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4179B1 - 공동 주거 단지 방범 시스템의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공동 주거 단지 방범 시스템의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4179B1
KR101354179B1 KR1020120044000A KR20120044000A KR101354179B1 KR 101354179 B1 KR101354179 B1 KR 101354179B1 KR 1020120044000 A KR1020120044000 A KR 1020120044000A KR 20120044000 A KR20120044000 A KR 20120044000A KR 101354179 B1 KR101354179 B1 KR 101354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enant
visitor
reader
recogn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4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0828A (ko
Inventor
김원용
Original Assignee
(주)문화지엔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문화지엔코 filed Critical (주)문화지엔코
Priority to KR1020120044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4179B1/ko
Publication of KR20130120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4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4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 G08B13/24Electrical 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electromagnetic field distribution
    • G08B13/2402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EAS], i.e. systems using tags for detecting removal of a tagged item from a secure area, e.g. tags for detecting shoplift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 주거 단지 방범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방법은, 동작 감지기에서 사람을 인식하는 동작 인식 단계와; 상기 동작 인식 단계에서 움직이는 사람을 인식하는 경우에 리더기에 의하여 움직이는 사람의 단말기를 읽는 리더 단계와; 상기 리더단계에서 입주자 단말기로 판단되는 경우에 입주자로 판단하는 입주자 판단 단계와; 상기 리더단계에서 방문자 단말기로 판단되는 경우에 방문자로 판단하는 방문자 판단 단계; 및 상기 리더단계에서 입주자 단말기 또는 방문자 단말기로 판단되지 않는 경우에 침입자로 인식하는 침입자판단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단지 내 지하 주차장이나 놀이터 등 입주자 동선 내의 공간에서 주변에 침입자가 있는지 혹은 방문자가 몇 명이나 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입주자와 방문자에게 엘리베이터 및 출입문의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동 주거 단지 방범 시스템의 운용 방법{METHOD OF APARTMENT SECURITY SYSTEM}
본 발명은 공동 주거 단지 방범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지금 현재 사용자 주변에 입주자와 방문자 및 침입자가 몇 명 있는지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고, 방문자인 경우에는 방문 목적지에만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또한 공동 주거 단지의 경계에 펜스를 설치함이 없이 방범을 할 수 있는 공동 주거 단지 방범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 나라의 주거 형태는 아파트를 포함한 공동 주거 비율이 50%를 상회하여 단독주거 형태보다 공동 주거 형태가 압도적인 우위를 보이고 있다. 또한 앞으로도 이러한 현상은 더욱 심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이러한 공동 주거 단지는 대단지로 건설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단지별로 건설되는 공동 주거 단지에는 경계를 이루는 펜스가 설치되어 침입자의 침입을 방지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펜스의 설치는 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공간을 폐쇄하여 입주자의 정서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
그리고 종래의 방범 시스템에서는 외부의 침입자가 단지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므로, 단지 내 놀이터나 지하 주차장에서 내 주변에 침입자가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따라서 본 발병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동 주거 단지의 경계를 이루는 펜스가 없이도 침입자를 감지할 수 있고, 단지 내 지하 주차장이나 놀이터에서도 주변에 침입자가 있는지 혹은 방문자가 몇 명이나 있는지 확인할 수 있고, 방문자를 방문 목적지로만 인도할 수 있는 공동 주거 단지 방범 시스템의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며,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움직이는 사람을 감지할 수 있고, 공동 주거 단지 내에 복수로 설치되는 