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7339B1 - 공동주택의 통합 보안 시스템 및 그것의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통합 보안 시스템 및 그것의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7339B1
KR100897339B1 KR1020070073570A KR20070073570A KR100897339B1 KR 100897339 B1 KR100897339 B1 KR 100897339B1 KR 1020070073570 A KR1020070073570 A KR 1020070073570A KR 20070073570 A KR20070073570 A KR 20070073570A KR 100897339 B1 KR100897339 B1 KR 100897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lex
emergency call
delete delete
emergency
inter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3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0464A (ko
Inventor
이창배
Original Assignee
롯데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3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7339B1/ko
Publication of KR20090010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7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7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17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 G08B13/1963Arrangements allowing camera rotation to change view, e.g. pivoting camera, pan-tilt and zoom [PTZ]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통합 보안 시스템으로, 입주자의 정보가 기록된 원 패스 리모콘(One Pass Remote Controller)을 이용하여 공동주택 단지내의 출입과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한 및 관리하고, 주차장이나 단지내의 산책로에서 비상 상황의 발생에 따른 비상호출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출입자의 정보가 ID로 설정되고, 버튼의 작동에 따라 ID 정보가 무선으로 송출되는 원 패스 리모콘, 공동 주택단지의 다양한 공간에 복수개로 설치되고 원 패스 리모콘에서 전송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기, 비상호출버튼; 줌 인/아웃과 팬/틸트 및 회전 기능이 제공되는 카메라, 무선 수신기 및 비상호출버튼 정보를 수신반에 전송하는 중계기,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컨버팅하는 수신반, 공동 주택단지에 설치되는 단지내 장치와 운용서버를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허브, 공동 주택단지에서 통합 보안 시스템의 제반적인 관리 및 운용을 담당하며, 단지내 장치를 연동 제어하여 출입자를 관리 및 통제하는 운용서버, 월 패드 형식으로 설치되는 세대 단말기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70073570
공동주택단지, 통합 보안 시스템, 원 패스 리모콘, 출입자 관리

Description

공동주택의 통합 보안 시스템 및 그것의 운용방법{TOTAL SECURITY SYSTEM OF APARTMENT COMPLEX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통합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입주자의 정보가 기록된 원 패스 리모콘(One Pass Remote Controller)을 이용하여 공동주택 단지내의 출입과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한 및 관리하고, 지하 주차장이나 단지내의 산책로에서 비상 상황의 발생에 따른 비상호출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도록 하는 공동주택 관리 시스템 및 그것의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빌라, 연립, 오피스텔 등의 공동주택은 다수의 사람들이 출입하기 때문에 입주자에 대해서는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고, 동시에 원하지 않는 방문자에 대해서는 출입을 제한하는 출입자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공동주택에서 출입자를 통제하는 방법으로는 동단위 혹은 공동 출입문에 경비실을 설치하고 근무자가 출입자를 관리 및 통제하는 방법과 공동 현관문에 인터폰 시스템을 설치하여 세대원과의 통화 혹은 설정된 비밀번호의 입력으로 출입자를 관리 및 통제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있다.
상기에서 근무자에 의한 출입자 관리 및 통제는 출입자와 근무자의 빈번한 분쟁을 발생시키고, 근무자의 자리 이탈, 불안정한 근무 자세 등의 영향으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출입자 관리 및 통제가 제공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비밀번호를 이용하는 방법은 시스템의 특성상 1회의 출입이 허용되면 출입문을 개방하는 비밀번호가 노출되므로, 이후의 출입에 대해서는 통제 및 관리가 제공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출입자의 관리 및 통제가 경비실 근무자에 의존되므로, 출입자의 출입 기록이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지 않아 단지내에서 불미스러운 상황이 발생되어도 이를 쉽게 추적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근래에 들어 공동주택의 주거 환경을 자연 친화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주차장을 지하의 공간에 설치하고 있으나, 지하 주차장의 공간은 실외에 비하여 조도가 낮아 어둡고 인적이 드문 관계로 납치, 강도, 날치기 등의 범죄 발생에 항상 노출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러나, 범죄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하여 지하 주차장을 순찰하는 근무자를 배치할 수 없는 상황이며, 범죄 발생시 피해자가 구조를 요청하는 비명을 지르더라도 지하 공간이라 외부의 근무자가 들을 수 없어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지하 주차장의 공간에 국부적인 지역의 영상을 수집할 수 있도록 카메라를 설치하고 있으나, 고정된 각도의 영상만을 수집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어 영상의 사각지대에서 발생되는 범죄에 대해서는 그 상황을 수집할 수 없어 발생된 범죄에 대하여 기록 자료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카메라의 영상 수집 각도내에서 범죄가 발생되더라도 카메라의 설치 위치와 원거리인 경우 범죄자의 영상을 명확하게 수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동주택 단지내에 조성된 산책로에서 긴급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역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공동주택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공동주택 단지내에서 출입자의 영상 인식과 원 패스 리모콘에 등록되어 있는 입주자 정보의 ID 인식을 통해 출입자를 관리 및 통제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동주택에서 단지 출입구에 설치되는 주차관제장치와 동현관장치, 비상 출입문장치 및 엘리베이터를 상호 연동하여 출입자를 단계적으로 관리 및 통제하도록 하여 보다 강화된 통합 방범 기능을 제공하고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차장이나 옥외 산책로 등의 단지내 공간에서 위급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원 패스 리모콘에 구비되어 있는 