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2987B1 -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건물 출입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건물 출입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2987B1
KR102232987B1 KR1020200108190A KR20200108190A KR102232987B1 KR 102232987 B1 KR102232987 B1 KR 102232987B1 KR 1020200108190 A KR1020200108190 A KR 1020200108190A KR 20200108190 A KR20200108190 A KR 20200108190A KR 102232987 B1 KR102232987 B1 KR 102232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control
mask
building access
thermal imaging
imaging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8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도
이동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투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투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투위
Priority to KR1020200108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29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07C9/3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8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건물 출입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물 출입관리 장치(100), 출입 도어락 장치(200), 소독액 공급장치(300), 네트워크(400), 건물 출입관리 서버(500), 관리자 단말(600)을 포함하며, 건물 출입관리 장치(100), 출입 도어락 장치(200), 소독액 공급장치(300)는 건물의 하나의 출입문에 각기 설치되는 하나의 단위에 해당하는 출입문 통제 관리 유닛(100u)을 구성하는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건물 출입관리 시스템(1)에 있어서, 건물 출입관리 장치(100)는, 열화상 카메라(110), 안면 인식 카메라(120), QR스캐너(130), 스크린(140), 제어부(180), 저장부(190a)를 포함하며, 제어부(180)는, 스크린(140)이 터치모듈을 구비한 경우 스크린(140)을 이용하거나, 네트워크(400)를 통해 건물 출입관리 서버(500) 및 관리자 단말(6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전자출입명부에 해당하는 회원의 초기 안면 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190b)를 제어한 뒤, 저장부(190a) 상에 회원 식별 ID와 함께 초기 안면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수집모듈(181); 및 열화상 카메라(110)에 의해 열원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가 감지되는 경우, 스크린(140) 상으로 얼굴 형상 실루엣에 해당하는 가이드 라인을 출력함으로써, 스크린(140) 상의 얼굴 형상 실루엣 내로 얼굴 형상이 안면 인식 카메라(120)에 의해 감지되는 경우 감지된 얼굴 형상 영역에 대해서 열화상 카메라(110)를 통해 온도 범위를 확인하고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 이하에 따른 제 1 통과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제 1 탈락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발열 확인 모듈(18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건물 출입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건물 출입관리 시스템은, 열원 탐지, 마스크 착용 여부, 안전모 착용 여부, 소독액 사용 여부에 대해서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출입문을 통제할 수 있고, 1회용 QR 코드 정보를 생성하는 회원에 대해서는 신속하게 출입문에 대한 개방을 수행하고, 비회원에 대해서도 확진자로 통보를 받는 경우 이미지 기반의 추적을 통해 접촉자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건물 출입관리 시스템{Hybrid building access control system using thermal imaging camera}
본 발명은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건물 출입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열원 탐지, 마스크 착용 여부, 안전모 착용 여부, 소독액 사용 여부, 1회용 QR코드 생성 유무 등에 대해서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출입문을 통제하기 위한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건물 출입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의 전세계적인 확산으로 개인 방역 뿐만 아니라, 지역 방역 내지는 전국적 방역에 대한 관심이 커가고 있으며, 도로 및 인도의 대중 영역뿐만 아니라, 개개의 건물이나 더 작게는 건물의 내부 구성요소 단위에 대해서도 방역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병원이나, 공항, 터미널, 대형 건물, 공사장 출입구 등 다중이 이용하는 건물이나 시설의 입구에는 열화상 카메라와 소독액을 비치하여 방역을 진행하고 있으며, 일반 사무실의 경우에 ID 인식, 안면 인식, 안구 인식, 지문 인식 등의 방법으로 미리 등록된 인원만 출입이 허가되도록 출입관리 시스템이 설치된 곳도 증가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종래의 출입관리 시스템의 경우는 최근의 COVID-19에 대응하기 위한 시스템은 구축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며, 특히 마스크의 착용 여부, 소독제의 사용 여부 등 방역을 위한 시스템이 구축된 곳은 전무한 실정이다.
방역, 소독 및 출입관리와 관련된 기술을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20-0063475(2020.05.27)호 "소독 기능 공기정화기(disinfection function air purifier)"는 실내에서 부유하는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감염원과 오염물체를 흡입하여 소독약물로 소독, 살균하고 정화하여 배출하는 공기 중에 가습기 살균제 사건과 같이 유해한 소독약물의 미세입자가 배출되지 않도록 1단계에서 소독약물로 소독, 살균하고, 소독약물 미세입자를 제거하며 그래도 잔존할 수 있는 소독약물의 미세입자를 2단계에서 세정수로 소독약물의 미세입자를 세정하고 필터링하여 제거하여 청정한 공기를 배출하는 소독 기능 공기정화기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8-0123846 (2018.10.17)호 "차아염소산 나트륨을 이용한 돈사 내,외부 및 주변 악취 제거겸 살균소독 시스템(Disinfection and disinfection system inside and outside of the pig house using sodium hypochlorite)"은 액비 처리수 저장 탱크와 