동작 감지기와; 고유의 식별 번호가 부여되고, 공동 주거 단지 입주자가 소지하는 복수의 입주자 단말기와; 공동 주거 단지 내에 복수로 설치되며, 근거리에서 상기 입주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리더기와; 상기 동작 감지기와 상기 리더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방문자에게 지급되고, 고유의 식별 번호가 부여되고, 상기 리더기와 근거리에서 통신할 수 있는 복수의 방문자 단말기와; 상기 방문자 단말기에 부여된 고유의 식별 번호로 구별하여 방문자의 방문 목적지 데이터를 입력하고, 방문자를 방문 목적지로만 인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작 감지기와 상기 리더기는 공동 주거 단지의 경계를 포함한 입주자의 주된 동선에 특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중앙 통제 서버와; 엘리베이터와 출입문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더기와 상기 입주자 단말기의 통신과, 상기 리더기와 상기 방문자 단말기의 통신은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공동 주거 단지 방범 시스템의 운영 방법은, 동작 감지기에서 사람을 인식하는 동작 인식 단계와; 상기 동작 인식 단계에서 움직이는 사람을 인식하는 경우에 리더기에 의하여 움직이는 사람의 단말기를 읽는 리더 단계와; 상기 리더단계에서 입주자 단말기로 판단되는 경우에 입주자로 판단하는 입주자 판단 단계와; 상기 리더단계에서 방문자 단말기로 판단되는 경우에 방문자로 판단하는 방문자 판단 단계; 및 상기 리더단계에서 입주자 단말기 또는 방문자 단말기로 판단되지 않는 경우에 침입자로 인식하는 침입자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입주자 단말기에서 주변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 요청 단계와; 상기 정보 요청 단계에서 정보를 요청하면 주위의 입주자 수, 방문자 수 및 침입자 수의 데이터를 해당 입주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정보 제공 단계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방문자 단말기 지급 시 중앙 통제 서버에 등록한 방문 목적지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와 출입문에 설치된 리더기에 의해 상기 방문자 단말기를 인식하는 방문자 판단 단계와; 상기 중앙 통제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방문자 단말기를 소지한 방문자의 출입 허가 여부를 조회하는 방문자 조회 단계와; 출입 허가 여부에 따라 엘리베이터 및 출입문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 단계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공동 주거 단지 내의 모든 엘리베이터와 출입문에 설치된 리더기에 의해 입주자 단말기를 인식하는 입주자 판단 단계와; 입주자 확인 여부에 따라 엘리베이터 및 출입문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 단계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구성과 방법에 의하여, 공동 주거 단지의 경계를 이루는 펜스가 없이도 침입자를 감지할 수 있고, 단지 내 지하 주차장이나 놀이터 등 입주자 동선 내의 공간에서 주변에 침입자가 있는지 혹은 방문자가 몇 명이나 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입주자와 방문자에게 엘리베이터 및 출입문의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할 수 있으며, 방문자에게 등록된 방문 목적지로만 인도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중앙 통제 부서에서 공동 주거 단지 내의 공동 구역 내의 사람들을 파악하고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동 주거 단지 방범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입주자 및 방문자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운영 방법 중 입주자, 방문자, 침입자 판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운영 방법 중 출입 관리를 도시한 흐름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동 주거 단지 방범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입주자 및 방문자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동 주거 단지 방범 시스템은 제어부(10), 동작 감지기(20), 리더기(30), 입주자 단말기(40) 및 방문자 단말기(5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동작 감지기(20)는 근거리에서 움직이는 물체, 즉 사람을 감지하는 장치이다. 이는 공동 주거 단지의 경계에 설치되고, 또한 단지 내의 지하 주차장, 놀이터, 공원, 복도,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등 입주자와 방문자의 주된 동선에 산재하여 설치한다.
그리고 복수로 설치되는 상기 동작 감지기(20)의 감지 영역은 사각 지대가 없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상기 동작 감지기(20)의 감지 범위는 서로 중첩되게 설치하여서 외부인이 상기 동작 감지기(20)에 감지됨이 없이 단지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복수로 설치되는 각각의 상기 동작 감지기(20)의 위치 정보는 상기 제어부(10)에 저장되어서, 어느 특정한 상기 동작 감지기(20)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단지 내의 어느 위치에 사람이 존재한다는 것을 상기 제어부(10)에서 인식하게 된다.
