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9836B1 - 공동주택의 정보통신 세대별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정보통신 세대별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9836B1
KR102269836B1 KR1020200093048A KR20200093048A KR102269836B1 KR 102269836 B1 KR102269836 B1 KR 102269836B1 KR 1020200093048 A KR1020200093048 A KR 1020200093048A KR 20200093048 A KR20200093048 A KR 20200093048A KR 102269836 B1 KR102269836 B1 KR 102269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unit
opening
plate
house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우
Original Assignee
홍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우 filed Critical 홍성우
Priority to KR1020200093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8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정보통신 세대별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감지부가 제어부와 정보통신 시설을 이용하여 연결되면서 공동주택의 세대별 소방설비부에 대한 제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평상시, 소방설비부에 대한 보관을 통해 화재 등의 긴급사용시, 사용이 빠르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동주택의 정보통신 세대별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정보통신 세대별 제어시스템{HOUSEHOLD CONTROL SYSTEM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OF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통신 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의 정보통신 세대별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감지부가 제어부와 정보통신 시설을 이용하여 연결되면서 공동주택의 세대별 소방설비부에 대한 제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평상시, 소방설비부에 대한 보관을 통해 화재 등의 긴급사용시, 사용이 빠르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동주택의 정보통신 세대별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의 건물에는 화재가 발생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소화하는 소방시스템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소방시스템은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화재의 발생이 감지되면 경보장치를 작동시키거나 스프링클러 및 방화셔터 등을 작동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는 스프링클러나 방화셔터 등의 소방설비부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감지부는 건물 내 곳곳에 설치되어 제어부와 유선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송신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소방설비부도 제어부와 유선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특히 스프링클러는 소방수를 공급할 수 있는 탱크 등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소방시스템에서 상기 감지부는 건물 내 곳곳에 설치되므로 그 수가 많으며, 이를 상기 제어부와 모두 유선상으로 연결해야 하므로 배선작업이 난해해 지며 설치공사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049796호(2011.07.19.)에는 '소방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소방시스템은 소방설비부가 피난 사다리로 이루어지는 경우, 소방설비부에 대한 보관이 쉽지 않은 것은 물론, 화재 등의 긴급상황시, 빠르고 용이하게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049796호(2011.07.19.) '소방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감지부가 제어부와 정보통신 시설을 이용하여 연결되면서 공동주택의 세대별 소방설비부에 대한 제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평상시, 소방설비부에 대한 보관을 통해 화재 등의 긴급사용시, 사용이 빠르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동주택의 정보통신 세대별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내에 설치되며 신호의 근거리 상호 송수신이 가능한 정보통신 모듈 및 건물내 화재상황을 감지하거나 다른 정보통신 모듈에서 발신한 화재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장치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18)가 구비되는 복수개의 감지부(110); 및 실내에 설치된 상기 감지부(110)와 근거리 무선으로 통신하는 정보통신 모듈이 구비되며, 감지부(110)의 근거리 무선 신호에 의해 소방설비부(130)를 동작시키는 제어부(120)로 구성되고, 상기 소방설비부(130)는, 피난 사다리로 이루어지는 공동주택의 정보통신 세대별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소방설비부(130)를 보호하는 보관부(3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관부(300)는,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상기 피난 사다리가 수용되는 보관함(310); 상기 보관함(310)이 안착되는 지지판(320); 상기 지지판(32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보관함(310)을 개폐하는 개폐판(330); 상기 개폐판(330)을 승,하강시켜 상기 보관함(310)을 개폐하는 개폐수단(340); 및 상기 개폐판(330)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350)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수단(340)은,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면서 상기 개폐판(330)이 승강되도록 하여 상기 보관함(310) 내에 수용된 상기 피난 사다리에 