비상호출버튼이나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비상호출버튼을 작동시켜 긴급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고, 긴급 도움의 요청이 인지되면 해당 위치를 자동으로 확인한 후 주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카메라를 연동하여 위급 상황에 대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줌인/줌아웃과 팬/틸트 및 회전을 통해 다양한 각도의 영상을 수집 저장하여 범죄자를 검거할 수 있 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상호출버튼의 작동에 따른 긴급 도움이 요청되는 경우 방송장치를 연동시켜 위급 상황을 단지내의 경고 방송으로 송출하고 범죄자에게 위협 경고 방송을 송출하며, 경비원에게 통지하여 신속한 현장 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기 저장되어 있는 관련 관공서에 긴급 상황 발생을 자동 통지하여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조명장치를 연동시켜 해당 위치에 경고 조명을 제공하고 엘리베이터를 연동시켜 운행을 중단시키고, 주차관제장치 및 비상 출입문 장치를 연동시켜 범죄자의 도주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세대원으로 등록된 어린이나 노약자가 휴대하고 있는 원 패스 리모콘에서 일정시간 간격으로 송출되는 신호로부터 위치 정보를 인식하여 어린이나 노약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를 연동하여 어린이나 노약자의 거동을 세대내의 단말기에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공동주택에서 경비실 근무자가 순찰할 때 근무자가 휴대하고 있는 원 패스 리모콘의 위치 정보를 인식하여 순찰 위치 및 시간을 자동으로 체크하여 순찰 이력 데이터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공동주택의 통합 보안 시스템은, 출입자의 정보가 ID로 설정되고, 버튼의 작동에 따라 ID 정보가 무선으 로 송출되는 원 패스 리모콘; 공동 주택단지의 다양한 공간에 복수개로 설치되고 원 패스 리모콘에서 전송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기; 공동 주택단지의 다양한 공간에 복수개로 설치되는 비상호출버튼; 공동 주택단지의 다양한 공간에 복수개로 설치되어 각 지역별 영상을 수집하고, 줌인/줌아웃과 팬/틸트 및 회전 기능이 제공되는 카메라; 무선 수신기 및 비상호출버튼을 설정된 개수로 그룹핑하며, 검출되는 정보를 수신반에 전송하는 중계기; 중계기 및 카메라에서 수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컨버팅하는 수신반; 공동 주택단지에 설치되는 단지내 장치와 운용서버를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TCP/IP 통신 프로토콜로 상호 접속하는 허브; 공동 주택단지에서 통합 보안 시스템의 제반적인 관리 및 운용을 담당하며, 단지내 장치를 연동 제어하여 출입자를 관리 및 통제하는 운용서버; 세대내에 월 패드 형식으로 설치되어 디스플레이 기능이 제공되는 세대 단말기 및; 상기 허브를 통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TCI/IP 통신 프로토콜로 접속되는 다수개의 단지내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공동주택의 통합 보안 시스템의 운영방법은, (a) 공동주택단지의 출입구에 설치된 주차관제장치를 통해 원 패스 리모콘의 무선 신호가 운용서버에 수신되면 운용서버는 무선 신호에 포함된 ID를 분석하여 출입자를 인증하는 과정; (b) 출입자의 인증이 확인되면 운용서버는 카메라를 통해 출입자의 영상 및 차량번호를 수집하여 세대 단말기에 표시하고, 주차관제장치의 게이트를 개방시켜 차량의 단지내 출입을 허용하는 과정; (c) 출입자의 인증이 확인되지 않으면 경고 메시지를 송출하고, 차량의 단지내 출입을 차단하는 과정 및; (d) 차량의 출입 내역 및 차단 내역을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공동주택의 통합 보안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a) 공동주택단지의 주차장에 설치된 무선 수신기를 통해 원 패스 리모콘의 무선 신호와 무선 수신기의 위치 신호를 검출하는 과정; (b) 원 패스 리모콘의 무선신호에 포함된 ID를 분석하여 출입자를 확인하고, 무선 수신기의 위치 신호로부터 주차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 (c) 상기 주차 위치 주변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줌인/줌아웃과 팬/틸트 및 회전을 제어하여 주차 위치 및 차량의 영상을 다양한 각도 및 원근감으로 수집한 다음 세대 단말기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공동주택의 통합 보안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a) 공동주택단지의 동현관문에 설치된 무선 수신기를 통해 원 패스 리모콘의 무선 신호를 검출하는 과정; (b) 무선 신호에 포함된 ID를 분석하여 출입자를 인증하는 과정; (c) 출입자의 인증이 확인되면 운용서버는 카메라를 통해 출입자의 영상을 수집하여 세대 단말기에 표시하고, 동현관문을 개방시켜 출입자의 동건물내 출입을 허용하는 과정; (d) 출입자의 인증이 확인되지 않으면 경고 메시지를 송출하고, 동건물내의 출입을 차단하는 과정 및; (e) 출입자의 출입 내역 및 차단 내역을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공동주택의 통합 보안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a) 공동주택단지의 엘리베이터 주변에 설치된 무선 수신기를 통해 원 패스 리모콘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b) 무선 신호에 포함된 ID를 분석하여 출입자를 인증하는 과정; (c) 출입자의 인증이 확인되면 카메라를 통해 출입자의 영상을 수집하여 세대 단말기에 표시하는 과정; (d)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허가하고 분석된 ID 정보를 기반으로 운행층을 자동 선택하여 엘리베이터를 운행시키는 과정; (e) 출입자의 인증이 확인되지 않으면 경고 메시지를 송출하고,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차단하는 과정 및; (d) 차량의 출입 내역 및 차단 내역을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공동주택의 통합 보안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a) 공동주택단지에 다수개 설치되어 있는 비상호출버튼 혹은 원 패스 리모콘에서 비상호출신호가 검출되는지 판단하는 과정; (b) 비상호출신호가 검출되면 비상호출버튼의 위치정보 혹은 무선 수신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비상호출 위치를 추출하는 과정; (c) 비상호출 위치의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 카메라의 줌인/줌아웃과 팬/틸트 및 회전을 제어하여 해당 지역의 영상을 다양한 각도와 원근감으로 수집하여 표시 및 저장하는 과정; (d) 방송장치를 연동하여 경고방송을 송출하고, 조명장치를 연동하여 경고 조명을 제공하며, 동현관문장치 및 비상 출입문을 폐쇄시켜 용의자의 도주를 차단하며, 주변의 엘리베이터 운행을 차단 제어하며, 방제장치를 작동하는 과정; (e) 사고 발생 및 주변장치의 연동 제어 이력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출입자 인식과 영상 수집을 통해 출입자를 관리 및 통제함으로써, 공동 주택단지에서 출입자 관리 및 통제에 신뢰성 및 안정성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적이 드문 지하 주차장이나 옥외 산책로에서 비상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 대하여 신속한 대응 조치가 취해질 수 있도록 하며, 단지내 시스템을 연동 제어하여 범죄자의 도주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범죄자의 영상을 기록하여 신속한 검거를 제공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통합 보안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 패스 리모콘(100)과 무선 수신기(201), 비상호출버튼(202), 카메라(203), 중계기(204), 수신반(205), 허브(206), 운용서 버(207), 세대 단말기(208)를 포함한다.
