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3141Y1 - 조류퇴치기 - Google Patents

조류퇴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3141Y1
KR200173141Y1 KR2019990021648U KR19990021648U KR200173141Y1 KR 200173141 Y1 KR200173141 Y1 KR 200173141Y1 KR 2019990021648 U KR2019990021648 U KR 2019990021648U KR 19990021648 U KR19990021648 U KR 19990021648U KR 200173141 Y1 KR200173141 Y1 KR 2001731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magpie
bird
generator
magp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16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왕
Original Assignee
박찬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왕 filed Critical 박찬왕
Priority to KR20199900216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31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31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31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고안은 조류 즉, 까치가 전주위에 둥지를 틀므로 인해 발생되는 정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조류퇴치기에 관한 것으로, 조류 즉, 까치가 둥지를 틀기 위해 전주의 완금위로 접근할 때 접근을 감지하여 강한 빛이나 큰소리를 발사하여 까치의 시신경이나 청각신경에 큰 자극을 가해 까치가 전주로 접근하지 못하도록 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본고안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발생장치를 가지며, 이에 의해 작동하는 접근감지센서, 소리발생기, 섬광전구와 이들을 작동시키는 제어회로와 전원을 축적하는 축전지로 구성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에 있어 전원발생장치는 태양광을 이용한 태양전지판이나 바람에 의해 회전되어 발전하는 풍력발전장치나 배전선로의 자기장으로부터 전원을 인출하는 자기장 유도전원장치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소리발생기는 혼이나 스피커등을 사용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류퇴치기{brid eliminator}
본고안은 정전사고 방지용 조류퇴치기에 관한 것으로, 전주상단에 설치하여 까치등과 같은 조류가 둥지를 틀기 위해 전주의 완금위로 접근할 때 조류에게 강한 빛이나 큰소리를 발사하여 조류의 접근을 방지하므로 말미암아 정전사고를 방지하는 조류퇴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까치는 높은 나무위에 둥지를 틀어 알을 낳고 새끼를 치게 되는데 나무는 바람에 의해 좌우로 요동하게 되나, 전주는 바람에 의해 요동치 않는 이유로 인해 최근 까치는 나무위에 둥지를 트는것보다 요동치 않는 전주위에 둥지를 트는 것을 많이 볼 수 있다.
까치가 전주위의 배전선로와 전주의 완금사이에 또는 완금과 완금체결구 사이에 나뭇가지등을 이용하여 둥지를 틀 경우 배전선로를 합선시켜 정전사고를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한국전력 및 전기관련 회사에 있어서는 매년 3-6월 까치의 산란기에 전주위 완금에 설치된 까치 둥지 철거에 많은 비용과 많은 인원을 투여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까치는 한번 마음먹는 장소를 고집하는 특성이 있어 한자리에 계속 둥지를 트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조류중 까치는 한번 둥지를 틀었던 자리에 다시 둥지를 트는 습성이 있기 때문에 전주상에 둥지를 허무는 작업은 까치에 의한 정전사고를 막는 영구적인 대책이 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까치둥지에 의한 정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까치 퇴치 수단이 강구되어지고 있다. 까치가 전주위에 둥지를 틀므로 인해 발생되는 정전사고를 방지하고자 개발된 종래, 조류(까치)퇴치기를 크게 분류하면,
조류의 시각을 이용한 장치, 조류의 청각을 이용한 장치, 조류의 촉각을 이용한 장치, 조류의 후각을 이용한 장치, 배전설비의 구조를 변경시키는 장치 및 절연케이블을 배전선로에 덧입혀 절연을 보강하는 등 다양한 장치 및 방법이 시도되고 있는 실정이다.