정화 방류 탱크에 각각 색도검출센서를 설치하고, 액비 처리수 저장 탱크와 정화 방류 탱크 사이에 연결된 액체 통과 관로 상에는 벤츄리 관을 설치하여 액비화 시설에서 나노 필터 분리막을 통해 분리된 후 펌프를 통해 액비 처리수 저장 탱크 내로 유입되거나 액비 처리수 저장 탱크에서 정화 방류 탱크 측으로 유입된 액비의 색도가 정해진 색도를 초과할 경우 정해진 ppm(예를 들어 190~210ppm)을 갖는 차아염소산 나트륨을 액비가 통과하고 있는 상기 벤츄리 관 내로 자동 공급시켜 정화 방류 탱크에서 하수 관로 등 측으로 방류되는 액비의 색도가 원하는 색도록 자동 변화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정화 방류 탱크에서 방류수로 방류되는 돈사의 액비 색이 주민들에게 혐오감을 주게 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1-0114484(2011.11.04)호 "차량용 무인방역장치 및 그 제어방법(Unmanned disinfecting apparatus for vehicles and control method thereof)"은 도로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통행하는 차량의 하부에 소독액을 분사하는 하부소독조; 도로의 양측에서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되어 소독액을 분사하는 한 쌍의 측부소독조; 소독액을 저장하는 약제통; 상기 약제통에 저장되는 소독액을 상기 하부소독조와 측부소독조에 공급하는 펌프구동부; 상기 펌프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약제통에서 공급된 소독액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상기 약제통에서 연결되는 호스에 체결되어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를 더 포함하여 무인방역 방식을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1-0077083(2011.08.02)호 "친환경 살균수를 이용한 차량용 방역장치(Disinfection apparatus for vehicle using eco-friendly antiseptic water)"는 환경을 훼손시키지 않고 고가 소독약품의 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면서 균 및 바이러스의 전파를 예방할 수 있으며 소독약 투입 및 희석에 필요한 번거로움이 없게 한 친환경 살균수를 이용한 차량용 방역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은 열원 탐지, 마스크 착용 여부, 안전모 착용 여, 소독액 사용여부 등에 대해서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출입문을 통제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어 왔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20-0063475(2020.05.27)호 "소독 기능 공기정화기(disinfection function air purifier)"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8-0123846 (2018.10.17)호 "차아염소산 나트륨을 이용한 돈사 내,외부 및 주변 악취 제거겸 살균소독 시스템(Disinfection and disinfection system inside and outside of the pig house using sodium hypochlorit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1-0114484(2011.11.04)호 "차량용 무인방역장치 및 그 제어방법(Unmanned disinfecting apparatus for vehicl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1-0077083(2011.08.02)호 "친환경 살균수를 이용한 차량용 방역장치(Disinfection apparatus for vehicle using eco-friendly antiseptic water)"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열원 탐지, 마스크 착용 여부, 안전모 착용 여부, 소독액 사용 여부, 1회용 QR코드 생성 유무 등에 대해서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출입문을 통제할 수 있는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건물 출입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열원 탐지, 마스크 착용 여부, 안전모 착용 여부, 소독액 사용 여부에 대해서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출입문을 통제할 뿐만 아니라, 1회용 QR 코드 정보를 생성하는 회원에 대해서는 신속하게 출입문에 대한 개방을 수행하고, 비회원에 대해서도 확진자로 통보를 받는 경우 이미지 기반의 추적을 통해 접촉자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건물 출입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건물 출입관리 시스템은, 건물 출입관리 장치(100), 출입 도어락 장치(200), 소독액 공급장치(300), 네트워크(400), 건물 출입관리 서버(500), 관리자 단말(600)을 포함하며, 건물 출입관리 장치(100), 출입 도어락 장치(200), 소독액 공급장치(300)는 건물의 하나의 출입문에 각기 설치되는 하나의 단위에 해당하는 출입문 통제 관리 유닛(100u)을 구성하는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건물 출입관리 시스템(1)에 있어서, 건물 출입관리 장치(100)는, 열화상 카메라(110), 안면 인식 카메라(120), QR스캐너(130) 스크린(140), 제어부(180), 저장부(190a)를 포함하며, 제어부(180)는, 스크린(140)이 터치모듈을 구비한 경우 스크린(140)을 이용하거나, 네트워크(400)를 통해 건물 출입관리 서버(500) 및 관리자 단말(6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전자출입명부에 해당하는 회원의 초기 안면 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190b)를 제어한 뒤, 저장부(190a) 상에 회원 식별 ID와 함께 초기 안면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수집모듈(181); 및 열화상 카메라(110)에 의해 열원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가 감지되는 경우, 스크린(140) 상으로 얼굴 형상 실루엣에 해당하는 가이드 라인을 출력함으로써, 스크린(140) 상의 얼굴 형상 실루엣 내로 얼굴 형상이 안면 인식 카메라(120)에 의해 감지되는 경우 감지된 얼굴 형상 영역에 대해서 열화상 카메라(110)를 통해 온도 범위를 확인하고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 이하에 따른 제 1 통과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제 1 탈락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발열 확인 모듈(18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발열 확인 모듈(182)은, 제 1 탈락 분석 정보를 생성시 음성입출력부(150)로 고온에 따라 출입문을 통과할 수 없다는 음성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태표시등(160)으로 고온에 따라 출입문을 통과할 수 없음을 알리는 알림 색상이 발광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180)는, 감지된 얼굴 형상 영역에 대해서 마스크 착용 여부를 확인한 뒤, 마스크 착용이 확인된 경우 예비 제 2 