원 패스 리모콘(100)은 각 세대별 입주자에게 개별적으로 제공되는 리모콘으로, 세대원(출입자)의 정보가 ID로 설정된다.
상기 원 패스 리모콘(100)은 설정된 ID를 확인시켜 주기 위한 하나의 버튼과 긴급 호출시에 작동시키는 다른 하나의 버튼이 구비되고, 특정된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다른 버튼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원 패스 리모콘(100)은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의 하나인 RF(Radio Frequency)통신이나 IR(Infrared)통신, 블루투스(Bluetooth)통신 혹은 지그비(Zig Bee)통신 중 어느 하나의 통신방식이 적용되어, 사용자의 버튼 선택에 따라 설정된 ID 혹은 긴급 상황을 통지하는 정보를 무선으로 송출한다.
상기 원 패스 리모콘(100)은 설정에 따라 일정시간 간격으로 설정된 ID를 자동으로 무선 송출하여 공동주택의 단지내에서 세대원의 위치를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어린이나 노약자의 위치를 세대내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원 패스 리모콘(100)는 IC 칩에 세대원의 정보가 ID로 설정되며 비접촉 통신방식을 갖는 RF 카드로 대체될 수 있다.
무선 수신기(201)는 자신의 고유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공동 주택단지의 다양한 공간에 하나 이상 복수개로 설치되며, 상기 원 패스 리모콘(100)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무선 수신기(201)는 원 패스 리모콘(100)에서 무선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무선 신호와 자신의 고유 위치 정보를 중계기(204)에 전송한다.
비상호출버튼(202)은 자신의 고유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공동 주택단지의 주차장(지하 주차장)이나 산책로 등의 다양한 공간에 하나 이상의 복수개로 설치되어 유선이나 무선을 통해 중계기(204)와 접속된다.
카메라(203)는 자신의 고유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공동주택단지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주차관제장치(300), 동현관문장치(400), 엘리베이터(700)의 내외부, 복도, 지하 주차장, 산책로 등의 다양한 공간에 하나 이상의 복수개로 설치되어 각 지역별 영상을 수집한다.
특히, 지하 주차장이나 산책로의 경우 다양한 각각의 지역을 감시할 수 있도록 다수개로 설치된다.
카메라(203)는 운용서버(207)의 제어에 연동하여 줌인/줌아웃과 팬/틸트 및 회전이 제어되어 각 지역별 영상을 다양한 각도와 다양한 원근감으로 수집한다.
상기 카메라(203)는 디지털 카메라 혹은 아날로그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다.
중계기(204)는 무선 수신기(201)에서 인가되는 원 패스 리모콘(100)의 ID와 무선 수신기(201)의 고유 위치 정보 그리고, 비상호출버튼(202)에서 인가되는 고유 위치정보가 포함된 긴급 상황의 정보를 수신반(205)에 제공한다.
상기 중계기(204)는 하나 이상 복수개로 설치되며, 상기 무선 수신기(201) 및 비상호출버튼(202)을 설정된 개수로 그룹핑하여 접속한다.
수신반(205)는 각 중계기(204) 및 카메라(203)에서 수집되는 정보를 취합한 다음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컨버팅한다.
허브(206)는 공동 주택단지에 설치되는 다양한 편의장치와 운용서버(207)를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장치간의 동작이 상호 연동되어 동작될 수 있도록 하며, 각 장치들의 동작이 운용서버(207)의 제어에 의해 관리 및 통제될 수 있도록 한다.
운용서버(207)는 공통 주택단지에서 통합 보안 시스템의 제반적인 관리 및 운용을 담당하며, 다양한 편의장치의 연동을 제어한다.
상기 운용서버(207)는 허브(206)를 통해 보안 관제를 위한 수신반(205)과 다양한 편의장치인 주차관제장치(300), 동현관문장치(400), 방송장치(500), 조명장치(600), 엘리베이터(700), 방제장치(800) 및 비상문 출입장치 등이 네트워크로 연결된다.
상기 운용서버(207)는 공동 주택단지내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주차장관제장치(300)와 연동하여 1차적인 출입자 관리를 실행하고, 동현관에 설치되는 동현관문장치(400)와 연동하여 2차적인 출입자 관리를 실행한다.
