - 공항 활주로의 조류 충돌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공항 활주로의 조류 충돌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9014B1
KR102269014B1 KR1020180133283A KR20180133283A KR102269014B1 KR 102269014 B1 KR102269014 B1 KR 102269014B1 KR 1020180133283 A KR1020180133283 A KR 1020180133283A KR 20180133283 A KR20180133283 A KR 20180133283A KR 102269014 B1 KR102269014 B1 KR 102269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rd
aircraft
airflow
turret
coll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3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0559A (ko
Inventor
조철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담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담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담스테크
Priority to KR1020180133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014B1/ko
Publication of KR20200050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0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01M29/2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with generation of periodically explosive repor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birds, e.g. spi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4/00Fireworks, i.e. pyrotechnic devices for amusement, display, illumination or signal purposes
    • F42B4/16Hand-thrown impact-exploded noise makers; Other noise-makers generating noise via a pyrotechnic char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항 활주로의 조류 충돌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가스 폭발에 의한 폭음과 기류 변환 폭풍을 발생시키는 1개 이상의 포탑과,
상기 포탑이 180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턴테이블과,
상기 포탑이 장착된 지지기판과 회전판이 회전되게 하는 회전 제한판과,
상기 턴테이블이 설치되고, 내부에 제어 수단과, 각종 부품이 설치되는 기기 본체와,
상기 포탑에서 발사되는 가스 폭발에 의한 폭음과 기류 변환 폭풍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원격 조정하는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항공기의 이,착륙 시간과 조류가 활동하는 시간대에 맞춰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가스 폭발에 의한 폭음과 기류 변환 폭풍을 발생시켜,
항공기의 이,착륙 경로로 접근하는 조류의 이동 방향의 기류를 일시적으로 변화시켜, 기류 변환을 감지한 조류가 이동 방향을 스스로 바꾸어 항공기의 이,착륙 경로를 벗어나 우회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조류 충돌의 위험으로부터 승객과 항공기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공항 활주로의 조류 충돌 방지 장치{BIRD STRIKE PREVENTION SYSTEM FOR AIRPORT RUNWAY}
본 발명은 공항 활주로의 조류 충돌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항공기의 이,착륙시 발생하는 조류 충돌(BIRD STRIKE)의 위험으로부터 승객과 항공기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공항 활주로의 조류 충돌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제간의 교류와 이동 인구의 증가로 항공기의 이용이 급증함에 따라,
항공기의 이,착륙시, 항공기에 조류가 충돌하여 발생하는 조류 충돌 사고가 매년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와 같은 항공기의 조류 충돌 사고는 발생 가능성은 비교적 낮은 편이지만, 항공 사고의 성격상, 엄청난 인적 및 물적 피해로 이어지는 경향이 있어, 각국은 막대한 비용을 투자하여 방지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으나,
대부분이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거나, 오작동을 일으키는 일이 많고, 특히 기기 설치후, 시일이 경과함에 따라 내성이 생겨 조류가 점차 반응하지 않게 되어,
투자 대비 그 효과가 매우 미미한 실정에 있다.
