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9043A - 조류 퇴치장치 - Google Patents

조류 퇴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9043A
KR20010089043A KR1020000014165A KR20000014165A KR20010089043A KR 20010089043 A KR20010089043 A KR 20010089043A KR 1020000014165 A KR1020000014165 A KR 1020000014165A KR 20000014165 A KR20000014165 A KR 20000014165A KR 20010089043 A KR20010089043 A KR 20010089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rd
unit
output signal
proximity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4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상록
Original Assignee
허상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상록 filed Critical 허상록
Priority to KR1020000014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89043A/ko
Priority to KR2020000008036U priority patent/KR200203307Y1/ko
Publication of KR20010089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904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odoriferous substances, e.g. aromas, pheromones or chemic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1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light sources, e.g. lasers or flashing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7Machine fault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23/00Electricity: power supply or regulation systems
    • Y10S323/906Solar cell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류 퇴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동전압을 공급시켜 주는 전원공급부(1)와; 각종 조류의 근접을 감지하는 조류근접 감지수단(2)과; 조류퇴치수단(6)의 작동시간 및 작동횟수를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조류퇴치수단 작동상태 설정부(3)와; 조류근접이 있을시 상기 조류퇴치수단 작동상태 설정부(3)의 설정값에 부응하는 구동신호를 조류퇴치수단 구동부(5)에 출력시켜 주는 제어부(4)와; 상기 제어부(4)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조류퇴치수단(6)을 작동시키는 조류퇴치수단 구동부(5)와; 상기 조류퇴치수단 구동부(5)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작동하는 조류퇴치수단(6)와; 상기 조류퇴치수단(6)의 고장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4)로 입력시켜 주는 조류퇴치수단 작동불량 감지부(7)와; 상기 제어부(4)에서 조류퇴치수단 작동불량 감지부(7)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은 결과 작동불량으로 판단 되었을시 구동되는 작동상태 불량 표시부(8)와; 상기 제어부(4)에서 조류퇴치수단 작동불량 감지부(7)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은 결과 작동불량으로 판단되면 이 상태를 원격지의 시스템의 운용자에게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보해주는 통보부(9)로 구성하여 조류들의 배설물 등으로 인한 정전사고의 발생을 포함하여 비행기의 안전사고 및 농작물의 피해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또 조류퇴치수단의 작동 불량으로 인한 피해 역시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류 퇴치장치{.}
본 발명은 조류 퇴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선로상의 전주나 비행기 활주로 또는 과수원이나 농작물을 보관중인 창고 및 그 주변등에 간단히 설치하여 까치나 참새 등과 같은 조류의 근접이 있을시 조류들이 싫어하는 냄새를 지닌 가스나 화학물질을 분사시키거나 소리 또는 섬광 등을 발생시켜 조류를 퇴치시킬 수 있음은 물론 조류퇴치수단의 작동 불량시 이를 표시함과 동시에 원격지의 시스템 운용자에게 이를 알릴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까치나 참새 등을 포함하는 각종 조류들이 전주나 비행기 활주로 또는 과수원이나 농작물을 보관중인 창고 및 그 주변등에 근접하는 것을 방지하여 조류들로 인한 정전사고 및 비행기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조류로 인한 농작물의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조류퇴치수단의 작동 불량시 이를 표시해줌과 동시에 원격지의 시스템 운용자에게 이를 알릴 수 있도록 발명한 조류 퇴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까치 등과 같은 조류들은 나무 위나 전주등과 같이 지상으로 부터 비교적 높은 위치에 둥지를 트는 경향이 있는데, 이들이 만약 전주 위에 많은 나뭇가지를 이용하여 둥지를 틀고 서식한다면 이들이 계속해서 배설하는 배설물을 포함하여 둥지의 구성물인 나무들이 빨아들이는 물기에 의해 두 배전선로상에서 