대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정보통신 세대별 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감지부가 제어부와 무선 통신시설을 이용하여 연결되면서 세대별 소방설비부에 대한 제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물론, 평상시, 소방설비부에 대한 보관을 통해 화재 등의 긴급사용시, 사용이 빠르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정보통신 세대별 제어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정보통신 세대별 제어시스템이 가정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정보통신 세대별 제어시스템에서 보관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보관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3에서 보관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정보통신 세대별 제어시스템은 감지부(110)와 제어부(120) 및 소방설비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110)는 화재가 발생되거나 화재 또는 질식의 위험이 있는 가스의 누출여부를 감지하여 감지신호가 발생될 경우 이를 상기 제어부(120)에 송신하는 구성요소로서, 화재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감지기(112)와 가스의 누출 여부를 감지하는 가스누출감지기(1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화재감지기(112)로는 주위 온도가 일정 상승률 이상이 되는 경우에 작동하는 차동식 감지기 또는 주위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이 되면 작동되며 바이메탈을 이용하는 정온식 감지기 및 일정농도 이상의 연기를 포함한 공기의 유입으로 광전자소자에 접하는 광량의 변화에 의해 작동되는 광전식 감지기 또는 불꽃에서 방사되는 자외선 파장특성을 감지하는 자외선 센서와 적외선 파장특성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를 복합하여 자외선/적외선 불꽃감지기 등이 있으며, 건물의 사용 형태 등에 따라 적합한 방식의 화재감지기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가스누출감지기(114)는 공동주택의 각 세대에서 사용되는 가스의 종류에 따라 LNG나 LPG가스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인체에 치명적인 일산화탄소 등의 유독가스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감지부(110)는 재실자 감지기(1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재실자 감지기(116)는 세대 내에 사람이 있는지를 감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사람의 체온을 감지하거나 또는 공간 내에 움직임이 있는지를 감지하여 사람의 재실유무를 판단하는 적외선 감지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감지부(110)에는 정보통신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보통신 모듈은 상기 제어부(120)와 유선이 아닌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이루어지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정보통신 모듈은 상기 감지부(110) 및 제어부(120)에 공히 구비되며, 단방향 또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정보통신 모듈은 지그비(ZigBee)방식으로 무선통신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지그비란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IEEE 802.15.4 표준 중 하나이며 가정 또는 사무실 등의 무선 네트워킹 분야에서 근거리 통신과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위한 무선통신방식이다.
상기 지그비 방식은 기존의 기술에 비하여 크기가 작고 전력소모량이 적으며 저렴한 가격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론, 본 발명의 감지부(110) 및 제어부(120)의 무선통신방식이 상기 지그비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타 다른 방식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감지부(110)는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보장치는 상기 감지부(110)에서 화재 또는 가스의 누출 등 위험 요인의 발생을 감지하면 이를 제어부(120)에 송신하는 것과 상관없이 경보음 또는 경보광을 발생함으로써 재실자에게 경보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경보장치는 스피커 및 경광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에 송신하는 것과 관련 없이 상기 감지부(110)에서 화재상황을 감지함과 즉시 재실자에게 경보가 이루어지므로, 제어부(120)에서 복잡한 제어단계를 거치는 시간이 생략되어 재실자에게 즉시 경보되므로 보다 신속하게 경보하여 재실자가 대피할 수 있는 시간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다.
상기 소방설비부(130)는 화재나 가스의 누출이 발생되었을 때 이를 신속하게 진압하고 화재가 더 이상 번지지 않도록 하며, 재실자의 대피를 도와주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소방설비부(130)는 화재가 발생할 경우 건물 내에 소방수를 분사하는 스프링클러 및 소화가스 또는 분말을 분출하는 소화가스분출기, 화염이나 연기가 다른 공간으로 번지지 않도록 공간을 구획하는 방화셔터, 재실자에게 화재상황을 경보하는 사이렌, 비상벨, 청각 장애자를 위한 시각경보기, 대피통로를 안내하는 비상램프, 대피를 돕는 피난사다리 및 실내의 연기 및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연팬 및 가스누설을 감지했을 때 가스밸브를 차단하는 가스누설차단기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소방설비부(130)는 상기 제어부의 작동신호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감지부(110)에서 화재 또는 가스누출의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대로 세대 내에 설치된 소방설비부 중에 감지된 상황에 적합한 소방설비를 작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화재통보부(140)는 공동주택에 화재상황(화재발생 또는 가스누출발생)의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20)의 신호에 의하여 지정된 소방서 및 경찰서 등의 유관기관에게 자동적으로 통보하는 자동화재속보기이다.
