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0338B1 - 안개식 병충해 방제기 - Google Patents

안개식 병충해 방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0338B1
KR100830338B1 KR1020080010419A KR20080010419A KR100830338B1 KR 100830338 B1 KR100830338 B1 KR 100830338B1 KR 1020080010419 A KR1020080010419 A KR 1020080010419A KR 20080010419 A KR20080010419 A KR 20080010419A KR 100830338 B1 KR100830338 B1 KR 100830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
sprayer
shaft
medicin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0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왕노
Original Assignee
이왕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왕노 filed Critical 이왕노
Priority to KR1020080010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03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0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0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03Atomisers or mist blo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85Stands for supporting individual articles to be sprayed, e.g. doors, vehicle body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05B3/04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riven by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discharged, e.g. the liquid actuating a motor before passing to the outlet
    • B05B3/0486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riven by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discharged, e.g. the liquid actuating a motor before passing to the outlet the spray jet being generated by a rotary deflector rotated by liquid discharged onto it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arallel its rotation ax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 Y10S43/90Liquid insecticide spray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무한 약제를 사방으로 확산시켜 균일하게 방제함으로써 약제 사용량을 줄이고 방제에 따른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안개식 병충해 방제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지지대와,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동력수단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샤프트와, 샤프트에 축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티형 거치대와, 티형 거치대의 양단에 상호 반대방향으로 각 설치된 분무기와, 분무기로부터 분무된 약제를 전방으로 송풍할 수 있도록 분무기의 후방 티형 거치대에 각 설치된 송풍기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의 지지대는 선반이 구비되고, 분무기로 약제를 공급하기 위한 약제통과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컴프레서가 선반에 탑재된다. 또한, 상기의 티형 거치대는 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샤프트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축설되고, 샤프트는 조절된 티형 거치대의 높이를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가 구비된다. 또, 상기의 분무기는 송풍기와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티형 거치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 가변대에 설치되고, 티형 거치대는 조절된 가변대의 길이를 고정할 수 있도록 조임부재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의 동력수단은 감속모터로, 감속모터 및 분무기 측의 인가전원을 단속하여 방제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가 지지대에 설치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분무한 약제를 사방으로 확산시켜 먼 곳까지 균일하게 방제함으로써 방제효과가 우수하고 약제 사용량을 최소화함으로써 방제비 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방제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농약중독 등 농약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한편 방제에 따른 노동력을 최소화함으로써 인건비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분무, 회전, 방제, 안개식, 비용절감