상기 리더기(30)는 미리 설정된 단말기의 데이터를 읽을 수 있는 장치인데, 입주자들이 소지하는 입주자 단말기(40)와 방문자 단말기(50)의 데이터를 비접촉식으로 읽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더기(30)는 엘리베이터 근처, 동의 출입문 등에 설치되어서, 엘리베이터를 탑승하는 사람이나 출입하는 사람들이 소지한 단말기의 데이터를 읽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리더기(30)는 상기 동작 감지기(20)와 함께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입주자 단말기(40)는 공동 주거 단지 내에 입주한 주민에게 발급되는 단말기인데, 상기 입주자 단말기(40) 내에는 고유 식별 번호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10)에 고유 식별 번호와 연관된 입주자의 정보가 저장되어 관리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는 화면 표시창이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제어부(10)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상기 리더기(30)로부터 전송받아 표시한다.
상기 방문자 단말기(50)는 공동 주거 단지를 방문하는 사람에게 임시로 발급하는 단말기인데, 공동 주거 단지의 관리소나 방문자 센터 등에서 발급할 수 있다.
상기 방문자 단말기 내에는 고유 식별 번호가 저장되어 있고, 방문자 등록 시 상기 제어부(10)에 방문자의 정보와 방문 목적지가 저장되도록 하여 방문 목적지까지의 동선을 따라 엘리베이터 및 출입문을 상기 제어부(10)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는 화면 표시창이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제어부(10)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상기 리더기(30)로부터 전송받아 표시한다.
상기 입주자 단말기(40)나 상기 방문자 단말기(50)에는 각각 고유 식별 번호가 부여되고, 이러한 고유 식별 번호를 상기 리더기(30)가 읽어서 상기 제어부(10)에 전송하면, 상기 제어부(10)에서는 수신된 고유 식별 번호에 의하여 단말기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더기(30)와 상기 입주자 단말기(40)의 통신과 상기 리더기(30)와 상기 방문자 단말기(50)의 통신은 지그비(ZigBee) 통신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그비는 저비용, 저전력의 무선 망사형(mesh) 네트워크의 표준이다. 지그비의 저비용 특성은 지그비가 무선 제어 및 모니터링 분야에 널리 설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고, 저전력 특성은 작은 배터리로 오래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그리고, 망사형 네트워크는 넓은 통신 범위와 높은 안정성을 제공해 준다.
지그비는 산업, 과학, 의료용 기기에서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인, ISM 무선 대역에서 동작한다. 유럽에서는 MHz 대역을, 미국 및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MHz 대역을, 나머지 지역에서는 GHz 대역을 사용한다. 지그비 기술은, 블루투스 같은 다른 장비에 비해서 간단하고, 저렴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지그비 프로토콜은, 저전력을 사용하고, 낮은 데이터 전송 속도를 요구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맞도록 설계되었다. 지그비의 현재 목표는 범용이고, 저렴하면서, 스스로 구성하는 망사형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런 망사형 네트워크는 산업용 제어, 내장형 센서, 의료 데이터 수집, 연기 혹은 침입자 경고, 빌딩 자동화, 홈 오토메이션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공동 주거 단지 방범 시스템의 운영 방법 중 입주자, 방문자, 침입자 판정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동작 감지기(20)에서 주변에 사람의 움직임에 의하여 사람의 존재를 인식하는 동작 인식 단계(S10)가 진행된다. 만약에 주변에 사람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사람이 있다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10)로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어부(10)에서는 해당 동작 감지기와 함께 설치된 해당 리더기(30)가 작동하여 단말기의 데이터를 읽는 리더 단계(S20)가 진행된다. 만약에 상기 동작 감지기(20)에서 감지되었으나 함께 설치된 리더기(30)에서 아무런 신호를 읽지 못한 사람은 허가되지 않은 침입자로 판단하는 침입자 판단 단계(S30)가 진행된다.
만약 해당 리더기(30)에서 주변에 위치한 단말기(40, 50)의 고유 식별 번호를 읽었다면, 그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에서는 수신된 고유 식별 번호를 판독하여서 등록된 입주자인지 판단하는 입주자 판단 단계(S40)가 진행된다.