상기 화재통보부(140)는 화재상황을 유관기관에게 통보할 때 상기 감지부(110)로 감지한 정보들도 같이 송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감지부(110)로 감지한 화재발생 또는 가스누출여부 및 재실자 여부등의 정보를 유관기관에게 송신함으로써 보다 적합한 대응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 화재통보부(140)는 공동주택의 화재상황발생 및 정보를 유관기관뿐만 아니라 미리 등록된 관계인의 전화, 핸드폰 또는 PDA등으로 송신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거주자가 외출하였을 때 화재가 발생하여도 화재 발생 즉시 통보받을 수 있고, 거주자가 아닌 거주자의 가족 또는 관계인에게도 즉시 통보가 가능하여 보다 빠른 대처를 가능케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상기 감지부(110)와 제어부(120)가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도록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어부(120)와 소방설비부(130)도 필요에 따라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감지부(110)에 구비되는 정보통신 모듈은 다른 감지기에서 발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상기 감지부(110)는 세대 내의 곳곳에 복수개가 설치될 수도 있는데, 세대 내에 설치된 어느 한 감지부(110)에서 화재상황을 감지할 경우, 화재상황이 감지되었다는 화재감지 신호를 상기 정보통신 모듈을 통해 발신한다.
이러한 화재감지 신호를 다른 곳에 구비된 감지부(110)이 정보통신 모듈에서 수신하여 경보장치를 작동시키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공동주택의 세대 내에 화재상황이 발생할 경우, 상기 제어부(120)를 거치지 않고도, 세대 내에 구비된 감지기끼리 서로 직접 화재감지신호를 송수신하므로, 화재경보를 보다 빨리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이 공동주택에 적용된 예를 설명하면, 세대 내의 거실 또는 각 방에 감지부(110)가 설치된다.
상기 감지부(110)는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화재감지기(112) 또는 재실자의 여부를 감지하는 재실자 감지기(116)일 수 있다.
그리고, 주방이나 보일러실 등 가스의 누출이 염려되는 곳에는 가스누출여부를 감지하는 가스누출감지기(1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거실이나 현관 등 조작이 편리한 곳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어부(120)와 감지부(110)는 서로 무선통신으로 통신하도록 이루어지므로 유선으로 통신하는 방식에 비하여 설치가 자유로우며, 화재 또는 가스의 누출을 가장 잘 감지할 수 있는 곳에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에 의해 작동되는 소방설비부(130)가 설치된다. 본 형태의 설명에서는 상기 소방설비부(130)로서 스프링클러(132)가 적용된 예를 제시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방화셔터 및 제연팬 등 다른 소방설비가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클러(132)는 각 거실 및 방에 소방수를 분무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수도에 직결되어 소방수를 공급받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20)의 신호에 의해 화재상황을 유관기관에게 통보하는 화재통보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화재통보부(140)는 상기 제어부(120)가 설치된 장소에 같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방설비부(130)를 보관하는 보관부(3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소방설비부(130)는 피난 사다리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관부(300)는 외부로부터 상기 소방설비부(130)를 보호하는 한편, 화재 등의 긴급상황시, 세대 입주자나 재설자 등이 쉽게 사용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보관부(300)는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상기 피난 사다리가 수용되는 보관함(310), 상기 보관함(310)이 안착되는 지지판(320), 상기 지지판(32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보관함(310)을 개폐하는 개폐판(330), 상기 개폐판(330)을 승,하강시켜 상기 보관함(310)을 개폐하는 개폐수단(340) 및 상기 개폐판(330)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350)을 포함한다.
