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1883A - 소독액 분무장치 - Google Patents

소독액 분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1883A
KR20130091883A KR1020120013196A KR20120013196A KR20130091883A KR 20130091883 A KR20130091883 A KR 20130091883A KR 1020120013196 A KR1020120013196 A KR 1020120013196A KR 20120013196 A KR20120013196 A KR 20120013196A KR 20130091883 A KR20130091883 A KR 20130091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infectant
solution
ultrasonic vibrator
spray
absorb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3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현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세진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세진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세진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120013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1883A/ko
Publication of KR20130091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18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11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physical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8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0088Liqui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람들이 많이 출입하는 공항이나 항만, 혹은 기타 건물의 출입구나 복도 등에 설치될 수 있는 소독액 분무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소독액이 저장되는 소독조; 상기 소독조의 정면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설치공; 상기 각 설치공을 통해 삽입되며 하단부는 상기 소독액과 접촉되고 상단부는 상기 설치공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소독액을 흡수하게 되는 소독액 흡수부재; 중심부에 초음파 진동자가 마련되고 상기 초음파 진동자의 후면은 상기 소독액 흡수부재의 상단부와 접촉되고, 상기 초음파 진동자에는 하나 이상의 분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소독액을 분무시키게 되는 분무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독액 분무장치{ANTISEPTIC SOLUTION ATOMIZING APPARATUS}
본 발명은 사람들이 많이 출입하는 공항이나 항만, 혹은 기타 건물의 출입구나 복도 등에 설치될 수 있는 소독액 분무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교통편의 발달로 전세계가 하나로 묶이면서 많은 사람들은 업무나 관광 등의 목적으로 각국을 출입하게 되었고, 무역이 활발해짐에 따라 농산물을 비롯하여 자동차 등 거의 모든 물품들이 운송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인간이나 가축 등에게 치명적인 각종 전염성 질병들이 한번 발병되면 급속도로 퍼져 전세계적으로 유행하게 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즉 국내뿐 아니라 외국의 어느 나라에서 특정 전염병이 발생되면 이와 관련되는 직,간접 산업들도 심각한 타격을 받게 된다.
예를 들어 국내 상황만을 보더라도 신종플루나 조류독감, 구제역 등이 발생되면 어느 한 지역에서 타 지역으로 전파된 후 전국적으로 유행하게 된다. 이러한 질병들은 사람이나 자동차를 매개로 하여 주로 전파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전염병의 전파를 차단하기 위해 시.도의 경계 등에는 통행하는 차량을 일일이 소독하기 위한 검문 초소가 세워진다.
그리고 일정 반경 이내의 관련 축사의 가축들은 생매장되고, 사람이나 차량의 출입이 엄격히 통제된다.
한편, 신종플루와 같이 사람에게 전염되는 질병이 발병되면 사람들은 보다 위생에 신경을 써야만 하고, 가급적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에는 가지 않게 된다.
유행성 전염병의 전파를 차단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공항이나 항만을 비롯한 모든 건물의 출입구에 소독액을 분무하는 소독장치를 마련하여 통행하는 모든 사람들이 소독액에 노출되도록 하는 것일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소독장치를 모든 건물에 구비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비용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0-0133171호(2010.12.21 공개)의 "입자 분무형 몸소독기"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입자 분무형 몸소독기의 사시도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걸어서 통과할 수 있는 폭으로 이격되게끔 직립 설치됨으로써 통로를 형성하는 중공의 제1,2기둥체(1,3)와, 상기 기둥체(1,3)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기둥체(1,3)로 하여금 직립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중공의 연결체(5)와, 소독액을 저장하는 소독액저장탱크(7)와, 상기 소독액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소독액을 무화시키기 위한 초음파발생부(9)와, 상기 기둥체(1,3) 사이의 공간을 향해 소독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기둥체(1,3)의 높이방향을 따라 곳곳에 마련되는 제1분사노즐(11)과, 상기 초음파발생부(9)에 의해 발생되는 입자상태의 소독액을 상기 제1분사노즐(11)까지 공급하기 위한 제1공급관(13)을 포함한다.