통과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마스크 착용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제 2 탈락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마스크 착용 확인 모듈(183);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마스크 착용 확인 모듈(183)은, 마스크 착용이 확인되어 예비 제 2 통과 분석 정보가 생성된 사람에 대해서 감지된 얼굴 형상 영역 중 저장부(190a) 상에 저장된 회원의 초기 안면 정보와 비교를 통해서 일치되는 경우 최종 제 2 통과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일치되는 회원의 초기 안면 정보가 없는 경우 제 2 탈락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마스크 착용 확인 모듈(183)은, 최종 제 2 통과 분석 정보를 생성할 뿐만 아니라, 출입관리 장치(100)가 설치된 곳이 마스크 뿐만 아니라, 안전모 착용이 필요한 것으로 저장부(190a) 상에 저장되지 않은 경우, I/O 인터페이스(190c)를 통해 출입 도어락 장치(200)로 도어락 개방 요청을 전송함으로써, 출입 도어락 장치(200)의 도어락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오프(Off) 상태로 제어되어 사람이 개방(Open) 상태가 된 출입문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성입출력부(150)로 마스크를 착용할 뿐만 아니라 회원으로 인식되어 출입문을 통과할 수 있다는 음성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태표시등(160)으로 마스크를 착용할 뿐만 아니라 회원으로 인식됨을 알리는 알림 색상이 발광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건물 출입관리 시스템은, 열원 탐지, 마스크 착용 여부, 안전모 착용 여부, 소독액 사용 여부, 1회용 QR코드 생성 유무 등에 대해서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출입문을 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건물 출입관리 시스템은, 열원 탐지, 마스크 착용 여부, 안전모 착용 여부, 소독액 사용 여부에 대해서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출입문을 통제할 뿐만 아니라, 1회용 QR 코드 정보를 생성하는 회원에 대해서는 신속하게 출입문에 대한 개방을 수행하고, 비회원에 대해서도 확진자로 통보를 받는 경우 이미지 기반의 추적을 통해 접촉자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건물 출입관리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건물 출입관리 시스템(1) 중 건물 출입관리 장치(100)의 외관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건물 출입관리 시스템(1) 중 건물 출입관리 장치(100)의 다양한 적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건물 출입관리 시스템(1) 중 건물 출입관리 장치(1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건물 출입관리 시스템(1) 중 건물 출입관리 장치(100)의 제어부(28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건물 출입관리 시스템(1) 중 건물 출입관리 장치(100)의 손세정 장치부(170)로 산화염소수를 공급하는 소독액 공급장치(3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건물 출입관리 시스템(1) 중 건물 출입관리 장치(100)의 손세정 장치부(170)로 산화염소수를 공급하는 소독액 공급장치(300) 중 제 2 반응조(36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건물 출입관리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건물 출입관리 시스템(1)은 건물 출입관리 장치(100), 출입 도어락 장치(200), 소독액 공급장치(300), 네트워크(400), 건물 출입관리 서버(500), 관리자 단말(600) 및 방문자 단말(700)을 포함하며, 건물 출입관리 장치(100), 출입 도어락 장치(200), 소독액 공급장치(300)는 건물의 하나의 출입문에 각기 설치되는 하나의 단위에 해당하는 출입문 통제 관리 유닛(100u)을 구성할 수 있다.
건물 출입관리 장치(100)는 안면인식 기술(Near-infrared live detection, embedded visible light face recognition)을 적용하여, 실내 및 실외 환경을 가리지 않고 사람이 움직이는 중에도 빠르게 인식이 가능하다.
네트워크(400)는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400)기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네트워크(400)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그 밖의 5G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400)는 건물 출입관리 장치(100), 건물 출입관리 서버(500), 관리자 단말(600) 및 방문자 단말(700),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건물 출입관리 시스템(1) 중 건물 출입관리 장치(100)의 외관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건물 출입관리 시스템(1) 중 건물 출입관리 장치(100)의 다양한 적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건물 출입관리 시스템(1) 중 건물 출입관리 장치(1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건물 출입관리 장치(100)는 스탠드 브라켓 타입(도 3a), 벽부형 브라켓 타입(도 3b), 테이블 브라켓 타입(도 3c)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건물 출입관리 시스템(1) 중 건물 출입관리 장치(100)의 제어부(28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그리고 건물 출입관리 장치(100)는 열화상 카메라(110), 안면 인식 카메라(120), QR 스캐너(130), 스크린(140), 음성입출력부(150), 상태표시등(160), 손세정 장치부(170), 제어부(180), 저장부(190a), 송수신부(190b) 및 I/O 인터페이스(190c)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정보수집모듈(181), 발열 확인 모듈(182), 마스크 착용 확인 모듈(183), 안전모 착용 확인 모듈(184), QR 코드 적용 모듈(185), 손소독 제공 모듈(186), 출입 관리 모듈(187) 및 전자출입명부 관리 모듈(187)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제어부(180)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건물 출입관리 장치(100) 및 건물 출입관리 시스템(1)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정보수집모듈(181)은 스크린(140)이 터치모듈을 구비한 경우 스크린(140)을 이용하거나, 네트워크(400)를 통해 건물 출입관리 서버(500) 및 관리자 단말(6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전자출입명부에 해당하는 회원의 초기 안면 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190b)를 제어한 뒤, 저장부(190a) 상에 회원 식별 ID와 함께 초기 안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발열 