또한, 상기 운용서버(207)는 원 패스 리모콘(100) 혹은 긴급호출버튼(202)의 작동에 따른 긴급 상황이 검출되면 해당 위치를 추출한 다음 해당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203)를 작동시켜 해당 지역의 영상을 다양한 각도와 원근감으로 수집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해당 지역과 출입할 수 있는 비상문 출입장치를 연동시켜 비상문을 폐쇄시키고, 주변의 엘리베이터를 연동시켜 운행을 중지시켜 범죄자의 도주가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또한, 방송장치(500)를 연동하여 경고 방송을 제공하고, 조명장치(600)를 연 동하여 경고 조명을 제공한다.
또한, 경비실 단말기(209)를 호출하여 경비실 근무자의 출동을 유도하고, 통신망(900)을 접속하여 관련 관공서에 긴급 상황의 발생을 통지하여 신속한 조치가 취해질 수 있도록 하며, 약정된 전화번호로 긴급 상황의 발생을 통지한다.
상기 긴급 상황이 화재 등의 발생인 경우 화재 발생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700)의 운행을 차단하고, 방제장치(800)를 연동시켜 해당 지역의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하며, 동현관문장치(400)를 연동시켜 폐쇄 상태에서 개방의 상태로 절환한다.
세대 단말기(208)는 세대내에 월 패드(Wall Pad) 형식으로 설치되는 단말기로, 입주자의 활용에 따라 단말기 고유의 기능을 제공하고 운용서버(207)의 제어에 따라 입주자의 주차장 도착과 주차 위치, 엘리베이터 탑승, 자녀들의 위치 등의 보안 관제 영상을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한다.
상기 세대 단말기(208)는 고유의 기능이 제공되는 경우, 예를 들어 TV 시청을 제공하는 과정에서 보안 관제되는 영상에 대해서는 화면의 특정된 부분에 PIP 화면 혹은 팝업 화면으로 제공한다.
경비실 단말기(209)는 운용서버(207)로부터 긴급 상황을 접수하여, 근무자의 출동을 유도하여 준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통합 보안 시스템의 다양한 운용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출입자 관리 및 통제는 공동 주택단지의 외부에서 단지 내부, 동외부에서 동내부, 세대외부에서 세대내부의 3단계로 실행된다.
먼저, 공동 주택단지의 외부에서 단지 내부로의 출입자 관리 및 통제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공동 주택단지의 외부에서 내부로 진입함에 있어 차량을 이용하는 경우 반드시 출입구에 설치되어 있는 주차관제장치(300)를 통과하여야 한다.
따라서, 차량이 주차관제장치(300)에 진입하여 정지한 상태에서 출입자가 원 패스 리모콘(100)을 작동시키게 되면(S101) 주차 관리실의 설치되어 있는 무선 수신기(201)는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전송되는 원 패스 리모콘(100)의 ID를 수신하여 자신의 위치 정보와 함께 중계기(204)를 통해 수신반(205)에 전송한다(S102).
이때, 수신반(205)은 중계기(204)에서 전송되는 아날로그 신호 상태의 원 패스 리모콘(100)의 ID와 무선 수신기(201)의 위치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컨버팅한 다음 TCP/IP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운용서버(207)에 전송한다(S103).
운용서버(207)는 수신되는 신호에서 무선 수신기(201)의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위치를 추출한 다음 카메라(203)의 줌인/줌아웃과 팬/틸트 및 회전을 연동 제어하여 차량의 번호와 출입자의 영상을 수집하여 저장한다(S104).
또한, 수신되는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원 패스 리모콘(100)의 ID와 카메라(203)를 통해 수집된 차량 번호를 분석하여(S105) 등록된 ID이며 등록된 차량의 번호인지를 확인하는 출입자 인증 절차를 진행한다(S106).
상기 S106에서 분석된 ID와 차량 번호에 대하여 인증이 확인되면 출입 자격이 부여된 세대원인 것으로 판단하여 카메라(203)에서 수집되는 영상을 해당 출입 자의 세대 단말기(208)에 전송 표시하여 세대내의 다른 사람에게 세대원이 공동 주택단지의 출입구에 도착되었음을 확인시켜 준다(S107).
상기 세대 단말기(208)는 출입자의 도착을 표시함에 있어 고유의 기능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이면 PIP 화면이나 팝업 화면을 이용하여 표시하고, 다른 기능이 표시되지 않는 상태이면 전화면을 통해 표시한다.
동시에 운용서버(207)는 주차관제장치(300)를 접속하여 게이트(Gate)를 개방함으로써 출입을 허용하여 주며(S109), 데이터 베이스에 출입자의 출입 내역을 저장한다(S110).
그러나, 상기 S106에서 분석된 ID 및 차량번호에 대하여 인증이 확인되지 않으면 출입이 허용되지 않은 출입자로 판정하여 방송장치(500)를 연동시켜 경고 메시지를 송출하고(S121), 주차관제장치(300)를 연동시켜 게이트의 폐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비인가된 차량의 단지내 무단 출입을 통제한다(S122).