문헌 1. 국내등록실용 제0140027호(1999.03.20 공고) 문헌 2. 국내공개특허 제10-2009-0109015(2009.10.19 공개) 문헌 3. 국내등록특허 제0628137(2006.10.18 공고)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공항 활주로의 조류 충돌 방지 장치가 갖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류가 항공기에 충돌하는 과정을 심층 분석하여,
조류가 항공기에 충돌하는 경로를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조류 충돌 방지 장치를 활주로 부근에 설치하여,
항공기의 이,착륙 시간과 조류가 활동하는 시간대에 맞춰 자동 또는 수동으로 기기가 작동하게 함으로써,
가능한 적은 설치비와 가동비로 고장이나 오작동 등의 발생없이, 조류 충돌 방지 장치를 효과적으로 운용하여, 조류 충돌의 위험으로부터 승객과 항공기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삭제
가스 폭발에 의한 폭음과 기류 변환을 발생시키는 1개 이상의 포탑과,
상기 포탑이 180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턴테이블과,
상기 포탑이 장착된 지지기판과 회전판이 180도 범위내에서 회전되게 하는 회전 제한판과,
상기 턴테이블이 설치되고,내부에 제어 수단과, 각종 부품이 설치되는 기기본체와,
삭제
상기 포탑에서 발사되는 가스 폭발에 의한 폭음과 기류 변환 폭풍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원격 조정하는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항공기의 이,착륙 시간과 조류가 활동하는 시간대에 맞춰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가스 폭발에 의한 폭음과 기류 변환 폭풍을 발생시켜,
항공기의 이,착륙 경로로 접근하는 조류의 이동 방향의 기류를 일시적으로 변화시켜, 기류 변환을 감지한 조류가 이동 방향을 스스로 바꾸어 항공기의 이,착륙 경로를 벗어나 우회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조류 충돌의 위험으로부터 승객과 항공기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공항 활주로의 조류 충돌 방지 장치는,
항공기의 이,착륙 시간과 조류가 활동하는 시간대에 맞춰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가스 폭발에 의한 폭음과 기류 변환 폭풍을 발생시켜,
항공기의 이,착륙 경로로 접근하는 조류의 이동 방향의 기류를 일시적으로 변화시켜, 기류 변환을 감지한 조류가 이동 방향을 스스로 바꾸어 항공기의 이,착륙 경로를 벗어나 우회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조류 충돌의 위험으로부터 승객과 항공기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공항 활주로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된 조류 충돌 방지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전체적인 외형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내부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의 기류 변환 폭풍이 발생되는 포탑의 정면도,
도 6 은 동 포탑의 설치 구성도,
도 7 은 동 포탑이 장착되는 턴테이블의 분리 사시도 및 정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원격 조정 무선 송수신기의 외형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공항 활주로의 기기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된 조류 충돌 방지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전체적인 외형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내부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의 기류 변환 폭풍이 발생되는 포탑의 정면도,
도 6 은 동 포탑의 설치 구성도,
도 7 은 동 포탑이 장착되는 턴테이블의 분리 사시도 및 정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원격 조정 무선 송수신기의 외형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공항 활주로의 조류 충돌 방지 장치는,
도 1 에서와 같이, 공항 활주로(1)의 부근에 항공기의 이,착륙 시간과 조류가 활동하는 시간대에 맞춰 타이머에 의해 자동으로 기기가 작동하도록 설치되거나,
또는 작업자가 차량 또는 도보로 이동하면서 공항의 기상 상태와 항공기의 이,착륙 및 조류의 이동 상태 등을 육안으로 식별 판단하고, 관재탑이나 다른 작업자와 무선 송수신기로 교신하면서 원격으로 기기를 조정하여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정육면체의 박스형으로 구성되어, 조류가 가스 폭발에 의한 폭음과 함께, 기류 변화를 감지하여, 조류 스스로 이동 경로를 바꾸어 항공기의 이,착륙 경로에서 벗어나 우회하도록 항공기의 이,착륙 경로의 기류 변환을 일실시적으로 발생시키는 포탑(3)과,
상기 포탑(3)이 180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턴테이블(5)과,
상기 턴테이블(5)이 상부에 설치되고,내부에 제어 수단과, 각종 부품이 설치되는 기기 본체(7)로 구성되어 있다.
삭제
삭제
다시 상기 포탑(3)과 기기 본체(7)의 내부에는 도 4 에서와 같이, 상단부에 태양광 집광판(13)이 내장되어 충전기(15)를 거쳐 전원을 공급하고 있다.