고유 식별 번호에 의하여 입주자가 아닌 경우에는 방문자 판단 단계(S50)가 진행되고, 이를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방문자의 위치가 허가된 지역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또한 지하 주차장이나 놀이터 등에서 알 수 없는 사람을 만났을 경우에는 소지한 단말기(40, 50)를 통하여 정보 요청을 할 수 있는 정보 요청 단계(S60)가 진행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10)에서는 요청된 데이터를 단말기(40, 50)와 통신 가능한 상기 리더기(30)로 전송하여, 상기 리더기(30)가 상기 단말기(40, 50)로 전송하도록 하는 정보 제공 단계(S70)가 진행된다. 그러면 해당 단말기(40, 5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주변에 위치한 사람들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즉 공동 주거 단지 내의 입주자와 방문자는 주변에 수상한 사람을 발견하거나, 야간에 지하 주차장에 몇 사람이 존재하는지 궁금한 경우에도 실시간으로 입주자가 몇 명 있는지, 방문자가 몇 명 있는지 또는 허가받지 않은 침입자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공동 주거 단지 방범 시스템의 운영 방법 중 출입 관리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및 출입문과 같이 통행을 통제할 수 있는 시설에 설치된 상기 리더기(30)를 통해 상기 방문자 단말기(50)를 인식하여 상기 방문자 판단 단계(S50)가 진행된 경우, 해당 엘리베이터 및 출입문이 해당 방문자에게 출입이 허가된 것인지를 상기 제어부(10)에 조회하여 확인하는 방문자 조회 단계(S80)가 진행된다.
출입이 허가된 경우에는 자동으로 엘리베이터를 호출해 주거나 출입문을 열어 주도록 하는 동작 제어 단계(S90)가 진행된다. 또한 엘리베이터 및 출입문과 같이 통행을 통제할 수 있는 시설에 설치된 상기 리더기(30)를 통해 상기 입주자 단말기(40)를 인식하여 상기 입주자 판단 단계(S40)가 진행된 경우, 자동으로 엘리베이터를 호출해 주거나 출입문을 열어 주도록 하는 동작 제어 단계(S90)가 진행된다.
본 발명에서는 아파트와 같은 공동 주거 단지에 적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으로 설명하였지만 산업비밀이 중요시 되고 있는 산업단지, 회사, 공장, 연구소 등 보안과 방범이 요구되는 다양한 장소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 주거 단지 방범 시스템과 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하의 특허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제어부, 20: 동작 감지기,
30: 리더기, 40: 입주자 단말기,
50: 방문자 단말기, S10: 동작 인식 단계,
S20: 리더 단계, S30: 침입자 판단 단계,
S40: 입주자 판단 단계 S50: 방문자 판단 단계,
S60: 정보 요청 단계, S70: 정보 전송 단계,
S80: 방문자 조회 단계, S90: 동작 제어 단계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동작 감지기(20)에서 사람을 인식하는 동작인식단계(S10);
    상기 동작인식단계(S10)에서 움직이는 사람을 인식하는 경우에 리더기(30)에 의하여 움직이는 사람의 단말기를 읽는 리더단계(S20);
    상기 리더단계(S20)에서 입주자 단말기(40)로 판단되는 경우에 입주자로 인식하는 입주자 판단단계(S40);
    상기 리더단계(S20)에서 방문자 단말기(50)로 판단되는 경우에 방문자로 인식하는 방문자 판단단계(S50); 및
    상기 리더단계(S20)에서 입주자 단말기(40) 또는 방문자 단말기(50)로 판단되지 않는 경우에 침입자으로 인식하는 침입자 판단단계(S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단지 방범 시스템의 운영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입주자 단말기(40)에서 주변정보를 요청하는 정보요청단계(S60)와; 상기 정보요청단계(S60)에서 정보를 요청하면 주위의 입주자 수, 방문자 수 및 침입자 수의 데이터를 해당 입주자 단말기(40)에 전송하는 정보제공단계(S70)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단지 방범 시스템의 운영방법.