상기한 동작 이외에 택배 직원이나 기타 배달 직원, 친인척의 방문 등의 경우에는 경비실 근무자의 확인과 동현관문장치(400)에 설치되어 있는 인터폰을 통한 호출과 카메라(203) 및 세대 단말기(208)를 통한 출입자 영상의 확인으로 세대원의 출입자 인증을 거쳐 출입이 허용되는 통상적인 방법이 적용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도 2의 출입자 관리 및 통제에 따라 차량이 진입한 이후 통상적으로 지하 공간에 마련되어 있는 주차장에 차량을 주차하게 되는데, 주차 위치를 인식하여 세대 단말기에 표시하여 주는 동작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차량을 주차장에 주차한 다음 원 패스 리모콘(100)을 작동하면(S201) 현재의 위치에서 가장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무선 수신기(201)는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전송되는 원 패스 리모콘(100)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자신의 위치 정보와 함께 중계기(204)를 통해 수신반(205)에 전송한다(S202).
수신반(205)은 중계기(204)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전송되는 원 패스 리모콘(100)의 ID와 무선 수신기(201)의 위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컨버팅한 다음 TCP/IP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운용서버(207)에 전송한다(S203).
운용서버(207)는 수신 신호에서 ID를 분석하여 출입자를 확인하고(S204), 무선 수신기(201)의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주차 위치를 확인한다(S205).
이후, 카메라(203)의 줌인/줌아웃과 팬/틸트 및 회전을 연동 제어하여 주차 위치의 영상을 수집한 다음 영상을 캡처하고(S206)(S207) 상기 ID의 분석으로 확인된 출입자의 세대 단말기(208)를 접속하여(S208) 캡처된 주차 위치의 정보 및 주차 된 차량의 영상을 세대 단말기(208)에 표시하여 준다(S209)(S210).
상기 세대 단말기(208)에 주차 위치 및 주차된 차량을 표시함에 있어 세대 단말기(208)가 고유의 기능을 실행하여 화면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이면 소정 위치에 PIP 화면이나 팝업 화면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세대 단말기(208)가 고유의 기능을 실행하고 있지 않는 상태이면 전체 화면을 통해 주차 위치 및 주차된 차량의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에서는 차량의 주차 위치 정보를 세대 단말기(208)에 표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기지국(900)의 중계를 받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출입자와 관련되는 세대원이 가지고 있는 휴대 단말기(910)에 주차 위치 및 주차된 차량의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을 더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주차장에 차량을 주차하였거나 도보로 공동 주택단지내에 출입한 다음 동현관문을 출입하는 경우에 대한 출입자 관리 및 통제의 동작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이 실행된다.
출입자가 동현관문에 도착하여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원 패스 리모콘(100)을 작동하게 되면(S301) 동현관문의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무선 수신기(201)는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전송되는 원 패스 리모콘(100)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자신의 위치 정보와 함께 중계기(204)를 통해 수신반(205)에 전송한다(S302).
수신반(205)은 중계기(204)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전송되는 원 패스 리모콘(100)의 ID와 무선 수신기(201)의 위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컨버팅한 다음 TCP/IP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운용서버(207)에 전송한다(S303).
이때, 운용서버(207)는 카메라(203)의 줌인/줌아웃과 팬/틸트 및 회전을 연동 제어하여 출입자의 영상을 수집하고(S304), 수신된 ID를 분석하여(S305) 등록된 출입자 인지를 확인하는 인증을 실행한다(S306).
상기 S305에서 출입자의 인증이 확인되면 출입자의 세대 단말기(208)를 접속하여 수집된 영상을 세대 단말기(208)에 표시하여 준다(S307).
상기 세대 단말기(208)에 출입자의 영상을 표시함에 있어 세대 단말기(208)가 고유의 기능을 실행하여 화면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이면 소정 위치에 PIP 화면이나 팝업 화면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세대 단말기(208)가 고유의 기능을 실행하고 있지 않는 상태이면 전체 화면을 통해 출입자의 영상을 표시한다.
이외에 기지국(900)의 중계를 받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출입자와 관련되는 세대원이 가지고 있는 휴대 단말기(910)에 출입자의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을 더 포함한다.
동시에 출입자의 인증 확인에 따라 운용서버(207)는 동현관문장치(400)를 접속한 다음(S308) 동현관문을 개방시켜 출입자가 현관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S309).
그리고, 출입자의 출입 내역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여 추후에 발생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비상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S310).
그러나, 상기 S306의 인증 확인에서 등록되지 않은 출입자의 출입 요구인 것으로 판단되면 운용서버(207)는 방송장치(500)를 연동시켜 경고 메시지를 송출한 다음(S311) 동현관문의 폐쇄 상태를 유지시켜 출입을 차단한다(S312).
전술한 도 4의 절차에 따라 동현관문의 출입이 허락된 출입자에 대하여 엘리베이터의 운행 제어를 통해 출입자를 관리 및 통제하는 동작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이 실행된다.
출입자가 동현관문에 통과한 다음 엘리베이터(700)에 도착하여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원 패스 리모콘(100)을 작동하게 되면(S401) 엘리베이터의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무선 수신기(201)는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전송되는 원 패스 리모콘(100)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자신의 위치 정보와 함께 중계기(204)를 통해 수 신반(205)에 전송한다(S402).
수신반(205)은 중계기(204)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전송되는 원 패스 리모콘(100)의 ID와 무선 수신기(201)의 위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컨버팅한 다음 TCP/IP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운용서버(207)에 전송한다(S403).
이때, 운용서버(207)는 카메라(203)의 줌인/줌아웃과 팬/틸트 및 회전을 연동 제어하여 엘리베이터(900)에 위치하고 있는 출입자의 영상을 수집하고(S404), 수신된 원 패스 리모콘(100)의 ID를 분석하여(S405) 등록된 출입자 인지를 확인하는 인증을 실행한다(S406).
상기 S405에서 출입자의 인증이 확인되면 출입자의 세대 단말기(208)를 접속하여 수집된 영상을 세대 단말기(208)에 표시하여 준다(S407).
