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7285A - 감염병 재난 대비를 위한 수직이동형 해충퇴치장치 - Google Patents

감염병 재난 대비를 위한 수직이동형 해충퇴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7285A
KR20210017285A KR1020190096310A KR20190096310A KR20210017285A KR 20210017285 A KR20210017285 A KR 20210017285A KR 1020190096310 A KR1020190096310 A KR 1020190096310A KR 20190096310 A KR20190096310 A KR 20190096310A KR 20210017285 A KR20210017285 A KR 20210017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mical
sprayer
pest
chemical liquid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6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0982B1 (ko
Inventor
박덕근
임수정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Priority to KR1020190096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982B1/ko
Publication of KR20210017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7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22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 A01M1/2027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without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03Atomisers or mist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9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7/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문건은 감염병 재난 대비하여, 일정 높이 이상에서 비행하는 해충을 효과적으로 추적하여 퇴치할 수 있는, 수직이동형 해충퇴치장치를 개시한다.
실시예에 따른 해충퇴치장치는,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레일바;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레일바에 자동주행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되고, 약액을 미스트 형태로 분사하는 약액분사기; 상기 약액분사기에 구비되며, 해충의 날개짓에 의해 발생되는 주파수를 감지하는 초음파센서; 및, 상기 약액분사기에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센서를 통해 해충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약액분사기를 해충과 가장 근접한 위치로 이동시킨 후, 즉시 약액이 분사되도록 한다.