조류의 청각을 이용한 정전사고 방지 장치로는 조류가 싫어하는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장치를 볼 수 있으나, 많은 시험 결과 까치는 가청주파수 범위를 벗어나는 초음파에는 별로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조류의 시각을 이용한 설비로는 반사경(거울)을 이용한 것(공개실용 제1998-59649호 ,공개특허 제1998-19436호 참조)을 볼 수 있는데, 한두번은 까치가 반사된 자신의 모습을 보고 놀라 도망가는 것을 볼 수 있으나, 학습능력이 뛰어난 까치에 있어서는 반사경이 자신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후에는 반사경 옆에 둥지를 트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죽은 까치 모형을 달아매어 까치에게 자극을 주는 장치(공개실용 제1998-56636호 참조)가 고안되었으나, 곧바로 거부감이 해소되어 그 옆에 둥지를 트는 것을 목격하게 된다.
또한, 조류 즉,까치가 전주 상단의 완금위에 앉지 못하도록 삼각지붕을 갖는 까치 둥지방지구(완금텐트)를 볼 수 있으나 이 경우에 있어서는 종종 완금텐트와 전주사이의 틈새에 나뭇가지등을 끼워 완금텐트위에 둥지를 트는 것을 목격하게 된다.
또한, 완금위 까치가 둥지를 틀만한 위치에 날카로운 못이나 끈끈이등을 설치하여 까치의 촉각을 자극하는 것에 있어서도 장시간 경과되면 끈끈이의 점성이 낮아져 효과가 없게 되며, 그 위에 나뭇가지등을 얹어 둥지를 트는 것을 목격하게 된다.
또한, 후각을 이용한 조류방지장치로는 빙초산이나 신나, 솔벤트등과 같이 기화되어 역한 냄새를 발하거나 화학물질을 발산하는 장치(공개특허 제1998-72091호 참조)를 볼수있으나 이에 있어서는 빗물등이 유입될 경우 희석되어 냄새가 약해지며, 장시간 경과할 경우 냄새가 완전 기화되어 수시로 화학약품을 보충해 주어야하는 폐단을 갖게 된다.
이외에 전주애자 사이에 격판을 끼워 넣어 까치가 전주에 둥지를 틀더라도 둥지가 배전선로와 닿지 않게 하는 장치(공개실용 제1997-19919호 참조)를 볼 수 있으며, 절연케이블을 배전선로 위에 덧입혀 배전선로의 절연을 보강하는 장치등을 볼 수 있으며, 또한,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바람개비(공개실용 제1995-10638호 참조)를 전주위에 부착하여 까치의 접근을 방지하는 장치를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각종 개발된 까치둥지 방지용 장치와 까치가 둥지를 틀더라도 단전되지 않는 각종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조류 즉, 까치에 의한 정전사고 방지용 조류퇴치 수단들은 설치초기에는 효과가 있으나, 까치는 지능이 높아 일정시간 지나면 설치된 장치를 피해 둥지를 트는 것을 볼 수 있어 까치둥지에 의한 정전사고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었다
본고안은 종래 개발된 여러가지 조류퇴치기는 까치가 전주위의 둥지를 트는 것을 방지할 수 없어 조류둥지 즉, 까치둥지에 의해 정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감안하여 본고안이 안출된 것으로, 까치등의 조류가 둥지를 틀기 위해 전주나 완금 근처에 접근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가청 주파수대의 소리를 발산하거나, 섬광을 발사하여 까치 즉, 조류의 시신경을 잠시 마비시켜 조류가 전주나 완금근처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종래 조류퇴치기는 까치가 반복적인 행동에 의해 조류퇴치기의 기능을 무색하게 하였으나, 센서에 의해 근접하는 조류를 감지하고 조류에 순간 가청주파수대의 큰소리를 발산하여 조류의 청각을 순간 마비토록 하며, 섬광을 발사해 시신경을 순간 마비토록 할 때 아무리 학습능력이 뛰어난 까치라 할지라도 쉽게 근접할 의사를 꺽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고안은 순간 까치를 자극하여 전주로부터 쫓아내어 다른 곳으로 둥지를 틀 수 있게 되어 까치둥지에 의한 정전사고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1 - 본고안의 개략 구성도.