종래기술은 초음파발생부에 의해 소독액을 무화시켜서 기둥체를 따라 마련되는 분사노즐을 통해서 무화된 소독액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며, 무화된 소독액을 공급관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송풍팬이 필요하게 되고,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비용적인 부담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0-0133171호(2010.12.21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어디에라도 설치가 가능하며, 송풍팬이 필요없는 소독액 분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콤팩트하면서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는 소독액 분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소독액 분무장치는, 소독액이 저장되는 소독조; 상기 소독조의 정면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설치공; 상기 각 설치공을 통해 삽입되며 하단부는 상기 소독액과 접촉되고 상단부는 상기 설치공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소독액을 흡수하게 되는 소독액 흡수부재; 중심부에 초음파 진동자가 마련되고 상기 초음파 진동자의 후면은 상기 소독액 흡수부재의 상단부와 접촉되고, 상기 초음파 진동자에는 하나 이상의 분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소독액을 분무시키게 되는 분무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분무헤드는, 상기 초음파 진동자; 상기 초음파 진동자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패킹; 상기 패킹을 감싸 지지하며 정면부는 개구되는 분무홀이 형성되고 배면부에는 상기 소독액 흡수부재가 끼워지는 끼움홀이 형성되고, 상기 소독조의 정면부에 결합되는 외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소독조는, 상기 소독액이 일정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위조절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소독액 흡수부재는, 하단측에 소독액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가 형성되는 튜브; 상기 튜브에 삽입되는 스폰지; 상기 튜브에 삽입되되 상기 스폰지 하단면과 접촉되어 상기 스폰지를 탄력적으로 밀게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소독액 분무장치는 사람들이 출입하는 출입구나 복도 등에 간단히 설치가 가능하도록 콤팩트하게 만들 수 있어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소독액이 스펀지를 통해 흡수되어 초음파진동자에 의해 곧바로 무화되어 배출되기 때문에 무화된 소독액을 이동시키기 위한 공급관과 같은 것이 불필요하며, 송풍팬도 필요없게 되어 저렴한 소독액 분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입자 분무형 몸소독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소독액 분무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도 2에 의한 소독액 분무장치의 사용 상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소독액 분무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에 의한 소독액 분무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소독액 분무장치는 기본적으로 사람들이 지나가는 출입구나 복도 등에 설치될 수 있고, 그 외 자동차나 가축이 지나가는 길목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소독액 분무장치는 소독조(100), 설치공(200), 소독액 흡수부재(300) 및 분무헤드(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소독조(100)는 소독액(10)이 저장되는 소정의 챔버와 같은 것이며, 바람직하게 길다란 사각 박스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소독조(100)에는 소독액(10)이 일정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위조절수단(110)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위조절수단(110)은 볼탑과 같은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소독조(100)의 정면부에는 복수의 설치공(200)이 형성되는데, 설치공(200)은 소독조(100)의 길이에 따라 적정 갯수가 마련될 수 있고, 각 설치공(200)은 서로 소정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독조(100)에 형성되는 각각의 설치공(200)에는 소독액 흡수부재(300)가 하나씩 삽입되며, 소독액 흡수부재(300)는 소독액을 흡수하여 후술될 분무헤드(400)로 공급하기 위한 수단이 된다. 즉, 소독액 흡수부재(300)의 하단부는 소독액과 항상 접촉을 이루게 되며, 소독액 흡수부재(300)의 상단부는 설치공(200)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소독액 흡수부재(300)는 튜브(310), 스폰지(320) 및 탄성체(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튜브(310)는 중공관과 같은 형태로 튜브(310)의 하단측에는 소독액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튜브의 상단측도 개구되어 있다. 튜브(310)는 비스듬한 각도로 설치공(200)에 삽입되며, 튜브(310)의 하단은 소독조(100)의 소독액에 담길 수 있도록 배치된다.
