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6687B1 - 활주로 조류 퇴치장치 - Google Patents

활주로 조류 퇴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6687B1
KR100556687B1 KR1020040026629A KR20040026629A KR100556687B1 KR 100556687 B1 KR100556687 B1 KR 100556687B1 KR 1020040026629 A KR1020040026629 A KR 1020040026629A KR 20040026629 A KR20040026629 A KR 20040026629A KR 100556687 B1 KR100556687 B1 KR 100556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nway
bird
rope
traveling device
trav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6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1416A (ko
Inventor
정운익
Original Assignee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filed Critical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6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6687B1/ko
Publication of KR20050101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1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6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6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08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reflection, colours or films with specific transparency or reflectivit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birds, e.g. spi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36Other airport install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주로 주변의 녹지대에서 서로 이격된 상태로 주행하는 한 쌍의 주행장치에 로프를 연결하고 이 로프에 조류 퇴치용 테이프, 연, 풍선 및 빈 깡통 등을 연결함으로써, 소음이나 안전사고, 환경오염 등의 염려없이 조류를 퇴치할 수 있는 활주로 조류 퇴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활주로 조류 퇴치장치는, 활주로(100) 주변의 녹지대(200)에 평행하게 이격되는 한 쌍의 주행로(10)(10′)와, 각 주행로를 따라 나란히 주행하는 한 쌍의 주행장치(20)(20′)와, 주행장치를 서로 연결하는 로프(30)와, 로프에 연결되어 녹지대에 있는 조류를 퇴치하는 조류 퇴치부재, 및 주행장치에 구비되어 주행장치의 주행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주행로, 주행장치, 로프, 조류 퇴치부재, 제어부