또한 상기 포탑(3)의 내부에는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기판(25) 상에 브라켓(27)과, 그 상부에 철방진 고무 양볼트(29)와 회전축(31)이 장착되어, 포신(33)의 고정축(35)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포신(33)의 후측 단부 상측에는 점화 플러그(37)가 설치되어 접지단자(39) 및 점화트랜스(41)와 연결되어 있으며,
하측에는 가스 분사구(43)가 가스 주입 나팔관(45) 내부에 설치되어, 기기 본체(7) 내부에 장착된 가스 탱크(17)와 가스관(47)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포탑(3)의 저면에는 도 3 및 도 7 에서와 같이, 상기 턴테이블(5) 상에 회전 제한판(50)이 부착되어, 포탑(3)이 장착된 지지기판(25)과 회전판(49)이 180도 범위내에서 회전되게 하여, 포탑(3)에 장착된 포신(33)에서 발사되는 가스 폭발에 의한 폭음과 기류 변환 폭풍이 작업자에게 직접적으로 향하지 않도록 하여 안전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기 본체(7)에는 일련의 제어 회로가 내장되어, 포신(33)에서 발사되는 가스 폭발에 의한 폭음과 기류 변환 폭풍의 시간과 간격을 무선 송수신기(11)를 통하여 자동 또는 수동으로 원격 조정하여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9 는 이동 캐스터, 51 은 핸들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공항 활주로의 조류 충돌 방지 장치는,
항공기의 이,착륙 시간과 조류가 활동하는 시간대에 맞춰 자동으로 기기가 작동하도록 설정해 놓거나 또는 작업자가 차량 또는 도보로 이동하면서 공항의 기상 상태와 항공기의 이,착륙 및 조류의 이동 상태 등을 육안으로 식별 판단하여, 관재탑이나 다른 작업자와 무선 송수신기(11)로 교신하면서 원격으로 기기를 조정하여 작동시키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공항의 활주로(1)는 기류가 계절에 따라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지역에 설치하는 경향이 많기 때문에,
공항 주변에는 한 지역에서 계속 서식하는 텃새에 비해 계절에 따라 기류를 타고 이동하는 철새가 상대적으로 많이 분포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항공기의 이,착륙시 발생하는 조류 충돌 사고 역시, 공항 주변에서는 텃새에 비해 철새로 인한 사고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공항에서의 조류 충돌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공항 주변의 생태 환경을 충분히 감안하여, 그에 적합한 대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게 되고,
일예를 들어, 우리나라의 경우,
우리나라는 지정학적으로 철새의 이동경로에 위치해 있어서 대규모의 철새 이동이 매년 반복되고 있고, 그로 인한 크고 작은 조류 충돌 사고가 연간 50건 이상 발생하고 있다.
즉, 우리나라의 지역적 특성을 살펴 보면,
우리나라는 4~5월과 9~10월 계절이 바뀌면서 철새가 시속 약 20~60km 정도의 속도로 먹이를 찾아 이동하게 됨에 따라, 그 시기에 충돌이 빈번히 발생하기 때문에, 자동 타이머와 포신(33) 방향을 4~5월에는 북쪽을 향하여, 9-10월에는 남쪽으로 맞추어 놓고,
야행성보다는 주행성 조류가 많기 때문에, 이착륙을 할 경우와 저녁 시간대에 기기가 작동하도록 타이머를 설정해 놓으며,
고도가 높아지면 산소가 부족하고 상승기류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고도 750m 이상에서는 거의 충돌이 일어나지 않고, 그중에서도 약 39%는 이,착륙 과정의 접근 단계에서, 특히 약 150m 에서 73%가 발생하기 때문에, 포신(33)의 표적 고도를 약 150m 에 맞출 필요가 있게 된다.