소독조(100)의 설치공(200)을 통해 마련되는 튜브(310) 내부에 스폰지(320)가 삽입되며, 스폰지(320)는 소독액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튜브(310)에 삽입되는 스폰지(320)도 소독액에 접촉될 수 있을 정도로 그 길이를 갖추어야 한다. 그리고 스폰지(320)의 상단측은 튜브(310)의 상단보다 다소 돌출되는 형태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튜브(310)의 하단측에는 스폰지(320)를 탄력적으로 밀어줄 수 있는 탄성체(330)가 내장되도록 한다. 탄성체(330)가 스폰지(320)를 적정한 힘으로 밀어주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설치공(200)에는 하나씩의 분무헤드(400)가 결합되며, 분무헤드(400)는 초음파 진동자(410)를 포함하고 초음파 진동자(410)에는 하나 이상의 분출공(411)이 형성되며, 소독액 흡수부재(300)의 상단부와 접촉을 이루게 된다. 초음파 진동자(410)는 전기공급에 의해 작동하여 소독액 흡수부재(300)의 스펀지(320)를 통해 공급되는 소독액을 즉각적으로 무화시켜서 분출공(411)을 통해 전방으로 분사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무헤드(400)는 초음파 진동자(410), 패킹(420) 및 외부 하우징(430)을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초음파 진동자(410)의 중심부에 천공된 분출공(411)이 형성되며, 초음파 진동자(410)의 가장자리는 패킹(420)에 의해 지지되고, 패킹(420)은 실리콘 고무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패킹(420)을 감싸 지지하면서 소독조(100)의 정면부인 각 설치공(200)에 결합되는 외부 하우징(430)이 마련되며, 외부 하우징(430)의 정면부는 개구된 분무홀(431)이 형성되고, 배면부에는 소독액 흡수부재(300)가 끼워지는 끼움홀(432)이 형성된다.
끼움홀(432)을 통해 끼워지는 소독액 흡수부재(300)의 스폰지(320)는 초음파 진동자(410)의 배면과 접촉을 이루게 되고, 초음파 진동자(410)가 작동하면 스폰지(320)를 통해 흡입되는 소독액은 무화되어 분무홀(431)을 통해서 분무된다.
본 발명에 의한 소독액 분무장치는 도 3의 사용 상태도처럼 사람들이 지나가는 복도의 양 벽면을 따라 길게 설치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1단, 혹은 2단 이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사람이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미도시)를 마련하여 사람이 진입하면 자동적으로 본 소독액 분무장치가 작동하도록 한다.
소정의 센서가 사람의 접근 신호를 콘트롤러(미도시)에 제공하면 초음파 진동자(410)가 작동하여 스폰지(320)에 의해 흡입된 소독액을 무화시켜서 전방으로 분무시키게 된다. 분무되는 소독액은 지나가는 사람들의 의복 등에 접촉되면서 소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소독액 분무장치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설치도 간단하고 스폰지(320)를 통해서 적정량의 소독액만이 초음파 진동자(410)로 공급되기 때문에 바닥으로 소독액이 흘러내리지도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무엇보다도 본 소독액 분무장치는 콤팩트하기 때문에 쉽게 운반하여 설치가 가능하고 제거도 간편하므로 특정 시기나 전염병이 발병되었을 때 신속한 설치를 통해 전염병의 전파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소독액 분무장치는 건물의 출입구나 복도 등에 설치되어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100 : 소독조 110 : 수위조절수단
200 : 설치공 300 : 소독액 흡수부재
310 : 튜브 320 : 스폰지
330 : 탄성체 400 : 분무헤드
410 : 초음파 진동자 411 : 분출공
420 : 패킹 430 : 외부 하우징
431 : 분무홀 432 : 끼움홀

Claims (4)

  1. 소독액이 저장되는 소독조;
    상기 소독조의 정면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설치공;
    상기 각 설치공을 통해 삽입되며 하단부는 상기 소독액과 접촉되고 상단부는 상기 설치공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소독액을 흡수하게 되는 소독액 흡수부재;
    중심부에 초음파 진동자가 마련되고 상기 초음파 진동자의 후면은 상기 소독액 흡수부재의 상단부와 접촉되고, 상기 초음파 진동자에는 하나 이상의 분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소독액을 분무시키게 되는 분무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액 분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헤드는,
    상기 초음파 진동자;
    상기 초음파 진동자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패킹;
    상기 패킹을 감싸 지지하며 정면부는 개구되는 분무홀이 형성되고 배면부에는 상기 소독액 흡수부재가 끼워지는 끼움홀이 형성되고, 상기 소독조의 정면부에 결합되는 외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액 분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조는,
    상기 소독액이 일정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위조절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액 분무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액 흡수부재는,
    하단측에 소독액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가 형성되는 튜브;
    상기 튜브에 삽입되는 스폰지;
    상기 튜브에 삽입되되 상기 스폰지 하단면과 접촉되어 상기 스폰지를 탄력적으로 밀게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액 분무장치.