Description

활주로 조류 퇴치장치{Bird elimination equipment for airstrip}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주로 조류 퇴치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주로 조류 퇴치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주로 조류 퇴치장치의 제어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주로 조류 퇴치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활주로 조류 퇴치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활주로 조류 퇴치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 주행로 11, 12 : 레일
20, 20′: 주행장치 21, 22 : 바퀴
30 : 로프 40 : 반사테이프
41 : 연 42 : 풍선
43 : 빈 깡통 50 : 제어부
60 : 감지센서 70 : 리모콘
90 : 로프 가이드부재
본 발명은 활주로 주변에 있는 조류를 퇴치하기 위한 조류 퇴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활주로 주변의 녹지대에서 서로 이격된 상태로 주행하는 한 쌍의 주행장치에 로프를 연결하고 이 로프에 조류퇴치용 테이프, 연, 풍선, 빈 깡통 등을 연결하여 활주로 주변에 있는 조류들을 퇴치하도록 된 활주로 조류 퇴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공항이 강 또는 평야지대에 위치해있기 때문에 조류들이 몰려들게 되는데, 이러한 공항주변의 조류들은 비행기 사고를 유발시키는 큰 원인이 되고 있다.
비행기가 정지해있는 경우에는 조류들이 비행기에 충돌하더라도 별 문제가 되지 않지만, 조류가 이륙과 상승, 하강과 착륙 중인 비행기와 부딪힐 때는 역학상 엄청난 타격을 준다.
가령 시속 370킬로미터로 상승 중인 비행기에 중량 900그램의 조류 한 마리가 충돌했다고 할 때 비행기가 받는 순간 충격은 4.8톤이나 된다. 이 정도의 충격이면 항공기 조종실 유리가 깨지거나 기체가 찌그러질 수 있다.
가장 심각한 문제를 유발하는 경우는 조류가 엔진 속으로 들어갈 때이다. 엔진의 공기 흡입구로 흡입된 조류는 팬 블레이드를 망가뜨리거나 심하면 엔진을 태울 수도 있다.
따라서, 공항에서는 조류들이 이착륙하는 비행기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철저한 대비를 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활주로 주변 녹지대에 폭음기나 경보기 등을 설치해놓고 주기적으로 작동시켜 조류들을 쫓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 안전요원들이 엽총이나 공기총을 발사하여 조류들을 쫓는 방법도 이용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조류들이 활주로 주변의 녹지대에 앉아 있다가 비행기 이착륙시 비행기의 소음으로 인해 날아가다가 비행기에 충돌하는 점을 감안하여 녹지대에 약제를 살포하는 방법도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폭음기나 경보기 등을 설치하여 조류를 쫓는 경우에는 폭음기나 경보기 등의 위치를 사람이 수시로 변경해주어야 하며 폭음이나 경보음 등으로 인해 공항을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소음으로 인한 피해를 줄 염려가 있고, 엽총이나 공기총을 발사하여 조류를 쫓는 경우에는 오발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으며, 녹지대에 약제를 살포하는 경우에는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할 염려가 있다. 또한, 전술한 조류 퇴치방법들은 모두 사람의 손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인력소모에 따른 비용이 추가로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활주로 주변의 녹지대에서 서로 이격된 상태로 주행하는 한 쌍의 주행장치에 로프를 연결하고 이 로프에 조류 퇴치용 테이프, 연, 풍선 및 빈 깡통 등을 연결함으로써, 소음이나 안전사고, 환경오염 등의 염려없이 조류를 퇴치할 수 있는 활주로 조류 퇴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활주로 조류 퇴치장치는, 활주로 주변의 녹지대에 평행하게 이격되는 한 쌍의 주행로와, 각 주행로를 따라 나란히 주행하는 한 쌍의 주행장치와, 주행장치를 서로 연결하는 로프와, 로프에 연결되어 녹지대에 있는 조류를 퇴치하는 조류 퇴치부재, 및 주행장치에 구비되어 주행장치의 주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활주로 조류 퇴치장치는, 주행장치에 구비되어 녹지대에 있는 조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활주로 조류 퇴치장치는, 주행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원격으로 제어부에 전송하기 위한 리모콘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조류 퇴치부재는 반사테이프, 연, 풍선, 빈 깡통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활주로 조류 퇴치장치는, 녹지대에 있는 장애물을 커버링하여 주행장치 주행시 로프가 장애물에 걸리지 않고 진행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로프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활주로 조류 퇴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들의 특징과 그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주로 조류 퇴치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주로 조류 퇴치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주로 조류 퇴치장치의 제어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주로 조류 퇴치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주로 조류 퇴치장치는, 활주로(100) 주변의 녹지대(200)에 평행하게 이격된 한 쌍의 주행로(10)(10′)와, 각 주행로(10)(10′)를 따라 나란히 주행하는 한 쌍의 주행장치(20)(20′)와, 주행장치(20)(20′)를 서로 연결하는 로프(30), 및 로프(30)에 연결되는 조류 퇴치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각 주행로(10)(10′)는, 후술할 주행장치(20)(20′)의 양쪽 바퀴(21)(22)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내측에 주행홈(11a)(12a)이 형성되며 서로 이격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11)(12)로 구성된다.
이 때, 각 레일(11)(12)은 바닥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게 그 상부면이 바닥과 평행을 이루도록 바닥에 매립되며, 각 레일(11)(12)의 주행홈(11a)(12a) 바닥에는 주행홈(11a)(12a) 내에 고이는 물을 땅속으로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배수홀(11b)(12b)이 이격 형성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각 주행장치(20)(20′)에는 각 레일(11)(12)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바퀴(21)(22)가 양쪽에 각각 두 개씩 구비된다.
이 때, 각 바퀴(21)(22)는 일반적인 자동차의 바퀴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 기차의 바퀴처럼 형성될 수도 있다. 주행장치(20)(20′)의 각 바퀴(21)(22)가 열차의 바퀴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각 레일(11)(12)도 열차가 주행하도록 된 철도레일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각 주행장치(20)(20′) 내에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바퀴(21)(22)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이 내장되는데, 이 구동수단으로는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구동모터나, 석유 또는 가스 등의 천연원료로 작동하는 원동기 엔진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각 주행장치(20)(20′) 내에는 구동수단 외에도, 전기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지 또는 천연원료를 저장하기 위한 연료탱크 등이 더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주행장치(20)(20′)에는 출발, 가속, 감속 및 정지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0)가 각각 구비되며, 어느 하나의 주행장치(20)(20′)에는 녹지대에 있는 조류의 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60)가 장착된다.