Description

감염병 재난 대비를 위한 수직이동형 해충퇴치장치{VERTICAL MOBILE PEST CONTROL DEVICE FOR INFECTIOUS DISEASE PREPAREDNESS}
본 문건(Disclosure)이 개시하는 기술은, 액체(살충제, 방향제 등)를 미스트 형태로 자동 분사하는 장치(또는 시스템)와 관련된다.
태풍이나 홍수 등으로 인한 재난이 발생할 경우, 피해 현장이나 대피소에서 토착 또는 신종 감염병이 유발되고 유행할 가능성이 상존한다. 감염병은 그 종류에 따라 전염 방식이 다르며, 지카 바이러스, 말라리아, 댕기열 등은 해충(모기)을 통해 확산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46462호 및,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8497호 각각에는, 일정한 주기로 액체(방향제)를 자동 분사하는 장치가 게재되어 있다.
전술한 공보들에 게재된 장치는, 방향제가 아닌 살충제를 살포하는 용도로도 활용될 수 있는데, 분사주기를 짧게 설정할 경우, 많의 양이 살충제가 장치의 주변공간에 다량 축적될 우려가 높고, 분사주기를 길게 설정할 경우, 살충제에 대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일정 높이(예 : 성인의 키 높이) 이상에서 비행하는 해충을 퇴치하기 위해, 해충퇴치장치를 높은 곳에 설치할 경우, 바닥 근처에서 비행하는 해충을 퇴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KR 10-0922083 B1 (2019.10.20. 공고) KR 10-0818364 B1 (2008.04.01. 공고)
감염병 재난 대비하여, 다양한 높이에서 비행하는 해충을 효과적으로 추적하여 퇴치할 수 있는, 수직이동형 해충퇴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미스트 형태로 분사되는 약액(해충제)으로 인한 호흡기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해충퇴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해충퇴치장치는,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레일바;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레일바에 자동주행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되고, 약액을 미스트 형태로 분사하는 약액분사기; 상기 약액분사기에 구비되며, 해충의 날개짓에 의해 발생되는 주파수를 감지하는 초음파센서; 및, 상기 약액분사기에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센서를 통해 해충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약액분사기를 해충과 가장 근접한 위치로 이동시킨 후, 즉시 약액이 분사되도록 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퇴치장치는, 상기 레일바에 구비되고, 사람을 감지하는 모션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센서를 통해 사람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약액분사기를 상기 레일바의 하부로 이동시킨 후, 일정 주기로 약액이 분사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에는 원형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약액분사기는 상기 원형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센서를 통해 다수 마리의 해충이 동시에 감지되는 경우, 상기 약액분사기를 다수 마리의 해충 중 최상측에 위치한 해충와 가장 근접한 위치로 이동시킨 후, 즉시 약액이 분사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일정시간 해충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약액분사기를 상기 레일바의 상부로 이동시킨 후, 일정 주기로 약액이 분사되도록 한다.
실시예에 따른 해충퇴치장치는, 약액분사기가 해충을 탐지한 후, 레일바를 따라 수직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다양한 높이에서 비행하는 해충을 용이하게 퇴치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퇴치장치는, 주변에 사람이 탐지되면, 약액분사기가 레일바의 하부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미스트 형태로 분사되는 약액(해충제)으로 인한 호흡기 손상의 우려가 현저히 줄어든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해충퇴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해충퇴치장치의 작동 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해충퇴치장치(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해충퇴치장치(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해충퇴치장치(100)는, 레일바(110), 슬라이더(120), 초음파센서(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퇴치장치(100)는, 모션센서(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레일바(110)는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비된다. 레일바(110)이 하부에는 받침대가 결합될 수 있다.
슬라이더(120)의 내부에는 모터(미도시)가 구비되고, 슬라이더(120)는 레일바(110)에 자동주행 가능하게 결합된다.
약액분사기(130)는 타이머(미도시)를 구비하고, 몸체의 상부에 구비된 분사홀을 통해, 약액(예 : 살충제 등)을 미스트 형태로 분사하는 기능을 하며, 슬라이더(120)에 결합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46462호 및,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8497호 등을 통해, 약액분사기(130)의 일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더(120)의 일측에는 원형모터(122)가 구비되고, 약액분사기(130)는 원형모터(122)의 구동축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원형모터(122)를 제어하여, 약액분사기(130)의 분사 방향을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초음파센서(140)는 약액분사기(130)에 구비되며, 슬라이더(120)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초음파센서(140)는 해충의 날개짓에 의해 발생되는 특정 주파수를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제어부(150)는 약액분사기(130) 내부 또는 약액분사기(130) 근처에 구비될 수 있고, 슬라이더(120)의 이동과, 약액분사기(130)의 분사시점(Injection Timing)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제어부(150)는 초음파센서(140)를 통해 해충이 감지되는 경우, 약액분사기(130)[슬라이더(120)]를 해충과 가장 근접한 위치로 이동시킨 후, 즉시 약액이 분사되도록 한다. 즉, 제어부(150)는 초음파센서(140)를 구비한 약액분사기(130)가 비행 중인 해충을 추적하여, 해충과 가장 근접한 위치에서 약액을 분사될 수 있도록, 약액분사기(130)를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모션센서(160)는 레일바(110)에 구비된다. 모션센서(160)는 레일바(110) 주위의 사람을 식별하는 기능을 한다. 모션센서(160)는 제어부(150)와 연동하도록 구성된다. 하나의 실시예로서, 제어부(150)는 모션센서(160)를 통해 사람이 감지되는 경우, 약액분사기(130)를 레일바(110)의 하부로 이동시킨 후, 일정 주기로 약액이 분사되도록 한다.
한편, 과도한 약액 분사를 방지하기 위하여, 약액분사기(130)는 약액 분사 후, 타이머에 의해 일정시간 약액 분사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초음파센서(140)를 통해 다수 마리의 해충이 동시에 감지되는 경우, 약액분사기(130)를 다수 마리의 해충 중 최상측에 위치한 해충와 가장 근접한 위치로 이동시킨 후, 즉시 약액이 분사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약액이 상방에서 하방으로 비산되기 때문에, 한 번의 약액 분사로, 다수 마리의 해충을 효과적으로 퇴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일정시간 해충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약액분사기(130)를 레일바(110)의 상부(또는 최상단)로 이동시킨 후, 일정 주기로 약액이 분사되도록 약액분사기(130)를 제어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해충퇴치장치(100)의 작동 예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해충퇴치장치(100)의 작동을 간략히 설명한다.
초음파센서(140)를 통해, 소정 높이에서 비행 중인 해충이 감지되는 경우, 약액분사기(130)[슬라이더(120)]는 해충과 가장 근접한 위치로 이동된다. 계속해서, 원형모터(122)에 의하여, 약액분사기(130)가 해충이 있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된 뒤, 약액분사기(130)에서 약액이 미스트 형태로 즉시 분사된다.
초음파센서(140)를 통해, 소정 높이에서 비행 중인 여러 개체의 해충이 감지되는 경우, 약액분사기(130)[슬라이더(120)]는 최상측에 위치한 해충과 가장 근접한 위치로 이동된다. 계속해서, 약액분사기(130)에서 수직방향으로 약액이 미스트 형태로 즉시 분사된다.
모션센서(160)를 통해, 사람이 감지되는 경우, 해충의 존재 유무와 상관없이, 약액분사기(130)[슬라이더(120)]는 레일바(110)의 하부(사람의 호흡기와 멀어지는 위치)로 이동되며, 약액분사기(130)에서는 일정 주기로 약액이 분사된다.
한편, 초음파센서(140)를 통해, 일정 시간 해충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미스트 형태로 분산되는 약액의 비산 영역을 극대화 시키기 위해, 약액분사기(130)[슬라이더(120)]는 레일바(110)의 상부로 이동되며, 약액분사기(130)에서는 일정 주기로 약액이 분사된다.
앞서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해충퇴치장치(100)는, 약액분사기(130)가 해충을 탐지한 후, 레일바(110)를 따라 수직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일정 높이 이상에서 비행하는 해충을 용이하게 퇴치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퇴치장치(100)는, 주변에 사람이 탐지되면, 약액분사기(130)가 레일바(110)의 하부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미스트 형태로 분사되는 약액(해충제)으로 인한 호흡기 손상의 우려가 현저히 줄어든다.
본 문건에 개시된 기술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문건에 개시된 기술의 청구범위는 '발명의 설명' 및 '도면' 전반에 내포된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폭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해충퇴치장치
110 : 레일바
120 : 슬라이더
122 : 원형모터
130 : 약액분사기
140 : 초음파센서
150 : 제어부
160 : 모션센서