상기 세대 단말기(208)에 출입자의 영상을 표시함에 있어 세대 단말기(208)가 고유의 기능을 실행하여 화면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이면 소정 위치에 PIP 화면이나 팝업 화면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세대 단말기(208)가 고유의 기능을 실행하고 있지 않는 상태이면 전체 화면을 통해 출입자의 영상을 표시한다.
이외에 기지국(900)의 중계를 받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출입자와 관련되는 세대원이 가지고 있는 휴대 단말기(910)에 출입자의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을 더 포함한다.
동시에 출입자의 인증 확인에 따라 운용서버(207)는 엘리베이터(700) 제어장치를 접속하여 운행이 가능하도록 허가한 다음(S408) ID의 분석으로 확인된 출입자 가 거주하는 운행층을 자동 선택한 후 운행을 실행한다(S409)(S410).
상기에서 출입자의 버튼 입력을 통해 출입하고자 하는 운행층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운용서버(207)에서 자동으로 선택되어지는 운행층을 클리어하고, 출입자가 선택한 운행층의 운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엘리베이터(700)의 운행 내역은 운용서버(207)에 연동되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추후에 발생될 수 있는 비상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S411).
그러나, 상기 S406의 인증 확인에서 등록되지 않은 출입자의 엘리베이터(700) 운행 요구인 것으로 판단되면 운용서버(207)는 방송장치(500)를 연동시켜 경고 메시지를 송출한 다음(S412) 엘리베이터(700)의 운행을 차단한다(S413).
상기한 절차를 통해 단지외부에서 단지 내부, 단지 내부에서 동현관문, 엘리베이터 운행 등이 이루어진 이후 세대외부에서 세대내부의 출입시에 세대 도어락을 통한 지문 인증 혹은 원 패스 리모콘(100)의 ID 인증을 통해 인가된 세대원인 경우에 한하여 현관 출입문의 개방을 제공한다.
도 6을 참조하여 공동 주택단지내의 주차장(지하 주차장 포함)이나 산책로에서 비상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적이 드문 주차장(지하 주차장 포함)이나 산책로에서 위급 상황이 발생함에 따라 휴대하고 있는 원 패스 리모콘(100)을 구비되어 있는 긴급호출버튼을 작동시키면 가장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무선 수신기(201)는 근거리 무선 통신으 로 전송되는 원 패스 리모콘(100)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자신의 위치 정보와 함께 중계기(204)를 통해 수신반(205)에 전송한다(S510)(S502).
또한, 위급 상황의 발생에 따라 피해자의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비상호출버튼(202)을 작동시키면 비상호출버튼(202)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중계기(204)를 통해 수신반(205)에 전송된다.
수신반(205)은 중계기(204)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전송되는 비상호출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컨버팅한 다음 TCP/IP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운용서버(207)에 전송한다(S503).
운용서버(207)는 수신반(205)에서 인가되는 비상호출신호에 포함된 무선 수신기(201) 혹은 비상호출버튼(202)의 위치를 분석하여 비상호출이 발생된 지점을 추출한다(S504).
그리고, 방제장치(800)을 연동시켜 비상상황이 발생되었음을 통지함으로써, 경비실 근무자의 신속한 출동을 유도하고, 유무선 통신을 통해 관련되는 관공서를 자동으로 연결하여 신속한 조치가 취해질 수 있도록 한다(S505).
또한, 운용서버(207)는 비상호출신호가 발생된 위치의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카메라를 연동시켜 줌인/줌아웃과 팬/틸트 및 회전을 제어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비상호출위치의 영상을 수집한 다음 운용서버(207)와 연동되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여 해당 화면을 증거 자료로 활용하도록 한다(S506).
상기 복수개의 카메라를 연동시켜 비상호출신호가 발생된 위치의 영상을 수집함에 있어 가장 최적의 각도를 유지하는 하나의 카메라에서 수집되는 영상을 메 인 영상으로 처리하고, 다른 카메라에서 수집되는 서로 다른 각도에서의 영상은 서브 영상으로 처리하여 해당 위치의 영상 분석이 보다 명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운용서버(207)는 공동 주택단지에 편의장치로 설치되는 다양한 장치들을 연동 제어하여 비상호출상황을 통지함과 동시에 범죄자에게 경고하고, 범죄자의 도주를 차단하여 신속한 검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S507).
즉, 운용서버(207)는 방송장치(500)를 연동시켜 비상호출상황을 구내 방송으로 송출시켜 경고방송을 제공하고, 조명장치(600)를 연동시켜 연동시켜 경고 조명을 제공한다.
그리고, 인근에 위치되어 있는 동현관문장치(400)와 연동 제어하여 동현관문이 개방되지 않도록 하고, 엘리베이터(700)를 연동 제어하여 비상호출이 발생된 위치의 주변에 설치된 엘리베이터(700)의 운행을 차단하며, 방제장치(800)를 연동 제어하여 비상출입문을 폐쇄시켜 범죄자가 현장을 벗어날 수 있는 조건을 사전에 차단시켜 신속한 검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련되는 관공서나 방제기관, 예를들어 경찰서나 보안 서비스 업체에 비상상황의 발생을 통지하여 신속한 출동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기능 이외에 도면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경비실 근무자의 순찰시에도 별도의 순찰 일지를 기록하지 않더라도 근무자가 휴대하고 있는 원 패스 리모콘(100)과 무선 수신기(201)의 무선 통신으로 근무자의 순찰 및 근무 이력이 데이 터 베이스에 자동으로 기록되어 근무자의 무인 관리를 제공한다.