누전이 발생되어 정전으로 이어지는 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음은 물론 실제 이들에 의해 정전사고가 발생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또한, 상기한 까치들을 포함하여 참새나 까마귀 등과 같은 각종 조류가 비행기의 활주로상에 나타날 경우, 비행기의 이착륙시 비행기의 추진기측으로 빨려들어가 엔진에 고장을 일으키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어 대형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과수원이나 농작물을 보관중인 창고 및 그 주변등에 난입하여 각종 과일을 포함한 농작물에 많은 피해를 입히고 있어 농민들이 이들 퇴치에 고심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조류들을 퇴치시키는 방법으로는 크게 시각적 퇴치장치와청각적 퇴치장치 및 촉각적 퇴치장치로 분류할 수 있는데, 상기 시각적 퇴치장치로는 허수아비나 각종 조류의 천적이 되는 또 다른 조류들을 모형으로 제작하여 설치하는 방식이고, 청각적 퇴치장치로는 각종 조류들이 싫어하는 음파나 초음파 또는 큰 소음 등을 공중으로 발생시키는 방식이며, 촉각적 퇴치장치로는 조류의 발이 달라 붙거나 움직이는데 힘들게 하는 끈적이를 주변에 발라주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시각적 및 청각적 퇴치장치의 경우는 초기에 약간의 효과를 가질 수는 있으나, 기간이 경과되면 이들 조류들도 이들에 만성되어 조형물의 존재 또는 음파나 초음파 그리고 큰 소음의 발생에 무관하게 날아드는 경향이 있고, 또 촉각적 퇴치장치는 끈적이 자체가 시간이 흐를수록 경화되는 경향이 있을 뿐만 아니라 주변환경이나 온도에 민감하게 반응 및 변화하게 되므로 장기적인 조류퇴치 대책으로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배전선로상의 전주나 비행기 활주로 또는 과수원이나 농작물을 보관중인 창고 및 그 주변등에 간단히 설치하여 까치나 참새 등과 같은 조류의 근접이 있을시 각 조류들이 싫어하는 냄새를 지닌 가스나 화학물질을 분사시키거나, 소리 또는 섬광 등을 발생시켜 조류들로 인한 정전사고의 발생 및 비행기의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조류로 인한 농민 및 국가의 경제적인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조류 퇴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조류퇴치수단의 작동 불량시 이를 표시해 줌과 동시에 원격지의시스템 운용자에게 이를 알릴 수 있는 조류 퇴치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형태에 따르면, 각 전기,전자기능 부품에 구동전압을 공급시켜 주는 전원공급부와; 각종 조류의 근접을 감지하여 전기전인 신호를 발생하는 조류근접 감지수단과; 조류퇴치수단의 작동시간 및 작동횟수를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조류퇴치수단 작동상태 설정부와; 상기 조류근접 감지수단으로부터 조류근접에 따른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조류퇴치수단 작동상태 설정부의 설정값에 부응하는 구동신호를 조류퇴치수단 구동부에 출력시켜 주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조류퇴치수단을 작동시키는 조류퇴치수단 구동부와; 상기 조류퇴치수단 구동부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작동하는 조류퇴치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류퇴치수단의 고장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입력시켜 주기 위한 조류퇴치수단 작동불량 감지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조류퇴치수단 작동불량 감지부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은 결과 작동불량으로 판단되었을시 이를 표시해 주기 위한 작동상태 불량 표시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조류퇴치수단 작동불량 감지부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은 결과 작동불량으로 판단되었을시 이를 원격지의 시스템 운용자에게 무선 및 유선으로 통보해 주는 통보부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각종 조류들이 배전선로상의 전주나 비행기 활주로 또는 과수원이나 농작물을 보관중인 창고 및 그 주변등에 근접하면 해당 조류들이 싫어하는 냄새를지닌 가스나 소리 및 섬광등이 자동으로 발생하게 되므로 조류들의 근접을 완벽히 차단시킬 수 있어 조류들의 배설물 등으로 인한 정전사고의 발생을 포함하여 비행기의 안전사고 및 농작물의 피해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또 조류퇴치수단의 작동 불량시 이를 즉시 인식하고 보수할 수 있어 조류퇴치수단의 작동 불량으로 인한 피해 역시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장치를 전주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전원공급방법 2 : 조류근접 감지수단
3 : 조류퇴치수단 작동동상태 설정부 4 : 제어부
5 : 조류퇴치수단 구동부 6 : 조류퇴치수단
7 : 조류퇴치수단 작동불량 감지부 8 : 작동상태 불량 표시부