본고안은 까치등과 같은 조류가 전주의 상단에 둥지를 틀기 위해 접근할 때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 감지센서부를 가지며, 접근감지센서에 의해 작동되는 가청주파수대의 큰소리를 발생하는 소리발생부와 섬광을 발산하는 섬광발생부를 가지며, 상기 감지센서부, 섬광발생부 및 소리발생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장치 및 이를 작동하기 위한 제어 회로부로 구성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전주위 까치가 둥지를 틀만한 장소나 까치가 근접하는 방향으로 접근 감지센서(11)를 설치하며, 접근감지센서(11)에 의해 작동하는 섬광전구(12)와 가청주파수대의 큰소리를 발생하는 혼(경적) 또는 스피커로 구성되는 소리발생기(13)를 설치하며, 상기 접근 감지센서(11), 섬광전구(12), 소리발생기(13)등을 동작시키는 전원발생장치(14)를 갖도록 한 것으로, 상기 접근감지센서(11)는 필요에 따라 1개 또는 그 이상 다수개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각의 감지센서(11)에 의해 작동하는 하나의 섬광전구(12)나 다수개의 섬광전구(12)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전원발생장치(14)의 구성으로는 태양광으로부터 전원을 얻는 태양전지판(15)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바람개비를 이용한 풍력발전장치(16)로부터 전원을 얻을 수 있으며, 배전선로(17)에 발생되는 자기장으로부터 전원을 인출하는 자기장 유도 전원 장치(18)로 전원 발생장치(14)를 구성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발생장치(14)로 부터 발생된 전원은 제어 회로(21)에 의해 축전지(22) 및 콘덴서에 축적되어지며 접근감지센서(11)의 신호에 의해 섬광전구(12)나 혼 등의 소리발생기(13)를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전원발생장치(14)인 태양 전지판(15) 또는 바람개비에 의한 풍력 발전장치(16) 또는 자기장 유도 전원 장치(18)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은 제어회로(21)를 구동함과 동시에 접근감지센서(11)를 구동하여, 까치등과 같은 조류가 접근감지센서(11)의 사정 범위내에 들어오게 되면, 접근감지센서(11)가 이를 감지하여 섬광전구(12)를 작동시켜 섬광을 발생하여 조류의 시신경을 자극하여 접근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접근감지센서(11)의 종류로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센서, 도플러센서, 근접센서등 다양한 센서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게 되며, 센서의 감지거리는 약 1m 이내로 되게 할 때 1m 범위내에 물체 즉, 조류가 근접할 때 이를 감지하게 된다.
까치는 가청주파수 이외의 음파 즉, 초음파에 있어서는 까치가 어떤 반응 행동도 보이지않아 가청주파수 이외의 음파에 있어서는 까치 퇴치의 효과를 거의 보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고안에 있어서는 가청주파수 범위 내의 큰소리로 까치의 청각을 자극함과 동시에 섬광을 같이 발생하여 근접하는 조류 즉 까치의 청각 및 시각에 자극을 가하게 된다.
가청 주파수내의 소리는 순간 자극이 되는 높고 큰 소리 즉, 폭팔음 소리나 기적소리등을 발산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청주파수 범위내의 소리와 섬광전구에 의해 순간 섬광을 동시에 발생시킬 수도 있으나, 일정간격을 두고 즉, 먼저 섬광을 발한 후, 몇초지난후, 소리를 발생되도록 회로를 구성할 수 있으며, 아니면 소리와 섬광중 하나만 발생되도록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까치등과 같은 조류는 사람의 시각이나 청각보다 월등한 시력 및 청력을 갖는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따라서, 날아다니면서 먹이를 잡을 수 있으며, 높은 하늘에서 지상의 먹이감을 식별하는 것으로부터 조류는 우수한 시력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신경 및 청각신경이 매우 발달된 조류에 대하여 근접할 때 즉, 1m 이내의 근접거리에서 카메라 라이트에 사용되는 섬광전구(12)를 순간 발사하게되면 조류의 시신경이 순간 마비되어지게되며 동시에 고음의 소리를 발사할 때 청각신경에 큰 자극을 가해 이로 인해 조류에게는 상당한 피해를 가하게 되므로 말미암아 조류는 전주 위에 둥지를 트는 것 뿐만아니라 근접하는 것 자체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전원발생장치(4)로는 태양광으로부터 전원을 얻는 태양전지판(15)을 사용할 수 있다. 태양전지판으로부터 전원을 얻을 경우 유지보수의 필요가 거의 필요없게 항구적으로 본고안을 구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원발생장치(14)로는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바람개비로 풍력발전기(16)를 구동하여 전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종래 까치가 전주에 근접하지 못하도록 하는 바람개비 형상의 까치 접근방지구를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람에 회전되는 바람개비를 이용 풍력 발전시켜 전원을 얻을 때 회전되는 바람개비에 의해서도 까치가 근접되지 못하는 효과를 기대하게 된다.