확인 모듈(182)은 열화상 카메라(110)에 의해 열원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가 감지되는 경우, 스크린(140) 상으로 얼굴 형상 실루엣에 해당하는 가이드 라인을 출력함으로써, 스크린(140) 상의 얼굴 형상 실루엣 내로 얼굴 형상이 안면 인식 카메라(120)에 의해 감지되는 경우 감지된 얼굴 형상 영역에 대해서 열화상 카메라(110)를 통해 온도 범위를 확인하고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 이하에 따른 제 1 통과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제 1 탈락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발열 확인 모듈(182)은 제 1 탈락 분석 정보를 생성시 음성입출력부(150)로 고온에 따라 출입문을 통과할 수 없다는 음성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태표시등(160)으로 고온에 따라 출입문을 통과할 수 없음을 알리는 알림 색상(예, 적색)이 발광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마스크 착용 확인 모듈(183)은 감지된 얼굴 형상 영역에 대해서 마스크 착용 여부를 확인한 뒤, 마스크 착용이 확인된 경우 예비 제 2 통과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마스크 착용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제 2 탈락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마스크 착용 확인 모듈(183)은 마스크의 패턴 정보를 저장부(190a)에서 추출한 뒤, 추출된 마스크의 패턴 정보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진 패턴을 러신 머신 기반으로 각 경우의 수를 추출하여 추출된 패턴과 감지된 얼굴 형상 영역에 대한 비교를 통해 마스크 착용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마스크 착용 확인 모듈(183)은 마스크 착용이 확인되어 예비 제 2 통과 분석 정보가 생성된 사람에 대해서 감지된 얼굴 형상 영역 중 저장부(190a) 상에 저장된 회원의 초기 안면 정보와 비교를 통해서 일치되는 경우 최종 제 2 통과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일치되는 회원의 초기 안면 정보가 없는 경우 제 2 탈락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마스크 착용 확인 모듈(183)은 최종 제 2 통과 분석 정보를 생성할 뿐만 아니라, 출입관리 장치(100)가 설치된 곳이 마스크 뿐만 아니라, 안전모 착용이 필요한 것으로 저장부(190a) 상에 저장되지 않은 경우, I/O 인터페이스(190c)를 통해 출입 도어락 장치(200)로 도어락 개방 요청을 전송함으로써, 출입 도어락 장치(200)의 도어락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오프(Off) 상태로 제어되어 사람이 개방(Open) 상태가 된 출입문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성입출력부(150)로 마스크를 착용할 뿐만 아니라 회원으로 인식되어 출입문을 통과할 수 있다는 음성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태표시등(160)으로 마스크를 착용할 뿐만 아니라 회원으로 인식됨을 알리는 알림 색상(예, 녹색)이 발광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마스크 착용 확인 모듈(183)은 제 2 탈락 분석 정보를 생성하지만 예비 제 2 통과 분석 정보를 생성한 경우, 송수신부(190b)를 제어하여 네트워크(400)와 연결된 관리자 단말(600)에 대한 음성통화 세션이 연결되도록 제어한 뒤, 음성통화 세션을 통해 음성입출력부(150)로 방문자의 음성을 수신하여 관리자 단말(600)로 제공하고 관리자 단말(600)에 의해 제공된 관리자의 음성을 음성입출력부(150)로 출력하는 방식으로 확인 과정을 통해 관리자 단말(600)에 의한 직접적인 출입 도어락 장치(200)에 대한 원격제어가 수행되도록 중계를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성입출력부(150)로 마스크를 착용하였지만 회원으로 인식되지 않아 출입문을 통과할 수 없다는 음성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태표시등(160)으로 마스크를 착용하였지만 회원으로 인식되지 않음을 알리는 알림 색상(예, 황색)이 발광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마스크 착용 확인 모듈(183)은 예비 제 2 통과 분석 정보를 생성하지 못한 상태에서 제 2 탈락 분석 정보를 생성한 경우, 출입 도어락 장치(200)의 도어락을 계속 온(On) 상태로 제어함으로써, 방문자가 폐쇄(Close) 상태가 된 출입문을 통과할 수 없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음성입출력부(150)로 마스크를 착용하지 못해서 통과할 수 없다는 경고 음성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뿐만 아니라, 상태표시등(160)으로 마스크를 착용하지 못해서 통과할 수 없다는 경고 색상(예, 적색)이 발광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안전모 착용 확인 모듈(184)은 건물 출입관리 장치(100)가 설치된 곳이 마스크 뿐만 아니라, 안전모 착용이 필요한 것으로 저장부(190a) 상에 저장된 경우, 최종 제 2 통과 분석 정보가 생성된 감지된 얼굴 형상 영역에 대해서 안전모 착용 여부를 확인한 뒤, 안전모 착용이 확인된 경우 예비 제 3 통과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안전모 착용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제 3 탈락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안전모 착용 확인 모듈(184)은 안전모의 전면 및 후면, 측면에 대한 패턴 정보를 저장부(190a)에서 추출한 뒤, 추출된 안전모의 패턴 정보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진 패턴 정보를 러신 머신 기반으로 각 경우의 수를 추출하여 추출된 패턴과 감지된 얼굴 형상 영역의 상부의 객체에 대한 비교를 통해 마스크 착용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안전모 착용 확인 모듈(184)은 제 3 통과 분석 정보를 생성시, I/O 인터페이스(190c)를 통해 출입 도어락 장치(200)로 도어락 개방 요청을 전송함으로써, 출입 도어락 장치(200)의 도어락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오프(Off) 상태로 제어되어 사람이 개방(Open) 상태가 된 출입문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성입출력부(150)로 마스크를 착용할 뿐만 아니라 회원으로 인식되고 안전모를 착용하여 출입문을 통과할 수 있다는 음성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태표시등(160)으로 마스크를 착용할 뿐만 아니라 회원으로 인식되고 안전모를 착용함을 알리는 알림 색상(예, 녹색)이 발광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안전모 착용 확인 모듈(184)은 제 3 탈락 분석 정보를 생성한 경우, 출입 도어락 장치(200)의 도어락을 계속 온(On) 상태로 제어함으로써, 방문자가 폐쇄(Close) 상태가 된 출입문을 통과할 수 없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음성입출력부(150)로 안정모를 착용하지 못해서 통과할 수 없다는 경고 음성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뿐만 