Description

안개식 병충해 방제기{sprayer for prevent disease in plants}
본 발명은 안개식 병충해 방제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무한 약제를 사방으로 확산시켜 균일하게 방제함으로써 약제 사용량을 줄이고 방제에 따른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안개식 병충해 방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방제작업의 경우 작업자가 농약 통을 등에 지고 한 손으로 펌핑레바를 작동시키고 다른 한 손으로 노즐 대를 잡고 밭고랑을 걸어가면서 약제를 살포하는 방법과, 작업자가 호스를 끌고 다니면서 고압으로 송출된 약제를 노즐을 통해 살포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살포방법은 약제가 균일하게 살포되지 않아 방제효과가 떨어지고, 한 곳에 약제가 반복하여 살포됨으로써 잔류 농약에 의해 수확기에 제한을 받을 뿐만 아니라 필요 이상으로 방제가 이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살포방법은 약제의 살포범위가 좁아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고, 시설하우스의 경우 밀폐된 공간에서 장시간 농약에 노출됨으로써 농약중독 등 작업자의 건강을 해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분무한 약제를 사방으로 확산시켜 균일하게 방제함으로써 방제효과가 우수하고 약제 사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안개식 병충해 방제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제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농약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노동력을 최소화함으로써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안개식 병충해 방제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지대와,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동력수단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샤프트와, 샤프트에 축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티형 거치대와, 티형 거치대의 양단에 상호 반대방향으로 각 설치된 분무기와, 분무기로부터 분무된 약제를 전방으로 송풍할 수 있도록 분무기의 후방 티형 거치대에 각 설치된 송풍기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의 지지대는 선반이 구비되고, 분무기로 약제를 공급하기 위한 약제통과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컴프레서가 선반에 탑재된다.
또한, 상기의 티형 거치대는 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샤프트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축설되고, 샤프트는 조절된 티형 거치대의 높이를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가 구비된다.
또, 상기의 분무기는 송풍기와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티형 거치대 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 가변대에 설치되고, 티형 거치대는 조절된 가변대의 길이를 고정할 수 있도록 조임부재가 구비된다.
그리고 지지대와,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동력수단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샤프트와, 샤프트에 축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티형 거치대와, 티형 거치대의 양단에 상호 반대방향으로 각 설치되되 약제통으로부터 약제를 공급받고 컴프레샤로부터 공기압을 공급받는 분무기와, 분무기로부터 분무된 약제를 전방으로 송풍할 수 있도록 분무기의 후방 티형 거치대에 각 설치된 송풍기 및, 약제통의 수위를 감지하여 약제가 모두 소진된 경우 동력수단 및 컴프레샤, 송풍기로의 인가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컨트롤러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무한 약제를 사방으로 확산시켜 먼 곳까지 균일하게 방제함으로써 방제효과가 우수하고 약제 사용량을 최소화함으로써 방제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방제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농약중독 등 농약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한편 방제에 따른 노동력을 최소화함으로써 인건비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개식 병충해 방제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개식 병충해 방제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개식 병충해 방제기의 정면도이다.
먼저, 도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개식 병충해 방제기는 크게 지지대(10)와, 지지대(10)에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동력수단(30;일례로, 감속모터)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샤프트(20)와, 샤프트(20)에 축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티형 거치대(40)와, 티형 거치대(40)의 양단에 상호 반대방향으로 각 설치된 분무기(50)와, 분무기(50)로부터 분무된 약제를 전방으로 송풍할 수 있도록 분무기(50)의 후방 티형 거치대(40)에 각각 설치된 송풍기(60)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분무기(50)로부터 약제가 분무되고 송풍기(60)가 구동함에 따라 분무된 약제는 바람을 타고 먼 곳까지 살포된다. 이때, 동력수단(30)에 의해 샤프트(20) 및 티형 거치대(40)가 정·역회전하면 약제는 사방으로 확산하고 균일하게 살포된다.