배전선로에는 변압기를 통과하여 가정용 전원 220V나 산업용 전원으로 강하시키기 전까지는 고압의 전기가 흐르게 되며, 전선 주위에는 전류 흐름 방향에 대하여 자기장이 발생되어지게 되는데 전선 주위의 자기장을 전원으로 변환시켜 본 고안의 전원을 얻을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매년 3월에서 6월 즉, 까치의 산란기에 있어서는 까치가 전주위에 둥지를 틀므로 인해 발생되는 정전사고를 방지하고자 관련기관이나 업체에 있어서는 많은 노력과 비용을 들이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까치는 지능이 매우 높은 조류이며, 고집 또한 세어 한번 마음먹은 장소에 있어서는 계속적으로 둥지를 트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까치둥지에 의해 발생되는 정전사고를 방지하는 다양한 조류퇴치기가 개발되고 있으나, 학습력이 뛰어나고 끈기가 있는 까치를 완벽하게 퇴치할 수 없었다.
그러나, 본고안은 조류의 일반적인 특성 즉, 시각 및 청각이 매우 뛰어난 것을 감안하여 까치가 둥지를 틀기 위해 전주에 근접할 때 순간 매우 밝은 섬광을 발해 시신경을 자극하거나 가청 주파수 범위내의 큰소리를 발해 청각을 자극토록 하여 조류 즉, 까치의 전주접근을 근본적으로 방지 할 수 있게되는것이다.
까치가 전주에 둥지를 틀므로 인해 발생되는 정전사고는 까치의 산란기인 3월 - 6월에 집중하여 발생하게 된다. 6월 이후에는 산란후의 까치 새끼가 둥지를 떠나기 때문에 까치둥지에 의한 정전사고가 거의 발생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6월 이후 까치는 과수원이나 농작물에 피해를 끼치게 되며, 특히, 과일의 수확기에는 과일에 많은 피해를 입히고 있는 실정이다.
본고안은 앞에서 언급한대로 전주위에 설치하여 까치가 둥지를 틀지 못하게 접근 방지용으로 주로 설명되었으나, 과수원에 설치될 경우 용이하게 접근하는 조류를 쫓을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까치등과 같은 조류 뿐만아니라 야생동물이 자주 출몰하여 농작물의 피해를 입히는 지역에 본고안을 설치할 경우 센서에 의해 출입하는 야생동물을 감지하고 그 즉시 섬광이나 큰 소리를 발할 경우 야생동물에게 자극이 되어 본고안이 설치된 지역의 농작물에는 쉽게 근접할 수 없게 되므로 말미암아 농작물을 야생동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기능 및 효과를 갖는 아주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발생장치(14)와 이에 의해 작동하는 접근감지센서(11)를 하나 또는 다수개를 가지며, 상기 접근감지센서(11)에 의해 작동되는 소리발생기(13) 및 섬광전구(13)는 상기 접근감지센서(11)와 마찬가지로 하나 또는 다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전원발생장치(14)로부터 발생된 전원을 축적하는 축전지(22) 및 상기 각 구성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회로(21)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퇴치기.
  2. 제1항에 있어서, 전원발생장치(14)는 태양광을 이용한 태양전지판(15)이나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바람개비에 의해 회전되는 풍력발전장치(16)나 배전선로의 자기장 유도전원장치(18)로부터 전원을 인출하여 전원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퇴치기.
  3. 제1항에 있어서, 소리발생기(13)는 혼이나 스피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퇴치기.