이 때, 감지센서(60)에서 감지되는 감지신호는 각 주행장치(20)(20′)에 내 장되는 제어부(50)에 동일하게 전송되어, 녹지대에 조류가 없거나 그 수가 아주 미미한 경우에는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주행장치(20)(20′)가 정지해 있다가, 조류의 수가 증가하면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주행장치(20)(20′)가 출발하게 된다. 그리고, 주행장치(20)(20′)의 주행속도는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빨라지거나 느려질 수도 있다.
한편, 각 주행장치(20)(20′)의 작동은 사람이 원격에서 리모콘(70)을 조작함으로써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때, 리모콘(70)에서 발생되는 제어신호가 제어부(50)로 전달되면 신호를 받은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각 주행장치(20)(20′)가 작동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리모콘(70)에는 출발, 가속, 감속 및 정지를 위한 버튼들이 구비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로프(30)는 녹지대를 가로질러 양단이 각 주행장치(20)(20′)에 결합되는 것으로, 녹지대의 표면이 굴곡된 점등을 감안하여 각 주행장치(20)(20′) 사이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로프(30)는 비행기가 녹지대에 비상 착륙할 때 비행기가 접촉하게 되면 쉽게 끊어져 비행기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섬유를 꼬아 만든 것이 사용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조류 퇴치부재는 로프(30)에 연결되어 녹지대를 따라 이동하면서 녹지대에 앉아 있는 조류들을 퇴치하기 위한 것으로, 햇빛에 반사되는 반사테이프(40), 연(41), 풍선(42) 및 빈 깡통(43) 등이 사용된다.
이 때, 조류 퇴치부재는 위에 나열한 것들중 한가지 종류만을 선택하여 로프(30)에 연결할 수도 있으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종류의 것들을 서로 섞어 로프(30)에 연결할 수도 있다.
한편, 미설명부호 80은 한 쌍의 주행장치(20)(20′)중 어느 하나에 내장되어, 주행로(10)(10′)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거나 길어지는 경우 로프(30)의 일단을 자동으로 감거나 풀어줌으로써 로프(30)의 텐션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로프 텐션장치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주로 조류 퇴치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감지센서(60)에 의해 활주로 주변의 녹지대에 조류들이 없거나 그 수가 아주 미미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는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주행장치(20)(20′)가 작동하지 않으며, 감지센서(60)에 의해 녹지대에 앉아 있는 조류의 수가 증가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는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주행장치(20)(20′)가 작동하여 주행로(10)(10′)를 따라 왕복 주행하게 된다.
그리고, 조류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주행장치(20)(20′)의 주행속도가 빨라지고 왕복횟수가 늘어나게 된다. 이 때, 조류의 수가 어느 정도이면 주행장치(20)(20′)를 작동시키고 주행속도를 증가시킬 것인지의 여부는 제어부(50)에 미리 프로그래밍된다.
또한, 주행장치(20)(20′)의 출발, 가속, 감속 및 정지 등은 감지센서(60)에 의해 감지되는 조류의 수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으나, 사람이 녹지대에 앉아 있는 조류들의 상황을 파악하여 리모콘(70)으로 직접 제어신호를 입력함으로써 결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주행장치(20)(20′)가 주행로(10)(10′)를 따라 왕복 주행하게 되면, 로프(30)에 결합되어 있는 조류 퇴치부재들 즉, 반사테이프(40), 연(41), 풍선(42) 및 빈 깡통(43) 등에 의해 녹지대에 앉아 있는 조류들이 자연스럽게 퇴치된다.
이 때, 녹지대(200)에 장애물이 없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활주로 조류 퇴치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지대(200)의 처음부터 끝까지 왕복 주행하게 된다.
첨부된 도면의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활주로 조류 퇴치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4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기능을 갖는 동일부재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녹지대(200)에 장애물(300)이 있어 로프(30)가 걸리는 경우에는 장애물(300)의 양쪽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활주로 조류 퇴치장치를 각각 설치하여 조류를 퇴치하게 된다. 물론, 녹지대(200)에 있는 장애물(300)에 로프(30)가 걸리지 않는 경우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게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활주로 조류 퇴치장치의 작용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활주로 조류 퇴치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5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기능을 갖는 동일부재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활주로 조류 퇴치장치는, 녹지대(200)에 입설된 장애물(300)을 커버링하여 주행장치(20)(20′) 주행시 로프(30)가 장애물(300)에 걸리지 않고 진행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로프 가이드부재(9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로프(30)는 주행장치(20)(20′) 사이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고 로프 가이드부재(9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완만한 곡면을 형성하므로, 로프(30)는 장애물(300)에 걸리지 않고 진행된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활주로 조류 퇴치장치의 작용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활주로 조류 퇴치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활주로 조류 퇴치장치에 따르면, 활주로 주변의 녹지대에서 서로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주행하는 한 쌍의 주행장치 에 로프를 연결하고 이 로프에 조류퇴치용 반사테이프, 연, 풍선, 빈 깡통 등을 연결함으로써, 소음이나 안전사고, 환경오염 등의 염려없이 조류를 퇴치할 수 있다.
또한, 감지센서에서 활주로 주변의 녹지대에 있는 조류의 수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고 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주행장치가 주행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주행장치의 출발, 가속, 감속 및 정지 등의 모든 작동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짐에 따라 인력소요에 따른 경비를 절약할 수 있다.
한편, 로프가 주행장치 사이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고 녹지대에 입설되는 장애물을 로프 가이부재로 커버링함으로써, 장애물에 의해 로프의 진행을 방해받지 않고 조류의 퇴치작업을 계속해서 수행할 수 있다.