또한 포신(33)을 2개 이상 배치하여, 방위각상 약 30도 범위를 타격하여 가스 폭발에 의한 폭음과 함께, 기류 변환 폭풍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하고,
조류 충돌은 조종사가 미처 회피 기동을 할 수 없을 정도로 짧은 순간에 발생하게 되므로 착륙하기전 조류를 사전 퇴치하는 예방 조치만이 절대적으로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철새들은 공기의 흐름을 감지해서 비상과 활강을 하게 되므로 조류 퇴치시, 인위적으로 활강 지역의 공기층을 흔들어 공기의 이상 흐름을 감지한 조류가 이상 기류권에서 우회하여 벗어나게 할 수단으로,
철새들이 접근하는 쪽을 향하여 가스 폭발에 의한 폭음과 함께, 기류 변환 폭풍을 발생시키면,
가스 폭발이 일어나는 순간, 공기가 일시적으로 급격하게 몰리면서 공기층이 흔들려 기류 변화가 일어나, 이를 감지한 조류가 진로를 바꿔 항공기의 진행 방향에서 벗어나 우회하게 하여 항공기와의 충돌을 피할 수 있게 된다.
이밖에도 상기한 바와 같은 공항 활주로(1) 부근의 이,착륙 시간대와 조류의 이동 시간대에 맞춘 타이머에 의해 정상적인 작동함과 함께,
돌발적인 기상 상태가 발생하거나, 항공기의 이,착륙 및 조류의 이동 상태의 변화 발생시에는 작업자가 차량 또는 도보로 이동하면서 이를 육안으로 식별 판단하고, 관재탑이나 다른 작업자와 무선 송수신기로 교신하면서 원격으로 기기를 별도 조정하여 작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공항 활주로의 조류 충돌 방지 장치에 의하면,
항공기의 이,착륙 시간과 조류가 활동하는 시간대에 맞춰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가스 폭발에 의한 폭음과 함께, 기류 변환 폭풍이 발생하여,
항공기의 이,착륙 경로로 접근하는 조류의 이동 방향의 기류를 일시적으로 변화시켜, 기류 변환을 감지한 조류가 이동 방향을 스스로 바꾸어 항공기의 이,착륙 경로를 벗어나 우회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조류 충돌의 위험으로부터 승객과 항공기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상기 실시예 만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의 균등의 의미 및 범위에서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 : 공항 활주로
3 : 포탑
5 : 턴테이블
7 : 기기 본체
9 : 이동 캐스터
11 : 무선 송수신기
13 : 태양광 집광판
15 : 충전기
17 : 가스 탱크
25 : 지지기판
27 : 브라켓
29 : 철방진 고무 양볼트
31 : 회전축
33 : 포신
35 : 고정축
37 : 점화 플러그
39 : 접지단자
41 : 점화트랜스
43 : 가스 분사구
45 : 가스 주입 나팔관
46 : 전원선
47 : 가스관
49 : 회전판
50 : 회전 제한판
51 : 핸들

Claims (4)

  1. 포탑(3)이 장착된 지지기판(25)과 회전판(49)이 턴테이블(5)상에 회전 가능하게 탑재되어, 포신(33)에서 발사되는 폭음의 시간과 간격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원격 조정하는 무선 송수신기(11)를 작동시켜, 항공기와 조류의 충돌을 방지하도록 한 공항 활주로의 조류 충돌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5)의 상부에 회전 제한판(50)이 부착되어, 포탑(3)이 장착된 지지기판(25)과 회전판(49)이 180도 범위내에서 회전되게 하여, 포탑(3)에 장착된 포신(33)에서 발사되는 가스 폭발에 의한 폭음과 기류 변환 폭풍이 작업자에게 직접적으로 향하지 않도록 제한하고,
    상기 포신(33)에서 발사되는 가스 폭발에 의한 기류 변환 폭풍에 의해 공기가 일시적으로 급격하게 몰리면서 기류 변화가 일어나 기류 변화를 감지한 조류가 진로를 바꿔 항공기의 진행 방향에서 벗어나 우회하여 충돌을 피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항 활주로의 조류 충돌 방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133283A 2018-11-02 2018-11-02 공항 활주로의 조류 충돌 방지 장치 KR102269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283A KR102269014B1 (ko) 2018-11-02 2018-11-02 공항 활주로의 조류 충돌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283A KR102269014B1 (ko) 2018-11-02 2018-11-02 공항 활주로의 조류 충돌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559A KR20200050559A (ko) 2020-05-12
KR102269014B1 true KR102269014B1 (ko) 2021-06-24

Family