KR2019990021648U 1999-10-08 1999-10-08 조류퇴치기 KR2001731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1648U KR200173141Y1 (ko) 1999-10-08 1999-10-08 조류퇴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1648U KR200173141Y1 (ko) 1999-10-08 1999-10-08 조류퇴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3141Y1 true KR200173141Y1 (ko) 2000-03-15

Family

ID=19591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1648U KR200173141Y1 (ko) 1999-10-08 1999-10-08 조류퇴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3141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1772B1 (ko) * 2000-12-30 2003-07-12 전정수 발전기
KR100800334B1 (ko) 2006-04-28 2008-02-11 김남수 까치 퇴치기
KR200445744Y1 (ko) * 2008-05-14 2009-08-28 안영세 조류퇴치기
KR100929701B1 (ko) 2009-09-01 2009-12-07 (주)세창산전 가공전선 연결형 배전식 고정애자
KR100929702B1 (ko) 2009-08-31 2009-12-08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가공송전선 현수 애자
KR102200384B1 (ko) 2020-06-02 2021-01-08 박영민 유해 조류 퇴치 시스템
KR20220169110A (ko) 2021-06-18 2022-12-27 조윤희 유해 조류 퇴치 시스템
KR102605201B1 (ko) 2022-08-31 2023-11-24 주식회사 가나인더스 이동형의 유해 조류 퇴치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1772B1 (ko) * 2000-12-30 2003-07-12 전정수 발전기
KR100800334B1 (ko) 2006-04-28 2008-02-11 김남수 까치 퇴치기
KR200445744Y1 (ko) * 2008-05-14 2009-08-28 안영세 조류퇴치기
KR100929702B1 (ko) 2009-08-31 2009-12-08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가공송전선 현수 애자
KR100929701B1 (ko) 2009-09-01 2009-12-07 (주)세창산전 가공전선 연결형 배전식 고정애자
KR102200384B1 (ko) 2020-06-02 2021-01-08 박영민 유해 조류 퇴치 시스템
KR20220169110A (ko) 2021-06-18 2022-12-27 조윤희 유해 조류 퇴치 시스템
KR102605201B1 (ko) 2022-08-31 2023-11-24 주식회사 가나인더스 이동형의 유해 조류 퇴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77796U (ja) 害獣威嚇装置
US86679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verting waterfowl settlements
KR101339060B1 (ko) 조류 퇴치장치
KR200173141Y1 (ko) 조류퇴치기
US10028502B2 (en) Animal deterrent device
JP3177672U (ja) 野生害獣威嚇撃退装置
KR102295743B1 (ko) 야생동물 및 조류 퇴치용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KR20200096747A (ko) 유해 야생 동물 퇴치기
CN102396447A (zh) 一种光电目标识别驱鸟器及驱鸟方法
Firdhous Iot-enhanced smart laser fence for reducing human elephant conflicts
KR101537441B1 (ko) 조류 퇴치 시스템
KR101752609B1 (ko) 유해조수 퇴치용 스카이댄서
KR101343414B1 (ko) 복합 야생동물 퇴치 장치
JP3189808U (ja) 鳥獣撃退装置
JP2002186402A (ja) レーザービームのマルチ照射による鳥獣侵入防止方法
KR200203307Y1 (ko) 조류 퇴치장치
KR20130051233A (ko) 야생해조류의 퇴치와 유인 포획 기능을 갖는 다기능 조류 퇴치기
KR20000030459A (ko) 적외선 센스를 이용한 전자 조류 퇴치기
JP4836124B2 (ja) 鳥類忌避装置
KR102295742B1 (ko)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한 능동형 야생동물 및 조류 퇴치 시스템
JP4224796B2 (ja) 害獣威嚇装置
KR100582455B1 (ko) 음성 및 빛을 발하는 전기울타리 전원 공급장치
KR200268007Y1 (ko) 조류 퇴치 장치
KR200494293Y1 (ko) 자동이동방식 다기능 유해 조·수 퇴치 장치
KR20070000235U (ko) 배전선로 까치 퇴치기용 복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