9 : 통보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 장치를 전주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에 따르면, 각 전기,전자기능 부품에 구동전압을 공급시켜 주는 전원공급부(1)와; 각종 조류의 근접을 감지하여 전기전인 신호를 발생하는 조류근접 감지수단(2)과; 조류퇴치수단(6)의 작동시간 및 작동횟수를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조류퇴치수단 작동상태 설정부(3)와; 상기 조류근접 감지수단(2)으로부터 조류근접에 따른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조류퇴치수단 작동상태 설정부(3)의 설정값에 부응하는 구동신호를 조류퇴치수단 구동부(5)에 출력시켜 주는 제어부(4)와; 상기 제어부(4)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조류퇴치수단(6)을 작동시키는 조류퇴치수단 구동부(5)와; 상기 조류퇴치수단 구동부(5)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작동하는 조류퇴치수단(6)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류퇴치수단(6)의 고장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4)로입력시켜 주는 조류퇴치수단 작동불량 감지부(7)와; 상기 제어부(4)에서 조류퇴치수단 작동불량 감지부(7)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은 결과 작동불량으로 판단되어 소정의 출력신호가 발생되면 이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작동상태 불량 표시부(8)와; 상기 제어부(4)에서 조류퇴치수단 작동불량 감지부(7)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은 결과 작동불량으로 판단되어 소정의 출력신호가 발생되면 원격지의 시스템의 운용자에게 무선 및 유선으로 통보해 주는 통보부(9)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 장치는 도 2와 같이 배전선로상의 전주 위에 설치할 수도 있고,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비행기 활주로 주변 또는 과수원 주변 및 밭이나 논과 같이 농작물의 생산지를 포함하여 농산물을 보관하는 창고내나 그 주변등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장치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각 전기, 전자기능 부품에 구동전압을 공급시켜 주는 전원공급부(1)로는 일반적으로 높은 교류전압을 낮은 교류전압으로 강하시킨 후 이를 직류전압으로 정류시켜 주는 정류기로 구성할 수도 있고,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전지와, 통상시 이 태양전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에 의해 충전되었다가 필요시각 기능부품에 구동전압을 공급시켜 주는 밧데리로 구성할 수도 있는데, 전기의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장소에서는 전자의 경우를 선택하는 것이 가격 등에서 유리하고, 전기의 공급이 원활치 않는 장소에서는 비록 가격에 부담이 가나 설치성 및 관리성 등을 감안하여 볼 때 후자의 경우가 유리하다.
또, 각종 조류의 근접을 감지하여 전기전인 신호를 제어부(4)로 출력시켜 주는 조류근접 감지수단(2)으로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짐과 동시에 가격이 매우 싼 적외선 감지센서, 초음파 감지센서, 근접센서, 광센서 등 중 어느 하나의 센서를 선택하여 주면 간단히 설치할 수도 있고, 또 비록 그 가격이 고가이긴 하나 넓은 범위내에서 조류의 근접을 원활히 감지할 수 있는 도플러 안테나를 설치할 수도 있는데, 이들은 본 발명 장치의 설치장소나 기후조건 등에 따라 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채용하면 된다.
한편, 본 발명 장치에는 조류퇴치수단 작동상태 설정부(3)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시스템의 운용자는 조류들의 종류나 그 숫자 및 출몰 정도 등을 감안하여 조류퇴치수단(6)의 작동시간 및 작동횟수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어 조류퇴치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또, 제어부(4)는 일반적으로 상기 조류근접 감지수단(2)으로부터 조류근접에 따른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소정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상기 조류퇴치수단 작동상태 설정부(3)의 설정값에 부응하는 구동신호를 조류퇴치수단 구동부(5)에 출력시켜 주게 되는데, 이밖에도 본 발명에서 부가적인 특징으로 하는 조류퇴치수단 작동불량 감지부(7)와 작동상태 불량 표시부(8) 및 통보부(9)가 설치되어 있을시에는 상기 조류퇴치수단 작동불량 감지부(7)의 출력신호에 따라 작동상태 불량 표시부(8)와 통보부(9)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제어동작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소정의 출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조류퇴치수단 구동부(5)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작동하는 조류퇴치수단(6)으로는 각종 조류들이 싫어하는 냄새를 지닌 가스나 화학물질을 노즐을 통해 분사시켜 주는 가스발생기와, 조류가 놀라서 도망가도록 소리를 발생시키는 소리발생기 및 밝은 빛을 일시에 조사시켜 주는 섬광발생기 등을 선택적으로 적용하거나, 병행하여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부가적인 구성으로 하고 있는 작동불량 감지부(7)에서는 상기 조류퇴치수단(6)의 고장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4)로 입력시켜 주게 되는데, 이때 상기 조류퇴치수단(6)이 가스발생기인 경우는 가스용기내의 압력을 검출하여 용기내의 가스압력이 설정치 이하로 감지될 경우, 제어부(4)에 고장 내지 불량신호를 출력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즉, 가스가 완전히 소모되기 전에 이를 시스템 운용자에게 알려 빠른 시일내에 가스용기를 교환하거나 용기내에 가스를 충진시키도록 유도하는 것이 좋다).