아니라, 상태표시등(160)으로 안전모를 착용하지 못해서 통과할 수 없다는 경고 색상(예, 적색)이 발광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QR 코드 적용 모듈(185)은 QR 코드 인식단을 구비함으로써, 방문자 단말(700)의 스크린상에 출력된 QR 코드를 인식하여, QR 코드 상에 방문자 단말(700)을 운영하는 방문자가 방문자 단말(700)을 통해 네트워크(400)를 통해 건물 출입관리 서버(500)에 대한 액세스를 통해 사전의 설문조사에 따라 생성된 설문정보를 분석하여 설문정보에서 회원 식별 ID, 회원 정보(이름, 주소, 이메일, 전화번호 등), 자가 발열체크를 포함하는 건강체크 정보에 대해서, 회원 식별 ID와 회원 정보에 대해서 QR 코드 상의 정보수집모듈(181)에 의해 저장부(190a)에 저장된 회원 식별 ID 및 회원 정보에 대한 1차적인 매칭 여부를 분석하고 매칭되는 경우, 2차적으로 건장체크 정보가 미리 설정된 요건 범위에 매칭되는 경우, 예를 들어 자가 발열체크의 경우 통과를 위한 온도 이하로 매칭되는 경우, 출입 도어락 장치(200)의 도어락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오프(Off) 상태로 제어되어 사람이 개방(Open) 상태가 된 출입문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성입출력부(150)로 QR 코드 기반으로 회원 및 건강이 확인되어 출입문을 통과할 수 있다는 음성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태표시등(160)으로 QR 코드 기반으로 회원 및 건강이 확인됨을 의미하는 알림 색상(예, 녹색)이 발광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손소독 제공 모듈(186)은 제 3 통과 분석 정보를 생성하거나, 예비 제 2 통과 분석 정보를 생성한 뒤 원격으로 출입문이 오픈(open) 되거나, 최종 제 2 통과 분석 정보를 생성한 상태에서, 손세정 장치부(170)의 인체감지센서(171)에 의해 사람의 일부가 감지된 경우, 손세정 장치부(170)에 포함된 분사 노즐(172)을 통해 산화염소수를 미세 분사하여 방문자의 손이 세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자출입명부 관리 모듈(187)은 마스크 착용 확인 모듈(183)에 의해 마스크 착용이 확인되어 예비 제 2 통과 분석 정보가 생성된 사람에 대해서 감지된 얼굴 형상 영역 중 저장부(190a) 상에 저장된 회원의 초기 안면 정보와 비교를 통해서 일치되는 회원의 초기 안면 정보가 없는 경우 제 2 탈락 분석 정보를 생성시, 안면 인식 카메라(120)에 의해 촬영된 얼굴 형상 이미지를 저장부(190a)에 촬영을 수행한 안면 인식 카메라(120)를 구비한 건물 출입관리 장치(100)의 식별 ID, 촬영 시간과 함께 네트워크(400)를 통해 건물 출입관리 서버(5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190b)를 제어함으로써, 건물 출입관리 서버(500) 상에 얼굴 형상 이미지, 건물 출입관리 장치(100)의 식별 ID, 촬영 시간으로 "추적 단위 정보"로 관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물 출입관리 서버(500)는 촬영이 수행된 방문자가 감염병 확진자로 통지되는 경우, 추적 단위 정보 상의 얼굴 형상 이미지를 기반으로 각 건물 출입관리 장치(100)의 식별 ID 및 촬영 시간을 통해 건물 출입관리 장치(100)로 통제되는 건물이나 방에 방문한 사람들에 대한 역학조사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건물 출입관리 시스템(1) 중 건물 출입관리 장치(100)의 손세정 장치부(170)로 이산화염소수 등의 소독액을 공급하는 소독액 공급장치(3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소독액은 방역용 손 소독제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알코올계 소독액, 염소계 소독액 등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염소계 소독액인 이산화염소수를 예로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이산화염소수를 사용하는 것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산화염소를 포함하는 염소계 소독액의 경우 이산화염소(ClO2)가 빛에 노출시 분해되기 쉽기 때문에 외부에서 제조해서 운반할 경우에는 효율이 떨어지므로, 건물 출입관리 장치에 제조설비를 설치해서 건물 출입관리 장치에서 바로 제조하고 물과 혼합해서 분사하도록 하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건물 출입관리 시스템(1) 중 건물 출입관리 장치(100)의 손세정 장치부(170)로 산화염소수를 공급하는 소독액 공급장치(300) 중 제 2 반응조(36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저장조(310)에 저장된 물은, 제 1-1 공급펌프(312a) 및 제 1-1 공급관로(311a)를 통해 혼합조(330)로 공급되거나, 제 1-2 공급펌프(312b) 및 제 1-2 공급관로(311b)를 통해 손세정 장치부(170)로 공급되어 건물 출입관리 장치(100) 상에서 음각 형상으로 형성된 손세정 장치부(170) 내부에 분사된 이산화염소 성분을 주기적으로 세척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손세정 장치부(170)에는 도시되진 않았지만 외부로 배출을 위한 전자 개폐형 배수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 1 저장조(310)에 저장된 물은, 제 1-3 공급펌프(313c) 및 제 1-3 공급관로(313c)를 통해 후술하는 제 1 반응조(350) 상에 생성되는 이산화염소수에 대한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건물 출입관리 장치(100)는 센서모듈(190d)의 제 1 반응조(350)에 형성된 제 2 중량감지센서(192d) 외에 제 1 저장부(310) 내부에 실린 물의 중량을 감지하기 위한 제 1 중량감지센서(191d)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네트워크(400)를 통해 관리자 단말(600) 또는 건물 출입관리 서버(500)로부터 제공된 이산화염소수에 대한 농도 조절 명령에 따라 현재의 제 1 반응조(360)로 투입되기 위한 제 1 저장조(310)에 저장된 물에 대해서 관리자 단말(600) 또는 건물 출입관리 서버(500)로부터 제공된 투입 요청 중량변화량 만큼을 제 1-3 공급펌프(313c)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 3 저장조(330a)에 저장된 아염소산염 또는 차아염소산염은, 공급관로를 통해 혼합조(330)로 공급되어 물과 혼합된다. 여기서, 제 1 저장조(310)에서 공급된 물과, 제 3 저장조(330a)에서 공급된 아염소산염 또는 차아염소산염 각각에 대한 혼합조(330)에서 혼합되는 혼합비율은 10 중량% 내지 35 중량% : 65 중량% 내지 9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아염소산염 또는 차아염소산염의 비율이 65 중량% 미만이 되거나 90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제 1 반응조(350)에서 이산화염소의 제조시 이산화염소가 잘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제 2 저장조(320)에 저장된 과산화수소는, 공급관로를 통해 활성화조(340)로 공급된다. 이때 과산화수소의 농도는 5 중량%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과산화수소의 농도가 5 중량% 미만이면 반응이 잘 일어나지 않게 되고, 10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반응속도가 너무 빨라져 이를 제어하기가 곤란하게 된다. 그리고 제 4 저장조(340a)에 저장된 촉매는, 공급관로를 통해 활성화조(340)에 공급된다.