그리고, 화재 발생이 감지되거가 화재 경보의 발생이 감지되면 동현관문장치(300)를 연동하여 잠금 상태에 있는 현관문을 해제하고, 엘리베이터(700)를 연동시켜 화재 발생지역에 있는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중지시키며, 방송장치(500)를 연동하여 화재 발생을 송출하여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화재와 관련되는 관공서에 화재발생을 자동 신고하는 방법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통합 보안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통합 보안 시스템에서 공동주택 단지내의 출입자 관리를 실행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통합 보안 시스템에서 주차위치 확인 관리를 실행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통합 보안 시스템에서 공동현관문 제어를 통해 출입자 관리를 실행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통합 보안 시스템에서 엘리베이터 제어를 통해 출입자 관리를 실행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통합 보안 시스템에서 비상 상황에 대응하는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원 패스 리모콘 201 : 무선 수신기
202 : 비상호출버튼 203 : 카메라
204 : 중계기 205 : 수신반
206 : 허브 207 : 운용서버
208 : 세대 단말기 209 : 경비실 단말기

Claims (20)

  1. 출입자의 정보가 ID로 설정되고, 버튼의 작동에 따라 ID 정보가 무선으로 송출되는 원 패스 리모콘; 공동 주택단지의 다양한 공간에 복수개로 설치되고 원 패스 리모콘에서 전송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기; 공동 주택단지의 다양한 공간에 복수개로 설치되는 비상호출버튼; 공동 주택단지의 다양한 공간에 복수개로 설치되어 각 지역별 영상을 수집하고, 줌인/줌아웃과 팬/틸트 및 회전 기능이 제공되는 카메라; 무선 수신기 및 비상호출버튼을 설정된 개수로 그룹핑하며, 검출되는 정보를 수신반에 전송하는 중계기; 중계기 및 카메라에서 수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컨버팅하는 수신반; 공동 주택단지에 설치되는 단지내 장치와 운용서버를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TCP/IP 통신 프로토콜로 상호 접속하는 허브; 공동 주택단지에서 통합 보안 시스템의 제반적인 관리 및 운용을 담당하며, 단지내 장치를 연동 제어하여 출입자를 관리 및 통제하는 운용서버; 세대내에 월 패드 형식으로 설치되어 디스플레이 기능이 제공되는 세대 단말기 및 상기 허브를 통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TCI/IP 통신 프로토콜로 접속되는 다수개의 단지내 장치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통합 보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운용서버는 특정 지역에서 긴급 상황이 검출되면 위치 인식을 통해 긴급 상황이 발생된 지역과 출입할 수 있는 비상문 출입장치를 연동시켜 비상문을 폐쇄시키고, 주변의 엘리베이터를 연동시켜 운행을 중지시키며, 방송장치를 연동하여 경고 방송을 제공하고, 조명장치를 연동하여 경고 조명을 제공하며, 경비실 단말기를 호출하여 경비실 근무자의 출동을 유도하고,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련 관공서에 긴급 상황의 발생을 통지하는 공동주택의 통합 보안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공동주택단지의 운용서버는 공동주택단지내 다양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비상호출버튼 혹은 무선 수신기로부터 비상호출신호가 검출되는지 판단하는 과정; 상기 운용서버에 비상호출신호가 검출되면 운용서버는 등록되어 있는 비상호출버튼의 위치정보 혹은 무선 수신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비상호출 위치를 추출하고, 비상호출 위치의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 카메라의 줌인/줌아웃과 팬/틸트 및 회전을 제어하여 해당 지역의 영상을 다양한 각도와 원근감으로 수집하여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함과 동시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운용서버는 비상호출의 인식에 따라 방송장치를 연동하여 경고방송을 송출하고, 조명장치를 연동하여 경고 조명을 제공하며, 동현관문장치 및 비상 출입문 장치를 연동하여 동현관문및 비상 출입문을 폐쇄시키고, 주변의 엘리베이터 운행을 차단 제어하여 용의자의 도주를 차단시키는 과정;
    상기 운용서버는 사고 발생 및 주변장치의 연동 제어 이력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통합 보안 시스템 운용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서버는 인식된 비상호출이 임의의 지역에서 화재 발생이면 해당 위치에 설치된 방제장치를 작동시켜 화재를 진압하고, 유무선 통신으로 관련 관공서에 화재 발생을 신고하며, 화재발생 지역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운행을 차단시키고, 동현관문장치를 제어하여 동현관문을 완전 개방하고, 방송장치를 통해 화재 발생을 경고하는 공동주택의 통합 보안 시스템 운용방법.