상기 보관함(310)은 상부가 개방되는 사각 상자 형태를 이루며, 상기 지지판(320)의 상부에 안착된다.
상기 지지판(320)은 전,후단부에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벽(321)이 형성되면서 상기 보관함(310)이 양측 방향으로 이동 및 안착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지지판(320)은 하부에 복수의 바퀴(360)가 형성되면서 상기 보관부(300)와 함께 상기 피난 사다리에 대한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개폐판(330)은 상기 보관함(310)의 상부로 안착되면서 개방된 상기 보관함(310)의 상부를 차단하는 한편, 상기 개폐수단(340)의 작동에 따라 승,하강되면서 상기 보관함(310)을 개폐한다.
상기 개폐판(330)은 전,후단부에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판(331)이 형성되면서 상기 지지판(320)으로 안착된 상기 보관함(310)이 양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가이드수단(350)은 상기 개폐판(330)의 전면에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관(351), 상기 지지판(320)의 전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가이드관(351)을 통과하는 한 쌍의 가이드바(352)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352)의 상부를 연결하는 손잡이바(353)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관(351)은 상기 개폐판(330)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가이드바(352)의 길이방향으로 승,하강되면서 상기 개폐판(330)의 승,하강을 가이드한다.
상기 손잡이바(353)는 각 세대 거주자 등이 손으로 파지하여 상기 보관부(300)와 함께 상기 피난 손잡이에 대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개폐수단(340)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352)의 하부를 연결하는 고정판(341), 상기 한 쌍의 가이드관(351)을 연결하는 승강판(342), 하부가 상기 고정판(341)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부가 상기 승강판(342)을 통과하는 승강바(343), 상기 승강판(342)에 고정되면서 상기 승강바(343)로 나사결합되는 승강부재(344) 및 상기 고정판(341)에 구비되면서 상기 승강바(343)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345)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부재(344)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바(343)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회전에 따라 상기 승강부재(344)가 승,하강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구동모터(345)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는, 상기 개폐수단(340)은 상기 구동모터(345)로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미도시)를 더 포함하면서 상기 구동모터(345)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345)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면서 상기 보관함(310) 내에 수용된 상기 피난 사다리에 대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구동모터(345)는 화재 등의 긴급상황시,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면서 상기 승강바(343)가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개폐판(330)은 상기 승강바(343)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가이드관(351)과 함께 승강되면서 상기 보관함(310)이 개방되도록 한다.
상기 피난 사다리는 상기 보관함(310)이 자동 개방됨에 따라 재설자나 거주자 등에 의해 인출되면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바(353)에는 상기 가이드관(351)이 접함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345)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하는 감지스위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보관부(300)는 외부로부터 상기 피난 사다리를 보호하는 한편, 화재 등의 긴급상황시, 세대 입주자나 재설자 등이 상기 피난 사다리를 빠르고 용이하게 사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정보통신 세대별 제어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10 : 감지부 118 : 배터리
120 : 제어부 130 : 소방설비부
132 : 스프링클러 140 : 화재통보부
200 : 배기덕트 300 : 보관부
310 : 보관함 320 : 지지판
330 : 개폐판 321 : 패킹부재
330 : 케이싱 340 : 개폐수단
350 : 가이드수단

Claims (1)

  1. 공동주택의 세대 내에 설치되며 신호의 근거리 상호 송수신이 가능한 정보통신 모듈 및 세대 내의 화재상황을 감지하거나 다른 정보통신 모듈에서 발신한 화재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장치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구비되는 복수개의 감지부; 및 감지부와 근거리 무선으로 통신하는 정보통신 모듈이 구비되며, 감지부의 근거리 무선 신호에 의해 소방설비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로 구성되고, 소방설비부는, 피난 사다리로 이루어지는 공동주택의 정보통신 세대별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소방설비부(130)를 보호하는 보관부(300)를 더 포함하고,
    보관부(300)는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피난 사다리가 수용되는 보관함(310);
    보관함(310)이 안착되며 전,후단부에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벽(321)이 형성되는 지지판(320);
    지지판(320)의 상부에 배치되면서 보관함(310)을 개폐하며 전,후단부에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판(331)이 형성되는 개폐판(330);
    개폐판(330)을 승,하강시켜 보관함(310)을 개폐하는 개폐수단(340);
    개폐판(330)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350); 및
    지지판(320)의 하부에 구비되면서 보관부(300)와 함께 소방설비부(130)에 대한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수의 바퀴(360)를 포함하고,
    가이드수단(350)은 개폐판(330)의 전면에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관(351); 지지판(320)의 전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가이드관(351)을 통과하는 한 쌍의 가이드바(352); 및 한 쌍의 가이드바(352)의 상부를 연결하는 손잡이바(353)를 포함하고,
    개폐수단(340)은 한 쌍의 가이드바(352)의 하부를 연결하는 고정판(341); 한 쌍의 가이드관(351)을 연결하는 승강판(342); 하부가 고정판(341)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부가 승강판(342)을 통과하는 승강바(343); 승강판(342)에 고정되면서 승강바(343)로 나사결합되는 승강부재(344); 및 고정판(341)에 구비되며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면서 승강바(343)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3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정보통신 세대별 제어시스템.