Claims (5)

  1.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레일바;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레일바에 자동주행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되고, 약액을 미스트 형태로 분사하는 약액분사기;
    상기 약액분사기에 구비되며, 해충의 날개짓에 의해 발생되는 주파수를 감지하는 초음파센서; 및,
    상기 약액분사기에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센서를 통해 해충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약액분사기를 해충과 가장 근접한 위치로 이동시킨 후, 즉시 약액이 분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퇴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바에 구비되고, 사람을 감지하는 모션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센서를 통해 사람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약액분사기를 상기 레일바의 하부로 이동시킨 후, 일정 주기로 약액이 분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퇴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에는 원형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약액분사기는 상기 원형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퇴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센서를 통해 다수 마리의 해충이 동시에 감지되는 경우, 상기 약액분사기를 다수 마리의 해충 중 최상측에 위치한 해충와 가장 근접한 위치로 이동시킨 후, 즉시 약액이 분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퇴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일정시간 해충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약액분사기를 상기 레일바의 상부로 이동시킨 후, 일정 주기로 약액이 분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퇴지장치.
KR1020190096310A 2019-08-07 2019-08-07 감염병 재난 대비를 위한 수직이동형 해충퇴치장치 KR102270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310A KR102270982B1 (ko) 2019-08-07 2019-08-07 감염병 재난 대비를 위한 수직이동형 해충퇴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310A KR102270982B1 (ko) 2019-08-07 2019-08-07 감염병 재난 대비를 위한 수직이동형 해충퇴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285A true KR20210017285A (ko) 2021-02-17
KR102270982B1 KR102270982B1 (ko) 2021-06-30