Claims (6)

  1. 활주로 주변의 녹지대에 있는 조류를 퇴치하기 위한 활주로 조류 퇴치장치에 있어서,
    활주로 주변의 녹지대에 평행하게 이격되는 한 쌍의 주행로;
    상기 각 주행로를 따라 나란히 주행하는 한 쌍의 주행장치;
    상기 주행장치를 서로 연결하는 로프;
    상기 로프에 연결되어 녹지대에 있는 조류를 퇴치하는 조류 퇴치부재; 및
    상기 주행장치에 구비되어 주행장치의 주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주로 조류 퇴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장치에 구비되어 상기 녹지대에 있는 조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주로 조류 퇴치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원격으로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기 위한 리모콘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주로 조류 퇴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류 퇴치부재는 반사테이프, 연, 풍선, 빈 깡통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주로 조류 퇴치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녹지대에 있는 장애물을 커버링하여 상기 주행장치 주행시 상기 로프가 상기 장애물에 걸리지 않고 진행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로프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주로 조류 퇴치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장치에 구비되어, 상기 주행로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거나 길어지는 경우 상기 로프를 감거나 풀어주어 로프의 텐션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로프 텐션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주로 조류 퇴치장치.
KR1020040026629A 2004-04-19 2004-04-19 활주로 조류 퇴치장치 KR100556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629A KR100556687B1 (ko) 2004-04-19 2004-04-19 활주로 조류 퇴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629A KR100556687B1 (ko) 2004-04-19 2004-04-19 활주로 조류 퇴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1416A KR20050101416A (ko) 2005-10-24
KR100556687B1 true KR100556687B1 (ko) 2006-03-03

Family

ID=37279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6629A KR100556687B1 (ko) 2004-04-19 2004-04-19 활주로 조류 퇴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66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063B1 (ko) 2010-12-03 2011-03-02 문엔지니어링 (주) 센서와 통신망을 이용한 활주로 유해 조수 퇴치 장치
KR101178917B1 (ko) * 2011-09-09 2012-09-05 김선웅 모형물을 이용한 유해동물 퇴치장치
WO2013036020A2 (ko) * 2011-09-09 2013-03-14 Kim Seon Ung 모형물의 와이어 이동을 이용한 유해동물 퇴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866B1 (ko) 2009-09-01 2013-03-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로봇을 이용한 조류 통제 방법 및 그 장치
KR102116468B1 (ko) * 2019-11-28 2020-05-28 주식회사 세영 센서와 통신망을 이용한 활주로 유해 조수 퇴치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063B1 (ko) 2010-12-03 2011-03-02 문엔지니어링 (주) 센서와 통신망을 이용한 활주로 유해 조수 퇴치 장치
KR101178917B1 (ko) * 2011-09-09 2012-09-05 김선웅 모형물을 이용한 유해동물 퇴치장치
WO2013036020A2 (ko) * 2011-09-09 2013-03-14 Kim Seon Ung 모형물의 와이어 이동을 이용한 유해동물 퇴치장치
WO2013036020A3 (ko) * 2011-09-09 2013-05-02 Kim Seon Ung 모형물의 와이어 이동을 이용한 유해동물 퇴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1416A (ko) 2005-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61666C (fi) Avisnings- och rengoeringsanordning foer flygplan
KR101451092B1 (ko) 무인 비행 조류 퇴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류 퇴치 방법
ES2406811T3 (es) Sistema y método para trasladar aeronaves
US9139309B1 (en) Ground-based recovery system for aircraft with disabled landing gear
WO201714718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KR100556687B1 (ko) 활주로 조류 퇴치장치
CN111989724A (zh) 用于监控道路、基础设施和交通的状况的装置
US20100005688A1 (en) Method for cleaning, clearing, and/or treating an elongate path
CN101274668A (zh) 拯救在飞行中出了故障的飞机的安全降落系统和方法
KR101018063B1 (ko) 센서와 통신망을 이용한 활주로 유해 조수 퇴치 장치
US20170008618A1 (en) Optimizing ground movement in aircraft equipped with non-engine drive means
CN113748065A (zh) 跑道维护装置
CN201036671Y (zh) 一种车船载电动升降机
JP2022532031A (ja) 鉄道の線路分岐器を潤滑するための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971524B1 (ko) 드론을 이용한 항공기 지상유도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50559A (ko) 공항 활주로의 조류 충돌 방지 장치
CN111528216A (zh) 一种飞机场滑移式综合驱鸟装置
CH711672A2 (it) Drone, sistema di soccorso comprendente il drone e relativa metodologia di soccorso.
CN108552154A (zh) 一种航空用驱鸟设备
KR102116468B1 (ko) 센서와 통신망을 이용한 활주로 유해 조수 퇴치장치
CN203582233U (zh) 塔架顶部设备侧面升降系统
US2083218A (en) Mechanical toy
KR101566454B1 (ko) 모의 낙하훈련 시스템
CN101434247B (zh) 一种缩短常闭式挡车栏防护死区的方法
RU246517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садки самолета на авианосе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