ID=70679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283A KR102269014B1 (ko) 2018-11-02 2018-11-02 공항 활주로의 조류 충돌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90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252B1 (ko) * 2021-08-24 2022-04-12 버드렉스 주식회사 조류충돌 예방장치
KR102552001B1 (ko) 2022-11-09 2023-07-05 서진형 공항 또는 공항 예정지에 대한 조류 조사와 위험성 평가 방법
KR102594593B1 (ko) 2022-11-09 2023-10-25 정인규 인공지능형 조류 감지 기능을 활용한 풍력 발전기 충돌 방지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338B1 (ko) * 2008-01-31 2008-05-16 이왕노 안개식 병충해 방제기
KR100905745B1 (ko) * 2007-08-13 2009-07-01 장기석 무선 전기점화식 로켓 폭음통 발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481U (ja) * 1992-06-29 1994-01-25 湯川 重光 鳥害防止装置
KR0140027Y1 (ko) 1994-05-25 1999-03-20 이용로 다용도 폭음기
KR100628137B1 (ko) 2006-02-01 2006-10-18 제원시큐리티 주식회사 조류퇴치용 폭음 및 경보음발생 제어장치
KR20090109015A (ko) 2008-04-14 2009-10-19 이종범 무인감시시스템이 내장된 다기능 이동식 야생동물 퇴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745B1 (ko) * 2007-08-13 2009-07-01 장기석 무선 전기점화식 로켓 폭음통 발사 시스템
KR100830338B1 (ko) * 2008-01-31 2008-05-16 이왕노 안개식 병충해 방제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252B1 (ko) * 2021-08-24 2022-04-12 버드렉스 주식회사 조류충돌 예방장치
KR102552001B1 (ko) 2022-11-09 2023-07-05 서진형 공항 또는 공항 예정지에 대한 조류 조사와 위험성 평가 방법
KR102594593B1 (ko) 2022-11-09 2023-10-25 정인규 인공지능형 조류 감지 기능을 활용한 풍력 발전기 충돌 방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559A (ko) 2020-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9014B1 (ko) 공항 활주로의 조류 충돌 방지 장치
KR101710329B1 (ko) 무인비행장치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EP2689809B1 (en) Wildfire arrest and prevention system
KR101142737B1 (ko) 조류 대응 시스템
US8052767B2 (en) Jet engine protection system
WO2018036323A1 (zh) 一种低空无人机防御系统及方法
WO2010023253A1 (en) A bird collision avoidance system
KR101451092B1 (ko) 무인 비행 조류 퇴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류 퇴치 방법
CN109499033A (zh) 一种高速公路隧道火灾救援的装置
KR101620557B1 (ko) 수직이착륙 타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인 비행체의 비행 경로 설정 방법
CA2980904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recharging/refuelling station
WO2018027666A1 (zh) 一种高压输电塔驱鸟装置
WO2018027673A1 (zh) 一种高压输电塔驱鸟装置
CN106654864A (zh) 预警防护一体化机动雷电防护与监测平台及方法
CN207540428U (zh) 一种无人机拦截装置
CN108552154A (zh) 一种航空用驱鸟设备
WO2018027671A1 (zh) 一种高压输电塔驱鸟装置
RU2248916C1 (ru) Вертолет для борьбы с пожарами
AU2021100358A4 (en) IFCE- Robot Bird Flying System: Intelligent Robot Bird Flying Controllability Evaluation System
CN207978810U (zh) 一种航空用驱鸟设备
CN112513455B (zh) 用于操作风力涡轮机的方法和风力涡轮机
WO2018027667A1 (zh) 一种高压输电塔驱鸟装置
CN214962213U (zh) 一种智能驱鸟装置
CN204626320U (zh) 便携式现场控制的消雾装置
CN213566486U (zh) 一种喷火清障无人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