여기서 제 2 저장조(320) 및 제 4 저장조(340a)에서 각각 활성화조(340)로 공급되는 과산화수소와 촉매의 비율은, 99 중량% 내지 99.05 중량% : 0.05 중량% 내지 1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촉매의 비율이 0.05 중량% 미만이 되면 반응이 잘 일어나지 않게 되고, 1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과열반응에 의해 폭발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또한 활성화조(340)에 공급되어 과산화수소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촉매는, 철(Fe)가루, 염화제이철(FeCl3), 황산제일철(FeSO4), 황산제이철(Fe2SO4)3 중 어느 하나의 철염(鐵鹽)인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화조(340)에서는 활성화된 과산화수소에 의해 다량의 발생기산소(O)가 제조되는데, 이때의 반응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20090151282-pat00001
한편, 혼합조(330)에서 물과 혼합된 아염소산염 용액 또는 차아염소산염 용액은, 공급펌프 및 공급관로를 통해 제 1 반응조(350)에 공급된다.
또한 활성화조(340)에서 촉매에 의해 활성화된 과산화수소는, 공급관로를 통해 제 1 반응조(350)에 공급되어, 아염소산염 용액 또는 차아염소산염 용액과 반응하여 이산화염소수를 생성한다.
한편, 제 1 반응조(350)에는 이산화염소를 이산화염소수로 변화시키기 위한 냉각 장치가 별도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아염소산염 용액 또는 차아염소산염 용액과, 활성화된 과산화수소의 혼합비율은, 50 중량% 내지 90 중량% : 10 중량% 내지 5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과산화수소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 되면 반응이 잘 일어나지 않게 되고, 50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과산화수소의 투입과 대비할 때 이산화염소의 생성효율이 낮아지게 된다.
한편 아염소산염과 활성화된 과산화수소는, 제 1 반응조(350)에서 하기의 화학식 2와 같이 반응하여 이산화염소를 발생시킨다.
Figure 112020090151282-pat00002
또한, 차아염소산염과 활성화된 과산화수소는, 제 1 반응조(350)에서 하기의 화학식 3과 같이 반응하여 이산화염소를 발생시킨다.
Figure 112020090151282-pat00003
상기한 2가지 경우 모두, 종래와 같이 염분(Nacl)을 발생시키지 않고 이산화염소수를 제조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관로의 내면에 단단한 스케일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이산화염소수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제 1 반응조(350)에 공기를 공급하는 과정과, 제 1 반응조(350)에서 생성되는 부산물 용액을 처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살균 및 악취제거를 위해 제 1 반응조(350)에서 제조된 이산화염소수에 대해서 제어부(180)는 손세정 장치부(170)의 인체감지센서(171)에 의해 사람의 일부가 감지된 경우, 손세정 장치부(170)에 포함된 분사 노즐(172)에 대한 개방 명령과 함께, 제 2-1 공급펌프(352a) 및 제 2-1 공급관로(351a)를 통해 손세정 장치부(17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손세정 장치부(170)로의 공급 외에 제 2-2 공급펌프(352b) 및 제 2-2 공급관로(351b)를 통해 제 2 반응조(360)로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반응조(350)에서 이산화염소 제조시 부산물로 발생되는 물질은, 제 2-3 공급관로(351c)를 통해 제 5 저장조(350b)에 저장된 후, 폐수로 처리되거나 재활용된다.
한편 제 6 저장조(370)에는 손세정 장치부(170)에 포함된 분사 노즐(172)을 통해 분사된 이산화염소수 또는 세척에 사용되는 물이 회수될 수 있도록 전자 개폐형 배수구 내에 형성된 분기 관로와 회수 펌프를 통해 재활용 이산화염소수 또는 재활용 물이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제 6 저장조(370)에 저장된 액체 또는 기체상태의 악취물질 또는 살균대상물질은, 제 3 공급펌프(372) 및 제 3 공급관로(371)를 통해 제 2 반응조(360)로 공급된다.
제 2 반응조(360)에서는, 제 1 반응조(350)에서 공급되는 이산화염소수를 사용하여 재활용 이산화염소수 또는 재활용 물에 대해 악취를 제거하거나 살균을 한다,
또한 살균 및 악취제거 과정 중 제 2 반응조(360)에서 발생되는 기체 또는 액체는, 정화처리부(360a)를 통해 추가로 처리된 후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염산이나 황산 등을 사용하지 않고 과산화수소를 이용하여 이산화염소수를 제조하므로, 이산화염소수의 제조시 염분(NaCl)이 생성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관로의 내면에 단단한 스케일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관로가 막히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철염을 이용하여 과산화수소를 활성화시킨 후 이를 아염소산염 또는 차아염소산염과 반응시키므로, 보다 많은 양의 이산화염소수를 효율 좋게 제조할 수가 있다.