KR1020120013196A 2012-02-09 2012-02-09 소독액 분무장치 KR201300918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196A KR20130091883A (ko) 2012-02-09 2012-02-09 소독액 분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196A KR20130091883A (ko) 2012-02-09 2012-02-09 소독액 분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883A true KR20130091883A (ko) 2013-08-20

Family

ID=49216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3196A KR20130091883A (ko) 2012-02-09 2012-02-09 소독액 분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188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712B1 (ko) * 2015-08-26 2017-02-15 (주)엔퓨텍 자가세정 기능을 갖는 피에조 소독액 분사기
GB202105323D0 (en) 2021-04-14 2021-05-26 Dantech Uk Ltd Disinfection apparatus
CN114642757A (zh) * 2022-04-30 2022-06-21 厦门金名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化防疫消杀用设备
KR20220131757A (ko) 2021-03-22 2022-09-29 주식회사앤제이컴퍼니 소독액 분무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712B1 (ko) * 2015-08-26 2017-02-15 (주)엔퓨텍 자가세정 기능을 갖는 피에조 소독액 분사기
KR20220131757A (ko) 2021-03-22 2022-09-29 주식회사앤제이컴퍼니 소독액 분무장치
GB202105323D0 (en) 2021-04-14 2021-05-26 Dantech Uk Ltd Disinfection apparatus
GB2608582A (en) 2021-04-14 2023-01-11 Dantech Uk Ltd Disinfection apparatus
CN114642757A (zh) * 2022-04-30 2022-06-21 厦门金名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化防疫消杀用设备
CN114642757B (zh) * 2022-04-30 2024-05-07 厦门金名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化防疫消杀用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6007B1 (ko) 출입구 방역장치
KR102210813B1 (ko) 실내용 워킹 스루 소독장치
KR101139795B1 (ko) 소독분무장치
KR101597162B1 (ko) 농장 출입용 차량의 밀폐식 거점 자동소독장치
US10195632B1 (en) Stratification detection and aerosol distribution system
KR101202696B1 (ko) 무인 차량 방역 및 소독, 방제장치
JPWO2019098042A1 (ja) 薬液噴霧装置
JP2009034159A (ja) 噴霧式の生化学的清浄化システム
KR20130091883A (ko) 소독액 분무장치
CA2820789A1 (en) An apparatus for drying and sanitizing hands
JP3201503U (ja) エアフレッシュナー
US1096708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infecting entities
JP3165150U (ja) 可搬式対人除菌装置
JP5819560B1 (ja) 微粒化した液体にマイナスの電荷を帯びさせ放出する装置
US20080029614A1 (en) Mist-Spraying Apparatus
KR102392195B1 (ko) 게이트형 살균 소독장치
WO2021245685A1 (en) A system for disinfecting human orobject from microbes using pressurized steam
JP5282235B2 (ja) 可搬式噴霧除菌装置
JP2005204726A (ja) 殺菌方法および殺菌装置
KR101165191B1 (ko) 소독액 무화 분사장치의 분사구
PL243738B1 (pl) Zestaw zamgławiający do dezynfekcji za pomocą suchej mgły
KR20210158350A (ko) 소독기
KR101667304B1 (ko) 피에조 효과를 이용한 자가설치형 대인 소독기 및 소독방법
KR102389455B1 (ko) 살균소독용 조립식 방역소독부스
KR20130093206A (ko) 소독액 무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