물론, 상기 조류퇴치수단(6)이 소리발생기나 섬광발생기 등과 같이 기구물 및 전기적 구성품인 경우는 상기 조류퇴치수단 구동부(5)에서 소정의 출력신호가 발생될시 그들의 작동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4)에 고장 내지 작동불량신호를 출력시켜 줄 수 있도록 하면 된다.
또, 상기 제어부(4)에서 조류퇴치수단 작동불량 감지부(7)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은 결과 작동불량으로 판단되어 소정의 출력신호가 발생되면 이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작동상태 불량 표시부(8)로는 시각 및 청각을 통해 인식할 수 있도록 램프 또는 경보음 발생기 등을 제시할 수 있는데, 전자의 경우는 적색 램프를 점멸 작동시키는 방식으로 구동시키는 것이 좋고, 후자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것이 좋으나 이 밖에도 시스템 운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형태는 많으므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어부(4)에서 조류퇴치수단 작동불량 감지부(7)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은 결과 작동불량으로 판단되어 소정의 출력신호가 발생되면 원격지의 시스템의 운용자에게 통보해 주는 통보부(9)로는 유선 및 무선 통보장치를 제안할 수 있는데, 전자의 경우는 일반 데이타 통신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RS232C 인터페이스회로를 설치하여 유선통신망을 통해 특정 메세지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면 되고, 후자의 경우는 무선 송신기를 설치하여 상기 제어부(4)에서 소정의 출력신호가 발생되면 안테나를 통해 특정 메세지나 호출음 등을 원격지의 시스템 운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무선 수신기로 송출시켜 주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배전선로상의 전주나 비행기 활주로 또는 과수원이나 농작물을 보관중인 창고 및 그 주변등에 간단히 설치하여 각종 조류들이 근접하면 해당 조류들이 싫어하는 냄새를 지닌 가스나 소리 또는 섬광등이 자동으로 발생되도록 하므로써, 조류들의 근접을 완벽히 차단시킬 수 있어 조류들의 배설물 등으로 인한 정전사고의 발생을 포함하여 비행기의 안전사고 및 농작물의 피해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또 조류퇴치수단의 작동 불량시 이를 즉시 인식하고 보수할 수 있어 조류퇴치수단의 작동 불량으로 인한 피해 역시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7)

  1. 각 전기, 전자기능 부품에 구동전압을 공급시켜 주는 전원공급부(1)와;
    각종 조류의 근접을 감지하여 전기전인 신호를 발생하는 조류근접 감지수단(2)과;
    조류퇴치수단(6)의 작동시간 및 작동횟수를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조류퇴치수단 작동상태 설정부(3)와;
    상기 조류근접 감지수단(2)으로부터 조류근접에 따른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조류퇴치수단 작동상태 설정부(3)의 설정값에 부응하는 구동신호를 조류퇴치수단 구동부(5)에 출력시켜 주는 제어부(4)와;
    상기 제어부(4)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조류퇴치수단(6)을 작동시키는 조류퇴치수단 구동부(5)와;
    상기 조류퇴치수단 구동부(5)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작동하는 조류퇴치수단(6)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퇴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류퇴치수단(6)의 고장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4)로 입력시켜 주는 조류퇴치수단 작동불량 감지부(7)와;
    상기 제어부(4)에서 조류퇴치수단 작동불량 감지부(7)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은 결과 작동불량으로 판단되어 소정의 출력신호가 발생되면 이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작동상태 불량 표시부(8)와;
    상기 제어부(4)에서 조류퇴치수단 작동불량 감지부(7)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은 결과 작동불량으로 판단되어 소정의 출력신호가 발생되면 원격지의 시스템의 운용자에게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해 이를 통보해 주는 통보부(9)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퇴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1)는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전지와, 통상시 상기 태양전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에 의해 충전되었다가 필요시 각 기능부품에 구동전압을 공급시켜 주는 밧데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퇴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류근접 감지수단(2)은 적외선 감지센서, 초음파 감지센서, 근접센서, 광센서, 도플러 안테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퇴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류퇴치수단(6)은 각종 조류들이 싫어하는 냄새를 지닌 가스나 화학물질을 노즐을 통해 분사시켜 주는 가스발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퇴치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보부(9)는 특정 메세지를 포함한 데이타들을 유선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의 시스템 운용자에게 전송하는 RS232C 인터페이스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퇴치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보부(9)는 특정 메세지를 포함한 데이타들을 무선으로 송출하여 원격지의 시스템 운용자가 소지한 무선 수신기에서 이를 수신토록 하는 무선 송신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퇴치기.