  20. 삭제
KR1020070073570A 2007-07-23 2007-07-23 공동주택의 통합 보안 시스템 및 그것의 운용방법 KR100897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3570A KR100897339B1 (ko) 2007-07-23 2007-07-23 공동주택의 통합 보안 시스템 및 그것의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3570A KR100897339B1 (ko) 2007-07-23 2007-07-23 공동주택의 통합 보안 시스템 및 그것의 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464A KR20090010464A (ko) 2009-01-30
KR100897339B1 true KR100897339B1 (ko) 2009-05-15

Family

ID=40489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3570A KR100897339B1 (ko) 2007-07-23 2007-07-23 공동주택의 통합 보안 시스템 및 그것의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73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542B1 (ko) * 2009-09-02 2010-09-03 주식회사 플레닉스 편의정보제공 기능이 부가된 방범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범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055718A (ko) * 2013-11-14 2015-05-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해상강도 대응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757B1 (ko) * 2012-05-24 2014-03-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주차 차량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382214B1 (ko) * 2012-05-30 2014-04-07 (주)에스디시스템 조명유도 주차시스템
KR101477107B1 (ko) * 2012-07-06 2015-01-02 주식회사 씨브이네트 이동통신단말기와 연동하는 원패스태그를 이용한 세대원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486402B1 (ko) * 2013-04-17 2015-01-28 이환규 스마트 폰 연계 전자 태그 비상 경보 신호를 이용한 배움터 안전 지킴이 방범 시스템
KR101310238B1 (ko) * 2013-06-26 2013-09-23 배경 안전구역 씨씨티브이 시스템
KR101513218B1 (ko) * 2014-03-28 2015-04-20 차보영 방범용 cctv 다기능 비상벨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1471846B1 (ko) * 2014-03-28 2014-12-12 주식회사 로보티어 Fx 감시카메라를 제어하는 콘트롤박스 및 fx 보안 시스템 및 fx 보안시스템 제어방법
KR101600401B1 (ko) * 2014-05-02 2016-03-10 (주)텔미전자 비상벨 인터폰 연동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101866124B1 (ko) * 2017-02-19 2018-06-08 (주)참슬테크 비화재보 확인기능을 갖는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WO2018212375A1 (ko) * 2017-05-18 2018-11-22 주식회사 오퍼스원 유휴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서버
KR102379868B1 (ko) * 2019-09-05 2022-03-2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서버
KR102359109B1 (ko) * 2020-05-26 2022-02-08 주식회사 시큐원 경비 서비스 시스템 및 경비 서비스 제공방법
KR102467814B1 (ko) * 2020-10-30 2022-11-16 주식회사 대림 인공지능 영상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공동주택단지 통합 보안시스템
KR102505756B1 (ko) * 2020-11-02 2023-03-27 엘엠 주식회사 클라우드 방식의 보안 제어 시스템
KR102371970B1 (ko) 2021-06-29 2022-03-10 엑스파워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관리 시스템
KR102462898B1 (ko) * 2022-06-07 2022-11-04 콩테크 주식회사 메쉬네트워크 통신기술을 활용한 안심벨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8910B1 (ko) * 1998-03-10 2005-09-13 삼성전자주식회사 랜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060100153A (ko) * 2005-03-16 2006-09-20 오정식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공동주택 통합보안시스템
KR20060114252A (ko) * 2005-04-29 2006-11-06 주식회사 한도 하이테크 유에이치에프 알에프아이디 하이브리드 미들웨어 기술을 이용한 보안 및 출입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43564B1 (ko) * 2006-06-28 2006-11-10 이미현 비상호출 기능을 갖는 주차위치 리더기 및 그를 이용한공동편의시설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8910B1 (ko) * 1998-03-10 2005-09-13 삼성전자주식회사 랜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060100153A (ko) * 2005-03-16 2006-09-20 오정식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공동주택 통합보안시스템
KR20060114252A (ko) * 2005-04-29 2006-11-06 주식회사 한도 하이테크 유에이치에프 알에프아이디 하이브리드 미들웨어 기술을 이용한 보안 및 출입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43564B1 (ko) * 2006-06-28 2006-11-10 이미현 비상호출 기능을 갖는 주차위치 리더기 및 그를 이용한공동편의시설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542B1 (ko) * 2009-09-02 2010-09-03 주식회사 플레닉스 편의정보제공 기능이 부가된 방범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범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055718A (ko) * 2013-11-14 2015-05-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해상강도 대응방법
KR101616305B1 (ko) 2013-11-14 2016-04-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해상강도 대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464A (ko) 2009-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7339B1 (ko) 공동주택의 통합 보안 시스템 및 그것의 운용방법
KR100994796B1 (ko) 무선장치를 이용한 공동주택 통합보안시스템 및 서비스방법
KR20150048500A (ko) 엘리베이터 보안 시스템
CN108946348B (zh) 一种基于人脸识别的电梯控制方法
KR102467814B1 (ko) 인공지능 영상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공동주택단지 통합 보안시스템
JP2016178363A (ja) 処理装置、制御装置、ロビーインターホン装置、及び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190141068A (ko) 얼굴인식 기능을 갖는 스마트 도어벨 시스템.
JP2002077882A (ja) 監視カメラ制御管理システム
JP3467245B2 (ja) 管理対象施設の遠隔管理方法及び遠隔管理システム
KR101935594B1 (ko) 구내 통신망을 이용한 아파트 보안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3843733B2 (ja) 通信ネットワークを用いた防犯監視システム
KR20190133473A (ko) 외측형 로비마스터를 이용한 공동주택 통합보안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JP2004048519A (ja) 防犯装置
KR100974944B1 (ko) 공동주택 보안 시스템 및 그것의 서비스방법
JP4916261B2 (ja) 集合住宅用防犯監視システム
JP3057566B1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101588838B1 (ko) 개별 세대마다 설치된 피난구실의 개폐를 관리하는 피난구실 관리 장치, 피난구실 관리 시스템 및 피난구실 관리 방법
JP2009051649A (ja) エレベータ防犯システム
KR101704466B1 (ko) 블랙박스 일체형 디지털도어록을 이용한 방범 관제시스템
KR102115260B1 (ko) 원패스 태그카드를 이용한 보안시스템
KR20190143514A (ko) 얼굴인식 도어록과 연동하는 집관리 보안로봇 및 이를 이용한 집관리 보안방법
KR102634527B1 (ko) 공동주택 정보통신망 보호 시스템
KR100284702B1 (ko) 중앙집중식 총괄관리 경비시스템
KR102326193B1 (ko) 영상 융합형 비상문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
KR100348747B1 (ko) 통신망을 이용한 화상경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