  9. 삭제
KR1020120044000A 2012-04-26 2012-04-26 공동 주거 단지 방범 시스템의 운용 방법 KR101354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000A KR101354179B1 (ko) 2012-04-26 2012-04-26 공동 주거 단지 방범 시스템의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000A KR101354179B1 (ko) 2012-04-26 2012-04-26 공동 주거 단지 방범 시스템의 운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828A KR20130120828A (ko) 2013-11-05
KR101354179B1 true KR101354179B1 (ko) 2014-01-23

Family

ID=49851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4000A KR101354179B1 (ko) 2012-04-26 2012-04-26 공동 주거 단지 방범 시스템의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41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1459B1 (ko) 2020-07-31 2021-02-04 (주)동화이엔씨 공동주택의 방범기능을 향상시킨 통신 시스템
KR102229363B1 (ko) 2020-08-14 2021-03-22 (주)세명이엔지 공동주택 건축물의 정보통신 관리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045B1 (ko) * 2007-01-25 2007-06-28 (주) 이니투스 알에프아이디 태그와 디스플레이 가능한 전자방문증 및이를 이용한 방문자 관리시스템
KR100765097B1 (ko) 2006-04-28 2007-10-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Rfid 송수신 시스템
KR20090011134A (ko) * 2007-07-25 2009-02-02 학교법인 건국대학교 스마트 태그를 이용한 출입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59779B1 (ko) * 2007-10-30 2010-05-27 주식회사 에이치앤테크 아이-스마트키를 이용한 지능형 홈 네트워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097B1 (ko) 2006-04-28 2007-10-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Rfid 송수신 시스템
KR100733045B1 (ko) * 2007-01-25 2007-06-28 (주) 이니투스 알에프아이디 태그와 디스플레이 가능한 전자방문증 및이를 이용한 방문자 관리시스템
KR20090011134A (ko) * 2007-07-25 2009-02-02 학교법인 건국대학교 스마트 태그를 이용한 출입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59779B1 (ko) * 2007-10-30 2010-05-27 주식회사 에이치앤테크 아이-스마트키를 이용한 지능형 홈 네트워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1459B1 (ko) 2020-07-31 2021-02-04 (주)동화이엔씨 공동주택의 방범기능을 향상시킨 통신 시스템
KR102229363B1 (ko) 2020-08-14 2021-03-22 (주)세명이엔지 공동주택 건축물의 정보통신 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828A (ko) 2013-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49863C (en) Garage door controller an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JP4445310B2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100897339B1 (ko) 공동주택의 통합 보안 시스템 및 그것의 운용방법
KR101747834B1 (ko) 동시 출입 기록이 가능한 공동현관 출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994796B1 (ko) 무선장치를 이용한 공동주택 통합보안시스템 및 서비스방법
KR101354179B1 (ko) 공동 주거 단지 방범 시스템의 운용 방법
CN110914875B (zh) 基于位置的行为监测
KR102457783B1 (ko) 스마트홈을 기반으로 하는 인공지능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
KR20220155815A (ko) 주차장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0959779B1 (ko) 아이-스마트키를 이용한 지능형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20110097208A (ko) 알에프아이디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차 통합 관제 시스템
KR101914813B1 (ko)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40077651A (ko)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3690361B2 (ja) 部外者監視システム
KR102454864B1 (ko)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
KR20160075151A (ko) 엘리베이터 이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18295A (ko) 세대단말기를 이용한 스마트홈 시스템
US11348424B2 (en) Method to notify a host the current position of a visitor
JP5210828B2 (ja) 建物の防犯システム
KR100400454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
KR102326341B1 (ko) 정보통신을 이용한 친환경 공동주택 방범관리시스템
KR102221825B1 (ko) 출입 공간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15260B1 (ko) 원패스 태그카드를 이용한 보안시스템
KR0131033B1 (ko) 공동주택 경비시스템
KR20240048041A (ko) 지오펜스를 이용하여 거주민의 단지 내 위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