여기서, 샤프트(20)의 정·역회전은 분무기(50)에 약제를 공급하기 위한 호스와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호스가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0°~180°범위에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티형 거치대(40)의 양단에 분무기(50)와 송풍기(60)가 각각 설치되어 있어, 샤프트(20)가 180°회전하는 경우 회전축을 중심으로 360°를 방제하는 효과가 있다.
다음, 상기의 지지대(10)는 테이블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필요한 만큼의 선반(11)이 구비된다. 이 선반(11)에는 분무기(50)로 약제를 공급하기 위한 약제통(71)과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컴프레서(72)가 탑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대(10)에 바퀴를 설치할 경우 방제기를 원하는 장소로 손쉽게 이동할 수 있다.
물론, 방제기로부터 떨어진 곳에 약제통(71)과 컴프레서(72)가 놓인 경우 호스를 연장하여 분무기(50)에 연결함으로써 방제기를 고정식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분무기(50)는 약제를 안개처럼 뿜어내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의 분무기가 적용될 수 있다.
다음, 상기의 티형 거치대(40)는 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샤프트(2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축설되고, 샤프트(20)는 조절된 티형 거치대(40)의 높이를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21)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작물의 높이에 따라 티형 거치대(40)의 높이를 조절하고 고정부재(21)를 이용하여 조절 높이를 고정함으로써 효과적인 방제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재(21)는 샤프트(20)와 티형 거치대(40)에 천공된 관통공에 핀을 꽂아 고정하거나 원형 링의 양단을 조여 사프트(20)와 티형 거치대(40)를 밀착 고정하기 위한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 상기의 분무기(50)는 송풍기(60)와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티형 거치대(4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 가변대(80)에 설치되고, 티형 거치대(40)는 조절된 가변대(80)의 길이를 고정할 수 있도록 조임부재(41)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방제거리에 따라 가변대(80)를 신장시켜 분무기(50)의 위치를 조절하고 조임부재(41)를 이용하여 조절 길이를 고정함으로써 효과적인 방제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즉, 분무기(50)와 송풍기(60) 간의 거리가 멀 경우 바람의 세기가 약해져 좁은 범위에서 방제작업이 이루어지고, 분무기(50)와 송풍기(60) 간의 거리가 가까울 경우 바람의 세기가 강해져 넓은 범위에서 방제작업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조임부재(41)는 전술한 바와 같은 고정부재(21) 또는 티형 거치대(40)에 나사공이 천공하고 볼트를 조여 그 내측에 위치한 가변대(80)를 조이기 위한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안개식 병충해 방제기는 방제 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는 지지대(10)와, 지지대(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동력수단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샤프트(20)와, 샤프트(20)에 축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티형 거치대(40)와, 티형 거치대(40)의 양단에 상호 반대방향으로 각 설치되되 약제통(71)으로부터 약제를 공급받고 컴프레샤로(72)부터 공기압을 공급받는 분무기(50)와, 분무기(50)로부터 분무된 약제를 전방으로 송풍할 수 있도록 분무기(50)의 후방 티형 거치대(40)에 각 설치된 송풍기(60) 및, 약제통(71)의 수위를 감지하여 약제가 모두 소진된 경우 동력수단(30) 및 컴프레샤(72), 송풍기(60)로의 인가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컨트롤러(90)가 구비된다(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전술한 기술적 구성과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약제통(71)에는 약제의 소진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센서(미도시)가 장착된다. 일례로, 수위감지센서는 짧고 긴 두 개의 전극편이 구비되어 수위에 따라 두 전극 간 통전 여부에 따라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수위에 따라 뜨거나 가라앉는 부레의 접점 변화에 따라 약제의 소진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컨트롤러(90)는 수위감지센서로부터 약제통(71)의 약제가 소진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방제작업을 종료하기 위한 것으로, 동력수단(30;일례로, 감속모터), 컴프레샤(72), 송풍기(60)로의 전원을 차단한다. 이는 프로그래밍된 마이크로프로세서나 릴레이의 조합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90)에는 기 설정된 방제시간에 도달하면 동력수단(30)과 분무기 측(송풍기, 컴프레서)으로의 전원을 자동 차단하기 위한 타이머장치가 마련된다.
물론,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프로그래밍에 의해 송풍기(60)와 동력수단(30)의 회전수 제어를 통하여 강·중·약으로 방제작업을 실시할 수도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오로지 본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확정됨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개식 병충해 방제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개식 병충해 방제기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지지대
20: 샤프트
30: 동력수단
40: 티형 거치대
50: 분무기
60: 송풍기
71: 약제통
72: 컴프레서
80: 가변대
90: 컨트롤러