KR1020000014165A 2000-03-20 2000-03-20 조류 퇴치장치 KR2001008904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4165A KR20010089043A (ko) 2000-03-20 2000-03-20 조류 퇴치장치
KR2020000008036U KR200203307Y1 (ko) 2000-03-20 2000-03-21 조류 퇴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4165A KR20010089043A (ko) 2000-03-20 2000-03-20 조류 퇴치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8036U Division KR200203307Y1 (ko) 2000-03-20 2000-03-21 조류 퇴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9043A true KR20010089043A (ko) 2001-09-29

Family

ID=19656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4165A KR20010089043A (ko) 2000-03-20 2000-03-20 조류 퇴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8904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347B1 (ko) * 2006-07-19 2007-09-14 박송문 조류 퇴치수단이 구비된 전광판
KR101018063B1 (ko) * 2010-12-03 2011-03-02 문엔지니어링 (주) 센서와 통신망을 이용한 활주로 유해 조수 퇴치 장치
WO2013036020A2 (ko) * 2011-09-09 2013-03-14 Kim Seon Ung 모형물의 와이어 이동을 이용한 유해동물 퇴치장치
KR20160087102A (ko) * 2015-01-13 2016-07-21 (주)경문엔터테인먼트 야생동물 퇴치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347B1 (ko) * 2006-07-19 2007-09-14 박송문 조류 퇴치수단이 구비된 전광판
KR101018063B1 (ko) * 2010-12-03 2011-03-02 문엔지니어링 (주) 센서와 통신망을 이용한 활주로 유해 조수 퇴치 장치
WO2013036020A2 (ko) * 2011-09-09 2013-03-14 Kim Seon Ung 모형물의 와이어 이동을 이용한 유해동물 퇴치장치
WO2013036020A3 (ko) * 2011-09-09 2013-05-02 Kim Seon Ung 모형물의 와이어 이동을 이용한 유해동물 퇴치장치
KR20160087102A (ko) * 2015-01-13 2016-07-21 (주)경문엔터테인먼트 야생동물 퇴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477B1 (ko) IoT 딥러닝 카메라와 드론을 활용한 IoT 지능형 유해동물과 조류 방제장치를 이용한 퇴치 방법
US8598998B2 (en) Animal collision avoidance system
KR101874564B1 (ko) IoT 딥러닝 카메라와 인식기술을 사용한 IoT 융복합을 통한 지능형 유해동물과 조류 방제장치를 이용한 방제방법
CN103053508B (zh) 一种用于变电站的智能激光驱鸟系统
KR101717045B1 (ko) 야생동물 퇴치기
CN104782606A (zh) 用于输电线路中的激光驱鸟系统
EP3791718A1 (en) Wild animal repelling device
KR200203307Y1 (ko) 조류 퇴치장치
JP3187091U (ja) 害獣撃退装置
KR200421265Y1 (ko) 유해 조수 퇴치장치
KR101752609B1 (ko) 유해조수 퇴치용 스카이댄서
KR20010089043A (ko) 조류 퇴치장치
JP3205752U (ja) 害獣・害鳥類忌避装置
KR101343414B1 (ko) 복합 야생동물 퇴치 장치
KR20020022229A (ko) 센서를 사용하여 조류를 쫓는 장치 및 방법
WO2002049427A1 (en) A method for expelling harmful wild birds and beasts by multiple laser beams irradiation
JP3189808U (ja) 鳥獣撃退装置
KR20000030459A (ko) 적외선 센스를 이용한 전자 조류 퇴치기
KR20070105428A (ko) 유해 조수 퇴치장치
KR200173141Y1 (ko) 조류퇴치기
CN214801941U (zh) 一种麦田守护机器人
CN103314947A (zh) 一种用于樱桃树的驱鸟装置
JP4224796B2 (ja) 害獣威嚇装置
CN205547121U (zh) 激光防鸟装置
CN111903657A (zh) 一种中药种植动物驱散系统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