또한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소독약 수준의 과산화수소를 사용함으로써, 안전성 및 작업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제 6 저장조(370)는 오염된 재활용 이산화염소수 및 재활용 물이 수용되도록 내측면이 코팅된 합성섬유재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6 저장조(370)를 합성섬유재로 형성시켜 최초 패널 형상으로 물탱크 내부에 배치시켜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제 1 저장조(310)의 물이 혼합조(330)로 제공되고 혼합조(330)에서 제 1 반응조(350)로 제공되거나 제 1 저장조(310)의 물이 손세정 장치부(170)로 제공되는 경우, 제 1 저장조(310)의 내부에 공간이 마련됨과 아울러 혼합조(330) 및 제 1 반응조(350)를 거친 이산화염소수에 의해 소독을 마친 재활용 이산화염소수가 제 6 저장조(370)에 전달되서 제 6 저장조(370)의 부피가 늘어나 제 1 저장조(310) 및 제 3 저장조(330)에서 저장물체가 빠져나간 공간을 제 6 저장조(370)가 채우게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저장조(310)의 상부에는 도어를 설치하여 제 6 저장조(370)를 제 1 저장조(310)에서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 6 저장조(370)는 제 1 저장조(310)의 내측 상부에 나사체결하거나 걸어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6 저장조(370)에는 오염된 물에 포함되어 이동되는 이물질(미세먼지 등)이 걸러지도록 필터가 더 설치되어, 흡입펌프의 구동에 의해 연결관로를 따라 이동되는 이물질이 포함된 재활용 이산화염소수 및 재활용 물에서 이물질이 걸러지게 되며, 필터에 의해 걸러진 것이 물인 경우, 즉 손세정 장치부(170)에 의해 분사된 것이 물인 경우 제어부(180)는 복수로 형성 가능한 제 1 저장조(310) 중 재활용을 위해 별도로 형성된 제 1 저장조(310)로 필터링된 대상물질을 제공하여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이산화염소수 생성시 복수로 형성 가능한 혼합조(330) 중 손세정 장치부(170)의 소독을 위해 별도로 형성된 혼합조(330)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으며, 이후에는 복수로 형성 가능한 제 1 반응조(350)로 공급되어 소독용 제 1 반응조(350)에서 자체 소독용 이산화염소수가 생성되어 활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필터에 의해 걸러진 것이 이산화염소수인 경우, 즉 손세정 장치부(170)에 의해 분사된 것이 이산화염소수인 경우 제어부(180)는 복수로 형성 가능한 제 1 반응조(350) 중 분리형 제 1 반응조(350)로 필터링된 대상물질을 제공함으로써, 분리형 제 1 반응조(350)를 분리하여 공기흡입장치(380)로 유입된 공기에 대한 탈취에 사용하거나, 시설물 소독 및 방역에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폐기 처분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제 2 반응조(360)는 반응룸(361), 라인믹서(362) 및 배출구(363)를 포함할 수 있다.
반응룸(361)에는 제 6 저장조(370)로부터 제 3 공급펌프(372) 및 제 3 공급관로(371)를 통해 회수된 손세정 장치부(170)에 의해 분사된 이산화염소수 또는 공기흡입장치(380)로 흡입된 대상공기에 대해서, 제 1 반응조(350)로부터 제어부(180)의 제 2-2 공급펌프(352b)의 제어에 따라 제공된 이산화염소수가 처음 만나 완전 혼합하는 영역으로 혼합된 대상체가 다음단계인 라인믹서(362)에 균등한 비율로 유입됨으로써, 충분히 혼합 반응해 대상체에 대한 소독과 악취제거를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라인믹서(362)는 각각의 라인 믹서에 유입된 대상체와 이산화염소수는 충분히 혼합 반응하여 배출구(363)로 제공됨으로써, 배출구(363)를 통해 정화 처리부(360a)로 공급될 수 있다. 즉, 라인믹서(362)는 파이프의 내부에 혼합부재를 구비한 것으로, 제 2-2 공급펌프(352b) 및 제 3 공급펌프(372)에 의해 제공된 동력에 따라 별도의 동력공급이 없이 대상체와 이산화염소수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배출구(363)로 제공할 수 있다.
배출구(363)는 라인믹서(362)의 상부에 구비되어 정화 처리부(360a)로 대상체와 이산화염소수의 혼합물질을 공급하기 위해 상부의 직경이 하부의 직경보다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정화 처리부(360a)는 배출구(363)와 연결되는 관형태로 관 내부에 방사상으로 복수개 구비되어, 배출구(363)에서 반응조 내부에 과잉으로 공급되는 이산화염소가스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건물 출입관리 시스템
100 : 건물 출입관리 장치 100u : 출입문 통제 관리 유닛
110 : 열화상 카메라 120 : 안면 인식 카메라
130 : QR 스캐너 140 : 스크린
150 : 음성입출력부 160 : 상태표시등
170 : 손세정 장치부 180 : 제어부
181 : 정보수집모듈 182 : 발열 확인 모듈
183 : 마스크 착용 확인 모듈 184 : 안전모 착용 확인 모듈
185 : QR 코드 적용 모듈 186 : 손소독 제공 모듈
187 : 전자출입명부 관리 모듈 190a : 저장부
190b : 송수신부 190c : I/O 인터페이스
190d : 센서모듈 200 : 출입 도어락 장치
300 : 이산화염소 공급장치 400 : 네트워크
500 : 건물 출입관리 서버 600 : 관리자 단말
700 : 방문자 단말

Claims (5)

  1. 건물 출입관리 장치(100), 출입 도어락 장치(200), 소독액 공급장치(300), 네트워크(400), 건물 출입관리 서버(500), 관리자 단말(600)을 포함하며, 건물 출입관리 장치(100), 출입 도어락 장치(200), 소독액 공급장치(300)는 건물의 하나의 출입문에 각기 설치되는 하나의 단위에 해당하는 출입문 통제 관리 유닛(100u)을 구성하는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건물 출입관리 시스템(1)에 있어서,
    건물 출입관리 장치(100)는, 열화상 카메라(110), 안면 인식 카메라(120), QR스캐너(130), 스크린(140), 제어부(180), 저장부(190a)를 포함하며,
    제어부(180)는, 스크린(140)이 터치모듈을 구비한 경우 스크린(140)을 이용하거나, 네트워크(400)를 통해 건물 출입관리 서버(500) 및 관리자 단말(6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전자출입명부에 해당하는 회원의 초기 안면 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190b)를 제어한 뒤, 저장부(190a) 상에 회원 식별 ID와 함께 초기 안면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수집모듈(181); 및
    열화상 카메라(110)에 의해 열원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가 감지되는 경우, 스크린(140) 상으로 얼굴 형상 실루엣에 해당하는 가이드 라인을 출력함으로써, 스크린(140) 상의 얼굴 형상 실루엣 내로 얼굴 형상이 안면 인식 카메라(120)에 의해 감지되는 경우 감지된 얼굴 형상 영역에 대해서 열화상 카메라(110)를 통해 온도 범위를 확인하고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 이하에 따른 제 1 통과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제 1 탈락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발열 확인 모듈(18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건물 출입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어부(180)는, 감지된 얼굴 형상 영역에 대해서 마스크 착용 여부를 확인한 뒤, 마스크 착용이 확인된 경우 예비 제 2 통과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마스크 착용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제 2 