Claims (5)

  1.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동력수단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축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티형 거치대와,
    상기 티형 거치대의 양단에 상호 반대방향으로 각 설치된 분무기와,
    상기 분무기로부터 분무된 약제를 전방으로 송풍할 수 있도록 상기 분무기의 후방 티형 거치대에 각 설치된 송풍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식 병충해 방제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선반이 구비되고,
    상기 분무기로 약제를 공급하기 위한 약제통과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컴프레서가 상기 선반에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식 병충해 방제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티형 거치대는 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축설되고, 상기 샤프트는 조절된 상기 티형 거치대의 높이를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식 병충해 방제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기는 상기 송풍기와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티형 거치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 가변대에 설치되고, 상기 티형 거치대는 조절된 상기 가변대의 길이를 고정할 수 있도록 조임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식 병충해 방제기.
  5.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동력수단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축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티형 거치대와,
    상기 티형 거치대의 양단에 상호 반대방향으로 각 설치되되 약제통으로부터 약제를 공급받고 컴프레샤로부터 공기압을 공급받는 분무기와,
    상기 분무기로부터 분무된 약제를 전방으로 송풍할 수 있도록 상기 분무기의 후방 티형 거치대에 각 설치된 송풍기 및,
    상기 약제통의 수위를 감지하여 약제가 모두 소진된 경우 상기 동력수단 및 상기 컴프레샤, 송풍기로의 인가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컨트롤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식 병충해 방제기.
KR1020080010419A 2008-01-31 2008-01-31 안개식 병충해 방제기 KR100830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419A KR100830338B1 (ko) 2008-01-31 2008-01-31 안개식 병충해 방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419A KR100830338B1 (ko) 2008-01-31 2008-01-31 안개식 병충해 방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0338B1 true KR100830338B1 (ko) 2008-05-16

Family

ID=39664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0419A KR100830338B1 (ko) 2008-01-31 2008-01-31 안개식 병충해 방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03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559A (ko) * 2018-11-02 2020-05-12 주식회사 담스테크 공항 활주로의 조류 충돌 방지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0808Y1 (ko) * 1995-04-17 1999-03-20 허찬구 액상물 분무기
KR20040106032A (ko) * 2003-06-10 2004-12-17 안병윤 각도 조절이 용이한 무전원 무인 방제방법및 그 장치
KR200409877Y1 (ko) 2005-12-15 2006-03-03 워터테크 코리아 주식회사 살포 범위가 조절되는 이동용 살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0808Y1 (ko) * 1995-04-17 1999-03-20 허찬구 액상물 분무기
KR20040106032A (ko) * 2003-06-10 2004-12-17 안병윤 각도 조절이 용이한 무전원 무인 방제방법및 그 장치
KR200409877Y1 (ko) 2005-12-15 2006-03-03 워터테크 코리아 주식회사 살포 범위가 조절되는 이동용 살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559A (ko) * 2018-11-02 2020-05-12 주식회사 담스테크 공항 활주로의 조류 충돌 방지 장치
KR102269014B1 (ko) * 2018-11-02 2021-06-24 주식회사 담스테크 공항 활주로의 조류 충돌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1359A (ko) 트랙터 탑재용 폴더타입 농약살포장치
KR101047392B1 (ko) 방제기
ITMO20120263A1 (it) Gruppo portagetti multiplo ad incrementata flessibilita' di impiego
KR101247180B1 (ko) 저탄장 분진 방지용 살수장치
JP2018504107A (ja) 非加熱式無人煙霧機
KR20160051268A (ko) 분사방향 가변형 콤팩트 구조의 약액 자동 분사장치
KR100830338B1 (ko) 안개식 병충해 방제기
KR20150122932A (ko) 살포용 무인방제기
KR102029714B1 (ko) 비닐 하우스용 무인 방제장치
KR101784158B1 (ko) 비닐하우스용 전후좌우 이동식 자동 방제장치
KR200482553Y1 (ko) 분무기 겸용 트랙터 탑재식 원거리 방제기
JP3845654B1 (ja) 噴霧装置
KR101462622B1 (ko) 안개식 약제 살포장치
KR101626557B1 (ko) 약액살포장치
KR102017888B1 (ko) 방제용 회전살포노즐
KR101515499B1 (ko) 좌우로 살포되는 트랙터 탑재식 원거리용 방제기
KR100758896B1 (ko) 농축산 차량용 방역 소독장치
KR200459438Y1 (ko) 약제 분무장치
KR0110808Y1 (ko) 액상물 분무기
KR20080026961A (ko) 광범위 살포형 농약방제기
KR100927792B1 (ko) 약제 분무장치
KR101618456B1 (ko) 이동형 연무 방제 장치
KR20030095119A (ko) 방역 약제 살포장치
CN220070570U (zh) 一种消防水枪
KR20180087498A (ko) 방제차량의 송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