Family

ID=74731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6310A KR102270982B1 (ko) 2019-08-07 2019-08-07 감염병 재난 대비를 위한 수직이동형 해충퇴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09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9805B1 (ko) * 2021-03-11 2022-05-19 김아영 대상자의 신장에 따라 분사 높이가 조절되며 수조통이 일괄 분리되어 유지 관리가 간편한 대인방역소독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1871A (ko) * 1994-09-07 1996-04-20 배순훈 리드/래그 보상기 설계방법
KR100818364B1 (ko) 2006-09-01 2008-04-01 주식회사 대흥데이타통신 모기 주파수 감지에 의한 자동 모기 퇴치 장치
KR100922083B1 (ko) 2007-11-30 2009-10-20 김준영 이동식 전자 모기향 장치
KR20110010305A (ko) * 2009-07-24 2011-02-01 (주)셈투유 스마트형 공원 시설물
KR20140105679A (ko) * 2013-02-22 2014-09-02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기피제 살포부를 포함하는 유해동물 및 병해충 퇴치시스템
KR20170004491A (ko) * 2015-07-02 2017-01-11 주식회사 정원랜드 방제액 분사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1871A (ko) * 1994-09-07 1996-04-20 배순훈 리드/래그 보상기 설계방법
KR100818364B1 (ko) 2006-09-01 2008-04-01 주식회사 대흥데이타통신 모기 주파수 감지에 의한 자동 모기 퇴치 장치
KR100922083B1 (ko) 2007-11-30 2009-10-20 김준영 이동식 전자 모기향 장치
KR20110010305A (ko) * 2009-07-24 2011-02-01 (주)셈투유 스마트형 공원 시설물
KR20140105679A (ko) * 2013-02-22 2014-09-02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기피제 살포부를 포함하는 유해동물 및 병해충 퇴치시스템
KR20170004491A (ko) * 2015-07-02 2017-01-11 주식회사 정원랜드 방제액 분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9805B1 (ko) * 2021-03-11 2022-05-19 김아영 대상자의 신장에 따라 분사 높이가 조절되며 수조통이 일괄 분리되어 유지 관리가 간편한 대인방역소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0982B1 (ko) 202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7996B1 (en) Bug eater
KR101942888B1 (ko)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 및 모기류 방제 방법
US20090000183A1 (en) Insect trap
KR102200384B1 (ko) 유해 조류 퇴치 시스템
WO2008143041A1 (ja) 飛翔昆虫類捕獲器
KR102270982B1 (ko) 감염병 재난 대비를 위한 수직이동형 해충퇴치장치
JP6364070B2 (ja) 蚊類防除用エアゾール、及び蚊類防除方法
KR20180028490A (ko) 해충을 퇴치 또는 박멸하기 위한 장치
WO2014024052A1 (en) Device for detecting and electrocuting pests
KR20120124909A (ko) 레이저를 이용해 해충을 박멸하는 레이저 커튼 및 그 방법
KR102480818B1 (ko) 말벌퇴치드론용 임무장비
JP4968842B2 (ja) 飛翔昆虫類捕獲器
CN205891255U (zh) 农药喷洒无人机
KR20150001060A (ko) 벌레 유인 포획 장치
CN105494288A (zh) 一种小型灭蚊机器人
KR20130091883A (ko) 소독액 분무장치
KR102211636B1 (ko) 재난대피소용 해충방지시스템
KR101317910B1 (ko) 자동 유인형 곤충 방제로봇 시스템
NL8020137A (nl) Inrichting voor het vernietigen van insekten in gesloten ruimten.
KR20210017362A (ko) 해충 퇴치장치
RU2670123C2 (ru) Моб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ничтожения комаров
JPH10191861A (ja) 捕獲式噴霧殺虫器補助具
JP3723166B2 (ja) スズメバチの駆除方法及び駆除用スプレー
JP2001061397A (ja) 匍匐害虫の防除器およびその防除方法
JP7182118B2 (ja) 害虫捕獲装置、及び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