KR1020200093048A 2020-07-27 2020-07-27 공동주택의 정보통신 세대별 제어시스템 KR102269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048A KR102269836B1 (ko) 2020-07-27 2020-07-27 공동주택의 정보통신 세대별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048A KR102269836B1 (ko) 2020-07-27 2020-07-27 공동주택의 정보통신 세대별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9836B1 true KR102269836B1 (ko) 2021-07-02

Family

ID=76896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048A KR102269836B1 (ko) 2020-07-27 2020-07-27 공동주택의 정보통신 세대별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983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9883A (ko) * 2008-08-11 2010-02-19 금성방재공업 주식회사 소방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085009B1 (ko) * 2011-06-24 2011-11-21 (주)목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하향식 피난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9883A (ko) * 2008-08-11 2010-02-19 금성방재공업 주식회사 소방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049796B1 (ko) 2008-08-11 2011-07-19 금성방재공업 주식회사 소방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085009B1 (ko) * 2011-06-24 2011-11-21 (주)목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하향식 피난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6746B1 (ko) 공동주택의 전기와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안전시스템
KR101943368B1 (ko)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통합 관리시스템
KR101049796B1 (ko) 소방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796308B1 (ko) 공동주택 정전시 자가발전을 이용한 소방전원공급장치
US10553086B2 (en) Social safety network system having portable light for both wireless disaster fire detection and crime prevention
KR102212753B1 (ko) 건축물 실내전기의 안정화된 전원공급장치
KR102035764B1 (ko)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전원 컨트롤러장치
US7878258B2 (en) Portable, modular, active fire protection installation
KR101825685B1 (ko)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전원 컨트롤러장치
US20150254952A1 (en) Platform of Smart Security Protection Integrated System
KR101644084B1 (ko)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통제시스템
KR101728521B1 (ko) 실시간 소방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41761B1 (ko) 건설현장 임시소방시설용 화재감지 및 대피유도 시스템
KR101018583B1 (ko) 지능형 소방 방재 시스템
US20190054333A1 (en) Autonomous fire locating and suppression apparatus and method
KR102580356B1 (ko) 비상대피 알림 및 안내 시스템
KR20160005641A (ko) 대피용 다목적 안전도구함
KR101807265B1 (ko) 지진 감지가 가능한 소방 방재 시스템
KR20210107947A (ko) 공동주택용 무선 화재 감시로봇
KR101663786B1 (ko) 공동주택의 소방관리와 감시시스템
KR102269836B1 (ko) 공동주택의 정보통신 세대별 제어시스템
CN212990274U (zh) 一种智能火灾报警灭火系统
KR102379362B1 (ko)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컨트롤장치
KR20070085192A (ko) 이산화탄소(또는 청정소화약제) 소화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KR101880756B1 (ko)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안전 전원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