탈락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마스크 착용 확인 모듈(183);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 착용 확인 모듈(183)은, 마스크 착용이 확인되어 예비 제 2 통과 분석 정보가 생성된 사람에 대해서 감지된 얼굴 형상 영역 중 저장부(190a) 상에 저장된 회원의 초기 안면 정보와 비교를 통해서 일치되는 경우 최종 제 2 통과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일치되는 회원의 초기 안면 정보가 없는 경우 제 2 탈락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마스크 착용 확인 모듈(183)은, 최종 제 2 통과 분석 정보를 생성할 뿐만 아니라, 출입관리 장치(100)가 설치된 곳이 마스크 뿐만 아니라, 안전모 착용이 필요한 것으로 저장부(190a) 상에 저장되지 않은 경우, I/O 인터페이스(190c)를 통해 출입 도어락 장치(200)로 도어락 개방 요청을 전송함으로써, 출입 도어락 장치(200)의 도어락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오프(Off) 상태로 제어되어 사람이 개방(Open) 상태가 된 출입문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성입출력부(150)로 마스크를 착용할 뿐만 아니라 회원으로 인식되어 출입문을 통과할 수 있다는 음성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태표시등(160)으로 마스크를 착용할 뿐만 아니라 회원으로 인식됨을 알리는 알림 색상이 발광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건물 출입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발열 확인 모듈(182)은,
    제 1 탈락 분석 정보를 생성시 음성입출력부(150)로 고온에 따라 출입문을 통과할 수 없다는 음성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태표시등(160)으로 고온에 따라 출입문을 통과할 수 없음을 알리는 알림 색상이 발광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건물 출입관리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108190A 2020-08-27 2020-08-27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건물 출입관리 시스템 KR102232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190A KR102232987B1 (ko) 2020-08-27 2020-08-27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건물 출입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190A KR102232987B1 (ko) 2020-08-27 2020-08-27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건물 출입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2987B1 true KR102232987B1 (ko) 2021-03-29

Family

ID=75250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190A KR102232987B1 (ko) 2020-08-27 2020-08-27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건물 출입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29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6102B1 (ko) * 2021-09-28 2022-11-16 (주)디에스티인터내셔날 비접촉 인증을 통한 출입 통제 및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121489A (ko) 2022-02-11 2023-08-18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검역 스마트 도어 시스템
KR102570720B1 (ko) * 2022-12-09 2023-08-25 변병주 근태확인용 부스형 출입관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903B1 (ko) * 2020-06-08 2020-07-17 주식회사 유니온씨티 감염예방 인증 키오스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903B1 (ko) * 2020-06-08 2020-07-17 주식회사 유니온씨티 감염예방 인증 키오스크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1-0077083(2011.08.02)호 "친환경 살균수를 이용한 차량용 방역장치(Disinfection apparatus for vehicle using eco-friendly antiseptic water)"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1-0114484(2011.11.04)호 "차량용 무인방역장치 및 그 제어방법(Unmanned disinfecting apparatus for vehicl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8-0123846 (2018.10.17)호 "차아염소산 나트륨을 이용한 돈사 내,외부 및 주변 악취 제거겸 살균소독 시스템(Disinfection and disinfection system inside and outside of the pig house using sodium hypochlorit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20-0063475(2020.05.27)호 "소독 기능 공기정화기(disinfection function air purifi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6102B1 (ko) * 2021-09-28 2022-11-16 (주)디에스티인터내셔날 비접촉 인증을 통한 출입 통제 및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121489A (ko) 2022-02-11 2023-08-18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검역 스마트 도어 시스템
KR102570720B1 (ko) * 2022-12-09 2023-08-25 변병주 근태확인용 부스형 출입관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2987B1 (ko)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건물 출입관리 시스템
CN111161455A (zh) 身份识别、体温测量、消毒灭菌去除气溶胶设备及方法
CN201248671Y (zh) 带监控、空气净化、保洁功能的组合机器人
KR102283833B1 (ko) 자동 소독제 분사장치
CN111160322A (zh) 一种智能生物安全防护通道
CN106139196A (zh) 一种智能消毒设备
CN211454694U (zh) 一种具有测量体温以及消毒功能的门禁系统
CN210895592U (zh) 身份识别、体温测量、消毒灭菌去除气溶胶装置
KR102226162B1 (ko) 초소형 방역청소용 전기차의 ai 관리 시스템
JP2011030719A (ja) エアカーテン装置および感染防止システム
CN211087277U (zh) 一种智能生物安全防护通道
CN107820054A (zh) 智能物联网消毒监控系统
KR20230129000A (ko) 로봇 및 이가 이용되는 업무, 작업, 공사, 감리, 관리, 진단, 경비 방법
CN212836880U (zh) 一种人员自动检测消毒防疫通道系统
KR20220151591A (ko) 원격관리가 가능한 안심비상벨이 탑재된 공기청정살균 시스템
KR101254717B1 (ko) 폐쇄회로카메라를 이용한 디지털 방역관제시스템
CN111105162A (zh) 一种养殖场生物安全管理系统
CN212631290U (zh) 物联网智能消杀平台系统
CN212654319U (zh) 一种特种车辆消洗中心
CN112318515A (zh) 智能空气消杀防疫机器人系统
CN109222447A (zh) 一种保存重要文献的档案柜
CN212653450U (zh) 智能空气消杀防疫机器人系统
KR102365062B1 (ko) 이산화염소수 분배장치를 포함하는 초소형 방역 겸용 청소용 전기차 관리 시스템
CN214475066U (zh) 智能消毒系统
KR102211459B1 (ko) 공동주택의 방범기능을 향상시킨 통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